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055A -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055A
KR20160114055A KR1020167017723A KR20167017723A KR20160114055A KR 20160114055 A KR20160114055 A KR 20160114055A KR 1020167017723 A KR1020167017723 A KR 1020167017723A KR 20167017723 A KR20167017723 A KR 20167017723A KR 20160114055 A KR20160114055 A KR 20160114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alloy
coating
treatment
alloy material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나베시마
쿠니아키 호리에
타카오 키무라
카츠미 시모다
아키오 미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씨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씨유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씨유
Publication of KR2016011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007Semi-solid pressure die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02Castings of light metals
    • B22D21/007Castings of light metals with low melting point, e.g. Al 659 degrees C, Mg 6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magnesium or alloys bas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한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마그네슘 합금에 도료를 코팅하는 경우에는 이형제나, 연마 등의 조작 중에 부착하는 연삭액, 지문 등의 유분 등의 영향이나, 마그네슘이 가지는 수소의 흡장성에 의해, 도료를 맵시 있게 코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SIUM ALLOY PRODUCT}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한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마그네슘을 주체로 하는 합금으로, 경량이며, 전자파 차단능이 높고, 재활용성도 우수한 것으로부터, 많은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이용되고 있다.
이 마그네슘 합금의 케이스는 주로 압연재(壓延材)의 것과 주조법에 의해 성형된 것이 있으나, 주조된 마그네슘 합금은 내식성이 나쁘기 때문에 도료를 코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주조 후의 마그네슘 합금에는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금형에 뿜어서 칠한 이형제(실리콘계, 광물유계, 유지·에스테르계, 왁스계)가 잔류하고, 이것이 내식성·도막 밀착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이형제를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가 필수로 된다(비특허 문헌 1).
마그네슘 합금에 잔류한 이형제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산 에칭 등의 화학적 방법이나 기계적 연마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완성품의 경량화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의 부재 두께가 얇아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이형제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많아지게 되고, 주조시의 용융물의 유동, 용융물로 인한 링클(wrinkle), 콜드 샷(cold shut) 등이 인지될 정도로 이형제가 마그네슘 합금 중에 깊게 끼어 들어가, 내재(內在) 가스로 되는 것도 많고, 그것이 이형제의 제거를 더욱 곤란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형제는 화학적인 방법에서는 잔류되어 버리는 것도 많아, 연마 등의 기계적인 방법을 병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기계적인 방법은 시간을 들여 일일이 손수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이 있고, 더욱이 마그네슘 합금의 연마에서는 분진 폭발의 위험성도 있다. 또한, 내재 가스는 기계적인 방법으로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도료를 코팅한 후, 소성 시에 마그네슘 합금으로부터 가스가 분출하여, 도막에 부풀음이 생기는 것도 있다. 또, 연마 등의 조작 중에 지문 등의 유분(油分)이 부착하고, 이것도 도막 부풀음의 원인이라고도 하고 있다.
또한, 원래 마그네슘은 그 자체가 수소 흡장성(吸藏性)이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의 합금인 Mg17Al12는 수소흡장 합금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틱소 몰딩에 이용되는 AZ91D는 알루미늄을 9질량%를 함유하고 있으며, 주조시의 편석(偏析)으로 수소를 더욱 포함하기 쉬운 합금으로 되는 것도 고려된다. 그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이 어떠한 과정에서 수소를 흡장하고 있는 경우, 그것이 도료 코팅 후의 소성 시의 가열에 의해 이탈하는 수가 있으며, 이것도 도막 부풀음의 원인이라고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슘 합금에 도료를 코팅하는 경우에는 이형제나, 연마 등의 조작 중에 부착하는 연삭액, 지문 등의 유분 등의 영향이나, 마그네슘이 가지는 수소의 흡장성에 의해, 도료를 맵시 있게 코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비특허 문헌 1: 세리타 가즈오 (芹田一夫), 「마그네슘 합금의 표면 처리의 문제점」, 효멘기쥬츠(表面技術), 53권, 3호, 176~181페이지, 2002년 3월 1일 발행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마그네슘 합금에 도료를 코팅하는 경우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 가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맵시 있게 코팅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한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제품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으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코팅방법이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 