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054A -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054A
KR20160133054A KR1020150065448A KR20150065448A KR20160133054A KR 20160133054 A KR20160133054 A KR 20160133054A KR 1020150065448 A KR1020150065448 A KR 1020150065448A KR 20150065448 A KR20150065448 A KR 20150065448A KR 20160133054 A KR20160133054 A KR 2016013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s
clock
wirings
signal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692B1 (ko
Inventor
박현애
김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692B1/ko
Priority to US14/973,773 priority patent/US10134327B2/en
Publication of KR2016013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비사각형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비사각형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신호선,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신호선으로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 주변 영역에서 표시 영역의 경계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타이밍에 인에이블(enable)되는 신호들을 구동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신호선 및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 신호선과 직교하는 복수의 제3 신호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사각형 디스플레이{NONSQUARE DISPLAY}
실시 예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에는 복수의 화소와 복수의 신호선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복수의 신호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스캔 라인 및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 일 측에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역다중화기, 이하, 디먹스라 함)가 형성될 수 있다. 디먹스는 클록 신호 및 표시 패널에 연결된 드라이버 IC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드라이버 IC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데이터 팬 아웃(fanout) 배선을 통해 디먹스와 연결된다. 클록 신호가 전달되는 클록 배선과 팬 아웃 배선은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디먹스 주변에 형성되는 팬 아웃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클록 배선은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팬 아웃 배선 및 클록 배선이 서로 중첩한다.
배선들의 중첩에 의해 저항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형성된다. 사각형 형태의 표시 패널의 경우, 팬 아웃 배선 및 클록 배선 대체적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중첩하므로, 중첩하는 영역들의 넓이가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중첩하는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과 커패시턴스 값들이 대체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근래에는 원형, 타원형과 같은 임의의 형태를 갖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임의의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패널의 경우, 클록 배선이 임의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그러므로, 클록 배선과 팬 아웃 배선이 중첩하는 면적, 형태 등이 일정하지 않다. 이에 따라, 중첩하는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 값과 캐패시턴스(capacitance) 값들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비사각형 디스플레이는 팬 아웃 배선을 통해 디먹스로 공급되는 신호에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신호가 공급되는 배선들에 형성된 부하(load)들이 서로 대체적으로 동일한 비사각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화소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의 편차가 적은 비사각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 예에 따른 비사각형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비사각형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신호선,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신호선으로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 주변 영역에서 표시 영역의 경계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타이밍에 인에이블(enable)되는 신호들을 구동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신호선 및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 신호선과 직교하는 복수의 제3 신호선을 포함한다.
비사각형 표시 영역은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선과 복수의 제3 신호선은 동일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선은 복수의 제3 신호선과 다른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선이 형성된 층과 복수의 제3 신호선이 형성된 층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신호선과 연결되고, 복수의 제1 신호선으로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버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일단이 제3 신호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신호선에 연결되며, 게이트가 제2 신호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선과 복수의 제3 신호선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의 넓이들이 서로 대체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배치되는 영역에 따라, 복수의 제3 신호선 각각이, 표시 영역 내의 복수의 지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지점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비사각형 디스플레이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선들에 형성된 부하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의 클록 배선 및 팬 아웃 배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클록 배선 및 팬 아웃 배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신호선(D1-Dm), 복수의 제2 신호선(S1-Sn) 및 제1 신호선(D1-Dm)과 제2 신호선(S1-Sn)이 교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PX)가 비사각형 표시 패널(20)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20)에 형성된 신호선들로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드라이버 IC(10)가 표시 패널(20) 일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IC(10)는 제2 신호선(S1-Sn)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스캔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제1 신호선(D1-Dm)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표시 패널(20)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일부가 원형인 다각형, 사각형을 제외한 다각형일 수 있다. 