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872A -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 Google Patents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872A
KR20160111872A KR1020160031351A KR20160031351A KR20160111872A KR 20160111872 A KR20160111872 A KR 20160111872A KR 1020160031351 A KR1020160031351 A KR 1020160031351A KR 20160031351 A KR20160031351 A KR 20160031351A KR 20160111872 A KR20160111872 A KR 20160111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acid
molding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825B1 (ko
Inventor
야스민 베르게르
라이네르 괴린크
카를 쿠만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1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4Gas barrie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92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containing monomers with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I. 하기 성분:
1) 60 내지 99 중량부의 헥사메틸렌디아민, 테레프탈산 및 8 내지 1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및
2) 40 내지 1 중량부의 충격 개질제로서의 올레핀성 공중합체
를 40 wt% 이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1)의 중량부와 2)의 중량부는 합해서 100인, 성형 배합물의 제1 층 (층 I); 및
II. 하기 성분:
1) 75 내지 100 중량부의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와
2) 25 내지 0 중량부의 충격 개질제로서의 올레핀성 공중합체
의 혼합물을 60 wt% 이상으로 포함하는 성형 배합물의 제2 층 (층 II)
을 포함하며,
단, 층 II의 성형 배합물에서 성분 1)과 성분 2)의 혼합물이 층 I의 성형 배합물의 경우보다 5 중량부 이상 더 적은 올레핀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복합체는 높은 열 변형 온도, 매우 우수한 충격 내성, 높은 파단 신율 및 우수한 층 접착력을 갖는다.

Description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MULTILAYER COMPOSITE COMPRISING LAYERS OF PARTLY AROMATIC POLYAMIDES}
본 발명은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장벽층 및 충격-개질된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는 성형 배합물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다층 복합체는 주로 중공 물품,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가스상 매질을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한 중공 프로파일 또는 용기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에서 액체 또는 가스상 매질을 운반하기 위한 파이프로서 사용되는 다층 복합체의 개발에 있어서, 연료 성분이 주위로 방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특히 연료 라인을 위한 개선된 장벽 효과가 자동차 산업에서 요구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연료 내성이 필요하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플루오로중합체,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EVOH) 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장벽층 물질로서 사용하는 다층 파이프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부가적으로, WO 2005/018891에는 하나 이상의 충격-개질된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층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층을 포함하는 중공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두 개의 상이한 층으로 구성되고, 이들 층은 둘 다 9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아민으로 구성된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고, 여기서 층 물질들은 상이한 양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가 EP 1 864 796 A1 및 JP 2009-119682 A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안에서 디아민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는 비교적 값이 비싸다. 게다가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가공이 쉽지 않은데, 예를 들어 층 제조 동안에 치수 정확도가 불충분하다. 이들 다층 복합체의 추가의 단점은 그의 낮은 파단 신율이다. 자동차 응용분야의 경우에, 사고 시 연료 라인 또는 유사한 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높은 파단 신율이 필요하다. 따라서, US 2014/0299220 A1의 비교 실시예 24에서는 800 ㎛ 두께의 충격-개질된 PA9T의 층 및 200 ㎛ 두께의 ETFE의 층을 갖는 파이프가 제조되고; 여기서 파단 신율은 22%이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프에서는 100% 초과의 파단 신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우수한 가공성을 갖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성형 배합물을 사용하여,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는 장벽층 및 충격-개질된 폴리아미드 층을 포함하고 높은 열 변형 온도, 높은 충격 내성 및 높은 파단 신율을 가지면서도 게다가 우수한 층 접착력을 나타내는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게다가 단지 매우 소량의 올리고머가 제거됨으로써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방해되지 않게 하는 내층 물질을 사용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I. 하기 성분:
1) α) 30 내지 90 mol%,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5 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mol%,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75 mol%,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 mol%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조합, 및
β) 70 내지 10 mol%,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5 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 mol%,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59 내지 25 mol%,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30 mol%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8 내지 1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조합
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mol% 값은 α)와 β)의 합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여기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또는 4% 이하의 헥사메틸렌디아민은 등량의 또 다른 디아민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또는 4% 이하의 테레프탈산은 등량의 또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또는 4% 이하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반복 단위체는 등량의 6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락탐/ω-아미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것인,
60 내지 9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90 중량부,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8 중량부의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와,
2) 40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10 중량부,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 중량부의 충격 개질제로서의 올레핀성 공중합체
의 혼합물을 40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wt%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wt% 이상,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70 wt%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wt% 이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1)의 중량부와 2)의 중량부는 합해서 100인, 성형 배합물의 제1 층 (층 I); 및
II. 하기 성분:
1) 75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83 내지 98 중량부,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7 중량부의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와
2) 25 내지 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 중량부,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중량부의 충격 개질제로서의 올레핀성 공중합체
의 혼합물을 60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wt%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wt% 이상,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90 wt%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wt% 이상으로 포함하는 성형 배합물의 제2 층 (층 II)
을 포함하며,
단, 층 II의 성형 배합물에서 성분 1)과 성분 2)의 혼합물이 층 I의 성형 배합물의 경우보다 5 중량부 이상 더 적은, 바람직하게는 8 중량부 이상 더 적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중량부 이상 더 적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상 더 적은 올레핀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복합체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II 내의 성분 1)과 성분 2)의 조합은 0 내지 10 중량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부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고,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8 내지 1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것은 옥탄이산 (수베르산; C8), 노난이산 (아젤라산; C9), 데칸이산 (세바스산; C10), 운데칸이산 (C11), 도데칸이산 (C12), 트리데칸이산 (C13), 테트라데칸이산 (C14), 펜타데칸이산 (C15), 헥사데칸이산 (C16), 헵타데칸이산 (C17), 옥타데칸이산 (C18) 및 노나데칸이산 (C19)이다.
