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906A -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906A
KR20160124906A KR1020167027795A KR20167027795A KR20160124906A KR 20160124906 A KR20160124906 A KR 20160124906A KR 1020167027795 A KR1020167027795 A KR 1020167027795A KR 20167027795 A KR20167027795 A KR 20167027795A KR 20160124906 A KR20160124906 A KR 20160124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nteric
gelatin
pecti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091B1 (ko
Inventor
카주히코 와타나베
히로아키 하세가와
나호노리 이나바
요시유키 시모카와
켄지 카토
Original Assignee
후지 캡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6528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249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캡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캡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장용성을 갖는 동시에, 제제성이 뛰어난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젤라틴과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조제하는 공정; (b) 공정 (a)에서 조제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펀칭법에 의해 캡슐 내용물을 피포하는 공정;의 공정 (a) 및 (b)에 의해 장용성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젤라틴의 젤리 강도가 160~300 Bloom인 것, 저메톡시펙틴의 에스테르화도가 20~40%인 것, 장용성 캡슐 피막액이 젤라틴 100질량부에 대해 저메톡시펙틴을 30~35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METHOD OF PRODUCING ENTERIC SOFT CAPSULE}
본 발명은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a) 젤라틴과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조제하는 공정; (b) 공정 (a)에서 조제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펀칭법에 의해 캡슐 내용물을 피포(被包)하는 공정;의 공정 (a) 및 (b)를 구비한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러가지 유효 성분을 함유시킨 캡슐이 여러 가지 보고되어 있다. 이들 캡슐에서의 피막의 재료로서는 젤라틴이나 한천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젤라틴이나 한천 등을 재료로 한 피막은 산성 환경의 위(胃)에서 붕괴되기 때문에, 산에 대하여 약한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최근, 장용성 캡슐이 개발되어 왔다. 장용성 캡슐은 피막이 산에 대해 내성을 갖는 것에 의해 위에서는 피막이 붕괴되지 않고, 장에서 피막이 붕괴되어 내용물이 장에서 방출되는 캡슐이다. 이 장용성 캡슐은 산에 대해 약한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시키는 경우 뿐 아니라, 서서히 방출시킴으로써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키고자 하는 물질이나, 마늘·어유 등의 위에서 소화되면 날숨의 악취나 변향(reversion flavor)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도 이용되고 있다.
장용성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a) 막 형성성 수용성 중합체 및 산 불용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조제하고, 적당한 가소제와 혼합하여 겔 재료를 생성시키고; (b) 이 겔 재료를, 열 제어된 드럼 또는 면을 사용하여 막 또는 리본으로 캐스팅하고; (c) 회전 다이 기술을 사용하여 연질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특허 문헌 1 참조)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젤라틴, 가소제로서 다가 알코올, 알칼리 금속 염, 물, 및 농도가 6~40질량%가 되도록 카라기난, 한천, 로커스트빈검 등의 다당류를 균일하게 혼련함으로써 얻어지는 연질 캡슐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당해 연질 캡슐 원료 혼합물을 이용하여 마늘, 어유, 프로폴리스, 장내 세균, 및 단백질계 약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를 내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腸溶性)·서방성(徐放性)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특허 문헌 2 참조)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다당류 2종 이상이 필수인 동시에, 혼련 시점에서 알칼리 금속 염이 필수가 되므로, 캡슐 형성시에 이미 다당류 2종에 의한 겔화가 촉진되어, 성형성에 관해 매우 뒤떨어진다(접착성이 매우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추가로 젤라틴, 물, 가소제, 및, 에스테르화도가 20%~40%이고 젤라틴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30중량부인 저메톡실펙틴을 함유하는 캡슐 피막액을 조제하는 조제 공정과, 로터리 다이식 성형 장치에 의해, 상기 캡슐 피막액으로 형성된 캡슐 피막에 내용물이 충전된 연질 캡슐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저메톡실펙틴을 겔화하는 다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염은 상기 캡슐 피막액에 첨가되지 않는 동시에, 성형된 상기 연질 캡슐을 상기 다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겔화액에 침지하는 공정은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특허 문헌 3 참조)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표특허공보 제 2006-505542호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9-185022호 (특허 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10-047548호
본 발명의 과제는 장용성을 갖는 동시에, 제제성(製劑性)이 뛰어난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캡슐 피막에 이용하는 펙틴의 아미드화도에 주목했다. 캡슐 피막 재료에 아미드화도가 상이한 복수의 펙틴을 이용한 바,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이용함으로써, 장용성을 갖는 동시에, 제제성이 뛰어난 연질 캡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것이다.
