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004A - 스크린 낚시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낚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004A
KR20160122004A KR1020150051997A KR20150051997A KR20160122004A KR 20160122004 A KR20160122004 A KR 20160122004A KR 1020150051997 A KR1020150051997 A KR 1020150051997A KR 20150051997 A KR20150051997 A KR 20150051997A KR 20160122004 A KR20160122004 A KR 20160122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control unit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784B1 (ko
Inventor
옥철식
Original Assignee
(주)지디아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디아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지디아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5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784B1/ko
Priority to PCT/KR2016/003855 priority patent/WO2016167549A1/ko
Publication of KR2016012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8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63F9/305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35Virtual 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 낚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크린과 낚시줄 제어부를 통하여 실제 낚시를 즐기는 경우 느낄 수 있는 손맛, 입질, 챔, 어획 등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좌대에 설치되고, 낚시줄의 일단이 연결된 낚시대; 상기 스크린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낚시줄의 일단의 반대인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이 제어되는 낚시줄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출력부로 물고기들이 랜덤하게 움직이는 낚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물고기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낚시줄을 이동시키며, 상기 물고기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낚시줄에 낚이도록 어종에 따라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을 제어하고, 상기 물고기가 낚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낚시대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이 기준속도값과 동일하면 상기 물고기를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낚시 장치{SCREEN FISHING APPARATUS AND FISHING GAM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 낚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실제 낚시장면의 영상기록을 모니터 상에 표시하여 낚시의 감각(sensation)을 시뮬레이트(simulate)한 후 마치 실제로 낚시를 즐기는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해 모니터 상에 입질(biting)이 표시되거나 낚싯대의 휘는 정도에 따라 챔질을 하는 형태였었는데, 이러한 경우 강이나 바다 등지에서 행하는 실제의 낚시 행위보다는 현실적 감각이 매우 차이가 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089호 '낚시 게임 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828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과 낚시줄 제어부를 통하여 실제 낚시를 즐기는 경우 느낄 수 있는 손맛, 입질, 챔, 어획 등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낚시 장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좌대에 설치되고, 낚시줄의 일단이 연결된 낚시대; 상기 스크린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낚시줄의 일단의 반대인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이 제어되는 낚시줄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출력부로 물고기들이 랜덤하게 움직이는 낚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물고기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낚시줄을 이동시키며, 상기 물고기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낚시줄에 낚이도록 어종에 따라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을 제어하고, 상기 물고기가 낚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낚시대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이 기준속도값과 동일하면 상기 물고기를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낚시줄 제어부는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낚시줄 제어부가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낚시줄 제어부는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에는 상기 낚시줄이 걸쳐지는 롤러와,상기 롤러와 이동바를 통하여 연결되어,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동바를 반원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낚시줄을 이동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이동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낚시줄 제어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낚시줄을 멈추게하는 멈춤부;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시줄을 감거나 푸는 메인 모터; 및 상기 멈춤부와 메인 모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모터를 통한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멈춤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멈춤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멈춤 롤러 사이에 상기 낚시줄이 통과되고, 상기 한 쌍의 멈춤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멈춤 롤러의 일측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린더 왕복 동작에 의하여 상기 멈춤 롤러를 상기 낚시줄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며, 상기 멈춤 롤러의 전진 동작에 의하여 상기 낚시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구동바에 의하여 토크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토크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원형 테두리에 상기 낚시줄이 감겨지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축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분류되는 장측영역과 단측영역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이 텐션 모터와 연동바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텐션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회전시 장측영역이 상기 몸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 경로에는 상한값 및 하한값을 감지하는 상한 리미트 센서 및 하한 리미트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상한 리미트 센서 또는 하한 리미트 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가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모터는 회전수를 검출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모터 엔코더가 부착될 수 있다.
