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778A -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778A
KR20160113778A KR1020150039840A KR20150039840A KR20160113778A KR 20160113778 A KR20160113778 A KR 20160113778A KR 1020150039840 A KR1020150039840 A KR 1020150039840A KR 20150039840 A KR20150039840 A KR 20150039840A KR 20160113778 A KR20160113778 A KR 2016011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ox
column
coupling
reinforcing bar
mai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045B1 (ko
Inventor
심태무
조상규
원태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3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0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110), 메인 빔(120)을 포함하여 박스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110)은, 내판(111) 및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양측판(112)에 한 쌍의 상기 메인 빔(120)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박스(100)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연직방향 하중이 큰 고층 구조물이나, 풍하중이 큰 해양 구조물의 경우라도 안정적인 중력방향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듈박스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MODULE BOX AND ASSEMBLY ST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듈박스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모듈박스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강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H형강, ㄷ형강 등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데, 어느 경우나 수직방향 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기둥의 구조에 관하여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연직방향 하중이 큰 고층 구조물이나, 풍하중이 큰 해양 구조물의 경우, 조립식 구조물의 기둥의 강도를 증대하기 위한 고안이 절실히 요청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연직방향 하중이 큰 고층 구조물이나, 풍하중이 큰 해양 구조물의 경우라도 안정적인 중력방향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모듈박스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110), 메인 빔(120)을 포함하여 박스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110)은, 내판(111) 및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양측판(112)에 한 쌍의 상기 메인 빔(120)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박스(100)를 제시한다.
상기 기둥(110)의 내판(111)에는 스터드(113)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박스(100)의 메인 빔(120)은, 외판(121), 상판(122) 및 하판(123)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기둥(110) 사이에는 하부 메인 빔(120b)이 설치되고, 양측에 설치된 상기 하부 메인 빔(120b)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로 빔(13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듈박스(100) 복수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로서, 일측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양측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기둥(200)은, 상호 개구가 만나 "ㅁ"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결합기둥(200)은 양측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내판(111)의 결합공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201)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듈박스(100) 및 마감기둥(110a)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로서, 상기 마감기둥(110a)은, 내판(111) 및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과 상기 마감기둥(110a)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기둥(200)은, 상호 개구가 만나 "ㅁ"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결합기둥(200)은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내판(111)과 상기 마감기둥(110a)의 내판(111)의 결합공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201)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듈박스(100) 복수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로서, 일측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양측 상기 모듈박스(100)의 메인 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메인 빔(300)은, 상호 외판(121)이 만나 "I"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상호 외판(121)은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시한다.
복수의 기둥(110), 상부 메인 빔(120a) 및 하부 메인 빔(120b)을 포함하는 2층 모듈박스(100A)와 상기 모듈박스(1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2층 모듈박스(100A)의 하부 메인 빔(120b)의 하판(123)과, 상기 모듈박스(100)의 상부 메인 빔(120a)의 상판(122)은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듈박스(100)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로서, 상기 복수의 가로 빔(130) 위에 데크 플레이트(14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메인 빔(120b)과 상기 데크 플레이트(140) 사이의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11)이 형성된 기초판(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판(10) 위에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되, 상기 노출철근(11)이 상기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노출철근(11)과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 조립체(2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에 인접하여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고, 상호 상기 기둥(110)을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기초판(10)의 상면에는 홈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철근(11)은 상기 홈부(12)의 내부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하단이 상기 홈부(12)에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11)이 형성된 기초판(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판(10) 위에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되, 상기 노출철근(11)이 상기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노출철근(11)과 철근(20)을 결합하여 철근 조립체(2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에 인접하여 상기 마감기둥(110a)을 설치하고, 상호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11)이 형성된 기초판(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판(10) 위에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되, 상기 노출철근(11)이 상기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노출철근(11)과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 조립체(2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에 인접하여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고, 상호 상기 기둥(110)을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듈박스(100)의 상부에 상기 2층 모듈박스(100A)를 설치하되, 상기 철근 조립체(21)의 상단이 상기 2층 모듈박스(100A)의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의 상단에 철근을 결합하여 2층 철근 조립체(2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층 철근 조립체(22)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에 인접하여 마감기둥(110a)을 설치하고, 상호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연직방향 하중이 큰 고층 구조물이나, 풍하중이 큰 해양 구조물의 경우라도 안정적인 중력방향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모듈박스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모듈박스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모듈박스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기둥 및 메인 빔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조립식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결합기둥의 사시도.
