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713A - 자동차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713A
KR20160118713A KR1020150047248A KR20150047248A KR20160118713A KR 20160118713 A KR20160118713 A KR 20160118713A KR 1020150047248 A KR1020150047248 A KR 1020150047248A KR 20150047248 A KR20150047248 A KR 20150047248A KR 20160118713 A KR20160118713 A KR 20160118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rack housing
pin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935B1 (ko
Inventor
이수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4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9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조향장치는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랙하우징;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에는 랙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끝단부가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하우징체결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외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및 랙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대경부와, 대경부에서 직경이 축소되며 제1 풀림방지부에 대응되도록 내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의 제2 풀림방지부가 형성된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을 포함하여,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립과정 누락으로 인한 조립불량을 해결하며 플러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Steer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풀림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내구 및 진동으로 인해 플러그가 풀리는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플러그가 베어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더불어 누락될 수 있는 수밀마감재를 도포한 후 조립하는 본딩공정과 플러그를 나사조립한 후 공구를 이용해 추가로 조여주는 확인공정 등을 대체하는 풀림방지부가 구비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100)는 랙하우징(150); 조향축(미도시)으로부터 회전운동을 입력받으며 하부 외주면에 피니언기어(107)가 형성되는 피니언샤프트(101); 피니언기어(107)와 치합되는 랙기어(122)가 형성되어 조향축(미도시)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바(120); 랙하우징(150)의 내부에 구비되며 피니언샤프트(1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피니언샤프트(101)를 지지하는 베어링(103), 상측이 피니언샤프트(101)의 외주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베어링(103)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압입됨으로써, 베어링(103)을 지지하는 스톱링(102), 랙하우징(150)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되 베어링(103)의 상부에 구비되며 피니언샤프트(101)가 관통되는 플러그(130), 피니언샤프트(1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플러그(130)의 상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더스트씰(104), 플러그(130)와 랙하우징(150) 사이에 구비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오링(109); 및 외부로부터 랙하우징(150) 내부로 먼지 또는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랙하우징(15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더스트캡(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플러그(130)는 베어링(103)의 외륜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베어링(103)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랙하우징(150)과 나사 결합하는데 내구 및 진동이 지속됨에 따라 나사결합이 풀려 베어링(103)이 이탈될 수 있어 풀림을 방지하도록 플러그(130)에 수밀마감재를 도포한 후 조립하는 본딩공정을 적용하거나 랙하우징(150)에 플러그(130)를 나사조립한 후 공구를 이용해 추가로 조여주는 확인공정을 적용한다.
그러나, 조립시 플러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플러그에 수밀마감재를 도포하는 본딩공정이나 공구로 플러그의 체결상태를 보완하는 확인공정 등이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주행 도중 플러그가 풀릴 수 있으며 플러그와 랙하우징의 유격으로 소음이 야기되어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딩공정이나 확인공정이 누락되지 않아도 내구 및 진동에 의해 플러그의 풀림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조향력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으며 조향감이 떨어지고 운전자가 쉽게 피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에 수밀마감재를 도포한 후 조립하는 본딩공정이나 랙하우징에 플러그를 나사조립한 후 공구를 이용해 추가로 조여주는 확인공정이 생략되거나 누락되어도 플러그가 풀려 베어링이 랙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구 및 진동에도 플러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조향력을 정확히 전달하며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랙하우징;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에는 랙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끝단부가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하우징체결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외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및 랙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대경부와, 대경부에서 직경이 축소되며 제1 풀림방지부에 대응되도록 내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의 제2 풀림방지부가 형성된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는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측외주면에 더스트캡이 결합되는 랙하우징;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에는 랙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끝단부가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하우징체결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랙하우징과 하우징체결부 사이에 결합되는 핀형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랙하우징의 내주면과 하우징체결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고정부재가 압축결합되는 자동차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같은 본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플러그에 수밀마감재를 도포한 후 조립하는 본딩공정이나 랙하우징에 플러그를 나사조립한 후 공구를 이용해 추가로 조여주는 확인공정 등을 대체하는 풀림방지부를 형성하여 주행 도중 플러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풀림방지부가 형성되어 내구 및 진동으로 인해 플러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베어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어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고 랙하우징 내부에 피니언샤프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서 조향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200)는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201)를 지지하는 베어링(203)이 결합되는 랙하우징(250); 피니언샤프트(201)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에는 랙하우징(250)과 나사결합되며 끝단부(249)가 베어링(203)의 외륜을 지지하는 하우징체결부(241)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외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풀림방지부(331)가 형성되는 플러그(230); 및 랙하우징(250)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대경부(215)와, 대경부(215)에서 직경이 축소되며 제1 풀림방지부(331)에 대응되도록 내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의 제2 풀림방지부(314)가 형성된 소경부(213)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210);을 포함한다.
