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269B1 -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269B1
KR100673269B1 KR1020060016956A KR20060016956A KR100673269B1 KR 100673269 B1 KR100673269 B1 KR 100673269B1 KR 1020060016956 A KR1020060016956 A KR 1020060016956A KR 20060016956 A KR20060016956 A KR 20060016956A KR 100673269 B1 KR100673269 B1 KR 100673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lder
magnet
scriber
coupling means
hold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손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TW09514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TWI330620B/zh
Priority to JP2006324376A priority patent/JP2007182068A/ja
Priority to CN2006101606993A priority patent/CN195849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02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 B23D79/10Accessories for holding scraping tools or work to be scr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유리와 같은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버의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 수단; 상기 결합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홀더; 및 상기 결합 수단 또는 휠 홀더에 장착되어, 자력으로 상기 휠 홀더를 상기 결합 수단에 고정시켜 주는 자석으로 구성된다.
스크라이버의 헤드와 휠 홀더 사이의 결합이 자력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휠 홀더를 용이하게 착탈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스크라이버, 헤드, 휠 홀더, 자석

Description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Wheel Holder of Scriber}
도 1은 종래의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의 제 1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의 제 1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의 제 2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제 3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제 3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헤드 62 : 베어링
64 : 결합부 66 : 자석
70 : 휠 홀더 72 : 고정부
80 : 결합부 82 : 자석
84 : 스톱링 90 : 결합부
92 : 본체 93 : 결합공
94 : 보조부 95 : 힌지
97 : 휠 홀더 98 : 베어링
본 발명은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와 같은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등의 기판으로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대형으로 제작된 후에, 용도에 따른 크기로 절단 가공된다.
상기 유리기판과 같은 취성 물질을 절단하기 위한 공정은 유리기판보다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재질의 공구를 이용하여 기판의 표면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Scribe) 공정과, 상기 유리기판에 형성된 절단선을 중심으로 가압하여 절단하는 브레이크(Break)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은 절단 공구인 휠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의 절단 위치에 크랙을 형성하는 공정이고, 상기 브레이크 공정은 유리기판에 스크래치를 형성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바를 상기 크랙에 위치시킨 후에 적당한 힘으로 순간적인 압력을 가하면 상기 크랙이 유리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절단된다.
상기와 같은 스크라이브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를 스크라이버(Scriber)라고 하는데, 상기 스크라이버의 전형적인 구조가 특허공개번호 제 10-2005-0032834호에 기판 절단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 중에서 본원발명과 관련 있는 스크라이버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기판(19)에 접촉되어 상기 유리기판(19)을 절단하는 휠(16)과; 상기 휠(16)을 고정 및 지지하는 휠 홀더(15)와; 상기 휠(16) 및 휠 홀더(15)가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10)의 일측에는 상기 헤드(10)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가이드(17)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17)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10)는 상기 가이드(17)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같이 이동된다.
상기 헤드(10)는 상기 휠 홀더(15)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실린더(18)와, 상기 실린더(18)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로드셀(11)과, 상기 로드셀(11)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18)에서 가해지는 힘을 아래로 전달하는 바(12)와, 상기 헤드 (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휠 홀더(15)의 홀더 샤프트(14)가 그 중심에 결합되는 베어링(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12)는 그 일단이 상기 헤드(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그 타단은 자유롭게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실린더(18)와 상기 베어링(13)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서 실린더(18)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베어링(13)을 통하여 상기 휠 홀더(15)로 전달한다.
이하, 상기 헤드(10)와 베어링(13)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스크라이버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크라이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스크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에 나타낸 스크라이버는 유리기판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크랙을 형성하게 원형으로 형성된 휠(25)과, 상기 휠(2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홀더(24)와, 상기 휠 홀더(24)의 일단부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홀더 축(23)과, 상기 홀더 축의 타단부가 그 중심에 결합되는 베어링(22)과, 상기 베어링(22)이 장착되는 헤드(20)와, 상기 헤드(20)에 상기 베어링(22)의 외주면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 볼트(2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크라이버는 유리기판의 절단 위치에 따라 상기 헤드(20)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휠(25)이 유리기판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면, 휠(25)에 의하여 유리기판의 표면에 크랙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크랙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휠(25)의 방향도 변경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상기 휠(25)의 방향 변경은 상기 베어링(22)과 상기 홀더 축(23)이 서로 베어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22)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휠 홀더(24)는 상기 베어링(22)을 통하여 상기 헤드(20)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휠(25)이 마모되어 교환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볼트(21)를 풀어서 상기 헤드(20)로부터 상기 베어링(22)을 분리한 후에, 다른 휠 홀더가 장착된 새로운 베어링을 장착해야 한다.
