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237A -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237A
KR20140133237A KR20130053124A KR20130053124A KR20140133237A KR 20140133237 A KR20140133237 A KR 20140133237A KR 20130053124 A KR20130053124 A KR 20130053124A KR 20130053124 A KR20130053124 A KR 20130053124A KR 20140133237 A KR20140133237 A KR 2014013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cover
plug
protrus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105B1 (ko
Inventor
김민권
김태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10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7Gearboxes for accommodating differential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니언 샤프트(120)와,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캡핑하고, 일단에 커버 내삽부(131)가 형성되는 더스트 커버(130)와, 상기 커버 내삽부(131)가 내삽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130)가 돌출되지 않게 조립되도록 하는 커넥터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고정하는 피니언 플러그(140)가 상기 커넥터부(150) 내부에 설치되는 랙 하우징(110)으로 구성되어,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피니언 샤프트(120)를 지지하는 피니언 플러그(140)의 이탈에 의해 조향 기능이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UNIFICATION TYPE DUSTCOVER IN STEERING GEAR BOX}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피니언 샤프트를 지지하는 피니언 플러그의 이탈에 의해 조향 기능이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차량의 저부로 이어진 피니언 샤프트를 통해 전달하는 피니언과, 차량의 저부에서 타이어 휠 구동축에 설치되는 랙바의 치합에 의해 자동차의 조향력이 제어되도록 하는 기어박스를 형성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이루는 더스트 캡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장치의 기어박스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지지하여 스티어링 휠로부터 차량 저부로 이어주는 더스트 커버(30)와, 차량의 저부에서 랙바(12)를 설치하여 상기 랙바(12)의 치합을 유지하는 동시에 유압 또는 전동 장치에 의한 보조 구동력을 더하여 조향력이 제어되도록 하는 랙 하우징(10)이 포함된다.
상기 더스트 커버(30)의 내부를 통해 하부로 연장된 피니언 샤프트(20)는 피니언 플러그(40)에 의해 지지되어, 랙 하우징(10)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피니언 플러그(40)는 피니언 샤프트(20)를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랙 하우징(10)으로 연결된 피니언 샤프트(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박스는 피니언 플러그(40)가 풀릴 경우 이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피니언 플러그(40)의 이탈이 발생될 수 있으며, 피니언 플러그(40)가 이탈될 경우에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조향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박스는 랙 하우징(10)에 연결되는 더스트 커버(30)의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랙 하우징(10)과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에 단차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주변에 설치되는 부품들 간의 간섭에 의해 마모 및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2011-0008551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랙 하우징에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에 의해 피니언 플러그를 밀착시키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피니언 플러그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단차 구조를 삭제하여 주변 부품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니언 샤프트와, 상기 피니언 샤프트를 캡핑하고, 일단에 커버 내삽부가 형성되는 더스트 커버와, 상기 커버 내삽부가 내삽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가 돌출되지 않게 조립되도록 하는 커넥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샤프트를 고정하는 피니언 플러그가 상기 커넥터부 내부에 설치되는 랙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이 제공된다.
상기 더스트 커버의 둘레부 일측에 상기 커넥터부의 둘레부로 밀착되어 삽입을 제한하는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커버 내삽부의 선단이 상기 피니언 플러그의 일측면과 밀착을 이루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내삽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내삽부의 둘레부에 외측으로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에 상기 후크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홈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은 상기 피니언 플러그와 밀착을 이루는 반대쪽으로 원호를 이루며 상기 더스트 커버의 둘레부로 이어지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은 상기 피니언 플러그와 밀착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턱에 밀착되는 상기 피니언 플러그의 둘레부에 상기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에 의하면, 랙 하우징에 형성된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더스트 커버가 피니언 플러그의 일측면을 밀착하여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피니언 플러그의 풀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조향 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에 의하면,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결합에 의한 단차 구조를 최소화하여,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을 삭제함으로써, 부품간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더스트 캡의 일측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더스트 캡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랙바(112)가 설치되는 랙 하우징(110)과, 스티어링 휠로부터 상기 랙 하우징(110)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샤프트(120)와,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의 외부를 덮어 상기 랙 하우징(110)으로 이어주는 더스트 커버(130)와,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상기 랙 하우징(110)으로 삽입하여 지지하는 피니언 플러그(140)와,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를 안착하는 동시에 상기 더스트 커버(130)를 상기 랙 하우징(110)에 연결하는 커넥터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랙 하우징(110)은 내부에 상기 랙바(112)를 설치하고,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에 의한 회전력이 전달되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일측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랙 하우징(110)은 내부로 삽입된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에 형성된 피니언(122)과, 상기 랙바(112)를 치합하여, 타이어 휠의 조향을 위한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더스트 커버(130)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의 외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일단이 상기 랙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상기 랙 하우징(11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는 상기 랙 하우징(110)으로 삽입되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150)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가 삽입되는 상기 랙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랙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을 이루도록 관통된 내측으로 상기 더스트 커버(130)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더스트 커버(130)는 상기 커넥터부(150)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커버 내삽부(131)를 일단에 형성하여, 상기 랙 하우징(1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 내삽부(131)는 상기 커넥터부(150) 내측으로 억지끼움 되는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에 압입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는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으로 관통 삽입되는 부위의 둘레부와,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내측면 사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부재를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는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에서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의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면을 형성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커넥터부(150)로 삽입된 상기 커버 내삽부(131)의 선단을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일측면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결합된다.
특히, 상기 더스트 커버(130)는 상기 커버 내삽부(131)를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으로 압입하여 일체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내삽부(131)의 외측으로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에 상기 후크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을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더스트 커버(130)는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으로 삽입 시 상기 커넥터부(150)의 둘레부와 밀착되어 삽입을 제한시키는 돌출턱(132)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 내삽부(131)의 선단이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일측면으로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돌출턱(132)이 상기 커넥터부(150)의 둘레부와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와 상기 커넥터부(150)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풀림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일측면으로 밀착된 상기 커버 내삽부(131)의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피니언 플러그(140)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완전 풀림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이탈에 의한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조향 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더스트 커버(130)를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더스트 커버(130)와 상기 커넥터부(150)의 결합 시 발생되는 단차 구조를 없애도록 함으로써, 스티어링 기어박스 주변에 설치되는 타 부품들과의 간섭을 억제하여, 마모 및 손상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 커버(13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턱(132)은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와 밀착을 이루는 반대쪽으로 원호를 이루며 상기 더스트 커버(130)의 둘레부로 이어지는 곡면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34)는 자동차 내부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130)의 주변에 설치되는 타 부품들과의 간섭에 의한 충돌 및 마찰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주변 부품들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돌출턱(132)은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와 밀착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36)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턱(132)에 밀착되는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둘레부에 상기 결합돌기(136)를 삽입하여 결합을 이루는 다수의 결합홈(152)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스트 커버(130)를 상기 커넥터부(150)에 결합 시 상기 결합돌기(136)를 상기 결합홈(152)에 끼워지도록 결합함으로써, 제조 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랙 하우징
112: 랙바
120: 피니언 샤프트
122: 피니언
130: 더스트 커버
131: 커버 내삽부
140: 피니언 플러그
150: 커넥터부