(1) (a) 젤라틴과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조제하는 공정; (b) 공정 (a)에서 조제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펀칭법에 의해 캡슐 내용물을 피포하는 공정;의 공정 (a) 및 (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2) 상기 (1)에 있어서, 젤라틴의 젤리 강도가 160~300 Blo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저메톡시펙틴의 에스테르화도가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4)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이 젤라틴 100질량부에 대해 저메톡시펙틴 30~35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5)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메톡시펙틴을 글리세린에 분산 후 온수에 용해하고, 이어서 젤라틴을 첨가하여 용해하고, 여과 후에 감압 탈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6)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용성 캡슐 피막의 막 두께가 0.3~1.2 mm가 되도록 피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용성 연질 캡슐은 장용성을 갖는 동시에, 제제성이 뛰어나므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동시에, 산에 대하여 약한 물질을 내용물에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 외에, 마늘·어유 등의 위에서 소화되면 날숨의 악취나 변향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내용물에 함유시켜도, 복용 후의 날숨의 악취나 변향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a) 젤라틴과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조제하는 공정; (b) 공정 (a)에서 조제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펀칭법에 의해 캡슐 내용물을 피포하는 공정;의 공정 (a) 및 (b)를 구비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장용성이란, 위에서는 용해되지 않고 장에서 용해되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젤라틴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젤리 강도가 160~300 Bloom, 바람직하게는 200~300 Bloom인 젤라틴을 들 수 있다. 또한, 젤리 강도가 상이한 2종 이상의 젤라틴을 혼합해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젤리 강도가 200 Bloom과 300 Bloom인 2 종류의 젤라틴을 혼합하여 젤리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메톡시펙틴(LM 펙틴)이란, 에스테르화도(DE)가 50%미만인 펙틴을 의미하고, 이러한 에스테르화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2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2~38%,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2~32%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에스테르화도란, 총 갈락투론산 중, 메틸 에스테르화 되어 있는 것의 비율을 의미하고, 메틸 에스테르화된 갈락투론산 수를 총 갈락투론산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으로 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드화도(DA)란, 총 갈락투론산 중, 아미드화되어 있는 것의 비율을 의미하고, 아미드화 된 갈락투론산 수를 총 갈락투론산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으로 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저메톡시펙틴의 아미드화도로서는 5~25%, 바람직하게는 6~23%,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3%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조제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물에 용해하고, 이어서 젤라틴을 첨가하여 용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저메톡시펙틴을 글리세린 등의 가소제에 분산 후 온수에 용해하는 것이나, 조제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구멍 크기(aperture)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의 메쉬로 여과시켜 매듭(繼子) 등의 녹고 남은 것이나 이물을 제거하고, 추가로 피막액 용융 상황하에서 진공 감압 탈포를 하는 것이 피막액의 균일성 확보, 캡슐 피막의 취약화 방지, 캡슐의 변형·접착 불량 방지 등의 품질 확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펀칭법에 의해 캡슐 내용물을 피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캡슐 피막액을 전연(展延)하여 형성한 2장의 젤라틴 시트를 한 쌍의 형성용 틀에 보내, 해당 2장의 시트 사이에 내용액을 주입하여 펀칭에 의해 내용물을 충전하면서 캡슐 성형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틀이 원통 형상인 로터리 다이법이나 틀이 평면 판 형상인 평판법 등에 의해 캡슐 내용물을 피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틀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제의 「금형」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다이법이나 평판법은 시판의 로터리 