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990A -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을 위한 디스펜서 헤드 및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을 위한 디스펜서 헤드 및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990A
KR20220155990A KR1020227031260A KR20227031260A KR20220155990A KR 20220155990 A KR20220155990 A KR 20220155990A KR 1020227031260 A KR1020227031260 A KR 1020227031260A KR 20227031260 A KR20227031260 A KR 20227031260A KR 20220155990 A KR20220155990 A KR 20220155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ction
support section
dos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터 에스테브
Original Assignee
엠파시스 임포르타도라 익스포르타도라 에 디스트리뷰이도라 엘티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시스 임포르타도라 익스포르타도라 에 디스트리뷰이도라 엘티디에이. filed Critical 엠파시스 임포르타도라 익스포르타도라 에 디스트리뷰이도라 엘티디에이.
Publication of KR2022015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6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differential pressur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2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dispens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each time, by which action movable parts may be displaced by their own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80Testing, e.g. for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8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articles passing through a small opening or passage, without additional dispensing devices and without retaining means for the following art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flexible or elastic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81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removably mounted in a test c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유닛(C)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 헤드(100)가 제공되며, 디스펜서 헤드(100)는: 투여 축선(104)을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저장조(11)로부터 유닛(C)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106)를, 유닛(C)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108)에 연결하는 투여 덕트(102); 투여 축선(104)에 평행한 출구 포트(108)로부터 연장되는, 유닛(C)을 위한 지지 섹션(130); 및 지지 섹션(130)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유 섹션(11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을 위한 디스펜서 헤드 및 디스펜서
본 개시는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dispensing unit)을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청구항 1에 따른 디스펜서 헤드, 및 또 다른 독립 청구항에 따른 디스펜서에 의해 해결된다. 추가의 유리한 특징은 추가의 청구범위,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특히 캡슐 또는 정제(tablet)의 형태인,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유닛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 헤드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펜서 헤드는: 투여 축선(dosing axis)을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저장조(reservoir)로부터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inlet port)를, 상기 유닛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outlet port)에 연결하는 투여 덕트(dosing duct); 상기 투여 축선에 평행한 출구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유닛을 위한 지지 섹션(support section); 및 상기 지지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유 섹션(retention section)을 포함한다.
디스펜서 헤드는 사용자에 의해 픽업될 수 있는 단일 유닛의 분배를 허용한다. 디스펜서 헤드는, 전술한 각각의 유닛이 제거된 후에만, 또 다른 각각의 유닛을 분배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지지 섹션은 출구 포트를 통해 제공되는 유닛을 지지한다. 보유 섹션은, 투여 축선을 따라 이동하고 그리고 지지 섹션에 의해 지지되는 유닛의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유닛을 수집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보유 섹션은 투여 축선을 따라 유닛의 제거를 제한한다. 사용자에게는 한 번에 하나의 단일 유닛만 제공될 것이며,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펜서 헤드로부터 상기 단일 유닛을 제거할 수 있어서, 수용기/저장조(recipient/reservoir) 내측의 캡슐 또는 테이블과의 원치 않는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용기 또는 저장조에 보관되는 다수의 유닛은 사용자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보호된다. 이에 따라, 나머지 다수의 유닛이 오염으로부터 보호된다.
이에 따라, 디스펜서 헤드는 기존의 병(bottle) 및 수용기와 관련된 투여 및 오염 문제를 해결한다.
의약품 유닛의 예로는, 의약품을 둘러싸는 외피를 구비한 캡슐, 의약품을 포함하는 알약 및 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식품 또는 식품 보조제의 예로는, 사탕, 감미료(sweetener), 설탕 구체(sugar globule)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한 예에 따라, 출구 포트는 보유 섹션을 향해 개방되며 그리고 상기 지지 섹션과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결(cutout)에 의해 한정된다.
유리하게는, 절결은 유닛의 원위 부분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허용하므로, 유닛이 보유 섹션에 의해 차단되지 않아서, 유닛을 지지 섹션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허용한다.
유리한 예에 따라, 지지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평행한 벽이 출구 포트를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유닛, 특히 캡슐은 측부로 탈출할 수는 없다.
유리한 예에 따라, 보유 섹션은 출구 포트와 대면하는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리세스는 출구 포트에서 나온 후 유닛을 부분적으로 유지한다. 출구 포트 및 지지 섹션과 함께, 리세스는 캡슐을 그 제거 위치에 유지시킨다.