Claims (6)

  1. 피니언 샤프트(120);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캡핑하고, 일단에 커버 내삽부(131)가 형성되는 더스트 커버(130);
    상기 커버 내삽부(131)가 내삽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130)가 돌출되지 않게 조립되도록 하는 커넥터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샤프트(120)를 고정하는 피니언 플러그(140)가 상기 커넥터부(150) 내부에 설치되는 랙 하우징(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130)의 둘레부 일측에 상기 커넥터부(150)의 둘레부로 밀착되어 삽입을 제한하는 돌출턱(132)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커버 내삽부(131)의 선단이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일측면과 밀착을 이루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삽부(131)는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삽부(131)의 둘레부에 외측으로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부(150)의 내측에 상기 후크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홈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132)은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와 밀착을 이루는 반대쪽으로 원호를 이루며 상기 더스트 커버(130)의 둘레부로 이어지는 곡면부(1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132)은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와 밀착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돌기(136)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턱(132)에 밀착되는 상기 피니언 플러그(140)의 둘레부에 상기 결합돌기(136)를 삽입하여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KR1020130053124A 2013-05-10 2013-05-10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KR10204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24A KR102041105B1 (ko) 2013-05-10 2013-05-10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24A KR102041105B1 (ko) 2013-05-10 2013-05-10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237A true KR20140133237A (ko) 2014-11-19
KR102041105B1 KR102041105B1 (ko) 2019-11-06

Family

ID=5245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124A KR102041105B1 (ko) 2013-05-10 2013-05-10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713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KR101706467B1 (ko) * 2015-09-01 2017-02-1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465A1 (en) * 2003-12-18 2006-12-14 Zf Lenksysteme Gmbh Steering system
KR20080095062A (ko) * 2007-04-23 2008-10-28 주식회사 만도 가변식 더스트 캡을 구비한 조향장치
KR20110008551A (ko) 2009-07-20 2011-01-2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 어셈블리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06836B1 (ko) * 2012-03-14 2012-11-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JP2012250604A (ja) * 2011-06-02 2012-12-20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254758A (ja) * 2011-06-10 2012-12-27 Jtekt Corp 車両用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465A1 (en) * 2003-12-18 2006-12-14 Zf Lenksysteme Gmbh Steering system
KR20080095062A (ko) * 2007-04-23 2008-10-28 주식회사 만도 가변식 더스트 캡을 구비한 조향장치
KR20110008551A (ko) 2009-07-20 2011-01-2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 어셈블리의 랙바 지지장치
JP2012250604A (ja) * 2011-06-02 2012-12-20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254758A (ja) * 2011-06-10 2012-12-27 Jtekt Corp 車両用操舵装置
KR101206836B1 (ko) * 2012-03-14 2012-11-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713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KR101706467B1 (ko) * 2015-09-01 2017-02-1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105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2977B (zh) 电机驱动组件及其齿轮箱
US20130051901A1 (en) Shaft coupling structure and steering system
EP2551995A1 (en) Vehicle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US11654764B2 (en) Vibration-damping device body and vibration-damping device
WO2007119876A1 (ja) 減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40133237A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JP5224369B2 (ja) アイドラギヤ支持構造
KR20170084072A (ko) 와이퍼 암
CN103765026B (zh) 传动-驱动装置
KR101405633B1 (ko)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조향장치
JP5196297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CN211288500U (zh) 减速器和车辆
KR101260399B1 (ko) 랙바의 지지구조체
CN103261715A (zh) 用于驱动单元的轴承装置和具有轴承装置的调整驱动装置
JP5278089B2 (ja) ファイナルドライブユニットのピニオン軸構造
KR20170136104A (ko) 차량의 베어링용 씰링 장치
JP2010031943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連結装置
KR20080058649A (ko) 랙-피니언 타입의 조향장치
KR101693336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용 엔드커버
KR20160025066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웜휠 구조체
JP2006322518A (ja) スナップリングおよびスナップリングの取付構造ならびにトルク伝達装置
JP6583369B2 (ja) 4輪駆動車の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KR20150017627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CN105849428B (zh) 用于在增程装置中传递扭矩的装置
KR20170079881A (ko)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