랙하우징(250)의 하측은 피니언샤프트(201)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피니언기어(207)와 피니언기어(207)와 치합되는 랙기어(222)가 형성되며 조향축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바(220)를 둘러싼다.
또한, 랙하우징(250)에는 상측이 개구되어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203)이 결합되도록 베어링(203)이 안착되는 결합홈(252)이 형성되며, 베어링(203)의 내륜을 지지하는 스톱링(202)과 베어링(203)의 외륜을 지지하는 플러그(230)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더스트캡(210)이 결합된다.
더스트캡(210)은 엔진룸으로부터의 소음 및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측은 대시패널(208)에 지지되고 하측은 랙하우징(250)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된다.
피니언샤프트(201)는 외주측에 베어링(203)이 결합되어 회전 지지되고, 베어링(203)은 랙하우징(2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252)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스톱링(202)은 일측이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베어링(203)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압입됨으로써, 베어링(203)의 내륜을 지지한다.
플러그(230)는 피니언샤프트(201)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랙하우징(250)에 결합되는 하우징체결부(241)와 후술할 풀림방지부(331,314)가 구비된다.
하우징체결부(241)는 외주면에 나선형상의 나사부(243)가 형성되며 나사부(243)가 랙하우징(250)에 나사결합되면서 하우징체결부(241)의 끝단부(249)가 베어링(203)의 외륜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플러그(230)가 랙하우징(250)에 나사결합되므로 내구 및 진동으로 인해 플러그(230)가 풀리게 되며 이러한 플러그(2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종래에는 수밀마감재를 도포한 후 조립하는 본딩공정 또는 랙하우징(250)에 플러그(230)를 나사조립한 후 공구를 이용해 추가로 조여주는 확인공정을 추가하였으나, 본딩공정 및 확인공정은 조립과정에서 누락으로 인한 조립불량이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딩공정이나 확인공정 등이 없어도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풀림방지부(331,314)가 구비된다.
플러그(230)의 하측에는 랙하우징(250)과 나사결합되는 하우징체결부(241)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플러그(2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외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풀림방지부(331)가 구비된다.
더스트캡(210)에 피니언샤프트(201)를 감싸는 소경부(213)와 랙하우징(250) 상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대경부(215)가 형성되는데, 소경부(213)에는 제1 풀림방지부(331)의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에 결합되도록 내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풀림방지부(3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더스트캡(210)의 제2 풀림방지부(314)가 플러그(230)의 제1 풀림방지부(331)에 대응되면서 더스트캡(210)의 대경부(215)가 랙하우징(250) 상측에 결합되므로 플러그(23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플러그(230)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더스트캡(210)의 소경부(213)가 플러그(230)의 상측 외주면을 잡아주게 되는데, 플러그(230)의 제1 풀림방지부(331)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면 소경부(213)의 제2 풀림방지부(314)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풀림방지부(331)와 제2 풀림방지부(314)가 맞닿아 플러그(230)가 지지된다.
또한, 제1 풀림방지부(331)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풀림방지부(314)가 제1 풀림방지부(331)에 대응되도록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1 풀림방지부(331)의 오목 형상에 제2 풀림방지부(314)의 볼록 형상이 결합되어 플러그(230)가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풀림방지부(331)를 오목 형상으로 상술하였으나, 제1 풀림방지부(331)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풀림방지부(314)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러그(230)를 지지해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30)의 제1 풀림방지부(331)와 더스트캡(210)의 제2 풀림방지부(314)가 맞닿으면서 플러그(230)의 나사결합을 보조하여 플러그(230)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게 되고 플러그(230)의 풀림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플러그(230)의 끝단부(249)가 베어링(203)의 외륜을 지지하면서 하우징체결부(241)가 랙하우징(250)에 나사결합된 후 시간이 지나거나 피니언샤프트(201)를 지지하는 베어링(203)의 진동이 지속되어도, 플러그(230)가 풀리지 않도록 풀림방지부(331,314)가 플러그(230)와 더스트캡(210)에 형성되어 플러그(230)를 지지해주며 별도의 추가공정이 수반되지 않는다.
