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550A - 휠 조립체 - Google Patents

휠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550A
KR20160117550A KR1020167024170A KR20167024170A KR20160117550A KR 20160117550 A KR20160117550 A KR 20160117550A KR 1020167024170 A KR1020167024170 A KR 1020167024170A KR 20167024170 A KR20167024170 A KR 20167024170A KR 20160117550 A KR20160117550 A KR 20160117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seat
rim
pneumatic tire
wheel
suppor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레이그 엠 젠더
그레그 피어
제임스 버그
스테판 레너드
헨리 스클리우트
존 코브스
안톤 로비토
가브리엘레 씨콜라
켈리 웨일러
마이클 쿠락
제임스 블랙
글렌 자비스
윌슨 리
그랜트 디조지
Original Assignee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04Rims with dismountable flange rings, seat rings, or lock rings
    • B60B25/10Seat rings for the tyre bead part, e.g. split
    • B60B25/12Seat rings for the tyre bead part, e.g. split with integral flang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2Units of separate wheels mounted for independent or coupled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04Rims with dismountable flange rings, seat rings, or lock rings
    • B60B25/14Locking means for flange rings or seat rings
    • B60B25/18Arrangement of split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04Rims with dismountable flange rings, seat rings, or lock rings
    • B60B25/14Locking means for flange rings or seat rings
    • B60B25/20Arrangement of screws, bolts, or shouldered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02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with a single disc body integral with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10Metallic materials
    • B60B2360/104Alumin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공기 타이어용 휠은 하나의 일체식 비드 시트 및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를 갖춘 림을 가진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림을 감싸고 타이어를 유지하기 위해 홈과 맞물리는 두 개의 하프를 가진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일체식으로 형성되거나 비드 시트에 볼트 고정되는 별개의 리테이너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제 2 립을 가질 수 있다. 휠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휠 조립체{WHEEL ASSEMBLY}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휠 조립체인 2014년 2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출원 번호 61/935,656호의 이득을 주장하며, 가 출원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휠, 더 구체적으로 공기 타이어 및/또는 튜브를 수용하는, 자동차 및 트럭과 같은 차량용 휠에 관한 것이다.
공기 타이어 및/또는 튜브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분해를 허용하는 여러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스탬핑 스틸 휠(stamped steel wheel)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휠이 공지되어 있다.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일체식으로 형성된 휠이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휠이 설치된 차량의 연료 경제성 및 다양한 부품에 대한 연장된 사용 수명과 같은 기능적 및 경제적 장점으로 바뀌게 하는 강도 및 경량화에 대한 휠의 속성으로 인해 흔하게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일체식으로 형성된 휠은 휠로/휠로부터 타이어를 장착하고 떼어내기 위한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한다. 이는 트럭과 같은 중량 차량에 사용되는 휠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공지된 휠에도 불구하고, 개선 및/또는 대체 휠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요지는 공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휠에 관한 것이며 한 단부에 가까운 원주에 배열되는 제 1 비드 시트를 구비하고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외측 원주 표면 내에 제 1 홈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인 림; 및 제 1 홈과 맞물려서 림 상에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와 타이어를 유지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휠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비드 시트는 림과 일체식(monolithic)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복수의 보조-부품(sub-part)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보조-부품은 반-원형 비드 시트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반-원형 비드 시트 부분은 다른 것의 거울상(mirror image)과 유사하며 대칭 축에 함께 조립될 때, 제 1 홈에 가까운 림을 감쌀 수 있는 회전체와 유사하며, 회전체는 L-형상의 긴 부분을 형성하는 인입 부분과, 인입 부분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L-형상의 짧은 부분을 형성하는 직립 비드를 구비한 대체로 L-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인입 부분은 림을 감쌀 때 림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두 개의 비드 시트 부분의 각각은 직립 비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L-형상의 긴 부분 상에서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내측으로 지향된 립을 가지며, 립은 비드 시트 부분이 림 상에 위치되어 림을 감쌀 때 제 1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측으로 지향된 립은 제 1 립이며, 림은 제 1 홈 및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그의 외측 원주 표면 내에 제 2 홈을 가지며, 비드 시트 부분의 각각은 제 1 립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로부터 연장하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립을 가지며, 제 2 립은 비드 시트 부분이 림 상에 위치되어 림을 감쌀 때 제 2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립은 제 2 립이 연장하는 비드 시트 부분과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홈은 림 상에 플랜지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멍이 플랜지, 제 2 립 및 림을 통해 연장하며, 플랜지, 제 2 립 및 림 내의 구멍을 통과하여 제 2 홈을 가교 연결하고 림과 공동으로 각각의 비드 시트 부분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의 핀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홈에 가까운 림은 비드 시트에 가까운 인접 부분에 대해 감소된 직경을 가지며, 감소된 직경 부분은 비드 시트 부분의 인입 부분의 두께와 유사한 양만큼 감소된 직경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휠은 휠을 휠 허브에 장착할 수 있는 한 단부에 복수의 러그 구멍을 갖춘 장착 플랜지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휠의 장착 플랜지는 휠 허브에 장착될 수 있는 이중 구성을 형성하도록 제 2 휠의 장착 플랜지 다음에 병치(juxtaposed)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림은 제 1 홈과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그의 외측 원주 표면에 제 2 홈을 가지며, 나사형성된 체결기에 의해 비드 시트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리테이너, 및 리테이너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립을 더 포함하며, 제 2 립은 비드 시트 부분이 림 상에 위치되어 림을 감쌀 때 제 2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리테이너가 복수의 비드 시트 부분에 커플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형상이 아치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사형성된 체결기는 리테이너 내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비드 시트 부분 내의 나사형성된 구멍 내에 수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드 시트 부분은 그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리테이너와 형상이 상보적인 리세스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는 복수의 비드 시트 부분을 가교 연결하고(bridge) 커플링한다(couple).
