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420A -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420A
KR20160114420A KR1020150040909A KR20150040909A KR20160114420A KR 20160114420 A KR20160114420 A KR 20160114420A KR 1020150040909 A KR1020150040909 A KR 1020150040909A KR 20150040909 A KR20150040909 A KR 20150040909A KR 20160114420 A KR20160114420 A KR 2016011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shift lever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968B1 (ko
Inventor
김민우
박흥수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9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를 한 운전자가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음주측정부에 신체를 접촉시켜서 측정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므로, 외부 요인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없어, 음주 측정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속레버록킹부를 이용하여 변속레버를 록킹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변속레버가 언록킹되도록 제어하므로, 음주를 한 운전자는 원천적으로 운전을 할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rink Driv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음주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음주를 한 운전자가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주 운전에 의한 교통 사고는 대형 사고로 이어지므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및 피해의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나, 음주운전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음주를 한 후에는 자동차를 놓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데, 술 취한 운전자는 운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착각하고, 음주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음주운전으로 일어난 교통사고는 중상 이상의 대형사고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결과로 많은 목숨을 앗아가고, 많은 사람들을 장애자로 만들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음주운전이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의 단속만으로 음주운전을 줄이는 것은 단기간의 대책에 불과하다. 더욱이 상습적·만성적 음주운전자에게 이러한 억제의 수단은 별다른 효과가 없다. 경찰이 지속적으로 음주 운전을 단속한다 하더라도, 운전자가 막상 술을 마시면 자기 자신도 모르게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이 사라져 버리기에, 결국은 음주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음주운전에 대한 규제는 일반적으로 운전자 중심의 처벌이 주로 행해졌는데, 그 형태는 면허정치나 취소기간의 상향조정, 구속수사의 확대 등의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음주운전은 상습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면허정지나 취소된 상태에서 운전을 하거나 음주운전을 하더라도 적발률이 저조하기 때문에, 이러한 운전자 중심의 처벌은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반면, 음주운전에 대한 또 하나의 규제방법으로는 자동차 중심의 처벌이 있다. 이 방법에는 자동차와 번호판의 압류, 차량등록의 정지, 시동잠금장치 등이 있다. 자동차나 번호판을 압류하거나 차량등록을 정지시키는 것은 재산권을 크게 제한한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시동잠금장치는 자유롭게 자동차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주운전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2237호와 같이, 운전자의 호흡으로부터 알코올의 성분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알코올 감지부와, 상기 알코올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설정 알코올 농도 이상일 경우에 음주운전으로 판정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걸지 못하도록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알코올 감지부는 공기 중의 알코올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구비한 것인데, 상기 감지 센서는 알코올 뿐만 아니라, 담배연기와 배기가스에도 반응을 보이는 것은 물론,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아닌,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에 의한 공기 중의 알코올 농도에도 반응을 보여, 음주를 하지 않은 운전자를 음주운전자로 판정하여, 차량의 합법적인 운전을 방해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0272호를 참조하면, 공기 중의 알코올 농도가 아닌,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운전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센서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것인데, 현재 판매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각종 버튼과 열선 등이 추가되어 하드웨어의 복잡도가 증가된 상황인바, 스티어링 휠에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센서까지 무리하게 추가하게 되면, 스티어링 휠의 두께가 증가되어, 운전자의 그립감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2237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027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음주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음주를 한 운전자가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음주측정부를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하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의 두께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되며,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음주측정부;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 제한을 해제하는 변속레버록킹부; 및 상기 음주측정부로부터 운전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변속레버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음주측정부는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에 운전자의 손가락이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상기 음주측정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운전자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음주측정부가 측정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는 운전자의 맥파, 심박수, 혈압 및 혈중알코올농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의 일측에 상기 음주측정부가 장착되고,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의 타측에 상기 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현재 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속레버록킹부로 록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음주측정부로부터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레버록킹부로 언록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운전자가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주 측정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의 시동을 감지하여 시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시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감지부로부터 