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430A - 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430A
KR20160125430A KR1020167025730A KR20167025730A KR20160125430A KR 20160125430 A KR20160125430 A KR 20160125430A KR 1020167025730 A KR1020167025730 A KR 1020167025730A KR 20167025730 A KR20167025730 A KR 20167025730A KR 20160125430 A KR20160125430 A KR 20160125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upport
shaft
state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544B1 (ko
Inventor
시게아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 B65H49/32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6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both-ends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34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36Securing packages to 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2Arrangements for removing spent cores or receptacles and replacing by supply packages at paying-out station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Tyre Mould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교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릴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릴이 전동하여 제1위치에 있는 릴대 내로 진입되면, 릴은 슬로프로부터 깔판 상의 릴 배치면의 소정위치로 올라간다. 릴은 깔판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바닥면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릴은 릴재의 축에 의해 지지된다. 릴대가 레일 상을 이동하여 제2위치까지 후퇴하면, 이 이동에 의해 릴이 깔판 상의 릴 배치면으로부터 떨어져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릴은 그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축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릴을 회전시키면서 릴 상의 와이어 등의 선형체를 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 와이어에 의해 필요로 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선형체의 풀림이 종료되면, 상기와 역순의 동작에 의해 릴을 릴대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크레인 등의 대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릴의 교환능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릴 지지장치{REEL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등 선형체의 저장용 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를 권회하여 저장하기 위한 릴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다. 이 특허문헌 1의 릴은 타이어의 비드 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설치되어 성형 포머에 대해 공급되는 와이어를 권회하기 위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9-285939호 공보
상기 릴을 이용한 공정에서는 연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와이어는 릴에 대량으로 저장된다. 이 때문에, 릴이 커지게 되고, 특히 와이어가 금속제일 경우에는 중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릴을 교환할 때에 크레인 등의 대형 장치를 사용하여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단시간에 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릴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릴을 그 전동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재 및 이격위치의 릴을 그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릴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릴이 이격부재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 릴은 그 이격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릴에 대하여 선형체의 권회나, 릴로부터 선형체의 풀림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작업 종료 후에는 릴을 이격위치로부터 바닥면 상으로 되돌려 바닥면 상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 때문에, 릴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릴을 이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구성을 컴팩트하고 간단한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시간에 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릴 지지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릴대가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릴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릴의 중심을 지지하기 전 상태에서의 릴 지지장치 및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릴의 중심을 지지한 상태에서의 릴 지지장치 및 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릴대가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릴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릴을 발판 상에 배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릴 지지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11) 상에는 깔판(12)이 고정된다.
이 깔판(12)에 의해 릴(101)을 부상시켜 바닥면(11)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가 구성된다. 깔판(12)의 후단에는 슬로프(13)가 형성된다. 깔판(12)의 상면은 슬로프(13)에 연속하는 릴 배치면이 된다. 깔판(12)의 전단 상면에는 스토퍼(14)가 고정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의 좌측을 앞(전), 우측을 뒤(후)라고 한다.
깔판(12)의 양측방에 있어서, 바닥면(11)에는 각각 레일(15)이 고정되고, 그 상단에는 산 형상(단면 역 V자형)의 안내면(16)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판(12) 및 레일(15)의 후방에 있어서 바닥면(11) 위에는 안내홈(17)을 갖는 한 쌍의 안내부재(18)가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101)을 수용가능한 릴대(21)는 앞판(22)과 한 쌍의 옆판(23)을 구비하고, 후부 및 하부가 개방된다. 양 옆판(23)에는 각각 앞뒤 한 쌍의 차륜(24)이 구비되며, 이들 차륜(24)은 상기 레일(15) 상에 전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릴대(21)는 레일(15)의 연장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가능하다. 차륜(24)의 외주면인 전동면(25)은 상기 레일(15)의 안내면(16)과 감합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면(11) 상에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진 구동부재(26)가 고정되고, 그 피스톤 로드(27)가 릴대(21)의 앞판(22)에 연결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7)의 출몰동작에 따라, 릴대(21)는 깔판(12)의 릴 배치면과 대응하는 전방측의 제1위치와, 릴 배치면으로부토 후방측으로 이격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대(21)의 일방의 옆판(23) 중앙부에는 보스부(31)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32)가 형성된다. 이 암나사(32)에는 외통(33)이 외주면의 수나사(34)로 나사결합된다. 외통(33)에는 핸들(35)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중공축(36)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핸들(35)과 외통(33)은 일체로 회전된다. 이 축(36) 내에는 누름축(37)이 베어링(38)을 통하여 축(36)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선단에는 테이퍼부(39)가 형성된다.
