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366A - 차량용 등기구 유닛 및 회전 차광 부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유닛 및 회전 차광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366A
KR20160137366A KR1020160051658A KR20160051658A KR20160137366A KR 20160137366 A KR20160137366 A KR 20160137366A KR 1020160051658 A KR1020160051658 A KR 1020160051658A KR 20160051658 A KR20160051658 A KR 20160051658A KR 20160137366 A KR20160137366 A KR 20160137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dge portion
line
shield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416B1 (ko
Inventor
데루아키 야마모토
아키노리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6013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8Shaft-shaped screens rotating along its longitudin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38Actuating means for dimming masks or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21S48/125
    • F21S48/142
    • F21S48/17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4Steer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21W21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글레어 억제나 전방 시인성의 향상을 고려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유닛은, 차량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광학계와, 광원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할 수 있는 회전 차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 유닛으로서, 회전 차광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광원의 광의 차광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차광부를 갖는다. 차광부는,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상이한 복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차광 부재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의 변화가 비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 유닛 및 회전 차광 부재{VEHICLE LAMP UNIT AND ROTARY LIGHT SHIELDING MEMBER}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 유닛 및 회전 차광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로터리 쉐이드라고 칭해지는 부품을 구비한 등기구 유닛이 알려져 있다. 로터리 쉐이드로는, 회전축 방향에 관해 상이한 위치를 접속하도록 회전축 둘레에 연장되는 비틀림 단부면을 구비한 것이 고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비틀림 단부면은, 하이빔 패턴 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비조사 영역과의 경계로서 투영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로터리 쉐이드를 구비한 등기구 유닛은, 로터리 쉐이드의 회전에 따라, 투영에 제공되는 비틀림 단부면의 위치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기 때문에, 스위블 제어를 행하지 않고 비조사 영역과의 경계의 위치, 즉 비조사 영역의 위치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 국제 공개 제14/091919호 팜플렛
그런데, 로터리 쉐이드를 회전시켜 비조사 영역의 위치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경우, 조사 영역과 비조사 영역의 경계의 형상(컷오프 라인)이 크게 변화하면, 운전자의 시인성에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컷오프 라인의 형상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 전방의 차량이나 보행자에 대한 글레어 억제를 우선하면 비조사 영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전방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글레어 억제나 전방 시인성의 향상을 고려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의 차량용 등기구 유닛은, 차량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광학계와, 광원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할 수 있는 회전 차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 유닛으로서, 회전 차광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광원의 광의 차광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차광부를 갖는다. 차광부는,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상이한 복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차광 부재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의 변화가 비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회전 차광 부재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의한, 컷오프 라인의 이동이나 형상의 변화에 대한 드라이버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컷오프 라인은, 경사진 것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이어도 좋다.
차광부는, 복수의 배광 패턴으로서 제1 배광 패턴, 제2 배광 패턴 및 제3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차광 부재의 제1 회전 위치(R1)에 있어서 제1 배광 패턴의 제1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제1 가장자리부와, 회전 차광 부재를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더 회전시킨 제2 회전 위치(R2)(R1<R2)에 있어서 제2 배광 패턴의 제2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제2 가장자리부와, 회전 차광 부재를 제2 회전 위치(R2)로부터 더 회전시킨 제3 회전 위치(R3)(R2<R3)에 있어서 제3 배광 패턴의 제3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제3 가장자리부를 포함해도 좋다.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제2 회전 위치(R2)까지 회전시킬 때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1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 가장자리부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은, 제2 회전 위치(R2)로부터 제3 회전 위치(R3)까지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2 가장자리부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과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컷오프 라인의 형상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차광부는, 제2 배광 패턴에 의한 조사 면적이, 제1 배광 패턴에 의한 조사 면적보다 넓고, 또한 제3 배광 패턴에 의한 조사 면적보다 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비율 ΔH/ΔR < 비율 ΔH'/ΔR'을 만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예컨대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할 때에, 제3 배광 패턴의 제3 컷오프 라인에 대응하는 제3 가장자리부가 투영됨으로써 제2 컷오프 라인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차광부는,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제3 회전 위치(R3)까지 회전시킬 때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1 가장자리부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이 일정해지는 나선형의 면을 가상면(α)으로 하면, 제1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 가장자리부까지의 제1 차광면(P1)과 가상면(α)이 이루는 각 θ1은, 제2 가장자리부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까지의 제2 차광면(P2)과 가상면(α)이 이루는 각 θ2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계는 투영 렌즈를 포함해도 좋다. 