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206A -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206A
KR20160120206A KR1020160039068A KR20160039068A KR20160120206A KR 20160120206 A KR20160120206 A KR 20160120206A KR 1020160039068 A KR1020160039068 A KR 1020160039068A KR 20160039068 A KR20160039068 A KR 20160039068A KR 20160120206 A KR20160120206 A KR 20160120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pellent
repellent agent
section
substrate
predetermine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195B1 (ko
Inventor
고타로 오이시
게이스케 에가시라
고우조우 다치바나
히데아키 우도우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4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combining dry and wet cleaning ste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46Dry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2Wet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3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dr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패턴 붕괴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기판 처리 장치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로 한다.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른 기판 처리 방법은, 발수화제 공급 공정과, 린스 공정과, 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발수화제 공급 공정은, 미리 설정된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후,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제2 정해진 온도가 된 발수화제를 기판에 공급한다. 린스 공정은, 발수화제 공급 공정후의 기판에 대하여 린스액을 공급한다. 건조 공정은, 린스 공정후의 기판의 린스액을 제거한다.

Description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개시하는 실시형태는,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기판 처리 장치에서의 세정 처리에 있어서는, 기판에 린스액을 공급하여 린스 처리를 실시한 후에 기판을 건조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기판 건조시에, 린스액의 표면 장력이 기판의 패턴에 작용하여 패턴 붕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 린스 처리전에 기판에 발수화제를 공급하여 기판의 발수화 처리를 행해 놓음으로써, 기판 건조시에 린스액으로부터 기판의 패턴에 작용하는 힘을 저감하여, 패턴 붕괴를 억제하도록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발수화제를 비교적 높은 온도까지 가열함과 함께, 또한 발수화제를 항상 가열하여 고온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기판에 공급함으로써, 기판의 발수화를 촉진시켜 발수화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2232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고온의 상태로 유지된 발수화제가 기판 처리 장치 내에 흐르게 된다. 그 때문에, 기판 처리 장치 내의 분위기 온도가 변화하여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었다.
실시형태의 일 양태는, 기판의 패턴 붕괴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기판 처리 장치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른 기판 처리 방법은, 발수화제 공급 공정과, 린스 공정과, 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발수화제 공급 공정은, 미리 설정된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후, 상기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제2 정해진 온도가 된 발수화제를 기판에 공급한다. 린스 공정은, 상기 발수화제 공급 공정후의 상기 기판에 대하여 린스액을 공급한다. 건조 공정은, 상기 린스 공정후의 상기 기판의 상기 린스액을 제거한다.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의하면, 기판의 패턴 붕괴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기판 처리 장치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처리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웨이퍼의 건조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기판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처리 유닛에서 실행되는 기판 세정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개시하는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기판 처리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을 규정하고, Z축 정방향을 연직 상향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처리 시스템(1)은, 반입 반출 스테이션(2)과, 처리 스테이션(3)을 구비한다. 반입 반출 스테이션(2)과 처리 스테이션(3)은 인접하여 마련된다.
반입 반출 스테이션(2)은, 캐리어 배치부(11)와, 반송부(12)를 구비한다. 캐리어 배치부(11)에는, 복수매의 기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웨이퍼(이하 웨이퍼(W))를 수평 상태로 수용하는 복수의 캐리어(C)가 배치된다.
반송부(12)는, 캐리어 배치부(11)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기판 반송 장치(13)와, 전달부(14)를 구비한다. 기판 반송 장치(13)는, 웨이퍼(W)를 유지하는 웨이퍼 유지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기판 반송 장치(13)는, 수평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의 이동 및 연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가 가능하고, 웨이퍼 유지 기구를 이용하여 캐리어(C)와 전달부(14) 사이에서 웨이퍼(W)의 반송을 행한다.
처리 스테이션(3)은, 반송부(12)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처리 스테이션(3)은, 반송부(15)와, 복수의 처리 유닛(16)을 구비한다. 복수의 처리 유닛(16)은, 반송부(15)의 양측에 배열되어 마련된다.
반송부(15)는, 내부에 기판 반송 장치(17)를 구비한다. 기판 반송 장치(17)는, 웨이퍼(W)를 유지하는 웨이퍼 유지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기판 반송 장치(17)는, 수평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의 이동 및 연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가 가능하고, 웨이퍼 유지 기구를 이용하여 전달부(14)와 처리 유닛(16) 사이에서 웨이퍼(W)의 반송을 행한다.
처리 유닛(16)은, 기판 반송 장치(17)에 의해 반송되는 웨이퍼(W)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기판 처리를 행한다.
