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693B1 - 스크린 낚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낚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693B1
KR101227693B1 KR1020120037705A KR20120037705A KR101227693B1 KR 101227693 B1 KR101227693 B1 KR 101227693B1 KR 1020120037705 A KR1020120037705 A KR 1020120037705A KR 20120037705 A KR20120037705 A KR 20120037705A KR 101227693 B1 KR101227693 B1 KR 10122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
control unit
screen
fish spe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
Original Assignee
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혁 filed Critical 정혁
Priority to KR102012003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8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63F9/305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 A63F2300/638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according to the timing of operation or a time limi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35Virtual 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시스템은, 스크린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기기; 상기 영상출력기기에 출력할 어종들, 상기 어종들의 상세정보 및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어종들과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영상출력기기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가 상기 낚시대에 낚이도록 하며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제어하고, 상기 낚시대의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에 일정강도 이상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상기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스위치의 상하이동과 낚시줄이 감기고 풀리며, 어종의 특성대로 입질이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어종의 입질을 느끼며 스크린 낚시를 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낚시 시스템{.}
본 발명은 스크린 낚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줄제어장치부를 통해 실제로 낚시할 때 다양한 어종의 특성이 반영된 입질을 느끼도록 하며, 어획한 어종을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실제 낚시장면의 영상기록을 모니터 상에 표시하여 낚시의 감각(sensation)을 시뮬레이트(simulate)한 후 마치 실제로 낚시를 즐기는 느낌을 갖도록 하기위해 모니터 상에 입질(biting)이 표시되거나 낚싯대의 휘는 정도에 따라 챔질을 하는 형태였었는데, 이러한 경우 강이나 바다 등지에서 행하는 실제의 낚시행위보다는 현실적 감각이 매우 차이가 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스위치의 상하이동과 낚시줄이 감기고 풀리며, 어종의 특성대로 입질이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어종의 입질을 느끼며 스크린 낚시를 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분석카메라로부터 분석되어 전송되는 낚시찌가 위치한 낚시줄제어장치부에서만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하여 어획되는 확률이 실제 스크린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의 수에 맞게 조절되고, 집어제를 투여하여 어획하는 확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스크린 낚시를 흥미있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모니터를 통해 사용자가 잡은 어종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어종의 상세정보를 통해 어종을 좀 더 알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획한 어종을 프린트하여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시스템은, 스크린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기기; 상기 영상출력기기에 출력할 어종들, 상기 어종들의 상세정보 및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어종들과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영상출력기기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가 낚시대에 낚이도록 하며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낚시줄제어장치부를 제어하여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제어하고, 상기 낚시대의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에 일정강도 이상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상기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하고, 상기 낚시대는, 상기 스크린의 외측에 위치한 좌대에 설치되고, 낚시찌가 고정된 낚시줄의 일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는, 상기 스크린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제어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자성이 온/오프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철판; 상기 전자석의 상부에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상기 철판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고정봉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고정봉이 회전되며 상기 낚시줄을 감거나 푸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의 날씨를 랜덤하게 변화시키고, 날씨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의 배경을 변화시키며, 관상어를 랜덤하게 생성 및 무빙시켜 낚시터의 배경을 제어하는 배경제어부; 및 가상현실 낚시터에 방류된 어종들의 어획률에 따라 상기 어종들의 종류별로 랜덤하게 방류하되 방류하는 상기 어종들의 비율을 설정된 일정비율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방류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종들이 가상현실 낚시터영상과 함께 영상출력기기로 출력되며 상기 어종들이 랜덤하게 움직이게 출력하는 영상출력제어부; 상기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가 랜덤하게 낚시대에 낚이게 제어하고,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반복하며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낚인 