본 스크린 낚시 장치는 상기 좌대에 터치가능하게 구비되어, 어종 종류, 크기, 체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종 정보와, 상기 스크린 낚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동작 정보 및 제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낚시대는 상기 스크린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낚시대에 부착되어 상기 낚시대 또는 낚시줄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와 상기 낚시줄의 압력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낚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물고기의 어종 정보, 어획 정보 및 낚임 정보와, 상기 낚시줄의 끊김 정보 및 이에 따른 물고기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낚시대 또는 낚시줄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낚시줄 제어부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 상기 물고기의 어종, 크기 및 상태 정보, 상기 가이드부가 이동되는 위치 정보, 상기 낚시대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메인 모터의 회전수 정보에 따라 상기 메인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물고기의 어종 정보에 따라 멈춤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린더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상기 낚시대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을 산출하는 속도 산출부; 상기 낚시대를 스윙하여 상기 낚시줄을 목표 지점에 던지는 경우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낚시줄이 던져진 거리값을 산출하는 거리값 산출부; 상기 낚시대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이 기준속도값과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어획 판단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린더 왕복 운동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낚시줄의 압력이 기준 압력값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낚시대 또는 낚시줄의 순간 속도 및 각도 변화량이 기준 순간 속도 및 기준 각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낚시줄이 끊긴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끊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장치는 스크린을 통하여 가상의 낚시 환경을 제공하고, 낚시줄 제어부를 통하여 어종에 따라 낚시줄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과 감김 또는 풀림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실제 낚시를 즐기는 경우 느낄 수 있는 손맛, 입질, 챔, 어획 등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 제어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이 이동 제어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메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 제어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도 3은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이 이동 제어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4는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낚시줄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스크린 낚시 장치의 메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장치(10)는 스크린(100), 영상 출력부(500), 낚시대(11), 낚시줄 제어부(200) 및 메인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100)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이고, 사용자가 앉는 좌대의 전방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의 스크린(100)은 1인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스크린(100) 낚시 게임을 솔로 또는 멀티로 진행할 수 있도록 4M~6M 와이드 스크린 영상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부(500)는 스크린(100)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기기로서, 스크린(100) 전방 또는 좌대 근방에 설치되어 스크린(100)을 향하여 가상 현실 낚시터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 현실 낚시터영상은 바다, 민물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결이 넘실대는 영상으로 실제로 사용자가 바다 또는 민물에서 낚시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에는 해초, 산호초, 바위 등이 표현된다. 또한, 상기 영상 출력부(50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출력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메모리부(315)에 저장된 음성 및 배경음악들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낚시대(11)는 끝단에 낚시줄(12)의 일단이 연결되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고, 스크린(100)의 전방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좌대에 설치된다. 즉, 상기 낚시대(11)는 사용자가 낚시대(11)의 손잡이를 상하로 움직이면 낚시줄(12)의 일단도 함께 움직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낚시줄(12)은 일단이 낚시대(11)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낚시줄 제어부(200)의 메인 모터(22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낚시대(11)는 낚시대(11)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되어 낚시대(11) 또는 낚시줄(12)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와 낚시줄(12)의 압력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111)는 좌대 근방에 설치되어 스크린(100)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하여 물고기의 움직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분석하게 하거나, 영상 출력 프로그램과 낚시대(11) 또는 낚시줄(12)과 동기화하기 위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물고기의 움직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분석한 