또한, 기판 처리 시스템(1)은 제어 장치(4)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4)는, 예를 들면 컴퓨터이며, 제어부(18)와 기억부(19)를 구비한다. 기억부(19)에는,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 실행되는 각종 처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18)는, 기억부(19)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기판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것으로서, 그 기억 매체로부터 제어 장치(4)의 기억부(19)에 인스톨된 것이어도 좋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HD), 플렉시블 디스크(FD), 컴팩트 디스크(CD), 마그넷 옵티컬 디스크(MO),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우선 반입 반출 스테이션(2)의 기판 반송 장치(13)가, 캐리어 배치부(11)에 배치된 캐리어(C)로부터 웨이퍼(W)를 취출하고, 취출된 웨이퍼(W)를 전달부(14)에 배치한다. 전달부(14)에 배치된 웨이퍼(W)는, 처리 스테이션(3)의 기판 반송 장치(17)에 의해 전달부(14)로부터 취출되어, 처리 유닛(16)에 반입된다.
처리 유닛(16)에 반입된 웨이퍼(W)는, 처리 유닛(16)에 의해 처리된 후, 기판 반송 장치(17)에 의해 처리 유닛(16)으로부터 반출되어, 전달부(14)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달부(14)에 배치된 처리가 끝난 웨이퍼(W)는, 기판 반송 장치(13)에 의해 캐리어 배치부(11)의 캐리어(C)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처리 유닛(16)의 개략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처리 유닛(16)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유닛(16)은, 챔버(20)와, 기판 유지 기구(30)와, 처리 유체 공급부(40)와, 회수컵(50)을 구비한다.
챔버(20)는, 기판 유지 기구(30)와 처리 유체 공급부(40)와 회수컵(50)을 수용한다. 챔버(20)의 천장부에는 FFU(Fan Filter Unit)(21)가 마련된다. FFU(21)는 챔버(20) 내에 다운 플로우를 형성한다.
기판 유지 기구(30)는, 유지부(31)와, 지주부(32)와, 구동부(33)를 구비한다. 유지부(31)는 웨이퍼(W)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지주부(32)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며, 기단부가 구동부(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있어서 유지부(31)를 수평으로 지지한다. 구동부(33)는, 지주부(32)를 연직축 둘레에 회전시킨다. 이러한 기판 유지 기구(30)는, 구동부(33)를 이용하여 지주부(32)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주부(32)에 지지된 유지부(31)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유지부(31)에 유지된 웨이퍼(W)를 회전시킨다.
처리 유체 공급부(40)는 웨이퍼(W)에 대하여 처리 유체를 공급한다. 처리 유체 공급부(40)는 처리 유체 공급원(70)에 접속된다.
회수컵(50)은, 유지부(3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유지부(31)의 회전에 의해 웨이퍼(W)로부터 비산하는 처리액을 포집한다. 회수컵(50)의 바닥부에는, 배액구(51)가 형성되어 있고, 회수컵(50)에 의해 포집된 처리액은, 이러한 배액구(51)로부터 처리 유닛(16)의 외부에 배출된다. 또한, 회수컵(50)의 바닥부에는, FFU(21)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처리 유닛(16)의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구(52)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유닛(16)은, 예를 들면, 웨이퍼(W)에 대하여 각종 처리액을 토출함으로써 웨이퍼(W)에 각종 액처리를 실시한 후, 웨이퍼(W) 상에 잔존하는 액체를 제거하는 건조 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웨이퍼(W)를 건조시킬 때에, 웨이퍼(W) 상에 형성된 패턴이 붕괴하는 경우가 있었다. 도 3은, 웨이퍼(W)의 건조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웨이퍼(W)의 모식 확대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건조 처리는, 웨이퍼(W) 상의 패턴(P) 사이에 처리액(예를 들면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DIW(순수))이 잔존한 상태로 개시된다. 이 때, 처리액으로부터 패턴(P)에 대하여, 패턴(P)을 붕괴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패턴 붕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미리 웨이퍼(W)에 발수화제를 공급하여 발수화 처리를 실시해 놓으면, 처리액은 패턴(P)과의 접촉 각도 θ를 90° 가깝게 유지한 채로 건조해 가게 된다. 이에 따라, 처리액으로부터 패턴(P)에 작용하는 붕괴시키고자 하는 힘을 저감할 수 있고, 따라서 패턴(P)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수화제를 비교적 높은 온도까지 가열함과 함께, 또한 발수화제를 항상 가열하여 고온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웨이퍼(W)에 공급함으로써, 웨이퍼(W)의 발수화를 촉진시켜 발수화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기판 처리 시스템(1) 내의 분위기 온도가 고온의 발수화제에 의해 변화하여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웨이퍼(W)의 패턴(P) 붕괴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기판 처리 시스템(1)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하, 이러한 점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처리 유닛(16)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1)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기판 처리 시스템(1)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기판 처리 시스템(1)은 기판 처리 장치의 일례이고, 처리 유닛(16)은 처리부의 일례이다.
