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941A -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941A
KR20160120941A KR1020150050166A KR20150050166A KR20160120941A KR 20160120941 A KR20160120941 A KR 20160120941A KR 1020150050166 A KR1020150050166 A KR 1020150050166A KR 20150050166 A KR20150050166 A KR 20150050166A KR 20160120941 A KR20160120941 A KR 2016012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lucopyranosyl
beta
alpha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687B1 (ko
Inventor
최송암
Original Assignee
최송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송암 filed Critical 최송암
Priority to KR102015005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6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릅나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음경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이완 효과 및 음경 발기 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발기부전을 개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릅나무는 전통적으로 식용으로 사용되던 안전한 천연 식물자원이며, 마우스와 랫트를 이용한 급성 및 만성 독성시험에서도 특이할 만한 부작용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기존의 PDE-5 억제제들에 비하여 독성의 염려가 없는 안전한 발기부전 개선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ralia elata extract, fraction thereof,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preventing 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본 발명은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성기능은 일련의 혈류역동학적 과정으로서 내분비계, 혈관계, 신경계, 정신계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매우 복잡한 생리반응으로 성욕, 음경발기와 이에 따른 누정, 사정, 쾌감의 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정상적인 성인의 체내 건강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건강의 악화나 내분비계, 혈관계, 신경계, 정신계 등의 기능 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발생하면 성기능 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김세철, 2008; Lue, 1987).
이러한 반응 중 음경발기는 혈관과 내분비계, 신경계 등의 종합적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복잡한 생리반응으로서 다양한 자극에 의하여 해면체 평활근이 이완되어 소공이 팽창되고 소동맥 확장으로 인한 혈류의 증가로 음경 내압이 증가됨에 따라 비교적 딱딱한 백막과 소공 사이에 존재하는 백막하 정맥이 소공의 팽창에 의해 눌려서 정맥혈의 누출이 막혀짐으로써 음경 내압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서 발기가 유발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김세철, 2008; Lue, 1987).
이러한 음경발기의 생리현상이 밝혀지고 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다양한 약제들의 약리작용과 기전이 연구됨에 따라 평활근에 이완작용이 있는 약제들을 발기부전의 치료에 이용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해면체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물질로는 아드레날린성 α-수용체 봉쇄제, 콜린성 약물, EDRF, Peptides, Prostagladins, Histamine, 칼슘통로차단제, 칼륨통로개방제, 비특이성 혈관확장제 등이 있다 (Anderson, 1999; Kim, 1993; Morales, 1995; Raifer, 1992; Tejada, 1988).
발기부전의 약물요법으로는 α-2 교감신경억제제인 yohimbin이나, 도파민성 수용체에 작용하는 apomorphine 및 serotonin성 수용체에 agonist로 작용하는 trazodone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원하지 않는 부작용이 많고 치료 효과가 적어 재현성이 인정되고 있는 약제는 없었다. 최근 비아그라 (sildenafil)와 그의 유도체들이 개발되어 발기부전의 치료제로 획기적인 변화를 야기시키고 있으며, 시알리스, 레비트라, 자이데나 등의 차세대 PDE-5 (Phosphodiesterase-5) 억제제들이 개발되어 발기부전의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들 PDE-5 억제제들에 있어서, 40% 내외의 효과가 없는 환자군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성관계시에만 일시적으로 복용하는 약제들로서 PDE-5 억제제들의 안전성에 대한 보고를 보면, 실데나필(sildenafil)의 경우 약 34.1%, 타다라필(Tadalafil)은 34.9%, 발데나필(Vardenafil)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약 26%에서 두통, 안면홍조, 혈압하강이나 비염증상, 소화장애, 요통, 심하면 심장정지, 사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발기부전의 근본적인 치료제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유창희 외, 대한비뇨기학회지, 2007). 따라서 저렴한 가격에 쉽게 구할 수 있고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치료 약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즉,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전신이나 국소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약물의 개발에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한편 두릅나무 (Aralia elata Seem)는 한반도 전역에 야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분류학상 인삼, 오갈피나무 등과 함께 두릅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며 봄에 새순을 채취하여 나물로 식용하고 있으며, 줄기껍질이나 뿌리 등은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두릅나무의 유용성분에 대한 관한 연구에는 Kochetkov 등이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사포닌성 배당체인 아랄로사이드 A, B, C 등을 단리하였고, 1929년 Kuwata가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triterpenoid glycoside)와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을 분리하였으며, 뿌리 껍질 추출물이 항당뇨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Seifulla et al, 1962). Sato 등은 두릅나무 잎에서 11종의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및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2종을, Jiang 등은 뿌리 껍질에서 아랄로사이드 A를 포함한 8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또한 두릅나무 껍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있고, 미생물 생육 저해 효과가 우수하면서 안전성이 높아 식품보존제로 유용한 물질인 3,4-디히드록시 벤조산(Dihydroxybenzoic acid)을 분리, 정제하였다.
