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489A -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489A
KR20160114489A KR1020150119984A KR20150119984A KR20160114489A KR 20160114489 A KR20160114489 A KR 20160114489A KR 1020150119984 A KR1020150119984 A KR 1020150119984A KR 20150119984 A KR20150119984 A KR 20150119984A KR 20160114489 A KR20160114489 A KR 20160114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main body
projecting portion
rotation
proj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942B1 (ko
Inventor
요스케 니노미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details of the the intermediate support,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 G03G15/165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comprising a rotatable holding member to which the second base is attached or attracted, e.g. screen transfer holding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구동력 전달 기구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하는 제1 면과, 당해 제1 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당해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한 전달 부재를 갖는 본체, 및 장착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대면하여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2 면과, 당해 제2 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당해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1 면의 회전에 수반해서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각각이 접촉하여 당해 제1 돌출부로부터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 2개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한 피전달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상기 제2 면이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 부재가 결합되는 장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돌출부끼리를 잇는 선분이 상기 장착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자세로 상기 장착체가 장착되어 왔을 때의 당해 제2 돌출부에 접촉하여 상기 피전달 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 부재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5-338146호 공보에는, 본체로부터 현상 카트리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부재를, 현상 카트리지의 착탈에 연동하여 진퇴(進退)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6-154746호 공보에는, 현상 카트리지 삽입 후의 레버 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부재를 현상 카트리지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구조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11-59617호 공보에는, 프로세스 유닛 장전을 위한 본체의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그 프로세스 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진퇴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2 돌출부와 접촉하는 접촉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결합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돌하여 장착체가 본체에 장착되지 않는 것을 저감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따르면,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하는 제1 면과, 당해 제1 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당해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한 전달 부재를 갖는 본체, 및 장착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대면하여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2 면과, 당해 제2 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당해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1 면의 회전에 수반해서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각각이 접촉하여 당해 제1 돌출부로부터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 2개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한 피전달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상기 제2 면이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 부재가 결합되는 장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돌출부끼리를 잇는 선분이 상기 장착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자세로 상기 장착체가 장착되어 왔을 때의 당해 제2 돌출부에 접촉하여 상기 피전달 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 부재를 더 구비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쌍방이,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1 첨두부(尖頭部)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따르면, 상기 제2 돌출부가, 회전 중심에 다가감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2 첨두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1 돌출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端部)와 다른 쪽의 제1 돌출부의 회전 중심에 근접한 측의 단부 사이의 제1 거리가, 상기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2 돌출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와 다른 쪽의 제2 돌출부의 회전 중심에 근접한 측의 단부 사이의 제2 거리보다 긴 거리이며, 상기 접촉 부재를 경유하여 장착되어 온 상기 장착체의 상기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2 돌출부가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1 돌출부에 접했을 때에, 상기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다른 쪽의 제2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중의 다른 쪽의 제1 돌출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상기 피전달 부재를 회전시키는 거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따르면, 상기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체가 분체(粉體)를 수용하는 분체 용기이고, 상기 본체가 상기 분체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인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5 방안에 따르면, 제2 돌출부와 접촉하는 접촉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결합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돌하여 장착체가 본체에 장착되지 않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안에 따르면, 2개의 제2 돌출부와 2개의 제1 돌출부가 일직선으로 늘어서는 각도에서 한쪽의 제2 돌출부가 한쪽의 제1 돌출부에 충돌해도, 피전달 부재가 회전하여 전달 부재와 결합된다.
상기 제3 방안에 따르면,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장착 방향 후측의 제2 돌출부가 제1 돌출부에 충돌해도 피전달 부재가 회전하여 전달 부재와 결합된다.
상기 제4 방안에 따르면,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2 돌출부가 2개의 제1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1 돌출부에 충돌해서 회전했을 때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제2 돌출부와 다른 쪽의 제1 돌출부가 충돌하는 것에 의한 회전의 저해가 회피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프린터 본체측의 전달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토너 카트리지측의 피전달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에 의해 피전달 부재가 전달 부재에 다가가는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피전달 부재(도 5의 (A))와 전달 부재(도 5의 (B))의 모식도.