기판 처리 시스템(1)의 처리 유닛(16)에서는, 예를 들면 웨이퍼(W)의 세정이나 발수화, 건조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세정 처리가 행해진다. 또, 처리 유닛(16)에서 행해지는 미리 정해진 기판 처리는, 상기 세정 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현상 처리나 에칭 처리 등 그 밖의 종류의 처리이어도 좋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처리 유닛(16)은, 각각 처리 유체 공급부(40)를 구비한다. 이러한 처리 유체 공급부(40)는, 노즐(41)과, 노즐(41)에 일단이 접속되는 배관(42)을 구비한다. 노즐(41)은, 처리 유닛(16)의 챔버(20) 내에 수용되며, 예를 들면 웨이퍼(W)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각 처리 유닛(16)의 노즐(41)로부터 연장되는 배관(42)의 타단은, 처리 유닛(16)의 챔버(20) 밖에서 한번 합류한 후, 다연(多連) 전환 밸브(71)를 통해 복수로 분기된다. 또, 도 4에서는, 배관(42)이 합류하는 위치를 부호 A로 나타냈다.
상기 다연 전환 밸브(71)는, 약액용 밸브(71a)와, IPA(이소프로필알콜)용 밸브(71b)와, 린스액용 밸브(71c)와, 발수화제용 밸브(71d)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다연 전환 밸브(71)에서 분기된 배관(42)은 각각, 약액용 밸브(71a)를 통해 약액 공급원(70a)에, IPA용 밸브(71b)를 통해 IPA 공급원(70b)에, 린스액용 밸브(71c)를 통해 린스액 공급원(70c)에, 발수화제용 밸브(71d)를 통해 발수화제 공급원(70d)에 접속된다.
또, 이하에서는, 약액 공급원(70a)에 접속되는 배관(42)을 「배관(42a)」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IPA 공급원(70b)에 접속되는 배관(42)을 「배관(42b)」, 린스액 공급원(70c)에 접속되는 배관(42)을 「배관(42c)」, 발수화제 공급원(70d)에 접속되는 배관(42)을 「배관(42d)」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관(42) 중, 각 처리 유닛(16)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배관(42e)」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 유체 공급부(40)는, 약액 공급원(70a)으로부터 배관(42a)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약액, IPA 공급원(70b)으로부터 배관(42b)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IPA, 린스액 공급원(70c)으로부터 배관(42c)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린스액, 발수화제 공급원(70d)으로부터 배관(42d)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발수화제를, 노즐(41)로부터 웨이퍼(W)에 대하여 토출한다. 또, 처리 유체 공급부(40)는, 발수화제 공급부 및 린스 공급부의 일례이다.
또, 여기서는, 처리 유체 공급부(40)가 처리 유닛(16)마다 하나의 노즐(41)을 구비하는 경우의 예에 관해 설명하지만, 처리 유체 공급부(40)는, 각 처리액에 대응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즉, 각 처리 유닛(16)에 있어서, 처리 유체 공급부(40)는, 약액 공급원(70a)에 접속되어 약액을 토출하는 노즐과, IPA 공급원(70b)에 접속되어 IPA를 토출하는 노즐과, 린스액 공급원(70c)에 접속되어 린스액을 토출하는 노즐과, 발수화제 공급원(70d)에 접속되어 발수화제를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약액으로는, 예를 들면 처리 유닛(16)에서 세정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세정액의 일종인 DHF(희불산)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IPA 공급원(70b)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IPA 공급원(70b) 대신에, 예를 들면 IPA 이외의 휘발성 용제의 공급원이어도 좋다. 또한, 린스액으로는, 예를 들면 DIW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종류의 린스액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수화제는, 예를 들면 웨이퍼(W)의 표면을 발수화하기 위한 발수화제를 시너로 소정의 농도로 희석한 것이다. 여기서, 발수화제로는, 실릴화제(또는 실란커플링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TMSDMA(트리메틸실릴디메틸아민), DMSDMA(디메틸실릴디메틸아민), TMSDEA(트리메틸실릴디에틸아민), HMDS(헥사메틸디실라잔), 및 TMDS(1,1,3,3-테트라메틸디실라잔) 등을 발수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너로는, 에테르류 용매나, 케톤에 속하는 유기 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GME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HFE(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등을 시너로서 이용할 수 있다.