도 6,8,9는 조립식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공정도.
도 7은 결합 메인 빔의 단면도.
도 10,11,12는 조립식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공정도.
도 13은 철근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14는 기초판 홈부의 단면도.
도 15는 결합기둥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듈박스(100)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기둥(110), 메인 빔(120)을 포함하는 박스구조로 형성된다(도 1,2).
기둥(110)은, 내판(111) 및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양측판(112)에 한 쌍의 상기 메인 빔(120)이 결합한다(도 3).
이러한 모듈박스(100) 복수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은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데, 이 결합기둥(200)은 일측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양측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호 개구가 만나 "ㅁ"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C)가 충전된다(도 4,5,15).
즉,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을 "ㄷ"자형 단면구조로 형성하되, 그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하고, 이와 동일한 구조의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이 측방에 설치되도록 하여, 양 기둥(110)의 조합에 의해 "ㅁ"자형 단면구조의 결합기둥(200)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내부를 철근 콘크리트에 의해 충전한 것이다.
이는 조립식 구조물의 결합기둥이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SRC)를 취하도록 하므로, 연직방향 하중이 큰 고층 구조물이나, 풍하중이 큰 해양 구조물의 경우라 하더라도 중력방향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기둥(110)의 내판(111)에 스터드(113)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경우, 그 내부에 충전되는 철근 콘크리트와 안정적인 부착을 이룰 수 있다.
양측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내판(111)의 결합공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201)에 의해 결합하여 결합기둥(200)을 형성하고, 이후 콘크리트에 의해 충전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경화 전 콘크리트의 압력에 저항하여 결합기둥(200)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5).
모듈박스(100)의 메인 빔(120)은, 외판(121), 상판(122) 및 하판(123)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도 3).
이 경우, 일측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양측 모듈박스(100)의 메인 빔(120)의 결합에 의해 결합 메인 빔(300)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 메인 빔(300)은 상호 외판(121)이 만나 "I"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상호 외판(121)이 볼트 결합할 수 있으므로, 위 결합기둥(200)과 함께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도 5).
나아가, 복수의 기둥(110), 상부 메인 빔(120a) 및 하부 메인 빔(120b)을 포함하는 2층 모듈박스(100A)와 모듈박스(100)의 조립에 의해 2층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2층 모듈박스(100A)의 하부 메인 빔(120b)의 하판(123)과, 모듈박스(100)의 상부 메인 빔(120a)의 상판(122)이 볼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1,2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모듈박스가 모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도 6,7).
복수의 기둥(110) 사이에 하부 메인 빔(120b)이 설치되고, 양측에 설치된 그 하부 메인 빔(120b)의 사이에 복수의 가로 빔(13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그 복수의 가로 빔(130) 위에 데크 플레이트(140)를 설치하고, 하부 메인 빔(120b)과 데크 플레이트(140) 사이의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141)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별도의 거푸집의 설치 없이도 쉽고 안정적으로 슬래브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8,9).
모듈박스(100)의 일측에 또 다른 모듈박스(10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기둥 구조는 특별히 보강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모듈박스(100)의 기둥(110) 외측에 별도의 마감기둥(110a)을 설치하여 보강할 수 있다(도 6).