청구범위에 따르면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일부는 임의로 또 다른 디아민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디아민이 원칙적으로 적합하고 하기 디아민이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1,10-데칸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m-크실릴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메틸-1,5-펜탄디아민 및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또한 이러한 디아민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나, 헥사메틸렌디아민 외에는 추가의 디아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범위에 따르면 테레프탈산의 일부는 또한 임의로 또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원칙적으로 적합하고 하기 디카르복실산이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이소프탈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러한 디카르복실산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나 테레프탈산 외에는 추가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청구범위에 따르면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반복 단위체의 일부는 임의로 6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락탐/ω-아미노카르복실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반복 단위체는 락탐/ω-아미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에 상응한다. 6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락탐/ω-아미노카르복실산의 예는 카프로락탐, 카프릴 락탐, 운데카노락탐, ω-아미노운데칸산, 라우릴 락탐 및 ω-아미노도데칸산을 포함한다. 여기서 11 또는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락탐/ω-아미노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외에는 락탐/ω-아미노카르복실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의 조성은 유리하게는, ISO 11357에 따른, 2차 가열 시에 측정된, 그의 미결정 융점 Tm이 220℃ 내지 3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295℃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90℃의 범위이도록 선택된다. 여러개의 용융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Tm은 주요 용융 피크로부터 결정된다.
코폴리아미드는 일반적으로 용융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적당한 방법은 종래 기술에 따른다. 대안으로서 임의의 다른 공지된 폴리아미드 합성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이 1:1의 몰비로 반응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이들 단량체들의 동몰량의 조합이 제공된다. 헥사메틸렌디아민은 비교적 휘발성이고, 따라서 중축합 동안에 손실될 수 있으므로, 이를 더 많은 양으로 채워서 보충해야 한다는 것을 유념하도록 한다. 게다가 특정한 말단 기 비를 달성하기 위해 정확한 화학양론으로부터 약간 벗어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1) β)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8 내지 1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필연적인 동몰량의 조합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0.3 내지 0.7, 특히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65의, 아미노 말단 기와 카르복실 말단 기의 합에 대한 아미노 말단 기의 비를 갖는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중축합을 제어함으로써 아미노 말단 기의 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된 디아민 대 사용된 디카르복실산의 비를 변화시키거나, 모노카르복실산을 첨가하거나, 모노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 말단 기를 많이 갖는 코폴리아미드와 아미노 말단 기를 적게 갖는 코폴리아미드인 두 가지의 코폴리아미드를 펠릿 또는 용융물로서 혼합함으로써, 아미노 말단 기의 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과염소산을 사용하여 m-크레솔 중 코폴리아미드의 용액을 적정함으로써 아미노 기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에탄올 중 KOH를 사용하여 o-크레솔 중 코폴리아미드의 용액을 적정함으로써 카르복실 기 함량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익숙하다.
충격 개질제는 특히
a) 20 내지 99.9 wt%,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9.7 wt%의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b) 0 내지 50 wt%의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그의 염 및
-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 기-함유 에스테르를 제외한, 아크릴산/메타크릴산과 C1 내지 C12 알콜의 에스테르
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성 화합물,
c) 0.1 내지 50 wt%의 올레핀성 불포화 에폭시드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인 단량체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이고,
여기서 wt% 값은 올레핀성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고 합해서 100을 초과하지 않는다. 추가의 공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또는 비공액화된 디엔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가 부가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성분 c)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단위체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 c)가 올레핀성 불포화 에폭시드로부터 유도된 단위체로 구성된 경우에, b)에 따른 아크릴성 화합물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1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 35 내지 94.9 wt%,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5 wt%의 에텐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 5 내지 65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wt%의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알켄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 0 내지 10 wt%의 또 다른 올레핀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및
- 0.1 내지 2.5 wt%의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인 단량체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이고,
여기서 개별 분율은 이들 wt% 값이 합해서 100이도록 선택된다. 에탄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하한은 34.9 wt%, 바람직하게는 39.9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44.9 wt%이고, 반면에 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89.9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84.9 wt%이다.
올레핀성 공중합체에서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알켄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것은 하기 화합물이다: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알켄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올레핀성 공중합체의 0 내지 10 wt%를 차지할 수 있는 단량체 단위체를 유도하는 다른 올레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올레핀은 비공액화된 디엔, 모노-엔, 예컨대 프로펜, 4-메틸-1-펜텐 또는 스티렌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제1 변형 양태에서, 올레핀성 공중합체의 0 내지 10 wt%를 차지할 수 있는 단량체 단위체를 유도하는 다른 올레핀은 비공액화된 디엔이 아니다.
제2 변형 양태에서 이러한 다른 올레핀은 스티렌 및/또는 프로펜이 아니다.
제3 변형 양태에서 올레핀성 공중합체는 에텐,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알켄 및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체만을 포함한다.
제4 변형 양태에서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알켄은 1-부텐이다.
제5 변형 양태에서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알켄은 1-헥센이다.
제6 변형 양태에서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알켄은 1-옥텐이다.
이들 변형 양태들은 제한 없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일 수 있지만, 다른 상응하는 화합물, 예컨대, 예를 들어, 아코니트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또는 이타콘산 무수물이 또한 적합하다.