회전 차광 부재는, 투영 렌즈의 초점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차광부는, 제2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고 굴곡된 차광면이며, 제2 가장자리부가 제2 회전 위치(R2)에 있어서 투영됨으로써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제2 컷오프 라인의 하단이, 광축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에서 ±XH°[단, XH는 상기 제2 컷오프 라인의 하단과 H-H선(수평선)의 각도차 XV 이하이다]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광축 근방의 제2 컷오프 라인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회전 차광 부재이다. 이 회전 차광 부재는, 차량용 등기구 유닛에서의 광원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할 수 있는 회전 차광 부재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광원의 광의 차광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차광부를 갖는다. 차광부는,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상이한 복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차광 부재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의 변화가 비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회전 차광 부재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의한 컷오프 라인의 이동에 대한 드라이버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부품, 제어 방법,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레어 억제나 전방 시인성의 향상을 고려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조등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우측 등기구 유닛을 구성하는 일부의 요소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와는 상이한 회전 위치에서의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회전 위치(R1)에 있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제2 접속부 근방을, 차량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의 (b)는 회전 위치(R2)에 있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제2 접속부 근방을, 차량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6의 (c)는 회전 위치(R3)에 있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제2 접속부 근방을, 차량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의 (d)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e)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f)는 도 6의 (c)에 나타내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PH3)의 경사 컷오프 라인의 형상이,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서서히 변화되어 버리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의 (a)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제2 접속부의 원통부 외주면을 평면형으로 전개한 모식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원통부 외주면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차광부의 회전 위치(R)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에서의 경사 컷오프 라인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광축과 컷오프 라인의 하단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 처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하게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형태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이며, 실시형태에 기술되는 모든 특징이나 그 조합은, 꼭 발명의 본질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좌측」 및「우측」은, 운전석에서 본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조등 장치(12)가 탑재된 차량(10)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조등 장치(12)는 통합 제어부(14), 차륜속 센서(16), 조타각 센서(17) 및 카메라(18)와 함께 전조등 제어 시스템(11)을 구성하고 있다.
통합 제어부(14)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데이터 저장이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워크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 등을 구비하고, 차량(10)에서의 여러가지 제어를 실행한다.
차륜속 센서(16)는, 차량(10)에 조립되는 좌우의 전륜 및 후륜의 4개의 차륜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차륜속 센서(16)의 각각은 통합 제어부(14)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차륜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를 통합 제어부(14)에 출력한다. 통합 제어부(14)는, 차륜속 센서(1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속도를 산출한다.
조타각 센서(17)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통합 제어부(14)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조타각 센서(17)는, 운전수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조타 회전각에 대응한 신호를 통합 제어부(14)에 출력한다. 통합 제어부(14)는, 조타각 센서(17)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진행 방향을 산출한다.
카메라(18)는, 예컨대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차량 전방을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카메라(18)는 통합 제어부(14)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통합 제어부(14)에 출력된다.
전조등 장치(12)는, 차량(10)의 전방부 우측 근처에 배치되는 우측 전조등 유닛(22R), 및 차량(10)의 전방부 좌측 근처에 배치되는 좌측 전조등 유닛(22L)을 구비하고 있다. 우측 전조등 유닛(22R)에 있어서는, 램프 보디(23R)에 투광 커버(24R)가 장착되어 등실(25R)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우측 등기구 유닛(30R)은, 광원(31), 히트 싱크(32), 리플렉터(33), 투영 렌즈(34), 우측 로터리 쉐이드(36), 구동 기구(37) 및 지지부(38)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31)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LED)나 유기 EL 소자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이다. 광원(31)은 히트 싱크(3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히트 싱크(32)는, 광원(31)으로부터 나오는 열을 발산시키는 데 적합한 재질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리플렉터(33)에 의해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한다. 그 광의 적어도 일부는, 리플렉터(33)의 전방에 배치된 투영 렌즈(34)를 통과한다.