어종의 입질을 제어하는 입질제어부; 및 상기 입질제어부에 의해 입질이 진행되는 입질시간이 지난 후 미리 설정된 어획시간 동안 상기 낚시줄에 일정강도 이상의 힘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상기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어획판단부;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어종별로 포인트를 부여하고, 어획되는 어종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용자별로 지급된 포인트를 누적 및 관리하는 포인트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대에 터치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되고, 어획한 어종이 어망 현황에 표시되며 상기 어망 현황에 표시된 어종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어종의 상기 상세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어망 현황의 내용을 인쇄하는 인쇄버튼과 집어제를 투여하는 집어제 투여버튼이 표시되는 터치모니터를 제어하는 모니터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제어부는, 상기 터치모니터에 어획한 어종을 어망 현황에 표시하고, 상기 어망 현황에 표시된 어종이 터치되면 터치된 어종의 상세설명을 표시하는 어망현황표시부와, 상기 인쇄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어망 현황에 표시되는 내용을 인쇄하는 어망현황인쇄부 및 상기 집어제 투여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의 미리 설정된 반경내에 집어제가 투여되는 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상기 영상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집어제 투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집어제 투여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어종들 중 일부를 집어제가 투여된 낚시줄제어장치부의 미리 설정된 반경거리 내로 모이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그 반경거리 내에 모인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하되, 랜덤하게 낚이는 확률이 더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낚시줄에 고정된 낚시찌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분석카메라로부터 분석되어 전송되는 상기 낚시찌가 위치한 낚시줄제어장치부에서만 상기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스위치의 상하이동과 낚시줄이 감기고 풀리며, 어종의 특성대로 입질이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어종의 입질을 느끼며 스크린 낚시를 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분석카메라로부터 분석되어 전송되는 낚시찌가 위치한 낚시줄제어장치부에서만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하여 어획되는 확률이 실제 스크린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의 수에 맞게 조절되고, 집어제를 투여하여 어획하는 확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스크린 낚시를 흥미있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모니터를 통해 사용자가 잡은 어종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어종의 상세정보를 통해 어종을 좀 더 알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획한 어종을 프린트하여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의 터치모니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는 스크린(100), 영상출력기기(200), 낚시대(300), 낚시줄제어장치부(400) 및 메인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100)은 바닥면에 설치된다.
또한, 영상출력기기(200)는 스크린(100)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기기이며, 천장에 설치되어 스크린(100)을 향하며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영상출력기기(2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후술할 데이터베이스(900)에 저장된 음성 및 배경음악들이 출력될 수도 있다. 즉, 영상출력기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과 어울리는 배경음악이 출력되는 것이다.
여기서 영상출력기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900)는 영상출력기기(200)에 출력할 어종들, 어종들의 상세정보 및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저장되어 있다.
특히,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은 바다, 민물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결이 넘실대는 영상으로 실제로 사용자가 바다 또는 민물에서 낚시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에는 해초, 산호초, 바위 등이 표현된다.
낚시대(300)는 스크린(100)의 외측에 위치한 좌대(310)에 설치된다. 이때, 낚시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300)의 중간지점이 낚시고정부(340)에 고정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낚시대(300)의 손잡이를 잡고 상하로 움직이면, 낚시대(300)가 낚시고정부(340)를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다.
또한, 낚시대(300)는 끝단에 낚시줄(3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낚시줄(330)의 하부에 낚시찌(320)가 고정된다.
여기서, 낚시줄(330)은, 일단이 낚시대(300)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구동모터(440)에 연결된다. 그리고, 낚시찌(320)는 낚시줄(330)의 하부 즉,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구동모터(440)의 상측에 고정되되,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후술할 구동모터(440)의 구동으로 낚시줄(330)의 감김에 함께 감기지 않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낚시줄제어장치부(400)는 스크린(100)의 상측면에을 설치되고, 낚시줄(330)의 타단과 연결되어 메인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낚시줄(330)의 감김과 풀림이 제어된다.
여기서, 낚시줄제어장치부(400)는, 전자석(410), 철판(420), 스위치(430) 및 구동모터(440)를 포함한다.
전자석(410)은, 스크린(100)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메인제어부(700)의 전원공급에 따라 자성이 온/오프된다.
철판(420)은, 전자석(41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스위치(430)는 전자석(410)의 상부에 스프링(432)으로 지지되어 철판(42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30)는 스프링(432)에 의해 전자석(410)의 상부에 이격되며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432)의 압축으로 하향하며, 외주면이 철판(420)에 부착된다.