도 6은 2개의 제1 돌출부끼리의 거리와 2개의 제2 돌출부끼리의 거리가 거의 동등할 경우에 생길 우려가 있는 문제점에 대한 설명도.
도 7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문제의 해결책의 개략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대책에 의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문제가 해소되는 것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프린터에는 본 발명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조립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1)는 용지(P) 위에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터이며, 도 1에 있어서 우측의 측면이 장치의 전면(前面)으로 되어 있다. 이 프린터(1)에서는 프린터 본체(11)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의 전면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전면측 비스듬히 위쪽에는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의 전면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프린터 본체(11)가 본체의 일례에 상당하고,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토너 카트리지(3)에는 보급용의 토너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 토너 카트리지(3) 내의 토너는 교반 부재(31)의 회전에 의해 교반됨으로써 응집이 방지되어 있다. 이 교반 부재(31)에는 프린터 본체(11)에 구비된 모터(111)로부터 구동력 전달 기구(도시생략)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 토너 카트리지(3) 내의 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구비되어 있는 현상기(21)에 공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는 현상기(21) 외, 감광체(22), 대전기(23), 클리너(24)가 구비되어 있고, 그들 현상기(21)나 감광체(22)와 토너 카트리지(3) 사이에는 클리너(24)에 의해 감광체(22) 위로부터 긁어내어진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실(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본체(11)에는, 감광체(22)를 향해서 노광광(露光光)(112a)을 조사하는 노광기(112), 및 감광체(2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사기(113)가 구비되어 있다.
감광체(22)는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작용을 받는다.
대전기(23)는 감광체(22)의 표면을 미리 정해진 전위로 대전한다.
노광기(112)는 감광체(22)의 대전된 표면에 화상 신호에 따른 노광광(112a)을 조사하여 감광체(22)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21)에는 캐리어와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2개의 오거(211, 212)의 회전에 의해 도 1의 지면(紙面)에 수직인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고 있다. 이 현상기(21) 내의 현상제는,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213)에 의하여 감광체(22)에 대향한 현상 위치로 옮겨지고, 그 현상제 중의 토너에 의해 감광체(22) 위의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 감광체(22) 위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체(22)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반송되어 온 용지(P) 위에 전사기(113)의 작용에 의해 전사된다. 그 용지(P) 위의 토너상은 프린터 본체(11)에 구비된 정착기(114)에 의한 가열 및 가압을 받아서 그 용지(P) 위에 정착된다.
이 프린터 본체(11)의 하부에는 용지 카트리지(115)가 도 1 중 우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용지 카트리지(115)에는 프린트 전의 용지(P)가 복수 매 쌓아올려진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프린트에 있어서는, 이 용지 카트리지(11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P) 중의 가장 위에 쌓아올려져 있는 용지(P)가 취출 롤(116)에 의해 취출되며, 용지(P)가 복수 매 겹쳐진 채로 취출되었을 경우이어도 분리 롤(117)에 의해 확실히 1매만으로 분리되어 반송로(d1) 위에서 반송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118)에 이른다. 이 레지스트레이션 롤(118)은, 반송되어 온 용지의 자세를 바르게 함과 함께 그 후의 반송 타이밍을 조정해서, 그 용지를 하류측으로 더 송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레지스트레이션 롤(118)로부터는, 감광체(22) 위의 토너상의 전사 타이밍에 맞도록 용지가 송출되어, 감광체(22) 위의 토너상이 그 용지 위에 전사된다. 토너상의 전사를 받은 용지는, 반송로(d2) 위에서 더 반송되어 정착기(114)를 통과하여 토너상의 정착을 받고, 배지(排紙) 롤(119)에 의해 프린터 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된 배지대(120) 위로 배출된다.