리플렉터(33)는,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A1)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타원 구면을 기조(基調)로 하는 반사면을 갖고 있다. 광원(31)은, 반사면의 수직 단면을 구성하는 타원의 제1 초점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그 타원의 제2 초점에 수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영 렌즈(34)는 수지제이며, 전방측 표면이 볼록면이고 후방측 표면이 평면인 평볼록 비구면 렌즈이다. 투영 렌즈(34)는, 후방 초점(F)이 리플렉터(33)의 반사면의 제2 초점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후방 초점(F) 상의 이미지를 차량(10)의 전방에 반전 이미지로서 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우측 등기구 유닛(30R)을 구성하는 일부의 요소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투영 렌즈(3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회전축(A2)을 갖고 있고, 그 회전축(A2)이, 투영 렌즈(34)의 후방 초점(F)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기구(37)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축방향 좌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기구(37)는, 모터와 기어 기구를 갖고 있고,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회전축(A2) 둘레에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차량(10)의 통합 제어부(14)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모터 및 기어 기구가 구동되고,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그 신호에 따른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3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축방향 우측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등기구 유닛(30R)은, 차량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광학계와, 광원(31)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할 수 있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의 (a)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와는 상이한 회전 위치에서의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37)에 의한 구동에 기초하는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의 단부 가장자리가, 투영 렌즈(34)의 후방 초점(F)에 배치되는 둘레면 및 단부면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리플렉터(33)에 의해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한다. 그 광의 일부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에 의해 차단된다. 이때 투영 렌즈(34)의 후방 초점(F)에 배치되어 있는 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차량(10)의 전방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투영된다.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좌측 원통부(36a), 우측 원통부(36b), 제1 접속부(36c), 제2 접속부(36d), 제3 접속부(36e) 및 제4 접속부(36f)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 원통부(36a)는, 회전축(A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좌측 원통부(36a)에는, 회전축(A2)과 동축의 축구멍(36a1)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36a1)은 구동 기구(37)와 결합된다. 우측 원통부(36b)는, 회전축(A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접속부(36c)는, 우측 원통부(36b)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운전석에서 볼 때 우측 원통부(36b)의 좌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제1 접속부(36c)는, 회전축(A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 반원이 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접속부(36d)는, 운전석에서 볼 때 제1 접속부(36c)의 좌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원통부(36d1), 제1 나선면(36d2) 및 제2 나선면(36d3)을 갖고 있다. 원통부(36d1)는, 회전축(A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회전축(A2)을 동심으로 하는 동심 반원이 되는 형상을 기조로 하고, 그 일부가 제1 나선면(36d2) 및 제2 나선면(36d3)에 의해 노치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3 접속부(36e)는, 제1 접속부(36c)와 제2 접속부(36d)의 원통부(36d1)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들을 접속하는 부분이다. 즉 제3 접속부(36e)는, 제1 접속부(36c)에 의해 형성되는 반원통형의 둘레면과 제2 접속부(36d)의 원통부(36d1)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면을 접속하도록, 회전축(A2) 둘레에 연장되고, 또한 회전축(A2)의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면이다.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속부(36d)와 제3 접속부(36e)의 경계선은, 투영 렌즈(34)의 후방 초점(F) 또는 근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제4 접속부(36f)는, 좌측 원통부(36a)와 제2 접속부(36d)의 제2 나선면(36d3)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들을 접속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전방 차량에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근거리 전방을 조명하는 로우빔 패턴이나, 원방까지 전방의 광범위를 조명하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하이빔 조사 상태에 있어서 전방에 검출된 차량이나 보행자의 존재하는 영역만을 비조명 영역으로 함으로써, 글레어 억제와 전방 시인성의 확보를 양립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그 배광 패턴을 「부분적 하이빔 패턴」이라 한다.
또, 로터리 쉐이드를 이용하여 로우빔 패턴이나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부분적 하이빔 패턴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차광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차량용 등기구 유닛에서의 광원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할 수 있는 회전 차광 부재이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차광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차광부[제2 접속부(36d)]를 갖는다.