유리한 예에 따라, 지지 섹션은 투여 축선과 대면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지지 섹션의 리세스는 유닛을 수용하며, 그리고 유닛의 원치 않는 낙하를 방지한다.
유리한 예에 따라, 지지 섹션은 보유 섹션을 향해 테이퍼진다.
지지 섹션의 결과적인 횡방향 절결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닛의 횡방향 측부를 파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유리한 예에 따라, 디스펜서 헤드는 봉입체(enclosing body); 및 상기 봉입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후퇴 위치와 픽업 위치 사이에서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투여체(dosing body)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체는 투여 덕트, 지지 섹션, 및 보유 섹션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중력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추가적인 힘은, 투여체의 후퇴 위치 또는 픽업 위치 내로의 움직임을 유발시킨다. 투여체를 후퇴시킴으로써, 픽업 섹션이 후퇴된다. 유리하게는, 이런 후퇴 움직임은 픽업 문제로부터 밀봉을 분리시킨다.
유리한 예에 따라, 투여체가 그 픽업 위치에 있는 경우라면, 봉입체는 원위 개구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지지 섹션 및 보유 섹션이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투여체가 픽업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픽업 섹션은 봉입체의 원위 개구를 통과한다.
또 다른 유리한 예에 따라, 디스펜서 헤드는 원위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폐쇄 섹션을 구비한 덮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펜서가 밀봉될 수 있어서, 원치 않는 습기 유입을 피할 수 있다.
유리한 예에 따라, 디스펜서 헤드는 투여체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중량체(weight body)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보조 중량체는 한편으로는 투여체 자체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만, 그러나 가동체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킨다.
유리한 예에 따라, 보조 중량체는 건조제(desiccant)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건조제는 디스펜서 헤드에 통합된다. 저장조 내측의 느슨한 건조제 총알(desiccant bullet)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유닛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는 제1 양태에 따른 디스펜서 헤드, 및 다수의 유닛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를 포함한다.
도 1, 도 5, 및 도 10은 단일 유닛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의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디스펜싱 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펜싱 헤드를 사시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디스펜싱 헤드의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디스펜싱 헤드를 사시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5의 디스펜싱 헤드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5 내지 도 18은 디스펜싱 헤드의 투여체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그 후퇴 위치에 있는 투여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투여체가 그 픽업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투여체 및 봉입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4는 디스펜서(40)를 위한 그리고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유닛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 헤드(400)의 제1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펜서(40)는 디스펜서 헤드(400) 및 저장조(41)를 포함한다.
투여체(452)의 투여 덕트(402)는 투여 축선(404)을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저장조(41)로부터 유닛(C)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406)를, 유닛(C)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408)에 연결한다. 유닛(C)을 위한 투여체(452)의 지지 섹션(430) 은, 출구 포트(408)로부터 투여 축선(404)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투여체(452)의 보유 섹션(410)은 지지 섹션(430)의 원위 단부로부터 투여 축선(40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하도록 연장되고, 여기서 상기 보유 섹션(410)은 출구 포트(408)의 원위에 배치되고, 상기 보유 섹션(410)은 투여 덕트(402)의 가상의 연속체(continuation)(412) 내로 연장된다.
출구 포트(408)는 보유 섹션(410)을 향해 개방되는 오목한 절결(432)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오목한 절결(432)은 지지 섹션(430)과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지지 섹션(430)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평행한 벽(602, 604)은 출구 포트(408)를 한정한다.
단일의 보유 섹션(410)은 출구 포트(408)에 대해 원위에 배치된다. 보유 섹션(410)은 투여 덕트(402)의 가상의 연속체(412) 내로 연장된다. 의약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섹션(430)은, 출구 포트(408)로부터 투여 축선(404)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보유 섹션(410)은 지지 섹션(430)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다. 보유 섹션(410)은 가상의 연속체(412) 내로 연장된다.
보유 섹션(410)은 출구 포트(408)와 대면하는 리세스(434)를 포함한다. 리세스(434)는 가상의 구(sphere)를 부분적으로 따른다. 지지 섹션(430)은 투여 축선(404)과 대면하는 리세스(436)를 포함한다. 리세스(436)는 원통의 축선으로서 투여 축선(404)을 갖는 가상 원통의 원통형 벽을 부분적으로 따른다. 리세스(434) 및 리세스(436)는, 가늘고 긴 캡슐 형태의 유닛(C)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리세스(434) 및 리세스(436)는,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개방/취급하는 방식에 따라, 그 원하지 않는 분리 또는 낙하를 피하기 위해 유닛(c)의 보유력을 강화시킨다.
