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523A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523A
KR20130000523A KR1020110061063A KR20110061063A KR20130000523A KR 20130000523 A KR20130000523 A KR 20130000523A KR 1020110061063 A KR1020110061063 A KR 1020110061063A KR 20110061063 A KR20110061063 A KR 20110061063A KR 20130000523 A KR20130000523 A KR 20130000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condenser
liquid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152B1 (ko
Inventor
김병주
최준영
민은기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1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부에 과냉각부(sub cool)가 형성된 응축기에 있어서, 기액분리기의 외측에 냉매 유로를 형성하여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를 분리하여 액상냉매 만을 응축기 상부의 과냉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액분리기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기액분리기 외측에 구성되는 냉매 유로의 파손 가능성을 줄인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기{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부에 과냉각부(sub cool)가 형성된 응축기에 있어서, 기액분리기의 내부에 냉매 유로를 형성하여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 냉매만을 응축기 상부의 과냉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상승튜브가 기액분리기의 몸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조재의 고정 및 조립이 용이하며 건조재 및 하부캡 등의 부품들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열교환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에서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열교환매체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며 종래의 응축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는 기상 냉매가 유입구(11)로 유입되어 구획판(12)에 의해 구분되는 하측의 응축영역(10)을 통과하며 냉각되어 액상 냉매로 전환되고, 제1연통관(31)을 지나 기액분리기(30)로 유입되어 액상 냉매만 필터(37) 및 상승관(34)을 거쳐 격판(33)의 상측으로 유동되어, 제2연통관(32)을 지나 과냉영역(20)을 통과하며 액상 냉매가 과냉각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과냉각이 발생함에 의해 열교환매체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응축기에서, 상기 기액분리기(30)는 내부에 냉매의 수분 제거를 위해 건조재(35)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재(35)의 상측으로는 기상 냉매가 포집되고 하측으로는 액상 냉매만 유동되어 상기 기액분리기(30)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승관(34)을 따라 격판(33)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응축기 상부의 과냉영역(20)을 따라 액상 냉매만 유동되며 과냉각된다.
그러나 상기 기액분리기(30)의 내부에 상승관(34)이 구성됨에 따라 기액분리기(30)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이 어렵고 기존의 기액분리기(3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사용할 수 없어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관(34)에 건조재(35)를 고정하기 어려워 조립시간이 증가하고 상기 건조재(3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6)의 형상이 커지고 복잡해져 비용 증가 및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액분리기의 외측에 파이프로 냉각 유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응축기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며, 파이프 부분이 취약하여 제작 또는 이송 과정에서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과냉각영역이 형성된 응축기에 있어서, 기액분리기의 내부에 몸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승튜브를 구성하여 냉매 유로를 형성함으로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 냉매만을 응축기 상부의 과냉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액분리기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액분리기 내부에 상승튜브의 구성에 따른 기존에 사용하던 건조재 및 하부캡 등의 구성부품들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일측의 헤더탱크(10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110) 및 출구파이프(120); 상기 헤더탱크(1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배플(13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200);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300); 및 상기 헤더탱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헤더탱크(100) 및 튜브(200)는 상기 배플(130)에 의해 구분되어 하부에 응축영역(A1)이 형성되고 상부에 과냉영역(A2)이 형성되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400)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410)의 내측에 결합되며 관통구멍(421)이 형성되는 구획판(420); 및 상기 구획판(420)의 관통구멍(421)에 일측이 연결되어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건조재(440)를 고정하는 탄성후크(431)가 형성되는 상승튜브(4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입구파이프(1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응축영역(A1)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유입되어 상기 상승튜브(430)를 따라 