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894A -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894A
KR20160137894A KR1020160062837A KR20160062837A KR20160137894A KR 20160137894 A KR20160137894 A KR 20160137894A KR 1020160062837 A KR1020160062837 A KR 1020160062837A KR 20160062837 A KR20160062837 A KR 20160062837A KR 20160137894 A KR20160137894 A KR 20160137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crylonitrile
rubber
butadiene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276B1 (ko
Inventor
노종대
김상근
김정길
박성원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ublication of KR2016013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6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of lat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1 폴리머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2 폴리머와;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혼합된 배합물에 카본블랙과, 무기필러와, 첨가제와, 가황제와, 가황촉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의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Rubber for bearing se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다른 두 종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가 혼합되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베어링은 축과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축이나 하우징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계 요소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베어링(10)은 하우징에 삽입되는 외륜(12)과, 축이 삽입되는 내륜(11)과, 상기 외륜(12)과 내륜(11) 사이에서 외륜(12)과 내륜(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전동체(13)와, 상기 전동체(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리테이너(14)와, 상기 내륜(11)과 외륜(12) 사이에 설치되어 내륜(11)과 외륜(12) 사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충진되는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씰(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륜(12)에는 반경 방향(도 2에서 세로 방향) 내향하여 오목하게 씰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내륜(11)은 축 방향 전동체(13)의 양측으로 씰(15)의 반경 방향 내측이 접하는 씰링면(111)이 형성된다.
상기 씰(15)은 내륜(11)과 외륜(12) 사이에서 전동체(13)의 양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씰(15)의 반경 방향 외측인 씰링머리(152)는 외륜(12)의 씰홈(121)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씰(15)의 반경 방향 내측은 하나 이상의 씰립(153)으로 이루어져 내륜(11)의 씰링면(111)에 접하여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베어링 씰용 고무 제조단계에서 부타디엔(Butadien)과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이 혼합된 폴리머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가 형성된다(ST-10;폴리머 준비단계). 상기 폴리머 준비단계(ST-10)에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시판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준비단계(ST-10)에서 형성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에 첨가물이 투입(ST-30;첨가물 투입단계)되어 혼합된다(ST-50;혼합단계). 상기 단계를 거쳐 형성된 베어링 씰용 고무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를 이용하여 씰이 성형(ST-70)된다.
상기 첨가물 투입단계(ST-30)에서 첨가물로는 무기필러, 첨가제, 가황제, 가황촉진제 등이 투입된다.
상기 무기필러는 실리카(Silica;SiO2), 알루미나(Alumina;Al2O3), 카본블랙(Calbon black), 탄산칼슘(Calcium Cabonate;Ca2CO3)), 칼슘 실리케이트(Calcium Silicate), 수산화 알루미늄(Aluminium hydrocide;Al(OH)3), 산화티타늄(Titanium oxide) 등에서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N110, N330, N332, N472, N550, N630, N642, N650, N762, N770, N907, N908, N990, N991 등이 있다.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는 Ca2SiO4, Ca3SiO5, CaSiO3, Ca3Si2O7 등이 있다.
상기 산화티타늄은 TiO2, TiO, Ti2O3, Ti3O, Ti2O 등이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가소제, 가공조제, 산화방지제, 가황보조제 등에서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디에스테르계 화합물,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화합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 파라핀 왁스, 피마자유, 아마인유, 파인오일 등이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금속염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포화 지방산은 카프르산, 카프릴산, 팔미트산 등이 있다.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알카리금속염, 철족금속염, 비철금속염 등이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이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페닐-α-나프틸아민(Phenyl-α-naphthylamine) 등이 있다.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로는 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2,2,4-trimethyl-1,2-dihydroquinoline), 6-에톡시-폴리[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6-ethoxy-poly[2,2,4-tri-methyl-1,2-dihydroquinoline]), N,N'-다이페닐-파라-페닐렌다이아민(N,N'-diphenyl-p-phenylenediamine) 등이 있다.
상기 포스트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 트리이소데실 포스파이트(Triisodecil phosphite), 디페닐-이소-옥틸-포스파이트(Diphenyl-isooctil-phosphite) 등이 있다.
상기 가황제는 황(Sulfur), 아민 디설파이드(Amine disulfide), 중합체성 폴리설파이드, 황 올레핀 부가물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벤조티아졸계 촉진제, 티우람계 촉진제, 설펜아마이드계 촉진제 등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벤조티아졸계 촉진제는 2-머캡토 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 디벤조타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소듐-2-머캡토 벤조티아졸(Sodium-2-mercaptobenzothiazole),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 설펜아미드(N-cyclohexyl-2-benzothiazole sulfenamide), N-터트-부틸-2-벤조티아졸 설펜아미드(N-tert-butyl-2-benzothiazole sulfenamide) 등이 있다.
