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493B1 -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 Google Patents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493B1
KR101336493B1 KR1020080006200A KR20080006200A KR101336493B1 KR 101336493 B1 KR101336493 B1 KR 101336493B1 KR 1020080006200 A KR1020080006200 A KR 1020080006200A KR 20080006200 A KR20080006200 A KR 20080006200A KR 101336493 B1 KR101336493 B1 KR 10133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er
receiver
region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311A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4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2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fixation of the receiver to the hea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는, 내부에 다수개의 배플이 각각 배치되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헤더탱크와; 이 제1 및 제2헤더탱크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그 외면에 방열핀이 개재되며, 제1 및 제2헤더탱크의 배플에 의해 다단의 냉매 유동로를 갖는 코어부가 형성된 다수의 튜브와; 제1헤더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냉매유입관 및 냉매유출관과; 상기 제2헤더탱크와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한 수액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제2헤더탱크에는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에서 응축되어 응축영역으로 이동하는 기상 냉매의 유동을 일부 차단하는 감압수단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의하면, 하부로 흐르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응축기 튜브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액상 냉매의 정체를 막아 응축기 튜브 전체에 걸쳐 냉매의 분배를 고르게 할 수 있어서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이 응축기 튜브 내에 정체되는 것을 막고 원활히 순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적정 오일 순환량을 유지하기 위한 오일 주입량을 적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응축기, 수액기, 튜브, 냉매

Description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Condenser having integrated receiver drier}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응축기와 수액기를 일체화시킨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를 도입하여 냉각함으로써 액상으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축기들 중에서 다단 기액 분리형 응축기는 복수의 유동통로를 통해 냉매가 흐르도록 일측 또는 양측 헤더탱크에 복수의 배플(Baffle)을 설치하여 냉매가 지그재그 형태로 응축기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튜브(Tube)와 핀(Fin)을 통해 열을 방출하여 기상의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수액기는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응축기에서 액화된 냉매를 냉방부하에 따라 필요량을 증발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과, 응축기로부터 도출된 냉매 중에 포함된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차량의 한정된 엔진룸의 공간활용 차원에서 응축기와 수액기를 일체화시킨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가 범용화 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와 냉매 흐름도가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헤더탱크(10,20)와,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헤더탱크(10,20)에 연통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된 코어부(32)를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30)와, 상기 튜브(30)들 사이에 개재된 방열핀(31)과, 상기 제1 및 제2헤더탱크(10,20)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어 냉매유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는 다수의 배플(11,12,13,21,22,23)과, 상기 제2헤더탱크(20)에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하는 수액기(40)와, 상기 제2헤더탱크(20)와 수액기(40)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파이프(51,52,53)와, 상기 제1헤더탱크(10)의 일측에 설치된 냉매유입관(61)과, 상기 제1헤더탱크(10)의 서브쿨영역(Subcool area;S)에 설치된 냉매유출관(62)을 구비한다.
상기 코어부(32)는, 냉매유입관(61)을 통해 유입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가 통과하는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과, 기액 분리에 의해 기상의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영역(C)과, 액상의 냉매가 예비적으로 과냉각되는 프리서브쿨영역(Pre-subcool area;PS)과, 액상의 냉매를 과냉각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서브쿨영역(S)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응축영역(C)은 단계적으로 제1응축영역(C1)과 제2응축영역(C2)으로 구분되고, 상기 서브쿨영역(S)은 단계적으로 제1서브쿨영역(S1)과 제2서브쿨영역(S2)로 구분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1)에 있어서, 냉매의 유동경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헤더탱크(10)의 대략 중앙부위에 설치된 냉매유입관(61)을 통 하여 유입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을 통과하면서 과열이 제거됨과 아울러 응축이 병행한다.
다음으로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을 통과한 냉매는 제2헤더탱크(20)에서 기액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비교적 기상의 냉매는 상측으로 부상하면서 배플(11,21)에 의해 구획된 제1응축영역(C1)과 제2응축영역(C2)을 사행으로 유동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다음, 연결파이프(51)를 통해 수액기(40)로 이동한다.
한편 비교적 액상의 냉매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배플(12,13,22,23)에 의해 구획된 프리서브쿨영역(PS)과 제1서브쿨영역(S1)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과냉각된 다음 연결파이프(52)를 통해 수액기(40)로 이동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응축되어 수액기(40)에 저장된 냉매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재(미도시)와 필터(미도시)에 의해 수분 및 불순물이 제거된 후, 연결파이프(53)를 통해 제2서브쿨영역(S2)으로 이동하여 과냉각되어 냉매유출관(62)을 통해 팽창밸브(미도시) 쪽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종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1)에 있어서는, 차량 엔진의 회전에 연동하는 압축기(미도시)의 회전속도가 높아서 응축기(1)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많은 경우(고유량 조건)에는 압축기에서의 충분한 압력으로 응축기(1) 튜브(30)의 상부와 하부에 냉매가 고르게 배분되어 그 흐름이 원활하다.
