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126A -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126A
KR20160138126A KR1020167028652A KR20167028652A KR20160138126A KR 20160138126 A KR20160138126 A KR 20160138126A KR 1020167028652 A KR1020167028652 A KR 1020167028652A KR 20167028652 A KR20167028652 A KR 20167028652A KR 20160138126 A KR20160138126 A KR 2016013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circuit
differential amplifier
bridge
input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637B1 (ko
Inventor
에프렘 프레스
존 린드그렌
조단 프레스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싸이언티픽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싸이언티픽 엘엘씨 filed Critical 아틀라스 싸이언티픽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13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5Circu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유체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는 펄스 폭 변조 유닛, H-브리지, 제 1 및 제 2 차동 증폭기들, 및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C)를 포함한다. 펄스 폭 변조 유닛은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생성한다. H-브리지는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수신하고, 2개의 H-브리지 출력들을 생성한다. 제 1 차동 증폭기는 션트 저항기에 병렬로 연결된 제 1 입력들을 포함한다. 제 1 입력들 중 하나는 2개의 생성된 H-브리지 출력들에 커플링된다. 제 2 차동 증폭기는 센서가 부착된 단자들의 쌍과 병렬로 연결된 제 2 입력들을 포함한다. 단자들의 쌍 및 제 2 입력들 중 하나는 2개의 생성된 H-브리지 출력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ADC는 제 1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1 전류를 나타내는 제 1 출력, 및 제 2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2 전류를 나타내는 제 2 출력을 수신한다.

Description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DRIVING CIRCUIT FOR A CONDUCTIVITY SENSOR}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원은, 발명의 명칭이 "전기 전도율 모듈(Electrical Conductivity Module)"이고 2014년 3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제 61/954,134 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미국 가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전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 전도율 센서(fluid conductivity sensor)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유체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센서가 침지(submerge)되어 있는 유체, 특히 수용액의 전기 전도율을 검출하기 위한 하이 엔드 센서들이 한동안 존재해 왔다. 그러나,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특히 센서에 의한 최종적인 결정이 후속하여 로보틱스(robotics) 또는 다른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들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다수의 난제들을 겪는다.
수용액의 전도율을 측정하는 경우에, 접하게 되는 하나의 난제는 ("파울링(fouling)"이라고 호칭되는) 센서의 전극들을 오염시킬 가능성이다. 이는 전류가 센서의 전극들을 통과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그러한 전류의 통과는 이온들이 애노드 및 캐소드 양자 모두에 모이게 한다. 그러한 이온들이 충분히 모이게 되면, 테스트 하에 있는 유체의 전도율에서의 이온성 간섭으로 인해, 측정치들이 변경된다.
수용액의 전도율을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전형적으로, 단일 전극에 걸친 전압 스윙(voltage swing)을 활용한다. (전형적으로, 고정된 양 전위(+X 볼트)로부터 동일한 음 전압(-X 볼트)으로의) 이러한 전압 스윙은 전극들에서의 이온들의 인력을 반전시키고, 따라서, 파울링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넓은 범위의 전압들을 요구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전압들은 전압 인버터를 통해 도달되고, 이는, 회로의 에너지 사용을 증가시키고, 회로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예컨대, 음 전압이 조절(regulate)되어야만 한다), 회로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며, 회로에서의 노이즈를 증가시킨다.
또한, 기존의 방법들은 현대의 마이크로제어기들을 충분히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상당한 양의 회로가 전형적으로, 측정 및 결과들의 해석에 대해 전용된다. 이에 대한 예들은 (입력 바이어스 전류, 오프셋 전압 등과 같은) op-앰프(op-amp) 파라미터들에 대한 보상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감도 및 정확도가 감소되면서, 전력 소비가 증가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방법들은 전형적으로, 로보틱스 또는 다른 임베디드 시스템들에 통합(integrate)되기 어려운 방식들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컨대, 전도율 센서 출력은 4 내지 20 mA 전류 루프들(즉, 아날로그)로서,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이들 양자 모두는, (다른 마이크로제어기들, 컴퓨터 모니터링 시스템들, 데이터로거들 등과 같은) 디지털 출력을 예상하는 광범위한 현대의 시스템들에 통합되기 어렵거나, 그렇지 않다면 불가능하다.