상기 티우람계 촉진제는 테트라메틸 티우람 모노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monosulfide),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테트라에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ethyl thiuram disulfide), 테트라부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butyl thiuram disulfide) 등이 있다.
설펜아마이드계 촉진제는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설펜아마이드(N-cyclohexy1-2-benzothiazolesulfenamide), N-디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2-설펜아마이드(N-dicyclo 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N-티-부틸-2-벤조티아졸설펜아마이드(N-t-buty1-2-benzothiazolesulfenamide) 등이 있다.
가황보조제는 산화아연(ZnO),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실란커플링(silane coupling) 첨가제 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 첨가제는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드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 -aminopropyltrimethoxysilane), 머캡토프로필트리에톡실란(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비닐드리에독실란(Vinyltriethoxysilane) 등이 있다.
종래의 베어링 씰용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30∼60 중량부, 첨가제 1∼15 중량부, 가황제 0.5∼3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3∼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부타디엔 100 중량부당 아크릴로니트릴가 15∼60 중량부 범위로 포함된다.
도 4에서 가로 축은 온도(℃), 세로 축은 탄성계수(E)의 로그값으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 함량비에 따라 성질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A는 부타디엔 82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이 18 중량%가 포함된 것으로 고무의 유리화 온도가 대략 -40℃로 내한성은 향상되나 내열성과 내마모성 등의 성능은 저하된다. A와 같은 성질을 갖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67중량% 초과 85중량% 이하 범위인 부타디엔에 아크릴로니트릴이 15중량% 이상 33중량% 미만 범위로 포함되어 형성된다.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일 때는 접착성이 나빠지고 배합 작업성 또한 나빠진다. 또한 고무로서의 성질이 상실된다.
B는 부타디엔 부타디엔 52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이 48중량%가 포함된 것으로 내열성과 내마모성 등의 성능은 향상되나 내한성과 작업성은 저하된다. B와 같은 성질을 갖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40중량% 이상 69중량% 이하 범위인 부타디엔에 아크릴로니트릴이 33중량% 이상 60중량% 이하 범위로 포함되어 형성된다.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60중량% 초과시에는 작업성이 극도로 나빠진다.
상기 A와 같은 성질을 지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 방지제와 같은 별도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제조된다. 상기 B와 같은 성질을 지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내한성을 향상시키기위해 가소제와 같은 별도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제조된다.
종래의 베어링 씰용 고무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의 함량에 따라 고무의 성질이 달라지게 되며, A와 같이 내한성이 향상된 경우 내한성은 좋아지나 내열성과 내마모성은 저하되고, B와 같이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된 경우 내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4637호(2014.05.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3871호(2015.01.1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다른 두 종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혼합하여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내한성과 내열성이 모두 향상된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베어링 씰용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과 부타디엔(Butadiene)으로 이루어진 제1 폴리머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2 폴리머와;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혼합된 배합물에 첨가물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의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 사이의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 차이는 5∼25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범위이며, 상기 제2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3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첨가물은 무기필러와, 첨가제와, 가황제와, 가황촉진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어링 씰용 고무 제조 방법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1 폴리머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2 폴리머가 준비되는 폴리머 준비단계와;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혼합되어 배합물을 형성하는 제1 혼합단계와;
상기 배합물에 첨가물을 첨가하는 첨가물 투입단계와;
상기 배합물과 첨가물을 혼합하는 제2 혼합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의 아크릴로 니트릴의 함량 차이는 5∼25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범위이며, 상기 제2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3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배합물에서 상기 제1 폴리머는 30∼70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첨가물은 무기필러와, 첨가제와, 가황제와, 가황촉진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은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다른 두 종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혼합함으로써, 내한성과 내열성이 향상되어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베어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베어링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베어링 씰용 고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베어링 씰용 고무의 재료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의 유리화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은 배합물 준비단계(ST-110)와, 제1 혼합단계(ST-130)와, 첨가물 투입단계(ST-150)와, 제2 혼합단계(ST-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합물 준비단계(ST-110)는 제1 폴리머 준비단계(ST-111)와, 제2 폴리머 준비단계(ST-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고무에 아크리로니트릴(Acrylonitrile,ACN)이 15∼60 중량%의 범위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일 때는 배합 작업성이 저하되고, 60중량% 초과시에는 작업성이 극도로 나빠진다.