도 2 및 도 3은 분배를 위해 가늘고 긴 캡슐(elongated capsule) 형태의 유닛(C)이 보유 요소(retention element)(410)와 절결(cutout)(432) 사이의 거리(D1)보다 더 긴 것을 도시하고 있다. 거리(D1)는 캡슐이 픽업 영역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유 요소(410)와 출구 포트(408) 사이의 간극(clearance)(D2)은 거리(D1)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유닛(C)을 파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2개의 평행한 벽(602, 604)은 지지 섹션(430)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출구 포트(408)를 한정한다. 벽(602, 604)은 대응의 엣지를 한정한다. 벽(602, 604)은 보유 섹션(434)의 엣지에 대한 유닛(C)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한다.
덮개(490)는 내부 로킹 섹션(492)을 포함하며, 이는 보유 섹션(410) 및 지지 섹션(430)에 의해 한정되는 픽업 영역을 로킹한다.
접근 축선(access axis)(405)은 축선(404)과 직교하도록 연장되고, 그리고 2개의 대향하는 U형 접근 개구를 통과하며, 그 각각은 U 형상을 가지며, 그 위에는 분배될 유닛(C)이 돌출되므로, 유닛은 검지 및 엄지로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대향하는 U형 접근 개구가 적어도 지지 섹션(430)에 의해, 특히 보유 섹션(410)에 의해 그리고 출구 포트(408)에 의해 제공된다.
투여 축선(dosing axis)(404)은 보유 섹션(410)을 통과한다. 보유 요소(410)는 지지 섹션(430)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보유 요소(410)는 지지 섹션(430)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투여 축선(40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된다. 이에 따라, 보유 섹션(410)은 투여 축선(404)을 따라 유닛(C)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디스펜서(70)를 위한 디스펜서 헤드(700)의 제2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펜서(70)는 디스펜서 헤드(700) 및 저장조(71)를 포함한다.
투여 덕트(702)는 투여 축선(704)을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저장조(71)로부터 유닛(P)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706)를, 유닛(P)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708)에 연결한다. 유닛(P)을 위한 지지 섹션(730)은, 출구 포트(708)로부터 투여 축선(704)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보유 섹션(710)은 지지 섹션(730)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투여 축선(704)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며, 여기서 상기 보유 섹션(710)은 출구 포트(708)에 대해 원위에 배치되며, 상기 보유 섹션(710)은 투여 덕트(702)의 가상의 연속체(712) 내로 연장된다.
지지 섹션(730)은 보유 섹션(710)을 향해 테이퍼진다. 출구 포트(708)의 짧은 측벽(780, 782)과 보유 요소(710) 사이의 간극(D2)은, 디스크형 유닛(P)의 직경보다는 작지만 그러나 디스크형 유닛(P)의 직경의 절반보다는 더 크다.
도 6에 도시된 덮개(790)는, 보유 섹션(710) 및 지지 섹션(730)에 의해 제공되는 픽업 영역을 로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로킹 돌출부(79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돌출부(792)는, 픽업 영역의 횡방향 영역에 들어감으로써 유닛(P)이 출구 포트(708)를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입구 포트(70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섹션(730)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1 간극 또는 개구 폭(E1)을 갖는다. 제1 간극(E1)은 유닛의 높이보다 더 크며 그리고 상기 높이의 2배 미만이다. 제2 간극 또는 개구 폭(E2)은 지지 섹션(730)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간극(E2)은 유닛의 직경보다 더 크며 그리고 상기 직경의 2배 미만이다. 유닛(P)의 높이 및 직경을 기준으로 했을 때, 유닛(P)의 원통형 외형이 가정된다. 이에 따라, 유닛(P)의 높이는 원통의 높이이고, 유닛(P)의 직경은 원통의 직경이다.