따라서,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는 더 간단한 방법을 가능하게 하고, 전력 요건들을 감소시키고, 감도 및 정확도를 증가시키며, 전달될 수 있고 추가적인 시스템들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디지털 형태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유체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는 펄스 폭 변조 유닛, H-브리지, 제 1 및 제 2 차동 증폭기들, 및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C)를 포함한다. 펄스 폭 변조 유닛은 2개의 상반되는(opposing)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H-브리지는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수신하고,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차동 증폭기는 션트 저항기에 병렬로 연결된 제 1 입력들을 포함한다. 제 1 입력들 중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생성된 H-브리지 출력들 중 하나에 커플링된다. 제 2 차동 증폭기는 센서가 부착된 단자들의 쌍과 병렬로 연결된 제 2 입력들을 포함한다. 단자들의 쌍 및 제 2 입력들 중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생성된 H-브리지 출력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C)는 제 1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1 전류를 나타내는 제 1 출력, 및 제 2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2 전류를 나타내는 제 2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는 경우에,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면들에는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시된 정확한 배열들 및 수단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에 대한 헤더 핀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유체 전도율 센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단지 편의를 위해 특정한 용어가 사용되고, 제한적이지 않다. "우측", "좌측", "하측", 및 "상측"이라는 단어들은 참조되는 도면들에서의 방향들을 나타낸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라는 단어들은, 각각, 디바이스의 기하학적 중심 및 그러한 디바이스의 지정된 부분들을 향하는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들을 지칭한다. 용어는 위에서 열거된 단어들, 이들의 파생어들,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청구항들 및 명세서의 대응하는 부분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a" 및 "an"과 같은 부정관사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동일한 숫자들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표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율 센서(미도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동 회로(10)가 도시되어 있다. 회로(10)는 구동 출력들(12a, 12b)의 쌍을 갖는 펄스 폭 변조(PWM) 유닛(12)을 포함한다. PWM 유닛(12)은 제 1 구동 신호들 및 제 2의 상보적인(즉, 상반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이러한 신호들은, 각각, 구동 출력들(12a, 12b)에서 방출될(emitted) 수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신호들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약 4 kHz의 범위의 주파수 및 50 %의 듀티 사이클을 나타내지만, 주파수, 듀티 사이클, 및 다른 특성들은 원하는 대로 변화될 수 있다.
PWM 유닛(12)의 구동 출력들(12a, 12b)은 바람직하게, H-브리지(14)의 대응하는 입력들(14a, 14b)에 커플링되고, 그러한 H-브리지(14)는 2개의 출력들(14c, 14d) 및 2개의 피드백 채널들(14e, 14f)을 더 포함하며, 그러한 2개의 피드백 채널들(14e, 14f)은 H-브리지의 타이밍(timing)에 관한 정보를 입력/출력(I/O) 유닛(16)으로 리턴(return)한다. H-브리지(14)는 센서에 인가되는 신호의 극성을 교번하여 반전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I/O 유닛(16)은 센서로부터의 신호들의 샘플링을 조정하기 위해 H-브리지(14)의 타이밍을 사용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H-브리지(14)의 하나의 출력(14c)은, 션트 저항기(20) 양단에 입력들이 연결된 제 1 차동 증폭기(18)의 콤비네이션(combination)으로 지향된다. 션트 저항기(20)는 바람직하게, 약 100 (Ω)의 범위의 저항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저항들도 또한, 본 발명과 조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차동 증폭기(18)는 또한, 인에이블(enable) 입력(18a)으로서 PWM 유닛(12)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차동 증폭기(18)는 션트 저항기(20)에 걸쳐 전류를 출력하고, 그러한 전류는 아날로그-대-디지털(ADC)(22)의 입력(22a)으로 피드백된다. 션트 저항기(20)의 고정된 저항 및 션트 저항기(20)를 통하는 전류를 알게 됨으로써, 인가되고 있는 전압이 결정될 수 있다.