용지의 양면에 프린트할 때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면에 프린트된 용지가 배지 롤(119)에 의해 도중까지 송출되고, 그 후 배지 롤(119)이 역회전해서 이번에는 반송로(d3) 위에서 반송되어, 다시 레지스트레이션 롤(118)에 도달한다. 그 후에는 상기한 프린트 동작이 다시 반복되어 양면에 프린트된 용지가 배지 롤(119)에 의해 배지대(120) 위로 배출된다.
이 프린터 본체(11)의 커버 중의 일부의 커버(121)는, 힌지부(121a)를 중심으로 화살표(C-D) 방향, 즉 장치의 전면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커버(121)를 열고 토너 카트리지(3)에 구비된 손잡이(39)를 손으로 쥐고 인출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가 프린터 본체(11) 밖으로 취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취출할 때에는, 토너 카트리지(3)를 취출한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구비된 회전 레버(29)를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해서 쓰러뜨린다. 이 회전 레버(29)는 힌지부(29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단,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 레버(29)는 토너 카트리지(3)가 방해되어 본 도 1에 나타내는 제1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도 1에 나타내는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어, 회전 레버(29)가 이 도 1에 나타내는 제1 자세에 있을 때에는, 토너 카트리지(3)의 유무에 상관없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하단의 일부가 프린터 본체(11)에 걸려서 인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3)를 취출할 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까지 함께 취출되어버리는 사태의 발생이 회피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프린터 본체(11)로부터 취출함에 있어서는, 우선 토너 카트리지(3)를 취출한다. 그리고 회전 레버(29)를 화살표(E) 방향으로 쓰러뜨려서 제2 자세로 한다. 그러면, 회전 레버(29)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편심 캠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약간 들어올려진다. 그러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하단의 일부의 프린터 본체(11)에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래서, 제2 자세로 쓰러뜨린 회전 레버(29)를 그대로 손잡이로서 사용하여 인출함으로써,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프린터 본체(11) 밖으로 취출할 수 있다. 장착 시에는 취출 시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회전 레버(29)를 손잡이로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프린터 본체(11) 내에 압입하고, 회전 레버(29)를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 1에 나타내는 제1 자세로 한다. 그러면,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그 하단의 일부가 프린터 본체(11)에 빠짐 방지된 상태로 된다. 그 후, 토너 카트리지(3)의 손잡이(39)를 손으로 쥐고 토너 카트리지(3)를 장착하고, 프린터 본체(11)의 커버(121)를 화살표(D) 방향으로 닫는다.
여기에서, 프린터 본체(11)에는, 교반 부재(3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11)로부터의 구동력을 토너 카트리지(3)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3)에는 그 전달 부재로부터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 피전달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구조, 및 그에 부수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프린터 본체측의 전달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토너 카트리지측의 피전달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3)가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도 2, 도 3에서는 알기 쉽게하기 위해 토너 카트리지(3)를 수평 방향으로 장착하는 방향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전달 부재(40)는 원형의 제1 면(41)을 갖는다. 이 제1 면(41)은 모터(111)(도 1 참조)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그 중앙의 회전 중심(40a)의 둘레로 회전한다. 또한, 이 전달 부재(40)는, 그 제1 면(41)의 회전 중심(40a)으로부터 서로 역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그 제1 면(41)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제1 돌출부(42)를 갖는다. 이 2개의 제1 돌출부(42)들은 제1 면(4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중심(40a)의 둘레로 회전한다. 또한, 이 프린터 본체(11)에는, 그 전달 부재(40)보다 화살표(G)로 나타내는 장착 방향 전방측에, 하면측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43)의 작용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이 돌기부(43)는 접촉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토너 카트리지(3)측의 피전달 부재(50)는 원형의 제2 면(51)을 갖는다. 