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231A - 매조미 장치 - Google Patents

매조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231A
KR20160128231A KR1020160050021A KR20160050021A KR20160128231A KR 20160128231 A KR20160128231 A KR 20160128231A KR 1020160050021 A KR1020160050021 A KR 1020160050021A KR 20160050021 A KR20160050021 A KR 20160050021A KR 20160128231 A KR20160128231 A KR 2016012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impeller
guide
rotational direction
rad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아키 사카우에
야스히로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6012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임펠러식의 매조미 장치에 있어서의 탈부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외부로부터 반입된 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벼 공급부(7)와, 벼 공급부(7)의 외주를 따라 설치됨과 함께, 회전하여 벼 공급부(7)로부터 배출된 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임펠러부(6)를 구비하고, 임펠러부(6)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체(14)와, 복수의 블레이드체(14) 각각의 직경 방향 외측 개소에 위치하여 벼를 수취하여 충돌에 의해 탈부하는 복수의 내측 탈부부(21)를 구비하고 있고, 임펠러부(6)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임펠러부(6)에 의해 투척된 벼를 수취하고, 충돌에 의해 탈부하는 외측 탈부부(9)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매조미 장치{HU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임펠러식의 매조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펠러식의 매조미 장치는, 임펠러부의 주위가 케이싱에 의해 덮이고, 케이싱에 있어서의 임펠러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탈부용의 라이너가 구비되고, 임펠러부에 의해 안내되는 벼를 라이너에 충돌시켜, 라이너에 의해 벼를 왕겨와 현미로 분리하는 탈부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임펠러부가 회전함으로써, 벼를 블레이드체에 의해 받아내어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안내하여, 블레이드체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외측에 투척하여 라이너에 충돌시키고, 그 충격에 의해 탈부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9440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벼가 블레이드체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외측에 투척될 때, 가늘고 긴 형상이며 또한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끝이 가는 형상이 되는 벼의 외형 형상에 기인하여, 블레이드체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대한 벼의 접촉 상태에 따라서는, 방출 방향이 변화하거나, 방출 속도가 변동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라이너에 충돌할 때의 속도나 각도가 탈부에 적합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때에는 양호하게 탈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벼의 방출 방향이나 방출 속도의 편차가 커지므로, 탈부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임펠러식의 매조미 장치에 있어서의 탈부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매조미 장치의 특징 구성은,
외부로부터 반입된 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벼 공급부와,
상기 벼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벼를 수용하도록 상기 벼 공급부의 외주를 따라 설치됨과 함께, 상기 벼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상기 벼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임펠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체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체 각각의 직경 방향 외측 개소에 위치하여, 상기 블레이드체에 의해 안내된 벼를 수취하고, 충돌에 의해 탈부하는 복수의 내측 탈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임펠러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부에 의해 투척된 벼를 수취하고, 충돌에 의해 탈부하는 외측 탈부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펠러부는, 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벼를 복수의 블레이드체에서 미끄럼 이동 안내하면서,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한다. 블레이드체에서 안내되는 벼는, 블레이드체의 직경 방향 외측 개소에 구비된 내측 탈부부에 충돌하여 탈부 처리가 행해진다.
내측 탈부부는 임펠러부에 구비되어 블레이드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므로, 회전 속도가 정해지면, 블레이드체에서 안내되는 벼가 내측 탈부부에 충돌할 때의 속도나 각도는, 크게 변동하는 일은 없고, 안정된 편차가 적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벼가 탈부부에 충돌할 때의 속도나 각도의 편차의 크기에 기인하는 탈부율의 저하를 억제하여, 탈부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블레이드체에 의해 안내되는 벼는, 내측 탈부부에서 탈부 작용을 받은 후,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투척되고, 외측 탈부부에 충돌하여 다시, 탈부 작용을 받게 된다. 내측 탈부부에서 탈부되지 않은 벼를 외측 탈부부에 충돌시켜 탈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탈부부 및 외측 탈부부에 있어서 2단계의 탈부 작용을 받음으로써, 더욱 탈부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임펠러식의 매조미 장치에 있어서 탈부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탈부부는, 상기 블레이드체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과 교차하는 충돌면을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체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과 상기 충돌면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또는 만곡되는 자세 변경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체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서 미끄럼 이동 안내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된 벼는, 자세 변경면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수록 회전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자세 변경된 후, 미끄럼 이동 안내면과 교차하는 충돌면에 충돌하여 탈부 처리가 행해진다.