릴대(21)의 타방의 옆판(23)에는 지지통(41)이 고정된다. 이 지지통(41)에는 베어링(42)을 통하여 상기 누름축(37)과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하는 받음축(4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받음축(43)의 선단에는 상기 누름축(37)의 테이퍼부(39)에 대향하는 테이퍼부(44)가 형성된다. 받음축(43)의 선단부의 스테이(45)에는 복수의 연결핀(46)이 고정된다.
상기 지지통(41)의 하방에 있어서, 옆판(23)에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진 압출부재(51)가 고정되고, 그 피스톤 로드(52)의 선단에는 플랜지 형상의 압출부(53)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2점쇄선으로 나타낸 릴(101)이 릴대(21) 내에 수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구동부재(26)의 피스톤 로드(27)가 몰입상태로서, 릴대(21)가 전진위치이다.
이 상태에서, 선형체(102)가 권회된 릴(101)이 전동되어 릴대(21)의 후부 개방부로부터 릴대(21) 내로 진입된다. 이때, 릴(101)의 플랜지(103)가 도 5에 나타낸 바닥면(11)의 안내부재(18)의 안내홈(17) 내를 통과함으로써, 릴(101)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 때문에, 릴(101)은 깔판(12) 상을 향하는 소정의 진입 라인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릴(101)은 슬로프(13)로부터 깔판(12) 상의 릴 배치면의 소정위치로 올라가 스토퍼(14)에 의해 정지된다.
그리고, 릴(101)이 깔판(12)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는 깔판(12)의 두께만큼 릴(101)은 바닥면(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바닥면(11)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릴(101)이 깔판(12) 상에서 바닥면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도 2의 상태에서 작업자의 핸들(35) 조작에 따른 나사(32, 34)의 작용에 의해 외통(33) 및 중공축(36)이 릴(101)을 향하여 이동되고, 누름축(37)의 테이퍼부(39)가 릴(101)의 축통(104)의 일단부에 감합되어 축통(104)에 연결된다(도 2 및 도 3 참조). 그리고, 추가적인 핸들(35)의 조작에 따른 외통(33) 및 누름축(37)의 추가 이동에 의해 릴(101)이 외통(33) 및 누름축(37)과 함께 이동되어, 받음축(43)의 테이퍼부(44)에 축통(104)의 타단부가 갑합되어, 이 테이퍼부(44)에 축통(104)이 연결되고, 연결핀(46)이 플랜지(103)의 연결공(105)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릴(101)은 축(37, 43)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축(37, 43)은 릴(101)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재(26)의 피스톤 로드(27)가 돌출된다. 이 때문에, 릴대(21)가 레일(15) 상을 이동하여 제2위치까지 후퇴되고, 릴(101)도 릴대(21)와 함께 이동된다. 이 이동에 의해 릴(101)이 깔판(12) 상의 릴 배치면으로부터 떨어져 바닥면(11)으로부터 부상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릴(101)은 그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의 축(37, 4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축(37, 43)은 릴(10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성한다.
이 상태에서, 릴(101)을 회전시키면서 릴(101) 상의 와이어 등의 선형체를 풀어낼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와이어를 사용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릴(101) 상의 선형체의 풀림이 종료되고, 릴(101)이 비게 되면, 상기와 역순의 동작에 의해 릴(101)을 릴대(21)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재(26)의 피스톤 로드(27)가 몰입되고, 릴대(21)가 제2위치로부터 도 1에 나타낸 제1위치로 복귀되어, 릴(101)이 깔판(12)의 릴 배치면 상에 올라간다. 이 상태에서 핸들(35)을 조작하여 축(37)의 테이퍼부(39)를 릴(101)의 축통(104)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 후, 압출부재(51)의 피스톤 로드(52)가 돌출되고, 압출부(53)에 의해 릴(101)이 도 2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축(43)의 테이퍼부(44)가 축통(104)으로부터 이탈되고, 연결공(105)이 연결핀(46)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릴(101)의 플랜지(103)이 안내부재(18)의 안내홈(17)과 대향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릴(101)을 굴려서 비어있는 릴(101)을 릴대(21)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리하여 릴(101)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있다.