입구 포트(706)는 반달형 깔때기 형상(half-moon-like funnel shape)을 갖는다. 이에 따라, 투여 덕트(702)는 입구 포트(706)로부터 반달 형상으로 시작된다. 입구 포트(706)의 굴곡된 형상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장변에 의해 설정된다. 입구 포트(706) 근처의 중앙 십자형 스템(F1)은, 루스 실리카겔 총알(a loos silica gel bullet)이 투여 덕트(702)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유닛(P)이 입구 포트(706)를 통해 투여 덕트(702)의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이런 형상은 투여 덕트(702)가 출구 포트(708)에서 오직 하나의 단일 유닛(C)만 수용하고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접근 축선(705)은 투여 축선(704)과 직교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2개의 대향하는 U형 접근 개구를 통과하며, 그 각각은 U 형상을 가지며, 그 위로는 분배될 유닛(P)이 돌출되므로, 유닛은 엄지 및 검지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디스펜서(10)를 위한 디스펜서 헤드(100)의 제3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펜서(10)는 디스펜서 헤드(100) 및 저장조(11)를 포함한다.
투여 덕트(102)는 투여 축선(104)을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저장조(11)로부터 유닛(C)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106)를, 유닛(C)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108)에 연결한다. 유닛(C)을 위한 지지 섹션(130)은, 출구 포트(108)로부터 투여 축선(104)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보유 섹션(110)은 지지 섹션(130)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투여 축선(104)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며, 여기서 상기 보유 섹션(110)은 출구 포트(108)에 대해 원위에 배치되고, 상기 보유 섹션(110)은 투여 덕트(102)의 가상의 연속체(112) 내로 연장된다.
디스펜서 헤드(100)는 봉입체(150) 및 투여체(152)를 포함한다. 투여체(152)는 투여 덕트(102), 지지 섹션(130), 및 보유 섹션(110)을 포함한다.
투여체(152)는, 후퇴 위치와 픽업 위치 사이에서 투여 축선(104)에 평행한 축선(15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봉입체(150)의 내측에 배치된다.
봉입체(150)는, 투여체(152)가 그 픽업 위치에 있는 경우라면, 원위 개구(154)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픽업 섹션을 형성하는 지지 섹션(130) 및 보유 섹션(110)이 연장된다. 덮개(190)는 원위 개구(154)를 폐쇄한다. 덮개(190)는 원위 개구(15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폐쇄 섹션(194)을 포함한다. 플립-오프(flip-off) 덮개(190)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어 외부 원통면을 포함하는 폐쇄 섹션(194)은, 예를 들어 내부 원통면을 포함하는 원위 개구(154)와 맞물린다. 도 12는 그 후퇴 위치에 있는 투여체(152)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그 픽업 위치에 있는 투여체(152)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펜서 헤드(100)는, 예를 들어 원통형이고 그리고 투여 축선(104)에 평행한 축선(162)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또한 투여체(152)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중량체(160)를 포함한다. 보조 중량체(160)가 이동하여 투여체(152)의 정지 영역에서 정지되었을 때, 생성된 충격은 투여체(15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보조 중량체(160)는 유통기간 중 저장조(11)에 수용되는 유닛을 건조하게 보관하기 위해 실리카겔과 같은 건조제를 포함한다.
보조 중량체(160)는 투여체(152)의 수용 섹션(164)에 수용된다. 수용 섹션(164)은 원통형 내벽 및 베이스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섹션(164)의 베이스는 유닛(C)의 치수보다 더 작은 개구(174)를 포함한다. 개구(174)는 보조 중량체(160)의 건조제가 저장조(11)에 대해 유체 연결부를 갖는 것을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후크(166)가 보조 중량체(160)를 고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후크(166) 및 수용 섹션(164)은, 보조 중량체(160)를 위한 안내 수단을 나타낸다.
횡방향의 길이방향 홈(170a-d)은 투여체(152) 상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체(152)의 길이방향 홈(170a-d)의 각각은, 봉입체(150)의 길이방향 내부 돌출부(172a-d) 중 대응의 돌출부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홈(170a-d) 및 돌출부(172a-d)는 투여체(152)를 위한 안내 수단을 나타낸다. 전자의 안내 수단은, 투여체(152)가 그 후퇴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픽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한다.
도 15는 투여체(152)를 후방측으로부터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투여체(152)와의 차이점은, a) 이를 제거하기 위해 유닛(C)이 다른 방향으로 들어올려져야만 한다는 점, 및 b) 입구 포트(106)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는 상이하다는 점을 포함한다.