청구범위에 따른 올레핀성 공중합체는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그의 전구체, 예를 들어, 상응하는 산 또는 절반 에스테르는, 열적 반응 또는 바람직하게는 자유-라디칼 반응에 의해, 예비형성된 공중합체와 반응한다. 여기서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또한 다른 단량체, 예를 들어 디부틸 푸마레이트 또는 스티렌과 조합되어 반응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따른 올레핀성 공중합체는 다양한 유형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제2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 35 내지 94.9 wt%,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5 wt%의 에텐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 5 내지 65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wt%의 프로펜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 0 내지 10 wt%의 또 다른 올레핀, 예를 들어 비공액화된 디엔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및
- 0.1 내지 2.5 wt%의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
인 단량체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이고,
여기서 개별 분율은 이들 wt% 값이 합해서 100이도록 선택된다. 에탄을 기재로 하는 단량체 단위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하한은 34.9 wt%, 바람직하게는 39.9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44.9 wt%이고, 반면에 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89.9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84.9 wt%이다.
제3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하나 이상의 폴리비닐방향족 블록 A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블록 B를 포함하는, 수소화되고 무수물-개질된 블록 공중합체이다. 블록은 선형으로 또는 별-형상으로, 예를 들어 유형 A-B, A-B-A, B-A-B, A-B-A-B, A-B-A-B-A, B-A-B-A-B, (A)B3, (B)A3, (A)(B-A)3, (B)(A-B)3의 구성으로서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이들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약 10,000 내지 약 800,0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0,000 내지 약 500,000의 범위이다. 블록 공중합체 내의 비닐방향족 화합물의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 wt%이다. 고무-유사 폴리올레핀 블록 B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에틸렌/부틸렌 또는 에틸렌/펜틸렌 단위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공액화된 디엔, 특히 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2,3-디메틸부타디엔 또는 그의 혼합물의 중합 및 후속되는 선택적 수소화에 의해 수득된다. 이로써 중합된 디엔 분획 내의 지방족 이중결합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4% 이상이 수소화된다. 폴리비닐방향족 블록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비닐방향족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스티렌이지만 α-메틸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 전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수소화 후에 말레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등과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해 도입된, 0.1 내지 8 wt%,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wt%의 숙신산 무수물 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수물-개질되고 수소화된 비닐방향족/공액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는 종래 기술에 따르며; 적합한 유형은 예를 들어 상품명 크라톤(Kraton)® FG1901X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이것은 30 wt%의 폴리스티렌 함량 및 1.4 내지 2 wt%의 숙신산 무수물 기 함량을 갖는 SEBS 유형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의 선형 삼블록 공중합체이다.
제4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 5 내지 95 wt%의
a) 20 내지 99.9 wt%의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b) 0 내지 50 wt%의 에폭시 기-함유 에스테르를 제외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C1 내지 C12 알콜의 에스테르, 및
c) 0.1 내지 50 wt%의 올레핀성 불포화 에폭시드
인 단량체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 (여기서 wt% 값은 올레핀성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고 합해서 100을 초과하지 않음)와,
- 95 내지 5 wt%의
a) 42 내지 99.9 wt%의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b) 0 내지 50 wt%의 에폭시 기-함유 에스테르를 제외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C1 내지 C12 알콜의 에스테르, 및
c) 0.1 내지 8 wt%의 올레핀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인 단량체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 (여기서 wt% 값은 올레핀성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고 합해서 100을 초과하지 않음)
의 혼합물이다.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은, 예를 들어, 에텐, 프로펜, 1-부텐, 1-펜텐, 4-메틸펜트-1-엔,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및 1-도데센으로부터 선택되고, 에텐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의 예는,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올레핀성 불포화 에폭시드의 예는, 특히,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글리시딜 에테르, 예컨대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말레에이트,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비닐글리시딜 에테르 및 알릴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한다.
올레핀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예는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2,3-디메틸말레산 무수물 및 비시클로[2.2.2]옥트-5-엔-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제5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 70 내지 99 wt%의 제1 실시양태로부터의 충격 개질제와,
- 1 내지 30 wt%의
a) 20 내지 99.9 wt%의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b) 0 내지 50 wt%의 에폭시 기-함유 에스테르를 제외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C1 내지 C12 알콜의 에스테르, 및
c) 0.1 내지 50 wt%의 올레핀성 불포화 에폭시드
인 단량체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 (여기서 wt% 값은 올레핀성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고 합해서 100을 초과하지 않음)
의 혼합물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제4 실시양태에 대해 기술된 바와 동일하다.
제6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 70 내지 99 wt%의 제2 실시양태로부터의 충격 개질제와,
- 1 내지 30 wt%의
a) 20 내지 99.9 wt%의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b) 0 내지 50 wt%의 에폭시 기-함유 에스테르를 제외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C1 내지 C12 알콜의 에스테르, 및
c) 0.1 내지 50 wt%의 올레핀성 불포화 에폭시드
인 단량체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레핀성 공중합체 (여기서 wt% 값은 올레핀성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고 합해서 100을 초과하지 않음)
의 혼합물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공중합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제4 실시양태에 대해 기술된 바와 동일하다.
제7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 50 내지 99 wt%의 제1 실시양태로부터의 충격 개질제와
- 1 내지 50 wt%의 제3 실시양태로부터의 수소화되고 무수물-개질된 블록 공중합체
의 혼합물이다.
제8 실시양태에서 충격 개질제는
- 50 내지 99 wt%의 제2 실시양태로부터의 충격 개질제와
- 1 내지 50 wt%의 제3 실시양태로부터의 수소화되고 무수물-개질된 블록 공중합체
의 혼합물이다.
이들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는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충격 개질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실시양태가 특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성형 배합물은 특히 높은 열 노화 내성을 갖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양태로부터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제5 및 제7 실시양태도 바람직하다.
