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995A -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995A
KR20160125995A KR1020167025130A KR20167025130A KR20160125995A KR 20160125995 A KR20160125995 A KR 20160125995A KR 1020167025130 A KR1020167025130 A KR 1020167025130A KR 20167025130 A KR20167025130 A KR 20167025130A KR 20160125995 A KR20160125995 A KR 20160125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duit
occlusion
elements
disp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682B1 (ko
Inventor
위그 브루아르
기욤 족제크
Original Assignee
스티플라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플라스틱스 filed Critical 스티플라스틱스
Publication of KR2016012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65D2583/0477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dispensing of several successive articles or doses
    • B65D2583/0481One reciprocating action, e.g. to or fr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2)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요소(10, 11)인,
-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를 분배하기 위한 도관(100)을 포함하는 제1 요소(10)와,
- 분배 도관 내에, 소정 개수의 상기 물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체임버(101)를 구획하는 2개의 폐색기(1A, 2B)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요소와 협동하는 제2 요소(11)를
포함하는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폐색기(1A, 1B)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들의 상대 위치에 의존하여,
Figure pct00005
폐색기가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를 통과시키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 개구부를 구획하는 개방 형태와,
Figure pct00006
상기 개구부가 물체를 통과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치수를 갖는 폐색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요소(10, 11)는, 상대적인 슬라이딩에 의하여,
(i) 제1 폐색기가 개방 형태로 있고, 제2 폐색기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있고,
(ii) 제1 및 제2 폐색기 모두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있고,
(iii) 제1 폐색기가 폐색 형태로 있고, 제2 폐색기가 체임버(101)의 개방 형태로 있고,
(iv) 제1 및 제2 폐색기 모두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있는
폐색기의 작동 수순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COMPACTING COUNTING AND DISTRIBUTING OBJECTS}
본 발명은, 비드(bead), 과립, 마이크로-과립(micro-granule), 정제(tablet) 또는 캡슐과 같은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와, 그와 같은 물체를 수용하고 그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container), 특히 동종요법 과립(homeopathic granule)의 튜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동종요법(homeopathic treatment)의 분야에서는, 소정 개수(determined number)의 과립이 환자에 의해 직접 조정되지 않고 환자에게 투여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정 개수의 과립을 방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분배기(dispenser)들이 개발되어 왔다.
유럽 공개 특허 공보 제EP 0 002 403호에는, 과립을 수용하는 용기의 단부에 배치되고, 과립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포함하는 회전 디스크(rotary disc)와 용기 내에 나머지 과립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돌기(lug)를 포함하는 과립 분배기가 기재되어 있다. 과립을 방출하기 위하여, 회전 디스크는, 컨테이너 상에 고정된 스토퍼(stopper) 내에 배치된 셀(cell) 내로 과립의 진입을 허용하는 제1 위치로 이동하여야 하며, 이어서 스토퍼 내로 과립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통과 구멍(passage orifice)을 셀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디스크는 회전되어야 한다.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제FR 2 759 677호에는, 이와 관련하여, 과립의 유동을 위한 나선형 경사로(helical ramp)를 구비하는 목부(neck)와, 과립을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경사로로부터의 입자의 진입 위치와 입자의 방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 가능한 요소(element)를 포함하는 과립 분배기가 기재되어 있다.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제FR 2 867 459호에는, 과립의 유동 방향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분배기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과립 분배기가 기재되어 있다.
캐나다 공개 특허 공보 제CA 1,297,844호에는, 튜브의 단부에 배치되고, 소정 개수의 과립의 진입을 허용하는 튜브에 대한 중심 위치와, 과립의 통과를 차단하고 용기로부터 과립의 방출을 허용하는 튜브에 대한 편심 위치(off-center position)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는 연돌(chimney)을 포함하는 과립 분배기가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제FR 2 928 356에는, 정제의 탱크 및 정제를 위한 하우징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서랍(sliding drawer)을 포함하는 정제 분배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서랍은, 한 번에 하나의 정제의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탱크와 연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출 구멍과 연통하는 여러 연속 위치를 차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근래에, 동종요법 과립은 실질적으로 구형의 형상을 갖는 물체이지만, 그 치수는 정격 직경(rated diameter)을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정격 직경보다 큰 직경의 과립이 존재하면, 과립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된 하우징보다도 과립이 더 클 우려가 있으며, 따라서 과립을 탱크로부터 유출 구멍으로 이송하기 위한 하우징의 동작(회전 또는 병진(translation))이 개시되면, 과립에 전단력(shearing force)이 인가되어, 과립의 파손 및/또는 분배기의 작동 중단(jamming)이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정격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과립이 존재하면, 2개의 과립이 동시에 하우징 내로 맞물릴 우려가 있다. 이때에, 하우징의 동작이 개시되면, 셀 내로 단지 부분적으로 진입한 과립에 큰 전단력이 가해지고, 이는 상기 과립의 파손 및/또는 분배기의 작동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정제가 필름으로 피복된 특별한 경우에, 이러한 파손은 약물 치료의 실제 효과를 저해할 수 있으며,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이 목표물(target)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된다.
입자 크기가 일반적으로 그다지 제어되지 않는 동종요법의 용도에 있어서, 종래의 분배기에서 흔히 경험하게 되는 문제점은, 분배기의 작동 수순의 종료 시에 예정된 입자의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의약 분야의 다른 용도에 있어서는, 소정 개수의 물체가 분배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면, 겔 캡슐, 마이크로-과립, 캡슐 및 정제가 그와 같이 분배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제EP 0 002 403호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제FR 2 759 677호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제FR 2 867 459호 캐나다 공개 특허 공보 제CA 1,297,844호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제FR 2 928 35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분배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특히 분배기의 작동 중단 또는 오작동의 위험성을 제한하거나 억제하고, 물체의 원형(integrity)을 보존하기 위하여 물체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는 물체 계수 및 분배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출되는 물체를 신뢰적으로 계수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분배기의 경제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소된 개수의 요소 및 대량으로(in large series) 생산하기에 적합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계수 및 분배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요소인,
-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를 위한 도관(conduit)을 포함하는 제1 요소와,
- 분배 도관 내에, 소정 개수의 상기 물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체임버를 구획하는 2개의 폐색기(obturator)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요소와 협동하는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안되며,
상기 폐색기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의 상대 위치에 의존하여,
Figure pct00001
폐색기가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를 통과시키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 개구부(orifice)를 구획하는 이른바 체임버의 개방 형태(open configuration)와,
Figure pct00002
상기 개구부가 물체를 통과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치수를 갖는 이른바 체임버의 폐색 형태(obturation configuration)를 취할 수 있고,
폐색기는, 상기 폐색 형태에서, 접촉되게 연결되지 않은 2개의 상호 대향 경사 부분(bevelled portion)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요소는, 상대적인 슬라이딩에 의하여,
(i) 제1 폐색기가 개방 형태로 있고, 제2 폐색기가 체임버의 폐색 형태로 있고,
(ii) 제1 및 제2 폐색기 모두가 체임버의 폐색 형태로 있고,
(iii) 제1 폐색기가 폐색 형태로 있고, 제2 폐색기가 체임버의 개방 형태로 있고,
(iv) 제1 및 제2 폐색기 모두가 체임버의 폐색 형태로 있는,
폐색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순(sequence)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요소는, 작동 수순의 일부 수순 동안에, 도관으로부터 상류에 위치하는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의 혼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체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을 향하여 제2 요소를 넘어 뻗어 있도록, 도관의 축 방향을 따라 제2 요소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특별히 유리한 방식으로, 도관은,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들을 도관 내로 배향시키고/시키거나 안내하기 위하여, 상류측 단부에 경사 벽(tilted wall)을 구비한다.