가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만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맵시 있게 코팅할 수가 있고, 부풀음 등의 결함도 적고, 내식성도 향상하고, 제품 제조 시의 제품 수율도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할 때 필요로 했던 이형제나, 연마 등의 조작 중에 부착하는 연삭액, 지문 등의 유분 등의 제거와 같은 공정을 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마그네슘 합금제품은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맵시 있게 코팅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클리어, 컬러 클리어 도장이나 박막에서의 은폐 색으로 하지(下地)의 질감(금속감)을 갖는 외관이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도, 두꺼운 막의 은폐 색으로 하지의 결함을 없애고, 마그네슘의 경량성·강도 등을 살린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이하, 「본 발명 방법」이라 함)은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한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 가열처리한 것이고, 이 처리를 행하는 이외는 종래 공지의 코팅 방법에 따라서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이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은 마그네슘을 주로 함유하고, 알루미늄, 아연, 동, 망간, 실리콘, 지르코늄, 리튬 등의 마그네슘 이외의 금속과의 합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면, ASTM 규격의 AZ91A, AZ91B, AZ91D, AM60A, AM60B, AS41A, AZ31, AZ31B, AZ63A, AZ91C, AZ91E, AZ92A, AM100A, ZK51A, ZK61A, EZ33A, QE22A, ZE41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이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재료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을 성형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을 성형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레스 등의 단조, 다이캐스트, 틱소 몰딩 등의 주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주조가 바람직하고, 특히 다이캐스트 또는 틱소 몰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가열처리는 20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350℃ 이상의 온도에서 행한다. 가열처리의 온도의 상한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온이면, 마그네슘 합금의 종류에 따라서는 변형이나 상 변화 등을 일으키는 것도 있기 때문에 4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처리 후는, 다음 처리를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온도까지 적의 냉각하면 좋다.
또한, 가열처리는 종래 공지의 전기로 등에서 행할 수가 있으며, 연속식이어도, 뱃치식이어도 좋다.
더욱이, 가열처리에 있어서, 상기 온도 이외의 가열처리의 조건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상태에 맞추어 적의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가열처리의 시간은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용융물의 유동, 용융물로 인한 링클, 콜드 샷 등이 목시(目視)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이면, 20분 이상 가열처리하면 좋고,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용융물의 유동, 용융물로 인한 링클, 콜드 샷 등이 목시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이면 40분 이상 가열처리하면 좋다.
또한, 가열처리의 분위기는 통상, 공기에서 문제가 없지만, 예컨대 산화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면, 제습한 공기나 불활성 가스로 하면 좋다.
본 발명 방법의 가열처리에 의해,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일그러짐이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이 일그러짐은 종래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승온이나 냉각의 속도 제어, 대좌(臺座)의 종류나 형상의 선택, 치구의 종류나 형상의 선택 등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 방법의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기본적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는, 도료의 코팅 전후에 종래 행해지고 있던 연마처리, 탈지처리, 이형제의 제거처리, 스머트(smut)의 제거처리, 화성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상품 가치나 외관평가(볼품 좋음)를 높이기 위해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연마처리, 탈지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연마처리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샌드 블러스트, 호닝(honing), 버프 연마(buffing), 화학 연마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연마는 요구되는 상품 가치나 외관 평가에 따라 적의 행하면 좋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탈지처리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용제, 알칼리 용액 등을 이용한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탈지처리에 이용되는 알칼리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알칼리 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SK18(주식회사 JCU제)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탈지처리의 조건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칼리 물질을 60g/L이하로 함유하고, 60℃ 이하로 한 수용액 중에 5분 정도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침지하면 좋다.
