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278A -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278A
KR20170104278A KR1020160027126A KR20160027126A KR20170104278A KR 20170104278 A KR20170104278 A KR 20170104278A KR 1020160027126 A KR1020160027126 A KR 1020160027126A KR 20160027126 A KR20160027126 A KR 20160027126A KR 20170104278 A KR20170104278 A KR 2017010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bination
control block
block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준
김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도
Priority to KR102016002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278A/ko
Publication of KR2017010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식별데이터가 저장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이 컨트롤 블록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인식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인식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 내 각각으로부터 상기 컨트롤 블록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식별데이터들을 획득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획득된 식별데이터들을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별 배열상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는 C단계; 및 상기 컨트롤 블록 내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을 분석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ANALYTICAL METHOD FOR COMBINATION STATE OF BLOCK IN SMART BLOCK}
본 발명은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 완구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마련되는 각각의 블록들을 다양한 배열 방법으로 전체 조합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유발시킬 수 있는 완구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블록 완구는 다양한 개발을 통해 이용자의 학습효과를 더불어 자연스럽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이용자가 블록 완구를 가지고 노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자연스럽게 유도됨으로써, 좀 더 쉽고 효과적으로 이용자의 언어 및 연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2591호의 "블록 완구"에 따른 선행문헌을 통해 이용자가 블록들 간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문장을 완성하면 이에 상응하는 음향 및 화면 정보를 출력시켜줌으로써, 이용자의 언어 학습, 연산학습 및 지능개발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블록 완구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을 비롯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시하고 있는 블록 완구 관련 기술들의 발전 방향성은 하나의 블록이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서 더욱이 발전하여 하나의 블록이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의 양을 두 개 이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블록 완구 구성품의 양에 대비하여 조합될 수 있는 학습 형태의 수를 제한 없이 무한히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져 가고 있다.
이와 같은 블록 내 복수의 정보 표시 기능과 대응되어 이용자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시야를 향하고 있는 정보들의 혼용으로부터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각 블록들이 표시하고 있는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데이터들을 획득하여 이에 대응되는 조합 혹은 조합의 완성 여부에 관한 각종 출력 정보를 명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블록 내 컨트롤 블록의 전체 시스템 상에 적용 가능한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기 다른 측면에 표시된 정보를 혼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일반 블록의 조합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에 즉각적으로 정확히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추출 및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은,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식별데이터가 저장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이 컨트롤 블록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인식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인식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 내 각각으로부터 상기 컨트롤 블록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식별데이터들을 획득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획득된 식별데이터들을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별 배열상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는 C단계; 및 상기 컨트롤 블록 내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을 분석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컨트롤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이 상기 컨트롤 블록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리 형성하는 전기적 신호 이동 경로 내에서 해당 표시하고 있는 정보와 대응되는 식별데이터를 감지하여 획득하기 위한 전기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컨트롤 블록 내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일반 블록들의 완성형 조합에 관한 조합 정보 중 상기 C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과 대응되는 조합 정보의 존재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완성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D단계는 상기 컨트롤 블록 내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일반 블록들의 단순배치형 조합에 관한 조합 정보 중 상기 C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과 대응되는 조합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은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출력정보 중 상기 D단계를 통해 분석된 결과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컨트롤 블록 내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일반 블록의 다면을 활용하여 둘 이상의 정보가 하나의 일반 블록 내에 나타나지고, 이러한 상이한 정보의 표시 형태가 상호 상하를 기준으로 상반되게 표시됨으로써, 각기 다른 면에 표시된 정보일지라도 혼용되어 조합을 이룰 수 있어 한정된 수의 일반 블록으로부터 제한 없이 모든 경우의 단어, 문장 및 연산 조합의 형성이 가능하다.
둘째, 각기 다른 면에 표시된 정보일지라도 혼용되어 조합을 이루는 일반 블록 조합이 컨트롤 블록에 연결되더라도 정확하게 이용자 측을 향하고 있는 정보들 만의 배열 상태를 감지, 분석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에 대응되는 분석 결과 및 출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이와 같이 분석된 결과 정보를 별도의 기록 데이터 형태로 보관하고, 이를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학습 이력 및 학습자의 수준에 대한 정보를 관리, 분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이 적용 가능한 스마트 블록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4는 스마트 블록 내 일반 블록의 제1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블록과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5는 스마트 블록 내 일반 블록의 제2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블록과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에 적용된 일반 블록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에 적용된 컨트롤 블록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반 블록 조합 상태에 해당하는 식별데이터를 분석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컨트롤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스마트 블록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100)를 설명하면, 스마트 블록(100)는 다수의 일반 블록(110); 및 컨트롤 블록(120);을 포함한다.