본 장치의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쌍의 개구부(aperture) 및 본체의 각각의 반경 방향 개구부 내로 맞물리는 돌출부(protrusion)를 구비하는 2쌍의 가요성 암(flexible arm)을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본체를 포함하고, 제2 요소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구비하되, 그 벽은 한 쌍의 비-직선형 홈(non-rectilinear groove)으로 관통되어 있고, 제2 요소 내에서 제1 요소의 슬라이딩 중에, 2개의 각각의 가요성 암이 그 홈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홈의 윤곽은 도관 내에서 가요성 암의 돌출부와의 맞물림(engagement)을 변화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쌍의 돌출부들은 함께 폐색기를 형성하며, 개방 또는 폐색 형태는 2개의 대향 돌출부들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요소는 도관의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제1 요소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장치의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요소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그 벽은 2쌍의 개구부에 의해 관통되어 있으며, 제2 요소는 도관의 축 방향에 수직하게 뻗은 2쌍의 평행한 암을 구비하고, 각 암은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도관 내로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돌출부들 사이의 거리는 물체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충분히 작다. 더욱이, 각 암의 일부분에는 그와 같은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2 요소에 대한 제1 요소의 위치에 의존하여, 도관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돌출부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되고, 그에 따라 폐색 형태의 폐색기를 형성하거나, 도관은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폐색되지 않고, 그에 따라 상기 폐색기의 개방 형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돌출부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경사진 형상은, 폐색기가 작동할 때에, 상기 물체의 전단(shearing)을 방지하도록 물체의 볼록형 단부와 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폐색기의 폐색 형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경사 돌출부들은 접촉되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장치는 제1 및 제2 요소를 상대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장치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귀 장치(return device)는 제1 또는 제2 요소에 고정된 탄성 복귀 부재(elastic return member)를 포함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요소는 각각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본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로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물체를 수용하고 상기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용도에 따르면, 물체는 동종요법 과립, 겔 캡슐(gel capsule), 정제, 캡슐 또는 마이크로-과립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분배될 수 있는 물체의 여러 예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폐색기의 여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는, 둥근 물체의 크기에 의존하여, 체임버 내에 수용된 비드와 폐색기의 상대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분배될 물체가 겔 캡슐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의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의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한 요소에 대한 다른 하나의 요소의 복귀 장치를 포함하는 도 5a 내지 도 5e의 장치의 대안적 형태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한 요소에 대한 다른 하나의 요소의 복귀 장치를 포함하는 도 6a 내지 도 6c의 장치의 대안적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구형 또는 회전타원체 형상(spheroidal shape), 또는 볼록형 단부를 구비하는 종장형의 형상(elongated shape)을 갖는 물체를 분배하는 데에 적용된다. 비-제한적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체는 2개의 볼록형 단부들 사이에 뻗어 있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2개의 볼록형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최대 치수(또는 길이)인 물체를 "종장형(elongated)"이라고 표기한다.
종장형 물체들은, 계수 및 분배 장치의 도관 내에서, 최대 치수 방향으로 서로 차례로 배향되도록 의도된다.
도 1a 내지 도 1g는 그러한 물체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1a에는 겔 캡슐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겔 캡슐은 원형 단면의 원통형 부분과 2개의 대칭성 반구형 단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반구형 단부에 대한 곡률 반경은 원통형 부분의 반경과 동일하다. 두 반구형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원형 부분의 직경보다 크다.
도 1b는 과립과 같은 구형 물체를 나타낸다.
도 1c는, 직경이 전형적으로 0.8mm부터 4mm까지 변화하고, 전형적으로 직경과 동일한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원통형 단면을 구비하고, 단면이 특히 둥근 모자(spherical cap)와 같이 변화하여 감소하는 단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정제인 마이크로-과립을 나타낸다.
도 1d에는 캡슐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은 회전 타원면(ellipsoid of revolu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e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부분 및 2개의 예리한 단부(pointed end)를 구비하는 물체를 나타낸다. 예리한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원통형 부분의 직경보다 크다.
도 1f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부분과 2개의 대칭성 둥근 단부(rounded end)를 구비하는 물체를 나타낸다. 곡률 반경은 다소 클 수 있지만, 단부가 평면인 경우는 제외된다.
도 1g는 단부의 단면의 변화가 매우 급격히 감소하나 일정한 단면을 가진 원통형은 아닌 경계선적 경우(borderline case)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그러한 물체에도 유효하다.
도 1h는, 도 1a 내지 도 1g의 물체와는 달리, 회전 대칭성을 갖지 않는 정제의 경우를 나타낸다. 이 물체는 원통형 직립 부분(cylindrical straight portion)을 구비하며 그 기부(base)가 타원 및 타원면으로서 2개의 면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체의 단부는 타원의 장축(major axis)의 단부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고형 생약 분야(solid galenic field)에서 얻어지는 모든 형상(분말은 제외되며, 분말의 입자는 계수될 물체로 고려되지 않는다)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분배되는 물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의약 용도에 있어서, 물체는 과립, 마이크로-과립, 캡슐, 정제, 난형 형상체(egg-shaped form) 또는 기타 겔 캡슐일 수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택일적 형상들 중에서 하나를 갖는 물체는, 치수 또는 비율과는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소정 개수로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정 개수의 물체를 분배하는 것이 필요한 농산-식품 산업(agri-food industry)을 비롯한 모든 분야의 산업에서 적용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일례로 비드(2)의 분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계수 및 분배 장치(이하의 설명에서 "분배기"라고도 지칭) 내에서 폐색기(1A, 1B)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이 도면들에 있어서, 비드(2)의 탱크(3)는 분배기의 상측 부분에 위치하고 비드를 분배하기 위한 도관(100)과 연통하며, 도관은 종방향 축선(X)을 따라 뻗어 있다. 탱크로부터 분배기의 출구(outlet)까지의 비드의 유동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비드의 분배를 위하여, 축선(X)은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향해 있고 탱크는 분배기 상방에 위치하며, 따라서 비드는 중력에 의해 도관(10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도관(100)은, 축선(X)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하나의 비드를 통과시키기에 적합한 단면을 구비함으로써, 비드들은 도관(100) 내에 적재되어 있다.