다이식 연질 캡슐 제조 장치나 평판식 연질 캡슐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펀칭법을 수행할 때 , 성형시에 압착에 의해 이음매가 생기고, 이러한 이음매의 접착성(밀폐성·밀착성)이 낮은 경우에는 캡슐이 쉽게 붕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장용성 연질 캡슐은 피막에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갖는 것에 의해 이음매의 접착성이 높고, 그 결과,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슐 내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고체일수도 액체일수도 있고, 의약품 성분이나, 영양 보조 성분이나, 건강 식품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어유, 마늘, 비타민 B1, 각종 난유(예로부터의 건강 식품 소재로, 노른자를 교반하면서 철 냄비 등을 이용해 장시간 약한 불로 가열함으로써 얻어지는 갈색~흑색의 액체) 등의 위에서 소화되면 날숨의 악취나 변향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나, 스트렙토코쿠스·패시움, 락토코쿠스·락티스 아종·락티스, 락토바실러스·헬베티쿠스, 락토바실러스·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카세이 등의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롱검, 비피도박테리움·비피덤 등의 비피더스 균으로 대표되는 산에 대해 약한 장내 세균이나, 고추 소재나 캡사이신 등의 위에 자극을 주는 성분, 푸마르산제일철, 건조 황산철 등의 철제,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항종양제, 항균제 등을 서서히 방출시킴으로써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키고자 하는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캡슐 내용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경화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CT), EPA, DHA, 상어간유, 대구간유 등의 유지나, 레시틴,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코올류 등의 계면 활성을 조정할 수 있는 첨가제나, 완충액이나, 물이나, 젤라틴, 카라기난 등의 겔화제나, pH 조정제나, 기상법 실리카 등의 다공성 미립자 분말이나, 감미료 등의 정미제(呈味劑)나, 향료나, 용해 조제나, 점도 조정제나, 비타민 E, BHT, BHA로 대표되는 항산화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용성 캡슐 피막액에 있어서, 젤라틴에 대한 저메톡시펙틴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100질량부에 대해 저메톡시펙틴의 함유량이 20~4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35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33질량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슐 내용물을 피포할 때, 피막의 막 두께가 0.3~1.2 mm가 되도록 피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1.0 mm가 되도록 피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장용성 캡슐 피막액에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등의 가소제, 인산 나트륨 등의 pH 조정제, 구연산 3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등의 킬레이트제, 젖산 칼슘, 염화 칼륨 등의 겔화 촉진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활성제, 감미료, 향료, 방부제, 착색제 등을 함유할 수 있지만, 겔화 촉진제는 피막액에는 배합하지 않는 편이, 캡슐의 성형성과 접착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겔화 촉진제에 관해서는 캡슐 성형 후, 임의의 시점에서(건조 전, 건조 중 또는 건조 후) 침지 처리나 스프레이 코팅 등의 방법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붕괴 시험]
(연질 캡슐의 제조)
펙틴(DE30, DA17) 24질량부를 글리세린 30질량부에 분산하고, 온수(80℃)로 용해하고, 추가로 젤라틴(300 Bloom) 60질량부 및 젤라틴(200 Bloom) 16질량부를 첨가하여 70℃에서 용해하고, 100메쉬(구멍 크기 0.15 mm)로 여과 후에 감압 탈포하여 본 발명 캡슐 피막액을 조제했다. 또한, 글리세린 30질량부를 80℃의 온수로 용해하고, 추가로 젤라틴(200 Bloom) 100질량부를 첨가하여 70℃에서 용해하고, 100메쉬(구멍 크기 0.15 mm)로 여과 후에 감압 탈포한 컨트롤 피막액을 조제했다. 각각의 캡슐 피막액은 60℃에서 유동성이 있고, 로터리 장치 사용에 문제가 없는 상태였다.
다음으로, 로터리 다이식 연질 캡슐 제조 장치(후지 캡슐사 제품)에 의해, 캡슐 내용물(DHAㆍEPA함유 어유) 250 mg을, 상기 본 발명 캡슐 피막액 또는 컨트롤 피막액을 전연하여 형성한 약 0.8 mm 두께의 피막 시트로 피포하고, 그 후 30℃ 습도 35%의 제습 환경하에서 12시간 회전 건조시킴으로써 Oval-5형 연질 캡슐을 제조했다. 얻어진 캡슐의 건조 후의 피막 두께는 0.5 mm로, 접착률(가장 얇은 부분 접착면 두께÷평균적 막 두께;육안에 의한 측정)은 85%로 매우 양호했다.
(결과)
본 발명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연질 캡슐, 및 컨트롤 피막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연질 캡슐을 복용하고, 60분 후에 날숨의 악취를 확인했다. 그 결과, 본 발명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연질 캡슐을 복용했을 경우에는 어류 유래의 비릿함을 느끼지 못했으나, 컨트롤 피막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연질 캡슐을 복용했을 경우에는 어류 유래의 비릿함을 느꼈다.