일반 블록(1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된다. 이 경우 제2정보라 함은 일면에 표시되어진 제1정보와 다른 개별적인 추가 정보라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일반 블록(110)의 양면에는 각기 다른 정보가 표시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면에 표시된 두 개의 정보 중 하나의 정보는 다른 정보를 기준으로 상하를 뒤집혀져 표시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 블록(110)을 이용해 제1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와 제2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일반 블록(110)에 마련된 연결단자(112)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가져감으로써, 아래 설명되어질 제1정보를 표시하고자하는 일반 블록(110A)과 제2정보를 표시하고자하는 일반 블록(110B)의 혼용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문자, 단어, 음절, 숫자, 무늬, 기호, 색깔 등 언어 학습, 연산 학습, 지능 개발 및 기억력 증진에 필요한 각종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둘의 정보는 각기 다른 군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 블록(110)은 제1정보 및 이와 상이한 군의 제2정보를 표시하고 있어 이들 각각을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식별데이터를 별도로 마련하여 내부에 배치된 칩(111)에 저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일반 블록(110)의 내부에 마련된 칩(111)에는 제1정보에 대한 식별데이터와 제2정보에 대한 식별데이터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아울러, 일반 블록(110)의 양 측면에는 연결단자(112)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블록(일반 블록(110) 또는 컨트롤 블록(120))과 접하도록 배치되면 각각의 단자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일반 블록(1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마련된 칩(111)과 제1연결단자(112a) 및 제2연결단자(112b)를 통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반 블록(110)들은 다양한 조합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치되어 일정 문장, 단어 또는 수식 등을 형성할 수 있고, 때로는 일반 블록(110)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추후 지속적으로 설명될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이라 함은 하나의 일반 블록(110)으로 구성되는 경우 또한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컨트롤 블록(120)은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서, 컨트롤 블록(120)은 컨트롤 블록(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블록(110)의 제1정보 또는 제2정보 중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예를 들어, 전면방향)에 배치된 정보의 해당 식별데이터를 인식하여, 이를 기반으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한다.
즉,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 방향을 향하는 면(이용자 입장에서 표시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면)에 표시된 정보의 식별데이터를 컨트롤 블록(120)이 인지하여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시야를 통해 이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들의 조합을 컨트롤 블록(120)이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컨트롤 블록(120)이 컨트롤 블록(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블록(110)의 전면과 후면 중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 방향을 향해 배치된 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연결단자(112a, 112b)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핀의 접속 형태에 따라 상이한 전기회로 경로를 구축하여 각각 일반 블록(110)의 칩(111) 내부에 저장된 2종류의 식별데이터 중 각각 다른 식별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신호 이동 경로를 제공하게 하거나 다수의 핀의 접속 형태에 따라 달리 인식되는 저항값을 판단하여 각각에 저항 수치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블록(12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컨트롤 블록(12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121); 스피커(122); 메모리소자(123); 컨트롤소자(124); 통신모듈(125); 업데이트 모듈(126); 및 기록 모듈(127);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좀 더 구체적으로 전원 모듈(120P); 스위치(120W); 스크린(120S); 및 녹음 모듈(120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21)는 일반 블록(110)들의 제1연결단자(112a) 또는 제2연결단자(1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1접속단자(121a)와 제2접속단자(121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컨트롤 블록(120) 상의 제1접속단자(121a)와 제2접속단자(121b) 형성 위치는 특정 면상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이용자가 효율적으로 복수개의 학습을 동시에 진행하고, 양측의 비교 등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모듈(122, 120S)는 출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아래 설명될 컨트롤소자(124)에 의한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출력정보가 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모듈(122, 120S)은 음향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2) 및 화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크린(120S)으로 구성된다.
메모리소자(123)에는 제1조합정보, 제2조합정보 및 출력정보(음향정보 및 화면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제1조합정보는 일반 블록(110)들의 완성형 조합에 대한 정보로써, 다시 말해 일반 블록(110)들에 의해 조합되어 형성된 단어, 문장 또는 수식이 올바르게 조합이 완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제2조합정보는 제1조합정보에 해당하는 조합을 제외한 일반 블록(110)들의 단순배치형 조합에 대한 정보로써, 일반 블록(110)들에 의해 조합되어 형성된 단어, 문장 또는 수식이 완성되지 않은 경우들에 대한 정보이다.
아울러 출력정보는 제1조합정보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와 제2조합정보에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로 구분되고, 이와 같은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는 결과적으로 일반 블록(110)들에 의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각각에 상응하는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컨트롤소자(124)는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모듈(122, 120S)를 통해 출력시킨다.