두릅나무에는 아랄로사이드, 올레아놀산, 강심배당체화합물, 사포닌, 스티그마스테롤, 프로토카테츄산, 아미노산, 탄닌성분 등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여러 가지 생체 조절기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민간 또는 한방에서 두릅나무 뿌리와 줄기를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위암, 위경련, 신장병, 저혈압, 강장 및 강정, 이뇨 등에 물 또는 알코올로 우려내거나 다려서 이용되어 왔으며, 중국과 일본에서도 강장제, 항위궤양제, 당뇨병 치료 등에 민간요법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오갈피나무과의 식물은 인삼과 비슷하여 생체기관이 전반적인 기능을 항진시키는 범적응적 생리활성이 있으며, 최근에 두릅나무에서 분리되는 화합물이 혈당강하작용, 당뇨병 및 위장질환 치료, 신경쇠약, 심근경색 보호작용 등 정신 및 육체적인 피로의 예방과 저항력 증가 등에 대한 약리효능 및 치료효과가 밝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두릅나무 및 그에 함유된 성분들에 대한 다양한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두릅나무 또는 그에 함유된 특정 성분들이 발기 능력을 개선시킨다는 실험적 근거나 연구, 문헌, 특허 등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천연 생약재를 원료로 한 발기부전 개선제를 개발하던 중, 두릅나무 추출물 및 두릅나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발기부전 개선 활성이 우수함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김세철, Drug Information, v.32, no.12, pp.51-56, 2008. Lue TF et al., The Ur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v.14, no.3, pp.569-381, 1987. Anderson K et al., J Urology, v.161, pp.1707-1712, 1999. Kim et al., J Clin Invest, V.91, pp.437-442, 1993. Morales A et al., Urol Clin N Am, V.22, pp.879-886, 1995. Raifer J et al., N Eng J Med, V.326, pp.90-94, 1992. Tejada et al., Urol Clin North Am., v.15, no.1, pp.9-15, 1988. 유창희 외, 대한비뇨기학회지, v.48, no.2, pp.219-225, 2007. Kh I Seifulla, Drug from plants(in Russian), Medgiz, M. p.278, 1962.
본 발명의 목적은 두릅나무(Aralia elata)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릅나무(Aralia elata)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릅나무(Aralia elat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두릅나무(Aralia elata)"는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흔한 떨기나무로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주로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성숙한 잎과 열매는 류마티즘성 관절통, 기침, 비만과 관련된 진성 당뇨병, 위염 등을 치료하는 데 약으로 쓰며, 백내장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신약 개발에 잠재성이 높은 식물이다(Chung et al. 2005; Lee and Jeong 2009).