H-브리지의 다른 출력(14d)은, 센서가 연결된 단자들(26a, 26b)의 쌍 양단에 입력들이 연결된 제 2 차동 증폭기(24)의 콤비네이션에 커플링된다. 단자들(26a, 26b)은 포스트(post)들, 소켓들, 동축 리셉터클(coaxial receptacle)들, 또는 유사한 타입들의 전기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28)가 단자들(26a, 26b) 양단에 커플링될 수 있고,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팅 신호로서 I/O 유닛(16)으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원 전체에 걸쳐 설명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고려하면, 당업자는, 트랜지스터(28)뿐만 아니라 I/O 유닛(16)으로부터의 그러한 트랜지스터(28)에 연결된 출력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 2 차동 증폭기(24)는 또한, 인에이블 입력(24a)으로서 PWM 유닛(12)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단자들(26a, 26b)을 통해 센서에 걸쳐 전류를 출력한다. 전류 판독은 ADC(22)의 다른 입력(22b)으로 피드백된다. 센서에 걸친 전류 및 션트 저항기(20)에 걸친 측정으로부터 이전에 결정된 공급 전압을 이용하여, 센서와 접하는 유체에 걸친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그 후에, 유체의 컨덕턴스는 계산된 저항의 역에 의해 결정된다.
PWM 유닛(12), I/O 유닛(16), 및 ADC(22)는 바람직하게,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30)의 부분이거나 또는 적어도 그러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30)에 의해 제어된다. CPU(30)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등일 수 있다. 예컨대, PWM 유닛(12), I/O 유닛(16), 및 ADC(2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CPU(30) 내에 상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입력들 및 출력들이 CPU(30)의 핀들(미도시)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추가로, PWM 유닛(12), I/O 유닛(16), 및 ADC(2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CPU(30) 외부에 위치된 회로들일 수 있고, 트레이스(trace)들, 와이어들, 또는 다른 유사한 전기 커넥터들(미도시)을 통해 CPU(30)에 커플링될 수 있다. CPU(30)는, 예컨대, 공급되는 전력, 세팅들, 및 파라미터들을 제어할 수 있고, PWM 유닛(12), I/O 유닛(16), 및 ADC(22)에 대한 통신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H-브리지(14), 제 1 및 제 2 차동 증폭기들(18, 24), 션트 저항기(20), 및 단자들(26a, 26b)이 공통으로(commonly)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housing)(미도시)은 또한, 원하는 대로, PWM 유닛(12), I/O 유닛(16), ADC(22), 및/또는 CPU(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범용 비동기 수신기/송신기(UART) 프로토콜들(예컨대, RS-232, TTL 시리얼, RS-422, RS-485 등), 집적 회로-간(I2C) 프로토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들을 사용하여, 회로(10)로부터 외부 회로(미도시)로 전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회로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 핀들(32, 34)의 쌍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전력 및 접지 핀들(36, 38)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부가하여, 프로브 핀들(40, 42)이 단자들(26a, 26b)에 센서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LED들(50, 52, 54)이 바람직하게, 사용자에게 회로(1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컨대, 적색 LED(50)가 에러 인디케이터(indicator)로서 제공될 수 있다. 녹색 LED(52)는 통신이 UART 프로토콜에 따라 발생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청색 LED(54)는 통신이 I2C에 따라 발생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LED들이 사용되지만, 알파뉴메릭(alphanumeric) 디스플레이들, 청각 인디케이터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타입들의 인디케이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부가하여, 디바이스(10) 및/또는 센서의 다른 조건들이 사용자에게 통신될 수 있다.