상기 제1 폴리머 준비단계(ST-111)에서는 70∼85중량% 범위인 부타디엔과 15∼30중량%의 범위인 아크릴로니트릴이 혼합되어 제1 폴리머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부타디엔이 70중량%라면 아크릴로 니트릴은 30중량%이고, 부타디엔이 85중량%라면 아크릴로 니트릴은 15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75∼85중량% 범위인 부타디엔과 15∼25중량%의 범위인 아크릴로니트릴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폴리머 준비단계(ST-113)에서는 40∼70중량% 범위인 부타디엔과 30∼60중량% 범위인 아크릴로니트릴이 혼합되어 제2 폴리머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부타디엔이 40중량%라면 아크릴로 니트릴은 60중량%이고, 부타디엔이 50중량%라면 아크릴로 니트릴은 50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60∼70중량% 범위인 부타디엔과 30∼40중량%의 범위인 아크릴로니트릴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폴리머 및 제2 폴리머는 시판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에서 대표적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케미검(Chemigum) TM N206(무니 점도 55-70 및 ACN 46.2%), 케미검 TM N300(무니 점도 50-63 및 ACN 40%), 케미검 TM N318(무니 점도 68-82 및 ACN 40%), 케미검 TM N328(무니 점도 65-80 및 ACN 41.5%), 케미검TM N386B(무니 점도 55-65 및 ACN 40.5%), 케미검 TM N608(무니 점도 63-75 및 ACN 33.4%), 케미검 TM N612B(무니 점도 20-30 및 ACN 33.4%), 케미검 TM N615B(무니 점도 47-60 및 ACN 33.4%), 케미검 TM N624B(무니 점도 38-50 및 ACN 32.9%), 케미검 TM N628B(무니 점도 68-85 및 ACN 33.4%), 케미검 TM N683B(무니 점도 25-35 및 ACN 33.4%), 케미검 TM N685B(무니 점도 45-55 및 ACN 33.4%), 케미검 TM N687B(무니 점도 65-75 및 ACN 33.4%), 케미검 TM N689B(무니 점도 79-91 및 ACN 33.4%), 케미검 TM N715(무니 점도 45-63 및 ACN 29.3%), 케미검 TM N785B(무니 점도 45-55 및 ACN 27.7%), 케미검 TM N917B(무니 점도 55-70 및 ACN 22.8%), 케미검 TM N926(무니 점도 55-70 및 ACN 15.9%), 및 케미검 TM N984B(무니 점도 35-45 및 ACN 20.0%)과 같은 케미검 TM계열로 시판되는 제품을 들 수 있으며 (주)금호석유화학에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 사이의 혼합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의 차이는 5∼25중량% 범위로 차이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혼합단계(ST-130)에서는 상기 배합물 준비단계(ST-110)에서 제조된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혼합되어 배합물이 형성된다. 상기 배합물은 제1 폴리머에 제2 폴리머가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제2 폴리머에 제2 폴리머가 첨가되어 혼합된다. 상기 배합물은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물리적으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합물의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의 배합 비율은 30∼70중량%:70∼30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합물은 제1 폴리머 30∼70중량% 범위와 제2 폴리머 70∼30중량% 범위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폴리머는 50중량% 초과 60중량% 이하 범위로 혼합되고, 제2 폴리머는 40중량% 이상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폴리머 60중량% 초과 범위와 제2 폴리머 40중량% 미만 범위로 배합되어 제조된 고무는 내열성이 급격히 감소되고 고무의 물성(예;연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윤활유(그리스) 접촉에 대한 내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폴리머 50중량% 이하 범위와 제2 폴리머 50중량% 이상 범위로 배합되어 제조된 고무는 내한성이 저하되어 내한성 향상을 위한 전용 가소제가 투입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고무의 물성(예;연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제1 폴리머는 50중량% 초과 60중량% 이하 범위로 혼합되고, 제2 폴리머는 40중량% 이상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혼합되므로써 제조된 고무는 내한성이 향상되는 한편 내열성 및 내마모성도 유지되고, 이에 더하여 내유성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첨가물 투입단계(ST-150)에서는 상기 제1 혼합단계(ST-130)에서 형성된 배합물에 첨가물이 투입된다. 상기 첨가물은 종래와 같이 무기필러와, 첨가제와, 가황제와, 가황촉진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첨가제로는 종래와 같은 가소제, 가공조제, 산화방지제 등이 사용된다. 상기 첨가제는 종래 발명에 기재되어있으며 본 발명에 대한 특징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에서 다루지 않겠다.
상기 제2 혼합단계(ST-170)에서는 배합물과 상기 첨가물 투입단계(ST-150)에서 투입된 첨가물이 혼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가 제조된다.
상기 제2 혼합단계(ST-170)를 거쳐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를 이용하여 베어링에 사용되는 씰(15)이 성형된다(ST-190;성형단계). 상기 씰은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되므로 상세한 설명에서 다루지 않겠다.
