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120A - 차량용 응축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120A
KR20160123120A KR1020150053276A KR20150053276A KR20160123120A KR 20160123120 A KR20160123120 A KR 20160123120A KR 1020150053276 A KR1020150053276 A KR 1020150053276A KR 20150053276 A KR20150053276 A KR 20150053276A KR 20160123120 A KR20160123120 A KR 2016012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otch
condenser
pair
head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024B1 (ko
Inventor
신성홍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024B1/ko
Priority to CN201910011477.2A priority patent/CN110057141B/zh
Priority to CN201610232205.1A priority patent/CN106052204B/zh
Priority to US15/099,632 priority patent/US20160305722A1/en
Priority to DE102016206379.0A priority patent/DE102016206379A1/de
Publication of KR2016012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120A/ko
Priority to US15/966,143 priority patent/US1021545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24B1/ko
Priority to US17/647,768 priority patent/US116040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28F9/002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with fastening means f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28F9/0131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formed by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 F28F2009/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핀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의 결합부의 노치부를 본체부의 선단에서 노치부의 내측단부까지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되도록 연장 형성하거나, 본체부의 선단에서 본체부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는 것을 서포트의 제조공법에 제한받지 않으면서 방지하여 응축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방열핀의 원상태를 유지하여 응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응축기{Condens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핀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의 결합부의 노치부를 본체부의 선단에서 노치부의 내측단부까지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되도록 연장 형성하거나 본체부의 선단에서 본체부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는 것을 방지하여 응축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이렇게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게 된다.
또한,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화함으로써 저온, 저압으로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에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이처럼, 열교환기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에 배출된다.
즉,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축기의 마지막열에는 방열핀의 브레이징 접합을 용이하게 하고, 방열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가 형성되는 서포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서포트는 프레스(press) 공법이나 롤 성형(roll forming) 공법에 의해 돌출부가 형성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돌출부가 형성되는 서포트는 서포트 상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랜덤하게 형성되고, 서포트 상에서 돌출부의 시작점이 결합부와 이어져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돌출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돌출부가 형성되는 서포트는 브레이징시에 헤더의 클래드가 방열핀을 녹이게 됨에 따라 응축기의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방열핀이 완전히 녹지 않은 상태로 시판되어 차량에 부착되는 경우에 응축기의 효율이 감소되고, 응축기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서포트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공법의 경우에 돌출부의 시작점을 조절할 수 있으나, 각각 길이가 상이한 서포트를 제조할 때마나 프레스 금형을 변경해야 함에 따라, 별도의 프레스 금형을 제작해야 한다. 이에 따라, 서포트의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포트를 제조하기 위한 롤 성형의 경우에 서포트의 길이에 따라 금형을 별도로 제작해야할 필요는 없으나 돌출부의 시작점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어, 여전히 상술한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042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핀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의 결합부의 노치부를 본체부의 선단에서 노치부의 내측단부까지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되도록 연장 형성하거나, 본체부의 선단에서 본체부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는 것을 서포트의 제조공법에 제한받지 않으면서 방지하여 응축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방열핀의 원상태를 유지하여 응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양단이 삽입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층 설치되는 복수개의 튜브(30); 상기 복수개의 튜브(30)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핀(4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양단이 삽입되고, 상기 방열핀(40)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방열핀(40)과 일측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50, 60);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서포트(50, 60)는 각각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방열핀(40)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트의 엠보싱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 상에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트의 결합부(300)는 상기 결합부(300)의 선단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노치부(310); 및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20) 상에 형성되는 서포트 삽입홀(13, 23)에 삽입되는 포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결합부의 노치부(310)는 상기 포크부(320)의 선단(321)에서 상기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 방향으로 상기 노치부(310)의 폭(W)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결합부의 상기 노치부(310)는 상기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결합부의 상기 노치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선단(120)에서 상기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까지의 길이(L)가 3mm 이상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결합부의 상기 포크부(320)는 상기 포크부(320)의 선단(321)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선단(120) 방향으로 상기 포크부(310)의 폭(w)이 증가하도록 상기 포크부으 선단(321)의 외측면(322)이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폭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한 쌍의 서포트(50, 60)는 각각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l) 이격도록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상기 관통공(400)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상기 관통공(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20)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응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응축기의 