성분 1) 및 2)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층 I의 성형 배합물은 임의로, 100 wt%가 되게 하는 나머지 부분을 차지하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0.01 wt% 이상을 차지하는 추가의 첨가물을 함유한다. 이들 추가의 첨가물의 예는
a) 안정화제,
b) 다른 중합체,
c) 가소제,
d) 안료 및/또는 염료,
e) 전기 전도성을 증진시키는 첨가물 및
f) 가공 조제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성형 배합물은 활성량의 구리-함유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이것은 특히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에 용해될 수 있는 구리 화합물이다. 구리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과 조합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안정화제는,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과 조합된, 구리(I) 염, 예를 들어 아세트산구리, 스테아르산구리, 유기 구리 착물, 예를 들어 쿠퍼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구리 할로겐화물 등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구리-함유 안정화제는 아이오딘화구리 및 브로민화구리로부터 선택되는 구리 할로겐화물, 및 리튬, 나트륨 및 칼륨의 아이오딘화물 및 브로민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을 포함한다.
구리-함유 안정화제는, 성형 배합물이 20 내지 2000 ppm의 구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0 ppm의 구리,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0 ppm의 구리를 함유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함유 안정화제가, 구리 화합물에 대한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의 중량비가 2.5 내지 12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범위이도록 하는 조성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과 구리 화합물의 조합은 일반적으로 성형 배합물 내에 약 0.01 wt% 내지 약 2.5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구리-함유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보닛 내(under-bonnet) 자동차 응용분야에서, 장기 열 노화를 방지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성형 배합물은 활성량의 산화 안정화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활성량의 구리-함유 안정화제와 조합된 활성량의 산화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산화 안정화제의 예는 방향족 아민, 입체 장애 페놀, 아인산염, 포스포나이트, 티오 상승제, 히드록실아민, 벤조푸라논 유도체, 아크릴로일-개질된 페놀 등을 포함한다. 매우 많은 유형의 이러한 산화 안정화제가, 예를 들어 상품명 나우가르드(Naugard) 445, 이르가녹스(Irganox) 1010, 이르가녹스 1098, 이르가포스(Irgafos) 168, P-EPQ 또는 로위녹스(Lowinox) DSTDP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성형 배합물은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약 2 wt%,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5 wt%의 산화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성형 배합물은 게다가 UV 안정화제/HALS 유형의 광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UV 안정화제는 주로 유기 UV 흡수제, 예를 들어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옥살아닐리드 또는 페닐트리아진이다. HALS 유형의 광 안정화제는 테트라메틸피페리딘 유도체이고; 이들은 라디칼 소거제로서 작용하는 억제제이다. UV 안정화제 및 광 안정화제는 유리하게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둘 다 매우 많은 유형의 것들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사용량에 대해서는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를 수 있다.
성형 배합물은 부가적으로 가수분해 안정화제, 예를 들어 단량체성,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체성 카르보디이미드 또는 비스옥사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성형 배합물 내에 첨가물로서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중합체의 예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아미드,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을 포함한다.
적합한 지방족 폴리아미드의 예는 PA46, PA66, PA68, PA610, PA612, PA613, PA410, PA412, PA810, PA1010, PA1012, PA1013, PA1014, PA1018, PA1212, PA6, PA11 및 PA12 및 또한 이들 유형의 것으로부터 유도된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 임의로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임의로 폴리에테르 아미드로 구성된 성형 배합물의 폴리아미드 분획이 10 wt%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8 wt% 미만,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5 wt%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 wt% 미만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또는 바람직하게는 10 w%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8 wt% 미만,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5 wt%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 wt% 미만의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테르 아미드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및 폴리아미드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는 공지되어 있다. 폴리아미드에 적합한 가소제에 대한 일반적 개요를 문헌(Gaechter/Mueller, Kunststoffadditive [Plastics additives], C. Hanser Verlag, 2nd edition, p 296)에서 찾을 수 있다.
가소제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통상적인 화합물의 예는 알콜 성분 내에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p-히드록시벤조산의 에스테르 또는 아민 성분 내에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술폰산의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벤젠술폰산의 아미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가소제는, 특히,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i-헥사데실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톨루엔술폰산 n-옥틸아미드, 벤젠술폰산 n-부틸아미드 또는 벤젠술폰산 2-에틸헥실아미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안료 및/또는 염료의 예는 카본블랙, 산화철, 황화아연, 울트라마린, 니그로신, 진주광택 안료 및 금속 박편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을 증진시키는 첨가물의 예는 전도성 카본블랙 또는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적합한 가공 조제의 예는 파라핀, 지방 알콜, 지방산 아미드, 스테아르산염, 예컨대 스테아르산칼슘, 파라핀 왁스, 몬타네이트 또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성형 배합물은 용융 혼합에 의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개별 구성 성분으로부터 제조된다.
층 II의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일반적으로 조성 PAXY/Z를 갖고, 여기서 개별 단위체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X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이다.
Y는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이다. 디아민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지방족 또는 분지형 지방족이지만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일 수도 있다.
Z는 락탐 또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 또는 선형 지방족, 분지형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선형 지방족, 분지형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이다.
여기서, X와 Y와 Z의 합을 기준으로 하는 Z의 비율은 0 내지 60 mol%,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mol%,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mol%,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mol%이다.
단위체 X를 유도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비페닐-4,4'-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4,4'-디카르복실산 또는 임의의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체 Y를 유도할 수 있고/있거나 디카르복실산과 함께 단위체 Z를 제공할 수 있는 선형 지방족 디아민은, 예를 들어, 1,4-부탄디아민, 1,5-펜탄디아민, 1,6-헥산디아민, 1,7-헵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디아민, 1,11-운데칸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1,13-트리데칸디아민, 1,14-테트라데칸디아민 또는 1,18-옥타데칸디아민일 수 있다.