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제 2 홈의 에지에 대해 지지되고 리테이너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원주 리지와, 휠 상에 장착되는 타이어로부터의 압력의 영향하에서 휠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비드 시트 부분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사형성된 구멍은 그 내부에 나사형성된 인서트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사형성된 인서트는 코일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반-원형 부재의 인입 부분은 그의 에지로부터 비드 시트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핀은 림에 대해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의 회전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핀은 타이어의 바람이 빠졌을 때 림 상에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를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입 부분은 타이어 팽창 부하가 관련 비드 시트 부분을 변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입 부분은 타이어 팽창 압력을 휠의 축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림을 에워싸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의 분해 없이 림으로부터 비드 시트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타이어의 바람이 빠졌을 때 림에 유지될 수 있어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의 분해 없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세스는 타이어가 팽창될 때 그리고 나사형성된 체결기의 존재와 무관하게 내부에 수용된 리테이너의 빠짐을 방지하는 경계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링이며, 제 2 립은 복수의 태브 및 간헐적 공간을 형성하는 성곽모양(castellated)이며, 림은 제 2 홈과 연통하는 복수의 슬롯을 가지며, 태브는 제 2 홈으로 진입하도록 휠과 동축인 제 1 회전 방향으로 슬롯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슬롯과 태브가 정렬되지 않는 제 2 위치로 림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휠은 한 단부에 가까운 원주에 배열되는 제 1 비드 시트를 구비하고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외부 원주 표면 내에 한 쌍의 이격된 홈을 가지는 림; 및 림의 외측 표면과 상보적인 아치형 형상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을 가지며, 각각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은, 제 1 비드 시트와 복수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의 전체 사이에 타이어를 유지하는 림 주위의 원주에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이 배열될 때, 한 쌍의 이격된 홈과 맞물릴 수 있는 각각의 비드 시트 부분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립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비드 시트는 한 쌍의 제 1 환형 립을 가지는 제 1 부분 및 한 쌍의 제 2 환형 립을 가지는 제 2 부분을 가지며, 제 1 부분은 리세스 내부에 수용되는 제 2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리세스를 가지며, 제 2 부분을 통해서 연장하고 제 1 부분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체결기를 더 포함하며, 체결기는 제 1 부분을 제 2 부분에 고정하고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을 림에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상세한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휠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단면 선 3-3을 따라 취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 1의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휠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도 1의 휠과 같은 휠 쌍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휠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휠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단면 선 9-9를 따라 취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 7의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단면 선 10-10을 따라 취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 7의 휠의 일부분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내부에 삽입된 밸브 스템을 갖춘 도 7 및 도 10의 휠의 일부분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도 7의 휠과 같은 휠 쌍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휠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g는 휠의 조립을 보여주는, 도 7의 휠에 대한 일련의 개략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휠의 조립을 보여주는, 휠의 대체 실시예에 대한 일련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휠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림 맞물림을 위한 비드 시트의 대체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공기 타이어/튜브(T)(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됨)가 장착될 수 있는 휠(10)을 도시한다. 휠(10)은 원통형 형상의 부분(14), 비드 시트(16) 및 러그 볼트 구멍(20)을 갖춘 장착 플랜지(18)를 구비한 일체식 림(12)을 가진다. 반-원형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을 갖는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두 개의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경우에, "비드 시트 하프"로 지칭될 수 있음)는 원통형 부분(14)과 장착 플랜지(18)의 접속부 가까이에서 림(12)을 감싸고 있다.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은 복수의 핀(24)에 의해 림(12)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되고 림(1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핀(24)은 림(12) 상에서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회전을 방지하며 공기 손실의 경우에, 림(12)으로부터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분리를 방지한다. 밸브 구멍(26)은 휠(10)에 장착되는 튜브/타이어(T)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 밸브(28)(도 4)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2)의 원통형 부분(14)은 인접 부분(32)에 대해 감소된 직경을 갖춘 부분(30)을 가진다.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부분(30)은 폭(30W) 및 깊이(30D)를 가진다. 감소된 직경 부분(30)은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38)를 형성하는, 장착 플랜지(18) 가까이에 제 1 원주 홈(34)을 가진다. 감소된 직경 부분(30) 내의 제 2 원주 홈(36)은 제 1 원주 홈(34)과 인접 부분(32)의 중간에 위치된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반-원형 부분(22A, 22B)은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링(42)과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립(44)이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반-원통형인 내측 표면(40)을 가진다. 