제2 접속부(36d)는,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상이한 복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의 변화가 비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의 (a)는, 회전 위치(R1)에 있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제2 접속부(36d) 근방을, 차량(10)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의 (b)는, 회전 위치(R2)에 있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제2 접속부(36d) 근방을, 차량(10)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6의 (c)는, 회전 위치(R3)에 있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제2 접속부(36d) 근방을, 차량(10)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의 (d)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e)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f)는, 도 6의 (c)에 나타내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차광부로서 기능하는 제2 접속부(36d)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제1 회전 위치(R1)에 있어서, 도 6의 (d)에 나타내는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되는 제1 가장자리부(36d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가장자리부(36d4)는, 원통형의 제2 접속부(36d)의 회전축(A2) 방향의 단부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장자리부(36d4)는, 제2 나선면(36d3)의 직경 방향의 한변을 구성하는 직선형의 것이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상단부에는, 제3 접속부(36e)의 외주부, 제2 접속부(36d)의 원통부(36d1)의 외주부, 비스듬히 형성된 제1 가장자리부(36d4), 제4 접속부(36f)의 상면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도 6의 (d)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은, 제3 접속부(36e)의 외주부, 원통부(36d1) 및 제1 가장자리부(36d4)가, 차량(10)의 전방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에 투영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배광 패턴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에 해당하고, 우측 로우빔 패턴보다 조명 면적이 넓고, 우측 하이빔 패턴보다 조명 면적이 좁다.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은, 수평 컷오프 라인(61) 및 경사 컷오프 라인(64)을 갖고 있다.
수평 컷오프 라인(61)은, 제3 접속부(36e) 및 원통부(36d1)의 상측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어 수평선 H-H의 약간 하측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 및 대향차선측 컷오프 라인으로서 이용된다.
경사 컷오프 라인(64)은, 제2 나선면(36d3)의 제1 가장자리부(36d4)에 의해 형성되고,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우단으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에서 볼 때 제1 가장자리부(36d4)의 좌측에는, 광이 통과 가능한 공간(36k)이 형성되어 있다. 그 공간(36k)을 통과한 광은,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우측의 영역을 조명한다.
즉, 도 6의 (a)에 나타내는 회전 위치(R1)까지 구동 기구(37)가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회전시켰을 때, 제3 접속부(36e) 및 원통부(36d1)의 상측 가장자리가, 수평 컷오프 라인(61)으로서 투영 렌즈(34)의 전방에 투영된다. 또한 제2 나선면(36d3)의 일부인 제1 가장자리부(36d4)가,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 렌즈(34)의 전방에 투영된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상측 및 공간(36k)을 통과하는 광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으로서,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하측, 및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상측의 영역 중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우측을 조명한다.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회전 위치(R1)의 상태로부터 차량(10)의 후방을 향해서 회전 위치(R2)까지 더 회전시킨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차량(10)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상단부에는, 제3 접속부(36e)의 외주부, 제2 접속부(36d)의 원통부(36d1)의 외주부, 비스듬히 형성된 제2 가장자리부(36d5)가 나타나 있다.
도 6의 (e)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은, 제3 접속부(36e)의 외주부, 원통부(36d1) 및 제2 가장자리부(36d5)가, 차량(10)의 전방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에 투영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배광 패턴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에 해당하며,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이나 우측 로우빔 패턴보다 조명 면적이 넓고, 우측 하이빔 패턴보다 조명 면적이 좁다.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은, 수평 컷오프 라인(61) 및 경사 컷오프 라인(64)을 갖고 있다.
수평 컷오프 라인(61)은, 제3 접속부(36e) 및 원통부(36d1)의 상측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어 수평선 H-H의 약간 하측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으로서 이용된다.
경사 컷오프 라인(64)은, 제1 나선면(36d2)과 제2 나선면(36d3)의 경계에 있는 제2 가장자리부(36d5)에 의해 형성되고,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우단의 V-V선 근방으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에서 볼 때 제2 가장자리부(36d5)의 좌측에는, 광이 통과 가능한 공간(36k)이 형성되어 있다. 그 공간(36k)을 통과한 광은, 도 6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우측의 영역을 조명한다.
즉, 도 6의 (b)에 나타내는 회전 위치(R2)(R2>R1)까지 구동 기구(37)가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회전시켰을 때, 제3 접속부(36e) 및 원통부(36d1)의 상측 가장자리가, 수평 컷오프 라인(61)으로서 투영 렌즈(34)의 전방에 투영된다. 또한, 제2 가장자리부(36d5)가,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 렌즈(34)의 전방에 투영된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상측 및 공간(36k)을 통과하는 광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으로서,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하측, 및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상측의 영역 중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우측을 조명한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가 도 6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6의 (b)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회전되는 것에 따라,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되는 제2 나선면(36d3)의 일부는, 제1 가장자리부(36d4)로부터 제2 가장자리부(36d5)로 이행하여, 서서히 제3 접속부(36e)에 근접해 간다. 이에 따라 광이 통과 가능한 공간(36k)은 서서히 넓어져 간다. 따라서, 경사 컷오프 라인(64)은 서서히 좌측으로 이동하고, 그 우측의 조명 영역의 면적이 커진다. 이에 따라 수평 컷오프 라인(61)은 서서히 짧아진다.