여기서, 컨트롤소자(124)는 도8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블록(110)이 제1접속단자(121a) 또는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컨트롤 블록(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일반 블록(110)의 제1정보 또는 제2정보 중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데이터를 인식하여 이들의 조합 상태를 판단한다.
아울러, 컨트롤소자(124)는 제1조합정보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제1접속단자(121a) 또는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데이터를 분석하는 제1분석부(124a)와 제1조합정보만을 기반으로 제1접속단자(121a) 또는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데이터를 분석하는 제2분석부(124b)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소자(12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분석부 전환 명령을 수신하여 제1분석부(124a) 및 제2분석부(124b) 중 하나의 분석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환부(124c)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환부(124c)를 통해 활성화된 분석부는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메모리 소자(123)로부터 추출하여 스피커(122)에 전송하여 음향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스크린(120S)에 전송하여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음향정보와 화면정보는 동시에 출력되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전환부(124c)에 수신되는 분석부 전환 명령은 컨트롤 블록(12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는 스크린(120S) 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해 주거나, 별도의 스위치(120W)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제1분석부(124a)를 활성화 시킬지, 제2분석부(124b)를 활성화 시킬지를 판단하여 분석부 전환 명령을 입력해 줄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면 정보의 유형은 이미지 콘텐츠 또는 영상 콘텐츠 등 화면 상의 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컨트롤블록(12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데이터화 하는 음성인식 모듈(120R)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음성인식 모듈(120R)은 사용자가 발음하는 음향을 입력받아 음성데이터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음성의 입력 및 녹음의 기능을 구비하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입력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인식 모듈(120R)은 컨트롤소자(124) 내 추가적으로 설계 가능한 제3분석부(124d)와 연동되어 작업되어지는데, 제3분석부(124d)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음성인식 모듈(120R)이 음성을 입력받은 뒤 이를 변환하여 획득되어진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전환부(124c)를 통해 활성화된 제1분석부(124a) 또는 제2분석부(124b) 중 하나의 분석부가 컨트롤 블록(120)과 접속단자(12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데이터를 분석하여 메모리 소자(123)로부터 추출한 음향정보와 음성데이터 간의 일치 정도를 분석 또는 평가하여 그 결과를 출력모듈(122, 120S)을 통해 출력하여준다.
아울러, 컨트롤소자(124)는 음성인식 모듈(120R) 및 제3분석부(124d)의 활성화 여부를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수신 여부에 따라 제어하는 음성인식 기능 전환부(124e)를 포함하여, 음성인식 기능 전환부(124e)에 수신되는 음성인식 모듈(120R) 및 제3분석부(124d)의 활성화 명령은 컨트롤 블록(12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는 스크린(120S) 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해 주거나, 별도의 스위치(120W)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음성인식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치(120W)에 대한 가압을 통해 명령 신호를 입력해 줄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앞서 출력된 음향정보를 소리 내어 발음할 것을 유도함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문장 또는 단어를 발음하면 음성인식 모듈(120R)은 이를 입력받아 음성데이터로 변형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제3분석부(124d)는 앞서 분석되어진 조합정보와 대응되어 기 출력된 음향정보의 내용과 음성데이터간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얼마나 올바르게 발음을 하였는지를 알려주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100)는 학습을 수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쓰기(Writing), 듣기(Listening), 읽기(Reading) 외에도 말하기(Speaking) 영역의 언어 학습 효과까지 추가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블록(120)은 각 구성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 모듈(120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5)은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써, 아래 설명될 업데이트 모듈(126) 및 기록 모듈(127)과 연동되어 동작되어 진다.
업데이트 모듈(126)은 통신 모듈(125)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 정보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같은 통신 모듈(125)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로부터 제공 가능하다.
기록 모듈(127)은 컨트롤소자(124)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을 분석한 횟수 및 분석 내용에 대한 학습수행정보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기록 모듈(127)을 통해 기록된 학습수행정보는 통신 모듈(125)을 통해 이와 통신하는 단말기로 전송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록 모듈(127)은 이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100)를 이용한 현황을 실시간으로 정리하여 기록함으로써, 이용자 혹은 제3자가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학습 시간 및 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학습수행정보를 수집 및 전송한다.
2.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연결 인식단계<S100>
본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이 컨트롤 블록(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인식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단계(S100)를 통해 일반 블록(110)들은 다양한 조합으로 제1연결단자(112a) 또는 제2연결단자(112b)가 상호 제1연결단자(112a) 또는 제2연결단자(112b)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일정 문장, 단어 또는 수식 등을 형성한 뒤, 이와 같이 마련된 조합의 양단부 중 일 단부측 일반 블록(110)의 제1연결단자(112a) 또는 제2연결단자(112b)가 컨트롤 블록(120)의 제1접속단자(121a) 또는 제2접속단자(121b)와 연결됨을 인지한다.