비드 시트 부분(22A, 22B)과 관련하여 용어 "반-원통형", "반-환형", "반-링(semi-ring)"의 사용에 있어서, 이들 용어는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쌍이 별개로 고려될 때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대칭 축에 함께 조립된)환형 방식으로, 예를 들어 조립된 휠(10)로 병치될 때, 이들 구조물은 회전 구조물, 즉 실린더, 링, 환형체 등에 가까우며,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는 회전체에 가깝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가 링(12) 상의 제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링(42)은 제 1 원주 홈(34) 내에 수용되며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립(44)은 제 2 원주 홈(36) 내에 수용된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인입(lead-in) 부분(46)은 내측 원통형 표면(40)에 대해 예를 들어, 5도의 경사를 가지며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직립 비드 부분(48)의 곡선 표면(48C)으로 전환되는 상부 표면(46U)을 가진다. 타이어(T) 및/또는 동봉된 튜브가 휠(10) 상에 장착될 때, 타이어는 하나의 타이어 벽이 일체식 비드 시트(16)에 가깝게 밀리며 다른 타이어 벽이 대략적인 위치(T1)(점선으로 나타낸, 타이어 비드에 가까운 타이어 벽의 개략적인 묘사부분)를 점유하도록 일체식 비드 시트(16)에 대해 압축될 수 있다.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은 그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2)의 주위에 위치되어 림(12)을 감쌀 수 있다. 핀(24)은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을 림(12) 상에 유지하기 위해서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38) 내의 구멍(38A),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링(42) 내의 구멍(42A)을 통해서 그리고 림(12) 내부의 막힌 구멍(1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핀(24)은 핀(24), 및 핀(24)을 고의로 빼내도록 파지하여 당길 수 있는 링(24R)의 부적절한 빠짐을 방지하는 스프링-압박 멈춤쇠(24D)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이 림(12) 상에 설치된 이후에, 타이어/튜브(T)는 팽창되어서, 도 3에 T2로 도시된 위치로 타이어 벽과 비드 구역을 밀 수 있다. 타이어가 압력(P)의 영향하에서 팽창할 때, 타이어는 인입 부분(46) 위로 미끄럼하여 직립 비드 부분(48)의 곡선 표면(48C)과 단단히 접촉한다. 경사진 상부 표면(46C)은 직립 비드 부분(48)에 도달할 때 인입 부분(46)에 의해 형성되는 증가된 직경에 의해 신축되는, 비드 구역 내의 타이의 한정된 반경 치수로 인해서 외측으로 지향된 압력(P)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지향된 힘(PD)으로 변환시킨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지향된 힘(PD)은 림(12)에 대해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을 단단히 맞물리게 함으로써,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내측 표면(40)이 감소된 직경 부분(30)의 외측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표면(40A, 40B)(도 3)은 표면(30A, 30B)에 대해 가압되어서,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링(42)과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립(44)이 각각 제 1 및 제 2 원주 홈(34, 36)과 맞물리도록 압박한다. 동시에, 벡터(P)를 따라 지향된 힘은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립(44)의 표면(44F)이 제 2 원주 홈(36)의 표면(36F)과 맞물리도록 가압한다. 인입 부분(46)은, 타이어 팽창 부하가 비드 시트 하프(22A, 22B)를 회전시키거나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긴 플랜지로서의 기능을 하여, 타이어 팽창 압력을 휠(10)의 중심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지향(후프 부하; hoop loading)시킨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면(36F, 44F)은 서로 평행하다. 대체 실시예에서, 표면(36F, 44F)은 평행을 유지할 수 있으나, 표면이 336F, 344F로 번호가 다시 지정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형태(pawl-type)의 맞물림을 설정하기 위해서 선택된 각도로 시계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일단 제 1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2A)이 림(12) 상에 설치되면, 핀(24)은 제 2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2B)이 설치되는 동안에 바람직한 위치에 이를 유지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핀(24)은 또한, 타이어가 팽창할 때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가 그들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는 타이어(T)가 팽창될 때 타이어(T)에 의해 림(12) 상에 유지되나, 림(12)에 대한 유지를 위해서 핀(24)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이어 내의 팽창 공기의 손실의 경우에, 핀(24)은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이 림(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핀(24)은 또한, 후술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팽창 이전에 타이어 밸브(28)로의 접근을 위한 림과 비트 시트 내의 구멍에 대한 선택된 정렬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핀(24)은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금속의 차이점으로 인해 림(12)과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의 부식 및 갈바닉(galvanic) 상호작용에 저항하는 아연과 같은 코팅으로 피복 또는 도금될 수 있다.
홈(34, 36)을 형성하는 표면, 감소된 직경 부분의 표면(30A, 30B),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링(42)과 환형 립(44) 및 반-원통형 내측 표면(40)의 표면(40A, 40B)들의 전환은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도록 래디어스(radiused)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원주 홈(34, 36)은 각각 내부에 수용되는 반-환형 링(42)과 반-환형 립(44)보다 더 큰 용적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원주 홈(34)에 대해 이러한 과도한 공간은 일관된 초기 조립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비드 시트(22)의 제거 또는 재-조립을 어렵게 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진흙, 건조된 그리스, 브레이크 파우더, 허브 녹(rust), 다른 오염물 및/또는 부식물에 대한 상당한 사용 및 노출 기간 이후에 타이어를 뜯어내기 위해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의 분리를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T)의 공기가 빠진 이후에 타이어(T), 및 일체식 비드 시트(16) 쪽으로 밀린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에 가까운 그의 비드를 뜯어내기 위해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는 비드 시트를 풀기 위해서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고무 망치와 같은 공구로 두드려질 수 있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와 림(12) 사이의 틈새는 림(12)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휠(10)의 림(12)과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는 예를 들어, 산업계에서 6xxx 계열로서 공지된 유형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림(12), 비드 시트(22) 등은 용례에 따라서 스틸 또는 폴리머와 같은 다른 재료로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는 각각의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링(42)이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을 림(12)에 유지하기 위해서 핀(24)의 통행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42A)의 역할을 한다. 