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314A -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314A
KR20230022314A KR1020210103020A KR20210103020A KR20230022314A KR 20230022314 A KR20230022314 A KR 20230022314A KR 1020210103020 A KR1020210103020 A KR 1020210103020A KR 20210103020 A KR20210103020 A KR 20210103020A KR 20230022314 A KR20230022314 A KR 2023002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vehicle
driver
bypass
bypass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이창원
이준승
김연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314A/ko
Priority to EP22186875.5A priority patent/EP4129735A1/en
Priority to US17/877,212 priority patent/US20230040522A1/en
Priority to CN202210922224.2A priority patent/CN115703351A/zh
Publication of KR2023002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5Changing the parameters of the control units, e.g. changing limit values, working points by contro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2Motor vehicles operators, e.g. drivers, pilots, cap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5Leading to automatic stopp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운전자의 호흡 인증 시,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을 검출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농도로부터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하여 호흡 인증 완료 여부를 결정하며, 호흡 인증에 실패한 경우 차량 시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호흡 인증 실패 시,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는 바이패스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WITH BYPASS MOD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시 또는 긴급 상황에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주 운전 방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음주 운전에 의한 교통사고는 대형 사고로 이어지므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및 피해의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나, 음주운전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음주 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사망까지 이르게 되는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음주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한편, 국내에서는 음주 운전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반면, 음주 운전을 단속하기 위한 경찰 인력은 부족한 것이 실상이다. 또한, 음주 운전 단속은 교통 정체를 유발하는 바, 통행량이 많은 구간에서는 잦은 음주 단속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음주 운전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차량 내에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채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5968호에는 운전자가 음주 측정기에 신체를 접촉시키면 측정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고, 음주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만 차량의 변속 레버를 언 록킹시켜 차량의 음주운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5-096663호에는 운전자의 호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유무를 판단하고, 음주로 판단 시 시동용의 통전이 차단되어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등록특허 제5348457호에서는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알코올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알코올 검지 장치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에서 알코올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을 금지하는 인터락 장치를 구비한 운전자 감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일본 등록특허 제5348457호에서는 상기 알코올 검지 장치에 의한 알코올 검지 조작 시의 직전 및 직후에 다른 타이밍에 상기 카메라에 의해 복수회의 촬영을 한 결과를 반영하여, 운전자가 바뀌지 않은 인증 상황에서만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기존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경우, 음주 상태를 확인하여 음주 운전을 방지하는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차량 주행이 불가한 상태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KR 10-1705968 B JP 2005-096663 A JP 5348457 B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위급 상황 발생 시 또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시 차량을 임시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이패스 모드를 통해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긴급 운행을 하는 경우, 음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바이패스 제어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에서는 운전자의 호흡 인증 시,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을 검출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농도로부터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하여 호흡 인증 완료 여부를 결정하며, 호흡 인증에 실패한 경우 차량 시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으로,
제어 모듈은, 호흡 인증 실패 시,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는 바이패스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은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고장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바이패스제어부는 고장제어부에 의해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이 확인된 경우, 호흡 인증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호흡 인증 정보, 주행 시 차량 정보 및 주행 기록들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기록하는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는, 호흡 인증 실패 후,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 얼굴 및 검출된 알코올 농도, 출발지, 목적지, 변속기, 차속, 동승자 유무 및 운행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호흡 인증 실패 후,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바이패스제어부는 경보장치에 의해 운전자가 음주 상태임을 차량 외부에 경고하는 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
바이패스제어부는 검출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차량의 표시장치에 의해 주행 가능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바이패스제어부는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시동을 제한하여 바이패스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이고, 바이패스제어부는 호흡 인증 실패 후 운전자 요청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바이패스제어부는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과 주행 가능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 내에 기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주정차가 가능한 경유지를 선정하여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에서는 호흡 인증을 시작하는 단계; 센서 모듈에 의해 운전자 호기를 흡입하는 단계; 운전자의 호기로부터 알코올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하는 음주 판단 단계; 및 음주 판단 단계에서의 진단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시동 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으로, 차량 시동 제한 상태에서,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 이후,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농도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교 결과,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시동을 제한하여 바이패스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교 결과,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 이하인 경우, 검출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차량의 표시장치에 의해 주행 가능 시간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다.