후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장치(111)가 물고기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으로 현재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고 있는 낚시줄 제어부(200)에서만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하여 실제로 스크린(100) 낚시를 하고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물고기를 어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부(110)는 자이로 센서, 카메라 센서 등을 포함하여,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각도 변화량,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고,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물고기의 움직임 변화량, 속도변화량 등을 검출하여 낚시대(11) 또는 낚시줄(12)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이동 거리, 각도, 압력 정보 및 속도 정보를 검출하여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낚시줄 제어부(200)는 스크린(10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낚시줄(12)의 일단의 반대인 타단과 연결되어 낚시줄(12)의 감김 또는 풀림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낚시줄 제어부(200)는 낚시줄(12)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는 케이스(13)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3)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 제어부(200)가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4)은 벨트 방식의 스피드 가이드 레일과 구동 모터에 의하여 낚시줄 제어부(200)를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낚시줄 제어부(200)는 낚시줄(12)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는 케이스(13)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3)의 외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12)이 걸쳐지는 롤러(143)와, 롤러(143)와 이동바(142)를 통하여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이동바(142)를 반원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낚시줄(12)을 이동시키는 회전 모터(141)를 포함하는 이동 제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이때, 상기 이동바(142)는 자동차 와이퍼의 운동과 같이 원호 동작으로 낚시줄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낚시줄 제어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210), 메인 모터(220) 및 가이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멈춤부(210)는 관통홀을 통과한 낚시줄(12)을 멈추게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멈춤부(21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멈춤 롤러(211, 2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멈춤 롤러(211, 212) 사이에는 낚시줄(12)의 타단이 통과되고, 한 쌍의 멈춤 롤러(211, 212) 중 어느 하나의 멈춤 롤러(212)의 일측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213)의 실린더 왕복 동작에 의하여 멈춤 롤러(212)를 낚시줄(12)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며, 멈춤 롤러(212)의 전진 동작에 의하여 낚시줄(12)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멈춤부(210)는 다른 기계적 장치나 제어기 또는 서보 모터의 접점 제어를 통하여 낚시줄(12)을 눌러주거나 멈춤 동작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낚시줄(12)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모터(220)는 낚시줄(12)의 타단이 고정되고,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낚시줄(12)을 감거나 푸는 장치이다. 즉, 상기 메인 모터(220)는 낚시줄(12)의 타단이 고정봉(미도시)에 연결되어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고정봉이 회전되며 낚시줄(12)을 감거나 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모터(220)의 고정봉이 회전함에 따라 낚시줄(12)을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물고기에 대한 입질 효과를 좀 더 크게 나타낼 수 있으며,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린 상태에서 낚시줄(12)을 잡아당기는 효과를 더 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낚시줄 제어부(200)는, 어종이 낚일 때의 입질을 표현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좀 더 세부적으로 어종의 종류에 따라 각각 입질하는 특성이 틀린 점을 차별화시켜 다양하게 입질효과 및 어종이 낚인 후를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모터(220)는 외표면 상에 회전수를 검출하여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모터 엔코더(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0)는 멈춤부(210)와 메인 모터(220) 사이에 구비되어 메인 모터(220)를 통한 낚시줄(12)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낚시줄(12)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이드부(230)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하여 어종이 낚였을 때 입질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어종에 따라 입질 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모터(220)의 구동에 의한 낚시줄(12)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하여 낚시줄(12)에 발생되는 텐션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텐션 가이드롤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2311)에 의하여 토크 모터(2310)에 연결되고, 토크 모터(231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2301)과, 원형 테두리에 낚시줄(12)이 감겨지고 회전축(230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몸체부(2302)를 구비하는 가이드롤러(2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30)는 가이드롤러(23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축(2402)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분류되는 