구멍(42A)은 각각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38) 및 림(12) 내의 대응하는 구멍(38A, 13)과 정렬된다. 각각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2A, 22B)의 반-환형 링(42)도 또한, 장착된 타이어/튜브(T)를 공기로 충전하기 위한 공기 밸브(28)(도 4)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림(12) 상의 밸브 구멍(26)과 정렬될 수 있는 리세스(42R)의 역할을 한다. 림(12) 내의 포트(12P)는 도 5 및 도 6에 대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휠(10)이 이중 휠 구성의 휠(10)에서 처럼 조립될 때 공기 충전을 허용하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정렬된 밸브 구멍(26)과 리세스(42R)를 통해 보이고 접근할 수 있는 공기 밸브(28)를 도시한다. 밸브 구멍(26)은 휠(10)에 장착되는 타이어/튜브(T)의 팽창을 위해 공기 밸브(28)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38) 내의 V-형상 노치의 형태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이중"(11) 구성을 예시하기 위해서 함께 인접한 장착 플랜지(18A, 18B)를 갖춘 휠(10A, 10B) 쌍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이중(11) 구성은 종래 방식으로 차량(도시하지 않음)의 예를 들어, 뒤 차축의 허브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 스템(28A, 28B)은 휠(10A, 10B) 상에 장착되는 타이어/내측 튜브(도시하지 않음)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해서 림(12A, 12B) 내의 구멍(52A, 52B)을 통해 그리고 구멍(26) 및 리세스(42R)를 통해서 연장한다. 연장 구멍(54A, 54B)은 밸브 구멍(26)과 반대로 반경 방향으로 각각의 휠(10A, 10B)을 통해서 천공되어서, 휠(10A, 10B)이 이중(11) 구성으로 배치될 때 연장 구멍(54A, 54B)이 인접 휠(10A, 10B)의 밸브 스템(28A, 28B)과 각각 정렬되게 한다. 압축 공기의 공급원에 이어지는 연장 튜브/보조 밸브 스템(도시하지 않음)은 각각의 휠(10A, 10B) 상에 설치되는 밸브 스템(28A, 28B)에 대해 밀봉하고 타이어/튜브(T)를 팽창시키도록 연장 구멍(54A, 54B)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4A, 24B)은 서로 간섭 없이 이중(11) 구성으로 휠(10A, 10B)을 위치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치수이다. 전술한 특징은 두 개의 동일한 휠(10A, 10B)이 이중(11) 구성으로 차례로 위치될 수 있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일 휠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도 7, 도 8 및 도 9는 원통형 형상 부분(114)을 가지는 림(112), 비드 시트(116) 및 러그 볼트 구멍(120)을 갖춘 장착 플랜지(118)를 구비한 휠(110)을 도시한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는 원통형 부분(114) 및 장착 플랜지(118)의 접속부 가까이에서 림(112)을 감싸는 두 개의 반-원형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을 가진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은 각각 인입 부분(146)과 직립 비드 부분(148)을 가진다.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은 아치형 리테이너(164A, 164B, 164C)를 통과하는 복수의 볼트(166)에 의해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의 안면(facial) 환형 리세스(163) 내에 동축으로 고정되고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에 예를 들어, 나사형성된 체결기에 의해 기계식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아치형 리테이너(164A, 164B, 164C)에 의해 림(112)에 유지되거나 림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볼트는 나사형성된 인서트(168)가 제공될 수 있는 나사형성된 구멍(167)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나사형성된 인서트(168)는 코일(168C)(도 14a 참조)의 형태일 수 있거나 외측 및 내측 나사를 갖춘 일체식 인서트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인서트(168)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휠(110)을 형성하는 알루미늄 합금과 양립될 수 있는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에 고정될 때, 리테이너(164A, 164B, 164C)는 환형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링(142)을 형성하도록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을 가교 연결하고 연결된다. 리테이너(164A, 164B, 164C)는 또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에 저항하도록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138)의 상부 표면(138U)에 인접하는 지지 리지(165)(도 9)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12)의 원통형 부분(114)은 인접 부분(132)에 대해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분(130)을 가진다. 감소된 직경 부분(130)은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138)를 형성하는, 장착 플랜지(118)에 가까운 제 1 원주 홈(134)을 가진다. 감소된 직경 부분(130) 내의 제 2 원주 홈(136)은 제 1 원주 홈(134)과 인접 부분(132)의 중간에 위치된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은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립(144)이 연장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내측 표면(140)을 가진다.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가 제위치에 고정된 리테이너(164A 내지 164C)에 의해 림(112) 상의 제위치에 있을 때,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링(142)은 제 1 원주 홈(134) 내에 수용되며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립(144)은 제 2 원주 홈(136) 내에 수용된다.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의 인입 부분(146)은 내측 원통형 표면(140)에 대해 예를 들어, 5도의 경사를 가지며 직립 비드 부분(148)의 곡선 표면(148C)으로 전환하는 상부 표면(146U)을 가진다. 홈(134, 136),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링(142) 및 환형 립(144)의 표면들의 전환은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림(112),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 및 리테이너(164A 내지 164C)의 인접 표면들로의 래디어스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원주 홈(134, 136)은 림(112)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22)의 분리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 그 내부에 수용되는 환형 링(142)과 환형 립(144)보다 더 큰 용적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림(112) 상의 제위치에 있고 볼트(166)에 의해 리테이너(164B)에 커플링되는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B)을 도시한다. 밸브 구멍(170)은 밸브(128)를 통해 휠(110) 상에 설치되는 타이어/튜브를 팽창시키기 위해 가압 공기의 공급원으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착 플랜지(118)에 가까운 림(112)을 통해 연장한다. 밸브(128)는 구멍(152)을 통해 타이어/튜브에 도달하도록 림 부분(114)을 통해 연장한다.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138)로부터 연장하는 선택적인 스페이서 태브(tab)(172)는 인접 리테이너(164A 내지 164C)들 사이의 간격과 유사하고 림(112)에 대한 리테이너(164A 내지 164C)의 일정한 상대 방향을 설정하고, 따라서 림(112) 및 그들 자체에 대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의 선택된 방향을 설정하는 원주 폭(W)을 가질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태브(172)는 생략된다. 