본 발명 방법의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부착한 이형제(실리콘계, 광물유계, 유지·에스테르계, 왁스계)나, 연마 등의 조작 중에 부착되는 연삭액이나 지문 등의 유분 등을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 내에 내재된 가스도 제거할 수가 있다. 더욱이,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마그네슘의 산화가 균질하고, 치밀하게 되기 때문에, 마그네슘의 산화물, 수산화물 등의 불균일성이나, 마그네슘 합금의 성형시의 화학조성의 격차, 불순물의 혼입 등, 활성 금속에 의한 내식성의 열화를 크게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효과는, 먼저 불순물의 제거처리를 행함으로써 더욱 향상한다. 그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가열처리 후는, 그대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밀착하기 쉽고, 게다가, 결함 없이 코팅할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코팅되는 도료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UV경화형 코팅, 열경화형 코팅, 2액성 경화제 사용형 코팅 등의 유기계 도료, 세라믹스 코팅 등의 무기계 도료, 유기계 도료와 무기계 도료의 하이브리드품 등을 들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제품으로서 금속감을 가진, 외관(볼품 좋음)이 좋은 것이 필요한 경우, 투명·반투명인 클리어·컬러 클리어의 도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제품으로서 하지의 질감을 남기지 않고, 반대로 하지의 결함을 없애고, 마그네슘의 경량성·강도 등의 특성만을 목적으로 한 것이 필요한 경우는 은폐성이 강한 도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는 방법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침지·끌어올림 처리(디핑법), 스프레이법, 슬릿 코터, 롤러 코터 등으로 행하면 좋다. 또한, 이 도료의 코팅은 1회 혹은 2회 이상 행하여도 좋다. 또, 도막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 방법의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종래보다 도막의 두께가 얇아도 도료의 효과가 발휘된다.
더욱이, 마그네슘 합금재료에는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도전화(導電化) 처리, 내식성 처리 등의 처리를 해도 좋다. 도전화 처리에는,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산화주석 등의 도전성 산화금속이나 도전성 플라스틱, 카본 함유 수지 등을 이용한 도료를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내면 혹은 내외 면에, 진공 증착이나 상기와 같은 코팅법에 의해 코팅하면 좋다. 또한, 내식성 처리에는, 예를 들면, 알콕시실란계 재료를 이용한 도료를,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내면 혹은 내외 면에, 진공 증착이나 상기와 같은 코팅법에 의해 코팅하면 좋다.
본 발명 방법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태양 1>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필요에 따라 연마처리, 탈지처리, 이형제의 제거처리, 스머트의 제거처리, 화성처리 등을 행하고, 이것을 200℃ 이상에서 20분 이상 가열처리한 후, 방냉한다. 다음으로, 열경화형 코팅 등의 유기계 도료, 세라믹스 코팅 등의 무기계 도료, 유기계 도료와 무기계 도료의 하이브리드품 등의 열에 의해 경화하는 도료를 코팅한다. 그런 다음, 도료의 경화나 용제·수분 제거를 위해서 가열하여 마그네슘 합금제품을 얻는다. 이 가열 온도는, 도료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200℃ 이하이다. 또, 도료의 경화를 위해서 가열을 하여도, 이미 가열처리가 행하여져 있기 때문에, 이 가열에 의해 도막에 부풀음 등은 생기지 않는다.
<태양 2>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필요에 따라 연마처리, 탈지처리, 이형제의 제거처리, 스머트의 제거처리, 화성처리 등을 행해, 이것을 200℃ 이상에서 20분간 이상 가열처리한 후, 방냉한다. 다음으로, UV경화형 코팅 등의 유기계 도료 등의, 열 이외에 의해 경화하는 도료를 코팅하여 마그네슘 합금제품을 얻는다. 또, 열 이외에 의해 경화하는 도료를 이용했을 경우는, 가열했다고 하더라도, 용매 제거 정도의 낮은 온도이지만, 그 경우에서도, 당연히 도료의 경화 시에 부풀음 등의 결함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 방법은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맵시 있게 코팅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하지의 질감(금속감)을 가진, 외관 좋은 것으로 하는 것도, 하지의 질감을 남기지 않고, 마그네슘의 경량성·강도 등을 살린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내식성도 향상하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제품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의 케이스 등에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경량이 요구되는 치구, 공구, 카메라 등 휴대용 제품, 가전제품, 2륜·4륜 자동차 부품 등 많은 용도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그네슘 합금재료에의 도료 코팅:
마그네슘 합금 AZ91D(알루미늄 9%, 아연 1% 함유)의 틱소 몰딩품으로부터 평판 시험편(25mm×50mm)을 제작했다. 또, 틱소 몰딩 때, 금형에는 이형제(실리콘계)를 도포해 두었다. 이 시험편을 표 1의 조건으로 처리하여 마그네슘 합금제품을 얻었다. 또 처리의 순서는 알칼리 탈지처리, 가열처리, 코팅처리의 순서이다.
No. 알칼리 탈지처리 가열처리 코팅처리
1 있음 없음 있음
2 있음 200℃ 있음
3 있음 250℃ 있음
4 있음 300℃ 있음
5 있음 350℃ 있음
6 없음 350℃ 있음
<알칼리 탈지처리>
SK18(주식회사 JCU제)를 60℃로 한 것에 시험편을 5분간 침지했다.