상기 시동감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감지부로부터 상기 시동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 과정; 상기 설정 과정에서, 상기 음주 운전 방지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된 음주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음주측정부가 측정하는 운전자의 생체정보가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생체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과정; 및 상기 판단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변속레버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정 과정과 상기 생체 정보 측정 과정 사이에, 상기 설정 과정에서 상기 음주 운전 방지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록킹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로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차량의 변속레버를 록킹시키도록 제어하는 록킹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판단 과정에서 운전자가 음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언록킹 제어신호를 상기 변속레버록킹부로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상기 차량의 변속레버를 언록킹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판단 과정에서, 운전자가 음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가 운전자의 음주 사실을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설정 단계; 상기 제어부가 타이머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설정 단계; 및 상기 제 1 설정 단계에서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 2 설정 단계에서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주 운전 방지 모드를 설정하는 제 3 설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설정 단계에서,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가 운전자의 음주 사실을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접 음주측정부에 운전자의 신체를 접촉시키고, 음주측정부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므로, 담배연기나 배기가스 등의 외부 요인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없어,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음주 측정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의 변속레버가 록킹되도록 변속레버록킹부를 제어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변속레버가 언록킹되도록 변속레버록킹부를 제어하므로, 음주를 한 운전자가 운전을 할 수 없게 되어, 운전자의 음주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마다 본인의 생체 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므로,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을 제어부가 체크하여,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음주측정부가 비활성화 되도록 하고, 운전자가 음주를 할 가능성이 많은 시간대에는 음주측정부가 활성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주측정부가 위치되는 안내홈과,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는 차량의 변속레버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므로,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레버를 잡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손가락이 음주측정부에 접촉되기 위하여 안내홈으로 용이하게 안내되고, 운전자가 조명부에서 발광하는 빛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내홈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본인의 손가락의 크기에 상관없이, 본인의 손가락을 안내홈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주측정부는 각종 버튼, 열선 등의 편의시설이 장착되어 있는 복잡한 스티어링 휠이 아닌,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되므로, 스티어링 휠의 두께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음주측정부가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음주측정부가 장착된 차량의 변속레버를 안내하는 레버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100)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록킹(Locking) 또는 언록킹(Unlocking) 시켜서 음주를 한 운전자가 음주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음주측정부(130), 변속레버록킹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며, 시동감지부(110), 타이머(120), 저장부(140) 및 출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동감지부(11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인지 오프(Off)인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시동이 온인 경우는 13V 이상의 전압값을 가지게 되므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압값을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인지 오프인지를 감지한다. 또한, 시동감지부(110)는 시동키와 연결되어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를 근거로 차량의 시동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시동감지부(110)는 이외의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차량의 시동이 온인지 오프인지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시동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는 A/D Converter 등을 거쳐 시동온신호 또는 시동오프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된다.
타이머(120)는 현재 시간 정보를 체크하는 것으로, 체크된 현재 시간 정보는 제어부(170)로 입력된다.
음주측정부(130)는 운전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 또는 음주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광학식, 반도체식, 압전식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혈관을 통한 심장수축/이완 작용 또는 혈관 내부의 헤모글로빈, 적혈구 백혈구 등의 증가/감소량으로 인한 레이저의 투과율 변화 등에 따른 맥파, 심박수, 혈압, 혈중알코올농도 등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접촉에 의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 또는 음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음주측정부(130)는 차량의 변속레버(10)에 장착되는데, 이는 하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40)는 상기 생체 신호 중 운전자의 음주 여부에 해당하는 정도에 대한 기준값 또는 상기 생체 신호 중 운전을 할 수 없을 정도에 해당하는 정도에 대한 기준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은 음주측정부(130)가 측정하는 생체 신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저장부(140)는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은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술을 마실 확률이 높은 시간대로서, 오후 9시에서 오전 4시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시간대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변속레버록킹부(150)는 제어부(170)가 출력하는 록킹 제어신호 또는 언록킹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차량의 변속레버(10)를 록킹시키거나,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언록킹시킨다.
