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973A - 주사 바늘, 주사기, 혼주장치, 혼주방법 - Google Patents

주사 바늘, 주사기, 혼주장치, 혼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973A
KR20160125973A KR1020167023303A KR20167023303A KR20160125973A KR 20160125973 A KR20160125973 A KR 20160125973A KR 1020167023303 A KR1020167023303 A KR 1020167023303A KR 20167023303 A KR20167023303 A KR 20167023303A KR 20160125973 A KR20160125973 A KR 2016012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needle
injection
injection needle
need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고이케
히카루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2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61M5/3291Shafts with additional lateral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3Details having air entrapping or venting means, e.g. purging channels in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2005/3201Coaxially assembled needle cannulas placed on top of another, e.g. need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를 이용한 주입공정 및 흡인공정 등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주사 바늘 및 주사기, 그리고 그 주사기를 이용하여 혼주 처리를 실행하는 혼주장치 및 혼주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 바늘(11c)은, 바늘관(211)과,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보다 후단(2112)측으로 이간한 제 1 위치(제 1 개구부(2131)) 및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후단(2112)측으로 이간한 제 2 위치(제 2 개구부(2132))를 상기 바늘관(211)의 외측에서 연통하는 통기부(2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주사 바늘, 주사기, 혼주장치, 혼주방법{INJECTION NEEDLE, INJECTOR, CO-INJECTION DEVICE, AND CO-INJECTION METHOD}
본 발명은, 액체의 흡인 및 주입 등에 이용되는 주사 바늘 및 주사기, 그리고 그 주사기를 이용하여 액체의 주입 및 흡인 등을 실행하는 혼주(混注)장치 및 혼주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바이알병 등의 약품 용기에 수용된 항암제 등의 약액을 주사기로 흡인하고, 그 약액을 수액(輸液) 용기에 주입하는 혼주 처리를 실행하는 혼주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약품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항암제 등의 약품이 가루약인 경우에는, 주사기로 수액 용기로부터 수액이 흡인되고, 그 수액이 약품 용기에 주입됨으로써 가루약이 용해되어 약액이 생성된다.
일본국 특개 2012-250016호 공보
그런데 이런 종류의 혼주장치에서는, 주사기로 수액을 약품 용기에 주입할 때, 약품 용기 내가 너무 양압(陽壓)이 되지 않도록, 약품 용기로부터의 공기의 흡인과 약품 용기에의 수액의 주입이 교대로 실행된다. 또, 주사기로 약액을 약품 용기로부터 흡인할 때에도, 약품 용기 내가 너무 부압(負壓)이 되지 않도록, 약품 용기에의 공기 주입과 약품 용기로부터의 약액 흡인이 교대로 실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번잡하고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입공정 및 흡인공정 등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주사 바늘 및 주사기, 그리고 그 주사기를 이용하여 혼주 처리를 실행하는 혼주장치 및 혼주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 바늘은, 바늘관과, 상기 바늘관의 선단보다 후단측으로 이간한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후단측으로 이간한 제 2 위치를 상기 바늘관의 외측에서 연통(連通)하는 통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사 바늘에서는 상기 바늘관에 있어서의 액체의 유통과 상기 통기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유통이 동시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를 이용하면, 상기 주사 바늘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와의 사이까지 용기에 천자(穿刺)한 상태로 상기 용기에 액체가 주입될 때에,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내의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내를 양압으로 하는 일 없이 상기 용기 내로의 액체의 주입공정이 실행된다. 또, 상기 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를 이용하면, 상기 주사 바늘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와의 사이까지 용기에 천자한 상태로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가 흡인될 때에,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내에 공기가 유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내를 부압으로 하는 일 없이 상기 용기 내로부터 액체가 흡인되는 흡인공정이 실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 등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통기부는, 내부에 상기 바늘관이 삽입된 경우에 내주면과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를 연통하는 틈새가 형성되는 관상(管狀) 부재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틈새를 상기 바늘관과 병행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기 경로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통기부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상기 통기 경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틈새의 개방 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상기 통기 경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후단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1 테이퍼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통기부의 일단에,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2 테이퍼부가 설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통기부가,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단부가 상기 바늘관의 상기 제 1 테이퍼부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늘관에 고정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늘관과 상기 통기부와의 경계 부분인 상기 제 1 테이퍼부와 상기 제 2 테이퍼부와의 맞닿음 개소가, 상기 바늘관의 선단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바늘관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그 때문에, 상기 주사 바늘이 용기의 고무마개에 천자될 때에 상기 바늘관과 상기 통기부와의 경계 부분이 용기의 고무마개에 접촉하여 생길 우려가 있는 코어링(coring)이 방지된다.
또, 상기 통기부의 일단에,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후단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외측을 향하여 두께가 증가하는 제 3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사 바늘이 용기의 고무마개에 삽입 통과(揷通)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통기부가,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외접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개재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3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선단측의 단부가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선단측의 단부보다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제 3 테이퍼부의 경사 각도가, 상기 통기부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으로 나아감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부의 선단으로서 상기 틈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 1 영역이 용기의 고무마개에 천자될 때에는 첨형도(尖形度)를 높게 하여 삽입 통과 저항을 낮추는 동시에, 상기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영역이 용기의 고무마개에 천자될 때에는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첨형도를 낮게 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코어링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런데 상기 통기부가,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에 걸쳐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늘관에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적은 부품 점수로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홈부는 상기 바늘관의 선단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바늘관 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홈부에 기인하는 코어링의 발생은 억제된다.
또, 상기 통기부가,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에 걸쳐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바늘관이 삽입된 경우에 내주면과 상기 홈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관상 부재를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홈부에 의해 통기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홈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통기부가 관상 부재인 구성에 비해 상기 관상 부재의 외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코어링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상기 통기부가,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상기 후단측인 제 3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관과 평행한 상태로 상기 바늘관에 고정된 통기용 바늘관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늘관 및 상기 통기용 바늘관이 용기의 고무마개에 천자될 때에, 상기 바늘관 및 상기 통기용 바늘관의 고무마개에의 삽입 통과구가 연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용 바늘관이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구성에 비해 용기의 고무마개의 파손 또는 코어링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바늘관의 후단측을 홀딩하는 바늘기(針基)를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늘기보다 상기 바늘관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늘기를 상기 용기의 고무마개에 천자할 필요가 없어 코어링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는, 상기 주사 바늘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사기에서는,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 등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혼주장치는, 상기 주사기를 조작 가능한 주사기 조작부와, 상기 주사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한 상태로 상기 용기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주입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내를 양압으로 하는 일 없이 상기 용기 내로의 액체의 주입공정이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주입공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혼주장치는, 상기 주사기를 조작 가능한 주사기 조작부와, 상기 주사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한 상태로 상기 용기 내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내를 부압으로 하는 일 없이 상기 용기로부터의 액체의 흡인공정이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흡인공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혼주방법은, 상기 혼주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혼주방법으로서,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하는 제 1 천자공정과, 상기 제 1 천자공정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고무마개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용기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주입공정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내를 양압으로 하는 일 없이 상기 용기 내에의 액체의 주입공정이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주입공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혼주방법이,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상기 선단측의 위치까지 천자하는 제 2 천자공정과, 상기 제 2 천자공정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고무마개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용기 내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주입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통기부를 통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혼주방법은, 상기 혼주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혼주방법으로서,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하는 제 3 천자공정과, 상기 제 3 천자공정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고무마개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용기 내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공정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내를 부압으로 하는 일 없이 상기 용기로부터의 액체의 흡인공정이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흡인공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기를 이용한 주입공정 및 흡인공정 등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메인 도어를 연 상태의 사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메인 도어 및 전벽(前壁)의 일부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에서 사용되는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제 1 로봇 아암의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제 2 로봇 아암의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트레이 반송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트레이 반송부의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앰플 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교반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약품 판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바늘 휨 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 착탈(着脫)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 착탈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의 촬영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에 있어서의 주입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에 있어서의 흡인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의 주사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에 있어서의 흡인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게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도 1∼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혼주장치(1)]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혼주장치(1)는 혼주제어장치(100), 약품 장전부(200), 및 혼주 처리부(3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상기 혼주제어장치(100)에 의해 상기 혼주 처리부(300)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조제 데이터에 나타난 항암제 등의 약품을 기정량(旣定量)의 상기 약품이 수용된 1 또는 복수의 약품 용기로부터 수액 용기에 주입하는 혼주 처리가 실행된다.
[혼주제어장치(100)]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상기 혼주제어장치(100)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혼주제어장치(100)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제어부(400) 및 제 2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제어부(400)는, 상기 약품 장전부(200)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혼주 처리부(300)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상기 제 1 제어부(400) 및 상기 제 2 제어부(500) 각각의 처리 분담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 혼주 처리의 각 처리 순서는 상기 제 1 제어부(400) 및 상기 제 2 제어부(500)의 어느 것에 의해 실행되면 된다. 또, 상기 혼주제어장치(100)가, 1개의 제어부만 또는 3개 이상의 제어부를 갖는 것도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400) 및 상기 제 2 제어부(50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ASIC 또는 DSP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제어부(400)는 상기 혼주장치(1)에 조제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 카르테(karte) 시스템 또는 조제 관리 시스템 등의 상위 시스템(600)과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다. 상기 조제 데이터는, 처방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조제용 데이터 또는 상기 처방 데이터 그 자체이다. 예를 들면, 상기 처방 데이터에는, 처방전 교부 연월일, 환자 ID, 환자명, 환자 생년월일, 약품 정보(약품 코드, 약품명, 용량 등), 제형 정보(내복, 외용 등), 용법 정보(1일 3회 매 식후 등), 진료 종별(외래, 입원 등), 진료과, 병동, 및 병실 등이 포함된다. 또, 상기 조제 데이터에는, 환자 정보, 의사 정보, 약품 정보, 약품의 처방량, 약품 용기의 종류(약액이 든 앰플, 약액이 든 바이알병, 또는 가루약이 든 바이알병 등), 조제 내용 정보(혼주 처리에 사용하는 약품 용기, 주사기, 주사 바늘의 종류나 개수 등), 및 조제 순서 정보(작업 내용, 용해약, 용매, 용해약량, 용매량, 추출량), 조제일, 처방전 구분, 투약일, 진료과, 병동, 조제 시간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제어부(400)는 CPU(401), ROM(402), RAM(403), 데이터 기억부(404), 및 조작부(405) 등을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이다. 상기 제 1 제어부(400)에는 상기 약품 장전부(200)에 설치된 후술의 디스플레이(203), 바코드 리더(204), 및 공기청정장치(205) 등의 각종 전기 부품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CPU(401)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ROM(402)은 상기 CPU(401)에 의해 실행되는 BIOS 등의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상기 RAM(403)은 상기 CPU(401)에 의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의 전개 및 데이터의 일시 기억에 이용되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상기 데이터 기억부(404)는, 상기 CPU(40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억부(404)에는, 상기 상위 시스템(600)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조제 데이터가 기억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제어부(400)는 상기 상위 시스템(600)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조제 데이터마다 대응하는 후술의 트레이(110)의 식별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제 데이터와 상기 트레이(110)를 대응시키는 것은 상기 제 1 제어부(400)에 의해 실시된다. 또, 상기 조제 데이터와 상기 트레이(110)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조제 데이터와 함께 상기 혼주장치(1)에 입력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데이터 기억부(404)에는, 예를 들면 약품 마스터, 환자 마스터, 의사 마스터, 처방전 구분 마스터, 진료과 마스터, 및 병동 마스터 등의 각종 데이터 베이스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품 마스터에는, 약품 코드, 약품명, JAN 코드(또는 RSS), 약병 코드, 구분(제형: 산약(散藥), 정제, 수제(水劑), 외용약 등), 비중, 약품종(보통약, 항암제, 독약, 마약, 극약, 항정신약, 치료약 등), 배합 변화, 부형(賦形) 약품, 주의사항, 약품 용기의 종별(앰플, 바이알병), 약품 용기 단위의 약품의 수용량(기정량), 및 약품 용기의 중량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억부(404)에는, 상기 CPU(401)에 각종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혼주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혼주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제어부(400)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판독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CD, DVD, B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되어 상기 데이터 기억부(404)에 인스톨되어도 된다.