따라서, 휠 홀더(24)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볼트(21)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교환 작업 도중에 상기 고정볼트(21)가 분실될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 휠(25)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휠 홀더(24)는 물론,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높은 상기 베어링(22)까지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유리기판의 절단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휠(25)을 교환할 때마다 상기 휠 홀더(24) 축의 중심과 상기 베어링(22)의 중심, 그리고 상기 헤드(20)의 중심을 정확하게 정렬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2005년 11월 29일에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114791호 취성기판용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114791호를 통해 출원된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기판의 절단 위치에 크랙을 형성하 는 휠(52; Wheel)을 포함하는 휠 홀더(50; Wheel Holder)와, 상기 휠 홀더(50)가 장착되어, 유리기판의 절단 위치에 대하여 상기 휠(52)을 이동시켜 주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헤드(30; Head), 그리고 상기 헤드(30)에 상기 휠 홀더(50)를 장착시켜 주는 연결 수단인 척(40; Chuck)으로 구성된다.
상기 척(50)은 상기 헤드(30)에 상기 휠 홀더(50)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해 주는 것으로, 콜렛 척(Collet Chuck)으로 구성되며, 그 구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32)의 중심에 고정되는 척 고정부(43)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의 중심에 중공부(45)가 형성되면서, 상기 중공부(45)의 외주면에 척 볼트(44)가 형성된 샤프트(42)와; 상기 샤프트(42)의 타단부에 형성된 중공부(45)에 일단부가 내합되고, 상기 휠 홀더(50)의 홀더 축(54)이 장착되게 다수의 조임편(46a)으로 이루어진 콜렛(46; Collet); 그리고 상기 콜렛(46)을 상기 샤프트(42)의 중공부(45)에 내합 고정시켜 주는 클램핑 너트(48; Clamping Nut)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114791호의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는 휠 홀더장치를 헤드에 결합시키기 위해 콜렛 척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헤드를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유리기판에 대하여 적당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콜렛 척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콜렛 척의 추가 설치에 따른 하중 및 거리의 증가로 인하여 헤드의 제어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를 자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착탈 교환할 수 있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 장착되는 휠 홀더가 헤드의 이동 중심에 자동으로 위치되게 하여 교환에 따른 중심의 수정이 필요 없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에 휠 홀더를 장착시켜 주는 결합수단을 간단하면서 짧은 길이 및 경량의 구조로 하여 헤드의 이동 제어를 정밀하게 할 수 있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버의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 수단; 상기 결합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홀더; 및 상기 결합 수단 또는 휠 홀더에 장착되어, 자력으로 상기 휠 홀더를 상기 결합 수단에 고정시켜 주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 수단을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은 상기 결합 수단에 장착되고, 상기 휠 홀더는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은 상기 휠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체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일측의 내측에 내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중공부의 내측단 또는 상기 내측단의 내부에 상기 자석이 수용되는 자석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 홀더는 상기 결합 수단의 상기 중공부에 결합되는 형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중공부의 내측단에 연장되어 상기 자석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석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석 수용부와 중공부의 연결 부위에 스톱링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톱링 용부에 체결되는 스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중공부의 내측단의 내부에 상기 자석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석 수용부에 상기 자석을 수용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체결링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링 수용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휠 홀더; 스크라이버의 헤드에 장착되어, 상기 휠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과 자기 결합하여 그 사이에 수용된 상기 휠 홀더를 고정시켜 주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를 아울러 제공한다.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자석 사이에는 상기 휠 홀더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경은 상기 휠 홀더의 일단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은 자기력 발생 및 해제가 가능한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의 제 1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의 제 1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의 제 2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제 3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 휠 홀더장치의 제 3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을 위해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이동하는 헤드와,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휠이 장착된 휠 홀더를 상기 헤드에 결합시켜 주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 수단을 3종류의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을 위해 이동이 가능한 헤드(60)와, 상기 헤드(60)에 장착된 베어링(62), 상기 베어링(62)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6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결합부(64), 