이 마감기둥(110a)은 모듈박스(100)의 기둥(110)과 마찬가지로, 내판(111) 및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외측(모듈박스(100)의 기둥(110)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모듈박스(100)의 기둥(110)과 마감기둥(110a)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기둥(200)은, 위 결합기둥(200)과 마찬가지로 상호 개구가 만나 "ㅁ"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 경우에도, 결합기둥(200)은 양측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내판(111)과 마감기둥(110a)의 내판(111)의 결합공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201)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안정적인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11)이 형성된 기초판(10)을 형성한다(도 10).
기초판(10) 위에 모듈박스(100)를 설치하되, 노출철근(11)이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도 11).
기초판(10)의 상면에 홈부(12)가 형성되고, 노출철근(11)이 홈부(12)의 내부영역에 형성된 경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하단이 홈부(12)에 삽입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도 14).
노출철근(11)과 철근(20)을 커플러(23) 등에 의해 결합하여 철근 조립체(21)를 형성한다(도 12,13).
철근 조립체(21)가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모듈박스(100)에 인접하여 또 다른 모듈박스(100)를 설치하고, 상호 기둥(110)을 결합하여 결합기둥(200)을 형성하고, 그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도 4,5).
2층 이상의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결합기둥(2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이전, 모듈박스(100)의 상부에 2층 모듈박스(100A)를 설치하되, 철근 조립체(21)의 상단이 2층 모듈박스(100A)의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철근 조립체(21)의 상단에 철근을 결합하여 2층 철근 조립체(22)를 형성한다(도 6).
2층에는 하나의 모듈박스만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2층 철근 조립체(22)가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에 인접하여 마감기둥(110a)을 설치하고, 상호 결합하여 결합기둥(200)을 형성한다.
이후, 1,2층에 걸쳐 한번에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견고한 일체 기둥구조를 형성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기초판 11 : 노출철근
12 : 홈부 20 : 철근
21 : 철근 조립체 22 : 2층 철근 조립체
100 : 모듈박스 100A : 2층 모듈박스
110 : 기둥 110a : 마감기둥
111 : 내판 112 : 양측판
113 : 스터드 120 : 메인 빔
120a : 상부 메인 빔 120b : 하부 메인 빔
121 : 외판 122 : 상판
123 : 하판 130 : 가로 빔
140 : 데크 플레이트 141 : 바닥판
200 : 결합기둥 201 : 체결부재
300 : 결합 메인 빔

Claims (15)

  1. 복수의 기둥(110), 메인 빔(120)을 포함하여 박스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110)은, 내판(111) 및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양측판(112)에 한 쌍의 상기 메인 빔(120)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박스(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의 내판(111)에는 스터드(113)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박스(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박스(100)의 메인 빔(120)은, 외판(121), 상판(122) 및 하판(123)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박스(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110) 사이에는 하부 메인 빔(120b)이 설치되고,
    양측에 설치된 상기 하부 메인 빔(120b)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로 빔(13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박스(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듈박스(100) 복수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로서,
    일측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양측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기둥(200)은, 상호 개구가 만나 "ㅁ"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둥(200)은 양측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내판(111)의 결합공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201)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듈박스(100) 및 마감기둥(110a)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로서,
    상기 마감기둥(110a)은, 내판(111) 및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ㄷ"자형 단면구조이고, 개구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과 상기 마감기둥(110a)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기둥(200)은, 상호 개구가 만나 "ㅁ"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둥(200)은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내판(111)과 상기 마감기둥(110a)의 내판(111)의 결합공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201)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9. 제3항의 모듈박스(100) 복수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로서,
    일측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양측 상기 모듈박스(100)의 메인 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메인 빔(300)은, 상호 외판(121)이 만나 "I"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고, 상호 외판(121)은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둥(110), 상부 메인 빔(120a) 및 하부 메인 빔(120b)을 포함하는 2층 모듈박스(100A)와 상기 모듈박스(1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2층 모듈박스(100A)의 하부 메인 빔(120b)의 하판(123)과, 상기 모듈박스(100)의 상부 메인 빔(120a)의 상판(122)은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11. 제4항의 모듈박스(100)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로서,