상기 조작부(405)는, 상기 제 1 제어부(400)에 있어서의 각종의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의 각종의 조작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CPU(501), ROM(502), RAM(503), 데이터 기억부(504), 조작부(505) 등을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이다. 상기 제 2 제어부(500)에는, 상기 혼주 처리부(300)에 설치된 후술의 로봇 아암(21), 로봇 아암(22), 트레이 반송부(110), 터치 패널 모니터(14), IC 리더(101c), IC 리더(15a), 트레이 확인 카메라(41), 주사기 확인 카메라(42) 등의 각종 전기 부품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CPU(501)는,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ROM(502)은, 상기 CPU(501)에 의해 실행되는 BIOS 등의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상기 RAM(503)은 상기 CPU(501)에 의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의 전개 및 데이터의 일시 기억에 이용되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는, 상기 CPU(50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에는, 상기 CPU(501)에 후술의 혼주 처리 등을 실행시키기 위한 혼주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혼주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판독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CD, DVD, B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되어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에 인스톨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주제어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CPU(401) 및 상기 CPU(501)에 각종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상기 혼주제어 프로그램 또는 상기 혼주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발명으로서 인식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혼주장치(1)에 있어서 상기 혼주 처리의 각 처리 순서를 실행하는 혼주방법의 발명으로서 인식해도 된다.
상기 조작부(505)는, 상기 제 2 제어부(500)에서의 각종의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조작 수단을 포함한다.
[약품 장전부(200)]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상기 약품 장전부(200)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약품 장전부(200)는, 도어(201), 작업 테이블(202), 디스플레이(203), 바코드 리더(204), 및 공기청정장치(205)를 구비하는 클린 벤치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약품 장전부(200)와 상기 혼주 처리부(300)는 상기 혼주 처리부(300)의 측면에 형성된 트레이 삽입구(114)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3)는 상기 제 1 제어부(400)로부터의 제어 지시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3)에는, 상기 혼주장치(1)에 있어서의 혼주 대상의 후보가 되는 조제 데이터 등이 표시된다. 또, 상기 바코드 리더(204)는, 처방전 또는 조제 지시서 등에 기재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바코드의 내용을 상기 제 1 제어부(400)에 입력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205)는 상기 약품 장전부(200) 내에 소정의 필터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도어(201)는 상기 약품 장전부(200)의 전면(前面)에 설치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다. 유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1)를 조금 열고 손을 상기 약품 장전부(200) 내에 넣은 상태로, 상기 혼주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혼주 처리의 준비작업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 테이블(202) 상에 재치(載置)되어 있는 트레이(101)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장치(1)에서 실행되는 혼주 처리에서 사용하는 약품 용기(10), 주사기(11), 및 수액백(12)(수액 용기의 일례) 등이 수용된다. 상기 준비작업에는, 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101)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약품 용기(10),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수액백(12)을 재치시키고, 상기 트레이(101)를 상기 혼주 처리부(300)에 장전하는 장전 작업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약품 용기(10)가 앰플인 경우에는, 상기 약품 용기(10)를 앰플(10A)이라고 칭하고, 상기 약품 용기(10)가 바이알병인 경우에는 상기 약품 용기(10)를 바이알병(10B)이라고 칭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01)는, 환자명 및 시용 등이 문자 표시되는 전자 페이퍼(101a)와, 각종의 정보를 읽고 쓰기 가능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같은 IC 태그(101b)(기록매체의 일례)를 갖는다. 상기 IC 태그(101b)에는, 상기 트레이(101)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 상기 트레이(101)는,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시린지(11a), 플런저(11b), 주사 바늘(11c))이 재치되는 기재(器材) 재치부(102)(도 9 참조)와, 상기 수액백(12)을 홀딩하는 수액백 홀딩부(103)(도 5 참조)를 갖는다. 상기 기재 재치부(102) 및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는 상기 트레이(101)에 대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다.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앰플(10A)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10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앰플(10A)은 상기 지지부(102A)에서 비스듬하게 세워진 상태로 세트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앰플(10A)의 네크(neck)부에 약품이 모이지 않는다. 또, 상기 앰플(10A) 외에,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 등도 상기 지지부(102A)에 비스듬하게 세워진 상태로 세트된다.
상기 주사 바늘(11c)에는, 시린지 필터가 부착된 주사 바늘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앰플(10A)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앰플(10A)의 목이 부러졌을 때의 파편이 상기 주사기(11)로부터 상기 수액백(12)에 주입되는 것, 또는 상기 파편이 상기 주사기(11)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린지 필터가 부착된 주사 바늘이 사용된다. 상기 시린지 필터는, 일반적으로 팽이형 필터라고도 칭해지는 필터이며, 약품 이외의 이물의 통과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일본 폴사 제조의 시린지 필터가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바이알병(10B) 및 상기 주사기(1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눕힌 상태로 세트된다. 또한 이때 상기 주사기(11)는, 시린지(11a) 및 주사 바늘(11c)이 분리된 상태이다. 물론, 여기에서 설명하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 내의 배치 형태는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混注口)(네크부)를 고정하기 위한 척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준비작업에서는, 유저가 상기 수액백(12)을 상기 척부(140)로 홀딩시킨 상태로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에 세트한다. 또,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에는,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를 승강시킬 때에 사용되는 걸어맞춤 구멍부(10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01)는 유저에 의해 상기 약품 용기(10),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수액백(12)이 세트된 후, 상기 트레이 삽입구(114)를 통하여 상기 혼주 처리부(300)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약품 장전부(200)가, 자동적으로 상기 트레이(101)를 상기 혼주 처리부(300)에 반입시키는 벨트 컨베이어 등의 반입 기구를 구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혼주 처리부(300)]
계속해서, 상기 혼주 처리부(300)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 처리부(300)의 전면(前面)에는, 메인 도어(301), 주사기 취출 도어(302), 쓰레기 수용실 도어(13), 터치 패널 모니터(14), 및 트레이 배출구(1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도어(301)는, 예를 들면 상기 혼주 처리부(300)에 설치된 혼주 처리실(104) 내의 청소 등 시에,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에 액세스하기 위해 개폐된다. 또,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약품이 주입된 상기 수액백(12)을 불출(拂出)하는 것 외에, 약품이 충전된 상태로 상기 주사기(11)를 불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사기 취출 도어(302)는, 상기 혼주 처리실(104)로부터 상기 주사기(11)를 취출할 때에 개폐된다.
상기 쓰레기 수용실 도어(13)는, 상기 혼주 처리실(104)에 있어서의 혼주 처리에서 사용된 후의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 등의 폐기물이 수용되는 쓰레기 수용실(13a)로부터 상기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개폐된다. 또, 상기 트레이 배출구(15)는, 상기 혼주 처리실(104)에 있어서의 혼주 처리에 의해 약품이 혼주된 후의 상기 수액백(12)이 재치된 상기 트레이(101)를 취출하기 위해 개폐된다.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는, 상기 제 2 제어부(500)로부터의 제어 지시에 따라 각종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이다.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에는, 예를 들면 후술의 각종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 또는 영상이 표시 가능하다.
[혼주 처리실(104)]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 처리실(104)에는, 제 1 로봇 아암(21), 제 2 로봇 아암(22), 앰플 커터(31), 교반장치(32), 재치 선반(33), 회전용 재치 선반(33A), 약품 판독부(34), 칭량계(35), 바늘 휨 검지부(36), 혼주 연통구(37), 바늘 삽입 확인 투명창(38), 및 쓰레기 덮개(132a)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 처리실(104)의 천정측에는, 트레이 확인 카메라(41), 주사기 확인 카메라(42), 주사 바늘 착탈장치(43),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44), 살균등(4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로봇 아암(21), 제 2 로봇 아암(22)]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은, 다관절 구조를 갖는 구동부이며, 상기 혼주 처리실(104)의 천정측에 기단부를 고정하여 늘어뜨린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의 간접은 각각 5∼8축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더블 아암형의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혼주 처리에 있어서의 각 작업 공정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의 각 간접에 설치된 구동 모터를 개별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상기 혼주 처리에 있어서의 각 작업을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혼주 처리부(300)는, 상기 혼주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예를 들면 1개의 로봇 아암을 갖는 구성, 3개 이상의 로봇 아암을 포함하는 구성, 또는 로봇 아암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은,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 등의 기재를 홀딩하는 것이 가능한 홀딩부(25)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25)를 미리 정해진 가동 범위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은,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 등의 기재를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주사기(11)에 의한 약품의 흡인 및 주입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홀딩부(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이 주사기 조작부의 일례이다. 또,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은,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 등을 미리 정해진 가동 범위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의 상기 홀딩부(25)는, 한 쌍의 파지 클로(25a), 모터(251), 상기 모터(251)에 의해 회전되는 2개의 나사 샤프트(252, 253), 상기 나사 샤프트(252, 253)에 나사 결합된 너트 블럭(254, 255)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5a)는, 상기 너트 블럭(254, 25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 샤프트(252, 25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 블럭(254, 255)이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5a)가 서로 근접 및 이간하여 상기 홀딩부(25)를 홀딩 및 해방한다.
또,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5a)는, 상기 바이알병(10B)의 홀딩에 적합한 오목부를 갖는 동시에, 선단측에는 상기 앰플(10A)의 홀딩에 적합한 오목부를 갖는 파지부이다. 도 7에서는, 상기 앰플(10A) 및 상기 바이알병(10B)의 양쪽이 홀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1개의 상기 앰플(10A) 또는 상기 바이알병(10B)을 홀딩한다. 또한 상기 바이알병(10B)의 상단부에는,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이 천자 가능한 고무마개(10C)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바이알병(10B) 내는 밀폐된 상태이다.