토너 카트리지(3)가 프린터 본체(11)에 장착되면, 이 제2 면(51)은 프린터 본체(11)측의 전달 부재(40)의 제1 면(41)(도 2 참조)과 대면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제2 면(51)은, 프린터 본체(11)측의 전달 부재(40)로부터 구동력의 전달을 받아서, 그 원형의 중심인 회전 중심(50a)의 둘레로 회전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3)의 피전달 부재(50)는, 제2 면(51)의 회전 중심(50a)으로부터 서로 대략 역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그 제2 면(51)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제2 돌출부(52)를 갖는다. 이들 2개의 제2 돌출부(52)는, 프린터 본체(11)측의 전달 부재(40)를 구성하는 2개의 제1 돌출부(42)에 각각 접하여, 전달 부재(40)가 회전하면 2개의 제2 돌출부(52)가 2개의 제1 돌출부(42)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제1 돌출부(42)의 회전에 수반해서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면(51)이 회전한다. 이 회전이 토너 카트리지(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교반 부재(31)(도 1 참조)에 전달되어 교반 부재(31)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토너 카트리지(3)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피전달 부재(50)의 전달 부재(40)에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에 의해 피전달 부재가 전달 부재에 다가가는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에서는, 프린터 본체(11)측의 전달 부재(40)는, 2개의 제1 돌출부(42)끼리를 잇는 선분이 화살표(G)로 나타내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로 되는 자세에서 정지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3)측의 피전달 부재(50)도, 2개의 제2 돌출부(52)끼리를 잇는 선분이 화살표(G)로 나타내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로 되는 자세로 되어 있다. 전달 부재(40) 및 피전달 부재(50)의 쌍방이 이 자세에 있을 때, 아무런 대책도 없이 토너 카트리지(3)가 화살표(G) 방향으로 장착되면, 2개의 제2 돌출부(52)가 2개의 제1 돌출부(42)에 거의 동시에 충돌하게 되고, 토너 카트리지(3)의 장착이 저해되어 피전달 부재(50)와 전달 부재(40)를 결합할 수 없는 결과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 본체(11)의 전달 부재(40)보다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의 전방측에 돌기부(43)가 설치되어 있다(도 2를 함께 참조).
토너 카트리지(3)의 장착에 있어서,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전달 부재(50)가 화살표(G) 방향으로 전달 부재(40)에 다가간다. 그러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전달 부재(50)의 2개의 제2 돌출부(52) 중의 한쪽의 제2 돌출부(52)가 프린터 본체(11)의 돌기부(43)에 충돌하여, 피전달 부재(50)가 화살표(H)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돌출부(52)가 제1 돌출부(42)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면(51)이 제1 면(41)에 대면한 정규의 위치까지 토너 카트리지(3)가 끼워진다.
도 5는 피전달 부재(도 5의 (A))와 전달 부재(도 5의 (B))의 모식도이다.
여기에서는, 제1 돌출부(42)와 제2 돌출부(52)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전달 부재(40)부터 먼저 설명한다. 이 전달 부재(40)의 2개의 제1 돌출부(42)는 회전 중심(40a)측을 향한 면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회전 중심(40a)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에는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1 첨두부(42a)를 갖는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내는 피전달 부재(50)의 2개의 제2 돌출부(52)는 회전 중심(50a)으로부터 약간 편의(偏倚)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2개의 제2 돌출부(52)와 전달 부재(40)의 2개의 제1 돌출부(42)의 2개의 접촉점끼리를 잇는 선분이 회전 중심(50a)을 지나는 선분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제2 돌출부(52)의 제1 돌출부(42)와의 접촉 부분은 세워 설치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돌출부(42)는, 제2 돌출부(52)에, 원호 형상의 부분과 제1 첨두부(42a)의 세워 설치한 경계선에서 선접촉한다. 가령 제1 돌출부(42)가 제2 돌출부(52)에 면접촉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약간의 공차에 의해 접촉 위치가 반경 방향으로 크게 어긋나게 된다. 여기에서는,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돌출부(42)를 제2 돌출부(52)에 선접촉시키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제2 돌출부(52)도 제1 돌출부(42)와 마찬가지로, 회전 중심(50a)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1 첨두부(52a)를 갖는다. 이 제2 돌출부(52)는 회전 중심(50a)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2 첨두부(52b)를 더 갖는다.