구획판(420)의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과냉영역(A2)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파이프(12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400)의 몸체(410)는 내주면에 스토퍼(411)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20)은 상기 스토퍼(411)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411)는 상면에 실링홈(412)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20)은 하면에 상기 실링홈(412)에 대응되는 돌출부(422)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승튜브(430)는 상기 건조재(44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4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승튜브(430)는 하단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절개부(4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승튜브(430)는 열교환매체의 유로가 되는 내부에 수개의 리브(4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에 과냉각영역이 형성된 응축기에 있어서, 기액분리기의 내부에 몸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승튜브를 구성하여 냉매 유로를 형성함으로서, 기액분리기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액분리기 내부에 상승튜브의 구성에 따른 기존에 사용하던 건조재 및 하부캡 등의 구성부품들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액분리기의 내부에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승튜브를 구성함으로서 외측에 별도로 냉매 유로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기액분리기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며 제작 또는 이송 과정에서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축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판, 상승튜브 및 건조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판 및 상승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튜브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일측의 헤더탱크(10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110) 및 출구파이프(120); 상기 헤더탱크(1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배플(13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200);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300); 및 상기 헤더탱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헤더탱크(100)는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공간이며, 상기 튜브(200)로 열교환매체를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고, 일측의 헤더탱크(100)에는 입구파이프(110)와 출구파이프(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200)들이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200)들 사이에 상기 핀(300)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100) 내부에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의 열교환매체 흐름을 차단하는 배플(130)이 형성되며, 상기 배플(130)은 좌측 헤더탱크(100)에 출구파이프(120)의 하측과 입구파이프(110) 하측에 각각 형성되며, 우측 헤더탱크(100)의 상부연통관(150)의 하측과 하부연통관(140)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좌측 헤더탱크(100)의 출구파이프(120) 하측과 우측 헤더탱크(100)의 상부연통관(15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배플(130)은 같은 높이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한 쌍의 배플(130)의 하측에 구성되는 튜브(200) 및 핀(300)은 응축영역(A1)이 되고 상측 방향에 구성되는 튜브(200) 및 핀(300)은 과냉영역(A2)으로 구분되어, 상기 입구파이프(1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응축영역(A1)을 통과하며 냉각되어 기상 냉매가 액상 냉매로 전환되고 상기 하부연통관(140)을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상부연통관(150)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과냉영역(A2)에서 과냉각되어 상기 출구파이프(120)로 배출되는 상부 sub cool 방식의 응축기가 구성된다.
그리고 우측 헤더탱크(100)의 일측에 상기 하부연통관(140) 및 상부연통관(150)으로 연결되는 기액분리기(400)가 결합되며, 상기 기액분리기(400)는 도 3과 같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410)의 내측에 결합되며 관통구멍(421)이 형성되는 구획판(420); 및 상기 구획판(420)의 관통구멍(421)에 일측이 연결되어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건조재(440)를 고정하는 탄성후크(431)가 형성되는 상승튜브(4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기액분리기(400)의 몸체(410)가 상기 구획판(420)에 의해 내부공간이 구분되되, 상기 상승튜브(430)를 따라 열교환매체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응축기(1000)에서 열교환매체의 흐름은, 상기 입구파이프(1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응축영역(A1)을 통과하며 냉각되어 기상 냉매가 액상 냉매로 전환되고, 하부연통관(140)을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유입되어 상기 건조재(440)에서 수분이 분리되고 기상 냉매는 상측으로 분리되며, 액상 냉매만 상기 상승튜브(430)의 하단으로 유입되고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구획판(420)의 관통구멍(421)을 따라 상측으로 유출되어 필터(46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한 후 상기 상부연통관(150)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과냉영역(A2)에서 과냉각되어 상기 출구파이프(120)로 배출된다.