또, 상기 홀딩부(25)는,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5a)에 의해 캡이 부착된 주사 바늘 또는 상기 주사기(11)를 홀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홀딩부(25)의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5a)로 상기 주사기(11)를 홀딩했을 때의 상기 모터(251)의 구동량에 따라, 상기 주사기(11)의 직경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11)가 상기 조제 데이터의 조제 내용 정보에서 지정된 주사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의 상기 홀딩부(26)는, 주사기 홀딩부(261), 플런저 홀딩부(262) 및 이동부(263)를 구비한다. 상기 주사기 홀딩부(261)는, 상기 주사기(11)의 시린지(11a)를 홀딩하는 한 쌍의 파지 클로(26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1a)는, 상기 홀딩부(25)에서 이용되고 있는 구동 기구와 마찬가지의 기구에 의해, 서로 근접 및 이간하여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시린지(11a)를 홀딩 및 해방하는 파지부이다. 또,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1a)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파지 클로(261a)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대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26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홀딩부(262)는, 상기 주사기(11)의 플런저(11b)의 플랜지부를 홀딩하는 한 쌍의 파지 클로(26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2a)는, 상기 홀딩부(25)에서 이용되고 있는 구동 기구와 마찬가지의 기구에 의해, 서로 근접 및 이간하여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플런저(11b)의 플랜지부를 홀딩 및 해방하는 파지부이다. 상기 파지 클로(262a) 각각의 상면에는 파지 클로(262b)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파지 클로(262b)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2a)를 근접 및 이간시킴으로써 근접 및 이간하고, 상기 주사기(11)뿐만이 아니라 상기 약품 용기(10) 등의 다른 기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2a)의 대향측의 상면에는 상기 플런저(11b)의 플랜지부가 들어가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2b)의 선단은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2a)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한 쌍의 파지 클로(262b)에 의한 상기 앰플(10A) 및 상기 바이알병(10B) 등의 기재의 파지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파지 클로(262b)는 상기 파지 클로(261a)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이동부(263)는, 상기 플런저 홀딩부(262)를 상기 주사기(11)의 플런저(11b)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263)는, 예를 들면,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 샤프트, 상기 나사 샤프트에 나사 결합된 너트 블럭, 가이드 등의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플런저(11b)를 이동시킨다. 상기 플런저 홀딩부(262)는, 상기 너트 블럭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너트 블럭의 이동에 의해 이동한다.
[트레이 반송부(110)]
또, 상기 혼주 처리부(300)에는, 도 6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의 상기 트레이 삽입구(114)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101)를, 좌측 단부의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까지 반송하는 트레이 반송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9는,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에 있어서의 상기 트레이(101)의 반송 경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 내는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보다도 양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는, 상기 트레이(101)를, 상기 혼주 처리실(104)의 아래쪽으로서 상기 쓰레기 덮개(132a)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쓰레기 수용실(13a)의 후방측을 통과시켜 반송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혼주장치(1)의 정면측으로부터 상기 쓰레기 수용실(13a)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의 반송 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 내를 이동하는 상기 트레이(101)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 내에 동시에 복수의 상기 트레이(101)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에는, 상기 트레이(101)의 상기 수액백 홀딩부(10)에 설치된 상기 IC 태그(101b)로부터 정보를 판독 가능한 IC 리더(101c) 및 IC 리더(15a)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IC 리더(101c) 및 상기 IC 리더(15a)는,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이다. 상기 IC 리더(101c)는, 상기 트레이 삽입구(114)로부터 상기 트레이(101)가 장전되는 트레이 반송 개시부(110b)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IC 리더(15a)는, 상기 트레이(101)가 상기 트레이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가 상기 트레이 삽입구(114)로부터 상기 트레이 반송 개시부(110b)에 삽입된 것을 도시하지 않은 센서 출력에 의거하여 판단하면, 상기 IC 리더(101c)에 의해 상기 IC 태그(101b)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가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에 삽입된 것을 도시하지 않은 센서 출력에 의거하여 판단하면, 상기 IC 리더(15a)에 의해 상기 IC 태그(101b)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IC 리더(101c) 및 상기 IC 리더(15a)에 의한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트레이(101)의 적부 등을 판단하는 트레이 대조 처리를 실행한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가 상기 트레이 삽입구(114)를 지나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 내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예를 들면 센서의 출력에 의거하여 판단하면,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 및 상기 혼주 처리실(104)을 연통 및 차폐시키는 셔터(111)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상기 셔터(111)가 열리면, 상기 기재 재치부(102)가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에 노출된다. 도 9에서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가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에 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에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삽입구(114)를 지나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 내로 이동된 상기 트레이(101)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승강시키는 트레이 승강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승강부(12)는, 예를 들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샤프트(112a)의 상하 방향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 승강부(112)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상승시킨 후,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을 실시한다.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는, 미리 정해진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 등을 위쪽에서 촬영한다.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의 촬영 화상을 이용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조제 데이터에서 나타나 있는 수의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시린지(11a) 및 주사 바늘(11c)) 등이 상기 기재 재치부(102) 상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 등의 판단을 실시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 처리실(104)의 좌측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에는,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를 승강시키는 백 승강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를 상기 백 승강부(113)의 앞까지 반송시킨 후, 상기 백 승강부(113)의 후크부(113a)를 상기 걸어맞춤 구멍부(103a)에 아래에서부터 건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후크부(113a)가 형성된 원호 기어부(113b)를 모터(113c)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를 상승시켜,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를 상기 혼주 연통구(37)에 위치시킨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모터(113c)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백 승강부(113)를 구동시켜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를 경사지게 하여,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의 위쪽에는,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로 반송된 상기 수액백(12)을 조명하는 돔형 라이트(120) 및 수액용 카메라(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액용 카메라(121)는, 상기 돔형 라이트(120) 내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액백(1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판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수액용 카메라(121)에 의해 판독된 상기 바코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수액백(12)의 적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앰플 커터(31)]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앰플 커터(31)에는, 줄부(31a), 찌꺼기 트레이(31b), 헤드부 꽂음부(31c), 구동 박스(31f), 찌꺼기 박스(31g), 및 파지부(31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줄부(31a)는, 상기 앰플(10A)의 네크에 노치 가공을 하기 위한 부재이며, 상기 찌꺼기 트레이(31b)에는 상기 줄부(31a)에 있어서의 노치 가공에서 발생하는 찌꺼기가 낙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이 상기 앰플(10A)을 홀딩하고, 상기 앰플(10A)의 네크를 상기 줄부(31a)에 댄 상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앰플(10A)의 네크에 노치 가공이 실시된다.
상기 헤드부 꽂음부(31c)는, 상기 노치 가공이 실시된 상기 앰플(10A)의 헤드부가 아래쪽으로부터 꽂아지는 구멍(31d)과, 상기 구멍(31d)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상기 앰플(10A)의 헤드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푸셔(31e)를 갖는다. 한편, 상기 구동 박스(31f)는, 내부에 설치된 캠 및 상기 캠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갖고 있고,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캠이 구동되면, 상기 캠에 의해 상기 푸셔(31e)가 상기 앰플(10A)의 헤드부에 근접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이 상기 파지 클로(25a)에 의해 상기 앰플(10A)을 홀딩하고, 상기 앰플(10A)의 헤드부를 상기 구멍(31d)에 아래에서부터 꽂아서 네크부보다 위의 헤드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킨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구동 박스(31f)의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푸셔(31e)가 상기 앰플(10A)의 헤드부을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푸셔(31e)에 의해 상기 헤드부가 눌러져 부러진다. 이때, 상기 푸셔(31e)로 부러진 헤드부는 상기 찌꺼기 박스(31g) 내에 떨어진다. 또한 상기 파지부(31h)는, 상기 앰플 커터(3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31i)(도 4 참조)을 따라 상기 앰플 커터(31)를 슬라이딩시킬 때에 유저가 파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교반장치(32)]
상기 교반장치(32)는, 상기 바이알병(10B)에 가루약(산약) 등의 용해가 필요한 약품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수액 또는 약품 등을 주입하여 상기 약품을 용해시켜, 혼합 약품을 생성할 때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반장치(32)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32a), 누름부(32b), 회전 운동 지지부(32c), 지지대(32d), 수평 요동 기구(32e), 지지부(32f), 및 구동 모터(32g) 등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상기 롤러(32a)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상기 롤러(32a)는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다른쪽의 상기 롤러(32a)는 상기 구동 모터(32g)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32a) 각각은 축방향으로 장척상(長尺狀)이며, 상기 교반장치(32)에서는, 상기 롤러(32a)의 축방향의 양단에 재치되는 2개의 상기 바이알병(10B)을 동시에 교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누름부(32b)는, 상기 롤러(32a)에 재치된 상기 바이알병(10B)을 위에서부터 누르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약품 용기(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종동(從動) 롤러이다.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32c)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누름부(32b)를 상기 약품 용기(10)에 대해 접촉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상기 지지대(32d)는, 상기 롤러(32a), 상기 누름부(32b), 및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32c) 등을 지지한다. 상기 수평 요동 기구(32e)는, 예를 들면 크랭크 기구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대(32d)를 상기 롤러(32a)의 축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32f)는, 상기 롤러(32a)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바이알병(10B)의 네크가 끼워지는 U자상의 절결(切欠)을 갖는다. 상기 롤러(32a)에 상기 바이알병(10B)이 재치되는 경우는, 상기 약품 용기(10)의 네크가 상기 절결에 걸어맞춰진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32d)가 상기 수평 요동 기구(32e)에 의해 상기 롤러(32a)의 축방향으로 요동되는 경우에, 상기 약품 용기(10)가 상기 롤러(32a)의 축방향의 요동에 추종하여 요동해서, 상기 약품 용기(10) 내의 약품이 수평 방향으로 교반된다.
한편, 2개의 상기 롤러(32a)의 사이에, 상기 바이알병(10B)이 재치되고, 상기 구동 모터(32g)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모터(32g)에 연결된 상기 롤러(32a)에 의해 상기 약품 용기(10)가 회전되어 상기 약품 용기(10) 내의 약품이 교반된다. 또한 이때 다른쪽의 상기 롤러(32a)는, 상기 약품 용기(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롤러(32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상기 롤러(32a)의 적어도 한쪽이 편심 구동되는 것이면, 상기 롤러(32a)에 재치된 상기 바이알병(10B)을 종방향(상하방향)으로도 교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치 선반(3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재치 선반(33)은, 상기 혼주장치(1)에서 실행되는 혼주 처리에 있어서 상기 약품 용기(10) 및 상기 주사기(11) 등을 임시 거치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재치 선반(33)은,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의 쌍방이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재치 선반(33)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병(10B)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세운 상태로 재치된다. 한편, 상기 재치 선반(33)에는, 상기 앰플(10A)을 경사진 상태로 홀딩하기 위한 경사 홀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앰플(10A)은, 상기 경사 홀딩부에 경사진 상태로 재치된다. 또, 상기 재치 선반(33)에는, 상기 주사기(11)의 네크부가 끼워지는 미리 정해진 소정 직경의 네크 홀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사기(11)는, 주사 바늘(11c)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시린지뿐인 상태로 네크부를 하향으로 하여 임시 거치된다.