도 6의 (c)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회전 위치(R2)의 상태로부터 차량(10)의 후방을 향해서 회전 위치(R3)까지 더 회전시킨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차량(10)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상단부에는, 제3 접속부(36e)의 외주부, 제2 접속부(36d)의 원통부(36d1)의 외주부, 비스듬히 형성된 제3 가장자리부(36d6)가 나타나 있다.
도 6의 (f)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은, 제3 접속부(36e)의 외주부, 원통부(36d1) 및 제3 가장자리부(36d6)가, 차량(10)의 전방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에 투영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배광 패턴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에 해당하고,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 및 우측 로우빔 패턴보다 조명 면적이 넓고, 우측 하이빔 패턴보다 조명 면적이 좁다.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은, 수평 컷오프 라인(61) 및 경사 컷오프 라인(64)을 갖고 있다.
수평 컷오프 라인(61)은, 제3 접속부(36e) 및 원통부(36d1)의 상측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어 수평선 H-H의 약간 하측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으로서 이용된다.
경사 컷오프 라인(64)은, 제1 나선면(36d2)의 일부인 제3 가장자리부(36d6)에 의해 형성되고,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우단으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에서 볼 때 제3 가장자리부(36d6)의 좌측에는, 광이 통과 가능한 공간(36k)이 형성되어 있다. 그 공간(36k)을 통과한 광은, 도 6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우측의 영역을 조명한다.
즉, 도 6의 (c)에 나타내는 회전 위치(R3)(R3>R2)까지 구동 기구(37)가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회전시켰을 때, 제3 접속부(36e) 및 원통부(36d1)의 상측 가장자리가, 수평 컷오프 라인(61)으로서 투영 렌즈(34)의 전방에 투영된다. 또한, 제3 가장자리부(36d6)가,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 렌즈(34)의 전방에 투영된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상측 및 공간(36k)을 통과하는 광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으로서,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하측 및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상측의 영역 중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우측을 조명한다.
우측 로터리 쉐이드(36)가 도 6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6의 (c)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회전되는 것에 따라,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되는 제1 나선면(36d2)의 일부는, 제2 가장자리부(36d5)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36d6)로 이행하여, 서서히 제3 접속부(36e)에 근접해 간다. 이에 따라 광이 통과 가능한 공간(36k)은 서서히 넓어져 간다. 따라서, 경사 컷오프 라인(64)은 서서히 좌측으로 이동하고, 그 우측의 조명 영역의 면적이 커진다. 이에 따라 수평 컷오프 라인(61)은 서서히 짧아진다.
전술한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PH3)은 모두,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형상(수평선 H-H와 이루는 각도)의 변화가 별로 없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비선형으로 변화하는 나선형의 단부면을 갖는 제2 접속부(36d)의 구성이 가져오는 효과의 하나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접속부(36d)의 구성을 고안하지 않는 경우, 이하의 이유에 의해,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PH3)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형상이 서서히 변화되어 버린다.
도 7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PH3)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형상이, 우측 로터리 쉐이드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서서히 변화되어 버리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되어 리플렉터(33)에 의해 반사된 광은, 리플렉터(33)의 초점을 통과하여 투영 렌즈(34)로 향할 뿐만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부터 투영 렌즈(34)로 향하여 진행한다. 이때, 특히 투영 렌즈(34)에 대한 입사광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이, 리플렉터(33)의 초점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투영 렌즈(34)에 입사하는 광(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광선 L1, L2)이다. 구체적으로는, 투영 렌즈(34)의 후방 초점(F)의 후방으로부터 광축(A1)을 향해 공간(39k)을 통과하는 광이다.
여기서, 도 7에서의 차광부의 일부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9)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39b)의 위치의 변화가 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나선면(39a)이다. 그리고, 리플렉터(33)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는, 나선면(39a)의 가장자리부(39b)나 원통부(39c)에 의해 차단되고(도 7에 나타내는 광선 L3), 다른 일부(도 7에 나타내는 광선 L4)는 통과함으로써, 경사 컷오프 라인(64)을 형성한다.