이하에서 상기 기액분리기(400)에 대해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몸체(410)는 상기 헤더탱크(100)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연통관(140) 및 상부연통관(150)으로 상기 헤더탱크(100)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10)의 하단은 하부캡(470)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구획판(420), 상승튜브(430) 및 건조재(4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승튜브(430)는 상기 구획판(420)의 관통구멍(421)에 삽입되어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구획판(42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기(400) 몸체(4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420)에 의해 상기 몸체(410)의 내부 공간이 상하로 구분되어 열교환매체가 통과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구획판(42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21)에 연결되는 상기 상승튜브(430)를 따라 그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기(400)의 몸체(410)는 내주면에 스토퍼(411)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20)은 상기 스토퍼(411)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410)의 상측에서 상기 구획판(420), 상승튜브(430) 및 건조재(440)를 조립하여 삽입할 때, 상기 몸체(410)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스토퍼(411)에 상기 구획판(420)이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상승튜브(430)의 하단이 상기 하부캡(47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교환매체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11)와 구획판(420)이 밀착될 수 있어 열교환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411)와 구획판(420) 사이에 실링재를 도포 또는 개재하여 열교환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판(420)의 상측에는 필터(460) 및 상부캡(450)이 결합되어 상기 구획판(420)을 눌러 스토퍼(411)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11)는 상면에 실링홈(412)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20)은 하면에 상기 실링홈(412)에 대응되는 돌출부(422)가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서 열교환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실링홈(412)에 실링재를 개재한 후 조립하면 더욱 확실하게 열교환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튜브(43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몸체(4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410)가 원통형인 경우 상기 상승튜브(430)는 파이프를 반으로 잘라놓은 호의 형태로 형성되며, 열교환매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되어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410)는 사각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상승튜브(430)는 상기 몸체(4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재(44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원형관에 비해 얇은 두께이면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기 상승튜브(430)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재(440)가 구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승튜브(430)를 따라 유동되는 열교환매체의 유량에 대한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승튜브(430)는 상기 건조재(4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후크(431)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431)는 상기 상승튜브(430)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건조재(440)를 양쪽에서 감싸서 탄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승튜브(430)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하 한 쌍으로 상기 탄성후크(431)를 형성하여 상기 건조재(440)가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후크(431)의 단부를 갈고리 형태로 하여 상기 건조재(440)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상승튜브(430)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열교환매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건조재(440)가 상기 상승튜브(430) 내측의 오목한 부분에 조립되어 상기 탄성후크(431)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 상기 건조재(440)의 고정이 용이하며 상기 구획판(420)과 상승튜브(430) 및 건조재(440)를 결합하여 상기 몸체(410)에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420)과 상승튜브(430)를 조립하여 브레이징 등으로 결합하고 상기 건조재(440)를 상기 상승튜브(430)에 조립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410)의 상측에서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튜브(430)의 하측 일면에는 상기 건조재(44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4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응축기(10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상기 건조재가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상승튜브(430)의 하단부를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건조재(440)가 상기 상승튜브(430)에 결합될 때 상기 건조재(440)의 폭 방향 양쪽 측면은 상기 탄성후크(431)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지지판(43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건조재(440)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열교환매체의 흐름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튜브(430)는 하단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절개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승튜브(430) 하단의 일측면을 절단하여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상승튜브(430)의 하단이 상기 하부캡(470)에 닿도록 결합되더라도 유로가 막히지 않아 상기 열교환매체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상승튜브(430)는 열교환매체의 유로가 형성되는 내부에 수개의 리브(434)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승튜브(43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변형에 의해 유로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응축기는 기액분리기 내부에 구획판 및 상승튜브가 구성되더라도 종래에 사용되던 건조재, 상부캡, 필터 및 하부캡 등의 구성부품들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액분리기의 내부에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승튜브를 구성함으로서 외측에 별도로 냉매 유로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기액분리기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며 제작 또는 이송 과정에서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헤더탱크(100), 튜브(200), 핀(300), 배플(130), 하부연통관(140) 및 상부연통관(150)은 브레이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액분리기(400)의 몸체(410), 구획판(420), 상승튜브(430) 및 하부캡(470) 또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브레이징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의) 응축기