상기 두릅나무 추출물은 두릅나무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C1~C4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 추출물은 두릅나무 순으로부터 80% 메탄올을 가하여 제조한 두릅나무 80%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였다(실시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추출물은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탄올 분획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에는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 (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탄올 (CH3OH)이고, R3는 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yl) 또는 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이다.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3-베타-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8-오인산; 및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3-베타-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8-오인산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릅나무 (Aralia elata) 또는 할미꽃 (Pulsatilla cernua) (Zhang QW et al., 2000)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추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두릅나무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 (순, 잎, 줄기, 가시, 뿌리, 껍질)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따라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등의 각종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로부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추출, 분리 및 정제는 실리카겔이나 활성 알루미나 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추출, 분리 및 정제가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을 분액깔때기를 이용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을 가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얻은 후, 부탄올 분획물로부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분리하였다(실시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두릅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두릅나무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다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의 유발 없이 사람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종류는 당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문헌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S.M.Berge et al., J. Pharmaceutical Sciences, 1977). 일 예로서 산부가염으로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시트레이트, 벤조에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옥살레이트 등이 포함되지만, 본 발명의 산부가염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기성부가염의 일 예로서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염 등과 같은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 계통 양이온, 무독성 4급 암모니아 및 아민 양이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염기성부가염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 조성물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 부형제 또는 매질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연고제, 액제, 드링크제 또는 주사제를 포함하여 샤세, 엘릭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에어로졸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멸균주사제, 멸균분제 등 당 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성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 형태인 크림제,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제, 침제 또는 패취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 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발기부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모두 가능하며, 일 예로는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복강, 근육, 국소도포, 첩포 및 이온토포레시스 (iontoporesis)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고, 이 중에서 국소 적용 및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본 발명의 추출물을 0.0001 ~ 500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0.001 ~ 100 ㎎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두릅나무(Aralia elat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두릅나무 추출물은 두릅나무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C1~C4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 추출물은 두릅나무 순으로부터 80% 메탄올을 가하여 제조한 두릅나무 80%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였다(실시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추출물은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탄올 분획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에는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 (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탄올 (CH3OH)이고, R3는 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yl) 또는 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이다.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3-베타-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8-오인산; 및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3-베타-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8-오인산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7
상기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릅나무 (Aralia elata) 또는 할미꽃 (Pulsatilla cernua) (Zhang QW et al., 2000)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추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두릅나무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 (순, 잎, 줄기, 가시, 뿌리, 껍질)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따라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등의 각종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로부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추출, 분리 및 정제는 실리카겔이나 활성 알루미나 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추출, 분리 및 정제가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을 분액깔때기를 이용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을 가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얻은 후, 부탄올 분획물로부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분리하였다(실시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두릅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두릅나무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두릅나무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두릅나무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두릅나무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두릅나무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성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음경해면체 평활근에서 강한 이완작용을 나타내게 함으로써 발기를 촉진시켜야 한다. 그 작용 기전은 일산화질소 (NO)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집중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산화질소가 음경 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입증되어 PDE-5 억제제들이 발기부전 치료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혈관 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성적 자극 하에 음경의 부교감신경 말초에서 또한 증가된다. 일산화질소는 구아닐레이트 사이클레이즈 (gua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켜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GTP)를 사이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cGMP)로 전환되게 한다. 