그런데, 벼는, 배아가 존재하는 끝이 가는 형상의 일단부 개소와, 그것과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끝이 가는 형상의 타단부측 개소 사이에 중간 팽창 형상의 동체부를 구비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단부 개소는, 그 이외의 개소보다도 단단하고 깨지기 어려운 성질을 갖고 있다.
블레이드체로서, 예를 들어 평탄한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의해서만 벼를 안내하여 내측 탈부부에 충돌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벼가 길이 방향을 미끄럼 이동 안내 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안내되면, 상기 일단부 개소가 선두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측 탈부부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충돌이 반복해서 행해지면, 벼에 있어서의 단단한 개소가 충돌함으로써, 내측 탈부부가 단기간의 사용으로 크게 마모될 우려가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일단부 개소가 선두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의해 안내된 경우라도, 벼가 자세 변경면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수록 회전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방향 변경하면서 안내되므로, 충돌면에 대해 벼의 동체부가 충돌하게 된다. 그 결과, 내측 탈부부에 대해 벼가 단단한 개소가 충돌하는 것을 회피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따라서, 내측 탈부부에 대해 벼가 단단한 개소가 반복해서 충돌하여 단기간의 사용으로 크게 마모되는 것을 회피하여, 장기에 걸쳐 양호한 사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탈부부에,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상기 충돌면에 충돌한 후의 처리물을 상기 외측 탈부부를 향해 투척하는 투척 작용면이 구비되고, 상기 투척 작용면의 상기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대한 경사각은, 상기 충돌면의 상기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대한 경사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체에 의해 안내된 벼가 내측 탈부부의 충돌면에 충돌하여 탈부 작용을 받고, 그 처리물이 투척 작용면에 의해 외측 탈부부를 향해 투척된다. 투척 작용면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대한 경사각은, 충돌면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대한 경사각보다도 크므로, 처리물은, 외측 탈부부의 접선 방향에 가능한 한 가까운 각도로 외측 탈부부를 향해 방출된다.
그 결과, 방출되어 외측 탈부부에서 충돌할 때에, 충격력은 낮아지고, 충돌 시에 현미나 벼가 손상을 받아, 예를 들어 현미나 벼가 부서지거나, 배아 부분이 빠져 탈아 상태가 되는 것 등을 회피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외측 탈부부에서 벼가 튀어 오를 때에, 벼가 세차게 튀어 오르는 일이 없고, 내측 탈부부에 다시 세차게 충돌하여 벼가 손상을 받을 우려도 적은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탈부부의 상기 회전 방향 하측 단부가, 그 내측 탈부부에 대해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상기 블레이드체의 상기 회전 방향 상측 단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측 탈부부와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체가 회전 방향(둘레 방향)으로 중복되게 된다. 외측 탈부부에 충돌한 후에 튀어 오른 벼가, 내측 탈부부와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벼가 간극으로부터 들어가, 블레이드체에 의해 미끄럼 이동 안내되는 벼와 간섭하여 탈부 처리를 적정하게 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불리를 회피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탈부부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상기 외측 탈부부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된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외측 탈부부에 충돌한 후에 튀어 오른 벼가, 내측 탈부부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어도, 외측 탈부부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된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때 강한 충격을 받아 벼가 손상될 우려는 적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탈부부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폭이 넓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임펠러부가 회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내측 탈부부가 회전하면, 내측 탈부부에서 탈부 작용을 받은 벼가, 내측 탈부부의 통과 개소와 외측 탈부부 사이의 벼 통과 영역에 투척될 때, 내측 탈부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돌기에 의해, 이미 투척되어 벼 통과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벼를 밀어 젖히므로, 벼끼리가 간섭하여 탈부 처리가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불리를 회피하기 쉬운 것이 된다.
임펠러식의 매조미기에서는, 상기 벼 통과 영역을 통과하는 복수의 벼는 임펠러부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방향 중앙측에 치우친 상태에서 모이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따르면, 회전 축심 방향으로 폭이 넓은 돌기가 회전함으로써 바람이 생기되고, 벼 통과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복수의 벼에 대해 송풍 작용하여, 벼의 치우침을 해소하여 회전 축심 방향으로 고르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외측 탈부부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매조미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매조미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매조미부의 측면도.
도 4는 호퍼 및 탈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임펠러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블레이드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분산 안내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매조미부의 종단 측면도.
도 9는 매조미부의 종단 정면도.
도 10은 벼 안내 블록체의 벼 안내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 측면도.