입구 포트(106)는, 투여 축선(104)과 직교하며 그리고 입구 포트의 제2 개구 폭(E2)보다 더 큰 제1 개구 폭(E1)을 포함한다. 제2 개구 폭(E2)은 투여 축선(104)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제2 개구 폭(E2)은 제1 개구 폭(E1)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2개의 대향하는 U형 접근 개구는 적어도 지지 섹션(130)에 의해, 특히 보유 섹션(110)에 의해 그리고 출구 포트(108)에 의해 제공된다. 접근 축선(205)은 이들 접근 개구를 관통하며, 그리고 투여 축선(104)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도 16은 디스펜서 헤드(100)의 투여체(152)의 사용을 나타내고 있다. 입구 포트(106)의 길이방향 연장부는, 대향의 접근 개구를 관통하는 접근 축선(105)에 평행하다. 입구 포트(106)는 외향의 원형 세그먼트, 및 입구 포트(106)의 중심을 향해 개방되는 내향의 V형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디스펜서를 종 모양으로 및/또는 도시된 이중 화살표를 따라 흔들면, 도시되어 있는 캡슐이 투여 덕트(102)에 차례로 공급될 것이다. 유리하게는, 캡슐은 출구 포트로 자유롭게 흐른다. 입구 포트(106)가 접근 축선(105) 방향으로 더 넓고 그리고 접근 축선(105)과 직교하여 더 협소함에 따라, 캡슐은 접근 축선(105)에 평행한 가장 큰 재밍 힘(jamming force)을 생성한다. 접근 축선(105)을 따른 교반은, 이런 재밍 효과를 방해하며 그리고 캡슐을 자유롭게 한다. 스윙 동작은 수동 동작으로 하기가 쉬우며 그리고 캡슐 재밍을 피하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더욱이, 사용자는 분배된 유닛을 또는 캡슐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으로 디스펜서를 파지할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접근 축선(105)을 따라 디스펜서를 직관적으로 교반시킬 것이다. 이것이 입구 포트의 전자의 방향이 유리한 이유이다.
입구 포트(106)와 댐(dam)(1600) 사이에는, 0.01 mm 초과 7 mm 미만, 특히 0.2 mm 초과 3 mm 미만의 적어도 하나의 곡률반경을 갖는 예리한 엣지(sharp edge)(1602)가 제공된다. 예리한 엣지의 곡률반경은 입구 포트(106)의 엣지의 경로와 직교한다.
도 17 및 도 18은, 예를 들어 도 2의 디스펜서 헤드(400)의 각각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의 디스펜서 헤드(400)는, 0.2 mm 초과 5 mm 미만, 특히 0.5 mm 초과 3 mm 미만의 적어도 하나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주방향의 예리한 엣지(1602)를 포함하는 입구 포트(406)를 포함한다. 예리한 엣지(1602)의 곡률반경은 입구 포트(406)의 엣지(1602)의 경로와 직교한다. 입구 포트(406)는 외향의 원형 세그먼트 및 내향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의 세그먼트는 투여 축선과 직교하는 2개의 서브-세그먼트 및 상기 2개의 서브-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의 반원형 서브-세그먼트를 갖는다.
도 18은 특히 입구 포트(406)의 예리한 엣지(1602)가 중단될 수도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런 중단은, 예리한 엣지(1602)가 여러 세그먼트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도 19는 디스펜서 헤드(400)가 아래쪽을 향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41) 내측의 캡슐은, 캡슐이 투여 덕트 내측에서 서로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내부 입구 포트를 재밍시키지 않는다. 특히, 댐(1600)은 캡슐의 일부에 대한 장벽을 제공한다. 댐(1600)과 입구 포트 사이의 엣지로 인해, 입구 포트는 캡슐이 임의의 재밍 없이 분배될 수 있도록 제한된다.