별도의 추가공정이 수반되지 않음으로써 종래의 본딩공정과 확인공정이 없어도 주행 도중 플러그(23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게 된다.
추가적으로, 플러그(230)가 풀리지 않도록 플러그(230)에 하우징체결부(24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단턱진 캡지지부(233)가 형성되며 캡지지부(233)에 더스트캡(210)이 지지되어 플러그(230)가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캡지지부(233)에 후술할 더스트캡(210)의 단턱면(217)이 밀착하여 지지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더스트캡(210)에 랙하우징(250)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대경부(215)와 대경부(215)에서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소경부(213)가 구비되며, 대경부(215)와 소경부(213)가 연결되는 부위에 캡지지부(233)를 하측으로 지지하는 단턱면(217)이 형성된다.
이러한 더스트캡(210)은 차체에 연결되는 대시패널(208)과 플러그(230) 사이에 결합되어 차체로부터 누름력을 전달받으며, 더스트캡(210)의 대경부(215)에서 내측으로 단턱진 단턱면(217)이 플러그(230)의 캡지지부(233)를 하측으로 지지하면서 누름력을 전달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더스트캡(210)의 상측은 차체를 지지하며 하측은 플러그(230)를 지지하므로 플러그(230)는 랙하우징(25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더스트캡(210)의 눌림력이 하측으로 가해져 고정되게 된다.
이처럼 더스트캡(210)의 단턱면(217)이 플러그(230)의 캡지지부(233)를 지지함으로써, 플러그(230)와 더스트캡(210)의 풀림방지부(331,314)가 어긋나지 않고 서로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게 한다.
또한, 플러그(23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플러그(230)의 끝단부(249)가 베어링(203)의 외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랙하우징(250) 내부에 피니언샤프트(20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조향력이 피니언기어(207)에 치합되는 랙바(22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한편, 플러그(230)의 제1 풀림방지부(331)는 플러그(23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랙하우징(250)에 베어링(203)을 지지하는 플러그(230)를 공구를 이용하여 조립시킬 때 공구에 알맞게 결합되어 플러그(230)조립 상태를 보완하므로 플러그(2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제1 풀림방지부(331)와 제2 풀림방지부(31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2곳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플러그(230)의 제1 풀림방지부(331)와 더스트캡(210)의 제2 풀림방지부(314)가 맞닿아 플러그(230)의 풀림을 방지해주기는 하나, 플러그(230)와 더스트캡(210)이 함께 풀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추가적으로 더스트캡(210)과 랙하우징(250)에 회전방지부(351,316)가 형성된다.
즉, 랙하우징(250)에 상측 외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의 제1 회전방지부(351)가 형성되며 대경부(215)의 내주면 일측에 제1 회전방지부(351)와 대향되는 위치에 평면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의 제2 회전방지부(316)가 형성되어, 랙하우징(250)과 더스트캡(210)의 회전이 방지되어 더스트캡(210)이 플러그(2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랙하우징(250)의 제1 회전방지부(351)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면 대경부(215)의 제2 회전방지부(316)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방지부(351)에 제2 회전방지부(316)가 맞닿아 더스트캡(210)이 풀리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며 더스트캡(210)이 플러그(23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제1 회전방지부(351)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회전방지부(351)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2 회전방지부(316)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방지부(351)의 오목 형상에 제2 회전방지부(316)의 볼록 형상이 결합되며 더스트캡(210)이 랙하우징(250)으로부터 회전되지 않아 플러그(2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회전방지부(351)를 오목 형상으로 하였으나, 제1 회전방지부(351)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회전방지부(316)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더스트캡(210)을 지지해줄 수도 있다.
한편, 플러그(230)는 하우징체결부(241)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씰안착부(235)가 형성되는데 씰안착부(235)의 내측끝단이 피니언샤프트(201)와 접촉하지않도록 씰안착부(235)의 내주면은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즉, 씰안착부(235)의 내주면이 피니언샤프트(20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피니언샤프트(20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씰안착부(235)에 더스트씰(204)이 결합된다.