단위체 Y를 유도할 수 있고/있거나 디카르복실산과 함께 단위체 Z를 제공할 수 있는 분지형 지방족 디아민은, 예를 들어, 2-메틸-1,5-펜탄디아민, 2,2,4-트리메틸-1,6-헥산디아민, 2,4,4-트리메틸-1,6-헥산디아민, 2,4-디에틸-1,6-헥산디아민, 2,2-디메틸-1,7-헵탄디아민, 2,3-디메틸-1,7-헵탄디아민, 2,4-디메틸-1,7-헵탄디아민, 2,5-디메틸-1,7-헵탄디아민, 2-, 3- 또는 4-메틸-1,8-옥탄디아민, 1,3-, 1,4-, 2,2-, 2,4-, 3,3-, 3,4-, 4,4- 또는 4,5-디메틸-1,8-옥탄디아민, 5-메틸-1,9-노난디아민, 2-부틸-1,8-옥탄디아민 또는 3-부틸-1,8-옥탄디아민일 수 있다. 그의 혼합물, 예를 들어 제조 동안에 수득된 이성질체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위체 Y를 유도할 수 있고/있거나 디카르복실산과 함께 단위체 Z를 제공할 수 있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은, 예를 들어, 1,3- 또는 1,4-시클로헥산디아민, 1,3-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틸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또는 이소포론디아민일 수 있다.
단위체 Y를 유도할 수 있는 방향족 디아민은, 예를 들어,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m-크실릴렌디아민 또는 4,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일 수 있다.
단위체 Z를 유도할 수 있는 락탐은, 예를 들어, 카프로락탐 또는 라우로락탐이다.
단위체 Z를 유도할 수 있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ω-아미노운데칸산이다.
디아민과 함께 단위체 Z를 제공할 수 있는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이산, 도데칸이산, 트리데칸이산, 테트라데칸이산 또는 옥타데칸이산이다.
디아민과 함께 단위체 Z를 제공할 수 있는 분지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2,2,4- 또는 2,4,4-트리메틸헥산이산이다.
디아민과 함께 단위체 Z를 제공할 수 있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또는 1,3-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이다.
단위체 X, Y 및 Z를 제조하기 위해서, 각각의 경우에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중축합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예는
* 테레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 2-메틸-1,5-펜탄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 테레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 2,2,4- 및 2,4,4-트리메틸-1,6-헥산디아민으로 구성된 이성질체 혼합물의 코폴리아미드;
*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PA6T/6I);
* 테레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카프로락탐의 코폴리아미드 (PA6T/6);
* 테레프탈산과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PA6T/66);
*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과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PA6T/6I/66);
* 테레프탈산과 1,10-데칸디아민 또는 1,12-도데칸디아민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PA10T/6T 및 PA12T/6T);
* 테레프탈산과 8 내지 1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PA6T/612), 또는 테레프탈산과 8 내지 1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디아민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PA10T/1010);
*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1,9-노난디아민 및 2-메틸-1,8-옥탄디아민으로 구성된 이성질체 혼합물의 코폴리아미드;
* 1,10-데칸디아민 또는 1,12-도데칸디아민과 테레프탈산과 ω-아미노운데칸산의 코폴리아미드 (각각 PA10T/11 및 PA12T/11)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II의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는 층 I의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의 화학식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복합체는 게다가 추가의 층, 예를 들어 추가의 층 I, 추가의 층 II,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는 성형 배합물의 층, 플루오로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성형 배합물의 층 또는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EVOH)를 기재로 하는 성형 배합물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복합체는 평평한 복합체의 형태, 예를 들어 시트 또는 필름의 형태, 예를 들어 포장 필름의 형태, 또는 해상 추출을 위한 가요성 파이프를 위한 내마모성 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복합체는 중공 물품, 주로 파이프 또는 용기이다. 이는, 예를 들어, 연료 라인, 유압 라인, 브레이크 라인, 클러치 라인 또는 냉각제 라인, 브레이크액 용기 또는 연료 용기를 포함한다. 추가의 응용분야는, 예를 들어, 오일 또는 가스 추출 산업에서 강성 또는 가요성 파이프를 위한 라이너 또는 뜨거운 액체를 운반하는 움빌리컬(umbilical)을 위한 라인이다. 내층이 가솔린 또는 바이오디젤과 접촉하는 경우에, 이는 바람직하게는 구리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복합체가 가연성 액체, 가스 또는 분진, 예를 들어 연료 또는 연료 증기를 운반 또는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에, 복합체에 속하는 층들 중 하나 또는 부가적인 내층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것이 현명하다. 임의의 종래 기술 방법에 따라 전기 전도성 첨가물과 배합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전도성 첨가물의 예는 전도성 카본블랙, 금속 박편, 금속 분말, 금속화된 유리 비드, 금속화된 유리 섬유, 금속 섬유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것), 금속화된 휘스커, 탄소 섬유 (또한 금속화된 탄소 섬유),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 또는 흑연 피브릴을 포함한다. 다양한 전도성 첨가물들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운반 또는 보관될 매질과 직접 접촉하고 109 Ω/square 이하의 표면비저항을 갖는다. 다층 파이프의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측정 방법은 2004년 11월 SAE J 2260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복합체가 중공 물품 또는 중공 프로파일 (예를 들어 파이프)로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복합체는 추가로 부가적인 엘라스토머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가교 고무 조성물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둘 다가 외피(sheathing)에 적합하다. 부가적인 접착 촉진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예를 들어 크로스헤드 다이를 통한 압출을 사용하여, 또는 예비-제작된 엘라스토머 호스를 이전에 압출된 다층 파이프 상에 밀어서 외피를 다층 복합체에 적용할 수 있다. 외피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4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의 두께를 갖는다.
적합한 엘라스토머의 예는 클로로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ECO), 염소화된 폴리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고무, 클로로술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실리콘 고무, 산토프렌(Santoprene),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아미드를 포함한다.