여기에서 발생된 cGMP는 음경해면체의 평활근 및 음경 동맥의 이완을 생기게 하는 신호를 제공하여 음경의 발기를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음경의 발기가 촉진 또는 지속되기 위해서는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필수적이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두릅나무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음경해면체 평활근에서 일산화질소 (NO) 발생을 증가시켜서 세포 내 사이클릭 GMP의 농도를 증가시켜서 음경 내로 혈류의 유입을 증가시키고 음경의 부피를 커지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혈관내피세포(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에서의 일산화질소(NO) 생성 증가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한 결과,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일산화질소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비교군인 실데나필(sildenafil) 처리군과 비교하여 일산화질소 생성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토끼 음경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이완 효과를 실험한 결과, 비교군인 실데나필(sildenafil) 처리군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음경해면체 평활근 이완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흰쥐(rat) 음경 발기 촉진 효과를 실험한 결과, 최대 음경 발기력이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비교군인 실데나필(sildenafil) 투여군의 최대 음경 발기력에 비하여도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표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릅나무 추출물의 급성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회 경구독성시험의 투여 한계용량인 2,000 mg/kg 용량을 상회하는 고용량군(5,000 mg/kg)과 저용량군(2,500 mg/kg)을 ICR계 마우스에 1회 강제 경구 투여하여 14일간 관찰한 결과, 어떠한 독성 소견도 유발하지 않았다. 그리고 두릅나무 추출물의 만성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용량군(1,000 mg/kg), 중간용량군(500 mg/kg), 저용량군(250 mg/kg)의 시험물질을 조제하여 SD계통 랫트에 주 7회, 4주간 강제 경구 투여한 결과, 의미있는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의 화학물질 유래 발기부전 개선제인 PDE-5 억제제들이 전체적으로 약 40%에서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며, 약 35%의 부작용 발생율을 보이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전혀 독성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의 염려가 없으므로 발기부전 개선을 위한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음경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이완 효과 및 음경 발기 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발기부전을 개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릅나무는 전통적으로 식용으로 사용되던 안전한 천연 식물자원이며, 마우스와 랫트를 이용한 급성 및 만성 독성시험에서도 특이할 만한 부작용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기존의 PDE-5 억제제들에 비하여 독성의 염려가 없는 안전한 발기부전 개선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 Con(대조군), AEM(두릅나무 추출물), AS1(아랄리아사포닌 Ⅰ(aralia saponin Ⅰ)), DSB(딥사코사이드 B(dipsacoside B)), OAE(올레아놀산 에스터(oleanolic acid ester)), SIL(실데나필(sildenafil)) 100 μM 처리에 따른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량을 비교한 그래프;
B : OAE(올레아놀산 에스터) 처리량(0, 12.5, 25, 50, 100 μM)에 따른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
C : AS1(아랄리아사포닌 Ⅰ) 처리량(0, 12.5, 25, 50, 100 μM)에 따른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 및
D : DSB(딥사코사이드 B) 처리량(0, 12.5, 25, 50, 100 μM)에 따른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Con(대조군), AEM(두릅나무 추출물), AS1(아랄리아사포닌 Ⅰ(aralia saponin Ⅰ)), DSB(딥사코사이드 B(dipsacoside B)), OAE(올레아놀산 에스터(oleanolic acid ester)), SIL(실데나필(sildenafil))의 1mg/ml 농도 처리에 따른 토끼 음경해면체 평활근 이완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실시예 1> 두릅나무 추출물 제조 및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분리
<1-1> 두릅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두릅나무를 2013년 5월 중순경 제주도 한라산에서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두릅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두릅나무를 음지에서 건조시킨 다음 미세하게 분쇄하여 1000g의 시료당 80% 메탄올 10L를 가하여 침출시켰다. 침출시킨 시료를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초음파로 분해시키면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감압 흡입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잔사에 대하여 2회 반복 실시하여 용매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여과 후 얻어진 용액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두릅나무 부위별 추출물 30~150g씩을 수득하였다.
두릅나무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수득한 두릅나무 순의 80% 메탄올 추출물을 분액깔대기를 이용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가하여 재추출하였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 25g을 증류수 1L로 현탁한 다음 여기에 헥산 1L, 에틸아세테이트 1L, 부탄올 1L를 각각 첨가하여 상온에서 재추출하였다. 이를 3회 반복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헥산 추출물 2.4g,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2.5g, 부탄올 추출물 6.8g 및 물 추출물 14.6g을 수득하였다.
<1-2>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분리정제 및 구조동정
상기에서 얻어진 두릅나무 추출물 및 두릅나무 분획물에 대하여 하기 실시예 2의 일산화질소 (NO)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 비교하면서 활성이 높은 분획물인 부탄올 분획물을 선택하였다. 부탄올 분획물에 대하여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과 NMR을 이용하여 구조 동정을 수행한 결과, 아래 화학식 2 내지 4의 일산화질소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triterpenoid saponins) 화합물을 분리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3-O-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hederagenin 28-O-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yl ester),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3-베타-하이드록시올레인-12-엔-28-오인산 (3-β-hydroxyolean-12-en-28-oic acid)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3-O-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hederagenin 28-O-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 ester)를 분리하여 구조를 규명하였으며, 이하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아랄리아사포닌I (aralia saponin I)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올레아놀산 에스터 (oleanolic acid ester) 및 화학식 4의 화합물을 딥사코사이드B (dipsacoside B)로 명명하였다.
하기 표 1은 아랄리아사포닌I의 NMR 결과, 하기 표 2는 올레아놀산 에스터의 NMR 결과, 하기 표 3은 딥사코사이드B의 NM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또한 화학식 2 내지 4는 하기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2
[화학식 3]
Figure pat00013
[화학식 4]
Figure pat00014

< 실시예 2> 두릅나무 추출물 및 활성성분의 일산화질소 ( NO ) 생성 증가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릅나무의 80% 메탄올 추출물 및 분리정제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들을 혈관 내피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음경 발기에 중요한 신호전달물질로 알려진 일산화질소 (NO)의 생성 증가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는 혈관내피세포에서 eNOS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내피세포에서의 산화질소 생성효소)에 의한 일산화질소 (NO)의 생성증가가 혈관을 이완시켜 음경의 발기를 증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2-1> 탯줄에서 혈관내피세포의 분리 및 배양
내피세포는 혈관의 기저막 (basement membrane) 상에 존재하고 있으며, 혈관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여 혈액과 직접 접하고 있는 세포이다. 내피세포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널리 분리 및 이용되는 세포로 인간탯줄기원의 내피세포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을 들 수 있다.