분배될 물체가 종장형 물체인 경우에, 도관(100)의 단면은 길이 방향으로 물체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물체는 볼록형 단부들이 서로 대향한 상태로 도관(100) 내에 적재된다. 도관(100)의 단면은 길이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물체를 통과시키지 않으며, 도관의 소정 단면을 통하여 2개 이상의 물체를 동시에 통과시키지도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비드의 탱크와 분배기 사이의 연결부(junction)는, 도관(100)의 입구에서 비드들의 적체(bracing)를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깔때기 형상을 취한다. 실제로, 구형 또는 볼록형 단부를 구비하는 종장형 물체들은, 그 대칭성을 고려한다면, 정돈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탱크의 바닥의 중앙을 통해 인출되면, 안정적인 유사-관형 구조(pseudo-tubular structure)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중앙이 비워지게 되는데, 인출이 계속될 수 있기 위해서는, 그 구조는 기계적 혼합 작용 하에서만 붕괴될 수 있을 뿐이다.
탱크(3)의 내측 단면은 일반적으로 도관(100)의 단면보다 크고, 탱크의 내측 벽은 바람직하게는 하류측을 향하여 단면의 감소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1130)을 포함한다. 도관(100)의 상류측 단부는, 이와 관련하여, 상기 부분(1130)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벽(1030)을 구비한다.
폐색기(1A 및 1B)들은 비드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도관(100)의 상류 및 하류 부분 내에 각각 위치한다.
폐색기(1A 및 1B)들은 소정 개수의 비드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체임버(101)인 도관(100)의 일부분을 폐색기들 사이에 구획한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체임버는 단일 비드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축선(X)을 따라서 폐색기(1A 및 1B)들 사이의 거리는 비드의 정격 직경과 동일할 수 있기는 하나, 비드의 정격 직경의 1.5배보다 작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는 체임버(101)가 2개 이상의 비드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폐색기(1A 및 1B)들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체임버(101)는 그와 같은 물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불가피한 치수 공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면서, 분배될 비드를 계수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도 2a는 2개의 폐색기(1A, 1B) 모두가 체임버의 폐색 형태로 있는 분배기의 상태를 나타내며, 체임버는 이때에 비어 있다.
폐색기(1B)로부터 바로 상류의 도관 내에 존재하는 비드(2)의 통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폐색기(1A, 1B)의 상호 대향 부분들은 접촉되게 연결되지 않고 비드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색기들이 서로 접촉되게 연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체임버(10) 내에 수용된 비드에 전단력(shear)을 인가하지 않으면서, 비드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폐색기들의 상호 대향 부분들은 바람직하게는 경사 윤곽부(bevelled profile)를 구비한다.
도 2b는, 상류측 폐색기(1B)가 체임버(101)의 개방 위치(open position)에 있고 하류측 폐색기(1A)가 폐색 형태로 유지될 때에, 분배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의 상태로부터 도 2b의 상태로의 진행은, 분배기의 2개의 요소들의 상대적 슬라이딩에 의하여 달성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이하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 형태는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장치에 대응하며,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딩은 축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탱크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분배기의 요소(11)에 대하여, 통로(100)를 포함하는 요소(10)가 하류측으로 이동된다. 도 2b의 구성에 있어서, 요소(10)의 깔때기 형상을 갖는 부분(1030)은 탱크(3)의 경사 부분(1130)에 연속되게 위치하도록 이상적으로 배치(그러나, 반드시 그와 같이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되어 있으며, 이는 도관(100) 내로의 비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체임버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된 사전-결정 개수의 비드(여기서는, 하나의 비드(2))가 상기 체임버 내로 진입한다.
도 2c는, 상류측 폐색기(1B)와 하류측 폐색기(1A)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있을 때에, 분배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로부터 도 2c로의 전환은 분배기의 두 요소들의 상대적 슬라이딩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슬라이딩은 축방향으로 하류에서 상류 쪽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비드(2)는 두 폐색기들 사이의 체임버(101) 내에 유지되며, 어떠한 비드도 체임버(101) 내로 진입할 수 없거나 체임버로부터 진출할 수 없다.
폐색기(1B)가 경사형이라는 사실은, 상기 폐색기의 폐쇄 동작 중에, 체임버(101) 내에 수용된 비드 또는 상기 폐색기(1B)로부터 바로 상류에 위치하는 비드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도 2d는, 상류측 폐색기(1B)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유지되고 하류측 폐색기(1A)가 상기 체임버의 개방 형태로 있을 때에, 분배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c의 상태로부터 도 2d의 상태로의 진행은 분배기의 두 요소들의 상대적 슬라이딩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슬라이딩은 축방향을 따라 하류에서 상류 쪽으로 실시된다. 이러한 슬라이딩은, 요소(10)를 탱크(3) 내로 진입시키고, 그에 따라 탱크의 진입부에서 비드들의 적체 가능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비드의 혼합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하류측 폐색기(1A)의 개구부는, 비드(2)가 (또는, 2개 이상의 비드들이 체임버(101) 내에 수용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비드들이) 체임버로부터 탈출하여 분배기로부터 추출될 수 있게 한다.
작동 수순의 다음 단계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폐색기(1A)의 폐쇄를 수반한다. 도 2d로부터 도 2a로의 전환은 분배기의 두 요소들의 상대적 슬라이딩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딩은 축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실시된다.
다른 비드들이 추출되어야 한다면, 소망하는 전체 개수의 비드들이 얻어질 때까지, 위에 기재된 수순이 다시 적용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폐색기들의 구조는, 즉 폐색기들이 폐색 형태에서 서로 접촉되게 연결되지 않으며 경사 윤곽부를 구비한다는 사실은, 비드들의 크기가 소정 범위 내에서 변화하더라도, 체임버(101) 내에 삽입된 비드 상에 또는 폐색기(1B)로부터 상류에서 체임버(101) 내로 부분적으로 진입한 비드 상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3a는 비드의 정격 직경(φn)과 동일한 직경의 비드(2)가 체임버(101) 내에 있을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에서는, 체임버(101)가 하나의 비드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되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폐색기(1A 및 1B)들 사이의 거리는, 축선(X)에 대해 수직하고 각 경사부의 선단을 포함하는 평면들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며, 비드의 상측 단부가 상류측 폐색기(1B)의 경사부의 선단을 포함하는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폐색기(1B)로부터 바로 상류에 위치하는 비드(2)는 체임버(101) 내에 수용된 비드(2) 및 폐색기(1B)의 경사부의 상류측 부분에 접촉한다.