임의의 형태는 일부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형태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20)은 가요성을 가지는(flexible) 표시 패널(20)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은 일부가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커브드(curved) 표시 패널(20)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구동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 드라이버 IC(10)에서 구동 신호가 전달된다. 드라이버 IC(10)에서 전달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표시 패널(20)에 형성된 신호선(D1-Dm, S1-Sn)으로 화소(PX)에 대응하는 신호들이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선(D1-Dm) 각각이 y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x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드라이버 IC(10)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신호선(S1-Sn) 각각은 x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y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드라이버 IC(10)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복수의 제1 신호선(D1-Dm) 중 대응하는 제1 신호선 및 복수의 제2 신호선(S1-Sn) 중 대응하는 제2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점선 박스로 표시된 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화소가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한 일 예로서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화소들이 표시 영역(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신호선과 제1 신호선(D1-Dm)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디먹스(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30)의 둘레로 클록 배선들(CL1, CL2)과 전원 배선들(DCL1, DCL2)이 형성된다. 클록 배선들(CL1, CL2)은 표시 영역(30)의 주변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클록 배선들(CL1, CL2)은 표시 영역(30)의 경계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클록 배선들(CL1, CL2)은 표시 영역(30)과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클록 배선은 제1 타이밍에 인에이블되는 제1 클록 신호가 인가되는 제1 클록 배선(CL1)과 제1 타이밍과 다른 제2 타이밍에 인에이블되는 제2 클록 신호가 인가되는 제2 클록 배선(CL2)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클록 배선은, 제1 타이밍 및 제2 타이밍과 서로 다른 타이밍에 인에이블되는 제n 클록 신호가 인가되는 제n 클록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배선은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원 배선(DCL1)과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원 배선(DC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배선(DCL1)과 제2 전원 배선(DCL2)은 화소로 소정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선(D1-Dm)은 디먹스(40)와 연결된다. 디먹스(40)는 제1 신호선과 연결되는 일단, 드라이버 IC(10)와 연결되는 타단 및 클록 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를 복수로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는 클록 배선으로 공급되는 클록 신호에 따라 턴 온되어 대응하는 제1 신호선으로 드라이버 IC(10)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10)는 팬 아웃 배선(FL1-FLq)을 통해 디먹스(40)와 연결된다. 드라이버 IC(10)는 COG(chip on glass) 타입으로 표시 패널(20)에 실장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팬 아웃 배선(FL1-FLq)은 패드(pad)를 통해 드라이버 IC(1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10)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팬 아웃 배선(FL1-FLq)과 제1 신호선은 제1 층(lay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클록 배선(CL1, CL2)은 제1 층과 다른 제2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이 제2 층 위에 형성되고,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절연층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10)에 인접한 측의 팬 아웃 배선(FL1-FLq)들은 전체적으로 역 사다리꼴의 형태로 배치된다. 역 사다리꼴의 형태로 배치된 팬 아웃 배선(FL1-FLq)들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먹스(40)에 연결된다. y축으로 연장되는 팬 아웃 배선(FL1-FLq)과 클록 배선(CL1, CL2)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고, 서로 중첩(overlap)한다.
이때, 클록 배선들(CL1, CL2)이 비사각형으로 형성된 표시 영역(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도 2에서는 클록 배선들(CL1, CL2)이 표시 영역(30) 주변에서 원의 형태로 형성된다. 팬 아웃 배선(FL1-FLq)들은 y축으로 연장되고, x축을 따라 배열되므로, 팬 아웃 배선(FL1-FLq)과 클록 배선(CL1, CL2)이 중첩하는 영역이 표시 영역(30)의 둘레를 따라 다른 넓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k-1~FLk+1)과 클록 배선(CL1, CL2)이 중첩하는 영역의 넓이와, 외각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q-3~FLq)과 클록 배선(CL1, CL2)이 중첩하는 영역의 넓이가 서로 다르다.
외각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q-3~FLq)과 클록 배선(CL1, CL2)의 중첩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디스플레이의 클록 배선(CLk1-CLk6) 및 팬 아웃 배선(FLq)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배선들(CLk1-CLk6)은 외각 영역에서 y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이는 클록 배선들(CLk1-CLk6)이 표시 영역(30)의 형태에 따라 표시 영역(30)의 둘레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3에서는 클록 배선(CL1, CL2)이 제1 내지 제6 클록 배선(CLk1-CLk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클록 배선(CLk1-CLk6)은 디먹스(40)에 클록 신호를 인가하는 클록 배선 연결선(CCL11, CCL13, CCL21, CCL22)과 컨택 홀 (contact hole)등을 통해 연결된다. 클록 배선 연결선(CCL11, CCL13, CCL21, CCL2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먹스(40)와 연결된다.