주행 가능 시간 출력 단계 이후,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에 의해 바이패스 기록과 주행 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록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바이패스 기록은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 얼굴 및 검출된 알코올 농도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주행 기록은 출발지, 목적지, 변속기, 차속, 동승자 유무 및 운행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기록 저장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바이패스 기록과 주행 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실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이고, 주행 가능 시간 출력 단계 이후, 내비게이션 장치에 미리 입력된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과 주행 가능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교 결과, 주행 가능 시간 내에 기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주정차가 가능한 경유지를 선정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 이후, 운전자 음주 상태로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 차량 운행이 종료될 때까지, 경보장치에 의해 운전자가 음주 상태임을 차량 외부에 경고하는 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에 따르면, 음주 상태에서 위급 상황 발생 시 차량을 임시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위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출산 시나 상해 등으로 인해 환자의 긴급 후송이 필요한 경우 임시로 차량 주행이 가능하므로, 위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가까운 병원에서 조기에 응급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 시 주행 기록이 자동으로 관련 기관의 서버로 전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 모드의 남용을 억제하고 사고 발생 시 법적인 분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 시, 운전자의 음주 정도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음주 상태를 외부의 다른 차량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하도록 구성되는 바, 바이패스 모드에서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발생 시의 바이패스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은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00),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을 검출하는 센서 모듈(100)과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운전자를 확인하고, 센서 모듈(100)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농도로부터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하여 차량의 시동 제한 장치(630)를 동작시키는 제어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는 차량 내부 운전석 부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카메라(300)는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제어 모듈(200)로 송출하여 제어 모듈(200)에서 촬영된 운전자 영상을 바탕으로 운전자 인증 등의 후속 절차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은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와 센서 모듈(100)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검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500)와 호흡 인증 절차와 관련된 여러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이거나 클러스터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은, 협의로는 제어 모듈과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바이패스 모드를 구현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광의로는 카메라, 저장부, 표시장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다만, 협의의 시스템이라 할지라도 카메라, 저장부 등의 구성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시스템 내에 구비된 카메라, 저장부, 표시장치와 제어 모듈, 센서 모듈이 연동되는 형태로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100)은 운전자의 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0)와,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을 검출하는 알코올 검출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10)는 운전석 부근에서 운전자가 내뱉는 호흡을 쉽게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클러스터나 스티어링 휠 또는 센터페시아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 모듈(100)의 흡입부(110)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이 설치되고, 이 팬의 회전수를 제어함에 따라 공기 흡입량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은 흡입부(110)의 인렛부에 설치되고, 상기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는 센서 모듈(100) 자체의 제어부 또는 제어 모듈(200) 내의 센서제어부(240)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흡입부(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알코올 성분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센서 모듈(100) 측으로 내뱉는 호기 내의 알코올 농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검출된 알코올 성분에 대한 정보, 바람직하게는 검출된 호기 내 알코올 농도가 제어 모듈(2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200) 내에서는 측정된 알코올 농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농도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 및 운전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에서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장치(400)는 차량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별도의 다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400)에서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서 운전자에게 알림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호흡 인증 절차 및 바이패스 모드 진입과 관련된 안내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400)에서는 전좌석 창문 개폐 상태 및 닫힘 요청 메시지 등을 송출할 수 있으며, 호흡 인증 개시 시, 호흡 인증 완료 여부, 재인증 요청, 비정상 인증 사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에 관련된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에서는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로 진입 시, 관련된 안내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은 저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00)에서는 호흡 인증 절차와 관련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와 