도 3b는, 제조 공차를 고려한 비드의 최대 직경(φs로 표기)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비드가 체임버(101) 내에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폐색기(1A 및 1B)들 사이의 거리는 도 3a의 분배기에서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 경우에, 체임버(101) 내에 수용된 비드의 상측 단부는, 상류측 폐색기(1B)의 경사부의 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의 상류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류측 폐색기(1B)는, 체임버(101) 내에 수용된 비드(2) 상에 응력을 가하지 않도록, 충분한 개구부를 구비한다. 폐색기(1B)로부터 바로 상류에 위치하는 비드(2)는 단지 체임버(10) 내에 수용된 비드(2)와 접촉한다.
도 3c는, 비드의 직경이 제조 방법 및 발생 공차를 고려한 비드의 최소 직경(φi로 표기)과 동일할 때에, 그 비드(2)가 체임버(102) 내에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폐색기(1A 및 1B)들 사이의 거리는 도 3a 및 도 3b의 분배기에서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 경우에, 체임버(101) 내에 수용된 비드(2)의 상측 단부는, 하류측 폐색기(1B)의 경사부의 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하류 쪽으로 후퇴(set back)하여 위치한다. 상류측 폐색기(1B)가 비드(2)를 체임버(101) 내로 진입시키기 위하여 개방 형태로 있을 때에, 상기 비드(2)로부터 바로 상류에 위치하는 제2 비드(2)가 체임버(101) 내로 맞물린다; 그러나, 상류측 폐색기(1B)가 폐색 형태로 복귀하면, 폐색기의 경사 형상부는 체임버(101) 내로 맞물린 상류측 비드에 전단 응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그 비드를 다시 밀어올릴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배되도록 의도된 비드의 최소 직경(φ)과 최대 직경(φs)을 고려함으로써, 폐색기들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드의 분배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는 일례로서 겔 캡슐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의 작동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겔 캡슐(2)을 수용하는 용기는 겔 캡슐을 분배하기 위한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탱크(3)는 분배기를 구성하는 요소(10, 11)들의 상방에 위치한다. 분배기의 작동 원리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작동 원리와 유사하다.
겔 캡슐을 분배하기 위한 도관(100)을 포함하는 요소(10)는 용기(3)에 고정된 요소(11)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된다.
요소(10) 및 요소(11)는 상류측 부분에 각각의 경사 벽(1030, 1130)을 구비한다.
도 4에서, 상기 벽들은 서로 연속되게 위치한다. 이러한 상황은 도 2c의 경우에 대응하며, 두 폐색기(1A 및 1B)들은 겔 캡슐(2)을 수용하는 체임버(101)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있다.
요소(10)가 화살표의 반대 방향인 상류 쪽으로 슬라이딩되면, 경사 벽(1030)은 탱크(3) 내의 벽(1130)을 넘어 상류 쪽으로 이동하여, 한편으로는, 겔 캡슐의 기계적 혼합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관(100)의 확경형 상측 단부(flared upper end)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겔 캡슐을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겔 캡슐이 도관(100)에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는, 도 5a 내지 도 5e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의 제1 실시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분배기는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4에 도시된 분배기와 유사하다.
도 5a는 폐색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협동하는 분배기의 두 요소(10, 11)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화살표는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비드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다.
요소(11)는, 축선(X)을 따라 뻗어 있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가지며, 요소의 벽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평행한 홈(112)을 구비하도록 관통되어 있는데, 그 홈은 요소(11)의 하류측 가장자리로부터 뻗어 있다. 홈(112)은 직선형이 아니며, 변곡 점(inflection point)(112C)의 양측에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부분(112A, 112B)을 구비한다.
요소(11)의 벽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평행한 직선형 홈(113)을 구비하도록 추가로 관통되어 있으며, 그 홈은 요소(11)의 하류측으로부터 뻗어 있다.
홈(112 및 113)의 기능은 이하에 설명되어 있다.
요소(10)는 요소(11) 내에서 축선(X)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된다.
요소(10)는 축선(X)을 따라 뻗어 있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갖는 본체(103)를 포함하며, 본체의 내측 벽은 비드를 분배하기 위한 도관(100)을 구획한다.
본체(103)로부터, 축선(X)에 대해 수직하게, 직경 방향으로 2개의 직선형 암(105)이 서로 반대쪽으로 뻗어 있다. 상기 암(105)은 본체(103)의 하류측 부분에 위치한다.
요소(10)는, 직선형 암(10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반경 방향으로 뻗은 2쌍의 가요성 암(102A, 102B)을 또한 포함한다.
분배기가 조립되면, 요소(10)의 가요성 암(102A, 102B)은 요소(11)의 홈(112) 내에 삽입되며, 요소(10)의 직선형 암(105)은 요소(11)의 직선형 홈(113) 내에 삽입된다.
직선형 암(105)과 직선형 홈의 협동은 요소(11) 내에서 요소(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슬라이딩 중에, 암(102A, 102B)은 경사진 홈(112)의 경로를 따르며, 상기 암과 상기 홈의 협동은 폐색기(1A, 1B)를 형성하고 상기 폐색기의 여러 형태를 부여한다.
비드를 분배하기 위한 사용 중에, 분배기의 요소(11)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요소(10)는 요소(11) 내로 슬라이딩된다.
도 5b 및 도 5c는 요소(10 및 11)들의 2개의 다른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도 5b의 상황에 있어서, 요소(10)는 요소(11)의 하류측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요소들의 하류측 가장자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있다.
가요성 암(102A, 102B)은 홈(112)의 하류측 부분(112A)에 위치한다.
홈(112)의 상기 부분(112A)의 경사로 인하여, 암(102B)으로부터 하류에 있는 암(102A)은 축선(X) 주위로 암(102B)에 대하여 변위되어 있다.
더욱이, 홈(112)의 하류측 부분(112A)은 암(102A)들을 서로 더욱 근접시키고 암(102B)들을 더욱 이격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암(102A)들은 폐색 형태의 하류측 폐색기를 형성하고, 암(102B)들은 개방 형태의 상류측 폐색기를 형성한다.
도 5c는, 도 5a와 비교하여, 요소(11) 내에서의 요소(10)의 슬라이딩이 상류 방향으로 진행된 상황을 나타낸다. 이 방향으로, 홈(112)의 변곡 점(112C)을 지나간 상류측 암(102)은, 하류측 부분(112A)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상기 홈의 상류측 부분(112B)에 위치한다.
