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127A -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127A
KR20160129127A KR1020150060249A KR20150060249A KR20160129127A KR 20160129127 A KR20160129127 A KR 20160129127A KR 1020150060249 A KR1020150060249 A KR 1020150060249A KR 20150060249 A KR20150060249 A KR 20150060249A KR 20160129127 A KR20160129127 A KR 20160129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torage space
case
wall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혜림
신정호
김소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to KR102015006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127A/ko
Publication of KR2016012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6Details of wall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 개로 구획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도어부;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증감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전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공간을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를 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벽걸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온도 제어방법{WALL MOUNTED WINE CELLA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THE WINE CELLAR}
본 발명은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걸이 형태로 설치되어 공간 점유율을 줄이고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소음과 진동, 소비전력을 줄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와인은 단순한 술이 아닌 웰빙 상품으로 주목 받으며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와인은 병입되어 코르크 마개로 봉인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병 속에서도 숙성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 취급 및 보관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오랫동안 와인의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다.
와인이 보관되는 환경은 환기가 잘되고,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작으며, 진동이 없는 정숙한 장소가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레드 와인은 대략 10 ~ 18℃에서, 화이트 와인은 대략 4 ~ 10℃에서 최고의 와인 품질이 보장되며, 진동은 와인의 숙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진동이 없는 공간에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와인을 지하창고, 굴 등에 보관하였으나, 요즘에 이와 같은 자연적인 환경을 찾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는 와인 냉장고가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와인 냉장고는 용량이 작지 않기 때문에 설치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바, 일반 가정에서 와인 냉장고를 사용하고자 해도 와인 냉장고를 놓을 공간이 마땅하지 않는 등 와인 냉장고 설치에 공간 제약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와인 냉장고는 증발기를 구비하는 직냉식 냉동 사이클을 주로 채용하여 공기의 자연 대류에 의해 냉각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냉장고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기가 힘들다. 또한 압축기가 사용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0529호 (2009.01.0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벽에 간단하게 걸어 와인 냉장고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발기와 압축기가 필요한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각 방식에서 탈피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소음 및 진동이 작은 열전소자를 통해 내부를 냉각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와인 냉장고의 온도를 제어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 개로 구획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도어부;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증감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전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공간을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를 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벽걸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 적층 구조로 구획 분리되고, 각각의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부에는 와인병을 안치할 수 있는 선반이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열전소자는,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된 상기 저장공간 중에서 최하층부에 설치되어 최하층부의 저장공간을 냉각하며, 상기 선반에는 하층부의 공기가 상층부로 이동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열전소자는, 복수 개의 상기 저장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각 저장공간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는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과 발열이 교대로 일어나는 펠티어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에는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열된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나무결 무늬를 갖는 커버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걸이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형성된 관통홀부; 상기 배면부와 벽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내부에 형성된 통과홀부를 갖는 완충부; 및 일측이 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통과홀부에 삽입되는 앵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의 외표면에는 완충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인 냉장고를 벽에 설치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비전력이 낮고 소음 및 진동이 작은 열전소자를 통해 내부를 냉각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결이형 와인 냉장고를 벽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일부 절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벽걸이수단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결이형 와인 냉장고를 벽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일부 절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케이스(100), 도어부(200), 온도감지센서(300), 열전소자(400), 제어부(500) 및 벽걸이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와인 냉장고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저장되는 와인병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위에 열거한 다른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예컨대, 전방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케이스(100)에서 개방된 부위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와인병을 내부로 입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는 케이스(100)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 분리된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개구부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우방향으로 구획 분리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구현된 것처럼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 적층 구조로 구획 분리되어 와인병을 상하 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이 케이스(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는 와인병을 눕혀서 안정적으로 안치할 수 있는 선반(1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110)은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지만 와인병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필요시 선반(110)이 상기 케이스(100)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서랍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선반(110)의 인출 구조는 일반적인 서랍 구조를 통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110)에는, 와인병을 눕혀서 케이스(100)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와인병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와인병을 눕혀서 안치할 때 외주면이 둥근 와인병이 선반(110) 내에서 구르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가 선반(110)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른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선반(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일반적인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통상적인 와인병이 오크통과 같은 원통에 수납 저장되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마치 오크통에 저장하는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에 미닫이 형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를 매개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부(200)의 여닫이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 도어부(200)는 내부에 저장된 와인병을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에서 상기 도어부(200)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도어부(200)가 용이하게 안착하여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01)은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를 따라 개구부 주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 표면보다 함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101)과 접촉하는 상기 도어부(200) 일측에는 도1의 원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20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01)은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도어부(202)를 닫았을 때 상기 안착홈(101)과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01)에는 밀폐력을 배가하기 위하여 고무자석(2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무자석(202)은 도어부(200)를 닫았을 때 상기 안착홈(101)에 붙어 틈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 및 상기 안착홈(101)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자석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 