센서 모듈(100)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검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촬영 시간, 운전자 얼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00)에서는 바이패스 모드로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주행 기록, 예를 들어, 출발지, 목적지, 변속기, 차속, 동승자 유무, 주행 경로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 모드에서의 주행 기록과 관련된 차량 정보들은 앞서 호흡 인증 시에 기록된 촬영 영상 정보 및 알코올 검출 정보와 함께 바이패스 모드 기록으로 저장 및 관리되며, 차량 내 통신 모듈에 의해 서버로 전송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500)는 호흡 인증 개시 전의 창문 개폐 상태, 공조기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운전자 음주 상태를 확인함에 있어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창문/썬루프(620)이 모두 닫힌 내기 순환 모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어 모듈(200)에서는 호흡 인증이 개시되면 차량의 창문/썬루프(620)을 폐쇄하고, 차량을 내기 순환 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200)의 차량제어부(280)는 차량의 창문/썬루프(620) 개폐 또는 공조 장치의 내기/외기 순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지령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제어부(280)는 호흡 인증을 실시하기 위해, 차량 도어를 폐쇄하는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호흡 인증 전 미리 저장된 정보는 음주 여부를 확인하기 전 운전자가 세팅해놓은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들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제어 모듈(200)은 호흡 인증 완료 후, 저장부(500)에 저장된 호흡 인증 전의 차량 정보에 따라 차량 상태를 전환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 내부 장치(600)들이 운전자의 기존 세팅으로 복귀할 수 있다. 다만, 차량 도어의 경우, 개방 제어가 불가하므로 저장부(500)에 상태 저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에서는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생체인증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인증부(700)는 현재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지문 또는 홍채 정보를 인증할 수 있는 생체인증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500)에서는 특정 운전자의 생체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인증부(210)에서는 저장된 생체인증 정보와 생체인증부(700)를 통해 인증된 현재 운전자의 생체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200)은 센서 모듈(100), 카메라(300), 표시장치(400) 및 저장부(500)와 같은 시스템 내 다른 구성들과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들에 따라 시스템 전반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 모듈(200)은 인증부(210), 판단부(220), 영상처리부(230), 센서제어부(240), 차량제어부(250), 바이패스제어부(260), 고장제어부(270) 및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20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들은 제어 모듈(2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분류된 것으로, 제어 모듈(200)을 구분하는 각각의 구성들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모듈의 구성들 중 바이패스제어부(260)와 고장제어부(270) 및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즉 인증부(210), 판단부(220), 영상처리부(230), 센서제어부(240), 차량제어부(250)의 경우,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로 제공되는 구성으로, 이들 구성 중 일부를 제외하더라도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라면 본 발명에성의 제어 모듈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모듈 내의 각 구성들은 상호 교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제어 모듈(200)은 호흡 인증, 음주 여부 판단, 차량 제어와 같은 여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기이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산을 실시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의 기능 수행을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200)은 인증부(210), 판단부(220), 센서제어부(240), 차량제어부(250), 바이패스제어부(260), 고장제어부(270) 및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가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제어 모듈(200)의 하위 구성들은 하나의 예시이며, 제어 모듈(200)이 여타의 차량 제어기들과 교신하면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부 하위 구성들은 제외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의 기본적인 구성과 관련, 인증부(210)는 호흡 인증 절차를 총괄하는 구성이며, 판단부(220)는 센서 모듈(100)에서 검출된 알코올 농도를 기준 농도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인증부에서는 운전석의 무게 센서 또는 운전석을 촬영하는 카메라(300)와 같은 기기에서 제공되는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20)는 센서 모듈(100)로 공급되는 운전자의 호흡량에 기반하여 호흡 인증 완료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흡 인증이라 함은, 센서 모듈(100)에서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 성분을 검출할 수 있도록 운전자 호흡이 흡입되고,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성분에 따라 음주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또한, 호흡 인증 완료라 함은, 제어 모듈에 의해 운전자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가 기준치 이내여서, 운행에 적합한 상태로 호흡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210)에 의해 호흡 인증이 개시되면, 센서 모듈(100)에서는 운전자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 성분을 검하고, 이 때 검출된 알코올 성분에 대한 정보는 제어 모듈(200) 측으로 전달되어, 제어 모듈(200)의 판단부(220)에 의해 센서 모듈(100)에서 검출된 알코올 농도를 기준 농도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운전자가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판단부(220)에서는 운전자 음주로 인한 주행 불가 상태(호흡 인증 실패)로 판단하게 되고, 제어 모듈(200)의 차량제어부(250)를 통해 시동 제한 장치(6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 시동 제한 장치(630)는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여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시동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반면, 검출된 운전자 알코올 농도가 기준 농도 이내인 경우, 적합한 상태이므로 호흡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30)는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받아 제어 모듈(200)에 필요한 영상 