실시예 2
[제제성 및 장용성 시험 1]
(연질 캡슐의 제조)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각각의 펙틴 31.5질량부를 글리세린 40질량부에 분산하고, 온수(80℃)로 용해하고, 추가로 젤라틴(300 Bloom) 79질량부, 젤라틴(200 Bloom) 21질량부를 첨가하여 70℃에서 용해하고, 60메쉬(구멍 크기 0.25 mm)로 여과 후에 감압 탈포하여 캡슐 피막액을 조제했다. 표 중, DE는 각각의 펙틴의 에스테르화도(%), DA는 각각의 펙틴의 아미드화도(%)를 나타낸다.
펙틴 종류 DE DA
펙틴 1 31~38 12~18
펙틴 2 26~34 16~19
펙틴 3 30~35 6~12
펙틴 4 22~27 20~23
펙틴 5 33~38 0
다음으로, 평판식 연질 캡슐 제조 장치(후지 캡슐사 제품)에 의해, 캡슐 내용물로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CT:COCONARD MT:카오사 제품)를, 한 알당 평균 0.45 mL가 되도록, 상기 캡슐 피막액을 전연하여 얻은 약 0.8 mm 두께의 피막 시트로 피포하고, 그 후, 25℃, 습도 조정없이 18시간 정치 건조시킴으로써 Oval-5형 연질 캡슐을 제조했다. 펙틴-1~펙틴-4를 포함하는 피막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각각의 연질 캡슐을 실시품 1~4로 하고, 펙틴 5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질 캡슐을 비교품으로 했다. 얻어진 연질 캡슐의 피막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0.5 mm이고, 접착률(가장 얇은 부분 접착면 두께÷평균적 막 두께;육안에 의한 측정)은 60%로, 평판법에 의한 캡슐로서는 양호했다.
얻어진 연질 캡슐에 대해, 제제성 평가와 장용성 평가를 수행했다. 제제성 평가로서는 피막액 유동성(장치로의 주입에서의 지장 유무)을 조사하여, ◎를 전혀 지장 없음, ○를 거의 지장 없음, △를 약간 지장 있음, ×를 지장 있음 불가로 하고, 추가로 캡슐 형성시의 접착성(시트끼리 접합면의 용착 상태)을 조사하여, ◎를 매우 양호, ○를 양호, △를 약간 불량, ×를 불량으로 했다.
또한, 장용성 평가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붕괴 시험에 의해, 제 1 용액(37℃)을 이용한 붕괴 시험에 의한 120분 후의 관찰 결과, ○를 붕괴 없음, ×를 붕괴 있음으로 하고, 제 2 용액을 이용한 붕괴 시험에 의한 30분 후의 관찰 결과, ○를 모두 붕괴, ×를 붕괴하지 않는 것이 있음으로 했다.
제조한 연질 캡슐의 붕괴 시험은 문헌(제 16 개정 일본 약국방 해설서 도쿄 히로카와 서점 간행 B589(2011))에 기재된 방법에 준한 개량법에 의해 수행했다. 붕괴 시험기는 NT-40H(토야마 산업사 제품)를 이용했다. 칸토 화학사 제품 시약 「붕괴 시험 제 1 용액/용출 시험 제 1 용액」(pH1.2)을 이용한 시험, 칸토 화학사 제품 시약 「붕괴 시험 제 2 용액」(pH6. 8)을 이용한 시험을 각각 18개씩, 보조반(補助盤) 없음(실시품 1~4) 및 보조반 있음(실시품 2만)으로 수행했다. 캡슐이 망가졌을 경우, 또는 피막이 개구, 파손되었을 경우를 붕괴된 것으로 했다.
(결과)
제제성, 및 장용성을 조사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성에 대해 실시품 1~4 모두 양호했다. 또한, 장용성에 대해서는 실시품 1~4(보조반 없음의 경우)는 제 1 용액을 이용한 붕괴 시험에 의해, 120분 후에도 18개의 연질 캡슐 모두에서 붕괴는 보여지지 않고, 새로운 캡슐을 사용한 붕괴 시험 제 2 용액을 이용한 시험에 의해, 5분 후에는 붕괴가 보여지고, 30분 후에는 18개의 연질 캡슐이 모두 붕괴되었다. 또한, 실시품 2(보조반 있음의 경우)는 제 1 용액을 이용한 붕괴 시험에 의해, 120분 후에도 18개의 연질 캡슐 모두에서 붕괴는 보여지지 않고, 새로운 캡슐을 사용한 붕괴 시험 제 2 용액을 이용한 시험에 의해, 3분 후에는 개구가 보여지고, 30분 후에는 18개의 연질 캡슐이 모두 붕괴되었다.