한편, 나선면(39a)의 가장자리부(39b)에서 차광되지 않고, 공간(39k)에 도달한 광의 일부(도 7에 나타내는 광선 L5)는 나선면(39a)에 의해 차단된다. 그 결과, 예컨대 도 6의 (d)에 나타내는 경사 컷오프 라인(64')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경사 컷오프 라인(64)은, 제1 가장자리부(36d4)가 전방에 투영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나선면(39a)에 의해 광이 차단됨으로써,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근방의 조도는 낮아지고, 나선면(39a)의 일부의 가장자리부의 윤곽이 투영된 것에 대응하는 경사 컷오프 라인(64')이 형성된다. 특히 투영 렌즈(34)에 대한 입사광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광선 L5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이 나선면(39a)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비조명 영역과의 경계 근방의 조도가 크게 저하되고, 그 경계가 불명료해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에 의하면,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의 변화가 비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부 근방을 통과하지만 나선면에서 차단되어 버리는 광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래의 의도대로 제1 가장자리부(36d4)를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전방에 투영시킬 수 있다.
또, 동일한 현상은, 도 6의 (e)에 나타내는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에서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이나, 도 6의 (f)에 나타내는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에서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생길 수 있다. 특히, 도 7의 우측 로터리 쉐이드(39)가 회전함으로써 차광부가 차량의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공간(39k)의 폭이 넓어지면, 공간(39k)에 도달하는 광 중 광축(A1)에 대하여 큰 각도를 가진 광이 증가한다.
광축(A1)에 대하여 큰 각도를 가진 광은, 나선면(39a)에서 차단될 가능성이 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도 6의 (e)에 나타내는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에서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이나, 도 6의 (f)에 나타내는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에서의 경사 컷오프 라인(64')과 같이,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근방의 조도가 낮아지는 영역이 증대하고,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수평 방향 H-H와 이루는 각도 서서히 작아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도 6의 (d)~(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수평 방향 H-H와 이루는 각에 큰 변화는 없다. 그 때문에,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의한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이동이나 형상의 변화에 대한 드라이버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차광부의 구성에 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의 (a)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제2 접속부(36d)의 원통부(36d1) 외주면을 평면형으로 전개한 모식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원통부(36d1) 외주면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차광부의 회전 위치(R)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에서의 경사 컷오프 라인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차광부로서의 제2 접속부(36d)의 원통부(36d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광 패턴으로서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 및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36d1)는, 우측 로터리 쉐이드(36)의 제1 회전 위치(R1)에 있어서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되는 제1 가장자리부(36d4)와,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더 회전시킨 제2 회전 위치(R2)(R1<R2)에 있어서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되는 제2 가장자리부(36d5)와,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를 제2 회전 위치(R2)로부터 더 회전시킨 제3 회전 위치(R3)(R2<R3)에 있어서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으로서 투영되는 제3 가장자리부(36d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제2 회전 위치(R2)까지 회전시킬 때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1 가장자리부(36d4)로부터 제2 가장자리부(36d5)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은, 제2 회전 위치(R2)로부터 제3 회전 위치(R3)까지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2 가장자리부(36d5)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36d6)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과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광부로서 기능하는 원통부(36d1)는,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에 의한 조사 면적이,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1)에 의한 조사 면적보다 넓고, 또한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에 의한 조사 면적보다 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광부는, 도 9의 라인 S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율 ΔH/ΔR<비율 ΔH'/ΔR'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을 형성할 때에,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3)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에 대응하는 제3 가장자리부(36d6)가 투영됨으로써,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9의 라인 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제2 회전 위치(R2)까지 회전시킬 때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1 가장자리부(36d4)로부터 제2 가장자리부(36d5)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이, 제2 회전 위치(R2)로부터 제3 회전 위치(R3)까지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2 가장자리부(36d5)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36d6)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보다 커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차광부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차광량은 증가하지만, 나선면에서 차단되는 광이 감소하기 때문에, 경사 컷오프 라인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지고(형상 변화가 감소하고), 드라이버에 주는 위화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36d1)는,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제3 회전 위치(R3)까지 회전시킬 때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제1 