정보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제어부(240)는 센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 모듈(100)의 팬의 회전 속도, 센서 모듈(100)의 감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제어부(250)는 차량 내의 다른 차량 내부 장치(600)들, 예를 들어 차량 도어, 창문/썬루프(620), 공조 장치(610), 시동 제한 장치(630) 등에 대한 제어 지령을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제어부(260)는 긴급 상황 발생 시나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등의 비상 상황에서 바이패스 모드에 의해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우회하여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바이패스제어부(260)는 비상 시 운전자의 요청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운전자 요청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가 실행되면, 일반적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호흡 인증 로직을 거치지 않더라도 차량이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모드에서는 운전자가 호흡 인증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시스템 고장 시) 또는 호흡 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라 하더라도, 차량의 시동 제한 장치를 해제시켜 차량 시동, 스티어링 휠, 변속기, 가속 페달 등의 락이 해제될 수 있도록 차량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검출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바이패스제어부(260)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 진입을 불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 기준 농도는 비상 시라도 주행을 허용할 수 없는 만취 상태에 해당되는 알코올 농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기준 농도는 호흡 인증을 위한 기준 농도 보다는 더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검출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라면, 주행 불가 상태로 보아 바이패스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알코올 검출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시동 제한 장치에 의해 차량 시동이 제한될 수 있다.
고장제어부(270)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고장과 관련된 에러 코드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에서는 고장제어부(270)에 의해 자가 진단을 실시하고, 시스템 이상이 발견된 경우 고장 제어부에 의해 시스템의 자가 수복 절차를 진행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자가 수복 절차에도 불구하고 고장 발생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라면, 고장 제어부에서는 에러 코드를 송출하게 된다.
고장 제어부에서 에러 코드 송출 시, 바이패스제어부(260)는 시스템 고장을 확인하고 바이패스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발생 시, 운전자는 호흡 인증 없이도 바이패스 모드에 의해 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우회할 수 있는 루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는 호흡 인증 절차에서의 인증 정보, 차량 운행 시의 차량 정보 및 주행 기록 등의 차량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는 차량 내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차량상태 정보를 검출 또는 저장하는 구성들로부터 해당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는 바이패스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바이패스 모드에서의 호흡 인증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저장부로 송신하여 저장부 내에 기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는 바이패스 모드에서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시간, 운전자 얼굴,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 출발지, 목적지 및 주행 중의 각종 차량 정보들, 즉 변속기, 차속, 동승자 유무, 운행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에서 수집되는 정보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간, 운전자 얼굴,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 등의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의 주요 정보를 바이패스 기록이라 하고, 출발지, 목적지 및 주행 중의 각종 차량 정보 등은 주행 기록으로 지칭한다.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는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부에 전송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전,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에는 바이패스 기록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차량 주행 시에는 실시간으로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주행 기록으로 저장부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 내에 저장된 바이패스 기록 및 주행 기록들은 목적지에 도착하여 차량 운행이 종료된 이후, 차량 내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관련, 상기 서버는 관련 기관, 예를 들어 경찰청 또는 사업주의 서버일 수 있다.
이와 관련,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에는 차량 내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차량의 목적지를 필수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초기에 목적지가 입력되는 경우, 차량의 목적지 도달 시 바이패스 기록 및 주행 기록은 즉각적으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에 의해, 바이패스 기록 및 주행 기록이 필수적으로 저장부 상에 저장 후 특정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바이패스 모드를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에서는, 바이패스제어부(260)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차량이 운행되고 있음을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할 경우, 차량 운행이 종료될 때까지, 바이패스제어부(260)에서는 경보장치(800)를 통해 외부에 바이패스 모드에 의해 차량이 음주 상태에서 주행하고 있음을 경고하는 알림을 송출하게 된다. 이러한 경보장치(800)로는 램프 또는 음향발생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보장치(800)에 의한 알림으로는 차량의 램프 점등이나 경고음 송출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주변 차량 운전자는 해당 차량의 점등된 램프 또는 경고음을 확인하고, 해당 차량이 음주 운전 상태로 주행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타차량 운전자가 사고 회피를 위한 방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장치(8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문자 등의 시각적인 표시로 바이패스 모드에 의한 음주 운전 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아울러, V2X가 구성되어 차량 간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경우라면,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중인 차량임을 알리는 정보를 V2V(vehicle to vehicle)로 알릴 수도 있다.