그리고 상기 결합부(64)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홀더(7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64)와 상기 휠 홀더(70)가 서로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64)에 자석(66)을 내장시키고, 상기 휠 홀더(70)의 고정부(72)를 상자성체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72)가 상기 결합부(64)의 자석(66)에 결합되는 구조로 하였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부(64)의 일단부의 내측에 하향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중공부(65a)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65a)의 위에 상기 자석(66)이 내장되는 자석 수용부(65b)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자석 수용부(65b)에 상기 자석(66)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64)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 1결합부(64a)와 제 2결합부(64b)로 2분할한 후에, 상기 중공부(65a)와 상기 자석 수용부(65b)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결합부(64a)와 상기 제 2결합부(64b)를 일체화하기 위해, 상기 제 1결합부(64a) 및 제 2결합부(64b)의 외주면의 양단부에 제 1체결링 수용부(65c) 및 제 2체결링 수용부(65d)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체결링 수용부(65c) 및 상기 제 2체결링 수용부(65d)에 각각 탄성체로 이루어진 원형의 제 1체결링(68a)과 제 2체결링(68b)을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체결링(68a)과 상기 제 2체결링(68b) 중 적어도 상기 베어링(62)에 내합되는 제 1체결링(68a)은 그 외주면이 상기 제 1결합부(64a) 및 상기 제 2결합부(64b)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면 안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결합부(64a) 및 상기 제 2결합부(64b)의 양단에 상기 제 1체결링(68a)과 상기 제 2체결링(68b)을 체결하는 방식 외에 상기 제 1결합부(64a) 및 상기 제 2결합부(64b)의 중간에 한 개의 체결링만을 체결시켜 서로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64)에 수용된 자석(66)에 부착되는 상기 휠 홀더(70)는 그 일단에 휠(74)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휠(74)의 반대편에는 상기 결합부(74)에 형성된 상기 중공부(65a)에 내합되어 상기 자석(66)에 결합되는 상자성체로 이루어진 고정부(7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72)는 상기 중공부(65a)에 내합되는 구조를 이뤄야 하므로 상단에서 하단 즉, 휠(74) 쪽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구조의 원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72)는 상기 자석(66)에 부착되는 상자성체로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자석(66)에 접하는 부분의 극성이 상기 자석(66)의 극성과 반대로 이루어지게 하여 인력 관계가 형성되도록 극성이 배치된 별도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그 일부를 자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상기 결합부(64)에 자석(66)을 내장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결합부(64)를 상자성체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72)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강자성체 즉, 자석으로 형성하여 서로가 자력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72)를 강자성체로 하면 상기 결합부(64)를 2분할하여 상기 자석 수용부(65b)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2.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헤드(60)에 장착되는 결합부(80)의 구조를 다르게 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80)의 일단은 상기 베어링(62)에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80)의 타단 내측에 하향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원뿔형의 중공부(8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80a)의 상단에는 상기 중공부(80a)의 상단 지름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의 자석 수용부(8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 수용부(80c)와 상기 중공부(80a)의 경계 부분에는 상기 자석 수용부(80c)에 수용되는 자석(8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되는 탄성체의 환형으로 형성된 스톱링(84)이 수용되는 스톱링 수용부(8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80)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석 수용부(80c)에 상기 자석(82)을 삽입한 후에, 상기 스톱링 수용부(80b)에 상기 스톱링(84)을 삽입하여 상기 자석(82)이 상기 자석 수용부(80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80a)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구조로 이루어진 휠 홀더(70)의 고정부(72)를 삽입하여 자석(82)에 의한 자력으로 서로 결합되게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휠 홀더(70)가 상기 결합부(64, 8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64, 80) 또는 고정부(72)에 장착되는 자석들의 자기력이 상기 휠 홀더(70)의 하중보다 강해야 한다.
단, 작업자가 상기 휠 홀더(64, 80)를 잡아서 당기면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부(64, 80)에 형성된 중공부(65a, 80a)와 휠 홀더(70)의 축 역할을 하는 고정부(72)의 구조가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결합부(64, 80)의 회전 중심이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추후 결합되는 휠 홀더(70)의 중심도 자동으로 일치되기 때문에 중심 설정에 따른 추가 작업이 필요 없다.
3. 제 3실시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에 의한 자 력과 기계적 결합을 겸용하여 스크라이버의 헤드에 휠(97b)이 장착된 휠 홀더(97)를 결합시켜 주는 결합부(9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90)는 상기 헤드에 결합되면서 자성체로 이루어진 본체(92)와, 전자석(도시 생략)이 내장되어 상기 본체(92)에 맞결합되면서 그 일측이 상기 본체(92)의 일측에 힌지(95)로 결합되는 보조부(94), 그리고 상기 보조부(94)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부(94)에 내장된 상기 전자석의 온/오프시켜 주는 스위치(9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92)와 상기 보조부(94) 사이의 중간에는 상기 휠 홀더(97)의 홀더축(97a)이 결합된 베어링(98)이 수용되는 결합공(93)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스위치(96)를 통하여 공급되는 별도의 외부 전원에 의하여 동작한다.