이제, 회로(10)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초기화 시에, PWM 유닛(12)은 구동 신호들의 생성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PWM 유닛(12)의 출력들(12a, 12b) 및 H-브리지(14)는 바람직하게, 초기에 디스에이블링(disable)되어 있다. 판독하기 위해, PWM 유닛(12)의 출력들(12a, 12b) 및 H-브리지(14)가 인에이블링된다. H-브리지(14)는 단자들(26a, 26b)에 인가되는 극성을 지속적으로 반전시키도록 작동한다. 제 1 및 제 2 차동 증폭기들(18, 24)은 ADC(22)에 샘플링들을 출력하도록 교번하여 인에이블링되고, 그에 따라, 션트 저항기(20) 및 단자들(26a, 26b)로부터 전류들이 교번하여 판독된다.
바람직하게, ADC(22)는 제 1 및 제 2 차동 증폭기들(18, 24) 각각으로부터 16개의 샘플들을 수신한다. 샘플들은 ADC(22) 및/또는 CPU(30)에 의해 저역-통과 필터링될 수 있고, 오버샘플링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처리될 수 있다. 션트 저항기(20) 및 센서에 대한 평균 판독들이 생성되고, 센서가 침지되어 있는 유체의 컨덕턴스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센서의 K 인자와 조합되어 컨덕턴스에 의해 ADC(22) 및/또는 CPU(30)에서 전도율이 결정되고, 온도 보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도율이 외부 회로로 방출된다.
도 3은 유체 전도율 센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다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1)는, 펄스 폭 변조 유닛에 의해,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3)는, H-브리지에 의해,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5)는, H-브리지에 의해,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7)는, 제 1 차동 증폭기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생성된 H-브리지 출력들 중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9)는, 제 2 차동 증폭기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생성된 H-브리지 출력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11)는,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각각, 제 1 및 제 2 차동 증폭기들로부터 제 1 및 제 2 전류들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출력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전기화학 센서들을 위한 감지 회로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광범위한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의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20)

  1. 유체 전도율 센서(fluid conductivity sensor)를 위한 구동 회로로서,
    2개의 상반되는(opposing)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펄스 폭 변조 유닛;
    상기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H-브리지;
    션트 저항기(shunt resistor)에 병렬로 연결된 제 1 입력들을 포함하는 제 1 차동 증폭기 ― 상기 제 1 입력들 중 하나는 생성된 상기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 중 하나의 H-브리지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됨 ―;
    센서가 부착된 단자들의 쌍과 병렬로 연결된 제 2 입력들을 포함하는 제 2 차동 증폭기 ― 상기 단자들의 쌍 및 상기 제 2 입력들 중 하나는 생성된 상기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 중 다른 하나의 H-브리지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1 전류를 나타내는 제 1 출력,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2 전류를 나타내는 제 2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C)
    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유닛 및 상기 ADC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입력/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디케이터(indicator)들을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DC는 상기 제 1 출력 및 상기 제 2 출력 각각으로부터 샘플들을 교번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수신된 샘플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유체 전도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로부터 떨어져 있는(remote) 회로에 상기 유체 전도율을 통신(communicate)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transceiver)를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8. 유체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로서,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펄스 폭 변조 유닛;
    2개의 상반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H-브리지;
    션트 저항기에 병렬로 연결된 제 1 입력들을 포함하는 제 1 차동 증폭기 ― 상기 제 1 입력들 중 하나는 생성된 상기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 중 하나의 H-브리지 출력에 커플링됨 ―;