도 11은 블레이드체와 벼 안내 블록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블레이드체와 벼 안내 블록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도 13은 벼의 분산 안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벼의 분산 안내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의 매조미부의 측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의 벼 안내 블록체의 측면도.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의 벼 안내 블록체의 정면도.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의 매조미부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매조미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매조미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벼의 매조미 처리, 즉, 벼를 왕겨와 현미로 분리하는 탈부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매조미 장치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상자 형상의 본체 케이싱(1)의 상부에 위치하여, 외측으로부터 투입되는 벼(M)를 일시 저류하는 호퍼(2), 호퍼(2)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된 벼(M)를 본체 케이싱(1)의 일측면을 향해 경사 하방으로 유하 안내하는 유하 안내부(3), 본체 케이싱(1)의 일측면의 외측에 위치하여, 호퍼(2)로부터 배출되고 또한 유하 안내부(3)에 의해 유하 안내되는 벼의 매조미(탈부 처리)를 행하는 매조미부(4), 본체 케이싱(1)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용의 전동 모터(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매조미부(4)는, 전동 모터(5)의 구동력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심(X) 주위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부(6)와, 임펠러부(6)의 직경 방향 내측 개소에 벼를 공급하는 벼 공급부(7)와, 그들을 덮는 탈부 케이스(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2,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부 케이스(8)는, 임펠러부(6)의 외주부를 덮도록, 측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이며 또한 회전 축심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부 케이스(8)에 있어서의 임펠러부(6)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주부에는, 그 내면측에 임펠러부(6)의 외주부를 덮는 외측 탈부부로서의 라이너(9)가 구비되어 있다. 라이너(9)는,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연질재를 사용하여 띠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부 케이스(8)에는, 임펠러부(6)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송풍력에 의해, 매조미가 행해진 후의 처리물(현미, 왕겨, 미처리의 벼 등을 포함함)을 외부로 반송하는 반송 안내부(8a)가 일련으로 이어지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탈부 케이스(8)의 횡외측부(8b)는 착탈 가능한 덮개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걸림 유지구(8c)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벼 공급부(7)에는, 회전 축심(X)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임펠러부(6)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원통 형상의 벼 안내체(11)가, 벼 공급부(7)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에 걸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벼 안내체(11)에, 회전 축심(X)을 따른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벼 공급부(7)의 외주부에 반입된 벼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 2,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벼 공급부(7)는, 유하 안내부(3)의 안내 방향 하측에 이어지는 상태로 설치되고, 임펠러부(6)의 회전 축심(X)과 동일 축심 상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벼 안내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벼 안내체(11)의 회전 축심 방향의 폭은, 임펠러부(6)의 회전 축심 방향의 폭에 대응한다. 벼 안내체(11)에는, 회전 축심 방향 일단부측에 벼 입구(12)가 형성되고, 회전 축심 방향 타단부측은 측벽부(10)에서 폐색되어 있다. 측벽부(10)는, 후술하는 구동축(4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겸용하고 있다. 벼 안내체(11)의 둘레 방향의 일부의 영역을 개구하여 벼 배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벼 배출부(13)는, 회전 축심 방향을 따라 폭이 넓고 또한 둘레 방향을 따라 약 90도에 걸쳐 개구되어 있다(도 8 참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퍼(2)로부터 유하 안내부(3)를 통해 유하 안내되는 벼(M)가 벼 입구(12)를 통과하고, 벼 안내체(11)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유하 안내부(3)와 연통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벼 안내체(11)의 내면에 의해, 회전 축심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반입된 벼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3,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펠러부(6)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체(14)와, 벼 공급부(7)로부터 배출된 벼(M)를 회전 축심 방향을 따라 분산시켜, 인접하는 블레이드체끼리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분산 안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체(14)는, 벼 공급부(7)에 의해 공급된 벼(M)를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서 미끄럼 이동 안내하면서,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한다.