실험을 통해 확인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에 대하여, 제1 폴리머는 부타디엔 82중량%에 아크릴로니트릴이 18중량%가 포함되어 형성되고,제2 폴리머는 부타디엔 61중량%에 아크릴로니트릴이 39중량%가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혼합되어 배합물이 형성된다. 상기 배합물은 제1 폴리머 55중량%와 제2 폴리머 35중량%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필러 30∼60 중량부, 첨가제 1∼15 중량부, 가황제 0.5∼3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3∼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실험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내한성과 내열성 및 내마모성 등이 향상되고, 고무의 유리화 온도가 -45℃로 더 낮아져 종래보다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이용 가능한 효과가 발생되며, 내유성 실험에서 다양한 그리스(예; 리튬-에스테르계 그리스 등)에 대하여 내유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어링
11 : 내륜 12 : 외륜
13 : 전동체 14 : 리테이너
15 : 씰

Claims (8)

  1.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과 부타디엔(Butadiene)으로 이루어진 제1 폴리머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2 폴리머와;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혼합된 배합물에 첨가물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의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 사이의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 차이는 5∼25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범위이며, 상기 제2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3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무기필러와, 첨가제와, 가황제와, 가황촉진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5.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1 폴리머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제2 폴리머가 준비되는 폴리머 준비단계(ST-110)와;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혼합되어 배합물을 형성하는 제1 혼합단계(ST-130)와;
    상기 배합물에 첨가물을 첨가하는 첨가물 투입단계(ST-150)와;
    상기 배합물과 첨가물을 혼합하는 제2 혼합단계(ST-1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의 아크릴로 니트릴의 함량 차이는 5∼25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제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범위이며, 상기 제2 폴리머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3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제조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에서 상기 제1 폴리머는 30∼70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제조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무기필러와, 첨가제와, 가황제와, 가황촉진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씰용 고무 제조 방법.
KR1020160062837A 2015-05-21 2016-05-23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19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742 2015-05-21
KR20150070742 2015-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894A true KR20160137894A (ko) 2016-12-01
KR102619276B1 KR102619276B1 (ko) 2024-01-02

Family

ID=5757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837A KR102619276B1 (ko) 2015-05-21 2016-05-23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256A (ko) 2017-06-20 2018-12-31 셰플러코리아(유) 내마모성이 우수한 베어링 씰용 고무
RU2677145C1 (ru) * 2018-04-24 2019-01-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Чуваш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Н. Ульянова" Резиновая смесь
KR20190022995A (ko) 2017-08-25 2019-03-07 주식회사유니온 베어링용 씰 제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1085A (ja) * 2012-03-01 2013-09-12 Nsk Ltd 転がり軸受用シール及びゴム組成物
KR101394637B1 (ko) 2012-05-31 2014-05-12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 씰의 고무조성물
KR101483871B1 (ko) 2012-07-11 2015-01-16 셰플러코리아(유) 틸팅 인센서티브 씰 베어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1085A (ja) * 2012-03-01 2013-09-12 Nsk Ltd 転がり軸受用シール及びゴム組成物
KR101394637B1 (ko) 2012-05-31 2014-05-12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 씰의 고무조성물
KR101483871B1 (ko) 2012-07-11 2015-01-16 셰플러코리아(유) 틸팅 인센서티브 씰 베어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256A (ko) 2017-06-20 2018-12-31 셰플러코리아(유) 내마모성이 우수한 베어링 씰용 고무
KR20190022995A (ko) 2017-08-25 2019-03-07 주식회사유니온 베어링용 씰 제조 시스템
RU2677145C1 (ru) * 2018-04-24 2019-01-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Чуваш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Н. Ульянова" Резиновая смес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276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7894A (ko) 베어링 씰용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22262B1 (ko) 워터 펌프용 립 시일
JP2008208267A (ja) 自動車用非水系ホース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非水系ホース
JP2006200616A (ja) 軸受用密封装置および耐寒性密封装置付き転がり軸受
JP2008105626A (ja) 車輪支持用複列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03314700A (ja) シール
JP2008001810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ム製品
JP5998475B2 (ja) ゴム材料組成物及び転動装置用シール部材
JP7447687B2 (ja) 密封部材
JP2013133902A (ja) ハブ軸受用シール装置
KR101394637B1 (ko)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 씰의 고무조성물
JP5761471B2 (ja) ニトリルゴム組成物
JP6237558B2 (ja) 自動車用エアーホース
JP2006083878A (ja) 車輪用転がり軸受
JP2011140976A (ja) 転がり支持装置用シール
JP2006300131A (ja) 鉄道車両用軸受装置
JP2013181085A (ja) 転がり軸受用シール及びゴム組成物
KR20110041291A (ko) 동력조향장치의 회전용 오일씰 조성물
KR102452724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베어링 씰용 고무
JP2012172778A (ja) 転動装置用シール装置及び転動装置
JP2010210035A (ja) 転がり支持装置用シール
JP2003269618A (ja) プラスチックシール
US20150038636A1 (en) Composition, elastomer body and coupling
KR101717627B1 (ko) 피스톤 씰용 고무 조성물
KR101953265B1 (ko) 베어링 씰용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