다시 말해, 전자석(410)에 메인제어부(700)의 전원공급으로 자성이 온 되면, 스위치(430)는 철판(420)으로 전해지는 자성이 철판(420)과 이격된 스위치(430)를 끌어당겨 스프링(432)이 수축되며 하강하여 철판(420)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철판(420)의 상측면에 달라붙기도 한다. 이때, 전자석(410)은 메인제어부(700)의 전원공급을 통해 자성 세기가 조절될 수 있어 철판(420) 즉, 자성 세기를 통해 스위치(430)를 끌어당기는 힘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위치(430)와 철판(4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석(410)에 메인제어부(700)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자성이 오프 되면, 스위치(430)는 자성이 사라짐에 따라 철판(420)에 의해 더 이상 끌어 당겨지지 않고 수축된 스프링(432)이 팽창하며 원래 위치로 이동되어 철판(420)과 이격된다.
이처럼, 전자석(410)이 전원공급으로 인해 자성이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스위치(430)가 상하로 움직이며, 그 움직임의 강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위치(430)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과, 그 움직임의 강도가 조절되는 것은, 어종이 낚였을 때 입질하는 효과를 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실제로 낚시를 할 때,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리기 직전에 먹이를 건드리는 과정의 입질효과를 낼 수 있으며, 그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입질강도를 다르게도 할 수 있다.
구동모터(440)는, 스위치(4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위치(430)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일체로 움직인다.
또한, 구동모터(440)는 메인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고정봉(442)을 포함한다.
즉, 구동모터(440)는 낚시줄(330)의 타단이 고정봉(442)에 연결되어 메인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고정봉(442)이 회전되며 낚시줄(330)을 감거나 푼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440)의 고정봉(442)이 회전함에 따라 낚시줄(330)을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상술한 입질효과를 좀 더 크게 나타낼 수 있으며,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상태에서 낚시줄(330)을 잡아당기는 효과를 더 낼 수 있다.
따라서, 낚시줄제어장치부(400)는, 어종이 낚일 때의 입질을 표현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좀 더 세부적으로 어종의 종류에 따라 각각 입질하는 특성이 틀린 점을 차별화시켜 다양하게 입질효과 및 어종이 낚인 후를 표현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700)는, 영상출력기기(200)로 어종들이 랜덤하게 움직이는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메인제어부(700)는,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가 낚시대(300)에 낚이도록 하며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낚시줄제어장치부(400)를 제어하여 전자석(410)에 전원공급에 의한 자성의 강도 및 낚시줄(330)의 감김과 풀림을 제어한다.
또한, 메인제어부(700)는, 낚시대(300)의 들어올림에 따라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 일정강도 이상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제어부(700)는, 영상출력제어부(710), 입질제어부(720), 어획판단부(730), 배경제어부(740), 방류제어부(750) 및 포인트관리부(760)를 포함한다.
영상출력제어부(710)는 후술할 데이터베이스(900)에 저장된 어종들이 가상현실 낚시터영상과 함께 영상출력기기(200)로 출력되며 어종들이 랜덤하게 움직이도록 출력을 제어한다.
입질제어부(720)는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가 램덤하게 낚시대(300) 즉,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 낚이게 제어하고,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전자석(410)에 전원공급제어와 낚시줄(330)의 감김과 풀림을 반복하며 속도를 제어하여 낚인 어종의 입질을 제어한다.