상기 결합부(90)를 구성하는 상기 본체(92)와 상기 보조부(94)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93)의 내경이 상기 베어링(98)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통상적인 기계 가공에 따른 가공 공차 범위 내에서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98)을 상기 본체(92)의 결합공(93)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조부(94)의 전자석을 구동시키면 상기 보조부(94)가 상기 본체(92)에 자기력으로 결합되면서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98)이 상기 결합공(93)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휠 홀더(97)를 새로 장착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 상기 스위치(96)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의 자기장을 제거하면, 자기력에 의해 상기 본체(92)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보조부(94)가 상기 본체(92)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본체(92)와 상기 보조부(94)는 각 일측이 상기 힌지(95)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 분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베어링(98)이 분리될 정도의 거리만 분리된다.
그리고, 새로운 휠 홀더(97)의 베어링(98)을 상기 결합공(93)에 삽입한 후에 상기 스위치(96)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석을 가동시키면 상기 보조부(94)와 상기 본체(92)가 서로 자기 결합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기 베어링(98)이 기계적 접촉에 의한 강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90)는 상기 보조부(94)의 전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으로 베어링(98)이 고정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힘으로 상기 휠 홀더(97)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면 자기력의 세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휠 홀더(97)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일정한 힘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공(93)에 결합되는 상기 베어링(98)의 규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상기 휠 홀더(97)의 휠(97b)의 위치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스크라이버의 헤드와 휠 홀더 사이의 결합이 자력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휠 홀더를 용이하게 착탈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헤드와 휠 홀더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되게 함으로써 휠 홀더의 교환에 따른 중심 수정 과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헤드와 휠 홀더를 간단하면서 짧은 길이 및 경량의 구조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헤드를 정밀하게 이동 제어할 수 있어서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을 정확하게 해 준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경우에는 휠의 마모에 따라 교환되는 구성 요소 중 베어링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4)

  1.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휠 홀더;
    스크라이버의 헤드에 장착되어, 상기 휠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 또는 휠 홀더에 장착되어, 자력으로 상기 휠 홀더를 상기 결합 수단에 고정시켜 주는 자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을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결합 수단에 장착되고, 상기 휠 홀더는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휠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자석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일측의 내측에 내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중공부의 내측단 또는 상기 내측단의 내부에 상기 자석이 수용되는 자석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휠 홀더는 상기 결합 수단의 상기 중공부에 결합되는 형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중공부의 내측단에 연장되어 상기 자석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석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석 수용부와 중공부의 연결 부위에 스톱링 수용부가 형성되 며, 상기 스톱링 용부에 체결되는 스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중공부의 내측단의 내부에 상기 자석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석 수용부에 상기 자석을 수용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의 체결링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링 수용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12. 취성 기판을 절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휠 홀더;
    스크라이버의 헤드에 장착되어, 상기 휠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과 자기 결합하여 그 사이에 수용된 상기 휠 홀더를 고정시켜 주는 자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자석 사이에는 상기 휠 홀더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경은 상기 휠 홀더의 일단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자기력 발생 및 해제가 가능한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KR1020060016956A 2005-12-29 2006-02-21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KR10067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44542A TWI330620B (en) 2005-12-29 2006-11-30 Wheel holder assembly of scriber
JP2006324376A JP2007182068A (ja) 2005-12-29 2006-11-30 スクライバーのホイールホルダー装置
CN2006101606993A CN1958492B (zh) 2005-12-29 2006-12-06 划线器的轮保持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3680 2005-12-29
KR1020050133680 2005-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269B1 true KR100673269B1 (ko) 2007-01-24

Family

ID=3801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956A KR100673269B1 (ko) 2005-12-29 2006-02-21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73269B1 (ko)
CN (1) CN1958492B (ko)
TW (1) TWI330620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39B1 (ko) 2008-06-23 2011-10-25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홀더 조인트와 홀더 유닛
