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598A - 구이용 석쇠 - Google Patents

구이용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598A
KR20160115598A KR1020150043598A KR20150043598A KR20160115598A KR 20160115598 A KR20160115598 A KR 20160115598A KR 1020150043598 A KR1020150043598 A KR 1020150043598A KR 20150043598 A KR20150043598 A KR 20150043598A KR 20160115598 A KR20160115598 A KR 20160115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lower cover
steel wire
disposed
g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곤
Original Assignee
김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곤 filed Critical 김해곤
Priority to KR102015004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598A/ko
Publication of KR2016011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이용 석쇠는,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몸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수의 강선들; 및 상기 강선 하부에 이격되어 상기 강선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강선과 대향되는 일면이 개방된 유로가 형성되는 수집부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이용 석쇠{A GRILL FOR ROASTING}
본 발명은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선의 하부에 설치된 수집부재를 통해 구이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 가능한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는 구이대상물, 예를 들어, 삼겹살, 갈비, 등심, 생선 등을 굽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통 봉으로 이루어진 금속재료를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석쇠는 가볍고 간단한 구조이며, 구이대상물을 신속히 익혀 시식할 수 있는 관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숯불구이용 석쇠의 경우 취식물을 굽는 도중 구이대상물이 석쇠에 들러붙어 탄화되는 경우, 석쇠를 자주 교체해야한다.
교체된 석쇠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쇠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닦아내야 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음식업소 등에서는 석쇠를 세척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물에 들러붙어 탄화되어 불결해진 석쇠를 세척하기에 편리하도록 석쇠의 구조를 개선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6647호. 2009. 01. 15.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 가능한 구이용 석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이용 석쇠는,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몸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수의 강선들; 및 상기 강선 하부에 이격되어 상기 강선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강선과 대향되는 일면이 개방된 유로가 형성되는 수집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이용 석쇠는, 상기 몸체에 결합 가능하며, 상면에 상기 수집부재들이 연결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커버를 경사배치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판은 상기 하부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배치되되,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배출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강선들 및 상기 수집부재들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수집부재의 중심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이용 석쇠는, 상기 배출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커버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유로에 공급 가능한 토출구를 구비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이용 석쇠는,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유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가지며, 상기 유체를 수용부재로부터 순환 가능한 순환탱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통홀은 상기 순환탱크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이대상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강선의 하부에 설치된 수집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기존에 구이대상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나오는 기름 또는 구이대상물에 묻어 있던 양념 등이 강선의 하부로 낙하되어 숯불이나 가스불로 떨어져 그을음과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재는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강선 및 수집부재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집부재는 강선의 하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숯불이나 가스불이 강선에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여 갑작스럽게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선의 상부에 놓여진 구이대상물이 타거나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석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사용예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구이용석쇠를 원형링 형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구이용석쇠는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다각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석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쇠(1)는 알루미늄 소재인 테두리 부재(3)와 마름모 모양으로 엮어진 망(5)으로 이루어진다. 망(5)은 별도의 결합수단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각 테두리 부재(3)에 결합되기 때문에 테두리 부재(3)에 망(5)을 결합하는 작업을 해나가면서 마름모 모양으로 망(5)을 엮는 작업을 병행하여야만 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석쇠(1)는 대량으로 생산하기가 어렵고, 완제품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필요함에 따라 주문량을 적기에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부식되어 장시간 사용이 어려워 잦은 교체가 불가피한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피가열물(구이 대상물, 예를 들어 육류 등)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나오는 기름기와, 피가열물에 묻어 있던 양념 등이 망(5) 사이로 빠지면서 숯불이나 가스불로 떨어져서 그을음과 연기가 발생하며, 그로 인해 피가열물을 구워먹기가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구이용 석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용 석쇠(100)는 내부에 중앙개구(18)가 형성된 링 형상의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50)와 몸체(10)에 각각 지지되어 구이대상물이 올려지는 강선(40) 및 강선(40)의 하부에 이격배치되는 수집부재(70)를 포함한다.