각 블레이드체(14)는, 도 6, 8,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상의 금속재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4a)를 구비하고, 그 본체부(14a)의 중앙의 폭이 넓은 면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을 형성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을 형성하는 본체부(14a)와는 별도로,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의 반대측에 이면측 안내면(17)을 형성하는 이면 형성부(14b)가 본체부(14a)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14a)와 이면 형성부(14b) 사이에는,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개구(14c)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체(14)의 회전 축심 방향 양측부에는 각각,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원판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18, 19)가 구비되고, 도 11,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블레이드체(14)의 좌우 양측의 측면(14d)이 각 지지 플레이트(18, 19)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도 5, 6,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체(14) 각각의 직경 방향 외측 개소에, 블레이드체(1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 대해 교차하는 충돌면(20)을 갖는 내측 탈부부로서의 벼 안내 블록체(21)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돌면(20)은,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벼 안내 블록체(21)는, 연질의 합성 수지인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연질재를 사용하여 일체 성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벼 안내 블록체(21)의 경도는, 라이너(9)의 경도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벼가 손상을 받을 우려가 커진다. 한편, 경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탈부 성능이 저하되는 불리가 있다. 따라서, 실험 등에 기초하여, 벼가 손상될 우려가 적고 또한 탈부 성능이 낮아지지 않도록 벼 안내 블록체(21)의 경도를 적정한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벼가 충돌면(20)에 충돌할 때의 속도나 각도는 라이너(9)에 비해 관리하기 쉬우므로, 경도를 조금 낮게 설정해도 탈부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 11,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벼 안내 블록체(21)는, 회전 축심 방향 양측이 각 지지 플레이트(18, 19)에 2개의 볼트(22)로 연결되어 있다.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벼 안내 블록체(21)를 확실하게 볼트 체결하기 위해, 각 볼트(22)의 외주부를 덮고 또한 벼 안내 블록체(21)의 회전 축심 방향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는 금속제의 암나사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암나사 부재(23)는, 회전 축심 방향 일단부끼리가 연결부(24)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벼 안내 블록체(21)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25)에 대해 회전 축심 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삽입하여 장착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벼 안내 블록체(21)는, 블레이드체(14)의 직경 방향 외측에 일련으로 이어지도록, 기단부(21a)가 블레이드체(14)의 개구(14c)에 들어가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벼 안내 블록체(21)에는, 기단부(21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연장부(21b)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블레이드체(14)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충돌면(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충돌면(20)은, 블레이드체(14)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 의해 미끄럼 이동 안내되는 벼가 충돌하여 탈부 처리가 행해진다.
블레이드체(14)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16)과 충돌면(20)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되는 자세 변경면(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세 변경면(26)은,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된 벼(M)를 자세 변경하면서 충돌면(20)으로 안내한다.
자세 변경면(26)을 형성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체(14)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 의해 미끄럼 이동 안내되는 벼(M)의 자세를 변경시켜, 벼(M)에 있어서의 가장 단단한 개소, 즉, 배아가 존재하는 끝이 가는 형상의 일단부 개소가 충돌면(20)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시키도록 하고 있다.
벼 안내 블록체(21)에 있어서의 충돌면(20)의 직경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개소에는, 자세 변경면(26)에 대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상태로 요입면(27)이 형성되어 있다. 요입면(27)과 자세 변경면(26)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자세 변경면(26)에서 안내되는 벼가, 이 단차를 뛰어넘어 충돌면(20)을 향해 투척되는 상태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충돌면(20)에 대한 충격력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벼 안내 블록체(21)에는, 충돌면(20)에 충돌한 후의 처리물을 외측의 라이너(9)를 향해 투척하는 투척 작용면(28)이 구비되어 있다. 투척 작용면(28)은, 충돌면(20)에 이어지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충돌면(20)보다도 큰 경사 각도로,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투척 작용면(28)을 구비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돌면(20)에 충돌한 후의 처리물은, 투척 작용면(28)에 의한 투척 작용에 의해, 외측의 라이너(9)의 접선 방향에 가능한 한 가까운 각도로 라이너(9)를 향해 방출된다. 그 결과, 처리물이 방출되어 라이너(9)에 충돌할 때에, 충격력은 낮아지고, 현미나 벼가 부서지거나, 배아 부분이 빠져 탈아 상태가 되는 등, 처리물이 손상될 우려가 적다.
도 8,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벼 안내 블록체(21)는,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체(14)와 회전 방향을 따라 중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벼 안내 블록체(21)에 있어서의 연장부(21b)의 회전 방향 하측 단부 위치(L1)가,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체(14)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 상측 단부 위치(L2)보다도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벼 안내 블록체(21)는,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체(14)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구비되고, 벼 안내 블록체(21)와 블레이드체(14)의 간격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벼 안내 블록체(21)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라이너(9)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된 외측 안내면(29)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분산 안내부(15)에 대해 설명한다.