(2) 식별데이터 획득단계<S20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S1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인식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내 각각으로부터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식별데이터들을 획득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단계(S100)를 통해 컨트롤 블록(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이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리 형성하는 전기적 신호 이동 경로 내에서 해당 표시하고 있는 정보와 대응되는 식별데이터를 감지하여 획득하기 위한 전기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된 상태에서 일반 블록(110)이 컨트롤 블록(120)와 연결되는 경우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보가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된 상태에서 일반 블록(110)이 컨트롤 블록(120)와 연결되는 경우 제1연결단자(112a) 또는 제2연결단자(112b)를 이루는 각 핀의 배치 형태, 즉 상호 접속 형태가 달라지고, 이는 곧 신호 이동경로의 차이를 유발시킨다.
다시 말해, 도4와 같이 제1정보가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된 상태에서 일반 블록(110)이 컨트롤 블록(120)와 연결되는 경우 제1연결단자(112a)를 이루는 제1핀(112aa)이 상측 전면, 제2핀(112ab)이 상측 후면, 제3핀(112ac)이 하측 전면, 제4핀(112ad)가 하측 후면에 위치하여 컨트롤 블록(120)의 제1연결단자(1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도5와 같이 제2정보가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된 상태에서 일반 블록(110)이 컨트롤 블록(120)와 연결되는 경우 제1연결단자(112a)를 이루는 제1핀(112aa)이 하측 후면, 제2핀(112ab)이 하측 전면, 제3핀(112ac)이 상측 후면, 제4핀(112ad)가 상측 전면에 위치하여 컨트롤 블록(120)의 제1연결단자(1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3) 데이터 배열확인단계<S30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S200)를 통해 획득된 식별데이터들을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별 배열상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단계(S300)를 통해 컨트롤 블록(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이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배열 형태에 따라 식별데이터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으로써,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블록(120)의 제1접속단자(121a)에 일반 블록(110)의 조합이 연결된 경우 컨트롤 블록(1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순서대로 배열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블록(120)의 제2접속단자(121b)에 일반 블록(110)의 조합이 연결된 경우 컨트롤 블록(120)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4) 조합 분석단계<S400>
본 단계에서는 컨트롤 블록(120) 내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S3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을 분석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단계(S300)를 통해 컨트롤 블록(120)은 컨트롤 블록(120) 내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일반 블록(110)들의 완성형 조합에 관한 조합 정보 중 상기 단계(S3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과 대응되는 조합 정보의 존재유무를 판단하여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완성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본 단계(S300)를 통해 컨트롤 블록(120)은 컨트롤 블록(120) 내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일반 블록(110)들의 단순배치형 조합에 관한 조합 정보 중 상기 단계(S3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과 대응되는 조합 정보를 획득하여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학습하여 정보의 완성을 이루었지, 이루지 못했는지에 대한 결과를 비롯해 학습을 수행한 시간 등에 관한 각종 이력 정보는 별도의 추가 단계를 통해 추후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어 관리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기록 및 저장된다.