장측영역과 단측영역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축(2402)이 텐션 모터(2310)와 연동바(2301)에 의하여 연결되어 텐션 모터(2310)에 의하여 회전되며, 회전시 장측영역이 몸체부(2302)와 접촉되어 몸체부(2302)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30)는 토크 모터(2310)의 회전으로 인한 가이드롤러(2300)와의 접점 제어를 통하여 낚시줄(12)의 멈춤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3) 내부에는 가이드부(230)의 이동 경로에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감지하는 상한 리미트 센서(243) 및 하한 리미트 센서(2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한 리미트 센서(243) 또는 하한 리미트 센서(244)에 의한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영상 출력부(500)로 물고기들이 랜덤하게 움직이는 낚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물고기들의 이동에 따라 낚시줄(12)을 이동시키며, 물고기들 중 어느 하나가 낚시줄(12)에 낚이도록 어종에 따라 낚시줄(12)의 감김 또는 풀림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고기가 낚인 것으로 판단하여 낚시대(11)를 들어올리는 경우 낚시대(11)의 속도값이 기준 속도값과 동일하면 물고기를 어획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0), 메모리부(315), 이동 제어부(320), 모터 제어부(330), 밸브 제어부(340), 속도 산출부(350), 거리값 산출부(360), 어획 판단부(370), 타이밍 제어부(380) 및 끊김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메모리부(315)에 저장된 어종들이 가상현실 낚시터 영상과 함께 영상 출력부(500)로 출력되며 어종들이 랜덤하게 움직이도록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와, 어획된 어종별로 포인트를 부여하고, 어획되는 어종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용자별로 지급된 포인트를 누적 및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스크린 낚시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스크린(100), 영상 출력부(500), 카메라 장치(111), 센서부(110) 및 낚시줄 제어부(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다양한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15)는 물고기의 어종 정보, 어획 정보 및 낚임 정보와, 낚시줄의 끊김 정보 및 이에 따른 물고기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315)는 각종 온라인 서버(미도시)상에 해당 정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제어부(320)는 카메라 장치(11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의 물고기의 위치 정보 또는 센서부(110)에 의하여 감지된 낚시대(11) 또는 낚시줄(12)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낚시줄 제어부(200)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한다.
상기 모터 제어부(330)는 물고기의 어종, 크기 및 상태 정보, 가이드부(230)가 이동되는 위치 정보, 낚시대(11)의 움직임 정보 및 메인 모터(220)의 회전수 정보에 따라 메인 모터(22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상기 밸브 제어부(340)는 물고기의 어종 정보에 따라 멈춤부(21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213)의 실린더 왕복운동을 제어한다.
상기 속도 산출부(350)는 낚시대(11)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낚시대(11)의 속도값을 산출한다.
상기 거리값 산출부(360)는 낚시대(11)를 스윙하여 낚시줄(12)을 목표 지점에 던지는 경우 낚시대(11)의 속도값을 이용하여 낚시줄(12)이 던져진 거리값을 산출한다.
상기 어획 판단부(370)는 낚시대(11)를 들어올리는 경우 낚시대(11)의 속도값이 기준속도값과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어획 판단부는, 입질이 진행되는 입질 시간이 지난 후 미리 설정된 어획 시간 동안 낚시대(11)의 속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값과 동일한 것으로 감지되면,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80)는 솔레노이드 밸브(213)의 실린더 왕복 운동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끊김 제어부(390)는 낚시줄(12)의 압력이 기준 압력값 이상인 경우 또는 낚시대(11) 또는 낚시줄(12)의 순간 속도 및 각도 변화량이 기준 순간 속도 및 기준 각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낚시줄(12)이 끊긴 것으로 판단하여 가이드부(2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서보 모터나 기타 접점 제어형 모터의 브레이크 방식의 디지털 펄스 또는 접점 신호 등의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멈춤과 풀어줌을 반복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스크린 낚시 장치(10)는 좌대에 터치가능하게 구비되어, 어종 종류, 크기, 체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종 정보와, 스크린 낚시 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동작 정보 및 제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는 낚시의 남은 시간, 어획한 어종, 어종의 상세정보, 호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크린 낚시 장치(10)를 이용하여 낚시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 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낚시줄 좌우 이동
스크린(100)의 물고기 이동에 따라 낚시줄(12)이 연동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동작으로서, 벨트 방식의 스피드 가이드 레일과 구동 모터에 의하여 낚시줄 제어부(200)를 좌우 이동시키면서 낚시줄(12)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의 외측면에는 엔코터가 부착되어 그 회전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회전수를 기초로 메인 제어부(300)에 의하여 좌우 이동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운동 방식의 구동 회전축과 구동 모터에 의하여 낚시줄 제어부(2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좌우 채기
스크린(100) 상의 물고기를 당기는 동작으로서, 메인 모터(220)가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하여 가이드부(230, 텐션 가이드롤러 또는 가이드롤러)를 상하로 움직인다. 이때, 가이드부(230)의 상하 이동시 메인 모터(220)의 속도 RPM에 따라 가볍고 빠르게 풀어주거나, 이와 반대로 무겁고 느리게 풀어줄 수 있다.