분산 안내부(15)는,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병렬되는 복수의 벼 통과부(36)를 구비하고, 벼 통과부(36)는, 회전 축심 방향을 따라 한 알의 벼(M)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가로 폭을 갖고, 또한 둘레 방향 전역에 걸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산 안내부(15)는, 회전 축심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회전 축심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열되는 복수의 구획 형성 부재(30)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와, 회전 축심 방향 양측에서 복수의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의 각각이 연결되는 연결 부재(32, 33)가 구비되고, 그것들이 일체적으로 조립 장착되어 있다. 구획 형성 부재(30),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 연결 부재(32, 33)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구획 형성 부재(30)는, 원환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직경 방향을 따라 슬릿(34)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는, 직경 방향 및 회전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구획 형성 부재(30)에 대해 슬릿(34)에 삽입 장착되고, 구획 형성 부재(30)와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가 격자 형상으로 조립 장착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의 회전 축심 방향 양측 단부에는,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된 장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연결 부재(32, 33)가 복수의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의 장착부(35)에 볼트 연결되고, 복수의 구획 형성 부재(30), 복수의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 및 한 쌍의 연결 부재(32, 33)의 각각이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구획 형성 부재(3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있어서 하나의 벼 통과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벼 통과부(36)는, 회전 축심 방향을 따라 한 알의 벼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가로 폭을 갖고, 회전 축심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분할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벼 통과부(36)의 가로 폭은, 벼(M)의 긴 방향의 폭보다도 좁고, 벼(M)의 짧은 방향의 폭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벼 통과부(36)는, 둘레 방향 전역에 걸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벼 통과부(36)는, 복수의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분산 안내부(15)는, 복수의 벼 통과부(36)의 각각을 통과한 벼(M)를 각 벼 통과부(36)마다 구분한 상태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정류 상태로 안내하는 정류 안내 경로(Q)를 구비하고 있다.
설명을 더하면, 구획 형성 부재(30) 및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는 각각, 벼 공급부(7)에 있어서의 벼 안내체(11)의 외주부에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복수의 블레이드체(14)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직경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획 형성 부재(30)와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벼 공급부(7)에 있어서의 벼 안내체(11)의 외주부에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복수의 블레이드체(14)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직경 방향으로 긴 경로에 의해 정류 안내 경로(Q)가 형성되고, 벼를 각 벼 통과부(36)마다 구분한 상태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정류 상태로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산 안내부(15)에 있어서의 구획 형성 부재(30)와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는, 각각, 직경 방향 외측 단부가 복수의 블레이드체(14)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에 근접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벼 공급부(7)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와 분산 안내부(15)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 사이에 벼 도입용의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벼 공급부(7)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와 구획 형성 부재(30)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 사이는 근접하고 있다.
도 5,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끼리를 연결 고정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32, 33) 중, 본체 케이싱(1)과는 반대측(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연결 부재(32)가, 둘레 방향으로 분산 배치된 복수의 볼트(37)에 의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8, 19) 중 본체 케이싱(1)과는 반대측(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볼트(37)가, 외측 연결 부재(32)에 용접 고정되고,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 형성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38)을 삽입 관통함과 함께,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장착판(39)을 삽입 관통하여, 외측으로부터 너트(40)로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분산 안내부(15)가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도 2,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의 내부로부터, 유하 안내부(3)와, 벼 공급부(7)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매조미부(4)에 있어서의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까지 연장되는 구동축(41)이 구비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구동축(41)은, 필요에 따라 수 개소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본체 케이싱(1)의 내부에 구비된 전동 모터(5)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도 5,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41)의 본체 케이싱(1)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축 연결 부재(42)가 연결되어 있다. 축 연결 부재(42)는,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43)에 끼워 맞춤 장착되는 보스부(44)와, 보스부(44)의 회전 축심 방향 내측에 연결된 원판 형상의 장착부(45)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41)이, 토크 전달 가능하게 보스부(44)에 끼워 맞춤 접속되고, 또한 나사로 빠짐 방지된다. 그리고, 장착부(45)가 둘레 방향으로 분산 배치된 복수의 볼트(46)에 의해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볼트(46)는, 축 연결 부재(42)측에 용접 고정되고,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 형성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47)을 삽입 관통함과 함께,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장착판(39)을 삽입 관통하여, 외측으로부터 너트(48)로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축(41)과 외측 지지 플레이트(18)가 연동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체(14), 복수의 벼 안내 블록체(21) 및 각 지지 플레이트(18, 19)의 각각이, 볼트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됨과 함께, 분산 안내부(15)가 외측 지지 플레이트(18)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구동축(41)과 외측 지지 플레이트(18)가 연동 연결된다. 따라서, 임펠러부(6)는, 상기한 각 부재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축(41)의 축심[=회전 축심(X)] 주위에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벼 공급부(7)에 있어서의 벼 배출부(13)로부터 배출되는 벼(M)는, 벼 공급부(7)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와 분산 안내부(15)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 사이에 공급된다. 임펠러부(6)가 회전하면, 벼 공급부(7)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와 분산 안내부(15)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 사이에 공급되는 벼(M)는, 회전하고 있는 분산 안내부(15)에 있어서의 복수의 벼 통과부(36)에 분산시킨 상태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안내된다.
