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965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965A
KR20160135965A KR1020150069506A KR20150069506A KR20160135965A KR 20160135965 A KR20160135965 A KR 20160135965A KR 1020150069506 A KR1020150069506 A KR 1020150069506A KR 20150069506 A KR20150069506 A KR 20150069506A KR 20160135965 A KR20160135965 A KR 2016013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beam pattern
unit
light sourc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547B1 (ko
Inventor
박선경
이상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68
    • F21S48/12
    • F21S48/142
    • F21S48/145
    • F21S48/3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8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 F21W210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는 동시에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장착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전방에 장착되고, 빔 패턴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쉴드부의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 쉴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상기 쉴드부의 제2 영역이 개폐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동 쉴드, 및 상기 이동 쉴드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빔 패턴이 변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는 동시에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 예를 들어 주변 밝기, 주변 차량, 도로 환경, 기상 환경 등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헤드 램프는 도 1과 같이 광원(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리플렉터(20)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며, 리플렉터(20)에 의해 반사된 광은 쉴드부(30)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면서 렌즈(40)로 입사되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되고, 도 2와 같이 쉴드부(30) 전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쉴드부(30) 전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빔 패턴을 변환하는 경우, 쉴드부(30) 전체의 위치 변경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쉴드부(30)의 위치 변경을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헤드 램프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빔 패턴을 변경할 때 쉴드부(30)의 위치 변경을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4-007048호(2014.01.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빔 패턴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부의 일부 영역만을 개폐시켜 빔 패턴을 변환되도록 하여 쉴드부 전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빔 패턴을 변환하는 경우에 비하여 쉴드부의 위치 변경을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장착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전방에 장착되고, 빔 패턴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쉴드부의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 쉴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상기 쉴드부의 제2 영역이 개폐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동 쉴드, 및 상기 이동 쉴드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빔 패턴이 변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쉴드부 전체가 아닌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을 형성하는 일부 영역을 개폐시켜 빔 패턴을 변경하기 때문에 쉴드부의 위치 변경을 위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쉴드가 도시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빔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방열부(200), 쉴드부(300) 및 렌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는 차량에 설치되는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광원(110) 및 리플렉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 등을 가지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10)으로서 LED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110)은 LED뿐만 아니라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10)은 방열부(2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광원(110)으로 LED가 사용되는 경우 가장 취약한 것은 온도로서, 광원(110)에서 광이 발생될 때 고온의 열을 방출하게 되고, 고온의 열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라 LED의 발광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열부(200)는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열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냉각 팬(250) 등과 같은 추가적인 냉각 장치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플렉터(120)가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은 차량용 램프(1)의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방향이나 위치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플렉터(120)가 방열부(200)의 상면에 장착된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광원(1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발생되는 광이 전방으로 반사되도록 하측으로부터 전방에 이르는 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반사층(121)이 형성되어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의 광 발생 방향이나 반사 방향 등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리플렉터(120)가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리플렉터(120) 전체가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부가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120)는 형상이나 개수가 변경되어 둘 이상의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리플렉터(120)는 전술한 광원(110)과 유사하게 방열부(2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리플렉터(120)는 나사 결합, 후크 결합 및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방열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플렉터(120)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122) 및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홀(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열부(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122)을 통과한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210) 및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홀(123)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홀(123)이 복수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장착 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장착 홀과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조 공정 상에서 발생되는 공차를 보상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장착 홀이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는 공차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홀(123) 및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220)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원활한 조립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장착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공차가 보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리플렉터(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124)이 형성되고, 방열부(200)에는 걸림 홈(124)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230)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124)이 리플렉터(120)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리플렉터(120)의 장착 구조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쉴드부(300)는 방열부(200)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으며, 쉴드부(300)는 쉴드부(300)의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쉴드(310), 쉴드부(300)의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쉴드(320) 및 이동 쉴드(3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가 도시된 측면도로서, 도 5 내지 도 7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쉴드(310)는 쉴드부(300)의 제1 영역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된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12)가 위치하는 영역이 제1 영역이고,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 제2 영역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12)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축(Ax)이나 광축(Ax) 부근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쉴드(310)는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12)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되는 연장부(3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장부(313)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313a)을 통과한 나사 등과 같은 결합 부재(미도시)가 방열부(20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 홈(240)에 삽입되어 고정 쉴드(310)가 방열부(2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장부(313)가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12)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장부(313)의 연장 방향은 고정 쉴드(310) 및 방열부(200)의 형상이나 결합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동 쉴드(320)는 구동부(330)에 의해 쉴드부(300)의 제2 영역을 개폐시키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 플레이트(3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플레이트(321)는 양측으로부터 이동 플레이트(321)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부(330)의 구동 샤프트(331)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322) 및 제2 결합부(323)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2) 및 제2 결합부(323)에는 각각 구동 샤프트(331)가 삽입되는 삽입 홀(322a, 323a)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322) 및 제2 결합부(323)는 도 8과 같이 광축(Ax)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데, 이는 이동 쉴드(320)와 구동부(330)를 결합시킬 때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결합부(323)가 광축(Ax)과 평행하고, 제1 결합부(322)가 광축(Ax)가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결합부(322) 및 제2 결합부(323)가 모두 광축(Ax)과 평행하게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결합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322) 및 제2 결합부(323)와 같이 2개의 결합부를 통해 이동 쉴드(320) 및 구동부(330)가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의 개수나 형성 위치는 이동 쉴드(320)의 형상이나 구동부(330)의 위치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330)는 이동 쉴드(32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이동 쉴드(320)와 결합되며, 이동 쉴드(32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동되어 빔 패턴이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부(300) 일측에 고정 쉴드(310)의 연장부(313)에 형성된 결합 홀(313a)을 통과하는 결합 부재(미도시)가 통과하는 통과 홀(330a)이 형성되어 방열부(200)에 고정 쉴드(310)와 함께 고정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쉴드(310) 및 구동부(330)는 각각 방열부(20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이동 플레이트(321)는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22) 사이에 위치하여 제 2영역을 차폐시키거나 개방시켜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플레이트(321)가 전술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2 영역을 차폐시키도록 위치된 경우에는 제1 고정 플레이트(31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312)와 더불어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도 9과 같이 같은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플레이트(321)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도 9의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할 때 컷 오프 라인(CL)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차량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321)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2 영역을 개방시키도록 위치된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제2 영역에 의해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2)을 형성하여 고정 쉴드(310)에 의한 로우 빔 패턴(P1)과 더불어 하이 빔 패턴(P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쉴드(320)가 방열부(200) 전방으로 회동되어 제2 영역을 개방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쉴드(320)는 회동뿐만 아니라 직선 이동이나 병진 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제2 영역을 개방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이동 쉴드(320)의 위치 변경 방식에 따라 구동부(330)의 종류나 구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이 차폐된 상태에서 제1 고정 플레이트(311), 제2 고정 플레이트(312) 및 이동 플레이트(321)가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고정 플레이트(311), 제2 고정 플레이트(312) 및 이동 플레이트(321)에서 광을 차단하는 면에는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차단된 광을 렌즈부(400)를 향하여 반사시킴으로써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근거리 시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렌즈부(400)는 쉴드부(300)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킬 수 있으며, 렌즈부(400)는 렌즈(410) 및 렌즈 홀더(4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410)는 필요로 하는 렌즈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렌즈(410)로는 다양한 렌즈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비구면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 홀더(420)는 렌즈(4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방열부(200)와 결합되어 그 내부에 쉴드부(300) 등과 같은 구성 요소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광 진행 경로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3 및 도 14와 같다.
도 13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할 때 쉴드부(3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차폐된 상태이므로 광원(110)으로터 발생된 광 중 일부의 광(L11)은 쉴드부(300)를 벗어나 그대로 렌즈(410)에 입사되며 다른 일부의 광(L12)은 쉴드부(300), 즉 제1 고정 플레이트(311), 제2 고정 플레이트(312) 및 이동 플레이트(321)에 의해 차단 및 반사되어 전술한 도 7과 같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할 때 쉴드부(300)의 제2 영역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광원(110)으로터 발생된 광 중 일부의 광(L21)은 쉴드부(300)를 벗어나 그대로 렌즈(410)에 입사되며 다른 일부의 광(L22)은 고정 쉴드(310)에 의해 차단되어 렌즈(410)로 반사되며, 개방된 제2 영역을 통과하는 광(L23)은 렌즈(410)로 입사되어 전술한 도 12와 같은 하이 빔 패턴(P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빔 패턴을 변경하기 위하여 쉴드부(300)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쉴드부(300) 전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때문에 쉴드부(300) 전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위치 변경에 필요한 공간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용 램프(1)의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광원
120: 리플렉터 200: 방열부
300: 쉴드부 310: 고정 쉴드
320: 이동 쉴드 330: 구동부
400: 렌즈부 410: 렌즈
420: 렌즈 홀더