위로 들어올려 끌어올리기
스크린(100) 상의 물고기를 당기는 동작으로서, 메인 모터(220)가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하여 가이드부(230, 텐션 가이드롤러 또는 가이드롤러)를 상하로 움직인다. 이때, 가이드부(230)의 상하 이동시 메인 모터(220)의 속도 RPM에 따라 가볍고 빠르게 풀어주거나, 이와 반대로 무겁고 느리게 풀어줄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300)는 어종 종류, 크기, 체력 상태 등 어종 데이터에 따라 끌어올리는 상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메인 모터(220)의 속도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300)는 메인 모터(220)를 통하여 낚시줄을 풀어주는 경우 메인 모터(220)와 텐션 가이드 롤러를 연동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텐션 가이드 롤러가 상측 상한 리미트 센서(243)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메인 모터(220)는 하측 하한 리미트 센서(244)의 위치까지 역회전하여 자동으로 낚시줄(12)을 풀어주게 된다.
한편, 메인 모터(220)를 통하여 풀어주는 낚시줄(12)의 길이는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어종 및 물고기 체력 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는 센서부(110)(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또는 카메라 장치(111)에 의하여 감지 또는 분석된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입질시 채기
순간적으로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챔 동작으로서, 메인 제어부(300)는 낚시대(11)의 움직임 값(즉,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대한 정보를 센서부(110)로부터 받아 낚시줄(12)을 당길 수 있도록 메인 모터(220)를 구동하여 줄을 풀어준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는 센서부(110)(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또는 카메라 장치(111)에 의하여 감지 또는 분석된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는 챔 동작시 낚시대(11)의 속도값을 센서부(110)로 받아 낚시대(11)를 너무 빨리 또는 너무 높이 들어올리면 입질 챔 동작의 실패로 판단한다.
손맛 느끼기
낚시 게임의 사용자에게 낚시 손맛을 느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일정한 떨림 동작으로서, 낚시줄 제어부(200)의 멈춤부(21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213)를 이용한 실린더 왕복 접점 제어로 한 쌍의 멈춤 롤러(211, 212)를 붙였다 떼었다 함으로써, 낚시줄(12)을 잡았다 놓았다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는 떨림에 대한 일정한 패턴 및 어종에 따른 특이한 리듬을 패턴화시켜 프로그램에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제어부(300)는 어종별 가변제어를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13)의 왕복 제어와 함께 랜덤한 타이밍 간격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떨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멈춤 롤러(211, 212)는 상호 접촉부위에 우레탄으로 제작된 롤러를 사용하고, 외곽부위에는 낚시줄(12)을 삽입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여, 강제 누름에 따른 낚시줄(12)의 변형 및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자체의 디지털 접점제어 방식이나 온, 오프 방식의 전자적 제어 방법으로 멈춤, 동작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어종의 입질 패턴 동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
낚시대 (11) 최초 던지기
사용자가 낚시대(11)를 최초로 던지는 경우, 메인 제어부(300)는 낚시대(11)에 고정 장착된 센서부(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110) 또는 카메라 장치(111))를 이용한 좌표 및 각도 정보를 통하여 낚시줄(12)을 던진 좌표 지점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낚시 포인트 지점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다. 또한, 메인 제어부(300)는 낚시대(11)를 휘둘러 던지는 스윙 속도값 검출을 통하여 낚시줄(12)을 던지는 거리값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낚시대(11)를 던지기 전에, 낚시대(11)를 들어올리면 센서부(110)에 의한 각도 및 좌표 정보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메인 제어부(300)는 메인 모터(220)를 연동시켜 자동으로 낚시줄(12)을 풀어주게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풀려있는 낚시대(11)를 가볍게 들어올려 스윙동작으로 낚시줄(12)을 목표 지점에 던진다.