및 안착홈(101) 모두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곳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석부(210)는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부(200)가 케이스(100)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자석부(210)가 갖는 인력 이상의 힘을 제공하면 도어부(200)를 열 수 있지만, 도어부(2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자력에 의해 도어부(200)가 자유롭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와인을 최적의 온도로 냉장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감지센서(300), 열전소자(400) 및 제어부(500)의 구성을 포함하는바, 상기 온도감지센서(300)는 상기 저장공간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300)는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된 상기 저장공간 중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부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통상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가라앉고 따뜻한 공기는 위로 상승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온도감지센서(300)는 저장공간 내에서 위로 상승한 더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를 좀 더 낮은 온도로 유지 관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와인의 신선도 유지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4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저장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저장공간의 온도 조절을 위하여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냉동사이클에서 탈피하여 소음, 진동 및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한 열전소자(400)를 채택하였는바, 상기 열전소자(400)는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과 발열이 교대로 일어나는 펠티어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펠티어 소자는 전원이 공급되면 그 전원의 전류 입력 방향에 따라 일측면에서는 흡열이 이루어져 냉각작용을 하고 타측면에서는 발열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저장공간의 냉각을 위해서는 저장공간에 위치한 쪽에서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펠티어 소자의 전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전소자(400)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로 이루어지는 종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 및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없고 소비전력이 매우 우수하여 실내에서 벽걸이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30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전소자(40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전소자(400)의 제어에 의해 저장공간을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저장공간에 레드 와인을 저장하는 경우, 레드 와인은 대략 18℃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기 온도감지센서(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장공간의 온도가 18℃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저장공간을 냉각하고,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가 18℃ 이하가 되면 상기 열전소자(4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감지센서(300)는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된 복수개의 저장공간 중에서 최상층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110)에는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는 상기 선반의 관통부(111)를 통과하여 하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기는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대략 4 ~ 10℃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저장되어야 하는 화이트 와인은 아래층에 보관하고 대략 10 ~ 18℃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저장되어야 하는 레드 와인은 화이트 와인 위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편, 상기 저장공간에는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순환팬(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400)를 이용해 저장공간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은 열전소자(400)의 위치에 따른 온도 편차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저장공간의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순환팬(120)을 이용해 저장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400)에서 발생한 발열공기를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상기 열전소자(400)의 발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 공기는 상기 통로부(140)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방열부(130)를 통해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130)는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열교환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400) 및 방열부(130)가 손상되거나 고장 났을 때 교환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열전소자(400) 및 방열부(1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열전소자(400) 및 방열부(1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부위로서, 상기 절개부(150)에는 상기 열전소자(400) 및 방열부(13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16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커버부(160)가 절개부(150)에 결합되어 열전소자(400) 및 방열부(13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고 보호하며, 열전소자(400) 또는 방열부(130)를 교환하거나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160)가 절개부(150)에서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온도감지센서(300)와 상기 열전소자(400)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각 저장공간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저장공간의 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경우, 각 저장공간의 배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해당 저장공간을 원하는 온도로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반드시 상하로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좌우로 배치할 수 있고, 상하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가장 저온에 보관되어야 할 와인을 최하층부에 둘 필요도 없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역시 필요에 따라 상기한 순환팬(120) 및 방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120) 및 방열부(130)는 앞에서 설명하였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170)와,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18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표시부(170) 및 온도조절부(180)는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온도표시부(170)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온도조절부(180)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장공간의 기준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벽걸이수단(600)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를 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벽걸이수단(600)은, 관통홀부(610)와 체결부재(620) 및 너트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부(610)는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패널(102)에 배면패널(10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00)가 벽면(W)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W)에 직접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배면패널(102)과, 상기 배면패널(102)에 탄성 결합되는 케이싱부(103)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0)가 배면패널(102)과 케이싱부(103)로 분할 형성되면, 상기 배면패널(102)을 상기 체결부재(620)와 너트부재(630)를 이용하여 벽면(W)에 먼저 고정 결합한 뒤 벽면(W)에 고정된 배면패널(102)에 상기 케이싱부(103)를 결합시켜 케이스(100) 전체를 쉽고 간편하게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부(61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체결부재(620)는 앵커볼트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며 헤드가 없는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20)의 일단은 벽면(W)의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체결부재(620)의 타단부는 벽면(W)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620)가 벽면(W) 위로 돌출된 상태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패널(102)의 관통홀부(610)가 체결부재(620)에 끼워지도록 배면패널(102)을 체결부재(62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630)는 상기 체결부재(620)에 결합되어 배면패널(102)의 전면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배면패널(102)이 체결부재(6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620)와 너트부재(630)에 의해 상기 배면패널(102)이 벽면(W)에 고정 결합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패널(102)에 상기 케이싱부(103)를 결합하여 상기 체결부재(620)와 너트부재(6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케이스(100) 전체를 벽면(W)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데 대략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케이스에 형성된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한다.
저장공간의 온도가 측정되면 측정 온도를 제어부에 입력된 기준 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로 입력되며, 제어부는 측정 온도와 내부에 입력된 기준 온도(설정 온도)를 서로 비교한다.
상기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저장공간의 온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보다 높다는 의미이므로 상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상기 열전소자가 동작하여 저장공간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온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 케이스 101 : 안착홈
102 : 배면패널 103 : 케이싱부
110 : 선반 111 : 관통부
120 : 순환팬 130 : 방열부
140 : 통로부 200 : 도어부
300 : 온도감지센서 400 : 열전소자
500 : 제어부 600 : 벽걸이수단
610 : 관통홀부 620 : 체결부재
630 : 너트부재