전술한 휠(110)의 림(112) 및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 및 리테이너(164A 내지 164C)는 예를 들어, 산업계에서 6xxx 계열로서 공지된 유형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림(12),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 등은 스틸 또는 폴리머와 같은 다른 재료로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이중"(111) 구성을 예시하기 위해서 함께 인접한 장착 플랜지(118A, 118B)를 갖춘 휠(110A, 110B) 쌍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이중(111) 구성은 종래 방식으로 차량(도시하지 않음)의 예를 들어, 뒤 차축의 허브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 스템(128B)은 휠(110B) 상에 장착되는 타이어(도시하지 않음) 내에 포획된 내측 튜브(도시하지 않음)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해서 림(112B) 내의 구멍(152B)을 통해서 연장한다. 유사한 밸브(128A)가 림(112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밸브 스템(128B)은 구멍(152B)을 통해 연장하고 구멍(170)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연장 구멍(174A, 174B)은 각각, 구멍(170A, 170B)과 반대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의 휠(110A, 110B)을 통해서 천공되며, 휠(110A, 110B)이 이중(111) 구성으로 배치될 때 인접 휠(110B, 110A)의 구멍(170B, 170A)과 각각 정렬될 수 있다. 압축 공기의 공급원에 이어지는 연장 튜브/보조 밸브 스템(도시하지 않음)은 각각의 휠(110A, 110B) 상에 설치되는 타이어/튜브를 팽창시키도록 연장 구멍(174A, 174B)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66A, 166B)는 서로 간섭 없이 이중(111) 구성으로 휠(110A, 110B)의 위치선정을 가능하게 하는 치수로 위치된다. 전술한 특징은 이중(11) 구성으로 차례로 위치될 수 있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일 휠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도 14a 내지 도 14g는 림(112) 상에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 시퀀스를 도시한다. 예비 단계(도 14a)로서, 나사형성된 인서트(168)가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162A가 도시됨)의 나사형성된 구멍(167)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어 및/또는 튜브가 휠(110) 상에 장착될 때, 타이어는 일체식 비드 시트(116)에 대해 압축되고/밀릴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가 압축될 때, 리테이너(164A, 164B) 쌍은 제 1 원주 홈(13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그의 환형 링 부재(142)에 의해 림(112)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비드 시트 부분(162A)은 그 후에 리테이너(164A, 164C) 쌍을 가교 연결하는 압축된 타이어/튜브(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미끄럼할 수 있다. 리테이너(164A, 164C)는 리세스(163) 내부에 수용되며 환형 립(144)은 원주 홈(136) 내에 수용된다. 지지대(165)는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138) 상에 놓인다.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66)는 그 후에 리테이너(164A, 164C)를 비트 시트 부분(162A)에 커플링하기 위해서 리테이너(164A, 164C)를 통해 그리고 비드 시트 부분(162A) 내의 나사형성된 인서트(168)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 3 리테이너(164B)는 그 후에 제 1 원주 홈(13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그의 환형 링(13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비드 시트 부분(162B)은 그 후에 압축된 타이어/튜브(도시하지 않음)와 리테이너(164B) 사이에서 미끄럼하여 리테이너(164A, 164B, 164C)를 가교 연결한다.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66)는 조립된 휠(110)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 다음에 리테이너(164A, 164B, 164C)를 통해 비드 시트 부분(162B) 내의 나사형성된 인서트(168)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어서, 장착된 타이어/내측 튜브(도시하지 않음)의 팽창을 허용한다.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는 타이어(도시하지 않음)의 바람이 빠질 때를 포함하여, 볼트(166)를 제거함 없이는 림(112)으로부터 빠질 수 없다. 조립된 비드 시트(162)는 림(112) 상에 잠겨지는 연속적인 링 구조물이다. 튜브/타이어(도시하지 않음)가 도 9에 도시된 위치(T2)로 팽창되며 압력(P)하에서 타이어 비드가 인입 부분(146)에 장착될 때, 경사 표면(146U)은 힘 벡터(PD)를 일으키며, 이때 타이어는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을 림(112)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한다. 리테이너(164A 내지 164C)의 환형 링(142) 및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의 환형 립(144)은 비드 시트(162)가 벡터(P)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홈(134, 136)의 표면과 결합하고 맞물린다. 지지대(165)는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138)에 대해 지지되어서 림(112)에 대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162)의 회전을 방지한다(도 9 참조). 인입 부분(146)은 타이어 팽창 부하가 비드 시트 부분(162A, 162B)을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여, 팽창 압력을 휠(110)의 중심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지향(후프 부하를 유발)시키는 긴 플랜지이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대체 실시예에 따라서 리테이너(264A 내지 264C)를 사용하여 림(212) 상에 비드 시트(162)와 같은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62)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 시퀀스를 도시한다. 림(212)은 이전의 실시예의 홈(34, 134)과 같은 제 1 원주 홈(234)과 연통되는 복수의 슬롯(238S)에 의해 성곽 모양인(castellated) 리테이너 플랜지(238)를 가진다. 리테이너 플랜지(238)의 나머지 부분(238R)은 리테이너 플랜지(238)의 원주 주위에 슬롯(238S)과 함께 간헐적으로 분포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리테이너(264A, 264C)(264B는 도시하지 않음)의 내측으로 지향된 반-환형 링(242)은 리테이너 플랜지(238)의 성곽모양의 그것과 일치하는 패턴에서 소위 "태브(tab)"일 수 있는 간헐적인 공간(242S)과 나머지 부분(242R)에 의해 성곽모양으로 된다. 리테이너(264A 내지 264C)는 나머지 부분(태브)(242R)이 리테이너 플랜지(238)의 공간(238S)과 정렬되고 비드 시트 부분(262A, 262B)의 리세스(230) 내측으로 다시 가압되는 제 1 방향(설치/분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단 리세스(230) 내의 제위치에 있으면, 리테이너(264A 내지 264C)는 제 2(잠금) 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제 2 위치에서 리테이너 부분(태브)(242R)이 리테이너 플랜지(238)의 나머지 부분(238R)과 정렬되어서, 리테이너(264A 내지 264C)가 제 2 위치 또는 잠금 위치에 있는 동안에 림(21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비드 시트 부분(262A, 262B)은 리테이너가 잠금 방향으로 있을 때 나사형성된 구멍(267)이 리테이너(264A 내지 264C) 내의 구멍(269)과 정렬되도록 림(212) 상에 미리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비드 시트 부분(262A, 262B)은 리테이너(264A 내지 264C)가 잠금 방향으로 있을 때 구멍(267)을 구멍(269)에 정렬시키도록 림(2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구멍(267, 269)이 정렬되며 리테이너(264A 내지 264C)가 잠금 방향으로 있을 때 나사형성된 체결기(266)는 휠(212) 상의 잠금 위치에 리테이너(264A 내지 264C)를 유지하기 위해서 나사형성된 구멍(267) 내에 삽입되어 조여질 수 있다.