HUVEC을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탯줄 (15~20cm)에 있는 정맥을 PBS로 잘 세척하여 혈액 응고물 등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탯줄 정맥관의 양쪽 말단에 캐뉼라 (cannular) 및 2-way stop cock를 장치한 후 250 units/ml의 콜라겐 분해효소를 주입하여 37℃에서 5~10분간 배양하고, 효소 활성에 의하여 기저막으로부터 HUVEC을 분리하였다. 사람의 탯줄 정맥에서 얻어진 내피세포 (HUVEC)는 20%(v/v) FB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100㎍/ml의 스트렙토마이신, 3ng/ml의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및 5 units/ml의 헤파린을 함유한 M199 배지를 이용하여 젤라틴으로 코팅된 플레이트 및 플라스크에 옮겨서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2> 혈관내피세포 ( HUVEC )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 측정
혈관내피세포를 젤라틴 코팅된 24 공평판 배양기 (well plate)에 2.5X104 cells/well의 밀도로 배양하였으며, 세포는 성장 배지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혈관내피세포는 정제수를 처리한 대조군과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 두릅나무 추출물에 함유된 사포닌 화합물, 비교예로서 실데나필(sildenafil) 처리군으로 나누어 12시간 100㎍/ml의 농도로 전처리하였다. 내피세포는 37℃에서 FBS가 없는 M199 배지에 10μmol/ml DAF-FM diacetate (Molecular Probe, OR)로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혈관내피세포는 FBS가 없는 M199 배지로 3번 씻어준 후, 패러렐 플레이트 플로우 챔버 (parallel plate flow chamber)에 넣고, 수은등 (mercury lamp)으로부터 분리된 빛으로 자극하였다. 여기 (excitation) 파장은 488nm이었고, 일산화질소가 결합된 DAF는 515nm에서 형광을 내었다. 사진은 공초점 레이져 현미경 (Confocal laser microscope (Atto Bioscience, USA))으로 찍었고, 형광의 밝기는 이미지프로 플러스 (image-Pro Plus) v4.5 소프트웨어 (Media Cybernetics, San Diego, USA)로 분석하였으며, 이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con은 대조군, Sil은 비교군으로서 실데나필(sildenafil) 처리군, AEM은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 AS1은 아랄리아사포닌I 처리군, DSB는 딥사코사이드B 처리군, OAE는 올레아놀산에스터 처리군을 의미한다. 각 시료의 처리 농도는 0, 12.5, 25, 50 및 100 μM의 농도로 하였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에 혈관내피세포 (HUVEC) 단층배양시스템 (monolayer culture system)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일산화질소 (NO)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두릅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들을 처리하였을 때에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성분들은 비교군인 실데나필(sildenafil) 처리군에 비하여 일산화질소 생성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두릅나무 추출물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들을 투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증가하므로 결국 음경해면체에서 혈관확장으로 인한 음경 발기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3> 두릅나무 추출물 및 활성성분의 토끼 음경해면체 평활근에 대한 이완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두릅나무 80% 메탄올 추출물 및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성분들이 음경의 발기력 강화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생체 외 실험을 실시하였다.
<3-1> 토끼 음경해면체 평활근 절편 준비
인체의 음경 해면체와 구조 및 생리학적 발기의 기전이 유사한 뉴질랜드 화이트 래빗 (New Zealand White Rabbit, (주)샘타코 BIO KOREA) 수컷 50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에 에테르를 흡입시키는 방법으로 마취시킨 후, 음경을 절제하여 95% 산소와 5%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가 공급되는 저온의 크렙스헨셀레이트 용액 (Krebs-Henseleit's solution)(조성: 111mM 염화나트륨, 4.7mM 염화칼륨, 1.2mM 염화마그네슘, 2.0mM 염화칼슘, 1.2mM 인산수소나트륨, 25mM 중탄산나트륨, 11.1mM 글루코오스) 내에서 해면체 평활근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해면체 평활근으로 2 X 2 X 6mm의 절편을 만들고, 크렙스헨셀레이트 용액이 들어있는 조직 용기 (organ bath)에 고정하였다.