다층 복합체를, 일단계 또는 다단계 절차에서, 예를 들어 샌드위치 성형, 공압출, 공압출 취입 성형 (또한 예를 들어 3D 취입 성형, 예비성형물을 개방된 절반-성형틀 내로 압출함, 3D 예비성형물 조작, 흡인 취입 성형, 3D 흡인 취입 성형, 순차적 취입 성형)을 사용하는 일단계 공정 또는 예를 들어 US 5 554 425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단계 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하기 표에는 가능한 예시적인 층 구성이 열거되어 있다. 이들 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언급된 층 구성은 일반적으로 기하구조와는 상관없이 적용되며, 즉 필름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특히 중공 물품, 예컨대 중공 프로파일, 예를 들어 파이프 또는 용기에도 적용되며; 이러한 경우에 a)에 따른 층이 외층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층 I의 성형 배합물과 층 II의 성형 배합물은 용이하게 공압출될 수 있고 손상되지 않은 층 기하구조가 수득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층 접착력은 매우 우수하다. 이는 층 I의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층 II의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상이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는 높은 열 변형 온도, 매우 우수한 충격 내성 및 높은 파단 신율을 나타낸다. 게다가, 복합체가 연료와 접촉할 때 단지 매우 소량의 올리고머가 상기 복합체로부터 제거되고; 따라서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방해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료 성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장벽 효과는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하기 예시에 의해 설명된다.
하기 물질이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PA6T/612: 제조 실시예 1을 참조
색상 배치(colour batch): 80 wt%의 PA12와 20 wt%의 카본블랙의 혼합물
타프머(TAFMER)®MH7010: 미쓰이 케미칼즈(Mitsui Chemicals)로부터의 무수물-개질된 에틸렌-부틸렌 고무
스테아르산칼슘: 가공 조제
폴리아드(Polyad)® PB201 아이오다이드: 아이오딘화구리 및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을 기재로 하는 구리-함유 안정화제
나우가르드(Naugard)® 445: 산화 안정화제 (방향족 아민)
HI-PA6T/612: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충격-개질된 PA6T/612 성형 배합물
장벽층 성형 배합물: 제조 및 조성에 관해서는 하기를 참조
제조 실시예 1 (PA6T/612 50:50):
처음에 중축합 용기에 헥사메틸렌디아민 12.621 ㎏, 테레프탈산 9.021 ㎏, 도데칸이산 13.356 ㎏, 증류수 15.000 ㎏ 및 차아인산의 50 중량% 수용액 3.53 g을 채웠다. 출발 물질을 180℃에서 용융시키고 225℃/22 bar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 bar로 연속적으로 감압시키면서 300℃로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추가로 감압시켰다. 일단 0.5 bar의 압력이 수득되면, 용기를 비우고 생성물을 펠릿화하였다. 과립을 회전식 건조기에서 후축합시켜 원하는 분자량을 달성하였다.
미결정 융점 Tm: 278℃ (주요 피크)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성형 배합물 (HI-PA6T/612)의 제조:
이것은 65.38 중량부의 이전에 제조된 PA6T/612, 30 중량부의 타프머 MH7010, 2.5 중량부의 색상 배치, 1.2 중량부의 폴리아드 PB201 아이오다이드, 0.6 중량부의 나우가르드 445 및 0.32 중량부의 스테아르산칼슘을 사용하였다. 성형 배합물을 혼련 장치에서 용융 혼합을 통해 개별 구성 성분으로부터 제조하고 이어서 압출하고 펠릿화하고 건조시켰다.
장벽층 성형 배합물의 제조
타프머 MH7010, 색상 배치 및 폴리아드 PB201 아이오다이드를 생략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HI-PA6T/612의 제조와 유사하였다.
참조물:
IDE ME 45/4 × 25D 단층 파이프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280℃ 및 100 rpm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성형 조성물로부터 외경이 8.0 ㎜이고 벽 두께가 1.0 ㎜인 단층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벨라폼(Bellaform) 다층 파이프 장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경우에 외경이 8.0 ㎜이고 총 벽 두께가 1.0 ㎜인 다층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층 구성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시험:
a) 인장 시험: 단층 및 다층 파이프를 DIN EN ISO 527-1에 따라 100 ㎜/min의 권취 속도에서 시험하였다. 시편은 약 200 ㎜의 길이를 가졌고, 클램프에 의해 조여진 길이는 100 ㎜였고, 변형 센서의 간격은 50 ㎜였다.
b) 충격 굽힘 시험: 단층 및 다층 파이프에 대한 충격 내성의 측정을 DIN 73378에 따라 23℃ 및 -40℃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길이가 약 100 ㎜인 10개의 파이프 단편을 사용하였다.
c) 낙하 해머 시험: 낙하 해머 시험을 SAE 명세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는 특정한 추가 규정된 낙하 높이로부터 시편 상에 낙하하도록 함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시험을 사용하여 SAE J2260 및 SAE J844에 따라 단층 및 다층 파이프의 충격 효과 하의 충격 내성 특징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40℃에서 10개의 시편을 측정하였고, 일단 시험에 적용하고 나면, 손상에 대해 시각적으로 검사하였다.
d) 분리 시험: 시험 샘플의 개별 층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인장 도구 및 회전 금속 바퀴가 부착된 즈윅(Zwick) BZ 2.5/TN1S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분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DIN EN ISO 2411에 따른 분리 시험을 사용하여, 두 개의 층들을 서로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을 측정함으로써, 두 개의 층들 사이의 접착력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길이가 20 ㎝인 다층 파이프의 파이프 단편을 절단 도구를 사용하여 종방향으로 쪼개서 세개의 부분으로 만들었다.
