KR20070052726A - 휴대용 학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학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726A
KR20070052726A KR1020070042447A KR20070042447A KR20070052726A KR 20070052726 A KR20070052726 A KR 20070052726A KR 1020070042447 A KR1020070042447 A KR 1020070042447A KR 20070042447 A KR20070042447 A KR 20070042447A KR 20070052726 A KR20070052726 A KR 2007005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ignal
unit
learner
correct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이형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랩트리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랩트리,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랩트리
Priority to KR102007004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2726A/ko
Publication of KR2007005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학습기는, 학습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제에 대한 정답에 대응되는 숫자신호 또는 문자신호가 입력되며, 음악모드에서는 디지털 음악파일의 동작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키입력부와; 학습 문제 및 정답을 포함하는 각종 학습 컨텐츠 및 MP3파일을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파일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학습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숫자신호 또는 문자신호와 상기 메모리부에서 제공되는 정답신호를 비교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정답비교부와; 학습모드에서는 상기 학습문제의 외부 출력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정답비교부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의 작성 및 상기 비교신호에 의해 판단되는 오답문제들의 별도 저장을 제어하고, 음악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악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스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에 제약없는 문제풀이를 통한 학습 및 음악감상이 가능해진다.
학습기, 단어, 언어, 컨텐츠, MP3

Description

휴대용 학습기{Portable apparatus for lear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순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현 외형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 프로세스 유닛 120 : 메모리부
130 : 데이터 통신부 140 : 음성출력부
150 : 영상출력부 160 : 정답비교부
170 : 키 입력부 180 : MP3기능모듈부
본 발명은 휴대용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음악 파일의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며, 학습을 위한 문제풀이가 가능한 휴대용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들은 현재 수많은 시험에 노출되어 있다. 대학교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 평가시험에서부터 각종 어학시험(예를 들면, 토익, 토플, 일본어 능력시험(JPT)), 및 각종 자격증 시험 등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시험들은 객관식 또는 주관식 문제가 인쇄되어 있는 시험지를 통해 제시되는 각각의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험들에 통과(pass)하기 위하여 이러한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책자로 제공되는 예상문제를 풀고 별도로 제공되는 정답표를 통하여 채점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다운로드하여 컴퓨터 모니터로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를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정답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장소의 제약 및 이동성의 제약을 가지고 있다. 즉 항상 책자를 가지고 이동하여야 하거나 책자가 있는 곳에서만 학습이 가능하며, 컴퓨터나 인터넷 환경이 갖춰져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용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제풀이 및 채점이 가능한 휴대용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음악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학습기는, 학습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제에 대한 정답에 대응되는 숫자신호 또는 문자신호가 입력되며, 음악모드에서는 디지털 음악파일의 동작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키입력부와; 학습 문제 및 정답을 포함하는 각종 학습 컨텐츠 및 MP3파일을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파일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학습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숫자신호 또는 문자신호와 상기 메모리부에서 제공되는 정답신호를 비교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정답비교부와; 학습모드에서는 상기 학습문제의 외부 출력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정답비교부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의 작성 및 상기 비교신호에 의해 판단되는 오답문제들의 별도 저장을 제어하고, 음악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악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스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키 입력부는, 제시되는 문제에 대한 정답입력을 위해 문자 및 숫자의 입력이 가능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다음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선택을 위한 'NEXT'키, 이전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선택을 위한 'PREV'키, 현재의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반복을 위한 'REPEAT'키, 및 상위개념으로 이동을 위한'←'키'엔터(ENTER)'키의 컨트롤키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상기 숫자키에 중첩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습기는, 상기 메인프로세스유닛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음악모드에서 상기 디지털 음악파일의 저장 및 재생동작의 수행을 위한 MP3 기능 모듈부를 더 구비할수 있으며, 상기 메인프로세스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성 출력부와; 상기 메인프로세스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문자 또는 영상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습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음악파일의 다운로드를 포함하여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USB 용 포트 또는/및 IEEE1394 용 포트를 구비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정답비교부의 비교신호를 통하여 학습자의 문제에 대한 정답률 및 오답률을 분석하여 문자 또는 음성신호로써 제공하는 평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장소에 제약없는 문제풀이를 통한 학습 및 음악감상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기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기(100)는, 키입력부(170), 메모리부(120), 정답비교부(160), 및 메인 프로세스 유닛(MPU;Main Process Unit)(110)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MP3기능 모듈부(180), 영상(자막) 출력부(150), 음성 출력부(140), 평가부(185) 및 데이터 통신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70)는 학습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제에 대한 정답에 대응되는 숫자신호가 입력되며, 음악모드에서는 디지털 음악파일의 동작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키 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키패드에는 학습모드 및 음악모드의 설정 및 변환,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을 위해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을 위한 키들이 구비된다.