KR101140207B1 (ko) * 2008-06-23 2012-05-02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홀더 유닛,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101190075B1 (ko) 2009-05-01 2012-10-11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라이브 헤드 및 당해 스크라이브 헤드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장치
CN103692556A (zh) * 2013-12-12 2014-04-0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伸缩卸料装置及包含该卸料装置的砂浆站
KR101419342B1 (ko) 2014-03-03 2014-07-14 신한다이아몬드공업(주) 스크라이버 홀더
KR101418804B1 (ko) 2014-04-28 2014-07-15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스크라이버 홀더
KR101528905B1 (ko) * 2013-11-08 2015-06-12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선회기구 부착 스크라이브 헤드
KR102196214B1 (ko) * 2019-08-12 2020-12-31 엠.제이.테크(주) 휠홀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3601B2 (ja) * 2007-06-06 2013-09-1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マルチヘッド搭載スクライブ装置及びチップホルダの自動交換システム
CN104149211B (zh) * 2007-06-06 2016-12-07 三星钻石工业株式会社 手动气割切削器用刀片保持器以及具有该刀片保持器的手动气割切削器
KR20110003024A (ko) *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디스펜서의 피스톤 착탈장치
KR20120052007A (ko) * 2010-11-15 2012-05-23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스크라이버 홀더
JP6424652B2 (ja) * 2015-02-02 2018-11-21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ホルダ、ホルダユニット及びスクライブ装置
KR20160111604A (ko) * 2015-03-16 2016-09-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KR20180085111A (ko) * 2017-01-17 2018-07-2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KR20180085110A (ko) * 2017-01-17 2018-07-2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449A (ja) 1983-11-25 1985-06-20 Toshiba Corp 工作機械の芯出しア−バ−
JPH0639792A (ja) * 1992-07-23 1994-02-15 Roland D G Kk カッターホルダー
JPH08225333A (ja) * 1995-02-21 1996-09-03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切断方法及び装置
KR20030036085A (ko) * 2001-11-02 2003-05-09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스크라이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449A (ja) 1983-11-25 1985-06-20 Toshiba Corp 工作機械の芯出しア−バ−
JPH0639792A (ja) * 1992-07-23 1994-02-15 Roland D G Kk カッターホルダー
JPH08225333A (ja) * 1995-02-21 1996-09-03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切断方法及び装置
KR20030036085A (ko) * 2001-11-02 2003-05-09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스크라이브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39B1 (ko) 2008-06-23 2011-10-25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홀더 조인트와 홀더 유닛
KR101140207B1 (ko) * 2008-06-23 2012-05-02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홀더 유닛,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101140209B1 (ko) * 2008-06-23 2012-05-02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홀더 조인트,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101190075B1 (ko) 2009-05-01 2012-10-11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라이브 헤드 및 당해 스크라이브 헤드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장치
KR101528905B1 (ko) * 2013-11-08 2015-06-12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선회기구 부착 스크라이브 헤드
CN103692556A (zh) * 2013-12-12 2014-04-0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伸缩卸料装置及包含该卸料装置的砂浆站
KR101419342B1 (ko) 2014-03-03 2014-07-14 신한다이아몬드공업(주) 스크라이버 홀더
KR101418804B1 (ko) 2014-04-28 2014-07-15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스크라이버 홀더
KR102196214B1 (ko) * 2019-08-12 2020-12-31 엠.제이.테크(주) 휠홀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8492A (zh) 2007-05-09
TW200730449A (en) 2007-08-16
CN1958492B (zh) 2012-03-14
TWI330620B (en) 201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269B1 (ko)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KR100745588B1 (ko) 취성기판용 스크라이버의 휠 홀더장치
KR101153176B1 (ko) 커터 장치 및 커터 홀더
KR101116219B1 (ko) 부분 교환이 가능한 가공물 결합용 지그의 클램핑장치
IL132261A (en)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KR100880809B1 (ko) 유리기판 절단용 휠 홀더
JP2007182068A (ja) スクライバーのホイールホルダー装置
CN210901715U (zh) 一种手镯机的手镯定位装置
KR20120052007A (ko) 스크라이버 홀더
WO2007084519A3 (en) Quick-change bearing assembly that obviates the need to recenter replacement spindles
EP1080828A3 (en) Pallet-swing apparatus and machine tool having the pallet-swing apparatus
PL1748854T3 (pl) Obrabiarka z napędem podnoszenia do działania narzędzia obróbkowego na detal
SE0101884L (sv) Slipjigg
KR20200115181A (ko) 커터 홀더 부착 유닛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101975841B1 (ko) 공작기계의 클램핑 장치
JP2001009612A (ja) ホールソー着脱装置
CN215824810U (zh) 一种四轴数控滚齿机中心架
CZ294494B6 (cs) Tvarová řemenicová sestava pro vrubovací pásovou brusku
CN219837687U (zh) 一种耐磨损夹具
CN217992087U (zh) 一种快拆式刀具抛光装置
JPH06226574A (ja) 棒状部材のクランプ装置
JP2007007811A (ja) センタ
CN116810424B (zh) 一种摆杆轴承内圈车加工夹具及方法
CN212287157U (zh) 一种全自动划片机用换刀工具
CN211305542U (zh) 一种锯切机的管状件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