측정을 시작하기 전에, 측경양각기를 사용하여 샘플 너비를 다양한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평균 값을 평가 소프트웨어에 입력하였다. 이어서 처음에 분리된 한 층의 말단을, 상기 층을 또 다른 층으로부터 90°의 각도로 연속적으로 잡아당기는 클램프에 고정하였다.
층들을 50 ㎜/min의 시험 속도로 잡아당겨 분리하면서, 이와 동시에, 필요한 힘 (뉴턴) 대 변위량 (밀리미터)의 다이어그램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접착된 접촉 영역의 너비와 관련된 분리 내성 (뉴턴/밀리미터)을 결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올리고머 제거 안정성:
올리고머 제거 안정성을 통해, 가용성 및 불용성 추출 물질이 시험 연료에 의해 파이프로부터 파이프 미터 당 제거되는 질량을 시험하였다. 이러한 시험은 알콜-함유 시험 연료 FAM B (42.3 vol%의 톨루엔, 25.4 vol%의 이소옥탄, 4.3 vol%의 에탄올, 12.7 vol%의 디이소부틸렌, 15.0 vol%의 메탄올 및 0.5 vol%의 탈이온수)를 길이가 2 m인 파이프 단편에 60℃에서 72시간 동안 보관함을 포함하였다. 샘플 제조를 위해 각각의 파이프의 한쪽 말단을 금속 구를 사용하여 밀봉하였다. 시편에 시험 연료를 약 95%로 채우고 밀봉하고 이어서 순환 공기 오븐에 60℃에서 넣어 두었다. 일단 72시간의 시험 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파이프를 회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잠깐 흔들어서 파이프 내벽 상의 임의의 잔류물을 용해시켰다. 각각의 시험 액체를 유리 비이커에 옮기고, 0℃로 냉각시키고, 이러한 온도에서 추가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험 액체 내에 포함된 불용성 추출 물질을, 0.045 ㎛의 기공 크기를 갖는 폴리에테르술폰 (PES) 여과기를 사용하여 흡인 여과하고, 이어서 칭량하였다. 이어서 여과액을 흄 후드에서 24시간 동안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칭량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3번씩 반복적으로 결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로부터의 파이프는 1.4 ㎎/파이프 m의 불용성 추출 물질을 제공하였고 여과액의 증발 후에는 88 ㎎/파이프 m의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비교: 종종 다층 파이프에서 내층으로서 사용되는 PA12 성형 배합물인 베스타미드(VESTAMID)® X7293으로 만들어진 단층 파이프는, 동일한 절차 후에, 15.9 ㎎/파이프 m의 불용성 추출 물질을 제공하였고 여과액의 증발 후에는 853 ㎎/파이프 m의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표 1> 층 구성 및 시험 결과
Figure pat00003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연료 라인에 부과된 요건을 충족시킨다.

Claims (13)

  1. I. 하기 성분:
    1) α) 30 내지 90 mol%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조합, 및
    β) 70 내지 10 mol%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8 내지 1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조합
    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mol% 값은 α)와 β)의 합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여기서 20% 이하의 헥사메틸렌디아민은 등량의 또 다른 디아민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서 20% 이하의 테레프탈산은 등량의 또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서 20% 이하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반복 단위체는 등량의 6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락탐/ω-아미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것인,
    60 내지 95 중량부의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
    2) 40 내지 5 중량부의 충격 개질제로서의 올레핀성 공중합체
    를 40 wt% 이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1)의 중량부와 2)의 중량부는 합해서 100인, 성형 배합물의 제1 층 (층 I); 및
    II. 하기 성분:
    1) 75 내지 100 중량부의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와
    2) 25 내지 0 중량부의 충격 개질제로서의 올레핀성 공중합체
    의 혼합물을 60 wt% 이상으로 포함하는 성형 배합물의 제2 층 (층 II)
    을 포함하며,
    단, 층 II의 성형 배합물에서 성분 1)과 성분 2)의 혼합물이 층 I의 성형 배합물의 경우보다 5 중량부 이상 더 적은 올레핀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층 I의 성형 배합물이 0.01 내지 60 wt%의 추가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의 첨가물 중 하나가 구리-함유 안정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추가의 첨가물 중 하나가 산화 안정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I의 코폴리아미드의 미결정 융점 Tm이, ISO 11357에 따라 2차 가열에서 측정되는 경우에, 220℃ 내지 3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II의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조성 PAXY/Z를 가지며, 여기서 개별 단위체는 하기 의미를 가지며, 즉
    X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이고;
    Y는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이고;
    Z는 락탐 또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 또는 선형 지방족, 분지형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선형 지방족, 분지형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체이고;
    여기서, X와 Y와 Z의 합을 기준으로 하는 Z의 비율은 0 내지 60 mol%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추가의 층 또는 추가의 층들이
    Figure pat00004
    추가의 층 I,
    Figure pat00005
    추가의 층 II,
    Figure pat00006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는 성형 배합물의 층,
    Figure pat00007
    플루오로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성형 배합물의 층 및
    Figure pat00008
    EVOH 성형 배합물의 층
    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시트 또는 중공 물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중공 물품이 중공 프로파일, 특히 파이프, 또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층 및 엘라스토머 외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연료 라인, 유압 라인, 브레이크 라인, 클러치 라인, 냉각제 라인, 오일 또는 가스 추출 산업에서의 강성 또는 가요성 파이프를 위한 라이너 또는 움빌리컬을 위한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액 용기 또는 연료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체.