상기 절편의 한쪽 끝은 조직 용기의 아랫부분에 고정하고, 다른 끝은 등력성 수축 기록계에 연결하여 해면체 평활근의 운동상태를 기록하였다. 상기 조직 용기 내의 크렙스헨셀레이트 용액은 37℃로 유지하고, 산소혼합기체를 계속 공급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해면체 평활근 절편은 페닐에프린 (phenylephrine, 1 X 10-6M; 이하 PHE라 약칭함)으로 수축을 유발하고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Ach)에 의한 이완의 유무로 내피세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내피세포 제거 후 아세틸콜린에 의한 이완이 탈내피 조작 전의 10% 이내의 이완반응을 보이는 표본만을 골라 내피세포가 제거된 평활근 절편으로 사용하였다. 토끼 음경해면체에 고정된 집게의 끝은 수축이완 반응을 측정하는 등척성 장력 측정기 (isometric force-displacement transducer, FT03, Grass, AD instrument, Colorado springs Co., USA)에 연결하여 생리신호기록기 (physiograph recorder, PowerLab 4/30, AD instrument)로 기록하고 Labchart software (AD instrument)로 분석하였다.
<3-2> 등장력 수축을 위한 이상적 장력 결정
초기 장력을 1g 정도로 유지시키고 안정상태에 도달되도록 유지한 후, PHE를 투여하여 수축 정도를 관찰하였다. 이후 크렙스헨셀레이트 용액으로 안정상태를 회복시키고, 장력을 올리거나 내려 안정상태에서 같은 농도의 PHE에 의한 수축정도를 관찰하여 수축정도의 차이가 2회 연속으로 이전 수축의 10% 이내일 때를 이상적 장력으로 정하고 이러한 이상적 장력 안정상태에서 약물 반응 실험을 시작하였다.
<3-3> 두릅나무 추출물 및 활성성분의 음경해면체 평활근 이완 효과
적출한 음경해면체 절편의 기본 장력에 미치는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 및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인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들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음경해면체 조직의 운동성이 안정화되어 그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 또는 그에서 분리한 활성 화합물을 최종농도 1 mg/ml로 첨가하여 장력의 변화와 진폭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평상시 상태 즉, PHE에 의한 음경해면체 평활근이 수축된 상태인 최고점에 대하여, 상기 음경해면체 평활근이 이완된 최저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활성 화합물들의 발기 향상 정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비교군인 실데나필(sildenafil) 처리군에 비하여 두릅나무 추출물 및 두릅나무에 함유된 활성성분인 사포닌 화합물들은 더욱 우수한 음경해면체 평활근 이완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4> 두릅나무 추출물 및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의 음경 발기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릅나무 추출물 및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들의 음경 발기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의 음경 해면체와 구조 및 생리학적 발기 기전이 유사한 250~350g 스프라그 도우리 (Sprague-Dowley, ㈜셈타코 BIO Korea) 종 수컷 흰쥐 (rat)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온도는 22±2℃, 상대습도는 50±10%이었고, 명암 싸이클 (07:00 점등 - 19:00 소등)은 형광등 조명으로 조절하였다. 상기 흰쥐는 증류수 30mg/kg을 투여한 대조군 (Con), 실데나필 (sildenafil) 30mg/kg 투여한 비교군 (SIL), 두릅나무 80% 메탄올 추출물 투여군 (AEM),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아랄리아사포닌I 투여군 (AS1),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딥사코사이드B 투여군 (DSB) 및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올레아놀산에스터 투여군 (OAE)을 각각 30mg/kg씩 주사기와 존데 (sonde)를 이용하여 경구로 직접 투여하고 30~40분 후에 해면체 내압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흰쥐 복강에 우레탄 (urethane) 1.2g/kg을 주입하여 마취시키고, 복부를 정중 절개하여 방광과 전립선을 노출시킨 후 전립선 후측벽에 위치한 주골반신경절을 찾아서 그 분지인 골반신경 및 음경해면체 신경을 박리하였다. 백금 전극을 음경해면체 신경에 설치하고 전기 자극기 (AD instrument powerLab, USA)에 연결하였다. 음경 표피를 절개하여 음경해면체를 노출시킨 후 해면체 내압 측정을 위해 26G 침을 음경해면체 내에 유치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전기적 자극이나 약물 주입에 따른 전신혈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동맥에 폴리에틸렌 튜브를 삽입하여 트랜스듀서 (transducer) 및 폴리그래프 시스템 (polygraph system)을 통해 지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였다. 