    센서가 부착된 단자들의 쌍과 병렬로 연결된 제 2 입력들을 포함하는 제 2 차동 증폭기 ― 상기 단자들의 쌍 및 상기 제 2 입력들 중 하나는 생성된 상기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 중 다른 하나의 H-브리지 출력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1 전류를 나타내는 제 1 출력,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2 전류를 나타내는 제 2 출력 각각으로부터 샘플들을 교번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C)
    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입력/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유닛, 상기 H-브리지,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중 적어도 2개는 공통으로(commonly) 수용되는,
    구동 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샘플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유체 전도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로부터 떨어져 있는 회로에 상기 유체 전도율을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유닛 및 상기 ADC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회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디케이터들을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15. 유체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로서,
    2개의 상반되는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펄스 폭 변조 유닛;
    2개의 상반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H-브리지;
    션트 저항기에 병렬로 연결된 제 1 입력들을 포함하는 제 1 차동 증폭기 ― 상기 제 1 입력들 중 하나는 생성된 상기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 중 하나의 H-브리지 출력에 커플링됨 ―;
    센서가 부착된 단자들의 쌍과 병렬로 연결된 제 2 입력들을 포함하는 제 2 차동 증폭기 ― 상기 단자들의 쌍 및 상기 제 2 입력들 중 하나는 생성된 상기 적어도 2개의 H-브리지 출력들 중 다른 하나의 H-브리지 출력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1 전류를 나타내는 제 1 출력,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로부터의 제 2 전류를 나타내는 제 2 출력 각각으로부터 샘플들을 교번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C); 및
    수신된 샘플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유체 전도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유닛, 상기 H-브리지,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중 적어도 2개는 공통으로 수용되는,
    구동 회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로부터 떨어져 있는 회로에 상기 유체 전도율을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입력/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동 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H-브리지는 추가로, 상기 입력/출력 유닛에 타이밍(timing)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회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유닛은, 상기 센서로부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의 샘플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타이밍 정보를 사용하는,
    구동 회로.
KR1020167028652A 2014-03-17 2015-03-16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 KR101943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54134P 2014-03-17 2014-03-17
US61/954,134 2014-03-17
PCT/US2015/020742 WO2015142728A1 (en) 2014-03-17 2015-03-16 Driving circuit for a conductivity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126A true KR20160138126A (ko) 2016-12-02
KR101943637B1 KR101943637B1 (ko) 2019-01-29

Family

ID=5281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652A KR101943637B1 (ko) 2014-03-17 2015-03-16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00614B2 (ko)
JP (1) JP6312918B2 (ko)
KR (1) KR101943637B1 (ko)
CA (1) CA2941249C (ko)
DE (1) DE112015001279T5 (ko)
GB (1) GB2538924B (ko)
WO (1) WO2015142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9011B2 (en) * 2013-12-31 2019-10-2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for multiplexing wheatstone bridge measurements
US10352887B1 (en) * 2016-06-22 2019-07-16 Ronald W. Parker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s and systesms
JP6401811B2 (ja) * 2017-03-15 2018-10-10 Kyb株式会社 流体性状検出装置
BR112021005243A2 (pt) 2018-09-21 2021-06-15 Teralytic Inc. plataforma de fusão de sensores multimodal, extensível, para sensoriamento remoto de terreno proximal