<가열처리>
 전기로를 이용하여 표 1에 기재된 온도, 대기압하에서 시험편을 60분간 가열했다. 그 후 상온까지 방냉했다.
<코팅처리>
이하의 조성 A의 도료 15질량%와 조성 B의 도료 85질량%로 이루어진 아크릴수지 함유 실리콘계 도료(경화 온도: 160℃)를 넣은 용기에, 시험편을 30초간 침지하고, 풍건했다. 다음에, 시험편을 160℃에서 15분간 가열한 후, 상온까지 방냉했다.
(조성 A)
2-프로판올      30질량%이하
2-부톡시에탄올     10질량%이하
1-부탄올         25질량%이하
폴리아크릴 수지       20질량%이하
물              14질량%이하
(조성 B)
테트라에톡시실란      35질량%이하
2-프로판올        50질량%이하
상기에서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코팅 전후의 중량 변화로부터 막 두께를 계산했다. 또, 이들 시험편에 대해서, JIS K 5600-5-6의 크로스 컷 시험 및 JIS K 5600-5-4의 연필 경도 시험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No. 계산 막 두께(㎛) 크로스 컷 시험 연필 경도 시험
1 19.9 5 전면 박리 B
2 15.5 0-2 박리 2H
3 13.6 0 2H
4 13.6 0 2H
5 15.5 0 2H
6 14.1 0 2H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료와 마그네슘 합금의 밀착성은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에서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높아지고, 250℃ 이상에서로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더 높아지는 것을 알았다. 또,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종래 필요로 했던 알칼리 탈지처리를 생략할 수 있는 것도 알았다(No. 6).
실시예 2
마그네슘 합금재료에의 도료의 코팅:
압연재의 마그네슘 합금 AZ31B(알루미늄을 3%, 아연을 1% 포함)로 평판 시험편(25mm×50mm)을 제작했다. 이 시험편을 아래 표 3의 조건으로 처리하여 마그네슘 합금제품을 얻었다. 또, 알칼리 탈지처리, 가열처리, 코팅처리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이며, 처리 순서는 No. 7~11, 13에 대해서는 알칼리 탈지처리, 가열처리, 코팅처리의 순서이고, No. 12에 대해서는 가열처리, 알칼리 탈지처리, 코팅처리의 순서이다.
No. 알칼리 탈지처리 가열처리 코팅처리
7 있음 없음 있음
8 있음 200℃ 있음
9 있음 250℃ 있음
10 있음 300℃ 있음
11 있음 350℃ 있음
12 있음 350℃ 있음
13 없음 350℃ 있음
상기에서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막 두께의 계산, 크로스 컷 시험 및 연필 경도 시험을 행했다. 그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No. 계산 막 두께(㎛) 크로스 컷 시험 연필 경도시험
7 13.4 0 2H
8 12.0 0 2H
9 13.1 0 2H
10 13.9 0 2H
11 12.7 0 2H
12 12.5 0 2H
13 14.2 0 2H
실시예 1과 조성이 다른 압연재의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대해서는 원래 가열처리를 하지 않아도 도료와 마그네슘 합금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에서 도료와 마그네슘 합금의 밀착성에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종래 필요로 했던 알칼리 탈지처리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No. 13).
실시예 3
내식성 시험:
마그네슘 합금 AZ91D로부터, 실시예 1의 No. 4 또는 No. 5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마그네슘 합금제품(No. 15 및 16), 마그네슘 합금 AZ31B로부터, 실시예 2의 No. 12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마그네슘 합금제품(No. 19)를, 구JIS L0848에 따라서 40℃로 한 인공 땀에 침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목시로 공식(孔食)의 유무를 확인했다. 또, 비교로서 가열처리를 행하지 않은, 또는 가열처리의 온도가 160℃인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마그네슘 합금제품(No. 14(AZ91D), No. 17~18(AZ31B))을 이용하여 동일함을 확인을 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No. 가열처리 공식이 확인된 시간
14 없음 0~90시간
15 300℃ 90~170시간
16 350℃ 90~170시간
17 없음 129시간
18 160℃ 129시간
19 350℃ 246시간
이상의 결과로부터, 마그네슘 합금 AZ91D 및 AZ31B의 양쪽 모두에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내식성이 향상하는 것을 알았다. 그의 내식성은 AZ31의 압연재에서는 가열처리를 160℃의 경우와 비교하여 300℃의 쪽이 AZ91D의 틱소 소재에서는 가열처리 없음보다 300℃나 350℃에서 가열처리한 쪽이 향상하고 있음을 알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그 외, 경량을 요구되는 치구, 공구, 카메라 등 휴대용 제품, 가전제품, 2륜·4륜 자동차 부품 등 많은 용도 제품의 케이스나 부품의 제조에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7)

  1.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한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주조로 성형된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재료가 주조로 성형된 것인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재료가 다이캐스트 또는 틱소 몰딩으로 성형된 것인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하나 기재의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제품.