[회전용 재치부(33A)]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용 재치부(33A)는, 상기 주사기(11)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에 이용되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이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재치부(33A)는, 상기 재치 선반(33)과 마찬가지로, 상기 주사기(11)의 네크부가 끼워지는 미리 정해진 소정 직경의 네크 홀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사기(11)는, 주사 바늘(11c)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시린지뿐인 상태로 네크부를 하향으로 하여 재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은,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회전용 재치부(33A)에 재치한 후, 상기 주사기(11)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은, 하기 (a), (b)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상기 주사기(11)를 둘레방향으로 180도까지 서서히 회전시킨다. (a) 상기 주사기(11)를 파지하여 둘레방향에서의 한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킨 후, 상기 주사기(11)를 떼어놓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의 각도를 둘레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다. (b) 상기 주사기(11)를 재차 파지하고, 상기 주사기(11)를 둘레방향에서의 한 방향으로 소정 회전시킨다.
[약품 판독부(34)]
상기 약품 판독부(34)는, 상기 앰플(10A) 및 상기 바이알병(10B) 등의 상기 약품 용기(10)에 첩부된 라벨에 기재되어, 수용된 약품의 약품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를 판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품 판독부(34)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롤러(34a)(회전 구동 수단의 일례), 및 바코드 리더(34b)(용기 판독 수단의 일례)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34a)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상기 롤러(34a)는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다른쪽의 상기 롤러(34a)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상기 롤러(34a)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롤러(34a)의 사이에 재치된 상기 약품 용기(10)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약품 용기(10)를 둘레방향으로 1회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약품 용기(10)에 첩부된 라벨의 전역을 상기 바코드 리더(34b)를 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코드 리더(34b)는, 상기 롤러(34a)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약품 용기(10)의 라벨로부터 바코드를 판독한다.
[칭량계(35)]
상기 칭량계(35)는, 상기 혼주장치(1)에서 실행되는 혼주 처리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11)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칭량계(35)에 의한 측정 결과는 상기 제 2 제어부(50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칭량계(35)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의 가동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재치된 상기 주사기(11)의 중량을 측정한다.
[바늘 휨 검지부(36)]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늘 휨 검지부(36)에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삽입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긴 구멍(長穴)(3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늘 휨 검지부(36)는, 상기 긴 구멍(36a)을 사이에 두고 광선을 조사 및 수광하고, 서로의 광선이 비평행이 되도록 배치된 제 1 광센서(361) 및 제 2 광센서(36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광센서(361)와 제 2 광센서(362)에 의한 검지 결과는 상기 제 2 제어부(500)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주사 바늘(11c)이 상기 긴 구멍(36a)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광센서(361) 및 상기 제 2 광센서(362) 각각의 광선이 상기 주사 바늘(11c)에 의해 차단되면, 상기 제 1 광센서(361)와 제 2 광센서(362)는 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광선을 차단할 때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사 바늘(11c)의 휨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c)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 촬영한 화상에 대한 화상 인식으로 바늘 휨을 검지하는 것도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 바늘(11c)에 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휨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11c)로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를 천자할 때의 바늘 끝 위치 또는 방향 등을 보정한다.
[혼주 연통구(37)]
상기 혼주 연통구(3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 처리실(104)의 측벽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돔형상 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돔형상 개소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가 상승하면,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가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에 위치하게 된다.
[바늘 삽입 확인 투명창(38)]
상기 바늘 삽입 확인 투명창(38)은,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의 상기 수액백(12)을 상기 혼주 처리부(300)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창이며,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이 상기 수액백(12)에 삽입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화상 촬영시에 사용된다.
[주사기 확인 카메라(42)]
또,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 처리부(300)의 천정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는, 상기 주사기(11)에 흡인된 약품의 유무 및 양 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주사기(11)를 촬영할 때에 이용된다.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는, 미리 고정된 촬영범위(R1) 내의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상기 제 2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상기 촬영범위(R1)의 위치 및 사이즈를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약품 용기(10)가 한번에 촬영되어, 신빙성이 높은 감사(鑑査) 화상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한 상기 촬영 화상을, 예를 들면 상기 혼주장치(1)에서 실행되는 혼주 처리의 적부를 화상으로 감사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기억부(4040),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 또는 상기 혼주장치(1)의 외부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부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유저에 의한 상기 감사 시에,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한 촬영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203) 등의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주사 바늘 착탈장치(43)]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부(切入部)가 형성된 척부(43a)의 구멍부(43b)에 캡이 부착된 주사 바늘(11c)의 바늘 끝이 상향으로 꽂아진다. 모터(43c)가 구동되면, 도시하지 않는 캠 기구에 의해 상기 척부(43a)의 구멍부(43b)가 확대되어 상기 캡이 부착된 주사 바늘(11c)을 꽂을 수 있다. 상기 모터(43c)의 구동이 정지되면, 스프링(43d)에 의해 상기 캡 부착 주사 바늘(11c)의 홀딩 상태가 유지된다. 바늘 회전 모터(43e)가 구동되면, 기어(43f) 및 기어(43g)가 회전하고, 상기 척부(43a)가 회전하여, 상기 캡 부착 주사 바늘(11c)이 회전된다. 상기 주사 바늘(11c)에서는, 캡이 상기 주사 바늘(11c)에 장착된 상태로 둘레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접촉하는 리브가 상기 캡 및 상기 주사 바늘(11c)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주사 바늘(11c)은, 상기 척부(43a)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11c)의 캡이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캡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시린지(11b)에 대해 착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에서는, 상기 앰플(10A)을 사용할 때의 시린지 필터가 부착된 주사 바늘(11c)로 갈아 끼우는 것을 자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는, 상기 캡이 부착된 주사 바늘(11c)의 바늘 끝이 위를 향하므로, 상기 주사 바늘(11c)이 떼어진 상기 시린지 본체(11a)의 선단 개구는 상향으로 되어, 상기 시린지 본체(11a)의 네크부 개구로부터의 액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44)]
또, 상기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44)는, 상기 혼주 처리실(104) 바깥에 위치하는 상기 수액백(12)과,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의 상기 주사기(11)를 하나의 화상 내에 들어가도록 촬영한다.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를 상기 주사 바늘(11c)로 천자했을 때에, 상기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44)에 의해 상기 바늘 삽입 확인 투명창(38)의 방향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에는,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이 천자 가능한 고무마개(12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액백(12) 내는 밀폐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44)에 의한 촬영 화상은, 예를 들면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에 표시된다. 여기서, 도 17은, 상기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44)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일례이다. 이에 따라, 유저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선단측이 상기 수액백(12)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상기 촬영 화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화상은, 예를 들면 최종 감사를 위해 상기 혼주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부에 보존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에서, 유저에 의해 OK 버튼이 조작되어 적절하게 혼주 처리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액백(12)이 상기 백 승강부(113)에 의해 강하되어 상기 트레이(101)로 되돌려진다.
[살균등(45)]
상기 살균등(45)은, 예를 들면 상기 혼주 처리의 개시 3시간 전부터 점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살균등(45) 중 1개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가려지는 살균광의 양은 적어져, 상기 혼주 처리실(14) 내를 구석구석까지 살균할 수 있다. 또, 상기 혼주 처리부(300)에는,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의 공기를 당해 혼주 처리실(104)의 측벽의 하부에 형성된 슬릿(104b)(도 3, 도 4 참조)으로부터 흡인하여 상기 혼주 처리실(104)의 위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배기 팬으로부터 배출하는 배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혼주 처리실(104)의 천정부에 형성된 흡기구로부터 외기(外氣)를 청정하게 하여 상기 혼주 처리실(104) 등으로 유도하는 급기 시스템도 설치되어 있다.
[혼주 처리]
다음으로, 상기 혼주장치(1)에 있어서 상기 혼주 처리부(300)가 실행하는 혼주 처리의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혼주 처리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 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제 데이터에 의거하여 1 또는 복수의 상기 약품 용기(10)로부터 상기 주사기(11)로 약품을 흡인하는 동시에 상기 주사기(11)로부터 상기 수액백(12)으로 상기 약품을 주입한다.
[앰플(10A)을 사용하는 혼주 처리]
우선, 상기 앰플(10A)에 수용된 약품을 상기 수액백(12)에 주입할 때의 혼주 처리의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가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에 공급되면, 상기 IC 리더(101c)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의 상기 IC 태그(101b)로부터 상기 트레이(101)의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의 식별 정보가, 당해 혼주 처리의 상기 조제 데이터에 미리 대응지어진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셔터(111)를 연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의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의 상기 트레이 승강부(112)에 의해 상승시켜 상기 혼주 처리실(104)에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에 의해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에 의한 촬영 화상에 의거하는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앰플(10A) 및 상기 주사기(11) 등의 기재의 위치나 방향을 파악한다. 특히,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로부터 상기 앰플(10A) 또는 상기 주사기(11)를 취출할 때마다,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로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으로부터 최신의 상기 앰플(10A) 및 상기 주사기(11)의 위치나 방향을 파악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에 노출된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재치 선반(33)에 임시로 거치한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앰플(10A)을 상기 약품 판독부(34)에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약품 판독부(34)에 의해, 상기 앰플(10A)에 수용된 약품의 종류 등의 정보를 판독한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첫번째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에 세트하고, 두번째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재치 선반(33)에 임시로 거치한다. 여기에서, 첫번째 상기 주사 바늘(11c)은 시린지 필터가 없는 주사 바늘이며, 두번째의 상기 주사 바늘(11c)은 시린지 필터가 부착된 주사 바늘이다. 또한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되어 있는 상기 주사 바늘(11c)에는 캡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캡은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에서 착탈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 상의 모든 기재를 취출하면,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의 상기 트레이 승강부(112)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하강시켜 상기 트레이(101)로 되돌린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 상의 기재가 모두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에 의한 촬영 화상에 의거하는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확인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셔터(111)를 닫고,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를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로 반송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의 상기 백 승강부(113)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의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로 홀딩되어 있는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를 상기 혼주 처리실(104)에 형성된 혼주 연통구(37)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약품 판독부(34)에 세트된 상기 앰플(10A)을 상기 재치대(33)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재치대(33)로부터 상기 주사기(11)를 취출하여,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세트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11)에 상기 주사 바늘(11c)을 세트시킨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바늘 휨 검지부(36)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 바늘(11c)의 휨의 유무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재치대(33)로부터 상기 앰플(10A)을 취출하고, 상기 앰플 커터(31)를 이용하여 상기 앰플(10A)의 헤드부를 부러뜨린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앰플(10A)과 상기 주사기(11)를 접근시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앰플(10A) 내에 삽입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플런저(11b)를 조작하여 상기 앰플(10A)로부터 상기 조제 데이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의 약품을 상기 주사기(11)로 흡인한다.