서포의 상기 관통공(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1mm 이상 5mm 이하의 간격(l)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방열핀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의 결합부의 노치부를 본체부의 선단에서 노치부의 내측단부까지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되도록 연장 형성하거나, 본체부의 선단에서 본체부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방열핀이 녹는 것을 방지하여 응축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외관의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방열핀을 원상태로 유지하여 응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는 서포트의 제조공법에 제한받지 않으면서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헤더탱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헤더탱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에 설치되는 서포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에 설치되는 서포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C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헤더탱크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헤더탱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에 설치되는 서포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에 설치되는 서포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의 C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로방향"이란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가 이격되는 수평방향을 의미하고, "세로방향"이란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수직방향을 의미한다. "폭방향"이란 가로방향에 대해 세로방향이 아닌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부"란 세로방향에서 위쪽을 "하부"란 세로방햐에서 아래쪽을 의미한다. "전방"이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응축기(1)가 설치되는 엔진룸에서 그릴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1)를 설명한다.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 복수개의 튜브(30), 복수개의 방열핀(40), 및 한 쌍의 서포트(50, 60)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헤더탱크(10, 20)는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헤더탱크(10, 20)를 구성하는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는 일반적으로 각각 제1, 2 헤더(11, 21)와 제1, 2 탱크(12, 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1, 2 헤더(11, 21)와 제1, 2 탱크(12, 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는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의 제1 헤더(11)와 제2 헤더(21)에는 후술하는 튜브(3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슬릿부(14, 2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2 헤더(11, 21)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슬릿부(14, 25) 및 최하측에 형성되는 슬릿부(14, 25)와 이격되도록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의 제1 헤더(11)와 제2 헤더(21)에 서포트 삽입홀(13, 23)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입구 파이프가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고, 입구 파이프를 통해 냉매가 유입된다. 또한, 출구 파이프는 입구 파이프가 형성되는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에 입구 파이프와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어, 출구 파이프를 통해 냉매가 유출된다. 즉, 입구 파이프가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구 파이프도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된다. 반대로 입구 파이프가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구 파이프도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튜브(30)들의 양단이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에 슬릿부(14, 24)에 삽입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층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튜브(30)들은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에 양단이 고정되고, 내부에 매냉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설치된다.
복수개의 방열핀(40)이 복수개의 튜브(30)들 사이에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방열핀(40)은 인접하게 세로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2개의 튜브(30) 사이 및 최상측 튜브와 최하측 튜브에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튜브(30)들 사이를 흐르는 에어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다.
튜브(30)들의 내부로 냉매가 이동하면서 전열면적이 증가된 방열핀(40)에 의해 외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는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의 일측에 유입부와 유출부를 통해 제1 헤더탱크(10) 또는 제2 헤더탱크(2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헤더탱크(10)가 좌측에 제2 헤더탱크(20)가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헤더탱크(10)가 우측에 제2 헤더탱크(20)가 좌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헤더탱크(10)가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도 우측에 설치되고, 리시버 드라이어는 좌측에 설치되는 제2 헤더탱크(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가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되는 경우에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된다. 반대로,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가 제2 헤더탱크(20)에 형성되는 경우에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헤더탱크(10)에 형성된다. 즉,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 및 리시버 드라이어는 서로 다른 헤더탱크에 형성된다.
한 쌍의 서포트(50, 60)가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의 서포트 삽입홀(13, 23)에 양단이 삽입되고, 방열핀(40)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방열핀(40)과 일측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서포트(50)는 최상측 튜브(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방열핀(40)과 하부면이 접촉되도록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 서포트(60)는 최하측 튜브(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열핀(40)과 상부면이 접촉되도록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다.
한 쌍의 서포트(50, 60)를 구성하는 제1 서포트(50)와 제2 서포트(60)는 각각 본체부(100), 엠보싱부(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방열핀(40)의 폭과 같거나 조금 더 큰 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엠보싱부(200)는 방열핀(40)과 접촉하지 않는 본체부(100)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엠보싱부(200)는 본체부(100)를 프레스 공법 또는 롤 성형 공법에 의해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엠보싱부(200)는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 상에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 상에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엠보싱부(200)가 형성됨에 따라 방열핀 브레이징 용접이 용이하고, 방열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결합부(300)는 각각 한 쌍의 헤더탱크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의 서포트(50, 60)의 결합부(300)는 노치부(310)와 포크부(320)를 구비한다.