기판 처리 시스템(1)은 또한, 저류부(43)와, 펌프(44)와, 필터(45)와, 유량 조정기(46)와, 가열부(80)와, 냉각부(81)를 구비한다. 저류부(43)는, 발수화제 공급원(70d)과 처리 유닛(16) 사이의 배관(42d)에 설치되어, 발수화제 공급원(70d)으로부터 공급된 발수화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이와 같이, 배관(42d)의 도중에 저류부(43)가 설치됨으로써, 예를 들면 발수화제 공급원(70d)으로부터 노즐(41)에 대하여, 급격히 압력이 변화하거나, 맥동하거나 하는 발수화제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저류부(43)로는, 예를 들면 버퍼 탱크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배관(42d)에 저류부(43)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관(42a∼42c)에도 저류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배관(42d) 중 저류부(43)보다 상류측, 즉 발수화제 공급원(70d) 측을 「상류 배관(42d1)」으로 기재하고, 저류부(43)보다 하류측, 즉 처리 유닛(16)측을 「하류 배관(42d2)」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펌프(44)는, 하류 배관(42d2)에 설치되어, 저류부(43)의 발수화제를 처리 유닛(16)으로 송출한다. 또한, 필터(45)는, 하류 배관(42d2)에서 펌프(44)보다 하류측에 설치되어, 예를 들면 발수화제에 포함되는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유량 조정기(46)는, 하류 배관(42d2)에서 다연 전환 밸브(71)와 처리 유닛(16)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유량 조정기(46)는 처리 유닛(16)마다 설치되어, 대응하는 처리 유닛(16)에 공급되는 발수화제나 약액 등의 유량을 조정한다.
가열부(80)는, 배관(42d)에 설치되어 발수화제를 가열한다. 자세하게는, 가열부(80)는, 발수화제 공급원(70d)과 처리 유닛(16) 사이의 배관(42d) 중 상류 배관(42d1)에 설치되어, 저류부(43)에 공급되기 전의 발수화제를 가열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80)는, 발수화제를 미리 설정된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한다.
제1 정해진 온도는, 임의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상온보다 높고 발수화제의 비점보다 낮은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정해진 온도는 약 30∼70℃이 바람직하다. 또, 상온이란, 예를 들면 기판 처리 시스템(1)이 설치되는 장소의 실온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열부(80)로는, 예를 들면 온도 조절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온도 조절기는, 예를 들면 물 등의 액체가 순환되는 관로를 가지며, 이러한 관로 내에 흐르는 액체와 배관(42d)에 흐르는 발수화제로 열교환이 행해짐으로써, 발수화제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여기서는 제1 정해진 온도)로 조절한다. 또, 가열부(80)는, 상기 온도 조절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전기 히터 등 그 밖의 가열 기구이어도 좋다.
냉각부(81)는, 배관(42d)에 설치되어 발수화제를 냉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냉각부(81)는, 배관(42d)에서 가열부(80)보다 하류측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42d)의 도중에 있는 저류부(43)에 설치된다.
그리고, 냉각부(81)는, 저류부(43)에 저류된 발수화제를 냉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냉각부(81)는, 발수화제를 제2 정해진 온도까지 냉각시킨다. 제2 정해진 온도는,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상온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81)로는, 가열부(8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온도 조절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온도 조절기는, 예를 들면 관로 내에 흐르는 액체와 저류부(43)의 발수화제로 열교환이 행해짐으로써, 발수화제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여기서는 제2 정해진 온도)로 조절한다. 또, 냉각부(81)는, 상기 수냉식의 온도 조절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공랭식의 온도 조절기 등 그 밖의 냉각 기구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발수화제 공급원(70d)으로부터 공급된 발수화제는, 가열부(80)에서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후, 냉각부(81)에서 제2 정해진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되게 된다. 그리고, 제2 정해진 온도가 된 발수화제가 노즐(41)로부터 웨이퍼(W)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웨이퍼(W)의 발수화를 촉진시킬 수 있어 발수화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발수화제를 상온인 채로, 즉 가열하지 않고 웨이퍼(W)에 공급한 경우와 비교하면, 상온인 채인 경우, 웨이퍼(W)를 충분히 발수화시킬 때까지 발수화제를 약 60초간 웨이퍼(W)에 공급할 필요가 있었다.
또, 여기서, 웨이퍼(W)를 충분히 발수화시킨다는 것은, 예를 들면, 발수화 처리후의 건조 처리에 있어서, 린스액과 웨이퍼(W)의 패턴(P)의 접촉 각도 θ(도 3 참조)를 90° 가깝게 유지한 채로 건조시킬 수 있을 정도의 발수성을 웨이퍼(W)에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가열후에 냉각된 발수화제를 약 30초간 웨이퍼(W)에 공급함으로써, 웨이퍼(W)를 충분히 발수화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예를 들면, 발수화제를 비교적 높은 온도까지 가열함과 함께, 또한 고온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웨이퍼(W)에 공급하는 경우와 동등한 결과이다.