(5) 정보 출력단계<S500>
본 단계에서는 메모리소자(132)에 기록된 출력정보 중 상기 단계(S400)를 통해 분석된 결과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추출하여 컨트롤 블록(120) 내 출력모듈(122, 120S)로 전송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한 스마트 블록(100)를 이용한 학습 형태를 하나의 실시형태를 들어 간략히 설명하고 하며, 이와 관련하여 더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발명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일반 블록(110, 220)의 배치 형태를 제1정보가 전면부측을 향할 경우와 제2정보가 전면부측을 향할 경우를 A, 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분석부(124a)와 제2분석부(124b) 중 제1분석부(124a)가 활성화 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를 임의적으로 "학습 모드"라 칭하고, 제2분석부(124b)가 활성화 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를 임의적으로 "시험 모드"라 칭하여, 아래 설명되어질 내용에서 통일되어 사용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명칭은 하나의 실시형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설정한 사항으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응용예-언어 학습의 경우>
일반 블록(11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표시된 제1정보와 후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혼용되어 마련되는 조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시험 모드일 경우(제2분석부(124b)가 활성화 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에 의해 문장이 완성되어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이 완성 또는 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문장이 완성 또는 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문장의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되는 화면은 문장이 완성 또는 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혹은 문장에 부합되어지는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B)들의 조합에 의해 문장 혹은 단어를 완성하여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문장 혹은 단어가 완성 또는 올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문장 혹은 단어가 완성 또는 올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문장 혹은 단어를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되는 화면은 문장 혹은 단어가 완성 또는 올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혹은 단어에 부합되어지는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에 의해 문장 혹은 단어가 미완성되거나 문법적으로 틀리게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문장 혹은 단어가 완성되지 않았거나 틀렸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문장 혹은 단어가 미완성 또는 틀렸음을 알리는 음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되는 화면은 문장 혹은 단어가 미완성 또는 틀렸음을 알리는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학습 모드일 경우(제1분석부(124a)가 활성화 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문장 혹은 단어의 형태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즉, 학습 모드일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완성형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완성형인 경우와 단순배치형인 경우 둘 다 조합 형태 그대로의 음향 또는 이와 대응되는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켜 준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완성형인 경우 문장 혹은 단어가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문장의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단순배치형인 경우 단순히 배치된 문장 혹은 단어의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블록
110 : 일반 블록
111 : 칩
112a : 제1연결단자 112b : 제2연결단자
120 : 컨트롤 블록
121a : 제1접속단자 121b : 제2접속단자
122 : 스피커 123: 메모리소자
124 : 컨트롤소자 125 : 통신 모듈
126 : 업데이트 모듈 127 : 기록 모듈

Claims (6)

  1.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식별데이터가 저장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이 컨트롤 블록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인식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인식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 내 각각으로부터 상기 컨트롤 블록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식별데이터들을 획득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획득된 식별데이터들을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별 배열상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는 C단계; 및
    상기 컨트롤 블록 내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을 분석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컨트롤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이 상기 컨트롤 블록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리 형성하는 전기적 신호 이동 경로 내에서 해당 표시하고 있는 정보와 대응되는 식별데이터를 감지하여 획득하기 위한 전기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컨트롤 블록 내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일반 블록들의 완성형 조합에 관한 조합 정보 중 상기 C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과 대응되는 조합 정보의 존재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완성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완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를 기록 및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컨트롤 블록 내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일반 블록들의 단순배치형 조합에 관한 조합 정보 중 상기 C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별데이터의 조합과 대응되는 조합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전체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출력정보 중 상기 D단계를 통해 분석된 결과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컨트롤 블록 내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KR1020160027126A 2016-03-07 2016-03-07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KR20170104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26A KR20170104278A (ko) 2016-03-07 2016-03-07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26A KR20170104278A (ko) 2016-03-07 2016-03-07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78A true KR20170104278A (ko) 2017-09-15

Family

ID=5992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26A KR20170104278A (ko) 2016-03-07 2016-03-07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2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80A (ko) * 2017-12-06 2019-06-14 (주)로보케어 상호작용 가능한 블록 도구
WO2023286952A1 (ko) * 2021-07-13 2023-01-19 주식회사크리모 전원 공급 및 위치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블록 및 이의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80A (ko) * 2017-12-06 2019-06-14 (주)로보케어 상호작용 가능한 블록 도구
WO2023286952A1 (ko) * 2021-07-13 2023-01-19 주식회사크리모 전원 공급 및 위치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블록 및 이의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487B1 (ko) 스마트 블록 완구
KR100806682B1 (ko)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JP6450396B2 (ja) ブロック玩具
KR100940299B1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CN107067834A (zh) 具有口语评测功能的点读系统
CN104505103B (zh) 语音质量评价设备、方法和系统
KR20170104278A (ko)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JP6166831B1 (ja) 単語学習支援装置、単語学習支援プログラム、単語学習支援方法
KR101712488B1 (ko) 로봇, 스마트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CN107436949A (zh) 一种基于自主互动模式的高效学习手机app
US20070061139A1 (en) Interactive speech correcting method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CN109255988A (zh) 基于错误发音检测的语言学习方法
CN109147419A (zh) 基于错误发音检测的语言学习机系统
CN107507467A (zh) 一种多媒体外语教学系统
KR102070178B1 (ko) 사용자 참여형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156180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KR200291781Y1 (ko) 문자 카드를 이용한 어학 학습용 장치
JP2014038140A (ja) 語学学習補助装置、語学学習補助方法、語学学習補助プログラム
KR20030015560A (ko) 정전유도방식의 전자펜을 이용한 학습장치
KR101060285B1 (ko)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을 이용한 동영상외국어교육방법
KR102070180B1 (ko) 놀이식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TWM553866U (zh) 基於文字轉語音技術之電子書語言學習診斷裝置
KR102488893B1 (ko)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US20230230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nd handsfree languag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