이때,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은, 상기 앰플(10A) 및 상기 주사기(11)의 자세를 서서히 비스듬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앰플(10A)의 마우스부가 연직 위방향,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진 상태로, 상기 앰플(10A)로부터 어느 정도의 약품을 빨아 올리고, 그 후, 상기 앰플(10A)을, 연직 방향을 기준으로 10도 정도 경사지게 하여 상기 마우스부측(네크부)으로 약품을 이동시킨 상태를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선단을 상기 앰플(10A)의 바닥에 닿게 하지 않고 약품을 최대한 남기지 않고 빨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하여, 상기 약품이 흡인된 후의 상기 앰플(10A) 및 상기 약품을 흡인한 상태의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의 촬영범위(R1) 내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러한 이동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이동 제어 수단의 일례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해 상기 앰플(10A) 및 상기 주사기(11)를 한번에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을 감사 화상으로서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에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가 흡인 시 촬영 수단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는, 미리 정해진 상기 촬영범위(R1)를 촬영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이동된 후의 상기 앰플(10A) 및 상기 주사기(11)가 한번에 촬영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의 상기 촬영범위(R1)를 변경 가능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교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은,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 바늘(11c)에 상기 캡을 장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에 의해 상기 캡을 회전시켜, 상기 주사기(11)로부터 상기 주사 바늘(11c)을 떼어낸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c)을 떼어내는 것은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한 상기 캡의 회전 동작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쓰레기 덮개(132a)를 열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가 잡고 있는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쓰레기 수용실(13a) 내에 낙하시켜 폐기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재치대(33)로부터 상기 시린지 필터가 부착된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에 세트 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11)에 상기 주사 바늘(11c)을 장착시킨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바늘 휨 검지부(36)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 바늘(11c)의 휨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상기 앰플(10A)로부터 약품을 흡인할 때와, 상기 수액백(12)에 수액을 주입할 때에 상기 주사 바늘(11c)이 교환되어, 상기 앰플(10A)의 파편이 상기 수액백(12)에 혼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에 반송된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에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천자하여, 상기 주사기(11) 내의 혼합약을 상기 수액백(12)에 주입한다. 한편,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쓰레기 덮개(132a)를 열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앰플(10A)을 상기 쓰레기 수용실(13a) 내에 낙하시켜 폐기한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에 상기 캡을 장착시킨 후,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쓰레기 수용실(13a) 내에 낙하시켜 폐기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 등에 의해 촬영된 각종 화상을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는,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를 보면서 상기 혼주 처리의 적부에 대하여 감사를 실시할 수 있다.
[바이알병(10B)을 사용하는 혼주 처리]
계속해서,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용된 약품이 용해가 필요한 가루약과 같은 약품인 경우에, 그 약품을 수액과 혼합하고 나서 상기 수액백(12)에 주입할 때의 혼주 처리의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가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에 공급되면, 상기 IC 리더(101c)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의 상기 IC 태그(101b)로부터 상기 트레이(101)의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의 식별 정보가, 당해 혼주 처리의 상기 조제 데이터에 미리 대응지어진 식별 정보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셔터(111)를 연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101)의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의 상기 트레이 승강부(112)에 의해 상승시켜 상기 혼주 처리실(104)에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에 의해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에 의한 촬영 화상에 의거하는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바이알병(10B) 및 상기 주사기(11) 등의 기재의 위치나 방향을 파악한다. 특히,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로부터 상기 바이알병(10B) 또는 상기 주사기(11)를 취출할 때마다,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로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으로부터 최신의 상기 바이알병(10B) 및 상기 주사기(11)의 위치나 방향을 파악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혼주 처리실(104) 내에 노출된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재치 선반(33)에 임시로 거치한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바이알병(10B)을 상기 약품 판독부(34)에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약품 판독부(34)에 의해,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용된 약품의 종류 등의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 상의 모든 기재를 취출하면,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의 상기 트레이 승강부(112)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를 하강시켜 상기 트레이(101)로 되돌린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기재 재치부(102) 상의 기재가 모두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트레이 확인 카메라(41)에 의한 촬영 화상에 의거하는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확인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셔터(111)를 닫고,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를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로 반송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트레이 반송부(110)의 상기 백 승강부(113)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의 상기 수액백 홀딩부(103)로 홀딩되어 있는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를 상기 혼주 처리실(104)에 형성된 혼주 연통구(37)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약품 판독부(34)에 세트된 상기 바이알병(10B)을 상기 재치대(33)로 이동시킨다. 한편, 이 이동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기재 재치부(102)에 재치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에 세트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재치대(33)로부터 상기 주사기(11)를 취출하고,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세트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11)에 상기 주사 바늘(11c)을 세트시킨다. 또한 상기 트레이(101)에 재치될 때에 상기 주사기(11)에 상기 주사 바늘(11c)이 장착되어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바늘 휨 검지부(36)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 바늘(11c)의 휨의 유무를 검출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로 반송된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에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를 천자하여, 상기 수액백(12)으로부터 상기 조제 데이터에서 나타난 용해량의 수액을 흡인한다. 한편,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재치대(33)에 재치되어 있는 상기 바이알병(10B)을 취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바이알병(10B)과 상기 주사기(11)를 각각 접근시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에 천자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플런저(11b)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주사기(11) 내의 상기 수액을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주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품이 상기 수액에 용해된다. 이때,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바이알병(10B)의 자세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바이알병(10B)의 마우스부가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수액이 주입된 상기 바이알병(10B)을 상기 교반장치(32)에 세트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반장치(32)에서는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품 및 수액이 교반된다. 상기 교반장치(32)에 의한 교반이 종료되면,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교반장치(32)로부터 상기 바이알병(10B)을 취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바이알병(10B)과 상기 주사기(11)를 각각 접근시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에 천자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플런저(11b)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혼합약을 상기 주사기(11)로 흡인한다. 이때,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바이알병(10B)의 자세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바이알병(10B)의 마우스부가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이다. 또한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바이알병(10B)의 자세는, 상기 바이알병(10B)의 마우스부가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여도 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하여, 상기 약품이 흡인된 후의 상기 바이알병(10B) 및 상기 약품을 흡인한 상태의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의 촬영범위(R1) 내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러한 이동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이동 제어 수단의 일례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해 상기 바이알병(10B) 및 상기 주사기(11)를 한번에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을 감사 화상으로서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에 기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는, 미리 정해진 상기 촬영범위(R1)를 촬영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이동된 후의 상기 바이알병(10B) 및 상기 주사기(11)가 한번에 촬영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의 상기 촬영범위(R1)를 변경 가능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반송 종단부(110a)로 반송된 상기 수액백(12)의 혼주구에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을 천자하여, 상기 주사기(11) 내의 혼합약을 상기 수액백(12)에 주입한다. 한편,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쓰레기 덮개(132a)를 열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에 의해 상기 바이알병(10B)을 상기 쓰레기 수용실(13a) 내에 낙하시켜 폐기한다. 또,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주사 바늘 착탈장치(43)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에 상기 캡을 장착시킨 후, 상기 주사기(11)를 상기 쓰레기 수용실(13a) 내에 낙하시켜 폐기한다.
그 후,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 등에 의해 촬영된 각종의 화상을 상기 데이터 기억부(504)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는, 상기 터치 패널 모니터(14)를 보면서 상기 혼주 처리의 적부에 대하여 감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용된 약품이 용해될 필요가 없는 약액과 같은 약품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상기 혼주 처리는, 상기 수액백(12)으로부터 상기 수액을 흡인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에 주입하는 주입공정 및 상기 바이알병(10B)을 교반하는 공정이 실행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용된 약품이 용해될 필요가 있는 가루약과 같은 약품인 경우의 상기 혼주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 혼주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상기 바이알병(10B)을 사용하는 상기 혼주 처리에서는,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 내로부터 약액을 흡인하는 흡인공정, 및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백(12) 내에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공정이 실행된다. 또, 상기 바이알병(10B)이 가루약인 경우에는,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백(12)으로부터 수액을 흡인하는 흡인공정, 및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수액을 주입하는 주입공정도 실행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개구부에는 고무마개(12 C)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이알병(10B)은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수액의 주입공정과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약액의 흡인공정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2C)에 천자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액백(12)의 개구부에도 고무마개(12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액백(12)은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백(12)에의 수액의 주입공정과 상기 수액백(12)으로부터의 약액의 흡인공정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상기 수액백(12)의 고무마개(12A)에 천자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수액을 주입하는 경우, 및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약액을 주입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백(12) 내에 수액을 주입하는 경우, 및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백(12)으로부터 약액을 주입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통상,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액을 주입할 때에는 상기 바이알병(10B) 내가 양압이 되고, 예를 들면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액을 주입할 때의 저항이 커진다. 또, 상기 바이알병(10B) 내가 양압이 되면, 상기 바이알병(10B)에 상기 주사 바늘(11c)이 천자된 경우 등에,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액체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액을 주입할 때에는,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과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수액의 주입을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약액을 흡인할 때에는 상기 바이알병(10B) 내가 부압이 되어, 예를 들면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약액을 흡인할 때의 저항이 커진다. 그 때문에,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약액을 흡인할 때에는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약액의 흡인과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공기의 주입을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사기(11)로 수액을 주입할 때에 공기를 흡인하는 작업 및 상기 주사기(11)로 약액을 흡인할 때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번잡하고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한다. 또,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반복하여 천자하면 코어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코어링이란,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고무마개(10C)에 천자했을 때에 상기 주사 바늘(11c)에 의해 상기 고무마개(10C)의 조각(코어)이 깎이는 현상이다. 코어링이 발생하면,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액체가 샐 우려가 있고, 또,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액체에 고무마개(10C)의 조각이 혼입할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하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주사 바늘(11c)이 이용됨으로써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 등을 간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천자 횟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코어링의 발생도 억제된다.
우선, 도 18(A)∼도 18(E),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8(A)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평면도, 도 18(B)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저면도, 도 18(C)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정면도, 도 18(D)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좌측면도, 도 18(E)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우측면도이다. 또, 도 19(A)는 도 18(A)에 있어서의 XIX(A)-XIX(A) 화살표선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에 있어서의 영역 A1의 확대도이다.
도 18(A)∼도 18(E),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11c)은, 바늘관(211), 바늘기(212), 및 통기부(213)를 구비한다. 상기 주사 바늘(11c)은, 상기 바늘관(211)이 상기 통기부(213)에 삽입된 후,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이 상기 바늘기(212)에 고정됨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부(213)는 금속이며, 상기 바늘기(212)는 수지이다. 또한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부(213)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수지여도 된다.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은,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를 천자 가능한 첨(尖)형상이다.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은, 상기 바늘기(212)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바늘기(212)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늘관(211)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후단(2112)이 상기 바늘기(212)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바늘관(211)이 상기 바늘기(212)에 접착된다. 또,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이 상기 바늘기(212)에 나사로 부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이 상기 바늘기(212) 내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바늘관(211) 내에는, 상기 주사기(11)로 흡인 또는 주입하는 수액 또는 약액 등의 액체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는, 상기 선단(2111)측으로부터 상기 후단(2112)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1 테이퍼부(21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테이퍼부(2113)를 생략하는 것도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바늘기(212)는,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측을 홀딩하는 동시에, 상기 바늘관(211)과의 사이에서 상기 통기부(213)를 협지한다. 상기 바늘기(212)는, 상기 시린지(11a)에 착탈이 가능하며, 상기 시린지(11a)에 설치된 암나사에 나사 부착 가능한 수나사로서 기능하는 돌기부(2121)를 갖는다. 상기 바늘기(212)는, 상기 돌기부(2121)가 상기 시린지(11a)의 암나사에 삽입되어 한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시린지(11a)에 장착되고,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시린지(11a)로부터 떼어내진다.