    상기 복수의 가로 빔(130) 위에 데크 플레이트(14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메인 빔(120b)과 상기 데크 플레이트(140) 사이의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12. 제5항의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11)이 형성된 기초판(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판(10) 위에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되, 상기 노출철근(11)이 상기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노출철근(11)과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 조립체(2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에 인접하여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고, 상호 상기 기둥(110)을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10)의 상면에는 홈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철근(11)은 상기 홈부(12)의 내부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의 하단이 상기 홈부(12)에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14. 제7항의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11)이 형성된 기초판(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판(10) 위에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되, 상기 노출철근(11)이 상기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노출철근(11)과 철근(20)을 결합하여 철근 조립체(2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에 인접하여 상기 마감기둥(110a)을 설치하고, 상호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15. 제10항의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11)이 형성된 기초판(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판(10) 위에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되, 상기 노출철근(11)이 상기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노출철근(11)과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 조립체(2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에 인접하여 상기 모듈박스(100)를 설치하고, 상호 상기 기둥(110)을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듈박스(100)의 상부에 상기 2층 모듈박스(100A)를 설치하되, 상기 철근 조립체(21)의 상단이 상기 2층 모듈박스(100A)의 기둥(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21)의 상단에 철근을 결합하여 2층 철근 조립체(2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층 철근 조립체(22)가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모듈박스(100)의 기둥(110)에 인접하여 마감기둥(110a)을 설치하고, 상호 결합하여 상기 결합기둥(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둥(200)의 내부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50039840A 2015-03-23 2015-03-23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67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40A KR101675045B1 (ko) 2015-03-23 2015-03-23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40A KR101675045B1 (ko) 2015-03-23 2015-03-23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78A true KR20160113778A (ko) 2016-10-04
KR101675045B1 KR101675045B1 (ko) 2016-11-22

Family

ID=5716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840A KR101675045B1 (ko) 2015-03-23 2015-03-23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77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건축용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유닛 조립체
CN112302160A (zh) * 2020-11-10 2021-02-02 江苏沪邦建材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框架模块房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722A (ja) * 2000-09-25 2002-04-05 Misawa Homes Co Ltd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用コーナ補強材
KR100684931B1 (ko) * 2006-02-28 2007-02-22 염경수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설치구조
KR101044792B1 (ko) * 2010-12-29 2011-06-27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운송이 용이한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722A (ja) * 2000-09-25 2002-04-05 Misawa Homes Co Ltd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用コーナ補強材
KR100684931B1 (ko) * 2006-02-28 2007-02-22 염경수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설치구조
KR101044792B1 (ko) * 2010-12-29 2011-06-27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운송이 용이한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77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건축용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유닛 조립체
CN112302160A (zh) * 2020-11-10 2021-02-02 江苏沪邦建材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框架模块房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045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229194B1 (ko)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20170076876A (ko) 단부 보강형 합성보와 기둥의 접합 구조
KR101456391B1 (ko)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KR101836325B1 (ko)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KR101675045B1 (ko)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50177B1 (ko)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JP4949116B2 (ja) 壁ユニットおよび耐震壁
KR101605676B1 (ko) 모듈박스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1415699B1 (ko) 기둥용 거푸집
JP6567368B2 (ja)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1170897B1 (ko) 별도의 내화피복이 필요 없는 층고절감형 합성보 및 그를 이용한 보-슬래브 접합부 구조
JP6512431B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JP7118507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壁柱建物構造
JP587045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及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1984211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1639256B1 (ko) 공학용 목재를 이용한 복합모듈러 및 그 시공방법
KR10090938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KR102429151B1 (ko) 역u형 본체부와 바닥판이 결합된 pc모듈러 구조물
KR20100038545A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