이것에 관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발수화제를 가온한 후에 냉각시킴으로써, 발수화제 중의 시너 등의 용매가 휘발하여, 예를 들면 실릴화액 성분이나 활성제의 농도가, 웨이퍼(W)의 발수화를 촉진시키는 것보다 좋은 밸런스가 된다고 하는 지견을 얻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가온한 후에 냉각시킨 발수화제를 웨이퍼(W)에 공급함으로써, 웨이퍼(W)의 발수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비교적 고온의 발수화제가 웨이퍼(W)에 공급된 경우, 처리 유닛(16)의 챔버(20) 내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1) 내의 분위기 온도가 변화하여, 세정 처리 등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발수화제가 냉각부(81)에서 제2 정해진 온도(예를 들면 상온)까지 냉각되고 나서 웨이퍼(W)에 공급되기 때문에, 처리 유닛(16)의 챔버(20) 내부 등의 기판 처리 시스템(1)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처리 유닛(16)에 있어서 세정 처리 등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고온의 상태로 유지된 발수화제가 기판 처리 시스템(1) 내에 흐르면, 기판 처리 시스템(1)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하는 등, 사용 부품에 대한 제한이 많아질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발수화제가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제2 정해진 온도가 되기 때문에, 냉각부(81)보다 하류측의 배관(42d)(하류 배관(42d2) 등)이나 펌프(44), 필터(45), 유량 조정기(46), 노즐(41), 회수컵(50) 등은, 예를 들면 내열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기판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사용 부품의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열부(80) 및 냉각부(81)가 배관(42d)에 설치됨으로써, 발수화제를 용이하게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한 후 제2 정해진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부(81)는 배관(42d) 도중의 저류부(43)에 설치되기 때문에, 발수화제를 제2 정해진 온도까지 확실하게 냉각시키고 나서, 웨이퍼(W)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히터 등으로 발수화제를 항상 가열하는 것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 처리 시스템(1) 전체적으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2. 기판 처리의 구체적 동작>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판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처리 유닛(16)에서 실행되는 소정의 기판 처리의 내용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16)에서는, 기판 세정 처리가 행해진다.
도 5는, 처리 유닛(16)에서 실행되는 기판 세정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기판 세정 처리의 처리 순서는, 제어 장치(4)의 기억부(19)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제어부(18)가 읽어냄과 함께, 읽어낸 명령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6) 등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제어부(18)는, 발수화제를 가열하는 가열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1). 이러한 가열 처리에서는, 상기와 같이, 발수화제 공급원(70d)으로부터 공급된 발수화제가, 가열부(80)에 의해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어서, 제어부(18)는, 발수화제를 냉각시키는 냉각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2). 이러한 냉각 처리에서는,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되어 저류부(43)에 공급된 발수화제가, 냉각부(81)에 의해 제2 정해진 온도까지 냉각된다.
또, 여기서는, 발수화제의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가 최초에 행해지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발수화제의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발수화 처리의 전까지 행해지도록 하면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8)는, 기판 반송 장치(17)(도 1 참조)에 의해 처리 유닛(16)의 챔버(20) 내에 웨이퍼(W)를 반입한다(단계 S103). 웨이퍼(W)는, 패턴 형성면을 상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유지부(31)(도 2 참조)에 유지된다. 그 후, 제어부(18)는, 유지부(31)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제어부(18)는 세정액 공급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4).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8)는, 약액용 밸브(71a)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180초간) 개방시킴으로써, 노즐(41)로부터 회전하는 웨이퍼(W)를 향해 세정액인 DHF를 토출시킨다. 웨이퍼(W)에 공급된 DHF는, 웨이퍼(W)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 웨이퍼(W)의 상면 전체에 퍼진다. 이에 따라, 웨이퍼(W)가 세정된다.
이어서, 제어부(18)는 제1 린스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5). 제어부(18)는, 린스액용 밸브(71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초간) 개방시킴으로써, 노즐(41)로부터 회전하는 웨이퍼(W)를 향해 린스액인 DIW를 토출시킨다. 웨이퍼(W)에 공급된 DIW는, 웨이퍼(W)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 웨이퍼(W)의 상면 전체에 퍼진다. 이에 따라, 웨이퍼(W)의 상면에 잔존하는 DHF를 DIW에 의해 씻어낸다.