전신혈압과 해면체 내압은 그래스 텔레팩터 RPS312RM (grass telefactor RPS312RM regulated power supply, USA)와 데이터 수집장치 (data acquisition; AD instrument powerLab, USA)로 측정하였으며,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chart & scope, AD instrument, USA)을 이용하여 분석 기록하였다. 해면체 신경자극에 의한 음경 발기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해면체 신경자극 (stimulus; 2Hz, 3V, 5ms, 1min)에 따른 해면체 내압을 측정하여 최대 해면체 내압 (ICP)과 혈압 (MAP)의 비율을 5분 동안 기록하여 그 최대값 (최대 음경 발기력)을 각 군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4에서 보듯이 실험에 사용한 두릅나무 추출물과 두릅나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들의 최대 음경 발기력은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비교군인 실데나필 투여군의 최대 음경 발기력에 비하여도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15
< 실시예 5> 두릅나무 추출물의 독성평가
<5-1> 두릅나무 추출물의 단회 투여 급성독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릅나무 80% 메탄올 추출물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7주령의 암, 수 ICR계 마우스를 ㈜오리엔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일간 실험실에 순화시켰으며, 실험기간 중 사육실의 실내온도는 23±2℃, 상대습도는 50±10%, 조명시간은 12시간 (07:00~19:00)을 유지하였다. 시험물질인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칭량한 다음 0.2% 메틸셀룰로오스 (methyl cellulose)에 현탁시켜서, 예비실험에서 어떠한 독성도 발견되지 않은 단회 경구독성시험의 투여 한계용량인 2,000mg/kg의 용량을 상회하는 고용량군 (5,000mg/kg)과 저용량군 (2,500mg/kg)의 시험물질을 조제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두릅나무 추출물을 1회 경구투여하여 14일간 관찰한 결과, 모든 투여 용량군에서 사망례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일반적인 임상 증상에서도 아무런 이상 반응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 변화나 모든 생존 동물의 부검 소견에서도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 결과는 마우스에 두릅나무 추출물을 5,000mg/kg 용량까지 1회 경구투여시 어떠한 독성 소견도 유발하지 않으므로, 최소 치사량이 5,000mg/kg 이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Hodge & Sterner (1949)의 급성독성 분류에 의하면 반수 치사량이 체중 kg당 5,000mg 이상이면 실질적으로 무독성 물질로 구분하고 있으며, 미국 환경보호청 (US EPA)에서도 경구투여 반수 치사량이 체중 kg당 5,000mg 이상이면 무해한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1988). 상기한 기준에 의거하여 볼 때, 두릅나무 추출물의 반수 치사량이 체중 kg당 5,000mg을 훨씬 상회한다는 것은 사람에 있어서 전혀 독성이 없는 매우 안전한 물질이며, 부작용의 염려가 없는 의약품이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라는 것을 의미한다.
<5-2> 두릅나무 추출물의 4주반복 투여 독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릅나무 80% 메탄올 추출물의 만성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6주령의 SFP 암, 수 랫트 (㈜오리엔트)를 4주동안 반복 경구투여하면서 독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1주일간 실험실에 순화시켰으며, 실험기간 중 사육실의 실내온도는 23±2℃, 상대습도는 50±10%, 조명시간은 12시간 (07:00~19:00)을 유지하였다. 시험물질인 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칭량한 다음 0.2% 메틸셀룰로오스 (methyl cellulose)에 현탁시켜서, 고용량군 (1,000mg/kg), 중간용량군 (500mg/kg)과 저용량군 (250mg/kg)의 시험물질을 조제하여 4주간 강제 경구 투여를 실시하면서 독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SD계통 암, 수 랫트에 시험물질을 각각 1000, 500 및 250mg/kg의 용량으로 주 7회, 4주간 총 28회 반복 경구투여하여 임상증상,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음수량, 안검사, 뇨검사, 혈액학적 검사, 혈청 생화학적 검사, 부검 및 장기중량 측정, 병리조직학적 검사 등을 수행한 결과, 시험 종료시까지 암수 모든 동물에서 시험물질에 기인한 사망은 없었으며, 다른 모든 검사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성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시험에서 두릅나무 추출물의 랫트에서의 4주간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의미있는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물질의 무해용량 (NOAE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은 본 시험 조건하에서 1,000mg/kg 이상으로 판단되었다.