노치부(310)는 결합부(300)의 선단에서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 상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포크부(320)는 노치부(310)에 의해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포크부(320)가 한 쌍의 헤더탱크(10, 20) 상에 형성되는 서포트 삽입홀(13, 23)에 삽입되어 서포트(50, 60)를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고정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응축기(1)의 서포트(50, 60)의 결합부(300)는 플랜지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부(330)는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본체부(100)의 폭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랜지부(330)는 제1 헤더탱크(10)와 제2 헤더탱크(20)의 제1 헤더(11)와 제2 헤더(1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포크부(320)가 서포트 삽입홀(13, 23)에 삽입될 때에, 플랜지부(330)가 서포트 삽입홀(13, 23)의 폭방향 양단부에 접촉 지지된다. 플랜지부(330)에 의해 서포트(50, 60)의 결합 용이성과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의 서포트(50, 60)의 결합부(300)의 노치부(310)는 포크부(320)의 선단(321)에서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 방향으로 노치부(310)의 폭(W)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즉, 노치부(310)는 서포트의 외측에서 서포트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노치부(310)의 폭(W)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유동될 때에 노치부의 측면부를 따라 하부로 떨어져서 방열핀이 녹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노치부(310)는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노치부(310)의 내측단(311)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유동될 때에 노치부의 측면부를 따라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유동되는 용융 클래드가 내측단부(311)에 모이고,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져서 방열핀이 녹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의 서포트(50, 60)의 결합부(300)의 노치부(310)는 본체부(100)의 선단(120)에서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까지의 길이(L)가 3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00)의 선단(120)에서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까지의 길이(L)가 3mm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유동될 때에 노치부의 측면부를 따라 흐르지 않게 되어, 방열핀(40)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본체부(100)의 선단(120)에서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까지의 길이(L)가 12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합부(300)의 내구성이 감소되어 결합부(300)가 차량의 진동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이처럼, 서포트의 결합부의 노치부를 본체부의 선단에서 노치부의 내측단부까지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되도록 연장 형성하여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는 것을 서포트의 제조공법에 제한받지 않으면서 방지하여 응축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방열핀의 원상태를 유지하여 응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의 서포트(50, 60)의 결합부(300)의 포크부(320)는 포크부(320)의 선단(321)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선단(120) 방향으로 상기 포크부(310)의 폭(w)이 증가하도록 포크부의 선단(321)의 외측면(322)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포크부(320)가 서포트 삽입홀(13, 23)에 삽입될 때에,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포크부(320)의 외측면(322)에 의해 쉽게 삽입될 수 있어, 서포트의 조립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의 서포트(50, 60)는 관통공(400)을 더 포함한다.
관통공(400)은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l) 이격도록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는 관통공(400)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원통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400)은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2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관통공(400)은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20)을 기준으로 본체부(100)의 상부와 하부가에 형성된 관통공(400)의 일부가 대칭되도록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관통공(400)은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1mm 이상 5mm 이하의 간격(l)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관통공(400)이 본체부(100)의 선단(120)에서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1mm 미만의 간격(l)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경우에는 결합부(300)의 내구성이 감소되어 결합부(300)가 차량의 진동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400)이 본체부(100)의 선단(120)에서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5mm 초과하는 간격(l)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경우에는 브레이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유동될 때에 관통공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지 않아, 방열핀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처럼, 서포트의 본체부의 선단에서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브레이징시에 헤더탱크의 헤더의 클래드가 용융되어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방열핀을 녹이는 것을 서포트의 제조공법에 제한받지 않으면서 방지하여 응축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방열핀의 원상태를 유지하여 응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응축기, 10, 20 : 제1, 2 헤더탱크,
11, 21 : 제1, 2 헤더, 12, 22 : 제1, 2 탱크,
13, 23 : 서포트 삽입홀, 14, 24 : 슬릿부,
30 : 튜브, 40 : 방열핀,
50, 60 : 제1, 2 서포트, 100 : 본체부,
110 : 중심축선, 120 : 선단,
200 : 엠보싱부, 300 : 결합부,
310 : 노치부, 311 : 내측단부,
320 : 포크부, 321 : 선단,
322 : 외측면, 330 : 플랜지부,
400 : 관통공,
L : 본체부의 선단에서 노치부의 내측단부까지의 거리,
l : 본체부의 선단에서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거리,
W : 노치부의 폭, w : 포크부의 폭.

