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604A - 스크라이빙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라이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604A
KR20160111604A KR1020150036258A KR20150036258A KR20160111604A KR 20160111604 A KR20160111604 A KR 20160111604A KR 1020150036258 A KR1020150036258 A KR 1020150036258A KR 20150036258 A KR20150036258 A KR 20150036258A KR 20160111604 A KR20160111604 A KR 2016011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bing
wheel
protrusion
protrusions
proj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현
강윤구
김청기
장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3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1604A/ko
Priority to CN201510665686.0A priority patent/CN105985011A/zh
Publication of KR2016011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라이빙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을 스크라이빙 방향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연결 유닛과 이에 대응하는 체결 홈이 형성된 스크라이빙 헤드가 적용된 스크라이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라이빙 장치{SCRIB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라이빙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을 스크라이빙 방향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연결 유닛과 이에 대응하는 체결 홈이 형성된 스크라이빙 헤드가 적용된 스크라이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용되는 LCD나 LED, 유기 EL 패널, 무기 EL 패널, 투과형 프로젝터 기판, 반사형 프로젝터 기판 등은 유리와 같은 취성의 글래스 패널(Glass Panel, 또는 "모 기판"이라 함)을 소정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글래스 패널의 절단공정은, 글래스 패널보다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등으로 이루어진 공구를 이용하여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과, 상기 글래스 패널에 형성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브레이킹(Breaking) 공정을 포함한다.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스크라이빙 장치(A)를 구성하는 스크라이빙 휠, 휠 홀더 및 스크라이빙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예가 도 1a 및 1b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크라이빙 장치(A)는 스크라이빙 헤드(1), 스크라이빙 헤드(1)에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휠 홀더(4), 휠 홀더(4)의 하단에 수직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글래스 패널에 가압된 상태로 이송하면서 크랙을 형성하는 디스크 형태의 스크라이빙 휠(5)을 포함한다.
이 때, 휠 홀더(4)는 베어링(9)을 통해 스크라이빙 헤드(1)에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헤드(1)는 글래스 패널의 절단 예정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스크라이빙 휠(5)이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크랙을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라이빙 휠(5)이 글래스 패널을 스크라이빙할 때 스크라이빙 휠(5)이 회전하면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글래스 패널에 수직 크랙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휠 홀더(4)의 회전 중심은 스크라이빙 휠(5)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한쪽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선회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스크라이빙 휠(5)을 스크라이빙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때 스크라이빙 휠(5)이 스크라이빙 방향에 정확히 정렬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스크라이빙 장치의 경우, 최초 스크라이빙 휠(5)이 정렬된 방향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스크라이빙 휠(5)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예비 작업은 글래스 패널에 형성된 더미 기판 상에서 스크라이빙 휠(5)을 스크라이빙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빙 휠(5)이 스크라이빙 방향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는 작업이며, 예비 작업 후 스크라이빙 헤드(1)를 글래스 패널로부터 이격시킨 후 스크라이빙 라인으로 이동하여 스크라이빙 공정을 시작하게 된다.