다만, 외부로 바이패스 모드에 의한 운전임을 알리는 것은 음주 상태에만 국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시스템 고장으로 인해 바이패스 모드에 진입한 경우라면, 경보 장치에 의해 외부로 알림을 송출하는 것은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이패스제어부(260)는 검출된 운전자의 알코올 농도에 따라 상이한 주행 가능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주행 가능 시간은 운전자가 바이패스 모드로 호흡 인증 없이 주행 가능한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주행 가능 시간은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 검출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즉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가능 시간은 거리로도 환산될 수 있는 개념이며, 또 다른 예에서는 주행 가능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 가능 시간은, 바이패스제어부(260)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운전자 알코올 농도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한 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음주 상태, 즉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정도를 반영하여 주행 가능 시간을 설정하며, 주행 안전의 관점에서, 알코올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주행 가능 시간을 짧게 하고, 알코올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주행 가능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주행 가능 시간은 알코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알코올 농도에 따른 주행 가능 시간은 맵핑된 데이터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바이패스제어부(260)는 맵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출된 알코올 농도값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주행 가능 시간은 바이패스 모드로 운전자가 주행할 수 있는 한도이며, 이러한 주행 가능 시간은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 표시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 중, 표시 장치를 통해 잔여 주행 가능 시간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주행 가능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표시장치에 의한 알림으로 운전자에게 한도 초과 상태임을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주행 가능 시간의 만료 전, 운전자에게 주행 시간 만료가 다가왔음을 알려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행 가능 시간의 만료 5분 전, 2분 전, 1분 전, 30초 전 등과 같이 잔여 주행 가능 시간 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행 가능 시간에 대한 잔여 시간을 순차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잔여 시간을 확인하고, 잔여 시간 내에 목적지에 도착이 어려운 경우 적절한 장소에 주정차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잔여 시간 내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종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또는 소요 시간을 예측하는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예측된 시간을 잔여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목적지 도착 가능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제어부(260)는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주행 가능 시간 내에 주정차 가능한 장소를 확인하여 이를 경유지로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유지는 주유소, 졸음 쉼터, 휴게소, 대형 식당 등 도로 상에 임시적으로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보유한 장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잔여 주행 가능 시간을 알려줌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제어부(260)에서는 해당 차량이 잔여 시간 내에 목적지에 도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경유지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경유지에 차량을 임시 주차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 때, 경유지는 가능한 후보지 중 최단 거리에 존재하는 위치가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안전을 고려하여 주행 가능 시간이 종료되더라도 차량이 즉각적으로 시동 오프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주정차가 완료된 시점에 시동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 가능 시간을 도과하여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 바이패스제어부(260)는 표시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주행 가능 시간이 도과하였음을 알리고,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주행 가능 시간이 도과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주행 가능 시간의 만료 후에는 운전자는 호흡 재인증 과정을 거쳐 운행을 재개할 수 있다. 이 경우, 호흡 재인증에 따라 알코올 검출농도가 호흡 인증을 위한 기준 농도 이하라면 즉각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반면, 호흡 재인증 시, 알코올 검출농도가 호흡 인증을 위한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라면, 바이패스 모드를 통한 주행만이 가능하며, 이 경우 앞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바이패스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시에는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 중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주행 가능 거리가 적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의 구체적인 단계들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발생 시에 적용되는 바이패스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에서는 호흡 인증을 시작하는 단계, 센서 모듈에 의해 운전자 호기를 흡입하는 단계, 운전자의 호기로부터 알코올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하는 음주 판단 단계, 및 음주 판단 단계에서의 진단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시동 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단계들은 운전자의 호흡에 따라 센서 모듈로 흡입되는 운전자 호기를 바탕으로, 센서 모듈에 의해 운전자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농도를 미리 설정된 알코올 기준 농도와 비교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가능 여부와 관련된 음주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단계들은 하나의 예시로써, 운전자 호홉을 인증하는 절차에 따라 알코올을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행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과정이라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운전자의 음주 상태로부터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들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계 S100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의 경우 바이패스 모드 진입 전의 사전 단계들을 의미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이러한 사전 단계는 운전자가 탑승하고(S101), 운전자가 호흡 인증하여(S102), 호흡 인증 결과에 따라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판단 결과 주행 불가로 확인된 경우, 즉 운전자 호기 내의 알코올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어 정상적인 단계로는 주행이 불가능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단계 S103은 운전자 음주로 인해 주행 불가로 판단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출산이나 상해로 인해 차량을 이용하여 긴급하게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운전자의 요청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바이패스 모드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 모드와 관련된 구체적인 단계들은 단계 S201 이하에서 설명된다.