팬 아웃 배선(FLq)도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팬 아웃 배선(FLq)은 적어도 하나의 클록 배선(CLk1-CLk6)과 중첩한다. 하나의 클록 배선(CLk1)과 팬 아웃 배선(FLq)이 중첩하는 영역(OA1)의 형태는 대체적으로 평행사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k-1~FLk+1)과 클록 배선(CL1, CL2)이 중첩하는 영역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각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q-3~FLq)과 클록 배선(CL1, CL2)이 중첩하는 영역(OA1)은 평행사변형 형태로 형성된다.
중앙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k-1~FLk+1)의 폭과 외각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q-3~FLq)의 폭이 동일하다. 또한, 중앙 영역의 클록 배선(CL1, CL2)의 폭과 외각 영역의 클록 배선(CL1, CL2)의 폭이 동일하다. 따라서, 직사각형 형태로 중첩하는 영역의 넓이보다, 평행사변형 형태로 중첩하는 영역(OA1)의 넓이가 더 크다.
이에 따라, 중앙 영역에서 하나의 팬 아웃 배선(FLk)과 클록 배선(CL1, CL2)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 값 및 커패시턴스 값은 외각 영역에서 하나의 팬 아웃 배선(FLq)과 클록 배선(CL1, CL2)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 값 및 커패시턴스 값 보다 대체적으로 작다.
즉, 디먹스(40)와 연결되는 팬 아웃 배선(FL1-FLq)의 부하들이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이에 의해, 드라이버 IC(10)에서 팬 아웃 배선(FL1-FLq)들로 동일한 크기의 신호를 공급하였으나, 화소(PX)에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는 영역에 따라 서로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사각형 디스플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팬 아웃 배선(FL1-FLq)을 제외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팬 아웃 배선(FL1-FLq)은 클록 배선(CL1, CL2)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영역(CA3) 및 외각 영역(CA2)의 팬 아웃 배선(FLq-3~FLq)들은 클록 배선(CL1, CL2)과 직교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영역(CA3)의 팬 아웃 배선(FLk-1~FLk+1)과 외각 영역의 팬 아웃 배선(FLq-3~FLq)은 모두 클록 배선(CL1, CL2)과 직교하여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클록 배선(CL1, CL2) 및 팬 아웃 배선(FLk, FLq)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배선(CLk1-CLk6)은 외각 영역(CA2)에서 y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도 5에서도 클록 배선(CL1, CL2)이 제1 내지 제6 클록 배선(CLk1-CLk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클록 배선(CLk1-CLk6)은 디먹스(40)에 클록 신호를 인가하는 클록 배선 연결선(CCL11, CCL13, CCL21, CCL22)과 컨택 홀 등을 통해 연결된다. 클록 배선 연결선(CCL11, CCL13, CCL21, CCL22)은 클록 배선((CLk1-CLk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먹스(40)와 연결된다.
팬 아웃 배선(FLq)도 클록 배선(CLk1-CLk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팬 아웃 배선(FLq)은 적어도 하나의 클록 배선(CLk1-CLk6)과 중첩한다. 하나의 클록 배선(CLk1)과 팬 아웃 배선(FLq)이 중첩하는 영역(OA2)의 형태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배선(CLk1-CLk6)은 중앙 영역(CA3)에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클록 배선(CLk1-CLk6)은 디먹스(40)에 클록 신호를 인가하는 클록 배선 연결선(CCL11, CCL13, CCL21, CCL22)과 컨택 홀 등을 통해 연결된다. 클록 배선 연결선(CCL11, CCL13, CCL21, CCL22)은 클록 배선(CLk1-CLk6)과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먹스(40)와 연결된다.