도 14a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서트(168)와 같은 나사형성된 인서트가 나사형성된 구멍(267)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타이어 및/또는 튜브가 휠(210)에 장착될 때, 타이어는 일체식 비드 시트(216)에 대해 압축/밀릴 수 있다. 도 15a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가 팽창될 때, 비드 시트 부분(262A, 262B)의 쌍은 원주 홈(236) 내측에 삽입되는 그의 반-환형 립(244)에 의해서 림(212)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지지대(265)는 성곽모양의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238)의 나머지 부분(238R) 상에 놓인다.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64A, 264B, 264C)는 공간(238S)과 정렬되는 반-환형 링(242)의 나머지 부분(242R)에 위치되고 그 후에 리세스(230) 내측으로 다시 밀릴 수 있다. 동일한 작용이 휠(1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만일 사용된다면, 제 3 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수행될 것이다. 도 15d 및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64A, 264B, 264C)는 그 후에 반-환형 링(242)의 나머지(242R)가 리테이너 플랜지(238)의 나머지(238R)와 정렬되는 위치(잠금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5f는 리테이너(264C, 264A)를 비드 시트 부분(262A)에 체결하기 위해서 구멍(269)을 통해서 그리고 나사형성된 구멍(267)의 내측으로 체결기(볼트)(266)를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다. 동일한 작용이 휠(1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만일 사용된다면, 제 3 리테이너(264B)(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수행될 것이다. 휠(1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테이너(264A, 264B(도시하지 않음), 264C)는 통합된 비드 시트 조립체(262)를 형성하기 위해서 인접한 비드 시트 부분(262A, 262B)을 가교 연결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대로 조립될 때,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조립체(262)는 볼트(266)를 제거함이 없이는 림(212)으로부터 빠질 수 없다. 튜브/타이어가 도 9에 도시된 위치(T2)로 팽창될 때, 압력(P)하에서 타이어 비드는 인입 부분(246)에 장착되어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64A, 264B)을 림(212)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한다. 리테이너(264A 내지 264C)의 반-환형 링(242) 및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262A, 262B)의 환형 링(244)은 비드 시트(262)가 벡터(P)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홈(234, 236)의 표면과 결합하고 맞물린다(도 9 참조). 지지대(265)는 환형 리테이너 플랜지(238)에 대해 지지되어서 림(212)에 대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62)의 (휠(210)의 회전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운동을 방지한다. 기다란 구멍(271)은 압축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되는 공구(FT)에 의해서 공기 충전 밸브(228)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가 두 개 또는 세 개의 리테이너(264A, 264C(264B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휠(110)의 리테이너(164B)와 유사한 원호 길이를 가짐))를 사용하지만, 더 많거나 더 작은 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가 설치 방향으로 지향되고 그 후에 슬롯(238S)을 통해 그리고 홈(234)의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휠의 회전 축에 평행하게 이동되고 그 후에 잠금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링-형상의 리테이너(264)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은 휠(10, 110, 210)의 이전에 개시된 실시예의 홈(36, 136, 236)에 필적하는 홈(336)의 표면(336F)과 반-환형 립(44, 144, 244)에 필적하는 반-환형 립(344)의 표면(344F) 사이의 대체 경계면(339)을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그 표면들은 반경 방향(수직)으로부터 경사져서 벡터(F)의 방향으로의 성분을 갖는 힘을 받을 때 폴-형태의 맞물림을 생성한다. 이러한 맞물림은 비드 시트 부분(362A 또는 362B)이 림(312)의 아래로 내려가고 그 후에 도시된 대로 맞물리게 전방으로 미끄럼할 때 에지(344E)가 에지(336E)를 통과하도록 반-환형 립(344)을 홈(336)의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휠(10, 110, 210)이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비드 시트(16, 116, 216) 및 하나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 162, 262)를 가지지만, 휠(10, 110, 210)은 두 개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 162, 262)를 하나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와 합체하여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 162, 262)가 전술한 바와 같이 림(12, 112, 212)에 어떻게 유지되는가와 유사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비드 시트(16, 116, 216)를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이어는 예를 들어, 휠이 단일 또는 이중 마운트 구성으로 차량의 허브에 장착될 때 어느 한쪽으로부터 장착되고 떼어내질 수 있으며, 이는 현장에서 바람빠진 타이어를 수리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으로 실시되었을 때, 전술한 실시예는 연료 절약을 초래할 수 있는 경량화, 내구성 및 높은 부하 용량, 림과 타이어에 대한 더 긴 사용 수명 그리고 엔진, 변속기, 리어(rear), 및 제동 시스템을 포함한 구동 라인과 제동 구성요소에 대한 감소된 기계적 응력과 마모와 같은 알루미늄 합금 휠의 유리한 속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휠의 다중-부품 구성은 림 구성요소로부터 비드 시트의 분해를 통해 타이어 및 튜브를 장착하고/떼어냄으로써 타이어 및 튜브의 정비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공정은 단일-부품의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고 떼어내는데 필요한 것과 같은 특별한 장비 없이 현장에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가 청구된 요지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가 주로, 두 개의 별개 부분(22A, 22B, 122A, 122B)을 갖는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 122)에 관한 것이지만, 두 개 초과의 부분, 예를 들어 3 개 또는 4 개의 부분이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22, 122)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3 개 또는 4 개의 부분은 이들이 더 작은 원호 길이로 연장하는 것을 제외하면, 두 부분(22A, 22B, 122A, 122B)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모든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2)

  1. 공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휠에 있어서,
    한 단부에 가까운 원주에 배열되는 제 1 비드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외측 원주 표면 내에 제 1 홈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인 림; 및
    상기 제 1 홈과 맞물려서 림 상에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와 타이어를 유지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 시트는 림과 일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복수의 보조-부품(sub-part)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부품은 두 개의 반-원형 비드 시트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반-원형 비드 시트 부분은 다른 것의 거울상(mirror image)과 유사하며 대칭 축에 함께 조립될 때, 제 1 홈에 가까운 림을 감쌀 수 있는 회전체와 유사하며, 상기 회전체는 L-형상의 긴 부분을 형성하는 인입 부분과, 상기 인입 부분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L-형상의 짧은 부분을 형성하는 직립 비드를 구비한 대체로 L-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인입 부분은 림을 감쌀 때 림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두 개의 비드 시트 부분의 각각은 직립 비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L-형상의 긴 부분 상에서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내측으로 지향된 립을 가지며, 상기 립은 비드 시트 부분이 림 상에 위치되어 림을 감쌀 때 제 1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으로 지향된 립은 제 1 립이며, 상기 림은 제 1 홈 및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그의 외측 원주 표면 내에 제 2 홈을 가지며,