앞서의 사전 단계(S100)에서 주행 불가로 판단된 경우,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에서는 차량 시동 제한 장치를 동작시켜 차량 시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 시동 제한 상태에서, 바이패스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운전자 요청이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경우,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S201)가 실시된다.
이러한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에서는 시동 제한 장치를 해제시켜 차량이 시동 가능한 상태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시동 제한 장치가 해제되더라도, 즉각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차량은 시동 온 상태에 진입하더라도, 변속기는 파킹(P) 상태에서 추가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락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행은 바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단계에서는 변속기 이외에도 스티어링 휠의 조향 또한 여전히 제한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후술할 주행 가능 시간이 설정된 경우, 최종적으로 바이패스 모드에 의한 주행이 인가된 상태라 할 것이므로, 이러한 주행 가능 시간 설정 단계 이후에는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변속기 및 스티어링 휠의 락킹을 해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S201) 이후,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농도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비교하는 단계(S202)가 실시될 수 있다. 비교 결과,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주행 불가로 판단하고(S203) 차량 시동을 제한하여 바이패스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교 결과,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 이하인 경우, 검출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차량의 표시장치에 의해 주행 가능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S204).
시스템 내에 바이패스 모드로의 주행 가능 시간이 설정되면, 바이패스 주행임을 알리고, 바이패스 기록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205)가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 바이패스 주행 알림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차량 내의 표시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바이패스 모드로 주행이 시작됨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림은 경보장치(800)에 의해 차량 외부의 다른 차량 또는 보행자 등이 인식 가능한 경보를 송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차량 외부로의 알림은 경보장치(800)에 의해 운전자가 음주 상태임을 차량 외부에 경고하는 알림일 수 있으며, 외부로 송출되는 알림은 차량 운행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 S205에서의 바이패스 기록은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에 의해 수집된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 얼굴 및 검출된 알코올 농도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280)에 의해 수집된 주행 기록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S206). 상기 주행 기록은 출발지, 목적지, 변속기, 차속, 동승자 유무 및 운행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주행 기록은 차량의 주행 중에는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한편, 바이패스 모드로 차량 주행 중에 있어서, 바이패스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주행 가능 시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07). 이 때, 주행 가능 시간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잔여 시간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 종료 안내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목적지에 도착하여 바이패스 모드에서의 차량 운행이 완료되기 전, 주행 가능 시간이 종료된 경우, 호흡 재인증 단계(S208)가 실시된다. 호흡 재인증 과정은 앞서의 단계 S102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센서 모듈로 호흡을 불어넣어 알코올 검출 농도에 따른 호흡 인증을 실시하는 과정이다.