즉, 입질제어부(720)는,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구동모터(440)와 전자석(410)에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구동모터(440)의 고정봉(442)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입질제어부(720)는, 전자석(410)에 전원공급을 통해 자성 세기을 조절하고, 고정봉(44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어획판단부(730)는, 입질제어부(720)에 의해 입질이 진행되는 입질시간이 지난 후 미리 설정된 어획시간 동안 낚시줄(330)에 일정강도 이상의 힘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어획판단부(730)에서는 입질시간과 어획시간이 중복되어 있어, 입질시간 동안 낚시줄(330)에 일정강도 이상의 힘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어종의 종류마다 틀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어획판단부(730)가 일정강도 이상의 힘으로 낚시줄(330)이 당겨짐을 감지하는 것은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낚시를 하는 동안 낚시대(300)를 잡고 있고 낚시줄(330)의 끝, 즉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상부에 있는 낚지찌를 보게 되는데, 입질제어부(720)가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 어종이 낚이게 제어하면,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전자석(410)에 전원공급의 온/오프가 반복되도록 제어하고, 더불어 구동모터(440)의 고정봉(442)을 회전시켜 낚시줄(330)을 감고 푸는 것을 일정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입질제어부(720)의 낚시줄제어장치부(400) 제어를 통해 어종에 따라 각각 다른 입질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질을 느끼면서 어종의 종류를 판단하게 되고, 입질시간이 지난 후 어획시간에 낚시대(300)의 손잡이를 누르면서 낚시줄(330)을 일정강도 이상의 힘으로 당기면, 어획판단부(730)는 낚시줄(330)에 일정강도 이상의 힘으로 당겨짐을 감지하고 어종을 어획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어종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는 입질시간 동안 낚시대(300)의 손잡이를 누르면서 낚시줄(330)을 당겨 어종을 어획할 수도 있다.
배경제어부(740)는,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의 날씨를 랜덤하게 변화시키고, 날씨의 변화에 따라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의 배경을 변화시킨다. 또한, 배경제어부(740)는 해파리, 불가사리 등과 같은 관상어를 랜덤하게 생성 및 무빙시켜 낚시터의 배경을 제어한다.
방류제어부(750)는 가상현실 낚시터에 방류된 어종들의 어획률에 따라 어종들의 종류별로 랜덤하게 방류한다. 이때, 방류제어부(750)는 어종들의 비율을 설정된 일정비율로 유지되도록 어종들이 방류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방류제어부(750)는 배경제어부(740)의 제어에 따라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의 날씨와 배경에 따라 어종들을 방류하는 종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포인트관리부(760)는, 어종별로 포인트를 부여하고, 어획되는 어종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용자별로 지급된 포인트를 누적 및 관리한다.
사용자는, 포인트관리부(760)에 누적 및 관리되는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낚시하는 동안 어종을 어획하여 누적된 포인트의 확인을 통해서 어획량을 수치화할 수도 있다.
또한, 포인트를 통해서 사용자들끼리 어획량을 비교할 수도 있어 스크린(100) 낚시를 더욱 즐길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의 터치모니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는 터치모니터(500)를 더 포함한다.
터치모니터(500)는 좌대(310)에 터치가능하게 설치된다.
터치모니터(500)는 낚시의 남은 시간(510)이 표시되고, 어획한 어종이 어망 현황(520)에 표시되며 상기 어망 현황(520)에 표시된 어종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어종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터치모니터(500)는, 어망 현황(520)의 내용을 인쇄하는 인쇄버튼(530)과 집어제를 투여하는 집어제 투여버튼(540)이 표시된다.
또한, 터치모니터(500)에는 도움말버튼(550)이 더 표시되어 도움말버튼(550)이 터치되면 스크린 낚시 시스템의 설명서가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터치모니터(500)에는 시간연장/호출버튼(560)이 더 표시되어 터치모니터(500)에 표시되는 낚시의 남은 시간(510)을 연장할 수 있으며, 운영자를 호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는 터치모니터(500)를 제어하는 모니터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모니터제어부(800)는 어망현황표시부(810), 어망현황인쇄부(820) 및 집어제 투여부(830)를 포함한다.
어망현황표시부(810)는 터치모니터(500)에 어획한 어종을 어망 현황(520)에 표시하고, 어망 현황(520)에 표시된 어종이 터치되면 터치된 어종의 상세설명을 표시한다.
즉, 어망현황표시부(810)는 어획판단부(730)에서 어획한 것으로 판단한 어종들을 표시하는 것이며, 그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의 어종을 터치하면 터치된 어종의 크기, 종류, 서식지 등의 상세설명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세설명을 다시 한번 터치하면 상세설명은 없어진다.