Claims (11)

  1.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장착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전방에 장착되고, 빔 패턴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쉴드부의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 쉴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상기 쉴드부의 제2 영역이 개폐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동 쉴드; 및
    상기 이동 쉴드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빔 패턴이 변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쉴드 및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방열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쉴드 및 상기 구동부 각각은,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 및 적어도 하나의 통과 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방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에 삽입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쉴드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각각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며 연장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쉴드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할 때 상기 제2 영역을 차폐시키고,
    제2 빔 패턴을 형성할 때 상기 제2 영역을 개방시키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이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인 차량용 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쉴드는,
    상기 방열부의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영역을 개방시키는 차량용 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쉴드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키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쉴드 및 상기 이동 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단된 광을 상기 렌즈부로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069506A 2015-05-19 2015-05-19 차량용 램프 KR10238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506A KR102384547B1 (ko) 2015-05-19 2015-05-1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506A KR102384547B1 (ko) 2015-05-19 2015-05-1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965A true KR20160135965A (ko) 2016-11-29
KR102384547B1 KR102384547B1 (ko) 2022-04-11

Family

ID=5770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506A KR102384547B1 (ko) 2015-05-19 2015-05-1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53A (ko)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에비드넷 분산형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한 신약 재창출 후보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407A (ja) * 2000-03-08 2001-09-14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2005353596A (ja) * 2004-06-09 2005-12-22 Valeo Vision 多機能照光デバイス
JP2014007048A (ja) 2012-06-25 2014-01-16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407A (ja) * 2000-03-08 2001-09-14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2005353596A (ja) * 2004-06-09 2005-12-22 Valeo Vision 多機能照光デバイス
JP2014007048A (ja) 2012-06-25 2014-01-16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53A (ko)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에비드넷 분산형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한 신약 재창출 후보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547B1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3024A (ko) 차량용 램프
CN108375048B (zh) 车载灯具
KR101959805B1 (ko) 차량용 램프
KR1013818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666507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200494435Y1 (ko) 차량용 램프
KR101717692B1 (ko) 차량용 램프
KR102384547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959804B1 (ko) 차량용 램프
KR101959798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KR102145188B1 (ko) 차량용 램프
KR101674495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1920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56952A (ko) 차량용 램프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20180075963A (ko) 차량용 램프
KR200490834Y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92826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04066U (ko) 차량용 램프
KR10163832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113531481A (zh) 初级光学元件、远光照明装置、车灯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