Claims (25)

  1.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유닛(C; P)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 헤드(400; 700; 100)로서:
    투여 축선(404; 704; 104)을 따라 연장되며, 저장조(41, 71, 11)로부터 상기 유닛(C; P)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406; 706; 106)를, 상기 유닛(C, P)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408; 708; 108)에 연결하는 투여 덕트(402; 702; 102);
    상기 투여 축선(404; 704; 104)에 평행한 상기 출구 포트(408; 708; 108)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유닛(C; P)을 위한 지지 섹션(430; 730; 130); 및
    상기 지지 섹션(430; 730; 130)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유 섹션(410; 710; 110)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408; 108)는, 상기 보유 섹션(410; 110)을 향해 개방되며 그리고 상기 지지 섹션(430; 130)과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결(432; 132)에 의해 한정되는, 디스펜서 헤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430)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평행한 벽(602, 604; 1102, 1104)은 상기 출구 포트(408)를 한정하는, 디스펜서 헤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섹션(410; 110)은 상기 출구 포트(408; 108)와 대면하는 리세스(434)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430; 130)은 상기 투여 축선(404; 104)과 대면하는 리세스(436)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730)은 상기 보유 섹션(710)을 향해 테이퍼지는, 디스펜서 헤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708)와 상기 보유 요소(710) 사이의 간극(D2)은, 상기 유닛(P)의 직경보다 더 작은, 디스펜서 헤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41, 71, 11)로부터 상기 유닛(C; P)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입구 포트(406; 706; 106)는, 상기 투여 축선(404; 704; 104)과 직교하며 그리고 상기 입구 포트(406; 706; 106)의 제2 개구 폭(E2)보다 더 큰 제1 개구 폭(E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 폭(E2)은 상기 투여 축선(404; 704; 104)과 직교하고, 상기 제2 개구 폭(E2)은 상기 제1 개구 폭(E1)과 직교하는, 디스펜서 헤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구(707)의 상기 제1 개구 폭(E1)은 상기 유닛(P)의 높이보다 더 크고, 그리고 상기 유닛(P) 높이의 2배 미만이며, 상기 제1 간극(E1)과 직교하는, 특히 상기 지지 섹션(73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2 개구 폭(E2)은 상기 유닛(P)의 직경보다 더 크고 그리고 상기 직경(P)의 2배 미만인, 디스펜서 헤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대향하는 U형 접근 개구는 적어도 상기 지지 섹션(430; 730; 130)에 의해, 특히 상기 보유 섹션(410; 710; 110)에 의해 그리고 상기 출구 포트(408; 708; 108)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펜서 헤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406; 706; 106)의 길이방향 연장부는 적어도 상기 지지 섹션(430; 730; 130)에 의해 한정되는 대향의 접근 개구를 관통하는 접근 축선(405; 705; 105)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디스펜서 헤드.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406; 706; 106)는 예리한 엣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406; 706; 106)는 0.01 mm 초과 7 mm 미만, 특히 0.2 mm 초과 3 mm 미만의 적어도 하나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주방향의 예리한 엣지를 포함하며, 상기 곡률반경은 상기 엣지의 경로와 직교하는, 디스펜서 헤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410)와 상기 절결(432) 사이의 제1 거리(D1)는, 특히 가늘고 긴 캡슐 형태의 상기 유닛(C)의 길이방향 연장부보다 더 작은, 디스펜서 헤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410)와 상기 출구 포트(408) 사이의 간극(D2)은, 상기 제1 거리(D1)보다 더 작은, 디스펜서 헤드.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헤드(100)는,
    봉입체(150); 및
    후퇴 위치와 픽업 위치 사이의 축선(15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입체(150)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여체(152)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체(152)는 상기 투여 덕트(102), 상기 지지 섹션(130), 및 상기 보유 섹션(110)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봉입체(150)는 원위 개구(154)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체(152)가 그 픽업 위치에 있는 경우라면, 상기 원위 개구(154)를 통해 상기 지지 섹션(130) 및 보유 섹션(110)이 연장되는, 디스펜서 헤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헤드(100)는 상기 원위 개구(15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폐쇄 섹션(194)을 구비한 덮개(19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19. 청구항 16,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헤드(100)는 상기 투여체(152)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중량체(16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량체(160)는 건조제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헤드.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축선(404; 704; 104)은 상기 보유 섹션(410; 710; 110)을 통과하는, 디스펜서 헤드.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섹션(410; 710; 110)은 상기 투여 축선(404; 704; 104)을 따라 상기 유닛(C; P)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헤드.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410; 710; 110)는 상기 지지 섹션(430; 730; 130)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디스펜서 헤드.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410; 710; 110)는 상기 지지 섹션(430; 730; 130)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투여 축선(404, 704, 10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는, 디스펜서 헤드.