어망현황인쇄부(820)는 인쇄버튼(530)이 터치되면 어망 현황(520)에 표시되는 내용을 인쇄하는 것으로, 인쇄버튼(530)이 터치되면 터치모니터(500)의 일측에 설치된 인쇄기로부터 어망 현황(520)이 인쇄된다.
또한, 어망현황인쇄부(820)는 어망현황표시부(810)에서 특정 어종의 상세설명이 표시된 상태에서 인쇄버튼(530)이 터치되면 그 어종의 상세설명이 인쇄기(미도시)로부터 인쇄될 수도 있다.
집어제 투여부(830)는 집어제 투여버튼(540)이 터치되면,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미리 설정된 반경내에 집어제가 투여되는 영상이 스크린(100)에 출력되도록 영상출력기기(200)를 제어한다.
즉, 집어제 투여부(830)는 집어제 투여버튼(540)이 터치되면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소정 거리 내에 집어제가 투여되는 영상이 영상출력기기(200)로 스크린(100)에 출력된다.
또한, 집어제 투여부(830)는 집어제 투여버튼(540)이 터치되면 집어제 종류의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집어제가 표시되고 그 중 터치되어 선택된 집어제가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소정 거리 내에 투여되도록 영상이 스크린(100)에 출력되도록 영상출력기기(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로써, 집어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종을 유인하고 어획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메인제어부(700)는 집어제 투여버튼(540)이 터치되면, 어종들 중 일부를 집어제가 투여된 낚시줄제어장치부(400)의 미리 설정된 반경거리 내로 모이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그 반경거리 내에 모인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한다.
특히, 메인제어부(700)는 집어제를 투여했을 때, 낚시줄제어장치부(400)로 모이는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는 확률이 더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는 위치분석카메라(600)를 포함한다.
위치분석카메라(600)는 스크린(100)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는 낚시찌(320)의 위치를 분석하고, 분석된 낚시찌(320)의 위치를 메인제어부(700)로 전송한다.
이때, 메인제어부(700)는 위치분석카메라(600)로부터 분석되어 전송되는 낚시찌(320)가 위치한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서만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크린 낚시 시스템이 설치된 스크린(100) 낚시터에 설치된 낚시줄제어장치부(400)가 총 10개이고, 그 중에 3명의 사용자가 낚시를 하고 있으면, 위치분석카메라(600)가 낚시찌(3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를 분석하고, 메인제어부(700)가 그 분석된 낚시찌(320)의 위치의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서만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한다.
이는, 메인제어부(700)가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 랜덤하게 어종들이 낚이도록 확률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7개의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서 확률적으로 어종들이 많이 낚이면, 실제로 사용자가 스크린(100) 낚시를 하고 있는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서는 그만큼 어종들이 낚일 확률이 줄어드는 것이다.
즉, 위치분석카메라(600)가 낚시찌(320)의 위치를 분석하고, 그 분석으로 현재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고 있는 낚시줄제어장치부(400)에서만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하여 실제로 스크린(100) 낚시를 하고 있는 사용자가 어종을 어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스크린(100) 낚시를 하는 사용자가 많으면 어종의 어획확률이 낮아지는 것이고, 사용자가 적으면 어종의 어획확률은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낚시 시스템는 운영자가 사용자들을 모니터링 하며, 제1전원공급부(12)의 전원 공급으로 관리되는 메인서버(10)를 포함한다. 즉, 메인서버(10)는 운영자가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운영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스크린 낚시 시스템는 메인서버(10)를 대신하여 메인서버(10)에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12)가 아닌 제2전원공급부(22)로부터 전원 공급으로 작동하는 백업서버(20)를 더 포함한다.