그러나 압축기의 회전속도가 낮아서 응축기(1)의 튜브(30)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은 경우(저유량 조건)에는 하부에서 흐르는 액상 냉매와 고점도의 오일이 정체되어 튜브(30)의 통로를 막게 되고, 이 때문에 냉매 유량이 급격히 저하되어 하부에서의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냉매 내의 오일 순환량을 적정으로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오일 주입량을 들릴 수밖에 없어서 오일의 낭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은 저유량 조건에서도 응축기의 하부를 유동하는 액상 냉매와 오일이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할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일러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는, 내부에 다수개의 배플이 각각 배치되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헤더탱크와; 상기 제1 및 제2헤더탱크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그 외면에 방열핀이 개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헤더탱크의 배플에 의해 다단의 냉매 유동로를 갖는 코어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제1헤더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냉매유입관 및 냉매유출관과; 상기 제2헤더탱크와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한 수액기를 구비하되,
상기 코어부는 상기 냉매유입관을 통해 고온 고압의 상태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를 냉각하여 과열이 제거되도록 함과 아울러 응축과정을 병행하는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과,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의 상부에 위치하여 기상의 냉매를 재응축하는 응축영역과,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상의 냉매가 과 냉각되도록 하는 프리서브쿨영역과, 상기 프리서브쿨영역의 하류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서브쿨영역보다 냉매가 과냉각되도록 하는 서브쿨영역으로 순차 구획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헤더탱크에는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에서 응축되어 응축영역으로 이동하는 기상 냉매의 유동을 일부 차단하는 감압수단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영역은,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응축영역과, 상기 제1응축영역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응축영역에 비하여 액상 냉매의 비율이 높도록 냉매를 재응축하여 상기 수액기 쪽으로 배출하는 제2응축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쿨영역은, 상기 프리서브쿨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서브쿨영역과, 상기 제1서브쿨영역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응축영역과 상기 제1서브쿨영역을 각각 거쳐 상기 수액기에서 합쳐진 액상의 냉매를 더욱 과냉각시켜 배출하는 제2서브쿨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감압수단은, 내부에 상기 제2헤더탱크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통홀이 형성된 감압배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의하면, 상부로 흐르는 기상 냉매의 흐름을 일부 차단함으로써, 반사적으로 하부로 흐르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 회전에 연동하는 압축기의 회전속도가 낮아서 응축기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액 상 냉매의 정체를 막아 응축기 튜브 전체에 걸쳐 냉매의 분배를 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이 응축기 튜브 내에 정체되는 것을 막고 원활히 순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적정 오일 순환량을 유지하기 위한 오일 주입량을 적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의 냉매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100)는,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헤더탱크(110)(120)와, 이 제1 및 제2헤더탱크(110)(12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코어부(132)를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13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일측에 설치된 냉매유입관(161) 및 냉매유출관(162)과, 상기 제2헤더탱크(120)와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한 수액기(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헤더탱크(110)(120)는 각각 헤더와 탱크의 결합에 의해 타원 형상의 냉매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헤더탱크(110)(120)에는 튜브(130)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헤더탱크(110)의 일측에는 냉매유입관(161)과, 외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응축된 과냉각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유출관(16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튜브(130)는 그 외면에 각각 방열핀(131)이 개재된다. 이러한 튜브들(130)은 다수의 배플(111,112,113,121,122,123)에 의해 분할되어 다단의 냉매 유통로를 갖는 코어부(132)를 형성한다. 이러한 코어부(132)는 냉매유입관(161)을 통해 고온 고압의 상태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를 냉각하여 과열이 제거되도록 함과 아울러 응축과정을 병행하는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과, 이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의 상부에 위치하여 기상의 냉매를 재응축하는 응축영역(C)과,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상의 냉매가 과냉각되도록 하는 프리서브쿨영역(PS)과, 이 프리서브쿨영역(PS)의 하류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서브쿨영역(PS)보다 냉매가 과냉각되도록 하는 서브쿨영역(S)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응축영역(C)은,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응축영역(C1)과, 이 제1 응축영역(C1)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응축영역(C1)에 비하여 액상 냉매의 비율이 높도록 