따라서, 젤라틴과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연질 캡슐을 펀칭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제제성, 및 장용성이 뛰어난 연질 캡슐을 제조 가능한 것이 명백해졌다.
펙틴 종류 제제성 평가 장용성 평가
피막액 유동성 접착성 제 1 용액 제 2 용액
실시품 1 펙틴 1
실시품 2 펙틴 2
실시품 3 펙틴 3
실시품 4 펙틴 4
비교품 펙틴 5 × -
실시예 3
[제제성 및 장용성 시험 2]
(연질 캡슐의 제조)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펙틴-1, 펙틴-2, 펙틴-4 각각 20질량부를 글리세린 40질량부에 분산하고, 온수(80℃)로 용해하고, 추가로 젤라틴(300 Bloom) 79질량부, 젤라틴(200 Bloom) 21질량부를 첨가하여 70℃에서 용해하고, 60메쉬(구멍 크기 0.25 mm)로 여과 후에 감압 탈포하여 캡슐 피막액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평판식 연질 캡슐 제조 장치(후지 캡슐사 제품)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MCT를 내용물로 하는 Oval-5형 연질 캡슐을 제조했다. 펙틴-1, 펙틴-2, 펙틴-4를 이용하여 제작한 각각의 연질 캡슐을 실시품 5~7로 했다.
얻어진 연질 캡슐에 대해, 상기와 동일하게 제제성 평가와 장용성 평가를 수행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펙틴 종류 제제성 평가 장용성 평가
피막액 유동성 접착성 제 1 용액 제 2 용액
실시품 5 펙틴 1
실시품 6 펙틴 2
실시품 7 펙틴 4
(결과)
실시품 5~7에 있어서, 제제성에서의 피막 유동성에 대해서는 실시품 1, 2, 4와 비교하면 약간 뒤떨어지지만, 거의 지장이 없는 정도이며, 접착성에 대해서는 실시품 1~4와 비교하면 약간 뒤떨어졌다. 한편, 장용성에 대해서는 실시품 1~4와 동일하게 양호했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은 장용성 및 제제성이 뛰어나, 의약품, 영양 보조품, 건강 식품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이하의 공정 (a) 및 (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a) 젤라틴과 아미드화도가 5~25%인 저메톡시펙틴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조제하는 공정;
    (b) 공정 (a)에서 조제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을 이용하여, 펀칭법에 의해 캡슐 내용물을 피포하는 공정;
  2. 제 1항에 있어서,
    젤라틴의 젤리 강도가 160~300 Blo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저메톡시펙틴의 에스테르화도가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용성 캡슐 피막액이 젤라틴 100질량부에 대해 저메톡시펙틴 30~35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메톡시펙틴을 글리세린에 분산 후 온수에 용해하고, 이어서 젤라틴을 첨가하여 용해하고, 여과 후에 감압 탈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용성 캡슐 피막의 막 두께가 0.3~1.2 mm가 되도록 피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KR1020167027795A 2014-10-06 2015-10-06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KR101862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5991 2014-10-06
JP2014205991 2014-10-06
PCT/JP2015/005083 WO2016056230A1 (ja) 2014-10-06 2015-10-06 腸溶性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906A true KR20160124906A (ko) 2016-10-28
KR101862091B1 KR101862091B1 (ko) 2018-05-29

Family

ID=5565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795A KR101862091B1 (ko) 2014-10-06 2015-10-06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962335B2 (ko)
EP (1) EP3205338B1 (ko)
JP (1) JP5921017B1 (ko)
KR (1) KR101862091B1 (ko)
CN (1) CN106456558B (ko)
AU (1) AU2015329446B2 (ko)
CA (1) CA2960631C (ko)
ES (1) ES2708811T3 (ko)
HK (1) HK1231373A1 (ko)
MY (1) MY184967A (ko)
NZ (1) NZ730333A (ko)
SG (1) SG11201702755TA (ko)
WO (1) WO20160562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58B1 (ko) * 2020-05-26 2021-07-05 주식회사 서흥 장용성 하드 젤라틴 캡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60620C (en) * 2014-10-06 2018-06-19 Fuji Capsule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enteric seamless soft capsule
JP6780412B2 (ja) * 2016-09-28 2020-11-04 ライオン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ならびにコーティング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AR115269A1 (es) 2018-03-15 2020-12-16 Scherer Technologies Llc R P Cápsulas de gelatina blanda entéricas
US10813887B2 (en) 2018-04-18 2020-10-27 Dah Feng Capsule Industry Co., Ltd Acid resistant capsule shell composition