100 : 헤더탱크
110 : 입구파이프 120 : 출구파이프
130 : 배플
140 : 하부연통관 150 : 상부연통관
200 : 튜브
300 : 핀
400 : 기액분리기
410 : 몸체
411 : 스토퍼 412 : 실링홈
420 : 구획판
421 : 관통구멍 422 : 돌출부
430 : 상승튜브
431 : 탄성후크 432 : 하부지지판
433 : 절개부 434 : 리브
A1 : 응축영역 A2 : 과냉영역

Claims (6)

  1.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일측의 헤더탱크(10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110) 및 출구파이프(120); 상기 헤더탱크(1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배플(130);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100)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200);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300); 및 상기 헤더탱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헤더탱크(100) 및 튜브(200)는 상기 배플(130)에 의해 구분되어 하부에 응축영역(A1)이 형성되고 상부에 과냉영역(A2)이 형성되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400)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410)의 내측에 결합되며 관통구멍(421)이 형성되는 구획판(420); 및 상기 구획판(420)의 관통구멍(421)에 일측이 연결되어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건조재(440)를 고정하는 탄성후크(431)가 형성되는 상승튜브(4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입구파이프(1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응축영역(A1)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400)로 유입되어 상기 상승튜브(430)를 따라 구획판(420)의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과냉영역(A2)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파이프(12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400)의 몸체(410)는 내주면에 스토퍼(411)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20)은 상기 스토퍼(411)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11)는 상면에 실링홈(412)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20)은 하면에 상기 실링홈(412)에 대응되는 돌출부(422)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튜브(430)는 상기 건조재(44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4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튜브(430)는 하단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절개부(4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튜브(430)는 내부에 수개의 리브(4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1020110061063A 2011-06-23 2011-06-23 응축기 KR10177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63A KR101771152B1 (ko) 2011-06-23 2011-06-23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63A KR101771152B1 (ko) 2011-06-23 2011-06-23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23A true KR20130000523A (ko) 2013-01-03
KR101771152B1 KR101771152B1 (ko) 2017-08-24

Family

ID=4783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063A KR101771152B1 (ko) 2011-06-23 2011-06-23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4687A (zh) * 2014-08-22 2014-1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闪发器和具有该闪发器的空调
CN107560241A (zh) * 2016-06-30 2018-01-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过冷延伸冷凝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158B2 (ja) * 2001-10-30 2007-06-06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凝縮器
DE102005025451A1 (de) * 2005-06-02 2006-12-07 Denso Automotive Deutschland Gmbh Kondensator für eine Klimaanlage
JP2010139089A (ja) * 2008-12-09 2010-06-24 Showa Denko Kk 熱交換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4687A (zh) * 2014-08-22 2014-1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闪发器和具有该闪发器的空调
US10234182B2 (en) 2014-08-22 2019-03-19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Flash tank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07560241A (zh) * 2016-06-30 2018-01-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过冷延伸冷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152B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288B2 (en) Condenser
JP2012154604A (ja) コンデンサ
KR102653244B1 (ko) 응축기
KR20120086763A (ko) 응축기
KR101280622B1 (ko) 응축기
KR20170047050A (ko) 응축기
KR20130000523A (ko) 응축기
KR101673496B1 (ko) 과냉각 응축기
KR101248786B1 (ko) 응축기
KR101870776B1 (ko) 응축기
KR102459106B1 (ko)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KR20130143343A (ko) 응축기
KR102011278B1 (ko) 응축기
KR20120031638A (ko) 응축기
KR20200001019A (ko) 응축기
KR101773014B1 (ko) 응축기
KR102140223B1 (ko) 응축기
KR101771145B1 (ko) 응축기
KR101371525B1 (ko) 응축기
KR20160123117A (ko) 차량용 응축기
KR20170037188A (ko) 응축기
KR101989445B1 (ko) 라디에이터 탱크 및 응축기 조립체
KR102200300B1 (ko) 응축기
KR101353513B1 (ko) 증발기
KR101336493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