여기에서는, 전달 부재(40)와 피전달 부재(50)는,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 전측의 제2 돌출부(52)와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 후측의 제1 돌출부(42)가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으로 늘어서는 자세에 있다.
이 자세인 채로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되어 와서 피전달 부재(50)가 전달 부재(40)에 다가가면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 전측의 제2 돌출부(52)의 제1 첨두부(52a)가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 후측의 제1 돌출부(42)의 제1 첨두부(42a)에 충돌한다. 여기에서, 제1 돌출부(42)와 제2 돌출부(52)의 쌍방이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1 첨두부(42a, 52a)를 갖기 때문에, 충돌하면 피전달 부재(50)가 2방향 중의 1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3)를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으로 더 끼워넣으면 피전달 부재(50)와 전달 부재(40)가 결합된다.
또한,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의 전측의 제2 돌출부(52)가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의 후측의 제1 돌출부(42)에 접해서 약간 회전하여 안쪽으로 더 끼워졌을 때, 혹은 전달 부재(40)의 자세가 도 5의 (B)에 나타내는 자세보다 약간 회전한 자세에 있어서, 전측의 제2 돌출부(52)와 후측의 제1 돌출부(42)의 접촉을 피해서 안쪽으로 더 끼워졌을 때, 이어서, 다른 한쪽의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 후측의 제2 돌출부가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 후측의 제1 돌출부(42)에 접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에는, 그 제2 돌출부(52)의 회전 중심(50a)을 향한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첨두부(52b)가 제1 돌출부(42)의 제1 첨두부(42a)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도 쌍방이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부분끼리의 접촉이며, 토너 카트리지(3)를 그대로 더 끼워넣으면 피전달 부재(50)와 전달 부재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전달 부재(40)를 구성하는 2개의 제1 돌출부(42)끼리의 거리와 피전달 부재(50)를 구성하는 2개의 제2 돌출부(52)끼리의 거리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비교예로서, 2개의 제1 돌출부끼리의 거리와 2개의 제2 돌출부끼리의 거리가 거의 동등할 경우에 생길 우려가 있는 문제점에 대한 설명도이다.
전달 부재(40)와 피전달 부재(50)가 바르게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달 부재(40)의 2개의 제1 돌출부(42)에 대하여, 피전달 부재(50)의 2개의 제2 돌출부(52)가 서로 반대의 위치(회전 방향으로 말하면 피전달 부재(50) 회전 방향의 같은 측)로 들어갈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2개의 제1 돌출부(42) 및 2개의 제2 돌출부(52)는,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울어진 자세로 되어 있다.
이때, 장착 방향 전측의 제2 돌출부(52)(도 6의 오른쪽 하측의 제2 돌출부(52))가 장착 방향 전측의 제1 돌출부(42)(도 6의 오른쪽 하측의 제1 돌출부(42))의, 전달 부재(40)의 회전 방향(화살표(I)로 나타내는 방향)의 하류측의 면에 충돌한다. 그러면, 피전달 부재(50)는 화살표(H)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이번에는 다른 한쪽의 제2 돌출부(52)(도 6의 왼쪽 상측의 제2 돌출부)가 다른 한쪽의 제1 돌출부(42)(도 6의 왼쪽 상측의 제1 돌출부)에 충돌해버려, 전달 부재(40)와 피전달 부재(50)를 바르게 결합할 수 없어진다.