상부커버(50)는 몸체(10)와 대응되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부개구(58)가 형성된다. 상부커버(50)는 각각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기립배치되는 상부외측판(52)과 상부보조판(56) 및 상부보조판(56)의 상단과 상부외측판(5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내측판(54)을 구비한다. 상부외측판(52)은 상부보조판(56)보다 긴 높이를 가지며, 상부내측판(54)이 상부보조판(56)과 상부외측판(52)의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상부커버(50)는 상부설치홈(59)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30)는 몸체(10)와 대응되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하부개구(38)가 형성된다. 하부커버(30)는 상부커버(50)와 마찬가지로 각각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기립배치되는 하부외측판(32)과 하부보조판(36) 및 하부외측판(36)의 하단과 하부보조판(32)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내측판(34)을 구비한다. 하부외측판(36)은 하부보조판(32)보다 긴 높이를 가지며, 하부내측판(34)이 하부보조판(32)과 하부외측판(36)의 하단에 연결됨으로써 하부커버(30)는 하부설치홈(39)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집부재(70)는 하부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하부보조판(32)의 상단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수집부재(70)는 강선들(40)과 대응되는 개수를 가진다. 수집부재(70)는 각각의 대응되는 강선(40)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집부재(70)는 강선(50)과 대향되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집부재(70)는 중앙부가 하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강선(40)으로부터 낙하된 기름이 흐르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커버(30)는 몸체(10)의 하부에 결합 가능하며, 하부커버(30)의 하면에는 경사판(80)이 결합될 수 있다. 경사판(80)은 하부커버(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하부커버(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배치되어 하부커버(30)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경사판(80)은 기립설치되는 기립부(82)와 하부개구(38)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부(8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부(82)는 하부내측판(34)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기립부(82)는 하부개구(38)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ℓC)을 기준으로 일측을 향해 편심 배치되며, 연결부(84)는 하부개구(38)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ℓC)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수집부재(7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의 수집부재(70)는 강선(40)보다 큰 폭(d2>d1)을 가진다. 강선(40)은 수집부재(70)의 폭을 중심으로 중앙부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강선(40)으로부터 낙하된 기름은 수집부재(70)에 낙하되어 안정적θ으로 수집될 수 있다. 수집부재(70)는 중앙부가 하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강선(40)으로부터 낙하된 기름이 외측으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집부재(70)의 하부에는 경사판(80)이 연결되며, 경사판(80)은 하부커버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경사판(80)은 하부커버(30)를 중심으로 일측을 향해 편심 배치됨에 따라 강선(40) 및 수집부재(70)는 경사판(80)에 의해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일정한 기울기(θ)를 가진다.
하부내측판(34)은 배출홀(90)이 형성되며, 배출홀(90)은 하부내측판(34)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90)은 경사판(80)의 반대편에 형성되된다. 따라서, 수집부재(70)에 낙하된 기름은 배출홀(90)을 향해 유동되어 배출홀(90)을 통해 외부로 배출 가능하며, 배출홀(90)의 하부에는 기름받이(도시안함)가 배치되어 기름은 기름받이로 흘러내리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50)는 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커버는 몸체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몸체(10)와 상하로 배치되어 상부설치홈(59)과 하부설치홈(19)을 통해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외측판(12)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지지홀(20)이 형성되며, 지지홀(20)은 메인외측판(12)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강선(40)은 일단 및 타단이 지지홀(20)에 각각 삽입되어 후크 형태로 절곡되어 지지되며, 메인개구(18)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강선(40)은 메인개구(18)의 중심(C)을 지나는 가상선(ℓC)을 기준으로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강선(40)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개구(18) 상에 망(net)을 형성한다. 강선(40)은 일단부에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45)가 구비되며, 탄성부(45)는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지지홀들(20)은 강선(4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각각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구역 양측(ZA, Z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 최외측에 배치된 지지홀(20) 사이에는 구이용 석쇠(100)를 열원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연결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강선(40)은 탄성부(45)가 좌우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45)가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강선(40)은 내부설치공간(60) 내의 간격을 촘촘히 유지하여 구이대상물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에 각각 배치된 탄성부(45)를 통해 탄성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구이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강선(40)은 직경이 약 0.1 ~ 2.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작은 직경의 강선(40)을 사용함으로써 구이대상물과 강선(40)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구이대상물이 눌러 붙지 않고 골고루 잘 익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각각의 강선(40)에 교차되어 배치되는 탄성부(45)를 통해 구이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에 의해 이완되는 강선(40)의 장력을 자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강선(40)은 코일 형태의 탄성부(45)를 가지므로, 강선(40)의 길이를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즉, 강선(40)은 탄성부(45)가 코일 형태를 유지하므로, 중심(C)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지지홀(20) 사이의 거리보다 훨씬 크며, 이를 통해 강선(40)의 열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강선(40)의 열용량은 질량에 비례하며, 강선(40)의 열용량이 작을 경우 외부 상황(예를 들어, 구이대상물의 온도 또는 열원(예를 들어, 숯불)의 상태)에 따라 온도가 쉽게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선(40)의 열용량을 확보함으로써 강선(40)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구이대상물에 일정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외측판(12)의 상단은 하부내측판(16)을 향해 상향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외측판(56)은 하부외측판(16)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 또는 볼트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와 커버(50) 및 강선(40)은 내식성 소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일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강선들(40)을 탄성부(45)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지지홀(20)에 각각 삽입하여 지지한 이후 상부커버(50) 및 하부커버를 몸체(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이용 석쇠(10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변형예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구이용 석쇠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하며, 생략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구이용 석쇠(100)의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용 석쇠(100a)는 중앙부에 중앙개구(18a)가 형성되는 원형 링 형상의 몸체(10a) 및 몸체(10a)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a)는 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중앙내측판(12) 및 중앙내측판(12)의 둘레를 따라 기립 배치되는 중앙외측판(1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중앙외측판(14)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중앙보조판(도시안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외측판(14)은 중앙보조판보다 긴 높이를 가지며, 중앙내측판(12)이 중앙보조판과 중앙외측판(14)의 하단에 연결됨으로써 몸체(10a)는 중앙설치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a)의 하면에는 경사판(80a)이 연결되며, 경사판(80a)은 몸체(1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을 향해 편심 배치된다.