이 때, 예비 작업에 의해 스크라이빙 방향과 정렬된 스크라이빙 휠(5)의 방향은 스크라이빙 라인으로 이동하는 동안 오정렬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스크라이빙 휠(5)이 오정렬된 상태에서 스크라이빙 공정을 시작할 경우, 원하는 방향으로 크랙을 형성하지 못해 글래스 패널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글래스 패널은 거의 더미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제조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스크라이빙 휠(5)의 정렬 방향을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이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스크라이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하도록 스크라이빙 헤드와 휠 홀더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글래스 패널 상에서 곧바로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스크라이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더미 기판 상에서 스크라이빙 휠을 스크라이빙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빙 휠이 스크라이빙 방향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거의 더미 기판이 형성된 영역이 최소화된 글래스 패널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스크라이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헤드, 상기 스크라이빙 헤드에 설치되는 휠 홀더 및 상기 휠 홀더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라이빙 휠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라이빙 헤드와 상기 휠 홀더는 연결 유닛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 유닛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빙 헤드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이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결정되는 스크라이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홈에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상기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 홈에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의 외면과 상기 체결 홈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 홈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돌출부 중 임의의 하나의 횡단면은 나머지 돌출부의 횡단면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의 상부면은 원형이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연결 유닛의 상부면의 둘레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강자성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돌출부의 표면이 강자성체로 코팅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체결 홈의 내면에는 상기 강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돌출부 중 임의의 하나의 돌출부는 강자성체로 형성되거나, 표면이 강자성체로 코팅되며, 상기 강자성체로 형성되거나 표면이 강자성체로 코팅된 돌출부에 대응하는 체결 홈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와의 인력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더미 기판 상에서 스크라이빙 휠을 스크라이빙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빙 휠이 스크라이빙 방향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더미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글래스 패널 상에서도 어려움 없이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스크라이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b는 종래 스크라이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에 구비되는 휠 홀더와 연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에 구비되는 연결 유닛과 스크라이빙 헤드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에 구비되는 연결 유닛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의 구성 요소와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작동 원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에 구비되는 휠 홀더(20)와 연결 유닛(5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에는 스크라이빙 헤드에 베어링(40)을 통해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휠 홀더(20), 휠 홀더(20)의 하단에 수직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글래스 패널에 가압된 상태로 이송하면서 크랙을 형성하는 디스크 형태의 스크라이빙 휠(30)과 베어링(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유닛(5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휠 홀더(20)는 연결 유닛(50)을 통해 스크라이빙 헤드에 설치되어 글래스 패널의 절단 예정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스크라이빙 휠(30)이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크랙을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라이빙 휠(30)이 글래스 패널을 스크라이빙할 때 스크라이빙 휠(30)이 회전하면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글래스 패널에 수직 크랙을 형성하게 된다.
베어링(40)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 유닛(50)은 스크라이빙 헤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 때 스크라이빙 헤드의 하부면과 대향하는 연결 유닛(50)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1)가 배치된다.
또한, 연결 유닛(50)과 스크라이빙 헤드(10)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인 도 2b를 참조하면, 연결 유닛(50)과 대향하는 스크라이빙 헤드(10)의 하부에는 돌출부(51)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60)이 배치된다.