즉, 릴(101)을 제1위치에 있는 릴대(21)의 후부 개방부로부터 릴대(21)의 내부로 수용하고, 이 릴(101)을 깔판(12) 상에 올린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릴(101)에 축(37, 43)을 연결하여 릴(101)이 깔판(1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릴대(21)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면 릴(101)이 바닥면(11)으로부터 부상하고, 그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릴(101)으로부터의 선형체를 간단히 풀어낼 수 있다, 작업 종료 후에는 릴대(21)를 상기한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깔판(12) 상에 올리고, 축(37, 43)과의 연결을 해제한 후에, 릴(101)이 깔판(12) 상으로부터 바닥면(11) 상으로 이동되어, 릴대(21) 밖으로 위치된다. 이 때문에, 크레인 등의 대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릴(101)의 전동과 릴대(21)의 이동에 의해, 릴(101)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릴 지지장치에서는, 상자 형태의 릴대(21)가 레일(15) 상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 릴대(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26)와, 릴(101)을 압출하기 위한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진 압출부재(51)를 설치한 것 뿐이다. 따라서, 크레인 장치와 같은 대형 장치와는 달리, 릴 지지장치의 구성을 컴팩트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릴대(21)에 수용되기 위하여 전동되는 릴(101)은 안내부재(18)에 의해 깔판(12)으로의 진입 라인 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릴(101)을 릴대(21) 내의 소정위치로 정확하게 수용할 수 있어, 능률적으로 수용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대(2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6)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릴대(21)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은 인력에 의해 행해진다.
구동부재(26)를 에어 실린더 이외의 액츄에이터,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 모터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릴대(21)에 릴 회전용의 모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릴(101)로부터의 선형체를 풀어내는 것뿐만 아니라, 릴(101)에 대한 선형체의 권취를 행할 수 있다.
깔판(12) 대신에 릴(101)의 플랜지(103)와 대향하는, 폭이 좁은 한 쌍의 깔판을 설치할 수 있다.
릴대(21)는 차륜을 설치하지 않고, 레일 상을 슬라이드 하는 것이라도 된다.
11: 바닥면
12: 깔판
13: 슬로프
15: 레일
21: 릴대
26: 구동부재
37: 누름축
40: 받음축
51: 압출부재

Claims (9)

  1. 릴을 그 전동(轉動; roll)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재; 및
    이격위치에서의 릴을 그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릴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깔판으로서, 이 깔판은 슬로프와 이 슬로프에 연속하는 릴 배치면을 갖는,
    릴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릴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격부재의 릴 배치면과 대향하는 제1위치와 그로부터 이탈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릴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제1위치와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가 설치되는,
    릴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릴의 중심을 지지하는 상태와, 그로부터 이탈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축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릴 지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축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릴을 압출하는 압출부재를 구비하는,
    릴 지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릴을 지지부재 내의 소정위치를 향하여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설치되는,
    릴 지지장치.
  9. 바닥면에 설치되며, 릴을 그 전동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슬로프 및 이 슬로프와 연속하는 릴 배치면을 갖는 이격부재;
    레일을 따라 상기 이격부재의 릴 배치면과 대응하는 제1위치와 그로부터 이탈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릴을 그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를 제1위치와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릴의 중심을 지지하는 상태와, 그로부터 이탈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축 지지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축 지지부에 지지된 릴을 압출하는 압출부재; 및
    릴을 지지부재 내의 소정위치를 향해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설치한,
    릴 지지장치.
KR1020167025730A 2014-02-26 2014-02-26 릴 지지장치 KR102143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4703 WO2015128968A1 (ja) 2014-02-26 2014-02-26 リール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430A true KR20160125430A (ko) 2016-10-31
KR102143544B1 KR102143544B1 (ko) 2020-08-11

Family

ID=5400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730A KR102143544B1 (ko) 2014-02-26 2014-02-26 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15659B2 (ko)
JP (1) JP6254253B2 (ko)
KR (1) KR102143544B1 (ko)
CN (1) CN106029539B (ko)
DE (1) DE112014006415T5 (ko)
PH (1) PH12016501682B1 (ko)
RU (1) RU2659001C2 (ko)
WO (1) WO2015128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3018B1 (en) * 2016-08-25 2018-10-01 Jack Pack As A cable drum feeding tool for a vehicle with a lifting device
US10287129B2 (en) * 2016-10-10 2019-05-14 Caterpillar Inc. Spool holder and method of supporting spool of wire with spool holder
JP6404974B2 (ja) * 2017-03-17 2018-10-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ボビン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CN108657870A (zh) * 2017-03-31 2018-10-16 浙江派尔电气有限公司 一种能够提高稳定性的变压器电线放置架及其使用方法
CN108033307A (zh) * 2017-12-11 2018-05-15 合肥右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的放线装置
CN108502255B (zh) * 2018-03-28 2019-08-06 山东大业股份有限公司 一种胎圈钢丝包纸装置及包纸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240A1 (ja) * 2008-03-24 2009-10-01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長尺素材繰出し装置、コイル巻線装置および素材用ボビン設置方法
JP2009285939A (ja) 2008-05-28 2009-12-10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ビード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タイヤ用ビードコアの製造装置
JP2010214405A (ja) * 2009-03-16 2010-09-30 Kobe Steel Ltd 溶接ワイヤ巻取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189U (ko) * 1985-09-30 1987-04-16
JPH028928Y2 (ko) 1986-04-23 1990-03-05
CH684267A5 (de) * 1990-03-23 1994-08-15 Ferag Ag Einrichtung zum Abwickeln von flexiblen Flächengebilden ab einem Wickel.