수집부재(70)는 증앙내측판(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하부보조판(32)의 상단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수집부재(70)는 강선들(40)과 대응되는 개수를 가진다. 수집부재(70)는 각각의 대응되는 강선(40)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집부재(70)는 강선(50)과 대향되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집부재(70)는 중앙부가 하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강선(40)으로부터 낙하된 기름이 흐르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집부재(70)는 몸체(10a)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부커버(50)는 몸체(10)와 대응되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부개구(58)가 형성된다. 상부커버(50)는 각각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기립배치되는 상부외측판(52)과 상부보조판(56) 및 상부보조판(56)의 상단과 상부외측판(5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내측판(54)을 구비한다. 상부외측판(52)은 상부보조판(56)보다 긴 높이를 가지며, 상부내측판(54)이 상부보조판(56)과 상부외측판(52)의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상부커버(50)는 상부설치홈(5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커버(50)가 몸체(10a)의 상부에 결합될 경우, 중앙설치홈(19) 및 상부설치홈(59)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강선(40)에 구비된 탄성부(45)는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이용 석쇠는 앞서 설명한 구이용 석쇠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하되, 생략된 설명은 앞서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이용 석쇠는 구이용 석쇠(100b)는 내부에 중앙개구(18)가 형성된 링 형상의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50)와 몸체(10)에 각각 지지되어 구이대상물이 올려지는 강선(40) 및 강선(40)의 하부에 이격배치되는 수집부재(70)를 포함한다.
또한, 구이용 석쇠(100b)는 하부커버(30)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수집부재(70)의 유로에 유체(예를 들어, 순수)를 공급 가능한 분사노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110)은 배출홀(9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수집부재(70)에 순수를 공급한다. 즉, 순수는 배출홀(90)을 향해 하향경사진 수집부재(70)를 따라 배출홀(90)로 유동하며, 강선(40)으로부터 낙하된 기름과 함께 유동함으로써 수집부재(70)에 기름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사노즐(110)은 각각 이격배치된 수집부재(70)에 순수를 공급 가능하도록 수집부재(7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토출구들(11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이용 석쇠(110b)는 하부커버(30)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출홀(90)을 통해 배출된 기름과 순수를 수용하는 수용부재(120)와, 수용부재(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분사노즐(110)에 순수를 공급 가능한 순환탱크(도 9의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재(120)는 하부를 향해 볼록한 수용공간(129)을 가지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순환탱크(도 9의 130)는 수용부재(120)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도 9의 125)에 연통되어 수용공간(129)으로 배출된 기름과 순수는 순환탱크(도 9의 130)로 유입될 수 있다. 연통홀(도 9의 125)은 순환탱크(도 9의 130)의 바닥면(131)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재(120)는 연통홀(도 9의 125)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통홀(도 9의 125) 또한 순환탱크(도 9의 13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수용공간(129)에 수용된 기름과 순수는 용이하게 순환탱크(도 9의 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순환탱크(도 9의 130)의 바닥면(도 9의 131) 상에는 구동펌프(도 9의 138)가 설치되며, 기름이 순수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므로 구동펌프(도 9의 138)는 순환라인(140)을 통해 분사노즐(110)로 순수를 공급하여 수용부재(120)와 순환탱크(도 9의 130) 사이에 순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구이용 석쇠의 사용예이다. 도 8은 구이용 석쇠에서 기름의 유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9는 구이용 석쇠에서 기름의 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대상물은 강선(40)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로 열기에 의해 구워지며, 구이대상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수집부재(70)로 떨어진다. 강선(40) 및 수집부재(70)는 경사판(80)에 의해 배출홀(90)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수집부재(70)로 떨어진 기름은 배출홀(90)로 유동되어 배출홀(90)을 통해 수용부재(120)로 배출된다.