이어서, 제어부(18)는 제1 IPA 공급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6). 제어부(18)는, IPA용 밸브(71b)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초간) 개방시킴으로써, 노즐(41)로부터 회전하는 웨이퍼(W)에 IPA를 토출시킨다. 웨이퍼(W)에 공급된 IPA는, 웨이퍼(W)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 웨이퍼(W)의 상면 전체에 퍼진다. 이에 따라, 웨이퍼(W) 상면의 액체가, 후단의 발수화 처리에서 웨이퍼(W)에 토출되는 발수화제와 친화성을 갖는 IPA로 치환된다. 또, IPA는, DIW와의 친화성도 갖기 때문에, DIW로부터 IPA로의 치환도 용이하다.
이어서, 제어부(18)는 웨이퍼(W)의 발수화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7). 제어부(18)는, 발수화제용 밸브(71d)를 소정 시간 개방시킴으로써, 노즐(41)로부터 회전하는 웨이퍼(W)를 향해 발수화제인 실릴화제를 토출시킨다. 발수화제용 밸브(71d)를 개방하는 소정 시간은, 웨이퍼(W)를 충분히 발수화시킬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되며, 예를 들면 30초로 설정된다.
웨이퍼(W)에 공급된 발수화제는, 웨이퍼(W)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 웨이퍼(W)의 상면 전체에 퍼진다. 이에 따라, 웨이퍼(W) 상면의 OH기에 실릴기가 결합하여 웨이퍼(W) 상면에 발수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발수화 처리를 행하여 웨이퍼(W)를 발수화시킴으로써, 후단의 건조 처리에 있어서, DIW는 패턴(P)과의 접촉 각도 θ(도 3 참조)를 90° 가깝게 유지한 채 건조해 가게 된다. 이에 따라, DIW로부터 패턴(P)에 작용하는 붕괴시키고자 하는 힘을 저감할 수 있고, 따라서 패턴(P)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8)는 제2 IPA 공급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8). 제2 IPA 공급 처리는, 상기 제1 IPA 공급 처리와 동일한 순서로 행해진다. 이러한 제2 IPA 공급 처리에 의해, 웨이퍼(W) 상면에 잔존하는 발수화제가 IPA로 치환된다.
이어서, 제어부(18)는 제2 린스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9). 제2 린스 처리는, 상기 제1 린스 처리와 동일한 순서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웨이퍼(W)의 상면에 잔존하는 IPA를 DIW에 의해 씻어낸다. 또, 상기에서는, 제2 린스 처리에 있어서 린스액으로서 DIW를 이용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린스액은 IPA나, IPA와 DIW의 혼합액 등이어도 좋다.
여기서, 제2 린스 처리는, 웨이퍼(W) 상면에 잔존하는 발수화제를 제거하여, 건조후의 웨이퍼(W)의 청정도를 높이는 것이다. 그 때문에, 린스액을 IPA로 하는 경우, 앞서 기재한 웨이퍼(W)에 발수화제를 공급하는 발수화 처리후의 IPA의 치환 처리가 IPA에 의한 린스 처리로 치환된다. 린스액을 IPA로 하는 경우, 제2 린스 처리에서의 린스액은 IPA 공급원(70b)으로부터 IPA용 밸브(71b)를 통해 공급된다. 즉, IPA 공급원(70b)과 IPA용 밸브(71b)가 린스 공급부로서도 기능한다.
린스액을 IPA와 DIW의 혼합액으로 하는 경우, 제2 린스 처리에서의 린스액은 IPA 공급원(70b)으로부터 IPA용 밸브(71b)를 통해 공급되는 IPA와 린스액 공급원(70c)으로부터 린스액용 밸브(71c)를 통해 공급되는 DIW를 혼합하여 공급해도 좋다.
이어서, 제어부(18)는 건조 처리를 행한다(단계 S110). 제어부(18)는, 기판 유지 기구(30)의 구동부(33)(도 2 참조)를 제어하여, 웨이퍼(W)의 회전 속도를 증속시킴으로써 웨이퍼(W) 상의 DIW를 털어내어 웨이퍼(W)를 건조시킨다.
또한, 린스액을 IPA 또는, IPA와 DIW의 혼합액으로 하는 경우, 웨이퍼(W) 상의 IPA 또는, IPA와 DIW의 혼합액을 털어내어 웨이퍼(W)를 건조시킨다.