연결 유닛(5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돌출부(51)의 수와 스크라이빙 헤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 홈(60)의 수는 적어도 서로 동일하거나, 체결 홈(60)의 수가 돌출부(51)의 수보다 많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유닛(50)과 스크라이빙 헤드(10)의 적절한 체결력 제공을 위해 돌출부(51)와 체결 홈(60)의 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유닛(5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돌출부(51)의 수와 스크라이빙 헤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 홈(60)의 수가 서로 동일한 경우, 연결 유닛(50)과 스크라이빙 헤드(10)의 결합은 하나의 방향으로만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연결 유닛(5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돌출부(51)의 수가 스크라이빙 헤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 홈(60)의 수보다 적을 경우, 연결 유닛(50)은 스크라이빙 헤드(10)에 여러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 유닛(50)이 스크라이빙 헤드(10)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스크라이빙 휠(30)의 정렬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홈(60)에 돌출부(51)가 삽입될 때, 스크라이빙 휠(30)의 정렬 방향이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60)에 돌출부(51)가 삽입됨으로써 스크라이빙 휠(30)의 정렬 방향이 결정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스크라이빙 휠(30)의 정렬 방향이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휠(30)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스크라이빙 휠(30)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크라이빙 휠(30)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글래스 패널 상에서 곧바로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더미 기판 상에서 스크라이빙 휠을 스크라이빙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때 스크라이빙 휠이 스크라이빙 방향에 정확히 정렬될 수 있도록 선회 기구를 구비하는 종래의 스크라이빙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더미 기판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글래스 패널 상에서도 어려움 없이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돌출부(51)가 체결 홈(60)에 삽입될 때, 돌출부(51)의 외면과 체결 홈(6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x)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1)가 체결 홈(60)에 삽입될 때, 돌출부(51)의 상단과 체결 홈(60)의 저부 사이에는 소정의 갭(y)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1)의 외면과 체결 홈(60)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갭(x)이 형성되도록 돌출부(51)가 체결 홈(60) 내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부(51)는 체결 홈(6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돌출부(51)는 체결 홈(6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됨으로써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따라 휠 홀더(20)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에서 스크라이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1)의 상단과 체결 홈(60)의 저부 사이에 소정의 갭(y)이 형성되도록 돌출부(51)가 체결 홈(60) 내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부(51)는 체결 홈(6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따라 휠 홀더(20)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유동함으로써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51)는 체결 홈(60)에 삽입될 때,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따라 수평 또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갭(x 또는 y)을 형성하도록 삽입됨으로써, 스크라이빙시 스크라이빙 휠(30)에 의해 글래스 패널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3a은 연결 유닛의 상부면에 하나의 돌출부(51)가 배치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돌출부(51)의 횡단면은 제1 변(a)과 제1 변(a)보다 짧은 제2 변(b)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돌출부(51)의 횡단면은 제1 변(a)과 제1 변(a)보다 짧은 제2 변(b)을 가지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c는 서로 다른 횡단면을 가지는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가 동시에 배치된 연결 유닛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는 연결 유닛의 상부면의 둘레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θ)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θ)는 필요에 따라 예각 또는 둔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의 상부면의 둘레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θ)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에 의해 연결 유닛(50)과 스크라이빙 헤드의 결합은 하나의 방향으로만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유닛(50)과 스크라이빙 헤드의 결합 방향에 의해 연결 유닛(50)이 설치된 휠 홀더 내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은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의 배치 패턴에 따라 연결 유닛과 스크라이빙 헤드의 결합 방향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글래스 패널 상에서 곧바로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d는 제1 돌출부(51a)와 두 개의 제2 돌출부(51b)가 동시에 배치된 연결 유닛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의 횡단면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는 연결 유닛의 상부면의 둘레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θ 또는 θ')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제2 돌출부(51b)는 스크라이빙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51a)는 스크라이빙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라이빙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돌출부(51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홈 내에 갭을 두고 삽입됨으로써 휠 홀더는 스크라이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제2 돌출부(51b)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51a)에 의해 연결 유닛과 스크라이빙 헤드의 결합 방향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글래스 패널 상에서 곧바로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의 상부면에 하나의 돌출부(51)만 형성되고, 스크라이빙 헤드에 복수의 체결 홈이 구비될 때, 돌출부(51)가 삽입되는 체결 홈에 따라 스크라이빙 방향에 대한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원하는 방향으로 스크라이빙 휠을 정렬하기 위해 돌출부(51)가 삽입되는 체결 홈을 적절히 선택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의 상부면에 서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51a, 51b)를 배치하거나, 복수의 돌출부(51a, 51b)가 서로 상이한 횡단면을 가지도록 배치하거나, 복수의 돌출부(51a, 51b)가 이격된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다만,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하나의 돌출부(51)가 형성되는 경우라도, 돌출부(51)가 삽입되는 체결 홈을 선택하기 위해 돌출부(51)를 강자성체로 형성하거나 돌출부(51)의 