반면,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여(S209), 주행 가능 시간 종료 전 목적지에 도착하여 바이패스 모드에서의 운행이 완료된 경우, 바이패스 기록 및 주행 기록을 서버로 전송하여 특정 기관과 공유하는 단계(S210)가 실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를 입력하도록 안내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목적지는 주행 가능 시간 내에 도달 가능성을 판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제어부(26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 미리 입력된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과 주행 가능 시간을 비교하여, 주행 가능 시간 내에 기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정 결과, 주행 가능 시간 내에 목적지에 도착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주정차가 가능한 경유지를 선정할 수 있으며, 선정된 경유지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관련, 기존 목적지 정보는 삭제되고, 경유지가 새로운 목적지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시동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따른 일련의 과정들을 제어하기 위한 로직은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내에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의 호흡 인증 실패 시에 대한 바이패스 제어 로직과 함께 시스템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도 3의 과정들은 시스템 고장 발생 시에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이 검출되면(S301), 고장제어부(270)에 의해 에러 코드가 송출되고, 송출된 에러 코드를 수신한 바이패스제어부(260)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S302). 이러한 시스템 고장 시의 바이패스 모드의 경우, 운전자의 호흡 인증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이므로, 운전자 호흡 인증 없이 차량 시동 온이 가능하다.
이후, 바이패스 모드 진입에 따라, 고장 에러 코드를 포함한 바이패스 기록이 저장부에 저장되고(S303), 차량 주행이 시작되면, 주행 기록 또한 저장부에 저장된다(S304). 한편, 고장에 따른 바이패스 모드의 경우 운전자 음주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므로, 운전자 편의를 고려하여, 앞서 도 2의 경우와는 달리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제한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목적지에 도착하여 차량 운행이 종료된 경우(S305), 바이패스 기록 및 주행 기록을 서버로 전송하여 특정 기관과 공유하는 단계(S306)가 실시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비상 상황 발생 시 또는 시스템 고장 시,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을 우회하는 방식으로 차량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안전 사고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바이패스 기준 농도, 주행 가능 거리, 기록 자동 공유 방식 등 다양한 안전 요소들을 적용함으로써 시스템의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하게 확인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센서 모듈
110: 흡입부 120: 센서부
200: 제어 모듈 210: 인증부
220: 판단부 230: 영상처리부
240: 센서제어부 250: 차량제어부
260: 바이패스제어부 270: 고장제어부
280: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
300: 카메라 400: 표시장치
500: 저장부 600: 차량 내부 장치
610: 공조 장치 620: 창문/썬루프
630: 시동 제한 장치
700: 생체인증장치 800: 경보장치

Claims (14)

  1. 운전자의 호흡 인증 시,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된 알코올을 검출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농도로부터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하여 호흡 인증 완료 여부를 결정하며, 호흡 인증에 실패한 경우 차량 시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호흡 인증 실패 시,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는 바이패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고장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제어부는 상기 고장제어부에 의해 상기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고장이 확인된 경우, 호흡 인증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호흡 인증 정보, 주행 시 차량 정보 및 주행 기록들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기록하는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는,
    호흡 인증 실패 후,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 얼굴 및 검출된 알코올 농도, 출발지, 목적지, 변속기, 차속, 동승자 유무 및 운행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호흡 인증 실패 후,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제어부는 경보장치에 의해 운전자가 음주 상태임을 차량 외부에 경고하는 알림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차량의 표시장치에 의해 상기 주행 가능 시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시동을 제한하여 바이패스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이고,
    상기 바이패스제어부는 호흡 인증 실패 후 운전자 요청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제어부는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과 상기 주행 가능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 가능 시간 내에 기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주정차가 가능한 경유지를 선정하여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8. 호흡 인증을 시작하는 단계;
    센서 모듈에 의해 운전자 호기를 흡입하는 단계;
    운전자의 호기로부터 알코올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진단하는 음주 판단 단계; 및
    상기 음주 판단 단계에서의 진단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시동 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으로,
    차량 시동 제한 상태에서, 운전자 요청에 의해 차량을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 이후,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알코올 농도와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상기 바이패스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시동을 제한하여 바이패스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알코올 농도가 상기 바이패스 기준 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검출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주행 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차량의 표시장치에 의해 상기 주행 가능 시간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행 가능 시간 출력 단계 이후,