백업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900), 메인제어부(700), 포인트관리부(760) 및 모니터제어부(800)가 백업되어 있으며, 실시간으로 메인서버(10)가 백업되어 메인서버(10)가 이상전원으로 다운되더라도 스크린 낚시 시스템을 작동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스크린(100)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서버 12: 제1전원공급부 20: 백업서버
22: 제2전원공급부 100: 스크린 200: 영상출력기기
300: 낚시대 310: 좌대 320: 낚시찌
330: 낚시줄 340: 낚시고정부 400: 낚시줄제어장치부
410: 전자석 420: 철판 430: 스위치
432: 스프링 440: 구동모터 442: 고정봉
500: 터치모니터 510: 남은 시간 520: 어망 현황
530: 인쇄버튼 540: 집어제 투여버튼 550: 도움말버튼
560: 시간연장/호출버튼 600: 위치분석카메라 700: 메인제어부
710: 영상출력제어부 720: 입질제어부 730: 어획판단부
740: 배경제어부 750: 방류제어부 760: 포인트관리부
800: 모니터제어부 810: 어망현황표시부 820: 어망현황인쇄부
830: 집어제투여부 900: 데어터베이스

Claims (9)

  1. 스크린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기기;
    상기 영상출력기기에 출력할 어종들, 상기 어종들의 상세정보 및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어종들과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이 영상출력기기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가 낚시대에 낚이도록 하며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낚시줄제어장치부를 제어하여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제어하고, 상기 낚시대의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에 일정강도 이상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상기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하고,
    상기 낚시대는,
    상기 스크린의 외측에 위치한 좌대에 설치되고, 낚시찌가 고정된 낚시줄의 일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는,
    상기 스크린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제어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자성이 온/오프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철판;
    상기 전자석의 상부에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상기 철판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낚시줄의 타단이 고정봉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고정봉이 회전되며 상기 낚시줄을 감거나 푸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의 날씨를 랜덤하게 변화시키고, 날씨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낚시터영상의 배경을 변화시키며, 관상어를 랜덤하게 생성 및 무빙시켜 낚시터의 배경을 제어하는 배경제어부; 및
    가상현실 낚시터에 방류된 어종들의 어획률에 따라 상기 어종들의 종류별로 랜덤하게 방류하되 방류하는 상기 어종들의 비율을 설정된 일정비율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방류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종들이 가상현실 낚시터영상과 함께 영상출력기기로 출력되며 상기 어종들이 랜덤하게 움직이게 출력하는 영상출력제어부;
    상기 어종들 중에 어느 하나가 랜덤하게 낚시대에 낚이게 제어하고, 낚인 어종의 종류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반복하며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낚인 어종의 입질을 제어하는 입질제어부; 및
    상기 입질제어부에 의해 입질이 진행되는 입질시간이 지난 후 미리 설정된 어획시간 동안 상기 낚시줄에 일정강도 이상의 힘으로 당겨짐이 감지되면 상기 낚인 어종을 어획한 것으로 판단하는 어획판단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어종별로 포인트를 부여하고, 어획되는 어종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용자별로 지급된 포인트를 누적 및 관리하는 포인트관리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에 터치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되고, 어획한 어종이 어망 현황에 표시되며 상기 어망 현황에 표시된 어종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어종의 상기 상세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어망 현황의 내용을 인쇄하는 인쇄버튼과 집어제를 투여하는 집어제 투여버튼이 표시되는 터치모니터를 제어하는 모니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제어부는,
    상기 터치모니터에 어획한 어종을 어망 현황에 표시하고, 상기 어망 현황에 표시된 어종이 터치되면 터치된 어종의 상세설명을 표시하는 어망현황표시부와,
    상기 인쇄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어망 현황에 표시되는 내용을 인쇄하는 어망현황인쇄부 및