암(102A)들은 홈(112)의 하류측 부분(112A)에 계속 있으므로, 개방 형태의 하류측 폐색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고, 암(102B)들은 폐색 형태의 상류측 폐색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더욱 근접하게 이동하여 간다.
요소(11)의 홈(112, 113)은 요소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류 쪽으로 요소(10)의 받침부(abutment)를 제공한다.
요소(10)의 구조는, 제조 완료 시의 초기 위치 및 사용의 위치에서의 요소(10)를 각각 나타내는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는 본체(103)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뻗어 있고 힌지(hinge)(106)에 의해 본체에 연결된 암(102A, 102B)을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힌지는 전형적으로 재료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힌지(106)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암(10A, 102B)을 본체(103) 쪽으로 접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각 암(102A, 102B)은 바람직하게는 둥글고 경사진 부분의 형상을 취하는 돌출부(104)를 포함하며, 암(102A, 102B)이 본체 쪽으로 접혔을 때에, 돌출부는 본체의 개구부(103A, 103B)를 향해 배치된다.
암(102A, 102B)에 가해지는 변형(strain)에 의존하여, 돌출부(104)들은 짝을 이루어(pair wise) 도관(100)의 내측으로 다소 이동하고, 그에 따라 분배될 비드(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체임버를 구획하는 상류측 및 하류측 폐색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d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요소(11) 내로 축선 방향으로 요소(10)의 슬라이딩은 탱크 내에 수용된 비드들의 혼합을 제공하고, 따라서 구형 물체 또는 볼록형 단부를 구비하는 종장형 물체의 기하학적 구조(geometrical organization)에 의한 적체 현상을 방지한다.
종장형 물체의 경우에,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혼합은 물체를 길이 방향으로 도관(100)에 진입시키도록 물체를 배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지 2개의 부재(각각은 일체형), 즉 요소(10 및 11)로 이루어지므로 특히 간단한 이러한 분배기는, 물체의 효과적인 혼합 및 분배될 물체의 정확한 계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하에는, 도 6a 내지 도 6c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의 제2 실시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분배기(1)는 축선(X)을 따라 뻗어 있는 일반적으로 관형 형상의 요소(10)를 포함하며, 그 요소의 내측 벽은 비드를 분배하기 위한 도관(100)을 구획한다. 상기 요소(10)의 내측 벽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개구부(107)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개구부는 요소(10)의 외측 벽으로부터의 2개의 돌출 리브(protruding rib)(107A, 107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분배기는, 요소(10) 상에서 축선(X)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리브(107A, 107B)들 사이에서 안내되도록 구성된 요소(11)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요소(11)는 축선(X)에 수직하게 뻗은 2개의 평행한 암(110, 111)을 포함하며, 상기 암(110, 111)은 상기 암에 수직한 평면 내에 뻗어 있는 벽(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는 도 6b에서 더욱 명확히 확인될 수 있으며, 각 암(110, 111)은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각각의 돌출부(110A, 111B)를 구비하고, 돌출부는 대향 암의 돌출부를 향해 있다. 또한, 암(110)의 돌출부(110A)는 전체적으로는 암(111)의 돌출부(111B)를 향하여 위치하지는 않는다. 각각의 암(110, 111)의 중앙 부분에는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는 암(111)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암(110)에 대해서는 반대쪽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각 돌출부는 요소(10)의 리브(107A, 107B)들 사이에서 요소(11)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돌출부가 개구부(107)와 대향할 때에, 도관(100)의 내측을 향해 뻗어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111B)들은 상류측 폐색기를 형성하고,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110A)들은 하류측 폐색기를 형성한다. 상기 폐색기들의 작동 수순은 도 2a 내지 도 2d와 관련하여 기재된 작동 수순과 유사하며, 여기에서는 축선(X)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요소(10 및 11)들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5a 내지 도 5e의 실시 형태와는 달리, 도 6a 내지 도 6c의 실시 형태는 탱크 내에 수용된 물체들의 제어된 혼합을 제공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예에서, 상기 폐색기들 사이에 구획된 체임버(101)는 4개의 비드(도 6c 참조)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하나의 물체를 비롯하여, 다른 개수의 비드 또는 구형 물체 또는 볼록형 단부를 구비하는 종장형 물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이와 관련하여, 요소(10)의 벽은 다수의 개구부(107) 및 이와 대응하는 리브(107A, 107B)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지, 체임버(101)로부터 상류의 한 쌍의 개구부 및 상기 체임버로부터 하류의 한 쌍의 개구부가 존재하면, 분배기를 형성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다수의 개구부 및 리브의 존재는, 축선(X)을 따라 요소(11)의 암(110, 111)들의 간격을 단순히 변경함으로써 체임버(101) 내에 수용된 비드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전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요소(10 및 11)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기는 2개의 부재만으로 제조되며, 그 조립은 매우 간단하다.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배기는, 고려된 실시 형태와는 무관하게, 요소(10 및 11)를 위한 상대적인 복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귀 장치는, 상류측 및 하류측 폐색기 모두를 각각 체임버의 개방 형태 및 폐색 형태로 복귀시키도록, 예를 들면 요소(10 및 11)들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복귀 부재는 위에 기재된 제1 및 제2 요소들 중에서 하나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조체들 중 하나에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제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7a 및 도 7b는 도 5a 내지 도 5e의 실시 형태의 대안에 따른 요소(11)의 사시도 및 조립된 분배기(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e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요소들은 다시 설명되어 있지는 않다.
요소(11)는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예를 들면, S-형상의) 곡선형 리프(curved leaf)(115)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는 단부(115A)에서 요소(11)의 벽에 연결되고, 반대쪽 단부(115B)는 자유롭다.
바람직하게는, 리프(115)는 요소(11)의 일체형 부분이고, 요소(11)를 몰딩(molding)함으로써 그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리프(115)는 형상, 치수 및 사용 재료에 의존하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다.
요소(10)는, 요소(11) 내로 슬라이딩하여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리프의 자유 단부(115B)와 대향하도록 의도된 지지 표면을 구비하는 플랜지(116)를 하류측 단부에 포함한다. 특히, 플랜지(116)는 리프(115)의 자유 단부(115B)가 안착될 수 있는 지지 표면(116A)을 상류측에 포함한다.
요소(11)는 플랜지(116)의 하류측으로 받침부를 형성하는 받침 부재(117)를 포함한다.
분배기(1)가 그와 같이 조립되었을 때에,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도 2b를 또한 참조), 리프(115)는 요소(10)를 축 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하여, 상류측 폐색기가 개방 형태로 있고 하류측 폐색기가 폐색 형태로 있는 위치로,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물체를 분배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요소(10)는 리프(115)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축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하여 슬라이딩된다.