KR1020160031351A 2015-03-17 2016-03-1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KR102229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9399.3A EP3069873B1 (de) 2015-03-17 2015-03-17 Mehrschichtverbund mit schichten aus teilaromatischen polyamiden
EP15159399.3 2015-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872A true KR20160111872A (ko) 2016-09-27
KR102229825B1 KR102229825B1 (ko) 2021-03-22

Family

ID=5277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51A KR102229825B1 (ko) 2015-03-17 2016-03-1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64296B2 (ko)
EP (1) EP3069873B1 (ko)
JP (1) JP6671200B2 (ko)
KR (1) KR102229825B1 (ko)
CN (1) CN105984191B (ko)
BR (1) BR102016005774B1 (ko)
MX (1) MX2016003130A (ko)
RU (1) RU20161094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2668B1 (en) * 2014-11-20 2023-07-19 Toray Industries, Inc. Use of a hose and use of a polyamide composition for preparing an inner layer of the hose coming into contact with high-pressure hydrogen
KR20200055727A (ko) 2017-09-28 2020-05-21 듀폰 폴리머스, 인크. 중합 공정
WO2019065232A1 (ja) 2017-09-29 2019-04-04 宇部興産株式会社 積層チューブ
FR3072047B1 (fr) * 2017-10-05 2019-09-27 Arkema France Multicouche combinant et vieillissement et eclatement a chaud, utile pour les applications automobile haute temperature
EP3477176A1 (de) 2017-10-25 2019-05-01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m inliner ausgekleideten rohres
DE102017221467A1 (de) * 2017-11-29 2019-05-29 Aft Automotive Gmbh Mehrschichtverbund sowie Fluidleitung
JP7098004B2 (ja) * 2018-06-29 2022-07-08 エボニック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ーザーマーキングと染料拡散熱転写印刷による印刷との双方に適したポリマーベースの複合材料
DE102018213140A1 (de) * 2018-08-06 2020-02-06 Aft Automotive Gmbh Mehrschichtverbund sowie Fluidleitung
US11807719B2 (en) * 2018-10-31 2023-11-07 Shakespeare Company, Llc Clear polyamide resins, articles, and methods
FR3106525B1 (fr) * 2020-01-28 2021-12-31 Arkema France Structure multicouche pour le transport ou le stockage de l’hydrogene
CN114213750B (zh) * 2021-12-08 2023-09-19 万华化学(宁波)有限公司 一种多层管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7096A1 (ja) * 2005-03-31 2006-10-12 Kuraray Co., Ltd. 積層構造体
JP2014240149A (ja) * 2013-06-11 2014-12-25 宇部興産株式会社 積層チューブ
JP2014240148A (ja) * 2013-06-11 2014-12-25 宇部興産株式会社 導電性積層チューブ
JP2014240139A (ja) * 2013-06-11 2014-12-25 宇部興産株式会社 積層チューブ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7645A (en) * 1990-09-20 1995-02-07 Amoco Corporation Polyphthalamide composition
DE4137430A1 (de) * 1991-11-14 1993-05-19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JPH085167B2 (ja) 1992-01-06 1996-01-24 パイロット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ルオロポリマー複合材料製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310884A1 (de) * 1993-04-02 1994-10-06 Huels Chemische Werke Ag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EP1658165B1 (en) 2003-08-19 2020-01-01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Impact-modified polyamide film
DE10361190A1 (de) * 2003-12-24 2005-07-28 Ticona Gmbh Verbundkörper,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US20090098325A1 (en) * 2005-03-18 2009-04-16 Kuraray Co. Ltd. Semi-aromatic polyamide resin
DE602006016505D1 (de) * 2006-09-26 2010-10-07 Mehrlagiges rohr zum leiten eines kraftstoffs in einem kraftfahrzeug
JP4407727B2 (ja) * 2007-07-06 2010-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走査型画像表示装置
JP2009119682A (ja) 2007-11-14 2009-06-04 Toyoda Gosei Co Ltd 樹脂チューブ
EP2406301A1 (en) * 2009-03-11 2012-01-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alt resistant polyamide compositions
US20110139258A1 (en) * 2009-12-16 2011-06-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ayer structures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their use to convey fluids
US8691911B2 (en) * 2011-01-31 2014-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lt-blended thermoplastic composition
FR2974028B1 (fr) 2011-04-14 2013-04-19 Arkema France Structure multicouche comprenant une couche d'un copolyamide particulier et une couche barrie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7096A1 (ja) * 2005-03-31 2006-10-12 Kuraray Co., Ltd. 積層構造体
EP1864796A1 (en) * 2005-03-31 2007-12-12 Kuraray Co., Ltd. Multilayer structure
JP2014240149A (ja) * 2013-06-11 2014-12-25 宇部興産株式会社 積層チューブ
JP2014240148A (ja) * 2013-06-11 2014-12-25 宇部興産株式会社 導電性積層チューブ
JP2014240139A (ja) * 2013-06-11 2014-12-25 宇部興産株式会社 積層チュ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3130A (es) 2016-12-06
JP6671200B2 (ja) 2020-03-25
US10464296B2 (en) 2019-11-05
KR102229825B1 (ko) 2021-03-22
BR102016005774B1 (pt) 2021-11-09
US20160271919A1 (en) 2016-09-22
JP2016172449A (ja) 2016-09-29
EP3069873B1 (de) 2017-09-06
BR102016005774A2 (pt) 2017-01-24
CN105984191A (zh) 2016-10-05
EP3069873A1 (de) 2016-09-21
CN105984191B (zh) 2021-11-12
RU2016109441A (ru)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825B1 (ko)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KR102357011B1 (ko) Evoh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KR102357016B1 (ko)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KR102357013B1 (ko)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JP3837587B2 (ja) ポリアミドとevohとをベースにしたガソリン輸送用多層管
KR102241373B1 (ko) 폴리에스테르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
JP2018047701A (ja) 高い耐浸出性を有する多層中空体
KR102206922B1 (ko) 가열가능한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