더스트씰(204)은 플러그(230)의 씰안착부(235)에 구비되며 중앙으로 피니언샤프트(201)가 삽입 관통하고 플러그(230)에 압입되어 랙하우징(250) 내부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종래의 본딩공정과 확인공정 등과 같은 추가공정을 대체하도록 본 발명에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구조를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이어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400)는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201)를 지지하는 베어링(203)이 결합되며 상측 외주면에 더스트캡(210)이 결합되는 랙하우징(250); 피니언샤프트(201)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에는 랙하우징(250)과 나사결합되며 끝단부(249)가 베어링(203)의 외륜을 지지하는 하우징체결부(241)가 형성되는 플러그(230); 플러그(23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랙하우징(250)과 하우징체결부(241) 사이에 결합되는 핀형상의 고정부재(470);를 포함하며, 랙하우징(250)의 내주면과 하우징체결부(241)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가이드홈(445,45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45,455)에 상기 고정부재(470)가 결합된다.
랙하우징(250) 및 플러그(230)의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플러그(2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랙하우징(250)과 하우징체결부(241) 사이에 핀형상의 고정부재(470)가 결합되며, 고정부재(470)가 가이드되면서 결합되도록 랙하우징(250)의 내주면과 하우징체결부(241)의 외주면중 어느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가이드홈(445,455)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체결부(241)의 외주면에 가이드홈(445)이 형성되는 경우 고정부재(470)가 가이드홈(445)에 랙하우징(250)의 내주면 일부를 변형시키면서 압축결합되며 고정부재(470)는 가이드홈(445)과 랙하우징(250)의 내주면을 복원력으로 마찰지지하여 플러그(230)가 풀리지 않게 고정시킨다.
또한, 랙하우징(250)의 내주면에 가이드홈(455)이 형성되는 경우 고정부재(470)가 가이드홈(455)에 하우징체결부(241)의 외주면 일부를 변형시키면서 압축결합되며 고정부재(470)는 가이드홈(455)과 하우징체결부(241)의 외주면을 복원력으로 마찰지지하여 플러그(230)가 풀리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가이드홈(445,455)은 랙하우징(250)의 내주면과 하우징체결부(241)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가이드홈(445,455)에 고정부재(470)가 결합된다.
가이드홈(445,455)은 랙하우징(250)의 내주면과 하우징체결부(241)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어 양 가이드홈(445,455)이 대응되는 상태에서 고정부재(470)가 결합되므로 플러그(230)의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양 가이드홈(445,455)이 완벽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고정부재(470)가 양 가이드홈(445,455) 사이에 강제로 압입결합되면서 랙하우징(250)에 플러그(23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도면에는 고정부재(470)가 핀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고정부재(470)의 일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랙하우징(250)과 하우징체결부(24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한 그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홈(445,455)의 형상은 고정부재(470)에 대응되는 형상이므로 고정부재(470)의 형상에 대응되어 그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70)가 구비됨으로써 플러그(23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플러그(230)가 베어링(203)의 외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랙하우징(250) 내부에 피니언샤프트(20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조향력이 피니언기어(207)에 치합되는 랙바(22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더불어, 고정부재(470)는 구성부품으로써 조립과정에서 누락될 수 없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춰 주행 도중 플러그(230)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플러그(230)는 하우징체결부(241)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씰안착부(235)가 형성되는데 씰안착부(235)의 내측끝단이 피니언샤프트(201)와 접촉하지않도록 씰안착부(235)의 내주면은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즉, 씰안착부(235)의 내주면이 피니언샤프트(20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피니언샤프트(20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씰안착부(235)에 더스트씰(204)이 결합된다.