낚시줄 끊어짐
메인 모터(220)를 이용하여 낚시줄(12)의 끊어짐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낚시줄(12)에 적정힘 이상의 낚시줄(12) 당김력이 작용하는 경우, 낚시줄 당김 압력을 측정하여 낚시줄(12)이 끊어질 경우 가이드부(230)를 빠르게 상측 리미트 센서(243)까지 강제 이동시켜서 순간적으로 빠르게 줄을 풀어준다. 이때, 사용자가 상하 좌우 채기 동작으로 공략할 경우 순간 속도 및 각도 변화량에 따라 일정 범위 초과하여 동작하면 낚시줄(12)이 끊어지게 된다.
또는, 메인 모터(220), 토크 모터(2310) 등에 브레이크 타입의 마그네틱 전자석 브레이크 제어 방식을 도입하거나 다른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모터의 연결된 축을 순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순간적으로 줄 끊어짐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 전면부에 낚시줄 당김 제어를 위한 낚시줄 제어부(200)를 구비하여 메인 모터(220)의 낚시줄 풀림 또는 감김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입질 기능, 챔 기능, 줄 던지기 기능, 좌우 챔 질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물고기의 줄 끊어짐 실패시 해당 값을 메모리부(315)에 저장하고, 특정 물고기 정보를 별도 저장하여 누적된 정보를 통한 물고기의 성장 또는 점수값 상승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낚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스크린 낚시 장치 11: 낚시대
12: 낚시줄 13: 케이스
14: 가이드 레일 15: 좌대
100: 스크린 110: 센서부
111: 카메라 장치 140: 이동 제어부
141: 회전 모터 142: 이동바
143: 롤러 200: 낚시줄 제어부
210: 멈춤부 211, 212: 멈춤롤러
213: 솔레노이드 밸브 220: 메인 모터
230: 가이드부 240: 지지부
241, 242: 지지롤러 243: 상한 리미트 센서
244: 하한 리미트 센서 300: 메인 제어부
310: 통신부 315: 메모리부
320: 이동 제어부 330: 모터 제어부
340: 밸브 제어부 350: 속도 산출부
360: 거리값 산출부 370: 어획 판단부
380: 타이밍 제어부 390: 끊김 제어부
400: 디스플레이부 500: 영상 출력부

Claims (12)

  1. 스크린;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좌대에 설치되고, 낚시줄의 일단이 연결된 낚시대;
    상기 스크린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낚시줄의 일단의 반대인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이 제어되는 낚시줄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출력부로 물고기들이 랜덤하게 움직이는 낚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물고기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낚시줄을 이동시키며, 상기 물고기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낚시줄에 낚이도록 어종에 따라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을 제어하고, 상기 물고기가 낚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낚시대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이 기준속도값과 동일하면 상기 물고기를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제어부는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낚시줄 제어부가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제어부는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에는 상기 낚시줄이 걸쳐지는 롤러와,상기 롤러와 이동바를 통하여 연결되어,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동바를 반원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낚시줄을 이동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이동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제어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낚시줄을 멈추게하는 멈춤부;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시줄을 감거나 푸는 메인 모터; 및
    상기 멈춤부와 메인 모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모터를 통한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낚시줄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멈춤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멈춤 롤러 사이에 상기 낚시줄이 통과되고, 상기 한 쌍의 멈춤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멈춤 롤러의 일측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린더 왕복 동작에 의하여 상기 멈춤 롤러를 상기 낚시줄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며, 상기 멈춤 롤러의 전진 동작에 의하여 상기 낚시줄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구동바에 의하여 토크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토크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원형 테두리에 상기 낚시줄이 감겨지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축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분류되는 장측영역과 단측영역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이 텐션 모터와 연동바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텐션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회전시 장측영역이 상기 몸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 경로에는 상한값 및 하한값을 감지하는 상한 리미트 센서 및 하한 리미트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상한 