Claims (12)

  1.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2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양단이 삽입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층 설치되는 복수개의 튜브(30);
    상기 복수개의 튜브(30)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열핀(4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20)에 양단이 삽입되고, 상기 방열핀(40)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방열핀(40)과 일측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50, 60);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서포트(50, 60)는 각각,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방열핀(40)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 상에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결합부(300)의 선단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1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노치부(310); 및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 20) 상에 형성되는 서포트 삽입홀(13, 23)에 삽입되는 포크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310)는,
    상기 포크부(320)의 선단(321)에서 상기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 방향으로 상기 노치부(310)의 폭(W)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310)는,
    상기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선단(120)에서 상기 노치부(310)의 내측단부(311)까지의 길이(L)가 3mm 이상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320)는,
    상기 포크부(320)의 선단(321)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선단(120) 방향으로 상기 포크부(310)의 폭(w)이 증가하도록 상기 포크부의 선단(321)의 외측면(322)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랴용 응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폭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트(50, 60)는 각각,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l) 이격도록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00)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선(120)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양쪽 선단(12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1mm 이상 5mm 이하의 간격(l)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KR1020150053276A 2015-04-15 2015-04-15 차량용 응축기 KR10222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276A KR102228024B1 (ko) 2015-04-15 2015-04-15 차량용 응축기
CN201910011477.2A CN110057141B (zh) 2015-04-15 2016-04-14 车辆用冷凝器
CN201610232205.1A CN106052204B (zh) 2015-04-15 2016-04-14 车辆用冷凝器
US15/099,632 US20160305722A1 (en) 2015-04-15 2016-04-15 Vehicle condenser
DE102016206379.0A DE102016206379A1 (de) 2015-04-15 2016-04-15 Kondensator für ein Fahrzeug
US15/966,143 US10215459B2 (en) 2015-04-15 2018-04-30 Vehicle condenser
US17/647,768 US11604017B2 (en) 2015-04-15 2022-01-12 Vehicle cond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276A KR102228024B1 (ko) 2015-04-15 2015-04-15 차량용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120A true KR20160123120A (ko) 2016-10-25
KR102228024B1 KR102228024B1 (ko) 2021-03-16

Family

ID=5704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276A KR102228024B1 (ko) 2015-04-15 2015-04-15 차량용 응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20160305722A1 (ko)
KR (1) KR102228024B1 (ko)
CN (2) CN106052204B (ko)
DE (1) DE10201620637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373A (ja) * 1997-09-01 1999-03-26 Zexel Corp 熱交換器
JP2001004293A (ja) 1999-06-18 2001-01-12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16484A (ja) * 1999-10-13 2001-04-27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4347313A (ja) * 2003-04-28 2004-12-09 Showa Denko Kk 熱交換器用サイドプレート、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20110214848A1 (en) * 2010-03-08 2011-09-08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484A (ja) 1991-12-04 1993-06-22 Nippondenso Co Ltd 熱交換器
DE20005523U1 (de) 2000-03-28 2001-08-16 Autokuehler Gmbh & Co Kg Wärmeaustauscher
KR100790382B1 (ko) 2001-09-29 2008-01-0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방법
EP1623178A4 (en) * 2003-04-28 2012-04-25 Showa Denko Kk SIDE PLAT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EAT EXCHANGER
US20050230089A1 (en) 2004-04-05 2005-10-20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capable of preventing heat stress
JP4779641B2 (ja) * 2005-12-26 2011-09-28 株式会社デンソー 複合型熱交換器
KR20080040528A (ko) 2006-11-03 2008-05-08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JP2008281325A (ja) * 2007-04-12 2008-11-20 Denso Corp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KR101463111B1 (ko) * 2008-03-07 2014-11-2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리시버드라이어 제조방법
KR102205848B1 (ko) * 2013-12-31 2021-01-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CN104501480B (zh) * 2014-12-26 2017-03-1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冷凝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373A (ja) * 1997-09-01 1999-03-26 Zexel Corp 熱交換器
JP2001004293A (ja) 1999-06-18 2001-01-12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16484A (ja) * 1999-10-13 2001-04-27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4347313A (ja) * 2003-04-28 2004-12-09 Showa Denko Kk 熱交換器用サイドプレート、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20110214848A1 (en) * 2010-03-08 2011-09-08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57141A (zh) 2019-07-26
US11604017B2 (en) 2023-03-14
KR102228024B1 (ko) 2021-03-16
DE102016206379A1 (de) 2016-10-20
CN106052204B (zh) 2019-05-03
US20220136746A1 (en) 2022-05-05
CN110057141B (zh) 2021-05-28
US10215459B2 (en) 2019-02-26
US20180245828A1 (en) 2018-08-30
US20160305722A1 (en) 2016-10-20
CN106052204A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5980A1 (en) Heat exchanger
JP4069804B2 (ja) 熱交換器および受液器一体型凝縮器
KR101280622B1 (ko) 응축기
KR101572674B1 (ko) 배수성이 향상된 방열핀을 이용한 열교환기
KR20160123120A (ko) 차량용 응축기
KR20130057548A (ko) 응축기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JP2010032128A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
JP2005249376A (ja) 熱交換器および一体型熱交換器
JP2016080236A (ja) 熱交換器
KR20130000523A (ko) 응축기
KR101989445B1 (ko) 라디에이터 탱크 및 응축기 조립체
KR102293545B1 (ko) 응축기 및 그 제조 방법
JP2020076531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2228023B1 (ko) 차량용 응축기
KR101631572B1 (ko) 응축기
KR101773014B1 (ko) 응축기
KR20170042138A (ko) 다열 열교환기
KR20220111535A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20190142855A (ko) 응축기
KR102200300B1 (ko) 응축기
KR101345848B1 (ko) 열교환기 고정장치
JP2016031203A (ja) 凝縮器
KR20230118458A (ko) 열교환기
JP2020076536A (ja) フィン、熱交換器、及び空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