    상기 비드 시트 부분의 각각은 제 1 립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로부터 연장하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립을 가지며, 상기 제 2 립은 비드 시트 부분이 림 상에 위치되어 림을 감쌀 때 제 2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립은 제 2 립이 연장하는 비드 시트 부분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홈은 림 상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플랜지, 제 2 립 및 림을 통해 연장하며, 상기 플랜지, 제 2 립 및 림 내의 구멍을 통과하여 제 2 홈을 가교 연결하고 림과 공동으로 각각의 비드 시트 부분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의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에 가까운 림은 비드 시트에 가까운 인접 부분에 대해 감소된 직경을 가지며, 감소된 직경 부분은 비드 시트 부분의 인입 부분의 두께와 유사한 양만큼 감소된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휠을 휠 허브에 장착할 수 있는 한 단부에 복수의 러그 구멍을 갖춘 장착 플랜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휠의 장착 플랜지는 휠 허브에 장착될 수 있는 이중 구성을 형성하도록 제 2 휠의 장착 플랜지 다음에 병치(juxtaposed)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제 1 홈과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그의 외측 원주 표면에 제 2 홈을 가지며, 나사형성된 체결기에 의해 비드 시트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립은 비드 시트 부분이 림 상에 위치되어 림을 감쌀 때 제 2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테이너가 복수의 비드 시트 부분에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형상이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성된 체결기는 리테이너 내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비드 시트 부분 내의 나사형성된 구멍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시트 부분은 그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리테이너와 형상이 상보적인 리세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는 복수의 비드 시트 부분을 가교 연결하고(bridge) 커플링하는(coup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제 2 홈의 에지에 대해 지지되고 리테이너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원주 리지와, 휠 상에 장착되는 타이어로부터의 압력의 영향하에서 휠의 축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비드 시트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성된 구멍은 그 내부에 나사형성된 인서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성된 인서트는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2.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반-원형 부재의 인입 부분은 그의 에지로부터 비드 시트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림에 대해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타이어의 바람이 빠졌을 때 림 상에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부분은 타이어 팽창 부하가 관련 비드 시트 부분을 변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부분은 타이어 팽창 압력을 휠의 축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림을 에워싸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의 분해 없이 림으로부터 비드 시트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는 타이어의 바람이 빠졌을 때 림에 유지될 수 있어서,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의 분해 없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29.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세스는 타이어가 팽창될 때 그리고 나사형성된 체결기의 존재와 무관하게 내부에 수용된 리테이너의 빠짐을 방지하는 경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3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링이며, 상기 제 2 립은 복수의 태브 및 간헐적 공간을 형성하는 성곽모양(castellated)이며, 상기 림은 제 2 홈과 연통하는 복수의 슬롯을 가지며, 상기 태브는 제 2 홈으로 진입하도록 휠과 동축인 제 1 회전 방향으로 슬롯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슬롯과 태브가 정렬되지 않는 제 2 위치로 림 상에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31. 공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휠에 있어서,
    한 단부에 가까운 원주에 배열되는 제 1 비드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비드 시트에서 먼 외부 원주 표면 내에 한 쌍의 이격된 홈을 가지는 림; 및
    림의 외측 표면과 상보적인 아치형 형상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은, 제 1 비드 시트와 복수의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의 전체 사이에 타이어를 유지하는 림 주위의 원주에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이 배열될 때, 한 쌍의 이격된 홈과 맞물릴 수 있는 각각의 비드 시트 부분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32. 제 3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드 시트는 한 쌍의 제 1 환형 립을 가지는 제 1 부분 및 한 쌍의 제 2 환형 립을 가지는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은 리세스 내부에 수용되는 제 2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리세스를 가지며, 제 2 부분을 통해서 연장하고 제 1 부분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체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기는 제 1 부분을 제 2 부분에 고정하고 제거 가능한 비드 시트 부분을 림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지지용 휠.
KR1020167024170A 2014-02-04 2015-02-04 휠 조립체 KR20160117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5656P 2014-02-04 2014-02-04
US61/935,656 2014-02-04
PCT/US2015/014407 WO2015120015A1 (en) 2014-02-04 2015-02-04 Wheel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550A true KR20160117550A (ko) 2016-10-10

Family

ID=5375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170A KR20160117550A (ko) 2014-02-04 2015-02-04 휠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604498B2 (ko)
EP (1) EP3102434A4 (ko)
JP (1) JP6229070B2 (ko)
KR (1) KR20160117550A (ko)
CN (1) CN106163826B (ko)
BR (1) BR112016017970A2 (ko)
CA (1) CA2938672C (ko)
MX (1) MX2016010115A (ko)
RU (1) RU2633031C1 (ko)
WO (1) WO2015120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550A (ko) * 2014-02-04 2016-10-10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휠 조립체
JP2018024264A (ja) * 2014-12-16 2018-02-15 トピー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の多片リム構造
CN106183612B (zh) * 2016-08-19 2018-12-14 梅州市洪裕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可防爆胎的新型汽车轮毂
US11465443B2 (en) 2016-09-27 2022-10-1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Wheel with bead locks