그 후, 제어부(18)는 반출 처리를 행한다(단계 S111). 제어부(18)는, 구동부(33)(도 2 참조)를 제어하여 웨이퍼(W)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웨이퍼(W)를 기판 반송 장치(17)(도 1 참조)에 의해 처리 유닛(16)으로부터 반출한다. 이러한 반출 처리가 완료하면, 1장의 웨이퍼(W)에 관한 일련의 기판 처리가 완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방법은, 발수화제 공급 공정과, 린스 공정과, 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발수화제 공급 공정은, 미리 설정된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후,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제2 정해진 온도가 된 발수화제를 웨이퍼(W)에 공급한다. 린스 공정은, 발수화제 공급 공정후의 웨이퍼(W)에 대하여 린스액을 공급한다. 건조 공정은, 린스 공정후의 웨이퍼(W)의 린스액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웨이퍼(W)의 패턴(P) 붕괴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웨이퍼(W)에서의 발수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닛(16)의 챔버(20) 내부 등의 기판 처리 시스템(1)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1. 제1 변형예>
상기 기판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가열부(80) 및 냉각부(81)가 설치되는 장소는, 도 4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가열부(80) 및 냉각부(81)가 설치되는 장소의 변형예에 관해, 도 6∼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도 9는, 제1∼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시스템(1)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이하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기판 처리 시스템(1)에 대하여 상이한 점에 초점을 두고 설명한다.
제1 변형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부(81)가, 배관(42d) 중 하류 배관(42d2)이자 펌프(44)보다 상류측에 설치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발수화제를 용이하게 제2 정해진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즉, 발수화제는 저류부(43)에 일단 저류되기 때문에, 온도가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진 상태의 발수화제를 하류 배관(42d2)에서 냉각시키게 되므로, 냉각부(81)는 발수화제를 용이하게 제2 정해진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도, 냉각부(81)보다 하류측의 배관(42d)이나 펌프(44), 필터(45), 유량 조정기(46), 노즐(41), 회수컵(50) 등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요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 부품의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
<3-2. 제2 변형예>
제2 변형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부(81)가, 각 처리 유닛(16) 내의 배관(42e)에 설치되도록 했다. 이와 같이, 각 처리 유닛(16) 내에서 발수화제를 제2 정해진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복수의 처리 유닛(16) 사이에서 발수화제의 온도에 변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냉각부(81)보다 하류측의 배관(42e)이나 노즐(41), 회수컵(50) 등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요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 부품의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2 변형예 및 후술하는 제4 변형예에서의 발수화제의 냉각 처리는, 도 5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제1 IPA 공급 처리(단계 S106)의 후이자 발수화 처리(단계 S107)의 전에 행해진다.
<3-3. 제3 변형예>
제3 변형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부(80)가 저류부(43)에 설치됨과 함께, 냉각부(81)가 하류 배관(42d2)이자 펌프(44)보다 상류측에 설치되도록 했다. 이와 같이, 가열부(80)가 배관(42d) 도중의 저류부(43)에 설치되기 때문에, 발수화제를 제1 정해진 온도까지 확실하게 가열하고 나서, 웨이퍼(W)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열부(80)보다 상류의 상류 배관(42d1) 등은, 예를 들면 내열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의 사용 부품의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81)보다 하류측의 배관(42d)이나 펌프(44), 필터(45), 유량 조정기(46), 노즐(41), 회수컵(50) 등에 관해서도 내열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요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 부품의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3 변형예에서, 냉각부(81)를 하류 배관(42d2)에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처리 유닛(16) 내의 배관(42e)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3-4. 제4 변형예>
제4 변형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부(80)가 하류 배관(42d2)이자 펌프(44)보다 상류측에 설치됨과 함께, 냉각부(81)가 각 처리 유닛(16) 내의 배관(42e)에 설치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가열부(80)보다 상류의 저류부(43)나 상류 배관(42d1) 등은, 예를 들면 내열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의 사용 부품의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81)보다 하류측의 배관(42e)이나 노즐(41), 회수컵(50) 등에 관해서도 내열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요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 부품의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제1∼제4 변형예에서의 가열부(80) 및 냉각부(81)가 설치되는 장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발수화제를 가열후에 냉각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장소에 설치해도 되며, 예를 들면 가열부(80) 및 냉각부(81) 양쪽 모두 상류 배관(42d1)나 저류부(43)에 설치하거나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제1∼제4 변형예에서는, 가열부(80) 및 냉각부(81)를 구비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부(80) 및 냉각부(81)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제거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가열부(80)만을 구비하고, 냉각부(81)가 제거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가열부(80)에서 제1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상태의 발수화제는, 배관(42d) 등을 통해 방열됨으로써 제2 정해진 온도까지 낮아져, 웨이퍼(W)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가열부(80)가 제거되고, 냉각부(81)만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발수화제 공급원(70d)으로부터는, 이미 제1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상태의 발수화제가 기판 처리 시스템(1)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 처리 시스템(1)에서는, 가열부(80) 및 냉각부(81) 양쪽을 모두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발수화제 공급원(70d)으로부터는, 이미 제1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후에 제2 정해진 온도가 된 발수화제가 기판 처리 시스템(1)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양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기술한 특정한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기판 처리 시스템 4 : 제어 장치
16 : 처리 유닛 18 : 제어부
19 : 기억부 40 : 처리 유체 공급부
41 : 노즐 42 : 배관
43 : 저류부 70 : 처리 유체 공급원
70a : 약액 공급원 70b : IPA 공급원
70c : 린스액 공급원 70d : 발수화제 공급원
80 : 가열부 81 : 냉각부
W : 웨이퍼

Claims (13)

  1. 미리 설정된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후, 상기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제2 정해진 온도가 된 발수화제를 기판에 공급하는 발수화제 공급 공정과,
    상기 발수화제 공급 공정후의 상기 기판에 대하여 린스액을 공급하는 린스 공정과,
    상기 린스 공정후의 상기 기판의 상기 린스액을 제거하는 건조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 공정전에, 상기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상기 발수화제를 상기 제2 정해진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 공정전에, 상기 발수화제를 상기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해진 온도는 상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방법.