리미트 센서 또는 하한 리미트 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가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터는 회전수를 검출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모터 엔코더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대에 터치가능하게 구비되어, 어종 종류, 크기, 체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종 정보와, 상기 스크린 낚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동작 정보 및 제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는 상기 스크린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낚시대에 부착되어 상기 낚시대 또는 낚시줄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와 상기 낚시줄의 압력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낚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물고기의 어종 정보, 어획 정보 및 낚임 정보와, 상기 낚시줄의 끊김 정보 및 이에 따른 물고기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낚시대 또는 낚시줄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낚시줄 제어부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
    상기 물고기의 어종, 크기 및 상태 정보, 상기 가이드부가 이동되는 위치 정보, 상기 낚시대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메인 모터의 회전수 정보에 따라 상기 메인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물고기의 어종 정보에 따라 멈춤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린더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상기 낚시대의 각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을 산출하는 속도 산출부;
    상기 낚시대를 스윙하여 상기 낚시줄을 목표 지점에 던지는 경우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낚시줄이 던져진 거리값을 산출하는 거리값 산출부;
    상기 낚시대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낚시대의 속도값이 기준속도값과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어획 판단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린더 왕복 운동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낚시줄의 압력이 기준 압력값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낚시대 또는 낚시줄의 순간 속도 및 각도 변화량이 기준 순간 속도 및 기준 각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낚시줄이 끊긴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끊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장치.
KR1020150051997A 2015-04-13 2015-04-13 스크린 낚시 장치 KR10167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97A KR101679784B1 (ko) 2015-04-13 2015-04-13 스크린 낚시 장치
PCT/KR2016/003855 WO2016167549A1 (ko) 2015-04-13 2016-04-12 스크린 낚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97A KR101679784B1 (ko) 2015-04-13 2015-04-13 스크린 낚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004A true KR20160122004A (ko) 2016-10-21
KR101679784B1 KR101679784B1 (ko) 2016-11-28

Family

ID=5712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97A KR101679784B1 (ko) 2015-04-13 2015-04-13 스크린 낚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9784B1 (ko)
WO (1) WO2016167549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82A1 (ko) * 2017-06-08 2018-12-13 주식회사 뉴딘플렉스 스크린낚시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18225981A1 (ko) * 2017-06-08 2018-12-13 주식회사 뉴딘플렉스 스크린 낚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00079775A (ko) * 2018-12-26 2020-07-06 주대범 게임용 릴낚시 시스템
KR20210049523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낚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10080886A (ko)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낚시 시뮬레이터
KR20210094236A (ko) * 2020-01-21 2021-07-29 (주)디즈콘 가상 낚시체험 방법
KR20210094237A (ko) * 2020-01-21 2021-07-29 (주)디즈콘 가상 낚시체험 시스템
KR102285726B1 (ko) * 2021-02-01 2021-08-03 정혁 스크린 낚시용 낚시줄 제어 장치
KR20210129753A (ko) * 2020-04-17 2021-10-29 주식회사포텐츠 낚싯대 및 스크린 낚시 시스템
KR102422272B1 (ko) * 2021-12-08 2022-07-19 김진수 시뮬레이션 낚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48B1 (ko) * 2017-06-08 2019-04-29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스크린 낚시용 낚싯줄 구동장치 및 해당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KR102006105B1 (ko) 2018-04-09 2019-10-08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스크린 낚시 장치