JP7382862B2 (ja) 2020-03-13 2023-11-17 株式会社平和 遊技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645A (ko) * 1995-03-28 1996-10-24 윌리엄 이. 힐러 전력 감소형 메모리 차동 전압 감지 증폭기 및 전력 감소 방법
US6438497B1 (en) * 1998-12-11 2002-08-20 Symyx Technologies Method for conducting sensor array-based rapid materials characterization
JP2012143070A (ja) * 2010-12-28 2012-07-26 Panasonic Corp 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
US20140015551A1 (en) * 2010-03-17 2014-01-16 Samuel H. Russ Salinity sensor for embedded environmental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82U (ja) * 1982-07-07 1984-01-17 横河電機株式会社 導電率計
CA1227247A (en) * 1985-02-05 1987-09-22 Thomas M. Dauphinee Liquid conductivity measuring circuit
JPH0755744A (ja) * 1993-08-19 1995-03-03 Mitsubishi Rayon Co Ltd 導電率測定方法及び装置
JP3692391B2 (ja) * 1999-04-16 2005-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供給制御装置および電源供給制御方法
US6781389B1 (en) * 2001-10-12 2004-08-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ductivity sensor for detecting conductivity of a fluid
JP4543888B2 (ja) * 2004-11-11 2010-09-15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0541208C (zh) * 2006-08-30 2009-09-16 梅特勒-托利多仪器(上海)有限公司 溶液电导率的测量方法
JP5158067B2 (ja) * 2009-12-22 2013-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液体用濃度測定装置
KR101741083B1 (ko) * 2010-06-24 201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염도 측정 장치
US20130234705A1 (en) * 2012-03-08 2013-09-12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nmr pulse sequence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645A (ko) * 1995-03-28 1996-10-24 윌리엄 이. 힐러 전력 감소형 메모리 차동 전압 감지 증폭기 및 전력 감소 방법
US6438497B1 (en) * 1998-12-11 2002-08-20 Symyx Technologies Method for conducting sensor array-based rapid materials characterization
US20140015551A1 (en) * 2010-03-17 2014-01-16 Samuel H. Russ Salinity sensor for embedded environmental monitoring
JP2012143070A (ja) * 2010-12-28 2012-07-26 Panasonic Corp 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1249C (en) 2018-06-19
JP6312918B2 (ja) 2018-04-18
US20150260671A1 (en) 2015-09-17
GB2538924B (en) 2020-12-02
KR101943637B1 (ko) 2019-01-29
GB2538924A (en) 2016-11-30
JP2017513022A (ja) 2017-05-25
US9500614B2 (en) 2016-11-22
GB201617239D0 (en) 2016-11-23
DE112015001279T5 (de) 2017-02-16
CA2941249A1 (en) 2015-09-24
WO2015142728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637B1 (ko) 전도율 센서를 위한 구동 회로
US9658089B2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with voltage-amplitude conductivity-sensing function for a liquid in a tube
CN1856704B (zh) 用于具有流电去耦传输链路的液体或气体传感器的插入式模块
CA2954901C (en) Electrochemical sensing module
JP2011528108A (ja) 流動媒体の誘導導電率測定におけるエラー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1629924A (zh) 用于电磁式溶液电导率测量的输入电路
CN110609072B (zh) 一种普鲁士蓝膜生物电极的微弱信号检测电路
US20140015540A1 (en) Method for Ascertaining at least one Malfunction of a Conductive Conductivity Sensor
US20120217984A1 (en) Resistance-measur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5548721A (zh) 一种四电极电导率仪的测量电路
CN105371906B (zh) 具有变频式液体导电度测量功能的电磁式流量计
JP5920088B2 (ja) 電流検出回路及び電流検出回路を用いた超音波診断装置
CN216349199U (zh) 一种智能温度变送器和传感器信号测量装置
EP3392664A1 (en) Electric quantity measuring device
JP2016161383A (ja) 端子ユニットおよび抵抗装置
CN204065341U (zh) 一种小功率三极管管脚自动判断电路
CN215297228U (zh) 一种基于恒电压的臭氧数字传感器
TWI509226B (zh) 具有變頻式液體導電度量測之電磁式流量計
CN116298491B (zh) 应用于显示屏背光电流检测的脉冲式直流电流测量方法
CN105444822A (zh) 具有调幅式管路液体导电度测量功能的电磁式流量计
JP2003043008A (ja) ガスセンサの接続状態判定方法及び定電位電解式ガス測定器
CN104198037A (zh) 数字式平衡驱动装置
TWI495852B (zh) 具有調幅式管路液體導電度量測之電磁式流量計
RU23509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проводимости жидкости
JP2004294162A (ja) 電磁流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