도 7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문제의 해결책의 개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에서는, 2개의 제1 돌출부(42) 중의 한쪽의 제1 돌출부(42)의 회전 중심(40a)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와, 다른 쪽의 제1 돌출부(42)의 회전 중심(40a)에 근접한 측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제1 거리(a)로 한다. 또한, 2개의 제2 돌출부(52) 중의 한쪽의 제2 돌출부(5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와, 다른 쪽의 제2 돌출부의 회전 중심에 근접한 측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제2 거리(b)로 한다. 이들 제1 거리(a)와 제2 거리(b)를 비교하면 a>b로 되어 있다. 단, 이것은 대책의 개략이며, a>b의 관계를 최소한으로 만족시켜도 충분치 않은 경우가 있어, 거리(a)와 거리(b)의 차를 조금 더 크게 취하여 a>b+c(c>0)로 할 필요가 있다.
도 8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대책에 의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문제가 해소되는 것의 설명도이다.
이 도 8에서는, 전달 부재(40)와 피전달 부재(50)는, 2개의 제1 돌출부(42) 및 2개의 제2 돌출부(52)가, 이 도 8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되는 자세에 있는 것으로 한다.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 방향(화살표(G) 방향)으로 장착되어 가서, 장착 방향 후측의 제2 돌출부(52)(도 8의 좌측의 제2 돌출부)가 마찬가지로 장착 방향 후측(도 8의 좌측)의 제1 돌출부(42)에 접촉점(X)에서 접촉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피전달 부재(50)는 화살표(J)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는, 접촉점(X)과 장착 방향 전측(도 8의 우측)의 제1 돌출부(42)의 회전 중심측의 단부의 거리(a')를 직경으로 하는 원(R1)보다, 접촉점(X)과 장착 방향 전측(도 8의 우측)의 제2 돌출부(5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의 거리(b')를 직경으로 하는 원(R2) 쪽이 작은 원으로 되어 있다. 즉, a'>b'로 되어 있다. 이때, 장착 방향 전측(도 8의 우측)의 제2 돌출부(52)가 장착 방향 전측(도 8의 우측)의 제1 돌출부(42)의 방해를 받지 않아 피전달 부재(50)가 회전할 수 있다.
즉, 2개의 거리(a', b')가 반드시 a'>b'로 되도록, 2개의 제1 돌출부(42) 및 2개의 제2 돌출부(52)를 설치하는 위치를 정함으로써,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문제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여기에서는, 프린터(1)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프린터(1), 혹은 프린터(1) 이외의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체와, 그 본체에 장착되어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 장착체를 구비한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하는 제1 면과, 당해 제1 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당해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한 전달 부재를 갖는 본체, 및
    장착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에 대면하여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2 면과, 당해 제2 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당해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1 면의 회전에 수반해서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각각이 접촉하여 당해 제1 돌출부로부터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 2개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한 피전달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상기 제2 면이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 부재가 결합되는 장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제2 돌출부끼리를 잇는 선분이 상기 장착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자세로 상기 장착체가 장착되어 왔을 때의 당해 제2 돌출부에 접촉하여 상기 피전달 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 부재를 더 구비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쌍방이,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1 첨두부(尖頭部)를 갖는
    구동력 전달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회전 중심에 다가감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게 이루어진 제2 첨두부를 갖는
    구동력 전달 기구.