제1 단계(phase)에서, 이러한 슬라이딩은 폐색기 모두를 체임버의 폐색 형태로 배치시킨다(도 2c 참조).
제2 단계에서, 슬라이딩이 상류측을 향하여 계속됨에 따라, 상류측 폐색기는 폐색 형태로 유지되고, 하류측 폐색기는 체임버의 개방 형태로 전환된다(도 2d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체임버 내에 수용되었던 물체(들)는 분배기로부터 방출된다.
요소(10)는 그 후에 해제되어, 리프(115)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하여 가압되며,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형태로 복귀된다. 상류측 폐색기가 체임버의 개방 형태로 있으므로, 새로운 물체가 체임버 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폐쇄 형태로 있는 하류측 폐색기에 의하여 유지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a 내지 도 6c의 실시 형태의 대안에 따른 요소(11)의 사시도 및 조립된 분배기(1)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와 관련하여 설명된 요소들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되어 있지 않다.
벽(114)은 종방향 노치(longitudinal notch)(114A)를 구비하며, 그 내측에 암(110, 111)의 방향으로 돌출한 곡선형 리프(115)가 뻗어 있고, 리프(115)는 단부들 중에서 하나의 단부(115A)가 벽(114)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115)는 요소(11)의 일체형 부분이며, 요소(11)를 몰딩함으로써 그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리프(115)는 형상, 치수 및 사용 재료에 의존하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다.
요소(10)가 요소(1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면,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프(115)는 벽(114)으로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류측 폐색기가 개방 형태로 있고 하류측 폐색기가 폐색 형태로 있는 위치로, 요소(10)를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물체를 분배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요소(10)는 리프(115)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벽(114)을 향해 슬라이딩된다.
제1 단계에서, 이러한 슬라이딩은 요소(11)와 두 암의 돌출부(110A 및 111B)들의 동시 협동에 의하여 폐색기 모두를 체임버의 폐색 형태로 배치시킨다.
제2 단계에서, 슬라이딩이 벽(114)을 향하여 계속됨에 따라, 상류측 폐색기는 요소(10)와 돌출부(111B)의 협동에 의하여 폐색 형태로 유지되고, 하류측 폐색기는 체임버의 개방 형태로 전환되어, 요소(10)는 돌출부(110A)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체임버 내에 수용되었던 물체(들)는 분배기로부터 방출된다.
요소(10)는 그 후에 해제되어, 리프(115)에 의하여 벽(11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형태로 복귀된다. 상류측 폐색기가 체임버의 개방 형태로 있으므로, 새로운 물체가 체임버 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폐쇄 형태로 있는 하류측 폐색기에 의해 유지된다.
분배기의 여러 실시 형태가 위에 기재되었으며, 분배기는 분배될 물체를 수용하는 탱크에 조립된 구성요소로서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분배기는 기존 탱크 상에 적용될 수 있는 튜브, 특히 동종요법 과립을 위한 튜브와 같은 치수를 갖는다. 용기 상에 분배기 고정은, 용접, 접착 접합, 스냅-온 체결(snap-on fastening)을 포함하는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면 요소들 중 하나가 탱크와 일체형으로 제조되도록 보장함으로써, 분배기는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가 축방향 슬라이딩 구조(도 5a 내지 도 5e의 실시 형태)를 갖는 경우에, 탱크와 일체화되는 것은 요소(11)이며, 요소(10)는 축방향 슬라이딩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에 따라 탱크에 수용된 물체들을 혼합할 수 있게 하는 분배 도관(100)을 포함한다. 분배기가 종방향 축선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의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경우에, 분배 도관(100)을 포함하는 요소(10)는 바람직하게 탱크와 일체화되고, 요소(11)는 이동 가능하다.

Claims (13)

  1.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요소(10, 11)인,
    -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를 분배하기 위한 도관(100)을 포함하는 제1 요소(10)와,
    - 분배 도관 내에, 소정 개수의 상기 물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체임버(101)를 구획하는 2개의 폐색기(1A, 2B)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요소와 협동하는 제2 요소(11)를 포함하는,
    물체(2)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1)로서,
    상기 폐색기(1A, 1B)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들의 상대 위치에 의존하여,
    Figure pct00003
    폐색기가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치수를 갖는 개구부를 구획하는 이른바 체임버의 개방 형태와,
    Figure pct00004
    상기 개구부가 물체를 통과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치수를 갖는 이른바 체임버의 폐색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폐색기는, 상기 폐색 형태에서, 접촉되게 연결되지 않는 2개의 상호 대향 경사 부분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요소(10, 11)는, 상대적인 슬라이딩에 의하여,
    (i) 제1 폐색기가 개방 형태로 있고, 제2 폐색기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있고,
    (ii) 제1 및 제2 폐색기 모두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있고,
    (iii) 제1 폐색기가 폐색 형태로 있고, 제2 폐색기가 체임버(101)의 개방 형태로 있고,
    (iv) 제1 및 제2 폐색기 모두가 체임버(101)의 폐색 형태로 있는
    폐색기의 작동 수순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요소(10)는, 작동 수순의 일부 수순 동안에, 도관(100)으로부터 상류에 위치하는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들의 혼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류측을 향하여 제2 요소(11)를 넘어 뻗어 있도록, 도관(100)의 축 방향(X)을 따라 제2 요소(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도관(100)은, 피계수 및 피분배 물체들을 도관 내에 배향시키고/시키거나 안내하도록, 상류측 단부에 경사 벽(10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있어서,
    - 제1 요소(10)는, 대향하는 2쌍의 반경 방향 개구부(103A, 103B) 및 각각의 반경 방향 개구부(103A, 103B) 내로 맞물리는 돌출부(104)를 구비하는 2쌍의 가요성 암(102A, 102B)을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본체(103)를 포함하고,
    - 제2 요소(11)는 한 쌍의 비-직선형 홈(112)에 의해 관통된 벽을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2 요소(11) 내로 제1 요소(10)의 슬라이딩 중에, 상기 홈 내에서 2개의 각각의 가요성 암(102A, 102B)이 이동하고, 상기 홈(112)의 윤곽은 도관(100) 내에 가요성 암의 돌출부의 맞물림을 변화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소(11)는 도관(100)의 축 방향(X)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제1 요소(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요소(10)는 2쌍의 개구부(107)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벽을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2 요소(11)는 도관(100)의 축 방향(X)에 수직하게 뻗은 2쌍의 평행한 암(110, 111)을 구비하고, 각 암은 각각의 개구부(107)를 통해 도관(100) 내로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돌출부(110A, 11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돌출부(104, 110A, 110B)는 경사진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폐색기의 폐색 형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경사진 돌출부들은 접촉되게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에서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요소(10, 11)에 대한 상대적인 복귀 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장치는 제1 요소(10) 또는 제2 요소(11)에 고정된 탄성 복귀 부재(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에서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요소(10, 11)는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장치(10)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10, 11)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12. 물체를 수용하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에서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물체는 동종요법 과립, 겔 캡슐, 정제, 캡슐 또는 마이크로-과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67025130A 2014-02-12 2015-02-12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KR102340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1065 2014-02-12