에를 들어, 상기 키패드에는 제시되는 문제에 대한 정답입력을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다음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선택을 위한'NEXT'키, 이전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선택을 위한 'PREV'키, 현재의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반복을 위한 'REPEAT'키, 및 상위개념으로 이동을 위한'←'키'엔터(ENTER)'키의 컨트롤키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상기 숫자키에 중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자키는 문자입력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숫자키에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메인프로세스 유닛(1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음성파일, 동영상파일 등으로 구현된 학습 문제 및 정답을 포함하는 각 종 학습 컨텐츠, MP3파일을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 음악파일의 저장 및 백업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을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ROM을 구비하는 저장메모리와, 데이터 백업을 위한 백업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답 비교부(160)는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부(170)에서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신호와 상기 메모리부(120)에서 제공되는 정답신호를 비교하고 이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한다. 학습을 위해 문제가 디스플레이 되면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에 대해 정답을 입력하게 된다. 주관식으로 주어지는 문제의 경우에는 문자나 숫자입력을 통해 정답을 입력하고, 객관식으로 제공되는 문제의 경우에는 예시를 보고 정답이라고 생각되는 숫자(번호)를 상기 키입력부(170)를 통해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키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신호는 상기 정답 비교부(160)에 의해 정답신호와 비교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비교신호를 출력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불일치 비교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메인프로세스 유닛(110)은 학습모드에서는 상기 학습문제의 외부 출력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정답비교부(160)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의 작성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비교신호에 의해 판단되는 오답문제들이 별도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음악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디지털 음악파일의 재생을 제어한다. 상기 디지털 음악파일의 재생은 상기 MP3기능모듈부(180)의 제어동작을 통해 가능하다. 상기 메인프 로세스 유닛(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출력 컨트롤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MP3기능모듈부(180)는 상기 메인프로세스유닛(11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음악모드에서 상기 디지털 음악파일의 저장 및 재생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키 입력부(170)를 통하여 음악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MP3기능 모듈부(180)가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학습기(100)는 일반적인 MP3 플레이어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30)는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포함하여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USB 용 포트 또는/및 IEEE1394 용 포트를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통신부(130)를 통하여 학습자는 상기 컨텐츠를 원하는 언어 형태로 인터넷 등을 통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메인프로세스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스피커(142)나 이어폰(146)과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자막) 출력부(150)는 상기 메인프로세스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1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는 자막 또는 문자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부(185)는 상기 메인프로세스 유닛(11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정답비교부(160)의 