    차량상태 정보 수집부에 의해 바이패스 기록과 주행 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록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기록은 바이패스 모드 진입 시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운전자 얼굴 및 검출된 알코올 농도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주행 기록은 출발지, 목적지, 변속기, 차속, 동승자 유무 및 운행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저장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바이패스 기록과 주행 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이고,
    상기 주행 가능 시간 출력 단계 이후,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 미리 입력된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과 상기 주행 가능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교 결과, 상기 주행 가능 시간 내에 기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주정차가 가능한 경유지를 선정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모드 진입 단계 이후, 운전자 음주 상태로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
    차량 운행이 종료될 때까지, 경보장치에 의해 운전자가 음주 상태임을 차량 외부에 경고하는 알림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KR1020210103020A 2021-08-05 2021-08-05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KR20230022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20A KR20230022314A (ko) 2021-08-05 2021-08-05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EP22186875.5A EP4129735A1 (en) 2021-08-05 2022-07-26 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with bypass mode and drunk driving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ystem
US17/877,212 US20230040522A1 (en) 2021-08-05 2022-07-29 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with bypass mode and drunk driving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ystem
CN202210922224.2A CN115703351A (zh) 2021-08-05 2022-08-02 具有旁路模式的酒驾预防系统及使用该系统的酒驾预防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20A KR20230022314A (ko) 2021-08-05 2021-08-05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14A true KR20230022314A (ko) 2023-02-15

Family

ID=8294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20A KR20230022314A (ko) 2021-08-05 2021-08-05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40522A1 (ko)
EP (1) EP4129735A1 (ko)
KR (1) KR20230022314A (ko)
CN (1) CN1157033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663A (ja) 2003-09-26 2005-04-14 Toyo Mark Seisakusho:Kk 飲酒運転防止装置
JP5348457B2 (ja) 2008-04-21 2013-11-20 スズキ株式会社 運転者監視装置
KR101705968B1 (ko) 2015-03-24 2017-02-1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1852B2 (en) * 2003-10-31 2008-11-18 Sherman Enterprises, Inc. Vehicle sobriety interlock system with personal identification element
KR100705968B1 (ko) 2006-04-10 2007-04-12 이우성 망과 그 제조방법
JP2009040239A (ja) * 2007-08-09 2009-02-26 Omron Corp 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20108B2 (ja) * 2007-12-10 2010-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飲酒運転防止装置
FR2998242B1 (fr) * 2012-11-20 2014-12-26 Adolphe Ekman Procede de controle personnalise du deplac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de guidage
US20200171944A1 (en) * 2018-12-03 2020-06-04 Clean Start Systems, Inc. Interlock system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663A (ja) 2003-09-26 2005-04-14 Toyo Mark Seisakusho:Kk 飲酒運転防止装置
JP5348457B2 (ja) 2008-04-21 2013-11-20 スズキ株式会社 運転者監視装置
KR101705968B1 (ko) 2015-03-24 2017-02-1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3351A (zh) 2023-02-17
EP4129735A1 (en) 2023-02-08
US20230040522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9364B2 (en) Car alcohol monitoring system
JP5348457B2 (ja) 運転者監視装置
EP1874580B1 (en) Vehicle ignition interlock systems that detect the presence of alcohol within vehicles
EP2127599B1 (en) Chemical impair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o reduce circumvention
US20200001892A1 (en) Passenger assis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090164069A1 (en) System for preventing operation by impaired op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JP4006715B1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2012210931A (ja) 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及びこれに使用する外部サーバー
JP2008265676A (ja) 車両安全システム
US8640813B2 (en) Ignition interlock device with rolling retest and motion detector
JP2008213585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CN111016649A (zh) 一种驾驶安全检测方法、系统及车辆
JP2008265443A (ja) 車両の飲酒運転防止装置
KR20190117305A (ko)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시동제어 시스템
US200801969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ar
KR20230022314A (ko) 바이패스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US20080036578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related program
JP2008239071A (ja) 運転管理装置
KR20230021312A (ko) 강화된 인증 방식의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KR20230022316A (ko) 실내 상태 모니터링형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상태 모니터링 방법
JP2004305494A (ja) 飲酒検出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KR20230022313A (ko) 마스크 착용 모드를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US11945461B2 (en)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21306A (ko) 카메라 촬영 알림 기능을 갖는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카메라 촬영 알림 제공 방법
KR20230022315A (ko)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