상기 통기부(213)는 제 1 개구부(2131), 제 2 개구부(2132), 및 제 2 테이퍼부(2133)를 갖는 관상 부재이다. 여기에서, 상기 통기부(213)의 내직경은, 상기 바늘관(211)의 외직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부(213)에서는, 내부에 상기 바늘관(211)이 삽입된 경우에,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과 상기 통기부(21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2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틈새(214)는,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부(213)와 동심원형상이다. 예를 들면, 상기 바늘관(211)의 두께가 0.1[mm] 이고, 상기 통기부(213)의 두께가 0.1[mm] 이며, 상기 틈새(214)의 두께가 0.2[mm] 이다.
상기 제 1 개구부(2131) 및 상기 제 2 개구부(2132)는, 버링 가공에 의해 상기 통기부(213)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213)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이다(도 19(B) 참조). 또한 상기 제 1 개구부(2131) 및 상기 제 2 개구부(2132) 각각의 수는 1개로 한정하지 않고, 상기 통기부(213)의 긴쪽방향 및/또는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개구부(2131)는,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보다 후단(2112)측으로 이간한 미리 정해진 제 1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개구부(2132)는, 상기 제 1 개구부(2131)가 형성된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측으로 이간한 미리 정해진 제 2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구부(2131) 및 상기 제 2 개구부(2132)는, 상기 바늘기(212)보다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통기부(213)에서는, 상기 제 1 개구부(2131), 상기 틈새(214), 및 상기 제 2 개구부(2132)의 간소한 구조에 의해 통기 경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다. 즉, 상기 통기부(213)는 상기 제 1 개구부(2131)가 형성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개구부(2132)가 형성된 상기 제 2 위치를 상기 바늘관(211)의 외측에 있어서의 상기 틈새(214)에서 연통한다.
상기 제 2 테이퍼부(2133)는, 상기 후단(2112)측으로부터 상기 선단(2111)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213)는, 상기 제 2 테이퍼부(2133)가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으로 향해진 상태로 상기 바늘관(211)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통기부(213)의 제 2 테이퍼부(2133)의 단부의 내직경은, 상기 바늘관(211)의 제 1 테이퍼부(2113)의 최대 외직경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상기 바늘관(211)에 상기 통기부(213)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테이퍼부(2113)에 상기 제 2 테이퍼부(2133)의 단부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통기부(213)와 상기 바늘관(211)과의 위치 결정이 실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늘관(211)과 상기 통기부(213)와의 경계 부분인 상기 제 1 테이퍼부(2113)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33)와의 맞닿음 개소는,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바늘관(211)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그 때문에, 상기 주사 바늘(11c)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될 때에 상기 바늘관(211)과 상기 통기부(213)와의 경계 부분이 상기 고무마개(10C)에 접촉하여 발생할 우려가 있는 코어링이 방지된다.
또, 상기 바늘기(212)에는, 상기 후단(2112)측으로부터 상기 선단(2111)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2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부(2122)는, 상기 바늘관(211)이 상기 바늘기(212)에 장착될 때에 상기 통기부(213)의 후단에 맞닿는다. 즉, 상기 통기부(213)는, 상기 바늘관(211)의 제 1 테이퍼부(2113)와 상기 바늘기(212)의 테이퍼부(2122)와의 사이에서 협지된다. 따라서, 접착제,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통기부(213)를 상기 바늘관(211) 또는 상기 바늘기(212)에 고정할 필요가 없다.
[주입공정]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면서, 상기 혼주장치(1)에서 실행되는 상기 혼주 처리에 있어서, 상기 주사 바늘(11c)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상기 주입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주입공정은, 상기 제 2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 등이 제어됨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서, 이러한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주입 제어부의 일례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입공정에서는, 우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하는 천자공정이 실행된다. 상기 천자공정에서는,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은 상기 통기부(213)의 제 1 개구부(2131)가 형성된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위치하고, 상기 통기부(213)의 제 2 개구부(2132)가 형성된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이알병(10B) 바깥에 위치하는 위치까지 천자된다. 즉,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된다. 여기서, 이러한 천자공정이 제 1 천자공정의 일례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부(213)에서는, 상기 제 1 개구부(2131), 상기 틈새(214), 및 상기 제 2 개구부(2132)에 의해 상기 바이알병(10B)의 내외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천자공정에 의해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의 플런저(11b)가 밀어 넣어지는 주입공정이 실행된다. 상기 주입공정에서는, 상기 주사기(11)의 시린지(11a)에 수용되어 있는 수액이,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의 바늘관(211) 내를 화살표(C1) 방향으로 흘러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주입된다. 이때,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공기는,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상기 수액의 주입에 의해 밀려나와 상기 통기부(213) 내를 화살표(C2) 방향으로 흘러 상기 바이알병(10B) 바깥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액이 주입되어도 상기 바이알병(10B) 내가 양압이 되지 않고, 상기 주사기(11)의 플런저(11b)를 그대로 밀어넣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서부터 외부로의 공기의 배출과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수액의 주입을 교대로 반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한 상기 주입공정이 간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주입공정에 필요로 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반복하여 천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어링의 발생도 억제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혼주장치(1)에 의해 상기 주사기(11)가 조작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인간이 상기 주사기(11)를 조작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흡인공정]
계속해서, 도 21(A)를 참조하면서, 상기 혼주장치(1)에서 실행되는 상기 혼주 처리에 있어서, 상기 주사 바늘(11c)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상기 흡인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흡인공정은, 상기 제 2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 등이 제어됨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서, 이러한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흡인 제어부의 일례이다.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인공정에서는, 우선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하는 천자공정이 실행된다. 상기 천자공정에서는,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은, 상기 통기부(213)의 제 1 개구부(2131)가 형성된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위치하고, 상기 통기부(213)의 제 2 개구부(2132)가 형성된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이알병(10B)바깥에 위치하는 위치까지 천자된다. 즉,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이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된다. 여기서, 이러한 천자공정이 제 3 천자공정의 일례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부(213)에서는, 상기 제 1 개구부(2131), 상기 틈새(214), 및 상기 제 2 개구부(2132)에 의해 상기 바이알병(10B)의 내외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이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에 의해 상기 주사기(11)의 플런저(11b)를 꺼내는 조작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알병(10B)에 수용되어 있는 약액이,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의 바늘관(211) 내를 화살표(C3) 방향으로 흘러 상기 주사기(11)의 시린지(11a)에 흡인된다. 이때,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상기 약액이 흡인되지만,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는, 상기 바이알병(10B) 바깥의 공기가 상기 통기부(213) 내를 화살표(C4) 방향으로 흘러 주입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약액이 흡인되어도 상기 바이알병(10B) 내가 부압이 되지 않고, 상기 주사기(11)의 플런저(11b)를 그대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 내로의 공기의 주입과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약액의 흡인을 교대로 반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주사기(11)의 흡인공정이 간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흡인공정에 필요로 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반복하여 천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어링의 발생도 억제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혼주장치(1)에 의해 상기 주사기(11)가 조작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인간이 상기 주사기(11)를 조작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도 21(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흡인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바이알병(10B)의 자세가,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선단(2111)이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바이알병(10B)의 마우스부가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인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주사기(11) 및 상기 바이알병(10B)의 자세가, 상기 바이알병(10B)의 마우스부가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선단(2111)이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천자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이, 상기 통기부(213)의 제 1 개구부(3111)보다 상기 선단(2111)측의 위치까지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된다. 여기서, 이러한 천자공정이 제 2 천자공정의 일례이다. 이에 따라, 상기 주사기(11)의 플런저(11b)를 꺼내도 상기 통기부(213)로부터 약액이 누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약액의 흡인과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공기의 주입이 교대로 실시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 흡인하는 약액의 양이 적은 경우 등, 상기 바이알병(10B) 내가 미리 정해진 허용치 이상의 부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약액의 흡인과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공기의 주입이 교대로 실시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사기(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늘관(211)보다도 상기 바늘기(212)의 선단(2111)측에 위치한다. 이에 대해, 상기 주사기(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늘관(211)을 홀딩하는 상기 바늘기(212)측에 위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할 때에, 상기 바늘관(211)보다도 외직경이 큰 상기 바늘기(212)까지 천자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바늘관(211)만을 상기 고무마개(10C)에 천자하는 경우에 비해 코어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상기 바늘기(212)가 상기 통기부(213)에 삽입되는 구성을 생각하면, 상기 바늘관(211)이 상기 통기부(213)에 삽입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 비해 상기 통기부(213)의 외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어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상기 주사기(11)에서는,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늘기(212)보다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할 때에 상기 바늘기(212)까지 천자할 필요가 없어 코어링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213)를 대신하여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홈부(411)(도 28(A) 등 참조)가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바늘기(212)에 상기 홈부(411)가 형성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할 때에, 상기 바늘관(211)보다도 외직경이 큰 상기 바늘기(212)까지 천자할 필요가 있어 코어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늘기(212)보다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홈부(411)가 상기 바늘기(212)보다 상기 선단(2111)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주사 바늘(11c)을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할 때에 상기 바늘기(212)까지 천자할 필요가 없어 코어링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런데, 도 18(A)∼도 18(E)에 나타낸 상기 주사 바늘(11c)은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이하, 제 2 실시형태∼제 8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22(A) 및 도 22(B)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주사 바늘(11c)의 변형예인 주사 바늘(11d)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d)에 대해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22(A)는 상기 주사 바늘(11d)의 평면도, 도 22(B)는 상기 주사 바늘(11d)의 정면도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d)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에 대해서는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한다.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내는 상기 주사 바늘(11d)은,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상기 주사 바늘(11c)에 비해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과 상기 제 1 개구부(2131)와의 이간 거리가 짧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있어서 고무마개(10C)에 가까운 위치까지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d)이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바이알병(10B)의 상기 고무마개(10C)가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여도, 상기 주사 바늘(11d)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11c) 및 상기 주사 바늘(11d)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과 상기 제 1 개구부(2131)와의 이간 거리는 목적에 따라 미리 임의로 결정하면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23(A) 및 도 23(B)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다른 형태인 주사 바늘(11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e)에 대해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23(A)는 상기 주사 바늘(11e)의 평면도, 도 23(B)는 상기 주사 바늘(11e)의 정면도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e)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에 대해서는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한다.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상기 주사 바늘(11e)에서는, 상기 통기부(213)의 외주면에, 상기 후단(2112)측으로부터 상기 선단(2111)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21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213)는 상기 테이퍼부(2134)측의 단부가 접착제,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또, 상기 바늘관(211)은, 예를 들면 상기 통기부(213)와 상기 바늘기(212)와의 사이에서 상기 바늘기(212)에 접착제,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후단(2112)이 상기 바늘기(212) 내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것, 상기 바늘관(211)이 상기 바늘기(212)에 나사로 부착되는 것, 또는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이 상기 바늘기(212) 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24(A) 및 도 24(B)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주사 바늘(11e)의 변형예인 주사 바늘(11f)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f)에 대해 상기 주사 바늘(11e)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24(A)는 상기 주사 바늘(11f)의 평면도, 도 24(B)는 상기 주사 바늘(11f)의 정면도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11f)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에 대해서는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한다.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상기 주사 바늘(11f)은,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상기 주사 바늘(11e)에 비해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과 상기 제 1 개구부(2131)와의 이간 거리가 짧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알병(10B) 내에 있어서 고무마개(10C)에 가까운 위치까지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로,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f)이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바이알병(10B)의 상기 고무마개(10C)가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여도, 상기 주사 바늘(11f)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11e) 및 상기 주사 바늘(11f)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과 상기 제 1 개구부(2131)와의 이간 거리는 목적에 따라 미리 임의로 결정하면 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25, 도 26(A)∼도 26(C)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다른 예인 주사 바늘(3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310)에 대해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25는 상기 주사 바늘(310)의 사시도이다. 또, 도 26(A)는 상기 주사 바늘(310)의 평면도, 도 26(B)는 도 26(A)에 있어서의 XXVI(B)-XXVI(B) 화살표선 단면도, 도 26(C)는 도 26(B)에 있어서의 영역 A2의 확대도이다.