  5.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마그네슘 합금재료에 도료를 코팅하기 전에, 마그네슘 합금재료를 200℃ 이상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코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재료가 주조로 성형된 것인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코팅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합금재료가 다이캐스트 또는 틱소 몰딩으로 성형된 것인 마그네슘 합금재료의 코팅 방법.
KR1020167017723A 2014-01-30 2015-01-21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KR20160114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5496 2014-01-30
JPJP-P-2014-015496 2014-01-30
PCT/JP2015/051455 WO2015115260A1 (ja) 2014-01-30 2015-01-21 マグネシウム合金製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055A true KR20160114055A (ko) 2016-10-04

Family

ID=5375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723A KR20160114055A (ko) 2014-01-30 2015-01-21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60114055A (ko)
CN (1) CN105873696A (ko)
TW (1) TW201546294A (ko)
WO (1) WO2015115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9188B2 (ja) * 2016-06-27 2020-0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検出カセッテ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5730B2 (ja) * 2001-08-07 2007-04-18 日建塗装工業株式会社 複合樹脂皮膜および複合樹脂皮膜の形成方法
JP2005111379A (ja) *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品の塗装構造及びその塗装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外装部品
JP2006167685A (ja) * 2004-12-20 2006-06-29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塗布装置及びダイコータの作製方法
JP2011074962A (ja) * 2009-09-29 2011-04-14 Ntn Corp 保持器、転がり軸受、工作機械および保持器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세리타 가즈오 (芹田一夫), 「마그네슘 합금의 표면 처리의 문제점」, 효멘기쥬츠(表面技術), 53권, 3호, 176~181페이지, 2002년 3월 1일 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5260A1 (ja) 2015-08-06
TW201546294A (zh) 2015-12-16
CN105873696A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5312B (zh) 一种塑料模具表面处理方法
JP5092702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部材
KR101794583B1 (ko) 강도가 향상된 아노다이징용 알루미늄 합금 및 개선된 아노다이징 방법
WO2011030869A1 (ja) マグネシウム-リチウム合金、圧延材、成型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105939A1 (en) Die-cast aluminium alloy piece, and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JP2011036913A (ja) 金属高温成型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173355B (zh) 一种变形镁合金直接涂装处理方法
WO2010079534A1 (ja) マグネシウム合金部材
JP4418985B2 (ja) マグネシウム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からなる製品の製造方法
CN105690272A (zh) 一种马口铁罐的表面处理工艺
CN102586721A (zh) 一种混凝土双曲面薄壳模板模具表面处理方法
JP2011084818A (ja) マグネシウム−リチウム合金、圧延材、成型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133621B (zh) 外观处理方法
KR20160114055A (ko) 마그네슘 합금제품의 제조방법
CN103668190A (zh) 镁合金表面处理方法及其产品
CN106466711A (zh) 压铸材料及其补孔方法以及压铸材料表面电镀处理的方法和压铸外观件
CN102560300A (zh) 铝包覆与塑性变形相结合的镁合金防腐工艺
CN101959395A (zh) 屏蔽壳体及其表面处理方法
US20190054671A1 (en) Metal-p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CN103895322B (zh) 金属件的表面处理方法及金属制品及其应用
KR100855358B1 (ko) 마그네슘 합금용 화성 처리액과 이를 이용한 마그네슘합금의 환경 친화적 표면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마그네슘합금 기재
KR101181421B1 (ko) 마그네슘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
KR100900456B1 (ko) 다이캐스팅 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성형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4672796B2 (ja) マグネシウム−リチウム合金、圧延材、成型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72772B1 (ko) 표면 처리된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