또한, 분사노즐(110)을 통해 수집부재(70)로 공급된 순수는 기름과 함께 배출홀(90)로 유동되며, 수용부재(70)로 낙하된 기름 및 순수는 연통홀(125)을 통해 순환탱크(130)로 배출된다. 순환탱크(130)로 배출된 기름은 순수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므로 순수의 액면에 부유되며, 구동펌프(138)는 순환탱크(130)의 바닥판(131) 상에 설치됨으로써 순수만을 분사노즐(110)에 공급함으로써 분사노즐(11) 및 순환라인(140)이 기름으로 인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재(70)에 순수를 순환시켜 공급함으로써 수집부재(70)가 고열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석쇠(1)는 테두리 부재(3)에 강선(40)을 용접을 통해 각각 고정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면서도 생산기간이 길어져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부위가 쉽게 이탈되는 강선(40)이 테두리 부재(3)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사용기간이 짧아지며, 고정되지 않는 강선(40)으로 인해 사용함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반면, 본 발명인 구이용 석쇠(100)는 탄성부(45)를 구비하는 강선(40)을 몸체(10)에 형성된 지지홀(20)에 각각 삽입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강선(40)들을 몸체(10)에 용이하게 지지가능하며, 간단한 작업과정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45)가 내부설치공간(60) 내에 배치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부(45)가 교대로 배치될 경우, 구이대상물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으며, 가는 직경의 강선(40)을 촘촘히 배치하여 구이대상물이 강선(40)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고 구이대상물을 균일하게 가열함으로써 식감 및 맛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부(45)를 통해 열에 의해 이완되는 강선(40)의 장력을 자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손상된 강선(40)을 부분적으로 교체하는 작업 역시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구이대상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강선(40)의 하부에 설치된 수집부재(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기존에 구이대상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나오는 기름 또는 구이대상물에 묻어 있던 양념 등이 강선(40)의 하부로 낙하되어 숯불이나 가스불로 떨어져 그을음과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재(70)는 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강선(40) 및 수집부재(7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집부재(70)는 강선(40)의 하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숯불이나 가스불이 강선(40)에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여 갑작스럽게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선(40)의 상부에 놓여진 구이대상물이 타거나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구이용 석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 몸체 20 : 지지홀
30 : 하부커버 40 : 강선
45 : 탄성부 50 : 상부커버
70 : 수집부재 80 : 경사판
90 : 배출홀 100 : 구이용 석쇠
110 : 분사노즐 115 : 토출구
120 : 수용부재 125 : 연통홀
129 : 수용공간 130 : 순환탱크
140 : 순환라인

Claims (5)

  1.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몸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수의 강선들; 및
    상기 강선 하부에 이격되어 상기 강선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강선과 대향되는 일면이 개방된 유로가 형성되는 수집부재들을 포함하는, 구이용 석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석쇠는,
    상기 몸체에 결합 가능하며, 상면에 상기 수집부재들이 연결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커버를 경사배치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판은 상기 하부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배치되되,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배출홀을 가지는, 구이용 석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들 및 상기 수집부재들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수집부재의 중심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이용 석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석쇠는,
    상기 배출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커버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유로에 공급 가능한 토출구를 구비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구이용 석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석쇠는,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유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가지며, 상기 유체를 수용부재로부터 순환 가능한 순환탱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통홀은 상기 순환탱크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구이용 석쇠.
KR1020150043598A 2015-03-27 2015-03-27 구이용 석쇠 KR20160115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98A KR20160115598A (ko) 2015-03-27 2015-03-27 구이용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98A KR20160115598A (ko) 2015-03-27 2015-03-27 구이용 석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98A true KR20160115598A (ko) 2016-10-06

Family

ID=5716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598A KR20160115598A (ko) 2015-03-27 2015-03-27 구이용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5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47A (ko) 2007-07-12 2009-01-15 강영순 구이용 석쇠 및 석쇠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47A (ko) 2007-07-12 2009-01-15 강영순 구이용 석쇠 및 석쇠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343B1 (en) Barbecue grill grate
US20160220066A1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KR101620988B1 (ko)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KR100866157B1 (ko) 직화식 구이판
US20190282028A1 (en) Grill pan for direct fired roast
US20140137854A1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KR200433479Y1 (ko) 직화 구이 석쇠
KR101078690B1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CN108937622A (zh) 热高效的烹饪格栅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200477614Y1 (ko) 구이용 불판
KR101428463B1 (ko)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KR101571499B1 (ko) 다용도 불판
US20150053096A1 (en) Broiling rack for a barbecue grill
KR20160115598A (ko) 구이용 석쇠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140139860A (ko) 기름이 분리 배출되는 이중팬
KR200461125Y1 (ko) 구이용 석쇠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0466340Y1 (ko) 구이용 석쇠
KR102432107B1 (ko) 구이용 불판
JP6841527B1 (ja) 加熱調理器の調理用プレート
KR200414163Y1 (ko)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KR102425199B1 (ko) 쇠구슬 불판
KR20060130992A (ko) 고기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