가장자리부(36d4)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36d6)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이 일정해지는 나선형의 면을 가상면(α)으로 하면, 제1 가장자리부(36d4)로부터 제2 가장자리부(36d5)까지의 제1 차광면(P1)[제2 나선면(36d3)]과 가상면(α)이 이루는 각 θ1은, 제2 가장자리부(36d5)로부터 제3 가장자리부(36d6)까지의 제2 차광면(P2)[제1 나선면(36d2)]과 가상면(α)이 이루는 각 θ2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PH2, PH3)에 있어서,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발생을 억제하여, 원하는 경사 컷오프 라인(64)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도 10은 광축과 컷오프 라인의 하단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계는 투영 렌즈(34)를 포함하고 있고, 우측 로터리 쉐이드(36)는 투영 렌즈(34)의 초점(F)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36d1)의 차광부는, 제2 가장자리부(36d5)를 사이에 두고 굴곡된 차광면[제1 나선면(36d2) 및 제2 나선면(36d3)]이고, 제2 가장자리부(36d5)가 제2 회전 위치(R2)에 있어서 투영됨으로써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경사 컷오프 라인(64)의 하단이, 광축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에서 ±XH°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광축 근방의 경사 컷오프 라인(64)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XH는, H-H선과 수평 컷오프 라인(61)의 각도의 차 XV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XV는 예컨대 0.57°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XH는 0.57 이하인 것이 좋다.
또, 전술한 설명은, 좌우를 적절히 바꾸는 것에 의해, 좌측 등기구 유닛(30L)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광부의 나선형의 차광면은,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나선면일 필요는 없고, 본원발명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경사면이나 곡면, 굴곡면이어도 좋다. 또한, 연속한 면일 필요도 없고, 단차나 불연속한 영역이 존재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전술한 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한 것이나 치환한 것에 관해서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실시형태에서의 조합이나 처리의 순서를 적절하게 바꾸는 것이나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실시형태에 대하여 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형이 가해진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10 : 차량 11 : 전조등 제어 시스템
12 : 전조등 장치 22L : 좌측 전조등 유닛
22R : 우측 전조등 유닛 30L : 좌측 등기구 유닛
30R : 우측 등기구 유닛 31 : 광원
33 : 리플렉터 34 : 투영 렌즈
36 : 우측 로터리 쉐이드 36d1 : 원통부
36d2 : 제1 나선면 36d3 : 제2 나선면
36d4 : 제1 가장자리부 36d : 제2 접속부
36d5 : 제2 가장자리부 36d6 : 제3 가장자리부
36e : 제3 접속부 36f : 제4 접속부
36k : 공간 37 : 구동 기구
61 : 수평 컷오프 라인 64 : 경사 컷오프 라인
A1 : 광축 A2 : 회전축
P1 : 제1 차광면 P2 : 제2 차광면
PH1, PH2, PH3 : 부분적 우측 하이빔 패턴 R1 : 제1 회전 위치
R2 : 제2 회전 위치 R3 : 제3 회전 위치.

Claims (6)

  1. 차량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광학계와,
    광원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할 수 있는 회전 차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 유닛으로서,
    상기 회전 차광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광원의 광의 차광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차광부를 가지며,
    상기 차광부는,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상이한 복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차광 부재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상기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의 변화가 비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복수의 배광 패턴으로서 제1 배광 패턴, 제2 배광 패턴 및 제3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차광 부재의 제1 회전 위치(R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의 제1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제1 가장자리부와,
    회전 차광 부재를 상기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더 회전시킨 제2 회전 위치(R2)(R1<R2)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광 패턴의 제2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제2 가장자리부와,
    회전 차광 부재를 상기 제2 회전 위치(R2)로부터 더 회전시킨 제3 회전 위치(R3)(R2<R3)에 있어서 상기 제3 배광 패턴의 제3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제3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상기 제2 회전 위치(R2)까지 회전시킬 때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상기 제1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제2 가장자리부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은, 상기 제2 회전 위치(R2)로부터 상기 제3 회전 위치(R3)까지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상기 제2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제3 가장자리부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과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2 배광 패턴에 의한 조사(照射) 면적이, 상기 제1 배광 패턴에 의한 조사 면적보다 넓고, 상기 제3 배광 패턴에 의한 조사 면적보다 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비율 ΔH/ΔR<상기 비율 ΔH'/ΔR'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유닛.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회전 위치(R1)로부터 상기 제3 회전 위치(R3)까지 회전시킬 때의 회전 변화량 ΔR"에 대한, 상기 제1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제3 가장자리부까지의 회전축 방향의 변화량 ΔH"의 비율 ΔH"/ΔR"이 일정해지는 나선형의 면을 가상면(α)으로 하면,
    상기 제1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제2 가장자리부까지의 제1 차광면(P1)과 가상면(α)이 이루는 각 θ1은, 상기 제2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제3 가장자리부까지의 제2 차광면(P2)과 가상면(α)이 이루는 각 θ2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유닛.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투영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차광 부재는 상기 투영 렌즈의 초점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2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고 굴곡된 차광면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2 회전 위치(R2)에 있어서 투영됨으로써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컷오프 라인의 하단이, 광축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에서 ±XH°[단, XH는 상기 제2 컷오프 라인의 하단과 H-H선(수평선)의 각도차 XV 이하이다]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유닛.