냉매를 재응축하여 상기 수액기(140) 쪽으로 배출하는 제2응축영역(C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서브쿨영역(S)은, 프리서브쿨영역(PS)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서브쿨영역(S1)과, 이 제1서브쿨영역(S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응축영역(C2)과 제1서브쿨영역(S1)을 각각 거쳐 상기 수액기에서 합쳐진 액상의 냉매를 더욱 과냉각시켜 배출하는 제2서브쿨영역(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수액기(140)는 제2헤더탱크(120)가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하는 데, 이를 위해 제2응축영역(C2)에 하나의 연결파이프(151)가 결합되어 제2헤더탱크(120)와 수액기(140)를 연통시키고, 제1서브쿨영역(S1)과 제2서브쿨영역(S2)에 각각 하나 씩 연결파이프(152,153)가 결합되어 제2헤더탱크(120)와 수액기(140)를 연통시킨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헤더탱크(120)에는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에서 통과하여, 응축영역(C)으로, 즉 제1응축영역(C1)으로 유동하는 기상 냉매의 유동을 일부 차단하는 감압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감압수단으로는, 도 3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제2헤더탱크(12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통홀(171)이 형성된 감압배플(170)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감압수단으로는 상부로 이동하는 기상 냉매의 유동을 일부 차단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c에는 상기 연통홀(171)이 감압배플(171) 내에 하나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연통홀(171)은 필요한 냉 매의 유동 압력에 따라 두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압배플(170)에서 연통홀(171)이 형성된 위치도 다양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홀(171a)은 감압배플(170a)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171b)은 감압배플(170b)에서 튜브(130) 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역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171c)은 감압배플(170c)에서 수액기(140) 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감압배플(170)에 형성된 연통홀(171)의 개수 및 그 형성 위치는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흐르는 냉매의 유량 조절 목적에 대응하여 적정 압력차를 산정하고, 산정된 결과에 따라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의 동작 및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대략 중앙부위에 설치된 냉매유입관(161)을 통하여 유입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다단의 냉매 유동로를 이동하면서 응축된다. 냉매의 유동경로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매유입관(161)을 통하여 유입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을 통과하면서 과열이 제거됨과 아울러 응축이 병행한다.
다음으로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을 통과한 냉매는 제2헤더탱크(120)에서 기액 분리가 이루어지는데, 비교적 기상의 냉매는 상측으로 부상하면서 배플(111,121)에 의해 구획된 제1응축영역(C1)과 제2응축영역(C2)을 사행으로 유동하 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다음, 연결파이프(151)를 통해 수액기(140)로 이동한다.
한편, 비교적 액상의 냉매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배플(112,113,122,123)에 의해 구획된 프리서브쿨영역(PS)과 제1서브쿨영역(S1)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과냉각된 후, 연결파이프(152)를 통해 수액기(140)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응축영역(C2)과 제1서브쿨영역(S1)을 각각 거쳐 상기 수액기(140)에서 합쳐진 액상의 냉매는 연결파이프(153)를 통해 제2서브쿨영역(S2)으로 이동하여 과냉각된다. 여기서 수액기(140) 내의 액상 냉매는 필요에 따라 건조제(미도시)와 필터(미도시)에 의해 수분 및 불순물이 제거된 후, 제2서브쿨영역(S2)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수액기(140) 내에 건조제와 필터가 내장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냉매의 유동라인에 있어서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으로부터 응축영역(C), 즉 제1응축영역(C1)으로 부상하는 기상의 냉매는, 예를 들면 감압수단인 감압배플(170)에 형성된 연통홀(171)을 통과한다. 이 때문에 상측으로 부상하는 기상의 냉매에는 그 흐름을 방해하는 압력이 작용하여 흐름이 느려지고, 반사적으로 하측으로 흐르는 액상 냉매와 고점도 오일은 원활하게 하부의 냉매 유동로를 흐를 수 있게 된다. 즉, 감압수단인 감압배플(170)에 의해 하부로 흐르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회전속도가 낮아서 응축기(100)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액상 냉매의 정체를 막아 응 축기(100) 튜브(130) 전체에 걸쳐 냉매의 분배를 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이 응축기(100) 튜브(130) 내에 정체되는 것을 막고 원활히 순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적정 오일 순환량을 유지하기 위한 오일 주입량을 적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의 냉매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의 냉매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감압배플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감압배플에 형성된 연통홀의 형성위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응축기 110...제1헤더탱크
111,112,113,121,122,123...배플 120...제2헤더탱크
130...튜브 131...냉각핀
132...코어부 140...수액기
151,152,153...연결파이프 161...냉매유입관
162...냉매유출관 170...감압배플
171...연통홀 C...응축영역
C1...제1응축영역 C2...제2응축영역
H...과열제거 및 응축영역 PS...프리서브쿨영역
S...서브쿨영역 S1...제1서브쿨영역
S2...제2서브쿨영역

Claims (4)