  4.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1 돌출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端部)와 다른 쪽의 제1 돌출부의 회전 중심에 근접한 측의 단부와의 사이의 제1 거리가, 상기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2 돌출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와 다른 쪽의 제2 돌출부의 회전 중심에 근접한 측의 단부와의 사이의 제2 거리보다 긴 거리이며, 상기 접촉 부재를 경유하여 장착되어 온 상기 장착체의 상기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2 돌출부가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중의 한쪽의 제1 돌출부에 접했을 때에, 상기 2개의 제2 돌출부 중의 다른 쪽의 제2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상기 2개의 제1 돌출부 중의 다른 쪽의 제1 돌출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상기 피전달 부재를 회전시키는 거리를 갖는
    구동력 전달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체가 분체(粉體)를 수용하는 분체 용기이고,
    상기 본체가 상기 분체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119984A 2015-03-24 2015-08-26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907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0287 2015-03-24
JP2015060287A JP6459685B2 (ja) 2015-03-24 2015-03-24 駆動力伝達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89A true KR20160114489A (ko) 2016-10-05
KR101907942B1 KR101907942B1 (ko) 2018-10-16

Family

ID=5689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984A KR101907942B1 (ko) 2015-03-24 2015-08-26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8527B1 (ko)
JP (1) JP6459685B2 (ko)
KR (1) KR101907942B1 (ko)
CN (1) CN106200310B (ko)
AU (1) AU201521845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5561B2 (ja) * 2018-12-18 2023-05-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033A (ja) * 1994-01-14 1995-08-11 Konica Corp 回転像形成体の駆動装置
JP2004108481A (ja) * 2002-09-18 2004-04-08 Fuji Xerox Co Ltd カップ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0079283A (ja) * 2008-08-27 2010-04-08 Canon Inc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回転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00272470A1 (en) * 2009-04-28 2010-10-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807A (ja) * 1995-12-21 1997-07-11 Ricoh Co Ltd 二軸のジョイント機構
JP4604550B2 (ja) 2004-05-24 2011-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10476B2 (ja) 2004-10-28 2011-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233698A (ja) * 2007-03-23 2008-10-02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
CN201110941Y (zh) * 2007-08-23 2008-09-03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驱动力传递部件及处理盒
JP2010169875A (ja) * 2009-01-22 2010-08-05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装置
JP5471015B2 (ja) * 2009-04-28 2014-04-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54371B2 (ja) 2009-09-14 2013-11-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387344B2 (ja) * 2009-11-09 2014-01-15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機構及びこの駆動伝達機構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11228B2 (ja) * 2010-01-29 2012-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50656B2 (ja) * 2010-01-29 2013-02-20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79565B2 (ja) * 2011-11-03 2015-09-16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8874003B2 (en) * 2012-05-17 2014-10-28 Fuji Xerox Co., Ltd. Suppor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64106B2 (ja) * 2012-09-25 2015-08-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56793B2 (ja) * 2013-08-13 2018-01-10 株式会社リコー 駆動力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033A (ja) * 1994-01-14 1995-08-11 Konica Corp 回転像形成体の駆動装置
JP2004108481A (ja) * 2002-09-18 2004-04-08 Fuji Xerox Co Ltd カップ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0079283A (ja) * 2008-08-27 2010-04-08 Canon Inc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回転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00272470A1 (en) * 2009-04-28 2010-10-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0310A (zh) 2016-12-07
JP6459685B2 (ja) 2019-01-30
KR101907942B1 (ko) 2018-10-16
CN106200310B (zh) 2019-12-20
US20160282802A1 (en) 2016-09-29
US9448527B1 (en) 2016-09-20
AU2015218453B2 (en) 2017-06-29
AU2015218453A1 (en) 2016-10-13
JP2016180827A (ja)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3416B2 (en) Toner container with grippable recess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toner container
US79170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asily operable inner and outer covers for accessing a jam
EP273591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se
EP2546701A2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232270A (ja)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40377A (ja) トナーコンテナの着脱構造
KR101907942B1 (ko) 구동력 전달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US20180113416A1 (en) Developer container holder,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82450B2 (ja) 画像形成装置
TWI420264B (zh) 影像形成劑儲存容器,影像形成裝置及影像形成劑之填充方法
JP2009098318A (ja) 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100612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16306A (ja) トナー補給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100129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302589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938953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port devices having differing configurations
US11921440B2 (en) Developer supply device,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CN105190449A (zh) 调色剂容器及具有该调色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JP2011075747A (ja) 画像形成装置
JP5414591B2 (ja) 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013572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5024759A (ja) 画像形成装置
CN114955616A (zh) 供纸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JP5421168B2 (ja) 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0118928A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