  6. 차량용 등기구 유닛에서의 광원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할 수 있는 회전 차광 부재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광원의 광의 차광량이 변화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차광부를 가지며,
    상기 차광부는,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상이한 복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차광 부재의 회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상기 컷오프 라인으로서 투영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의 변화가 비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차광 부재.
KR1020160051658A 2015-05-22 2016-04-27 차량용 등기구 유닛 및 회전 차광 부재 KR101789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4934A JP6539112B2 (ja) 2015-05-22 2015-05-22 車両用灯具ユニットおよび回転遮光部材
JPJP-P-2015-104934 2015-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366A true KR20160137366A (ko) 2016-11-30
KR101789416B1 KR101789416B1 (ko) 2017-10-23

Family

ID=5732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58A KR101789416B1 (ko) 2015-05-22 2016-04-27 차량용 등기구 유닛 및 회전 차광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24513B2 (ko)
JP (1) JP6539112B2 (ko)
KR (1) KR101789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40B1 (ko) * 2017-09-08 2022-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순차 점등 방향지시등 및 순차 점등방법
JP6898214B2 (ja) * 2017-12-08 2021-07-07 マクセル株式会社 ヘッドライト装置
JP7184539B2 (ja) * 2018-05-24 2022-12-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点灯制御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点灯制御方法
TWI742890B (zh) * 2020-10-23 2021-10-11 秀山交通器材股份有限公司 可調控式車燈組件
USD971462S1 (en) 2020-11-11 2022-11-29 Sonar Auto Parts Co., Ltd. Lighting unit for vehicle ligh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0191B2 (ja) * 2003-12-05 2009-11-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KR100913545B1 (ko) * 2007-10-26 2009-08-21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어셈블리
JP2009231020A (ja) * 2008-03-21 2009-10-0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JP5398443B2 (ja) * 2009-09-15 2014-0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CN104854395B (zh) 2012-12-13 2017-10-27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单元
JP2014191996A (ja) * 2013-03-27 2014-10-06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6076184B2 (ja) * 2013-04-15 2017-02-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41391A1 (en) 2016-11-24
KR101789416B1 (ko) 2017-10-23
JP6539112B2 (ja) 2019-07-03
JP2016219334A (ja) 2016-12-22
US10024513B2 (en)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416B1 (ko) 차량용 등기구 유닛 및 회전 차광 부재
US7168832B2 (en) Vehicle headlamp
JP6232225B2 (ja) 車両用灯具
JP4531665B2 (ja) 車両用前照灯
JP7155124B2 (ja) 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前照灯
JP6284781B2 (ja) 配光制御システム
JP2018073485A (ja) 光学ユニット
JP6621697B2 (ja) 車両用灯具
US20070291487A1 (en) Lamp assembly automatically controlling main beam direction and additional beam direction
JP5467917B2 (ja) 車両用照明灯具
JP6294832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9285094B2 (en) Vehicle lamp unit
JP4339213B2 (ja) 車両用前照灯
JP5763475B2 (ja) 車両用照明灯具
JP6506944B2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6235814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6628674B2 (ja) 車両用灯具
JP2015158977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6076184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06196410A (ja) 車両用前照灯
JP6124695B2 (ja) 車両用灯具
JP6376453B2 (ja) レンズ体及び車両用灯具
JP5412314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4002955A (ja) 灯具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