출력부(16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각종 출력신호를 소리, 문자 또는 불빛 등으로 외부에 출력하는 것으로, 차량의 변속레버(10)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조명부(162), 차량의 센터페시아 등에 배치되는 스피커(164) 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음주측정부(130)로부터 운전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생체정보와, 저장부(140)에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 또는 음주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변속레버(10)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150)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음주측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의 맥박수가 음주를 하였거나, 운전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음주를 한 경우의 맥박수에 해당하는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하고, 변속레버록킹부(150)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록킹시키도록 록킹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150)로 출력한다. 반대로, 제어부(170)는 음주측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의 맥박수가 음주를 하지 않았거나, 운전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음주를 한 경우의 맥박수에 해당하는 기준값 미만인 경우,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변속레버록킹부(150)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언록킹시키도록 언록킹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 결과, 즉, 음주 여부 또는 음주 정도에 대한 측정 결과를 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출력부(160)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시동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시동온신호 또는 시동오프신호를 입력받아, 시동온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온 되었음을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이 온 되었음을 판단한 경우, 제어부(170)는 음주 운전 방지 모드를 설정하고, 음주측정부(130)를 활성화하여, 음주측정부(130)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12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130)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지 않도록 음주측정부(130)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타이머(12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저장부(140)에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음주측정부(130)를 활성화하여, 음주측정부(130)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12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130)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지 않도록 음주측정부(130)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음주측정부가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운전석에 위치한 차량의 변속레버(10)의 길이방향 상부 즉, 차량의 천장과 마주보는 차량의 변속레버(10)의 상측부(12)의 일측과 타측에 안내홈(12a)과, 출력부(160)의 조명부(162)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측부(12)의 일측은 운전자의 반대 방향을 일컫고, 상측부(12)의 타측은 운전자와 마주보는 방향을 일컫는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잡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손가락이 안내홈(12a)으로 용이하게 안내되고, 운전자가 조명부(162)에서 발광하는 빛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안내홈(12a)은 음주측정부(130)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상측부(12)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조명부(162)는 빛을 발산하도록 상측부(12)의 타측에 구비된다. 또한, 안내홈(12a)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본인의 손가락의 크기에 상관없이, 본인의 손가락을 안내홈(12a)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내홈(12a)의 저면에 음주측정부(130)가 장착되며, 운전자의 손가락이 안내홈(12a)에 안내되면, 운전자의 손가락이 음주측정부(130)에 접촉된다. 그러면 음주측정부(130)는 예를 들면 혈관을 통한 심장수축/이완 작용에 따른 맥파, 심박수, 혈압, 혈중알코올농도 등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주측정부(130)는 이미 각종 버튼, 열선 등의 편의시설이 장착되어 있는 복잡한 스티어링 휠이 아닌, 차량의 변속레버(10)의 안내홈(12a)에 장착되므로, 스티어링휠의 두께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조명부(162)는 LED 등으로 구성되는 제 1 램프(162a)와, 제 2 램프(162b)를 포함한다. 제 1 램프(162a)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그린(Green) 색상을 발광시키고, 제 2 램프(162b)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레드(Red) 색상을 발광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음주측정부가 장착된 차량의 변속레버를 안내하는 레버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버안내부(15)는 차량의 운전석에 위치한 차량의 변속레버(10)가 파킹 모드(P), 후진 모드(R), 중립 모드(N), 드라이브 모드(D) 및 저단 모드(L) 등 포함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차량에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차량의 변속레버(10)를 파킹 모드(P)로 이동시킨 후, 시동을 걸게 되므로, 제어부(170)는 시동이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동이 온 되면, 제어부(170)는 변속레버록킹부(150)를 제어하여, 파킹 모드(P)에 위치한 차량의 변속레버(10)가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파킹 모드(P)에 위치한 차량의 변속레버(10)는 그 이동이 제한되므로, 시동이 온 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차량 운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 후, 제어부(170)는 음주측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변속레버록킹부(150)를 제어하여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언록킹시키거나, 차량의 변속레버(10)의 록킹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은 먼저, 제어부(170)는 시동감지부(110)로부터 시동온신호 또는 시동오프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에 시동이 걸려 있는지, 아니면 걸려 있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그리고 제어부(170)는 차량에 시동이 온 되어 있으면, 타이머(120)로부터 현지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 예를 들면, 오후 9시에서 오전 4시 사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면, 음주 운전 방지 모드를 설정하고, 음주 운전 방지 모드가 설정된 상태를 외부로 알리기 위하여, 제어부(170)는 그린 색상을 발광시키는 제 1 램프(162a)로 제 1 램프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램프(162a)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음주 운전 방지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록킹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150)로 출력하여, 변속레버록킹부(150)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록킹시키도록 제어한다(S122). 그 후, 제어부(170)는 음주측정부(130)를 활성화하여, 음주측정부(130)가 측정하는 운전자의 생체정보가 제어부(170)로 입력되도록 한다(S124). 이때, 제어부(170)는 스피커(164)로 음성 안내메시지, 예를 들면, "음주운전방지모드가 설정되었습니다. 음주측정부(130)에 손가락을 접촉해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스피커(164)로 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음주측정부(130)에 손가락을 접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70)는 음주측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한다(S125). 그리고 상기 S12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언록킹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150)로 출력하여, 변속레버록킹부(150)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언록킹시키도록 제어한다(S126). 그리고 상기 S12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운전자가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하면, 경고 모드를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운전자가 음주를 한 상태를 외부로 알리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램프(162b)를 온 시키는 제 2 램프 온 제어신호를 제 2 램프(162b)로 출력하여, 제 2 램프(162b)가 레드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S127). 이어서 제어부(170)는 예를 들면, "고객님은 현재 음주를 한 상태이므로, 운전을 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스피커(164)로 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현재 운전을 할 수 없는 상태임을 외부에 알려준다(S128).