    상기 집어제 투여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낚시줄제어장치부의 미리 설정된 반경내에 집어제가 투여되는 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상기 영상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집어제 투여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집어제 투여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어종들 중 일부를 집어제가 투여된 낚시줄제어장치부의 미리 설정된 반경거리 내로 모이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그 반경거리 내에 모인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하되, 랜덤하게 낚이는 확률이 더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낚시줄에 고정된 낚시찌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분석카메라로부터 분석되어 전송되는 상기 낚시찌가 위치한 낚시줄제어장치부에서만 상기 어종들이 랜덤하게 낚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KR1020120037705A 2012-04-12 2012-04-12 스크린 낚시 시스템 KR101227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05A KR101227693B1 (ko) 2012-04-12 2012-04-12 스크린 낚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05A KR101227693B1 (ko) 2012-04-12 2012-04-12 스크린 낚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693B1 true KR101227693B1 (ko) 2013-01-29

Family

ID=4784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705A KR101227693B1 (ko) 2012-04-12 2012-04-12 스크린 낚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6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49A1 (ko) * 2015-04-13 2016-10-20 (주)지디아이코리아 스크린 낚시 장치
KR20200079775A (ko) 2018-12-26 2020-07-06 주대범 게임용 릴낚시 시스템
KR102285726B1 (ko) 2021-02-01 2021-08-03 정혁 스크린 낚시용 낚시줄 제어 장치
US20220061296A1 (en) * 2020-08-27 2022-03-03 Ardent, LLC Castable object system
WO2022265228A1 (ko) * 2021-06-15 2022-12-22 (주)넥스케이드 멀티 슈팅 게임기
KR102626349B1 (ko) * 2023-07-26 2024-01-16 이희동 원격낚시 시스템을 이용한 낚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165A (ja) * 1997-03-07 1998-11-17 Sega Enterp Ltd 魚釣り遊戯装置
JP2000157743A (ja) * 1998-11-26 2000-06-13 Nam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10091659A (ko) * 2000-03-17 2001-10-23 이재성 낚시 게임기
KR20110138432A (ko) * 2010-06-20 2011-12-28 최진호 낚시게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165A (ja) * 1997-03-07 1998-11-17 Sega Enterp Ltd 魚釣り遊戯装置
JP2000157743A (ja) * 1998-11-26 2000-06-13 Nam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10091659A (ko) * 2000-03-17 2001-10-23 이재성 낚시 게임기
KR20110138432A (ko) * 2010-06-20 2011-12-28 최진호 낚시게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49A1 (ko) * 2015-04-13 2016-10-20 (주)지디아이코리아 스크린 낚시 장치
KR101679784B1 (ko) * 2015-04-13 2016-11-28 (주)라스 스크린 낚시 장치
KR20200079775A (ko) 2018-12-26 2020-07-06 주대범 게임용 릴낚시 시스템
US20220061296A1 (en) * 2020-08-27 2022-03-03 Ardent, LLC Castable object system
KR102285726B1 (ko) 2021-02-01 2021-08-03 정혁 스크린 낚시용 낚시줄 제어 장치
WO2022265228A1 (ko) * 2021-06-15 2022-12-22 (주)넥스케이드 멀티 슈팅 게임기
KR102626349B1 (ko) * 2023-07-26 2024-01-16 이희동 원격낚시 시스템을 이용한 낚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330B1 (ko) 스크린 낚시장치
KR101227693B1 (ko) 스크린 낚시 시스템
KR101948148B1 (ko) 스크린 낚시용 낚싯줄 구동장치 및 해당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시스템
EP4005376B1 (en) Sensor positioning system for an aquaculture system
TW398986B (en) Fishing game device
KR101679784B1 (ko) 스크린 낚시 장치
JP6509698B2 (ja) 提示する力覚を決定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22973B1 (ko) 가상현실 낚시 게임 시스템, 게임 제공 서버 및 낚시 게임 시스템의 가상현실 제공방법
US6517438B2 (en) Input device, game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US6589117B1 (en) Fishing game system and input device therefor
EP2280598A1 (de) Automatischer bissanzeiger zum angeln von fischen
KR101508506B1 (ko) 낚시 게임 장치
JPS62111621A (ja) コンピユ−タ制御の魚釣り装置
KR102167356B1 (ko) 게임용 릴낚시 시스템
CN107333723A (zh) 垂钓方法
EP0987051A3 (en) Fishing video game apparatus
KR102133046B1 (ko) 체감형 낚시 시스템
KR101123772B1 (ko) 스크린 낚시게임장치와 방법
CN110354490A (zh) 屏幕钓鱼装置
KR102422272B1 (ko) 시뮬레이션 낚시 시스템
CN105746460B (zh) 自动坐标式钓鱼控制系统和方法
KR20110138432A (ko) 낚시게임장치
KR20180134269A (ko) 스크린 낚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3572549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114660A3 (en) Gam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