CN109675320A (zh) * 2018-11-15 2019-04-26 胡光文 一种3d虚拟实感钓鱼装置
KR102136598B1 (ko) * 2018-11-20 2020-07-23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가상현실 낚시 시뮬레이션 장치
KR20210129287A (ko) 2020-04-17 2021-10-28 주식회사포텐츠 스크린 낚시 시스템
WO2023212885A1 (zh) * 2022-05-06 2023-11-09 广东高驰运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垂钓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828A (ko) 2011-08-12 2013-02-20 여동석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
KR20150026089A (ko) 2013-08-30 2015-03-11 박진수 낚시 게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0017B2 (ja) * 1997-01-30 2008-07-16 株式会社セガ 入力装置およびゲーム処理装置、その方法
JP3882287B2 (ja) * 1997-03-07 2007-02-14 株式会社セガ 魚釣り遊戯装置
KR200408240Y1 (ko) * 2005-11-29 2006-02-07 (주)두모션 낚시게임용 콘트롤러
KR101123772B1 (ko) * 2009-08-06 2012-03-16 전국진 스크린 낚시게임장치와 방법
KR101227693B1 (ko) * 2012-04-12 2013-01-29 정혁 스크린 낚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828A (ko) 2011-08-12 2013-02-20 여동석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
KR20150026089A (ko) 2013-08-30 2015-03-11 박진수 낚시 게임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82A1 (ko) * 2017-06-08 2018-12-13 주식회사 뉴딘플렉스 스크린낚시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18225981A1 (ko) * 2017-06-08 2018-12-13 주식회사 뉴딘플렉스 스크린 낚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00079775A (ko) * 2018-12-26 2020-07-06 주대범 게임용 릴낚시 시스템
KR20210049523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낚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21080315A3 (ko) * 2019-10-25 2021-07-22 (주)피앤아이컴퍼니 낚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EP4049733A4 (en) * 2019-10-25 2023-11-15 P&I Company FISHING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80886A (ko)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낚시 시뮬레이터
KR20210094236A (ko) * 2020-01-21 2021-07-29 (주)디즈콘 가상 낚시체험 방법
KR20210094237A (ko) * 2020-01-21 2021-07-29 (주)디즈콘 가상 낚시체험 시스템
KR20210129753A (ko) * 2020-04-17 2021-10-29 주식회사포텐츠 낚싯대 및 스크린 낚시 시스템
KR102285726B1 (ko) * 2021-02-01 2021-08-03 정혁 스크린 낚시용 낚시줄 제어 장치
KR102422272B1 (ko) * 2021-12-08 2022-07-19 김진수 시뮬레이션 낚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784B1 (ko) 2016-11-28
WO2016167549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784B1 (ko) 스크린 낚시 장치
JP3882287B2 (ja) 魚釣り遊戯装置
US10905958B2 (en) Game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10486043B2 (en)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in baseball practice apparatus,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ing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ing metho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baseball practice apparatus
KR101822973B1 (ko) 가상현실 낚시 게임 시스템, 게임 제공 서버 및 낚시 게임 시스템의 가상현실 제공방법
US6312335B1 (en) Input device, game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JP3470071B2 (ja) 釣りゲーム装置
KR101548511B1 (ko) 초고속 카메라와 적외선센서바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KR102167356B1 (ko) 게임용 릴낚시 시스템
US10456645B2 (en) Baseball practice apparatus,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tilized thereby,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ll pitching
KR101247330B1 (ko) 스크린 낚시장치
CN105289002A (zh) 钓鱼游戏装置
CN107615759A (zh) 头戴式显示器、显示控制方法以及程序
KR101227693B1 (ko) 스크린 낚시 시스템
KR102006105B1 (ko) 스크린 낚시 장치
KR102422272B1 (ko) 시뮬레이션 낚시 시스템
JP2006334418A (ja) 魚釣り遊戯装置
JP2017118993A (ja) 景品つかみ取り装置
KR20220061608A (ko) Vr 컨텐츠를 통해 낚시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9187564A (ja) ゲーム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603407B1 (ko) 가상 릴낚시 게임 장치
KR102669088B1 (ko)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KR102524117B1 (ko) 릴낚시 게임 장치
KR20190062981A (ko) 인터랙티브 줄다리기 놀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18769B1 (ko) 낚시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