FR1451065A FR3017377B1 (fr) 2014-02-12 2014-02-12 Dispositif de comptage et de distribution d'objets
PCT/EP2015/052972 WO2015121353A1 (fr) 2014-02-12 2015-02-12 Dispositif de comptage et de distribution d'obj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995A true KR20160125995A (ko) 2016-11-01
KR102340682B1 KR102340682B1 (ko) 2021-12-17

Family

ID=5082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130A KR102340682B1 (ko) 2014-02-12 2015-02-12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147741B2 (ko)
EP (1) EP3105145B1 (ko)
JP (1) JP6492098B2 (ko)
KR (1) KR102340682B1 (ko)
CN (1) CN106132842B (ko)
BR (1) BR112016018212B1 (ko)
CA (1) CA2938147C (ko)
ES (1) ES2661133T3 (ko)
FR (1) FR3017377B1 (ko)
MY (1) MY188440A (ko)
PL (1) PL3105145T3 (ko)
PT (1) PT3105145T (ko)
RU (1) RU2670035C2 (ko)
TR (1) TR201802520T4 (ko)
WO (1) WO2015121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377B1 (fr) * 2014-02-12 2017-01-13 Stiplastics Dispositif de comptage et de distribution d'objets
ES2914403T3 (es) * 2017-12-12 2022-06-10 Gd Spa Envase dispensador con abertura deslizante para artículos a granel
FR3088625B1 (fr) 2018-11-20 2020-12-18 Stiplastics Dispositif securise de comptage et de distribution d’objets
CN109646309B (zh) * 2018-12-20 2021-07-16 林晶 一种中成药数粒槽
CN110329667A (zh) * 2019-08-14 2019-10-15 北京美博斯智能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药片分配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2403A1 (fr) 1977-11-28 1979-06-13 LABORATOIRES SUPPO-STERIL Société à responsabilité limitée dite: Bouchon pour le comptage et la distribution de granules disposées dans un récipient
EP0051994A1 (en) * 1980-11-10 1982-05-19 Merck & Co. Inc. Medicament dispensing container
JPS58143369U (ja) * 1982-03-19 1983-09-27 光洋精工株式会社 ボ−ル定数個取り出し装置
CA1297844C (fr) 1986-05-13 1992-03-24 Jean Claude Jeandaud Appareil distributeur a granulee, notamment pour un tube de medicamentshomeopathiques, et procede pour son utilisation
CN2151106Y (zh) * 1993-02-19 1993-12-29 单崎 控量取物品的包装容器
US5737902A (en) * 1996-09-19 1998-04-14 Aylward Enterpris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pills
FR2759677A1 (fr) 1997-02-14 1998-08-21 Coradin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granules
CN2575041Y (zh) * 2002-09-16 2003-09-24 王高峰 一种颗粒物多粒定量分粒器
FR2867459A1 (fr) 2004-03-11 2005-09-16 Denis Varichon Dispositif distributeur de granules homeopathiques
FR2928356A1 (fr) 2008-03-04 2009-09-11 Rexam Pharma La Verpilliere So Distributeur de comprimes
JP2011131931A (ja) * 2009-12-25 2011-07-07 Hanshin Kasei Kogyo Kk 錠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3623A (en) * 1920-05-08 1921-07-05 James E Groves Machine for feeding pellets into containers
US2683554A (en) * 1951-04-21 1954-07-13 Jr George C Mulhauser Pill dispenser
US2786566A (en) * 1953-06-24 1957-03-26 Lilly Co Eli Capsule orienting and feeding device
DE1535069B2 (de) * 1965-11-06 1977-08-18 Zinser Textilmaschinen Gmbh, 7333 Ebersbach Vorrichtung zum beschicken von spinn- oder zwirnmaschinen
US3968902A (en) * 1975-03-17 1976-07-13 Bachmann Mario E Tablet dispenser
US4113143A (en) * 1977-03-02 1978-09-12 Spagnola Jr Raymond J Bingo chip dispenser
US4146151A (en) * 1977-03-18 1979-03-27 Davis Edward H Automatic chip or button placer
US4457451A (en) * 1980-09-29 1984-07-03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feeding electric circuit elements
US4653668A (en) * 1980-11-10 1987-03-31 Merck & Co., Inc. Medicament dispensing container
JPS57112869A (en) * 1980-11-10 1982-07-14 Merck & Co Inc Drug dispensing container
US4405060A (en) * 1981-07-20 1983-09-20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Tablet dispensing device
US4445018A (en) * 1982-01-07 1984-04-24 Mcgraw-Edison Company Energy efficient floating head puffer interrupter
US4679377A (en) * 1984-12-05 1987-07-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applying an end plug to an end of a fuel rod tube
US4648529A (en) * 1985-06-12 1987-03-10 Cetus Corporation Dispensing apparatus for storing, draining and dispensing beads
GB8606427D0 (en) * 1986-03-15 1986-04-23 Wagner M Dispensers
CH672772A5 (ko) * 1987-03-20 1989-12-29 Alfatechnic Ag
CN1045522A (zh) * 1989-03-17 1990-09-26 路易斯·凯迪华斯 药丸容器计量配给器
US5054649A (en) * 1990-04-27 1991-10-08 I.G. Design Reciprocating object dispenser
DK196291D0 (da) * 1991-12-05 1991-12-05 Novo Nordisk As Apparat
JP3343480B2 (ja) * 1996-08-05 2002-11-11 アンリツ株式会社 カプセル重量測定装置
US5829632A (en) * 1997-02-11 1998-11-03 Gemel Precision Tool Co., Inc. Flexible band pharmaceutical product feeder gate assembly
DE19819395C1 (de) * 1998-04-30 1999-10-2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Wiegen von Hartgelatinekapseln o. dgl.
US6237804B1 (en) * 1999-05-17 2001-05-29 Van Collin Peery Pill dispensing apparatus
JP2002001093A (ja) * 2000-06-28 2002-01-08 Mitsui High Tec Inc 球状物の供給装置および球状物の供給方法
AR039050A1 (es) * 2000-10-13 2005-02-09 Cadbury Schweppes Plc Dispensador para articulos pequenos tales como confituras, suplementos alimenticios, productos farmaceuticos o tabletas
US6684914B2 (en) * 2001-10-11 2004-02-03 Kirby-Les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high-speed discrete object counting and dispensing
US7066350B2 (en) * 2002-08-21 2006-06-27 Aylward Enterprises, Inc. Feeder tub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pills
CH695993A5 (de) * 2002-12-23 2006-11-15 Medisize Schweiz Ag Dosierbehälter für Wirkstoffe in Kügelchenform.