CN110403198B (zh) * 2019-07-25 2022-12-16 邓跃进 一种益生菌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13398087B (zh) * 2021-06-17 2022-06-14 北京斯利安药业有限公司 蛋白琥珀酸铁肠溶胶囊及其制备方法
CN113398088B (zh) 2021-06-28 2023-10-03 仙乐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软胶囊囊壳及软胶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542A (ja) 2002-10-01 2006-02-16 バナー ファーマキャップ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腸溶性調製物
JP2009185022A (ja) 2008-01-11 2009-08-20 Unimedical Inc 腸溶性・徐放性ソフト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7548A (ja) 2008-08-25 2010-03-04 Nakanihon Capsule Co Ltd 腸溶性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及び腸溶性ソフトカプセ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1178C2 (de) * 1992-01-17 1995-12-07 Alfatec Pharm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ichgelatinekapseln nach einem Tropfverfahren
FR2785265B1 (fr) * 1998-11-02 2000-12-08 Gervais Danone Sa Capsules de produit laitier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KR100379674B1 (ko) * 2000-03-06 2003-04-10 주식회사 서흥캅셀 펙틴과 글리세린의 배합용액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캅셀 및그의 제조방법
ATE544440T1 (de) * 2000-08-17 2012-02-15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nahtlosen kapsel
EP1184033A1 (en) * 2000-09-01 2002-03-06 Warner-Lambert Company Pectin film compositions
US20050019295A1 (en) * 2003-04-14 2005-01-27 Fmc Corporation Homogeneous, thermoreversible low viscosity polymannan gum films and soft capsules made therefrom
KR100505530B1 (ko) * 2003-09-29 2005-08-03 주식회사 서흥캅셀 어류 젤라틴을 이용한 하드 캅셀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148248A1 (en) * 2005-12-22 2007-06-28 Banner Pharmacaps, Inc. Gastric reflux resistant dosage for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542A (ja) 2002-10-01 2006-02-16 バナー ファーマキャップ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腸溶性調製物
JP2009185022A (ja) 2008-01-11 2009-08-20 Unimedical Inc 腸溶性・徐放性ソフト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7548A (ja) 2008-08-25 2010-03-04 Nakanihon Capsule Co Ltd 腸溶性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及び腸溶性ソフトカプセ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58B1 (ko) * 2020-05-26 2021-07-05 주식회사 서흥 장용성 하드 젤라틴 캡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60631C (en) 2018-06-05
JPWO2016056230A1 (ja) 2017-04-27
EP3205338B1 (en) 2018-12-19
CA2960631A1 (en) 2016-04-14
CN106456558A (zh) 2017-02-22
EP3205338A4 (en) 2018-03-21
US9962335B2 (en) 2018-05-08
CN106456558B (zh) 2019-10-08
EP3205338A1 (en) 2017-08-16
KR101862091B1 (ko) 2018-05-29
US20170209384A1 (en) 2017-07-27
NZ730333A (en) 2021-07-30
ES2708811T3 (es) 2019-04-11
JP5921017B1 (ja) 2016-05-24
SG11201702755TA (en) 2017-05-30
MY184967A (en) 2021-04-30
AU2015329446B2 (en) 2017-03-16
AU2015329446A1 (en) 2016-10-27
WO2016056230A1 (ja) 2016-04-14
HK1231373A1 (zh)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091B1 (ko)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KR101917334B1 (ko) 장용성 심리스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US10493036B2 (en) Enteric capsule
JPH0427352A (ja) 健康食品用腸溶性軟カプセル
KR102006407B1 (ko)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JP2015189684A (ja) ソフトカプセル皮膜及びソフトカプセル
JP6338447B2 (ja) ハードカプセル
KR102427282B1 (ko) 산화안정성이 우수한 장용성 연질캡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
NZ73033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nteric seamless soft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