더스트씰(204)은 플러그(230)의 씰안착부(235)에 구비되며 중앙으로 피니언샤프트(201)가 삽입 관통하고 플러그(230)에 압입되어 랙하우징(250) 내부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플러그에 수밀마감재를 도포한 후 조립하는 본딩공정이나 랙하우징에 플러그를 나사조립한 후 공구를 이용해 추가로 조여주는 확인공정 등을 대체하는 풀림방지부를 형성하여 주행 도중 플러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풀림방지부가 형성되어 내구 및 진동으로 인해 플러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베어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어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고 랙하우징 내부에 피니언샤프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서 조향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자동차 조향장치
201: 피니언샤프트 202: 스톱링
203: 베어링 204: 더스트씰
207: 피니언기어 208: 대시패널
210: 더스트캡 213: 소경부
215: 대경부 217: 단턱면
230: 플러그 233: 캡지지부
235: 씰안착부 241: 하우징체결부
243: 나사부 249: 끝단부
250: 랙하우징 252: 결합홈
314: 제2 풀림방지부 316: 제2 회전방지부
331: 제1 풀림방지부 351: 제1 회전방지부
445: 가이드홈 455: 가이드홈
470: 고정부재

Claims (6)

  1.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랙하우징;
    상기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에는 상기 랙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끝단부가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하우징체결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외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상기 랙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서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제1 풀림방지부에 대응되도록 내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의 제2 풀림방지부가 형성된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하우징체결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단턱진 캡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더스트캡의 상기 대경부에서 내측으로 단턱진 단턱면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면이 상기 캡지지부를 하측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풀림방지부와 제2 풀림방지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2곳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랙하우징은 상측 외주면 일측이 평면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의 제1 회전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의 내주면 일측이 상기 제1 회전방지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평면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의 제2 회전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랙하우징과 더스트캡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5.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측외주면에 더스트캡이 결합되는 랙하우징;
    상기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에는 상기 랙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끝단부가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하우징체결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랙하우징과 하우징체결부 사이에 결합되는 핀형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랙하우징의 내주면과 하우징체결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랙하우징의 내주면과 하우징체결부의 외주면 양쪽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1020150047248A 2015-04-03 2015-04-03 자동차 조향장치 KR10224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248A KR102242935B1 (ko) 2015-04-03 2015-04-03 자동차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248A KR102242935B1 (ko) 2015-04-03 2015-04-03 자동차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13A true KR20160118713A (ko) 2016-10-12
KR102242935B1 KR102242935B1 (ko) 2021-04-21

Family

ID=5717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248A KR102242935B1 (ko) 2015-04-03 2015-04-03 자동차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674A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WO2020122538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더스트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700235A (ko) * 1984-08-09 1986-08-01 발터어, 라이문트 라우에 특히 자동차용의 랙크식 조종 구동장치
JP2003028153A (ja) * 2001-07-18 2003-01-29 Koyo Seiko Co Ltd 電動式動力舵取装置
KR20090116183A (ko) * 2008-05-06 2009-11-1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구조
JP2010031915A (ja) * 2008-07-25 2010-02-12 Nsk Ltd 軸受外輪固定用ねじカバーの緩み防止構造
JP2012051406A (ja) * 2010-08-31 2012-03-15 Nsk Ltd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ギヤユニット
KR20140133237A (ko) * 2013-05-10 2014-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700235A (ko) * 1984-08-09 1986-08-01 발터어, 라이문트 라우에 특히 자동차용의 랙크식 조종 구동장치
JP2003028153A (ja) * 2001-07-18 2003-01-29 Koyo Seiko Co Ltd 電動式動力舵取装置
KR20090116183A (ko) * 2008-05-06 2009-11-1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구조
JP2010031915A (ja) * 2008-07-25 2010-02-12 Nsk Ltd 軸受外輪固定用ねじカバーの緩み防止構造
JP2012051406A (ja) * 2010-08-31 2012-03-15 Nsk Ltd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ギヤユニット
KR20140133237A (ko) * 2013-05-10 2014-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674A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WO2020122538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더스트캡
US11608105B2 (en) 2018-12-10 2023-03-21 Hl Mando Corporation Dust cap for stee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935B1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249B1 (ko)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토크 검출 구조 및 이것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01526378A (zh) 带底座的传感器
KR20010110319A (ko) 접힘식 루프마운트안테나의 회동축착부 구조
KR20160118713A (ko) 자동차 조향장치
WO2016038861A1 (ja) 取付構造体
KR101405633B1 (ko)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조향장치
CN106741501B (zh) 自行车或电动自行车中轴安装结构
KR101658313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5682775B2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1706467B1 (ko) 자동차 조향장치
US7631571B2 (en) Yoke assembly for a power steering apparatus
WO2017208934A1 (ja) ハーネス用クランプ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593251B2 (ja) 鞍乗型車両のステアリングステムの締結構造
JP2010015841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101594608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용 보조핸들
KR101665262B1 (ko) 조향장치
KR20160002425U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결합 구조체
JP2009257477A (ja) 自在継手
JP5143188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ボールジョイントの組立方法
KR102604378B1 (ko) 자동차 조향장치
KR20130034710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결합 구조체
JP201712478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70088175A (ko) 전동식 조향장치
JP5195267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26923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