한편, 상기 S10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차량에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S110 단계에서 제어부(170)가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 예를 들면, 오후 9시에서 오전 4시 사이에 해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의 변속레버(10)를 록킹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170)는 언록킹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150)로 출력하여, 변속레버록킹부(150)가 차량의 변속레버(10)를 언록킹시키도록 제어한다(S130). 만일, 차량의 변속레버(10)가 언록킹된 상태에서, 변속레버록킹부(150)로 언록킹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변속레버록킹부(150)는 차량의 변속레버(10)가 언록킹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그 후, 제어부(170)는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상태와,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이 아님을 외부로 알리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램프 오프 제어신호와 제 2 램프 오프 제어신호를 제 1 램프(162a)와 제 2 램프(162b)로 각각 출력하여, 제 1 램프(162a)와 제 2 램프(162b)가 각각 오프되도록 제어한다(S132).
이처럼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접 음주측정부(130)에 운전자의 신체를 접촉시키고, 음주측정부(130)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므로, 담배연기나 배기가스 등의 외부 요인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없어,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음주 측정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차량의 변속레버(10)가 록킹되도록 변속레버록킹부(150)를 제어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변속레버(10)가 언록킹되도록 변속레버록킹부(150)를 제어하므로, 음주를 한 운전자가 운전을 할 수 없게 되어, 운전자의 음주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마다 본인의 생체 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므로, 타이머(12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을 제어부(170)가 체크하여,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음주측정부(130)가 비활성화 되도록 하고, 운전자가 음주를 할 가능성이 많은 시간대에는 음주측정부(130)가 활성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변속레버 12: 상측부
12a: 안내홈 15: 레버안내부
100: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110: 시동감지부 120: 타이머
130: 음주측정부 140: 저장부
150: 변속레버록킹부 160: 출력부
162: 조명부 162a: 제 1 램프
162b: 제 2 램프 164: 스피커
170: 제어부

Claims (15)

  1.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되며,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음주측정부;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 제한을 해제하는 변속레버록킹부; 및
    상기 음주측정부로부터 운전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변속레버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측정부는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에 운전자의 손가락이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상기 음주측정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운전자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측정부가 측정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는 운전자의 맥파, 심박수, 혈압 및 혈중알코올농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의 일측에 상기 음주측정부가 장착되고, 차량의 변속레버의 길이방향 상부의 타측에 상기 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속레버록킹부로 록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음주측정부로부터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속레버록킹부로 언록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차량의 변속레버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운전자가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주 측정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을 감지하여 시동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시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감지부로부터 상기 시동감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감지부로부터 상기 시동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경우, 상기 음주측정부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11.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 과정;
    상기 설정 과정에서, 상기 음주 운전 방지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변속레버에 장착된 음주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음주측정부가 측정하는 운전자의 생체정보가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생체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과정; 및
    상기 판단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변속레버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과 상기 생체 정보 측정 과정 사이에, 상기 설정 과정에서 상기 음주 운전 방지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록킹 제어신호를 변속레버록킹부로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차량의 변속레버를 록킹시키도록 제어하는 록킹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판단 과정에서 운전자가 음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언록킹 제어신호를 상기 변속레버록킹부로 출력하여, 상기 변속레버록킹부가 상기 차량의 변속레버를 언록킹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에서, 운전자가 음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가 운전자의 음주 사실을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설정 단계;
    상기 제어부가 타이머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설정 단계; 및
    상기 제 1 설정 단계에서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 2 설정 단계에서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주 운전 방지 모드를 설정하는 제 3 설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단계에서, 현재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음주 측정 활성화 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가 운전자의 음주 사실을 외부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방법.