FR2868403B1 (fr) * 2004-03-30 2006-06-09 Airsec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unite par unite, d'objets conformes tels que comprimes pharmaceutiques
US7523594B2 (en) * 2005-08-24 2009-04-28 Greenwald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solid pharmaceutical and/or nutraceutical products and automatically arranging the solid pharmaceutical and nutraceutical products in a linear transmission system
US20090032547A1 (en) * 2007-07-31 2009-02-05 Theresa Litherland Three button actuated pill holder/dispenser
EP2289480A3 (en) * 2007-12-21 2011-10-19 DSM IP Assets B.V. Locking element for dispenser
DE102008059673A1 (de) 2008-11-26 2010-05-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Kartusche, ein die Kartusche enthaltender Arzneimittelspender sowie Verwendungen der Kartusche und des Arzneimittelspenders
EP2199209B1 (de) * 2008-12-22 2011-06-15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füllen pharmazeutischer Produkte in Verpackungsbehälter
DE102011112953A1 (de) * 2011-09-13 2013-03-14 Vita-Spend Gmbh Einstellbarer Tablettenspender zur Vereinzelung von Tabletten mit unterschiedlichen Abmessungen
US20170281471A1 (en) * 2011-11-03 2017-10-05 Pscap, Llc Pill dispensing assembly
JP5920717B2 (ja) * 2012-06-25 2016-05-18 大成化工株式会社 錠剤容器
US9394070B2 (en) * 2012-10-08 2016-07-19 Pearson Medical Technologies, Llc Pill packaging machine
US8936175B1 (en) * 2013-02-07 2015-01-20 Michael Song Locked pill bottle with timed dispense limits
KR101362648B1 (ko) 2013-03-28 2014-02-12 김광식 상부 토출용 식품 또는 약품 디스펜서
FR3007969B1 (fr) * 2013-07-05 2016-01-29 Medicodose Systems Distributeur d'une dose unitaire d'une substance active sous une forme galenique solide
FR3017377B1 (fr) * 2014-02-12 2017-01-13 Stiplastics Dispositif de comptage et de distribution d'objets
CN106032005B (zh) * 2015-03-17 2019-11-2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导向功能的螺丝释放装置
GB2557201A (en) * 2016-11-30 2018-06-20 Reckitt Benckiser Finish Bv Dosing device and system
GB2557204B (en) * 2016-11-30 2019-02-20 Reckitt Benckiser Finish Bv Dosing device and system
GB2557202B (en) * 2016-11-30 2019-05-15 Reckitt Benckiser Finish Bv Dosing devic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2403A1 (fr) 1977-11-28 1979-06-13 LABORATOIRES SUPPO-STERIL Société à responsabilité limitée dite: Bouchon pour le comptage et la distribution de granules disposées dans un récipient
EP0051994A1 (en) * 1980-11-10 1982-05-19 Merck & Co. Inc. Medicament dispensing container
JPS58143369U (ja) * 1982-03-19 1983-09-27 光洋精工株式会社 ボ−ル定数個取り出し装置
CA1297844C (fr) 1986-05-13 1992-03-24 Jean Claude Jeandaud Appareil distributeur a granulee, notamment pour un tube de medicamentshomeopathiques, et procede pour son utilisation
CN2151106Y (zh) * 1993-02-19 1993-12-29 单崎 控量取物品的包装容器
US5737902A (en) * 1996-09-19 1998-04-14 Aylward Enterpris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pills
FR2759677A1 (fr) 1997-02-14 1998-08-21 Coradin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granules
CN2575041Y (zh) * 2002-09-16 2003-09-24 王高峰 一种颗粒物多粒定量分粒器
FR2867459A1 (fr) 2004-03-11 2005-09-16 Denis Varichon Dispositif distributeur de granules homeopathiques
FR2928356A1 (fr) 2008-03-04 2009-09-11 Rexam Pharma La Verpilliere So Distributeur de comprimes
JP2011131931A (ja) * 2009-12-25 2011-07-07 Hanshin Kasei Kogyo Kk 錠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2155A (ja) 2017-05-18
FR3017377B1 (fr) 2017-01-13
MY188440A (en) 2021-12-09
CN106132842A (zh) 2016-11-16
PL3105145T3 (pl) 2018-05-30
BR112016018212A2 (ko) 2017-08-08
ES2661133T3 (es) 2018-03-27
EP3105145A1 (fr) 2016-12-21
US11147741B2 (en) 2021-10-19
JP6492098B2 (ja) 2019-03-27
CA2938147A1 (fr) 2015-08-20
RU2670035C2 (ru) 2018-10-17
PT3105145T (pt) 2018-03-08
RU2016136431A (ru) 2018-03-15
US20160346166A1 (en) 2016-12-01
EP3105145B1 (fr) 2017-11-29
KR102340682B1 (ko) 2021-12-17
WO2015121353A1 (fr) 2015-08-20
TR201802520T4 (tr) 2018-03-21
CA2938147C (fr) 2023-05-23
FR3017377A1 (fr) 2015-08-14
RU2016136431A3 (ko) 2018-08-06
CN106132842B (zh) 2018-10-30
BR112016018212B1 (pt)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5995A (ko)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US5881721A (en) Apparatus for orienting and positioning an elongate object for dispensing
RU24632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ачи таблеток
US20120097712A1 (en)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eale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NO316787B1 (no) Pulverinhalator
KR100978528B1 (ko) 알약 정량배출장치
HU225868B1 (en) Method and dosage device for measuring out predetermined amounts of a particulate substance
EP2271388B1 (en) Particulate dispenser
CN106456374B (zh) 具有固定式漏斗分隔体的耳塞分配器
JP5959269B2 (ja) 噴霧容器
KR101673132B1 (ko) 걸림 방지기능이 구비된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EP2827976B1 (en) A device for mixing and dispensing flowable components
JP2019507625A (ja) 吸入器
JP6199953B2 (ja) 投薬ディスペンサ
US20190031425A1 (en) Plunger Dispenser
US9862534B2 (en)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prismatic tablets
JP7320140B2 (ja) 薬剤吐出装置
RU26954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и выдачи текучих веществ
KR200484105Y1 (ko)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RU2802528C2 (ru) Защищ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счета и выдачи предметов
EP3457094A1 (en) A device for dosing and dispensing material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device
KR20220155990A (ko)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을 위한 디스펜서 헤드 및 디스펜서
WO2006005134A1 (en) Lotion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