  5. 발수화제를 기판에 공급하는 발수화제 공급부와,
    린스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린스 공급부와,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후, 상기 제1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제2 정해진 온도가 된 상기 발수화제를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발수화 처리와, 상기 발수화 처리후의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린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린스액을 공급하는 린스 처리와, 상기 린스 처리후의 상기 기판의 상기 린스액을 건조시키는 건조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에 접속되고, 상기 발수화제를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에 공급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발수화제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상기 발수화제를, 상기 냉각부에서 상기 제2 정해진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가 수용되고, 상기 발수화 처리가 행해지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처리부 내의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가 수용되고, 상기 발수화 처리가 행해지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는, 발수화제 공급원과 상기 처리부 사이의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원과 상기 처리부 사이의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발수화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발수화제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저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에 접속되고, 상기 발수화제를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에 공급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발수화제를 가열하는 가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발수화제를 상기 제1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부가 수용되고, 상기 발수화 처리가 행해지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발수화제 공급원과 상기 처리부 사이의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화제 공급원과 상기 처리부 사이의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발수화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발수화제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13.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해진 온도는 상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0160039068A 2015-04-07 2016-03-31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513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8230A JP6420707B2 (ja) 2015-04-07 2015-04-07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JP-P-2015-078230 2015-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206A true KR20160120206A (ko) 2016-10-17
KR102513195B1 KR102513195B1 (ko) 2023-03-22

Family

ID=5711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068A KR102513195B1 (ko) 2015-04-07 2016-03-31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65452B2 (ko)
JP (1) JP6420707B2 (ko)
KR (1) KR102513195B1 (ko)
TW (1) TWI6497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7814B2 (en) * 2016-02-15 2020-12-15 Tokyo Electron Limited Liquid processing metho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979852B2 (ja) * 2017-10-26 2021-12-1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処理液供給装置、基板処理装置、および処理液供給方法
JP7060415B2 (ja) * 2018-03-12 2022-04-2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US11875991B2 (en) * 2018-06-13 2024-01-16 Tokyo Electron Limited Substrate treatment method and substrate treatment device
JP7058735B2 (ja) * 2018-06-27 2022-04-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洗浄方法、基板洗浄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JP7446097B2 (ja) * 2019-12-06 2024-03-08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剤及び表面処理方法
JP2022143230A (ja) * 2021-03-17 2022-10-0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682A (ko) * 2011-04-14 2012-10-2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에칭 장치 및 기억 매체
JP2012222329A (ja) 2011-04-14 2012-11-12 Tokyo Electron Ltd 液処理方法及び液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0383B2 (ja) * 2010-12-27 2013-10-2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液処理装置及び基板液処理方法並びに基板液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3118347A (ja) 2010-12-28 2013-06-13 Central Glass Co Ltd ウェハ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682A (ko) * 2011-04-14 2012-10-2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에칭 장치 및 기억 매체
JP2012222329A (ja) 2011-04-14 2012-11-12 Tokyo Electron Ltd 液処理方法及び液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195B1 (ko) 2023-03-22
US20160300710A1 (en) 2016-10-13
JP2016201385A (ja) 2016-12-01
TW201705191A (zh) 2017-02-01
JP6420707B2 (ja) 2018-11-07
US9865452B2 (en) 2018-01-09
TWI649779B (zh)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195B1 (ko)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605399B1 (ko)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426272B1 (ko) 액 처리 방법, 기판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US20170200624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2652176B1 (ko) 액 처리 방법, 기판 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2514003B1 (ko) 기판 처리 장치, 기판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US20170236729A1 (en) Liquid processing metho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638072B1 (ko)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US11515182B2 (en) Dry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drying method
JP6749405B2 (ja)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US10685858B2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6571253B2 (ja)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US20190164785A1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