  1. 내부에 다수개의 배플(111,112,113,121,122,123)이 각각 배치되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헤더탱크(110)(120)와; 상기 제1 및 제2헤더탱크(110)(12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그 외면에 방열핀(131)이 개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헤더탱크(110)(120)의 배플(111,112,113,121,122,123)에 의해 다단의 냉매 유동로를 갖는 코어부(132)를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13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일측에 설치된 냉매유입관(161) 및 냉매유출관(162)과; 상기 제2헤더탱크(120)와 연통되도록 일체 결합한 수액기(140)를 구비하되,
    상기 코어부(132)는 상기 냉매유입관(161)을 통해 고온 고압의 상태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를 냉각하여 과열이 제거되도록 함과 아울러 응축과정을 병행하는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과,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의 상부에 위치하여 기상의 냉매를 재응축하는 응축영역(C)과,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상의 냉매가 과냉각되도록 하는 프리서브쿨영역(PS)과, 상기 프리서브쿨영역(PS)의 하류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서브쿨영역(PS)보다 냉매가 과냉각되도록 하는 서브쿨영역(S)으로 순차 구획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2헤더탱크(120)에는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에서 응축되어 응축영역(C)으로 이동하는 기상 냉매의 유동을 일부 차단하는 감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영역(C)은,
    상기 과열제거 및 응축영역(H)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응축영역(C1)과, 상기 제1응축영역(C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응축영역(C1)에 비하여 액상 냉매의 비율이 높도록 냉매를 재응축하여 상기 수액기(140) 쪽으로 배출하는 제2응축영역(C2)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쿨영역(S)은,
    상기 프리서브쿨영역(PS)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서브쿨영역(S1)과, 상기 제1서브쿨영역(S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응축영역(C2)과 상기 제1서브쿨영역(S1)을 각각 거쳐 상기 수액기(140)에서 합쳐진 액상의 냉매를 더욱 과냉각시켜 배출하는 제2서브쿨영역(S2)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수단은, 내부에 상기 제2헤더탱크(12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통홀(171)이 형성된 감압배플(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20080006200A 2008-01-21 2008-01-21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133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00A KR101336493B1 (ko) 2008-01-21 2008-01-21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00A KR101336493B1 (ko) 2008-01-21 2008-01-21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11A KR20090080311A (ko) 2009-07-24
KR101336493B1 true KR101336493B1 (ko) 2013-12-03

Family

ID=4129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200A KR101336493B1 (ko) 2008-01-21 2008-01-21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52383U (zh) 2010-11-17 2011-06-01 浙江三花汽车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热交换器及其贮液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072A (ko) * 2003-09-20 2005-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502297B1 (ko) 2002-03-19 2005-07-2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액냉매 바이패스용 파이프가 구비된 응축기
KR100622444B1 (ko) 2005-09-07 2006-09-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080004857A (ko) * 2006-07-07 2008-01-10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가 장착된 응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297B1 (ko) 2002-03-19 2005-07-2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액냉매 바이패스용 파이프가 구비된 응축기
KR20050029072A (ko) * 2003-09-20 2005-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622444B1 (ko) 2005-09-07 2006-09-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080004857A (ko) * 2006-07-07 2008-01-10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가 장착된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11A (ko)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424B2 (ja) 車両用コンデンサ
KR100872468B1 (ko) 다단 기액분리형 응축기
JP5960955B2 (ja) 車両用コンデンサ
EP2399089A2 (en) Heat exchanger
JPH109713A (ja) 冷媒凝縮装置、および冷媒凝縮器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1385194B1 (ko) 응축기
KR101336493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1610075B1 (ko) 차량용 컨덴서
KR101369636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140911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JP2010065880A (ja) コンデンサ
KR101734281B1 (ko) 차량용 컨덴서
JP2003254641A (ja) 冷凍システム、冷凍サイクル用凝縮装置及びその装置の冷媒出口構造
KR101133966B1 (ko) 수냉식 응축기
KR10108196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JP4275835B2 (ja) 凝縮器
KR20130057548A (ko) 응축기
KR100590652B1 (ko) 서브쿨 응축기
JP734134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3602380B2 (ja) 凝縮器
KR20120111634A (ko) 응축기
KR100875904B1 (ko) 보조 열교환기를 구비한 과냉각용 응축기
KR10085851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080026914A (ko) 다중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