유하 안내부(3)에 의해 벼 안내체(11)에 유입 안내된 벼(M)가 벼 배출부(13)로부터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때, 1개의 벼 통과부(36)에는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한 알씩의 벼(M)가 순차적으로 들어가는 것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벼 통과부(36)에 대한 회전 축심 방향을 따르는 폭이, 한 알씩 들어가는 것이 규제되는 폭으로 설정되므로, 벼 배출부(13)로부터 배출되는 벼는, 회전 축심 방향으로 고르게 되어 분산된 상태에서 회전 축심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벼 통과부(36)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회전 축심 방향으로 분산된다. 또한, 구획 형성 부재(30)가 회전함으로써, 구획 형성 부재(30)와 벼(M)의 마찰에 의해, 벼(M)의 길이 방향이 벼 공급부(7)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도록 벼의 자세를 정렬시킬 수 있다.
벼 공급부(7)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와 구획 형성 부재(30)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 사이는 근접하고 있으므로, 벼 배출부(13)로부터 외측으로 배출될 때에, 회전 축심 방향으로 분산되어 1개의 벼 통과부(36)에 들어간 후에는, 회전 축심 방향으로 인접하는 벼 통과부(36)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벼 공급부(7)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와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 사이에는 벼 도입용의 간극(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축심 방향으로 분산된 벼는, 임펠러부(6)의 회전에 수반하여, 벼 공급부(7)와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 사이의 간극(S)을 통해 둘레 방향으로 분산된다. 둘레 방향으로 분산되어 1개의 벼 통과부(36) 내에서 순차적으로, 벼(M)가 벼 통과부(36)에 들어가 안내된다. 벼 통과부(36)에 들어가 안내된 벼(M)는, 방사상으로 설치된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에 의해 받아내어져,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안내된다.
도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 형성 부재(30)와 미끄럼 이동 안내 부재(31)는, 각각, 직경 방향 외측 단부가 블레이드체(14)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각 벼 통과부(36)의 내부를 직경 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벼(M)는,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그대로 직경 방향 외측의 블레이드체(14)를 향해 정류 상태로 안내된다.
블레이드체(14)에 있어서는, 분산 안내부(15)로부터 안내되는 벼(M)를, 그대로 계승하여,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서 받아내어 미끄럼 이동 안내하면서,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에 의해 미끄럼 이동 안내되는 벼는,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형성된 자세 변경면(26)에 의해 방향을 변경하면서, 벼 안내 블록체(21)의 충돌면(20)을 향해 안내된다.
벼(M)가 충돌면(20)에 충돌하면, 그 충격에 의해 탈부 처리가 행해지고, 벼(M)가 왕겨와 현미로 분리된다. 단, 일부의 벼(M)는, 탈부하지 않고 그대로 남는 경우도 있다. 왕겨와 현미와 미처리 벼 등을 포함하는 처리물은, 임펠러부(6)의 회전에 수반하여, 투척 작용면(28)에 의해 외측의 라이너(9)를 향해 투척되고, 외측의 라이너(9)에서 다시, 탈부 처리가 행해진다.