  25.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유닛(P; C)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 (40, 70, 10)로서:
    상기 디스펜서(40, 70, 10)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4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디스펜서 헤드(400; 700; 100), 및 상기 다수의 유닛(P; C)을 저장하기 위한 상기 저장조(41; 71; 11)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20227031260A 2020-03-30 2020-11-12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을 위한 디스펜서 헤드 및 디스펜서 KR20220155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08729.2A DE102020108729A1 (de) 2020-03-30 2020-03-30 Spenderkopf und Spender zur Ausgabe von Einheiten eines pharmazeutischen Arzneimittels oder eines Nahrungsergänzungsmittels oder Lebensmittels
DE102020108729.2 2020-03-30
PCT/IB2020/000872 WO2021198724A1 (en) 2020-03-30 2020-11-12 Dispenser head and dispenser for dispensing units of a pharmaceutical drug or a food supplement or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990A true KR20220155990A (ko) 2022-11-24

Family

ID=7354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260A KR20220155990A (ko) 2020-03-30 2020-11-12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을 위한 디스펜서 헤드 및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079268A1 (ko)
EP (1) EP3908538B1 (ko)
JP (1) JP2023519569A (ko)
KR (1) KR20220155990A (ko)
CN (1) CN115362105A (ko)
AR (1) AR121628A1 (ko)
AU (1) AU2020440456A1 (ko)
BR (2) BR112022009609A2 (ko)
CO (1) CO2022009450A2 (ko)
DE (1) DE102020108729A1 (ko)
ES (1) ES2941320T3 (ko)
WO (1) WO20211987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3827A (fr) 1964-05-14 1967-03-24 Parisienne D Expansion Chimiqu Nouvelle boîte distributrice
DE2921186A1 (de) 1979-05-25 1980-11-27 Mueller S Muehle Vorratsdose fuer tabletten und/oder pillen
FR2487302A1 (fr) * 1980-07-24 1982-01-29 Suppo Steril Laboratoires Dispositif de distribution un a un d'objets
WO1991018808A1 (en) * 1990-06-04 1991-12-12 Toren Consulting Pty. Limited Dispensing container for tablets
AUPP144898A0 (en) 1998-01-23 1998-02-12 Toren Consulting Pty. Limited Improvements in dispensing containers
US7004350B2 (en) 2003-03-17 2006-02-28 Robert Oroumieh Dispenser for toothpicks and tablets
DE102004049349A1 (de) 2004-10-08 2006-04-13 Friedrich Sanner Gmbh & Co Kg Spritzgusswerk Spenderanordnung für Behälter
FR2894943B1 (fr) * 2005-12-19 2010-04-23 Plastohm Sa Distributeur pour tout produit de type comprimes.
US20200039729A1 (en) 2017-03-30 2020-02-06 Bayer Healthcare Llc Child-resistant dispenser, method of dispensing a unit of product from a dispenser
CN110228666A (zh) * 2019-05-30 2019-09-13 杨进学 一种可按需逐粒取药的药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8538A1 (en) 2021-11-17
BR112022009609A2 (pt) 2022-10-11
BR222022021124U2 (ko) 2022-12-27
AR121628A1 (es) 2022-06-22
US20230079268A1 (en) 2023-03-16
BR222022021124U8 (pt) 2022-12-20
DE102020108729A1 (de) 2021-09-30
CN115362105A (zh) 2022-11-18
WO2021198724A1 (en) 2021-10-07
AU2020440456A1 (en) 2022-07-28
CO2022009450A2 (es) 2022-10-21
JP2023519569A (ja) 2023-05-11
ES2941320T3 (es) 2023-05-19
EP3908538B1 (en)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247B1 (ko) 환자에게 약을 투여하기 위한 투약 장치
CA2208609C (en) An apparatus for orienting and positioning an elongate object for dispensing
US5348158A (en) Dispenser pack for the successive dispensing of a drug
JPH10509410A (ja) 錠剤ディスペンサー
US20070007301A1 (en) Pill dispensing container elements and methods
US20090095649A1 (en) Child-Resistant Container for Housing a Blister Card
EP0051994B1 (en) Medicament dispensing container
WO2005035390A1 (en) Dispenser
US20110155757A1 (en) Packages and inserts thereof with guide wall for dispensing medicinal units
KR20220155990A (ko) 의약품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식품의 디스펜싱 유닛을 위한 디스펜서 헤드 및 디스펜서
JPH11189280A (ja) 粒状物を収納した容器の蓋体
EP0756567B1 (en) Contain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tablets
EP3022130B1 (en)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prismatic tablets
BR202022013698U2 (pt) Cabeçote dispensador e dispensador para dispensar unidades de uma droga farmacêutica ou um suplemento alimentar ou alimento
US20240124213A1 (en) Dispenser
JP2019510563A (ja) 錠剤用ディスペンサ
CN113525851A (zh) 一种简易型精准取药药瓶
KR200350931Y1 (ko)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뚜껑
US20110240171A1 (en) Medication Catch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