JPH10338420A (ja) * 1997-06-09 1998-12-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樽巻ドラムの回転支持装置
DE19847160A1 (de) * 1998-10-13 2000-04-20 Hauni Maschinenbau Ag Bobinenwechsler
JP3451437B2 (ja) * 2001-03-15 2003-09-29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巻取紙支持装置
JP2003040522A (ja) * 2001-07-26 2003-02-13 Sanwa Tekki Corp ケーブルドラムの駆動装置
JP4329909B2 (ja) 2005-09-30 2009-09-09 横浜ゴム株式会社 ホースの取出し方法および取出し装置
CN201346572Y (zh) * 2008-12-30 2009-11-18 佛山市顺德区冠邦科技有限公司 一种大盘重金属管材缠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240A1 (ja) * 2008-03-24 2009-10-01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長尺素材繰出し装置、コイル巻線装置および素材用ボビン設置方法
JP2009285939A (ja) 2008-05-28 2009-12-10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ビード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タイヤ用ビードコアの製造装置
JP2010214405A (ja) * 2009-03-16 2010-09-30 Kobe Steel Ltd 溶接ワイヤ巻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6415T5 (de) 2016-12-15
RU2016137646A (ru) 2018-03-29
WO2015128968A1 (ja) 2015-09-03
JP6254253B2 (ja) 2017-12-27
RU2659001C2 (ru) 2018-06-26
PH12016501682A1 (en) 2016-10-03
KR102143544B1 (ko) 2020-08-11
RU2016137646A3 (ko) 2018-03-29
US20170050818A1 (en) 2017-02-23
CN106029539A (zh) 2016-10-12
CN106029539B (zh) 2019-12-27
PH12016501682B1 (en) 2016-10-03
US9815659B2 (en) 2017-11-14
JPWO2015128968A1 (ja)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5430A (ko) 릴 지지장치
EP2738886A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Crimpverbindung
CN203794278U (zh) 一种改进的流延膜机自动上下料装置
JPWO2006038551A1 (ja) 縦型スピニングマシン
JP5688600B2 (ja) 巻線導体供給装置
DE4024284A1 (de) Einrichtung zur versorgung von verpackungsmaschinen mit verpackungsmaterial
DE202011001929U1 (de) Halte- und Abrollvorrichtung für auf Rollen gewickeltes Flach- oder Folienmaterial
WO2006102527A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rolled materials
DE102014211786A1 (de) Halte- und Abrollvorrichtung für auf Rollen gewickeltes Flach- und/oder Folienmaterial, Behälterverpackungsanlage und Verfahren zum Wechseln einer Rolle mit Flach- und/oder Folienmaterial
CN112621181B (zh) 一种摆轮座装配轴承自动化设备
DE102013002019A1 (de) Wickelungsvorrichtung für ein strangförmiges Wickelgut und Verfahren dazu
KR101242800B1 (ko) 코일형 스크랩 인출장치
CN115338316B (zh) 一种桑拿房加工用的冲孔装置
CN105923452A (zh) 全自动高速分切机
KR100513247B1 (ko) 롤필름 이송카트
KR20170141795A (ko) 와이어 갱신 장치 및 와이어 갱신 방법
CN210366197U (zh) 一种镭射模压机的收卷机构
US8931787B2 (en) Support cart for industrial machine screw
JP2018514390A (ja) コイル輸送パレット、コイル輸送車両、巻取り設備に巻取られたコイルを排出するための方法
CN219506044U (zh) 一种用于运送包装辅料的新型转运推车
JP5796601B2 (ja) 巻取装置
CN220282999U (zh) 一种卷材盘芯更换装置
CN212831874U (zh) 一种卷膜装置
CN210824697U (zh) 包装盒吸塑加工线用进料装置
KR101368560B1 (ko) 캔의 마개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