FR3059270B1 (fr) * 2016-11-30 2019-05-10 Safran Landing Systems Roue d'aeronef a talon amovible
US20180304677A1 (en) * 2017-04-24 2018-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readed wheel ornament attachment
WO2019089736A1 (en) 2017-10-31 2019-05-09 Arconic Inc. Improved aluminum alloy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D889376S1 (en) * 2017-12-29 2020-07-07 Howmet Aerospace Inc. Wheel flange
USD889375S1 (en) * 2017-12-29 2020-07-07 Howmet Aerospace Inc. Wheel flange
USD836522S1 (en) * 2017-12-29 2018-12-25 Arconic Inc. Ribbed wheel
USD836057S1 (en) * 2017-12-29 2018-12-18 Arconic Inc. Ribbed wheel
USD836056S1 (en) * 2017-12-29 2018-12-18 Arconic Inc. Ribbed wheel
CA3077096A1 (en) * 2017-12-29 2019-07-04 Arconic Inc. Wheel having a stiffening rib
US20230202231A1 (en) * 2019-03-25 2023-06-29 Wheels India Limited A Novel Saddle Lock Ring for Rear Dual Wheels of Heavy Transport Vehicle
EP3976391A4 (en) * 2019-05-24 2023-07-19 Howmet Aerospace Inc. VEHICLE WHEELS,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WHEELS AND DUAL WHEEL ASSEMBLIES
USD997831S1 (en) * 2019-11-04 2023-09-05 StreetCar ORV, LLC Wheel
CN111421999A (zh) * 2020-04-10 2020-07-17 徐超 一种轮辋及车轮
US11090976B1 (en) * 2020-10-19 2021-08-17 Icon Vehicle Dynamics Llc Vehicle tire bead reten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9739A (en) * 1921-02-23 1924-07-01 Hydraulic Steel Company Automobile wheel rim
US2149205A (en) * 1937-01-07 1939-02-28 Firestone Tire & Rubber Co Tire rim
GB647332A (en) * 1948-11-18 1950-12-13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vehicle wheels
US3623772A (en) * 1970-01-21 1971-11-30 Dayton Steel Foundry Co Dual wheel spacer
US4049320A (en) * 1975-07-09 1977-09-20 Dayton-Walther Corporation Vehicle wheels, spacers and dual rims
US4142569A (en) * 1975-08-21 1979-03-06 The Dayton Steel Foundry Company (Dayton-Walther Corporation) Separable safety rims
US4021077A (en) * 1975-09-05 1977-05-03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Dual truck wheel assembly having an elliptical locking cam plate
GB2088297B (en) * 1977-08-25 1983-01-19 Dunlop Ltd Improvements to tyres
JPS5534935U (ko) * 1978-08-29 1980-03-06
US4407348A (en) * 1981-01-23 1983-10-04 Caterpillar Tractor Co. Multi-piece wheel structure
US4369826A (en) * 1981-01-23 1983-01-25 Caterpillar Tractor Co. Multi-piece wheel structure
US4549590A (en) * 1984-03-16 1985-10-29 Sahagian Edward H Resilient wheels
US4902074A (en) * 1989-01-30 1990-02-20 Dayton-Walther Corporation Spacer block
US5083597A (en) * 1990-05-04 1992-01-28 Komatsu Dresser Company Lock ring groove support for dual tire rims
US5343920A (en) * 1991-08-26 1994-09-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Wheel assembly with flange securing and pressure relieving means
JP3910001B2 (ja) * 1999-05-27 2007-04-25 トピー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ダンパー付き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DE19984000T1 (de) * 1999-12-17 2003-02-27 Hayes Lemmerz Int Inc Vollscheibenfahrzeugrad für eine Fahrzeugzwillingsradanordnung mit starkem Versatz
ITBO20000025A1 (it) * 2000-01-25 2001-07-25 O Z S P A Ruota per autoveicolo in tre parti .
JP3804952B2 (ja) * 2001-01-18 2006-08-02 ジェームズ マクニール, ホイールアセンブリ
JP2003312204A (ja) * 2002-04-18 2003-11-06 Topy Ind Ltd 弾性ホイール
JP4190356B2 (ja) * 2003-06-11 2008-12-03 トピー工業株式会社 横装填ホイール
US7083238B2 (en) * 2004-08-23 2006-08-01 Alcoa, Inc. Multi-piece aluminum wheel and associated method
JP2006306261A (ja) * 2005-04-28 2006-11-09 Topy Ind Ltd 横装填ホイールのシール構造
JP5340826B2 (ja) * 2008-08-28 2013-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運搬車両
US8690265B2 (en) * 2011-05-19 2014-04-08 Hutchinson, Sa Dual wheels with common hub adapter
US8746396B2 (en) * 2011-06-29 2014-06-10 General Electric Company Wheel hub, assembly, and method
KR20160117550A (ko) * 2014-02-04 2016-10-10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휠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17599A1 (en) 2015-08-06
US9884511B2 (en) 2018-02-06
BR112016017970A2 (pt) 2017-08-08
RU2633031C1 (ru) 2017-10-11
US20170151832A1 (en) 2017-06-01
JP2017506183A (ja) 2017-03-02
WO2015120015A1 (en) 2015-08-13
EP3102434A1 (en) 2016-12-14
MX2016010115A (es) 2017-02-15
EP3102434A4 (en) 2017-12-27
CN106163826B (zh) 2018-12-04
CN106163826A (zh) 2016-11-23
JP6229070B2 (ja) 2017-11-08
CA2938672C (en) 2017-06-27
CA2938672A1 (en) 2015-08-13
US9604498B2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7550A (ko) 휠 조립체
JP2008510657A (ja) マルチピース型安全ホイール及び関連する方法
EP0951400A1 (en) Take apart safety vehicle wheel assembly
US20230391139A1 (en) Reusable rim for non-pneumatic tires
US4360052A (en) Portable tire tool
US20150246578A1 (en) Multi-piece rim assembly
US5740848A (en) Tire changer tool set
AU646969B2 (en) Wheel assembly with flange securing and pressure relieving means
US7451794B1 (en) Internal air passage in a take-apart wheel
US5022450A (en) Safety tire and take-apart wheel construction
EP3976398B1 (en) Anti-skid device with external mounting to the hub of a wheel particularly for wheels with alloy rims
KR0153533B1 (ko) 안전타이어 및 분리 휠 구조
JP2019516597A (ja) 大型輸送車両の後複車輪用の新規なサドル係止リング
US3144275A (en) Rim and wheel assemblies
CN114901488A (zh) 车轮组件、用于车轮组件的锁环、可与锁环接合的手柄及相关方法
US1583994A (en) Vehicle wheel
WO2022177474A1 (ru) Диск с кольцом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230202231A1 (en) A Novel Saddle Lock Ring for Rear Dual Wheels of Heavy Transport Vehicle
CA1110293A (en) Base flanged tire carrying rims, wheels and fastening assemblies
US915954A (en) Pneumatic-tire mounting.
US4129336A (en) Base flanged tire carrying rim and wheel
US20050173970A1 (en) Wheel rim structure
US2713374A (en) Sectional vehicle wheel
US5673482A (en) Method of banding vehicle hub
US1744761A (en) Rim bo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