도 25, 도 26(A)∼도 2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310)은, 상기 주사 바늘(11c)의 통기부(213)를 대신하여 통기부(311)를 갖는다. 상기 통기부(311)는, 상기 제 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3111)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개구부(3112)가 설치된 관상 부재이다.
상기 제 1 개구부(3111)는, 상기 통기부(311)의 상기 선단(2111)측의 개방 단부이다. 상기 개방 단부인 상기 제 1 개구부(3111)는, 상기 통기부(3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2111)측의 단면이 상기 통기부(311)에 설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형성된 개구이다. 또, 상기 제 2 개구부(3112)는, 상기 통기부(213)의 제 2 개구부(2132)와 마찬가지로 상기 통기부(311)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으로서 상기 통기부(311)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구부(3111)가, 상기 통기부(213)의 제 1 개구부(2131)와 마찬가지로 상기 통기부(311)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으로서, 상기 제 2 개구부(3112)가, 상기 통기부(311)의 상기 후단(2112)측의 개방 단부인 것도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기부(311)는 상기 바늘관(211)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311)에서는, 내주면의 일부인 제 1 영역(3114)이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외접(外接)한 상태로 상기 바늘관(21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부(311)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3114)을 제외한 제 2 영역(3116)에서는, 상기 통기부(311)의 내주면과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틈새(3115)가 개재하게 된다. 상기 통기부(311)에서는, 상기 틈새(3115)의 상기 선단(2111)측의 개방 단부가 상기 제 1 개구부(3111)이다. 또한 상기 통기부(311)의 고정은, 접착제,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실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통기부(311)에서는, 상기 제 1 개구부(3111), 상기 틈새(3115), 및 상기 제 2 개구부(3112)에 의해 상기 바늘관(211)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를 연통하는 통기 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사 바늘(310)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 등에 있어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공기의 배기 및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공기의 주입이 상기 통기부(311)를 통하여 실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주사 바늘(310)에서는, 상기 통기부(311)의 일단에, 상기 선단(2111)측으로부터 상기 후단(2112)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외측을 향하여 두께가 증가하는 제 3 테이퍼부(31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3 테이퍼부(3113)는, 상기 통기부(311)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외접하는 제 1 영역(3114)과, 상기 제 1 영역(311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틈새(3115)가 개재하는 제 2 영역(3116)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영역(3114)의 내주면과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상기 제 3 테이퍼부(3113)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3114)의 상기 선단(2111)측의 단부는, 상기 제 2 영역(3116)의 상기 선단(2111)측의 단부보다 상기 선단(2111)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사 바늘(310)에서는, 상기 통기부(311) 중 상기 틈새(3115)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영역(3116)보다도 먼저 상기 제 1 영역(3114)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3114)과 상기 틈새(3115)를 갖는 상기 제 2 영역(3116)이 동시에 상기 고무마개(10C)에 천자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주사 바늘(310)이 상기 고무마개(10C)에 삽입 통과되기 쉽다.
또, 상기 제 3 테이퍼부(3113)에서는, 도 2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영역(3114)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통기부(311)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 2 영역(3116)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통기부(311)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제 3 테이퍼부(3113)의 경사 각도는, 상기 통기부(311)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3114)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3116)으로 나아감에 따라 작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부(311)의 선단으로서 상기 틈새(31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 1 영역(3114)이 상기 고무마개(10C)에 천자될 때에는 첨형도를 높게 하여 삽입 통과 저항을 낮추는 동시에, 상기 틈새(3115)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영역(3115)이 상기 고무마개(10C)에 천자될 때에는 상기 제 1 영역(3114)보다도 첨형도를 낮추어 상기 제 2 영역(3115)에 있어서의 코어링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27(A), 도 27(B), 도 28(A), 및 도 28(B)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다른 예인 주사 바늘(4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410)에 대해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27(A)는 상기 주사 바늘(410)의 평면도, 도 27(B)는 도 27(A)에 있어서의 XXVII(B)-XXVII(B) 화살표선 단면도이다. 또, 도 28(A)는 도 27(A)에 있어서의 XXVIII(A)-XXVIII(A) 화살표선 단면도이고, 도 28(B)는 도 28(A)에 있어서의 영역 A3의 확대도이다.
도 27(A), 도 27(B),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410)은,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설치된 홈부(411)를 갖는다. 상기 홈부(411)는,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보다 후단(2112)측으로 이간한 위치이며,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바늘관(211)의 후단(2112)측으로 이간한 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주사 바늘(410)에서는, 상기 홈부(411)의 내부 공간(412)이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를 상기 바늘관(211)의 외측에서 연통하는 통기 경로로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사 바늘(410)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 등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공기의 배기 및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공기의 주입이 상기 홈부(411)를 통해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 바늘(410)에서는, 상기 바늘관(211)에 상기 홈부(411)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적은 부품 점수로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홈부(410)는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2111)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바늘관(211)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홈부(410)에 기인하는 코어링의 발생도 억제된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410)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411)의 길이는 목적에 따라 미리 임의로 결정하면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29(A)∼도 29(C)는,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주사 바늘(410)의 변형예인 주사 바늘(5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510)에 대해 상기 주사 바늘(410)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29(A)는 상기 주사 바늘(510)의 평면도, 도 29(B)는 도 29(A)에 있어서의 XXIX(B)-XXIX(B) 화살표선 단면도, 도 29(C)는 도 29(A)에 있어서의 XXIX(C)-XXIX(C) 화살표선 단면도이다.
도 29(A)∼도 2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510)은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홈부(411)와, 상기 홈부(411)의 일부의 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바늘관(211)이 삽입된 경우에 내주면과 상기 홈부(411)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관상 부재(51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홈부(411) 및 상기 관상 부재(511)가 통기부의 일례이다.
그리고, 상기 관상 부재(511)에서는, 상기 제 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5111)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개구부(5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5111) 및 상기 제 2 개구부(5112)는, 상기 관상 부재(511)의 내주면과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틈새(5113)의 상기 선단(2111)측의 개방 단부 및 상기 후단(2112)측의 개방 단부이다. 또한 상기 개방 단부인 상기 제 1 개구부(5111) 및 상기 제 2 개구부(5112)는, 상기 관상 부재(5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이 상기 관상 부재(511)에 설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형성된 개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주사 바늘(510)에서는, 상기 관상 부재(511)의 내주면과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411)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틈새(5113)가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를 연통하는 통기 경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사 바늘(510)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 등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공기의 배기 및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공기의 주입이 상기 홈부(411)를 통해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 바늘(510)에서는, 상기 바늘관(211)의 내측으로 오목한 상기 홈부(411)와 상기 관상 부재(511)와의 사이의 틈새(5113)가 통기 경로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관상 부재(511)의 내직경 및 외직경이 작은 경우라도 상기 틈새(5113)를 통기 경로로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주사 바늘(510)에서는,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과 상기 관상 부재(5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통기 경로가 되는 틈새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관상 부재(511)의 외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코어링의 발생이 억제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과 상기 관상 부재(511)의 내주면과는 밀착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관상 부재(511)가, 상기 홈부(411)의 전부의 범위에 걸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바늘관(211)이 삽입된 경우에 상기 홈부(411)와 상기 관상 부재(5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인 것도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상 부재(511)는,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로서 상기 홈부(411)에 대향하는 상기 관상 부재(511)의 둘레면 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상 부재(511)의 내외를 관통하는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것을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1 개구부, 상기 홈부(411), 상기 제 2 개구부에 의해 통기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상기 통기부(213)에 비해 상기 관상 부재(511)의 외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코어링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 8 실시형태]
도 30(A)는, 상기 주사기(11)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다른 예인 주사 바늘(610)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B)는 상기 주사 바늘(610)이 상기 고무마개(10C)에 천자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610)에 대해 상기 주사 바늘(11c)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610)은, 상기 바늘관(211)과, 상기 바늘관(211)에 평행한 상태로 접속부(6110)를 통하여 상기 바늘관(211)에 고정된 통기용 바늘관(611)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이 통기부의 일례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610)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의 길이 및 위치는 목적에 따라 미리 임의로 결정하면 된다.