비교신호를 통하여 학습자의 문제에 대한 정답률 및 오답률을 분 석하여 문자 또는 음성신호로써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평가부(185)는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판정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러번의 학습이나 문제풀이가 진행된 경우에 이들의 평균을 제공하거나, 학습회수별 점수비교를 통하여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가부(185)에서 제공되는 것보다 더 많은 평가자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130)를 통하여 PC로 연결하여 인터넷을 통한 평가기관의 평가를 받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학습기(100)는 오답에 대한 복습을 하는 경우에 문제들에 관련된 내용에 관한 궁금증이 있을 경우에 사전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전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학습모드에서의 동작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170)의 모드 전환을 통하여 학습모드가 개시된다. 상기 모드전환은 사용자(학습자)에 의해 특정버튼 또는 특정 버튼들의 조합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드가 개시되면 학습자에 의해 학습대상이 선택된다(S210). 학습대상은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학습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학습컨텐츠들은 객관식 시험이 존재하는 모든 시험관련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가령 대학 수학능력시험 예상문제, 토익, 토플 예상문제, 각종 자격증 시험 대비 예상문제, 공무원시험대비 예상문제 등이 음성 및 영상(문자)파일로 저장된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대상에 대응되는 문제가 상기 영상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문제는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음성으로도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문제는 음성 및/또는 문자(텍스트) 신호로써 출력된다(S220). 상기 문제는 문제의 답을 선택하기 위한 정답 예시들을 포함한다. 학습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52) 또는 이어폰, 스피커(142,146)를 통하여 출력되는 문제를 숙지하고, 출력되는 문제가 주관식인 경우에는 정답을 문자 또는 숫자로써 입력한다. 상기 문제가 객관식인 경우에는 정답예시로서 제시된 예시들 중 정답이라고 생각되는 예시에 대응되는 숫자를 입력한다(S230). 즉 학습자에 의해 문제에 대한 정답대응 문자 또는 숫자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정답 대응 문자 또는 숫자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문제에 대응되는 정답신호와 상기 문자 또는 숫자신호를 상기 정답비교부(160)에서 비교한 비교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240).
상기 정답비교부(160)에서는 상기 문자 또는 숫자신호와 상기 정답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답임을 알 수 있는 신호(음성 또는 영상신호 포함)를 출력한다(S250). 상기 문자 또는 숫자신호와 상기 정답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즉 오답인 경우에는 오답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문제를 별도로 저장하게 된다(S260). 별도로 저장된 문제는 학습자가 원하는 경우에 언제든지 출력될 수 있도록 저장되어, 학습자가 언제든지 복습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로세스 유닛(110)에서는 상기 비교신호를 통해 학습자에 대한 학습데이터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정답률, 오답률, 등의 학습데이터를 작성하여 학습 성취도나 학습 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기 정답비교부(160)의 정답 비교 후에 이미 저장된 표준답안(모범답안)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는 학습자가 오답의 이유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의해 구현된 학습기(100)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100)는, 본체(190), 디스플레이(LCD)(152), 및 키패드(17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90)는 도 1의 블록도에 해당되는 회로들이 내장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190)의 앞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52)나 키패드(1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재생(play)버튼이나 스탑(stop) 버튼 등을 포함하여 학습기의 조작이나 동작에 필요한 버튼들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52)는 도 1의 LCD 등의 디스플레이(152)에 대응되고, 상기 키패드(170)는 도 1의 상기 키 입력부(170)에 대응된다.