표면을 강자성체로 코팅하고, 돌출부(51)에 대응하는 스크라이빙 헤드의 체결 홈의 내면에 강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51)가 삽입되도록 의도된 체결 홈 내의 전자석을 작동함으로써 복수의 체결 홈 중 특정 체결 홈만이 돌출부(51)와 인력을 형성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돌출부(51)와 인력을 형성하는 체결 홈의 위치에 의해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경우에서도 제1 돌출부(51a) 또는 제2 돌출부(51b)만 강자성체로 형성하거나, 표면을 강자성체로 코팅함으로써 전술한 작동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예비 작업 없이도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과 스크라이빙 방향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거나 결정하므로, 공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더미 기판 상에서 스크라이빙 휠을 스크라이빙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빙 휠이 스크라이빙 방향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더미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글래스 패널 상에서도 어려움 없이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스크라이빙 헤드;
    상기 스크라이빙 헤드에 설치되는 휠 홀더; 및
    상기 휠 홀더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라이빙 휠;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라이빙 헤드와 상기 휠 홀더는 연결 유닛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 유닛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빙 헤드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이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에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크라이빙 휠의 정렬 방향이 상기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방향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 홈에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의 외면과 상기 체결 홈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 홈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돌출부 중 임의의 하나의 횡단면은 나머지 돌출부의 횡단면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의 상부면은 원형이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연결 유닛의 상부면의 둘레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강자성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돌출부의 표면이 강자성체로 코팅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체결 홈의 내면에는 상기 강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돌출부 중 임의의 하나의 돌출부는 강자성체로 형성되거나, 표면이 강자성체로 코팅되며,
    상기 강자성체로 형성되거나 표면이 강자성체로 코팅된 돌출부에 대응하는 체결 홈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와의 인력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KR1020150036258A 2015-03-16 2015-03-16 스크라이빙 장치 KR20160111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258A KR20160111604A (ko) 2015-03-16 2015-03-16 스크라이빙 장치
CN201510665686.0A CN105985011A (zh) 2015-03-16 2015-10-15 划线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258A KR20160111604A (ko) 2015-03-16 2015-03-16 스크라이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04A true KR20160111604A (ko) 2016-09-27

Family

ID=5703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258A KR20160111604A (ko) 2015-03-16 2015-03-16 스크라이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11604A (ko)
CN (1) CN1059850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1570A (zh) * 2018-08-13 2018-1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基板的切割刀具及切割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269B1 (ko) * 2005-12-29 2007-01-2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WO2008004253A1 (en) * 2006-07-03 2008-01-10 Valiani Srl System for the rapid change of head on operating machines
KR100880809B1 (ko) * 2007-10-26 2009-02-17 (주)금성다이아몬드 유리기판 절단용 휠 홀더
JP5353085B2 (ja) * 2008-06-23 2013-11-2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ホルダジョイント、ホルダユニット、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スクライブ装置
KR101327037B1 (ko) * 2010-10-18 2013-11-07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5011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311B1 (ko) 글래스 패널의 스크라이빙 장치 및 스크라이빙 방법
TWI422544B (zh) Keep the connector, retainer unit, scribe head and scribing device
KR10088930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WO2005072926A1 (ja) カッターホイ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分断方法、ならびにカッターホイールの製造方法
JP2018140597A (ja) カッターホルダ取付構造並びにホルダジョイント
CN107932249B (zh) 面板研磨装置及研磨方法
CN102432167B (zh) 具旋转机构的刻划头
TWI650291B (zh) 刻劃方法及刻劃裝置
KR20160111604A (ko) 스크라이빙 장치
US20140326121A1 (en) Apparatus for aligning substrate and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CN203495621U (zh) 一种磁瓦加工夹具
KR20140021824A (ko) 필름 부착된 유리 기판용 레이저 절단 장치
KR20160002340A (ko) 멀티포인트 툴, 멀티포인트 툴의 위치 결정 기구,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CN102950658B (zh) 轮单元
JP2016047787A (ja) スクライビングツール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JP7109041B2 (ja) カッターホルダ取付構造、カッターホルダ並びにホルダジョイント
TWI650293B (zh) 刻劃工具
CN105417943A (zh) 刻划装置、刻划方法、保持具单元及保持具
JP2016121037A (ja) スクライブ装置
JP2016108167A (ja) スクライビングツール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TW202035324A (zh) 刀具保持具安裝單元及刻劃裝置
CN102442765A (zh) 玻璃面板划线方法
JP6493512B2 (ja) 分断方法および分断装置
KR20120108368A (ko) 형강 자동 절단 시스템
JP2016108169A (ja) スクライビングツール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