Claims (14)

  1.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저장공간;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증감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열전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공간을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를 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벽걸이수단;
    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 적층 구조로 구획 분리되고, 구획된 상기 각 저장공간의 하부에는 와인병을 눕혀서 안치할 수 있는 선반이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된 상기 저장공간 중에서 최상층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반에는 와인병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고 공기가 선반을 통과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열전소자는, 복수 개의 상기 저장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각 저장공간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과 발열이 교대로 일어나는 펠티어 소자인,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는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열된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부가 설치된,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방열부의 손상시 교환 가능하도록 케이스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방열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와,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도어부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도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접촉하는 상기 도어부 일측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설치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에는 고무자석이 구비된,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내측 및 상기 안착홈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부가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부가 구비된,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배면패널에 형성된 관통홀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배면패널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너트부재;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14. 케이스에 형성된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 온도를 제어부에 입력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된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

KR1020150060249A 2015-04-29 2015-04-29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KR20160129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49A KR20160129127A (ko) 2015-04-29 2015-04-29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49A KR20160129127A (ko) 2015-04-29 2015-04-29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127A true KR20160129127A (ko) 2016-11-09

Family

ID=5752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49A KR20160129127A (ko) 2015-04-29 2015-04-29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1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4115A1 (en) * 2016-07-18 2018-01-25 Les Entreprises Zeronext Inc. Wall-mounted refrigerator and peltier effect cooling system
DE102017129119A1 (de) * 2017-10-24 2019-04-25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Temperiertes 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29A (ko) 2007-06-28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29A (ko) 2007-06-28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4115A1 (en) * 2016-07-18 2018-01-25 Les Entreprises Zeronext Inc. Wall-mounted refrigerator and peltier effect cooling system
DE102017129119A1 (de) * 2017-10-24 2019-04-25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Temperiertes Gerä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277B1 (ko) 냉장고
US7350374B1 (en) Consumer refrigerator
JP4636505B2 (ja) 冷蔵用ショーケース
KR102281711B1 (ko) 냉장고
JP2020511625A (ja) 冷蔵庫
KR102309117B1 (ko) 냉장고
KR102568915B1 (ko) 차량,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용 냉장고의 제어방법
US20170234603A1 (en) Sectorized cooling arrangement for refrigerators
KR102665398B1 (ko) 냉장고
KR102420992B1 (ko) 냉장고
JP2006075229A (ja) ショーケース
KR20180104485A (ko) 냉장고
EP3132214B1 (en) Refrigerator
KR20160012411A (ko) 과냉각 냉각고
KR20160129127A (ko) 벽걸이형 와인 냉장고
KR20140147315A (ko) 과냉각 냉각고
US7219508B2 (en) Evaporator assembly for cold tables and method for refrigerating cold tables
JP4552800B2 (ja) 冷蔵庫
JP5271134B2 (ja) 冷凍冷蔵庫
JP2018146198A (ja) 冷蔵庫
JP5431763B2 (ja) 冷凍冷蔵庫
WO2017208738A1 (ja) 冷蔵庫
JP2007132570A (ja) 冷蔵庫
KR100812364B1 (ko) 김치냉장고용 이중도어구조
JP2006002995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