상기 학습기(100)는 직육면체 형태를 띠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이나 형태로 휴대하기 편한 원통형이나 기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숫자나 명령의 입력을 위한 숫자키나 명령키가 구비된 키패드(152)는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숫자키나 명령키를 표시하거나 컨텐츠의 문자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디스플레이(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학습기(100)는 이동 및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의 제약없이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며, 자기의 학습 결과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및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의 제약없이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며, 자기의 학습 결과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음악파일의 재생이 가능해, 휴식이나 음악감상시에는 음악모드로써 음악파일(MP3등) 플레이어로 사용하고, 학습시에는 학습모드로 동작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휴대용 학습기에 있어서:
    학습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제에 대한 정답에 대응되는 숫자신호 또는 문자신호가 입력되며, 음악모드에서는 디지털 음악파일의 동작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키입력부와;
    학습 문제 및 정답을 포함하는 각종 학습 컨텐츠 및 MP3파일을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파일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학습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숫자신호 또는 문자신호와 상기 메모리부에서 제공되는 정답신호를 비교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정답비교부와;
    학습모드에서는 상기 학습문제의 외부 출력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정답비교부에서 출력되는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의 작성 및 상기 비교신호에 의해 판단되는 오답문제들의 별도 저장을 제어하고, 음악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악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스유닛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로세스유닛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음악모드에서 상기 디지털 음악파일의 저장 및 재생동작의 수행을 위한 MP3 기능 모듈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제시되는 문제에 대한 정답입력을 위해 문자와 숫자의 입력이 가능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다음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선택을 위한'NEXT'키, 이전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선택을 위한 'PREV'키, 현재의 문제 또는 음악파일의 반복을 위한 'REPEAT'키, 및 상위개념으로 이동을 위한'←'키'엔터(ENTER)'키의 컨트롤키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상기 숫자키에 중첩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는,
    상기 메인프로세스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성 출력부와;
    상기 메인프로세스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문자 또는 영상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는,
    상기 학습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음악파일의 다운로드를 포함하여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USB 용 포트 또는/및 IEEE1394 용 포트를 구비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는,
    상기 정답비교부의 비교신호를 통하여 학습자의 문제에 대한 정답률 및 오답률을 분석하여 문자 또는 음성신호로써 제공하는 평가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기.
KR1020070042447A 2007-05-02 2007-05-02 휴대용 학습기 KR20070052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447A KR20070052726A (ko) 2007-05-02 2007-05-02 휴대용 학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447A KR20070052726A (ko) 2007-05-02 2007-05-02 휴대용 학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726A true KR20070052726A (ko) 2007-05-22

Family

ID=3827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447A KR20070052726A (ko) 2007-05-02 2007-05-02 휴대용 학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27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71B1 (ko) * 2010-10-11 2012-04-02 (주)에이치아이디씨엠 천장연출부를 갖는 생태계 가상 부활시스템
KR101272835B1 (ko) * 2011-10-11 2013-06-10 (주)에이치아이디씨엠 광섬유 바닥연출부를 갖는 생태계 가상 부활시스템
KR101272834B1 (ko) * 2011-10-11 2013-06-10 (주)에이치아이디씨엠 개화되는 연출효과를 갖는 생태계 가상 부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71B1 (ko) * 2010-10-11 2012-04-02 (주)에이치아이디씨엠 천장연출부를 갖는 생태계 가상 부활시스템
KR101272835B1 (ko) * 2011-10-11 2013-06-10 (주)에이치아이디씨엠 광섬유 바닥연출부를 갖는 생태계 가상 부활시스템
KR101272834B1 (ko) * 2011-10-11 2013-06-10 (주)에이치아이디씨엠 개화되는 연출효과를 갖는 생태계 가상 부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3139B2 (e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with a visualized pronunciation suggestion
KR100900085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US20210005097A1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KR100900081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Ohkawa et al. A study on UI design of smartphone app for continuous blended language learning
JP2020016880A (ja) ダイナミックストーリー指向のデジタル言語教育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JP2002258729A (ja) 外国語学習システム、その情報処理端末、及びサーバ
KR20070052726A (ko) 휴대용 학습기
KR101982130B1 (ko) 학생 참여형 다자학습 영어교육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방법 및 그 교습법
Raza Teaching listening to EFL students
KR20100136203A (ko) 수준별 맞춤 대화형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3590580B2 (ja) 綴り学習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10048109A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영어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KR101440394B1 (ko) 단어 학습 방법
JP2006317785A (ja) 携帯端末装置
KR20140028527A (ko)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JP6155102B2 (ja) 学習支援装置
JP6225236B1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50036954A (ko) 어플을 이용한 받아쓰기 학습 및 채점방법
KR20010088140A (ko) 외국어 학습을 위한 문장의 화면출력장치 및 방법
KR20180101114A (ko) 영어 음소 인지를 통한 영어 학습 단말기
KR101060285B1 (ko)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을 이용한 동영상외국어교육방법
TWI500005B (zh) 課文學習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