KR1020150040909A 2015-03-24 2015-03-24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KR101705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09A KR101705968B1 (ko) 2015-03-24 2015-03-24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09A KR101705968B1 (ko) 2015-03-24 2015-03-24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20A true KR20160114420A (ko) 2016-10-05
KR101705968B1 KR101705968B1 (ko) 2017-02-10

Family

ID=5715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909A KR101705968B1 (ko) 2015-03-24 2015-03-24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9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26A (ko) 2017-01-18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주측정 후 운행이 가능한 차량 시스템
KR20180120347A (ko) 2017-04-27 2018-11-06 (주)에이텍티앤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출입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541B1 (ko) 2017-11-27 2019-10-01 (주)에스더블유엠 자율주행 차량의 오버라이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36160B1 (ko) 2019-10-14 2021-12-08 (주)에이텍티앤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
KR20210065233A (ko) 2019-11-26 2021-06-04 엠피온 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KR102249312B1 (ko) 2021-01-21 2021-05-10 주식회사 트루아이디 음주측정 기반의 차량 시동 제어시스템
KR20230022314A (ko) 2021-08-05 2023-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KR20230022313A (ko) 2021-08-05 2023-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마스크 착용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KR20230021306A (ko) 2021-08-05 2023-0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메라 촬영 알림 기능을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카메라 촬영 알림 제공 방법
KR20230021312A (ko) 2021-08-05 2023-0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강화된 인증 방식의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EP4129795A1 (en) 2021-08-05 2023-02-08 Hyundai Mobis Co., Ltd.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97495B2 (en) 2021-08-05 2024-02-13 Hyundai Mobis Co., Ltd. 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30022315A (ko) 2021-08-05 2023-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KR20230022316A (ko) 2021-08-05 2023-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실내 상태 모니터링형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상태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237Y1 (ko) 1994-12-30 1999-06-01 정몽규 자동 변속기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20000055416A (ko) * 1999-02-05 2000-09-05 홍성인 음주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장치 및 방법
JP2012198648A (ja) * 2011-03-18 2012-10-18 Seiko Epson Corp アルコール検出装置、および駆動システム
KR20130120272A (ko) 2012-04-25 2013-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운전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23830A (ko) * 2013-04-15 2014-10-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237Y1 (ko) 1994-12-30 1999-06-01 정몽규 자동 변속기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20000055416A (ko) * 1999-02-05 2000-09-05 홍성인 음주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장치 및 방법
JP2012198648A (ja) * 2011-03-18 2012-10-18 Seiko Epson Corp アルコール検出装置、および駆動システム
KR20130120272A (ko) 2012-04-25 2013-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운전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23830A (ko) * 2013-04-15 2014-10-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26A (ko) 2017-01-18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주측정 후 운행이 가능한 차량 시스템
KR20180120347A (ko) 2017-04-27 2018-11-06 (주)에이텍티앤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출입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968B1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968B1 (ko)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JP6612781B2 (ja) 組立体モジュール
JP6627684B2 (ja) 運転手状態判定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
JP3900893B2 (ja) 操舵装置、ドライバー認証方法、自動車
JP2017131445A (ja) 生体情報計測装置、車載器、及び生体情報計測システム
US20090299577A1 (en) External Seatbelt Usage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00062246A1 (e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vehicle
JP2008265676A (ja) 車両安全システム
KR20160112213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7953886B (zh) 车辆以及车辆的安全行驶方法
JP2017202816A (ja) 運転者異常発生検出器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装置
JP2011248850A (ja) 居眠り防止装置
JP2004169524A (ja) 飲酒運転防止及び盗難防止機能付キー装置
JP2005173635A (ja) 居眠り検出装置、カメラ、光遮断センサおよびシートベルトセンサ
JP2011218075A (ja) 電動車椅子
JP5292851B2 (ja) 飲酒運転防止装置及び飲酒運転要因物質採取方法
KR102130227B1 (ko) 사용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5001572A (ja) 乗員用呼気検知装置
KR20160133284A (ko) 차량용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JP5045573B2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4984971B2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20200019912A (ko) 음주운전 방지시스템
CN107323422A (zh) 一种汽车智能安全驾驶方法及系统
KR20210102704A (ko)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JP2008155848A (ja) 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