외측의 라이너(9)에 충돌한 후의 처리물은, 고속 회전하는 임펠러부(6)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송풍력에 의해, 반송 안내부(8a)를 통해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선별 장치로 반송된다. 선별 장치에서는, 왕겨와 현미를 분리하도록 선별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매조미 장치에서는, 탈부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선별 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매조미 장치에서는 필요하였던 현미와 미처리 벼를 선별하기 위한 특별한 선별 기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선별 장치의 소형화, 구성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매조미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지고, 벼가 충돌하는 것에 기인하여 부재가 마모되면, 마모된 부재의 교환을 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구성에서는, 대형의 부재인 라이너(9)나 블레이드체(14)는 조기에 마모될 우려가 적고, 교환의 빈도가 높은 것은 벼 안내 블록체(21)뿐이며,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탈부부로서의 벼 안내 블록체(21)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는 외측 안내면(29)만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내측 탈부부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회전 축심 방향으로 폭이 넓은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탈부부로서의 벼 안내 블록체(21)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있어서, 외측 탈부부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된 외측 안내면(29)이 형성되고, 외측 안내면(29)의 회전 방향 최상측 개소로부터 외측 안내면(29)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 즉,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51)를 형성해도 된다. 이 돌기(51)는, 도 16,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벼 안내 블록체(21)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방향의 폭의 전역에 걸치는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벼 안내 블록체(21)의 기단부(21a)로부터 외측 안내면(29)에까지 이어지는 배면부면(50)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외측 안내면(29)이 아니라, 배면부면(50)의 외측 안내면(29)측 단부 개소로부터 배면부면(50)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51)를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돌기(51)는,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할수록, 회전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경사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51)를 벼 안내 블록체(21)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방향의 폭의 전역에 걸치는 광폭으로 형성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회전 축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이면 되고, 벼 안내 블록체(21)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방향의 폭 중 일부의 영역만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돌면(20)과 자세 변경면(26)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도 15,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돌면(20)과 자세 변경면(26)이 일련으로 이어지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돌면(20)의 직경 방향 내측에 자세 변경면(26)으로서 만곡 형상의 면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자세 변경면으로서,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평탄면으로 구성하는 것이어도 되고, 이러한 자세 변경면을 구비하지 않고, 블레이드체(14)가 평탄한 미끄럼 이동 안내면(16)을 구비할 뿐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탈부부로서의 벼 안내 블록체(21)에, 충돌면(20)에 충돌한 후의 처리물을 외측 탈부부로서의 라이너(9)를 향해 투척하는 투척 작용면(28)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충돌면(20)에서 투척하도록 하여, 투척 작용면(28)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벼 안내 블록체(21)가,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임펠러부(6)와 회전 방향을 따라 중복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그것들이 중복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벼 안내 블록체(21)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라이너(9)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된 외측 안내면(29)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벼 안내 블록체(21)의 외주부의 형상은 이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탈부부로서의 벼 안내 블록체(21)가 블레이드체(14)의 직경 방향 외측에 이어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내측 탈부부는 블레이드체(14)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탈부부로서의 벼 안내 블록체(21)를, 연질의 합성 수지재인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연질재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지만, 벼 안내 블록체(21)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다른 종류의 연질재를 사용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임펠러부(6)가, 복수의 블레이드체(14)와 분산 안내부(15)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분산 안내부(15)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벼 공급부(7)로부터 배출되는 벼가 그대로 복수의 블레이드체(14)에 의해 안내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임펠러식의 매조미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6 : 임펠러부
9 : 외측 탈부부
14 : 블레이드체
16 : 미끄럼 이동 안내면
20 : 충돌면
21 : 내측 안내면
26 : 자세 변경면
28 : 투척 작용면
29 : 안내면
L1 : 하측 단부
L2 : 상측 단부

Claims (9)

  1. 외부로부터 반입된 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벼 공급부와,
    상기 벼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벼를 수용하도록 상기 벼 공급부의 외주를 따라 설치됨과 함께, 상기 벼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상기 벼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임펠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체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체 각각의 직경 방향 외측 개소에 위치하여, 상기 블레이드체에 의해 안내된 벼를 수취하고, 충돌에 의해 탈부하는 복수의 내측 탈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임펠러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부에 의해 투척된 벼를 수취하고, 충돌에 의해 탈부하는 외측 탈부부를 구비하고 있는, 매조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는, 상기 블레이드체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과 교차하는 충돌면을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체의 미끄럼 이동 안내면과 상기 충돌면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또는 만곡되는 자세 변경면이 형성되어 있는, 매조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에,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상기 충돌면에 충돌한 후의 처리물을 상기 외측 탈부부를 향해 투척하는 투척 작용면이 구비되고,
    상기 투척 작용면의 상기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대한 경사각은, 상기 충돌면의 상기 미끄럼 이동 안내면에 대한 경사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매조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의 상기 회전 방향 하측 단부가, 그 내측 탈부부에 대해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상기 임펠러부의 상기 회전 방향 상측 단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매조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의 상기 회전 방향 하측 단부가, 그 내측 탈부부에 대해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상기 임펠러부의 상기 회전 방향 상측 단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매조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의 상기 회전 방향 하측 단부가, 그 내측 탈부부에 대해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인접하는 상기 임펠러부의 상기 회전 방향 상측 단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매조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상기 외측 탈부부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된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매조미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폭이 넓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매조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탈부부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폭이 넓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매조미 장치.