팬 아웃 배선(FLk)도 클록 배선(CLk1-CLk6)과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클록 배선(CLk1)과 팬 아웃 배선(FLk)이 중첩하는 영역(OA3)의 형태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각 영역(CA2)의 팬 아웃 배선(FLq-3~FLq)과 클록 배선(CLk1-CLk6)이 중첩하는 영역(OA2)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영역(CA3)의 팬 아웃 배선(FLk-1~FLk+1)과 클록 배선(CLk1-CLk6)이 중첩하는 영역(OA3)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영역(CA3)의 팬 아웃 배선(FLk-1~FLk+1)의 폭과 외각 영역(CA2)의 팬 아웃 배선(FLq-3~FLq)의 폭이 동일하고, 중앙 영역(CA3)의 클록 배선(CLk1-CLk6)의 폭과 외각 영역(CA2)의 클록 배선(CLk1-CLk6)의 폭이 동일하다. 따라서, 중앙 영역(CA3)에서의 중첩 영역(OA3)과 외각 영역(CA2)에서의 중첩 영역(OA2)의 면적이 서로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앙 영역(CA3)에서 하나의 팬 아웃 배선(FLk)과 클록 배선(CLk1-CLk6)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 값 및 커패시턴스 값은 외각 영역(CA2)에서 하나의 팬 아웃 배선(FLq)과 클록 배선(CLk1-CLk6)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 값 및 커패시턴스 값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디먹스(40)와 연결되는 팬 아웃 배선(FL1-FLq)의 부하들이 중앙 영역 또는 외각 영역에서도 서로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버 IC(10)에서 팬 아웃 배선(FL1-FLq)들로 동일한 크기의 신호들을 공급하면, 디먹스(40)를 통해 화소(PX)들에 전달되는 신호들의 크기도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팬 아웃 배선(FL1-FLq)을 제외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팬 아웃 배선(FL1-FLq)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에서 클록 배선(CL1, CL2)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영역(LA)의 팬 아웃 배선(FL1-FLk-1)들은 클록 배선(CL1, CL2)과 대체적으로 직교하도록 기울어져 표시 영역(30)의 제1 지점(P1)으로 수렴하는 기울기로 배치되고, 우측 영역(RA)의 팬 아웃 배선(FLk-FLq)들은 클록 배선(CL1, CL2)과 대체적으로 직교하도록 기울어져 표시 영역(30)의 제2 지점(P2)으로 수렴하는 기울기로 배치된다.
제1 번 팬 아웃 배선(FL1)이 클록 배선(CL1, CL2)과 교차하는 예각의 크기가 A이고, 제k-1 번 팬 아웃 배선(FLk-1)이 클록 배선(CL1, CL2)과 교차하는 예각의 크기가 B이면, A와 B는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다.
그러나, 제2 실시 예에서 A와 B의 차이는, 도 2에서 제1 번 팬 아웃 배선(FL1)이 클록 배선(CL1, CL2)과 교차하는 예각과 제k-1 번 팬 아웃 배선(FLk-1)이 클록 배선(CL1, CL2)과 교차하는 예각의 차이보다 작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의 팬 아웃 배선(FL1-FLq)은 도 2 의 팬 아웃 배선(FL1-FLq)에 비해, 팬 아웃 배선(FL1-FLq) 각각이 클록 배선(CL1, CL2)과 교차하는 영역의 넓이의 편차가 감소한다.
실시 예는 모든 비사각형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도면에서는 디먹스(40)에 신호를 인가하는 팬 아웃 배선(FL1-FLq)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는 화소로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예를 들어, 스캔 드라이버 등)들에 신호를 인가하고, 클록 배선(CL1, CL2)과 중첩하는 팬 아웃 배선 설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도면에서는 일부의 형태가 볼록한 곡선 및 오목한 곡선을 모두 포함하는 표시 패널(20)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에도 상기의 실시 예들을 조합하여 팬 아웃 배선(FL1-FLq)들을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드라이버 IC 20: 표시 패널
30: 표시 영역 40: 디먹스

Claims (9)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비사각형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신호선;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으로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경계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타이밍에 인에이블(enable)되는 신호들을 상기 구동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신호선;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신호선과 직교하는 복수의 제3 신호선;
    을 포함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사각형 표시 영역은 원 형태로 형성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 신호선은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신호선은 상기 복수의 제3 신호선과 다른 층으로 형성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신호선이 형성된 층과 상기 복수의 제3 신호선이 형성된 층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선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으로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버 IC를 더 포함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3 신호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신호선에 연결되며, 게이트가 상기 제2 신호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복수로 포함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3 신호선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의 넓이들이 서로 대체적으로 동일한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9. 제1 항에 있어서,
    배치되는 영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3 신호선 각각이, 상기 표시 영역 내의 복수의 지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지점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KR1020150065448A 2015-05-11 2015-05-11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KR10242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48A KR102426692B1 (ko) 2015-05-11 2015-05-11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US14/973,773 US10134327B2 (en) 2015-05-11 2015-12-18 Non-quadrangular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48A KR102426692B1 (ko) 2015-05-11 2015-05-11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054A true KR20160133054A (ko) 2016-11-22
KR102426692B1 KR102426692B1 (ko) 2022-07-28

Family

ID=5727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448A KR102426692B1 (ko) 2015-05-11 2015-05-11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34327B2 (ko)