상기 접속부(6110)는,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상기 후단(2112)측인 제 3 위치에 있어서, 접착제,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이 상기 바늘관(211)에 접속될 때에 개재하는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의 고정부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부(6110)는 접착제, 납, 용접 재료, 또는 스페이서 부재 등이다. 따라서,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은 상기 주사 바늘(610)의 긴쪽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간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주사 바늘(610)에서는, 상기 접속부(6110)가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에서는, 상기 제 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6111)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개구부(6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6111)는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의 상기 선단(2111)측의 개방 단부이며, 상기 제 2 개구부(6112)는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의 상기 후단(2112)측의 개방 단부이다. 그리고,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 내에는, 상기 제 1 개구부(6111) 및 상기 제 2 개구부(6112)를 연통하는 통기 경로(6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주사 바늘(610)이 장착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상기 주입공정 및 상기 흡인공정 등에서는,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공기의 배기 및 상기 바이알병(10B)에의 공기의 주입이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의 통기 경로(6113)를 통하여 실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주사 바늘(610)에서는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이 상기 접속부(61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이 상기 주사 바늘(610)의 긴쪽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고무마개(10C)에 천자될 때에, 상기 바늘관(211) 및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의 상기 고무마개(10C)에의 삽입 통과구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주사 바늘(610)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이 상기 바늘관(211)의 외주면에 직접 고정되는 구성에 비해 상기 고무마개(10C)의 파손 또는 코어링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 9 실시형태]
도 31은, 상기 혼주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주사 바늘(11c)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상기 흡인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흡인공정의 실행 전에,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의 촬영범위(R1) 내에 상기 주사기(11)를 이동시키고,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로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의 상태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로 촬영되는 상기 주사 바늘(11c)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다르도록,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와 상기 주사 바늘(11c)과의 위치 관계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킨 복수 상태로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한 촬영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기(11)에 있어서의 상기 주사 바늘(11c)의 자세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 바늘(11c)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개구부(2111), 상기 제 2 개구부(2112) 등의 위치를 검출하는 화상 매칭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상기 혼주장치(1)에서는,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통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통기부(213)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사 바늘(11c)의 자세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상기 주사 바늘(11c)에 마크를 기재하는 수고가 생략된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부(500)가, 상기 주사 바늘(11c)의 선단(2111)의 형상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 바늘(11c)의 자세를 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주사 바늘(11c)의 자세가 특정되면,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흡인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11)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알병(10B)으로부터의 약액의 흡인을 개시한다. 단, 상기 바늘관(211)의 선단의 개구 단면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11c)의 선단(2111)이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바이알병(10B)의 상기 고무마개(10C)가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에서는,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액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하에 이르렀을 경우에,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액을 모두 흡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사 바늘(11c)의 선단(2111)이 연직 위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바이알병(10B)의 상기 고무마개(10C)가 연직 아래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여도 마찬가지로,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액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하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액을 모두 흡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액의 잔량이 소정량 이하에 이르렀을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주사기(11)의 주사 바늘(11c)과 상기 바이알병(10B)이 도 31에 나타내는 자세가 되도록 상기 제 1 로봇 아암(21) 및 상기 제 2 로봇 아암(22) 등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상기 흡인공정의 실행 전에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한 촬영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 바늘(11c)의 자세를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검출 시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로봇 아암(22)의 제어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기(11c)의 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제어부(500)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측면(10B1)이 수평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바이알병(10B)을 기울이는 동시에, 상기 주사 바늘(11c)의 바늘관(211)의 개구 단면(211a)이 상기 바이알병(10B)의 측면(10B1)에 맞닿도록 상기 주사기(11)를 기울인다. 이에 따라, 상기 바늘관(211)의 개구 단면(211a)으로부터 상기 바이알병(10B) 내의 약액을 모두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주사 바늘(11c)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제 2 실시형태∼상기 제 8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다른 주사 바늘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주사 바늘(31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한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테이퍼부(3113)의 형상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 바늘(310)의 자세를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주사 바늘(41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기 확인 카메라(42)에 의한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411)의 형상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 바늘(310)의 자세를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주사기(6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늘관(211)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용 바늘관(611)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 바늘(310)의 자세를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 혼주장치 10: 약품 용기 11: 주사기
11a: 시린지 본체 11b: 플런저 11c: 주사 바늘
11d: 시린지 필터 12: 수액백 13: 쓰레기 수용실 도어
15a: IC 리더 21: 제 1 로봇 아암 22: 제 2 로봇 아암
25: 홀딩부 26: 홀딩부 31: 앰플 커터
32: 교반장치 33: 재치 선반 33A: 회전용 재치부
34: 약품 판독부 35: 칭량계 36: 바늘 휨 검지부
37: 혼주 연통구 38: 바늘 삽입 확인 투명창
39: 칭량계 41: 트레이 확인 카메라 42: 주사기 확인 카메라
43: 주사 바늘 착탈장치 44: 바늘 삽입 확인 카메라
45: 살균등 100: 혼주제어장치 101: 트레이
101a: 전자 페이퍼 101b: IC 태그 101c: IC 리더
104: 혼주 처리실 110: 트레이 반송부 121: 수액용 카메라
200: 약품 장전부 300: 혼주 처리부 400: 제 1 제어부
401: CPU 402: ROM 403: RAM
404: 데이터 기억부 500: 제 2 제어부 501: CPU
502: ROM 503: RAM
504: 데이터 기억부 600: 상위 시스템

Claims (15)

  1. 바늘관과, 상기 바늘관의 선단보다 후단측으로 이간한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후단측으로 이간한 제 2 위치를 상기 바늘관의 외측에서 연통하는 통기부를 구비하는 주사 바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내부에 상기 바늘관이 삽입된 경우에 내주면과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를 연통하는 틈새가 형성되는 관상(管狀) 부재인 주사 바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통기부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사 바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틈새의 개방 단부가 위치하는 주사 바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후단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1 테이퍼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통기부의 일단에, 상기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2 테이퍼부가 설치되고, 상기 통기부가,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단부가 상기 바늘관의 상기 제 1 테이퍼부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늘관에 고정되는 주사 바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의 일단에,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후단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외측을 향하여 두께가 증가하는 제 3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주사 바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에 걸쳐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인 주사 바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에 걸쳐 상기 바늘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바늘관이 삽입된 경우에 내주면과 상기 홈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관상 부재를 갖는 주사 바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관의 후단측을 홀딩하는 바늘기(針基)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바늘기보다 상기 바늘관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주사 바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주사 바늘을 구비하는 주사기.
  11. 제 10 항에 기재한 주사기를 조작 가능한 주사기 조작부와, 상기 주사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穿刺)한 상태로 상기 용기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주입 제어부를 구비하는 혼주(混注)장치.
  12. 제 10 항에 기재한 주사기를 조작 가능한 주사기 조작부와, 상기 주사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한 상태로 상기 용기 내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 제어부를 구비하는 혼주장치.
  13. 제 10 항에 기재한 주사기를 이용하는 혼주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혼주방법으로서,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하는 제 1 천자공정과, 상기 제 1 천자공정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고무마개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용기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주입공정을 구비하는 혼주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상기 선단측의 위치까지 천자하는 제 2 천자공정과, 상기 제 2 천자공정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고무마개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용기 내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주입공정을 구비하는 혼주방법.
  15. 제 10 항에 기재한 주사기를 이용하는 혼주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혼주방법으로서,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용기의 고무마개에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 바늘을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까지 천자하는 제 3 천자공정과, 상기 제 3 천자공정에 의해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고무마개에 천자된 상태로 상기 용기 내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공정을 구비하는 혼주방법.
KR1020167023303A 2014-03-12 2015-02-27 주사 바늘, 주사기, 혼주장치, 혼주방법 KR20160125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8819 2014-03-12
JP2014048819A JP6364833B2 (ja) 2014-03-12 2014-03-12 注射針、注射器、混注装置、混注方法
PCT/JP2015/055819 WO2015137155A1 (ja) 2014-03-12 2015-02-27 注射針、注射器、混注装置、混注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973A true KR20160125973A (ko) 2016-11-01

Family

ID=5407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303A KR20160125973A (ko) 2014-03-12 2015-02-27 주사 바늘, 주사기, 혼주장치, 혼주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28675A1 (ko)
EP (1) EP3117851A4 (ko)
JP (1) JP6364833B2 (ko)
KR (1) KR20160125973A (ko)
CN (1) CN106102797B (ko)
WO (1) WO2015137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1408A1 (it) 2016-03-07 2017-09-07 Swisslog Italia Spa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medicamenti intravenosi
JP6875079B2 (ja) * 2016-07-13 2021-05-19 株式会社安川電機 薬液調製システム
DE102018205297A1 (de) 2018-04-09 2019-10-10 Osram Gmbh Roboterarmteil mit einer Desinfektionseinrichtung
CN112315795A (zh) * 2020-09-10 2021-02-05 美蓝(杭州)医药科技有限公司 一体式配药注射器及其使用方法
CN215875548U (zh) * 2020-09-10 2022-02-22 美蓝(杭州)医药科技有限公司 带外置通气槽的一体式配药注射器
CN114247015B (zh) * 2021-11-04 2023-06-13 中国计量大学 一种无针注射器用自动换取药管的装置
CN114713156B (zh) * 2022-05-11 2022-08-26 北京先通国际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放射性液体的提取设备及提取方法、及其用途
CN117398757A (zh) * 2022-07-07 2024-01-16 上海智药科技有限公司 自动过滤设备及自动过滤系统
CN117357731B (zh) * 2023-12-08 2024-03-12 四川汉辉盛世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核素上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0016A (ja) 2011-03-25 2012-12-20 Yuyama Manufacturing Co Ltd 混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3451A (en) * 1959-09-28 1962-11-13 Arthur J Kowalk Self-venting type needle
US4058121A (en) * 1976-06-29 1977-11-1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Vented needle for medical liquids
JPS6030232U (ja) * 1983-08-05 1985-03-01 日本テクニクス株式会社 輸液用の注出針
US4573993A (en) * 1983-09-29 1986-03-04 Instafil, Inc. Fluid transfer apparatus
US4655763A (en) * 1984-04-30 1987-04-07 Nutrapack, Inc. Tes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for an enteral feeding system
US4723955A (en) * 1986-06-02 1988-02-09 Manresa, Inc. Suction needle providing vent capability
JPH02224764A (ja) * 1989-02-28 1990-09-06 Nippon Medical Supply Corp 輸液輸血用瓶針
JP3116957B2 (ja) * 1990-10-20 2000-12-11 株式会社トップ 輸液用瓶針
JPH0994286A (ja) * 1995-09-29 1997-04-08 Nissho Corp 液体移送針
JP5723970B2 (ja) * 2011-03-31 2015-05-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移注針及び薬剤移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0016A (ja) 2011-03-25 2012-12-20 Yuyama Manufacturing Co Ltd 混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7851A4 (en) 2018-03-14
JP2015171478A (ja) 2015-10-01
CN106102797B (zh) 2019-12-24
CN106102797A (zh) 2016-11-09
EP3117851A1 (en) 2017-01-18
US20170128675A1 (en) 2017-05-11
JP6364833B2 (ja) 2018-08-01
WO2015137155A1 (ja)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5973A (ko) 주사 바늘, 주사기, 혼주장치, 혼주방법
JP2023063396A (ja) 混注装置、混注方法、混注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79498A (ko) 혼합 주사 장치
JP7235145B2 (ja) 混注装置、プログラム
WO2015002011A1 (ja) 混注管理装置、混注装置、混注管理プログラム
JP6897650B2 (ja) 混注装置
JP6098704B2 (ja) 混注装置、混注制御プログラム
JP2019083886A (ja) 混注装置
JP2018042821A (ja) 混注装置
JP7215539B2 (ja) 混注装置
JP7401779B2 (ja) 混注制御装置、混注制御プログラム、混注システム、混注装置
JP2022170026A (ja) 部材装着装置、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