상기의 실험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음경해면체 평활근 내피세포에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음경해면체 이완 효과가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고, 독성시험에서도 기존의 발기부전치료제인 PDE-5 억제제들에 비하여 심박수 변화나 다빈도 부작용의 발생 우려가 없는 안전한 제제로 평가되므로, 발기부전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1. 두릅나무(Aralia elata)를 C1~C4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6

    상기 식에서 R1은 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 (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탄올 (CH3OH)이고, R3는 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yl) 또는 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이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3-베타-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8-오인산; 및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두릅나무(Aralia elata)를 C1~C4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17

    상기 식에서 R1은 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 (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탄올 (CH3OH)이고, R3는 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yl) 또는 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yl)이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 화합물은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자일로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3-베타-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8-오인산; 및
    3-O-알파-L-람노피라노실(1→2)-알파-L-아라비노피라노실-헤데라게닌 28-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터;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50050166A 2015-04-09 2015-04-09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66A KR101747687B1 (ko) 2015-04-09 2015-04-09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66A KR101747687B1 (ko) 2015-04-09 2015-04-09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941A true KR20160120941A (ko) 2016-10-19
KR101747687B1 KR101747687B1 (ko) 2017-06-15

Family

ID=5725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166A KR101747687B1 (ko) 2015-04-09 2015-04-09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64B1 (ko) 2023-01-25 2023-09-21 (주)나인팩토리커뮤니케이션 남성 성기에 부종감 및 온열감을 주고 혈행을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erson K et al., J Urology, v.161, pp.1707-1712, 1999.
Kh I Seifulla, Drug from plants(in Russian), Medgiz, M. p.278, 1962.
Kim et al., J Clin Invest, V.91, pp.437-442, 1993.
Lue TF et al., The Ur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v.14, no.3, pp.569-381, 1987.
Morales A et al., Urol Clin N Am, V.22, pp.879-886, 1995.
Raifer J et al., N Eng J Med, V.326, pp.90-94, 1992.
Tejada et al., Urol Clin North Am., v.15, no.1, pp.9-15, 1988.
김세철, Drug Information, v.32, no.12, pp.51-56, 2008.
유창희 외, 대한비뇨기학회지, v.48, no.2, pp.219-225, 200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64B1 (ko) 2023-01-25 2023-09-21 (주)나인팩토리커뮤니케이션 남성 성기에 부종감 및 온열감을 주고 혈행을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00591B1 (ko) 2023-01-25 2023-11-09 (주)나인팩토리커뮤니케이션 남성 성기에 부종감 및 온열감을 주고 혈행을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00590B1 (ko) 2023-01-25 2023-11-09 (주)나인팩토리커뮤니케이션 남성 성기에 부종감 및 온열감을 주고 혈행을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687B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6990B (zh) 茉莉花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080182803A1 (en) Rubrofusarin glycoside-containing composition
KR100711028B1 (ko) 향나무 추출물 또는 세드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WO2009093584A1 (ja) 植物由来の高尿酸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JP2012207009A (ja) 桑小枝粉砕微粉末の製法
KR20160139072A (ko)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1517557A (ja) アオキ抽出物を含む眼球乾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5022901B2 (ja) ニコチン中毒および禁断症状を予防および治療するためのオニノダケ(Angelicagigas)から単離した精製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抽出物および低級アルコール可溶性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747687B1 (ko) 두릅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R112015014492B1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de extrato de planta para tratamento de abuso, dependência e sintomas de abstinência de álcool e/ou opioides
KR20000002041A (ko) 항염증 활성이 있는 길경 추출물
KR101938056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41300A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탈 멜론 및 이의 추출물
Shrirao et al. Madhuca longifolia (Sapotaceae):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and Phyto-Pharmacological Profile
KR100663181B1 (ko)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산조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16909B1 (ko)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070531A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用または抗炎症用の食品、医薬、動物飼料用組成物および化粧品原料用組成物
KR100678565B1 (ko) 뇌혈류량 증가용 조성물
KR101533487B1 (ko) 개가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요로결석 조성물
JP2004300082A (ja) 抗腫瘍剤
KR101890345B1 (ko) 고추씨 추출물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252780A (ja) アポトーシス誘導剤
KR20140142515A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2358B1 (ko) 좁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