KR (1) KR102426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534B2 (en) 2019-07-29 2023-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fan out unit and a test line in the peripheral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868B1 (ko) * 2014-12-31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 방법
CN107807480B (zh) * 2016-09-08 2021-04-20 株式会社日本显示器 显示装置
US10409102B2 (en) * 2016-09-08 2019-09-10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CN108447390B (zh) * 2018-02-27 2020-07-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环形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20210008201A (ko) 2019-07-10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798755B (zh) * 2020-07-07 2021-08-2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US11335230B2 (en) 2020-07-07 2022-05-17 Tcl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KR20230041119A (ko) * 2021-09-16 2023-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CN114005862A (zh) * 2021-10-29 2022-02-0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339A (ja) * 2003-12-18 2005-07-07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KR20070021241A (ko) * 2004-06-09 2007-02-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직사각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70026529A (ko) * 2004-05-28 2007-03-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직사각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8216894A (ja) * 2007-03-07 2008-09-1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アレイ基板
JP2008292995A (ja) * 2007-04-27 2008-12-04 Nec Lcd Technologies Ltd 非矩形表示装置
JP2009069768A (ja) * 2007-09-18 2009-04-0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140109261A (ko) * 2013-03-05 2014-09-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7093B2 (en) 2001-02-26 2015-11-03 Cadence Design Systems, Inc. Routing interconnect of integrated circuit designs with varying grid densities
JP3786100B2 (ja) * 2003-03-11 2006-06-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及び電気光学装置
JP3786101B2 (ja) * 2003-03-11 2006-06-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及び電気光学装置
JP2006276359A (ja) 2005-03-29 2006-10-12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US8638280B2 (en) * 2007-04-27 2014-01-28 Nlt Technologies, Ltd. Non-rectangular display apparatus
JP5239368B2 (ja) 2008-02-06 2013-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レイ基板および表示装置
JP4762297B2 (ja) 2008-12-08 2011-08-31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2118099A (ja) 2010-11-29 2012-06-21 Optrex Corp 駆動用ドライバ素子および表示装置
TWI555000B (zh) * 2015-02-05 2016-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339A (ja) * 2003-12-18 2005-07-07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KR20070026529A (ko) * 2004-05-28 2007-03-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직사각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70021241A (ko) * 2004-06-09 2007-02-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직사각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8216894A (ja) * 2007-03-07 2008-09-1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アレイ基板
JP2008292995A (ja) * 2007-04-27 2008-12-04 Nec Lcd Technologies Ltd 非矩形表示装置
JP2009069768A (ja) * 2007-09-18 2009-04-0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140109261A (ko) * 2013-03-05 2014-09-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534B2 (en) 2019-07-29 2023-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fan out unit and a test line in the peripheral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692B1 (ko) 2022-07-28
US20160335982A1 (en) 2016-11-17
US10134327B2 (en)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692B1 (ko)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KR102357940B1 (ko)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US9560761B2 (en) Curved display
KR20210149011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집적 회로 실장 방법
US9837038B2 (en) Display panel
US9607581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oblique line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770015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small bezel
KR102330882B1 (ko) 표시 장치
KR102135232B1 (ko) 곡면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35307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6539567B2 (ja) 表示装置
TWI464731B (zh) 顯示驅動架構及其訊號傳遞方法、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414074B1 (ko) 곡면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548711B (zh) 显示设备和智能手表
CN104464524A (zh)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EP3176769A1 (en) Display device
JP6479917B2 (ja) 表示装置
KR20140012271A (ko) 표시 장치
TWI504969B (zh) 顯示面板以及顯示裝置
CN109860142A (zh) 膜上芯片和包括该膜上芯片的显示装置
KR20180075827A (ko) 타일링 멀티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32265A (ko)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US10901275B2 (en) Display device
KR101520535B1 (ko) 표시장치
US10332440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