KR1020160050021A 2015-04-28 2016-04-25 매조미 장치 KR20160128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1953A JP6521718B2 (ja) 2015-04-28 2015-04-28 籾摺装置
JPJP-P-2015-091953 2015-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31A true KR20160128231A (ko) 2016-11-07

Family

ID=5748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021A KR20160128231A (ko) 2015-04-28 2016-04-25 매조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21718B2 (ko)
KR (1) KR20160128231A (ko)
CN (1) CN106076456B (ko)
TW (1) TWI6939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1417B (zh) * 2017-07-11 2020-04-03 石家庄弘得发机械有限公司 一种轴体结构及玉米脱皮脱胚破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440A (ja) 2001-07-06 2003-01-21 Iseki & Co Ltd 籾摺選別機のインペラ回転数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6778Y1 (ko) * 1966-08-01 1969-11-10
JPS5126351B1 (ko) * 1968-06-25 1976-08-05
JPS5354571A (en) * 1976-10-20 1978-05-18 Yoshimine Takasaki Wind pressure type full automatic husking method
JPS54105048A (en) * 1978-02-01 1979-08-17 Haruo Imamura Accelerating plate structure of husker
JPS54123463A (en) * 1978-03-10 1979-09-25 Kouzou Sugihara Husking device for grain
JPS5535918U (ko) * 1978-08-25 1980-03-07
US4393762A (en) * 1980-04-21 1983-07-19 Jacobs Wilson E Sunflower seed dehulling machine
JPS59340A (ja) * 1982-06-26 1984-01-05 株式会社大竹製作所 脱ぷ機における脱ぷフアン
JPH03146139A (ja) * 1989-10-31 1991-06-21 Iseki & Co Ltd インペラ型籾摺装置の脱ぷ率制御装置
JP2590012Y2 (ja) * 1992-08-31 1999-02-10 金子農機株式会社 自家保有米用の籾摺精米機
JP3146139B2 (ja) 1995-09-05 2001-03-12 丸尾カルシウム株式会社 光拡散用プラスチック添加剤及び光拡散用プラスチック組成物
JPH10314602A (ja) * 1997-05-15 1998-12-02 Hosokawa Seisakusho:Kk 籾摺り精米機の脱ぷ用ファン
JP2001205113A (ja) * 2000-01-25 2001-07-31 Iseki & Co Ltd 脱ぷ装置
JP2004025033A (ja) * 2002-06-25 2004-01-29 Iseki & Co Ltd 籾摺装置
EP2004914B1 (de) * 2006-04-11 2010-11-24 Hermann Jun Niederer Auswurfschleuder
KR100807783B1 (ko) * 2007-08-28 2008-03-03 박재명 밤 외피 탈피장치 및 방법
US20090080499A1 (en) 2007-09-21 2009-03-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code re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440A (ja) 2001-07-06 2003-01-21 Iseki & Co Ltd 籾摺選別機のインペラ回転数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03147A (ja) 2016-12-08
TW201642954A (zh) 2016-12-16
CN106076456B (zh) 2019-10-22
TWI693967B (zh) 2020-05-21
JP6521718B2 (ja) 2019-05-29
CN106076456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8420C (fi) Cylinder med raefflade och spiraliskt anordnade slagor vid en axialmatad skoerdetroeskmaskin
US20190366350A1 (en) Discharge end wall inserts
US20180126387A1 (en) A comminuting machine comprising a rotor system and a method for comminuting feedstock
US8297877B2 (en) Rotor box for a ground milling machine and ground milling machine having such a rotor box
EP2676731A1 (en) Horizontal shaft impact crusher feed chute
WO2020241394A1 (ja) サトウキビ収穫機
US10682649B2 (en) Discharge grates for reduction mills
JP2007319777A (ja) ライナ、横置筒型ミル、および、破砕物の排出方法
US10029860B2 (en) Rotary hopper feeder for conveying and separating connection elements that have at least one shaft
KR20160128231A (ko) 매조미 장치
US10710092B2 (en) Discharge grates for reduction mills
KR20160128232A (ko) 매조미 장치
RU2493918C1 (ru) Дробилка пророщенного высушенного зерна
US4619413A (en) Forage or picking harvester
KR101514936B1 (ko)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JP7033947B2 (ja) 籾摺装置
JP4473596B2 (ja) 破砕処理装置付きコンベア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取り付け用破砕処理装置
RU2046661C1 (ru) Молотковый измельчитель кормов
WO2020241395A1 (ja) サトウキビ収穫機
JP2009022884A (ja) 破砕機
JP2008142652A (ja) 破砕処理装置および搬送装置
KR20240060095A (ko) 목재칩 제조장치
KR101127234B1 (ko) 쇼트 블러스트 장치
CN103763913A (zh) 脱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