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418A - 수직 승강 이동형 작업 플랫폼 - Google Patents

수직 승강 이동형 작업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418A
KR20160105418A KR1020167018358A KR20167018358A KR20160105418A KR 20160105418 A KR20160105418 A KR 20160105418A KR 1020167018358 A KR1020167018358 A KR 1020167018358A KR 20167018358 A KR20167018358 A KR 20167018358A KR 20160105418 A KR20160105418 A KR 20160105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most
section
tower section
carriage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헤쓸러
믹키 브리지스
조나단 밸리어
에릭 닐센
데이빗 디스로치스
Original Assignee
헤쓸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쓸러 인크. filed Critical 헤쓸러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10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Wind Motor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이동형 승강 장치는, 제1 최하부 측벽 및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을 갖는 최하부 타워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최하부 타워 섹션에 결합되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최상부 타워 섹션, 및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병진 이동가능한 작업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은, 제1 표면 부분에 서있는 적어도 한 명의 사람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제1 표면 부분을 갖는 작업면을 구비할 수 있다. 승강 조립체는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최상부 캐리지와 제1 표면 부분이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하강 위치로 병진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승강 이동형 작업 플랫폼{VERTICALLY ELEVATING MOBILE WORK PLATFORM}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교시는, 일반적으로 서 있는 위치에 있는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작업 플랫폼을 승강하기 위한 이동형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WO97/15522(White 등)는, 휴대용 개별이동 리프트(personnel lift)와 함께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이동형 케이지 조립체를 개시한다. 개별이동 리프트는, 케이지 조립체가 마스트의 최상부 아래에 있는 하측 회수(retract) 위치와 마스트에 의한 작업 엔벌로프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이동형 케이지 조립체가 마스트의 최상부 위로 상승하는 상승 위치 간에 이동하는 다단 텔레스코핑 마스트(multi-sectional telescoping mast)를 구비한다. 케이지 지지 빔(beam)은 중심 마스트 섹션에 의해 반송되고, 케이지 조립체는 마스트가 회수되는 경우 지면 레벨 엔트리를 제공하는 하측 위치와 케이지가 마스트의 최상부 위에 있는 상승 위치 간에 케이지 지지 빔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클램쉘(clamshell)형 케이지 조립체도 제공하며, 이때, 상측 안전 레일은 케이지 내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상승 위치 간에 피봇팅(pivoting) 하고, 이때, 사용자는 케이지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몸을 굽히거나 손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사용자는, 일단 케이지에 진입하였다면, 안전 레일을 아래쪽으로 당긴다.
US 4,638,887(Kishi)은, 이동형 섀시 등의 베이스, 플랫폼, 베이스와 플랫폼을 함께 연결하는 텔레스코픽 붐(telescopic boom) 조립체 등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개시하며, 텔레스코픽 붐 조립체는,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텔레스코픽 결합된 붐, 텔레스코픽 붐 조립체를 연장 및 수축하도록 텔레스코픽 붐 조립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압 실린더, 베이스에 대하여 텔레스코픽 붐 조립체를 기울어지게 하도록 텔레스코픽 붐 조립체와 베이스 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병렬 유압 실린더들의 한 쌍, 플랫폼을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텔레스코픽 붐 조립체와 플랫폼 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병렬 유압 실린더들의 한 쌍, 및 플랫폼이 베이스에 대하여 평행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베이스를 향하여 및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플랫폼 이동과 동기하여 제1 유압 실린더, 제2 유압 실린더, 및 제3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EP 244,060(Ream 등)은, 작업 플랫폼을 갖는 마스트가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단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텔레스코픽식으로 안착된 복수의 마스트 섹션을 포함하는 받침 스캐폴드(pedestal scaffold)를 개시한다. 마스트 섹션들의 상대적 텔레스코픽 변위에 의해 마스트를 상측으로 연장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스캐폴드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마스트 섹션들이 코너가 둥근 시트 금속의 얇은 벽 튜브들이고, 각각은, 측벽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리브(rib), 내측으로 인접하는 마스트 섹션의 외측 코너면의 형상을 보완하고 이러한 외측 코너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 각 내면을 갖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코너 슬라이드 블록들의 세트, 및 내측 코너면의 형상을 보완하고 이러한 내측 코너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 각 외면을 갖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코너 슬라이드 블록들의 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요는, 독자를 다음에 따르는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 안내하고자 하는 것이지, 임의의 청구 발명 또는 아직 청구되지 않은 발명을 한정하거나 정의하려는 것이 아니다. 하나 이상의 발명이, 청구범위와 도면을 포함하는 본원의 임의의 부분에서 개시되는 요소들 또는 공정 단계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부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교시의 넓은 일 양태를 참조해 볼 때,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이동형 승강 장치는 최하부 타워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최하부 타워 섹션은, 제1 최하부 측벽, 및 측방향으로 제1 최하부 측벽으로부터 수평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최하부 측벽은, 제1 측방향 내면 및 대략 수평이면서 측방향에 직교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제1 벽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최하부 측벽은, 최하부 내측 폭만큼 제1 내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제2 측방향 내면 및 길이방향으로의 제2 벽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타워 섹션에 결합될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제1 최하부 측벽과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 끼워지는 크기의 최상부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은, 최상부 캐리지에 결합될 수 있고,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작업 플랫폼은, 제1 표면 부분을 가질 수 있는 대략 수평 작업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 부분은, 최상부 캐리지의 위에 있을 수 있고, 제1 표면 부분 상에 서있는 적어도 한 명의 사람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표면 부분은, 제1 벽 길이보다 작은 길이방향으로의 제1 표면 부분 길이, 및 최하부 내측 폭보다 작은 측방향으로의 제1 표면 부분 폭을 가질 수 있다. 승강 조립체는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최상부 캐리지와 제1 표면 부분이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하강 위치(lowered position)로 병진 이동할 수 있다. 작업면은, 제1 표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표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표면 부분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의 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최상부 캐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최상부 측벽, 및 제1 최상부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상부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 부분은 제1 및 제2 최상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 내부의 경계를 지을 수 있으며, 최상부 타워 섹션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최상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타워 섹션 내부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표면 부분 길이는 적어도 약 45cm일 수 있고, 제1 표면 부분 폭은 적어도 약 45cm일 수 있다.
승강 장치는 측방향으로 전체 장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최하부 측벽은 제1 측방향 외면을 가질 수 있고, 제2 최하부 측벽은, 전체 장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타워 외측 폭만큼 제1 측방향 외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제2 측방향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승강 장치는 표준 출입구를 통과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전체 장치 폭은, 표준 출입구의 폭 이하일 수 있고, 약 81cm 이하일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 장치는, 표준 출입구의 높이 미만인 수직 방향으로의 전체 장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약 205cm 이하일 수 있다.
승강 장치는, 휠 조립체 이격 거리만큼 제1 휠 조립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 휠 조립체 및 제2 휠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벽 길이는 휠 조립체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최하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전방면, 및 최하부 전방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최하부 후방면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최하부 전방면과 최하부 후방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면의 하측 부분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전방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최하부 전방면의 상측 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작업 플랫폼은, 최하부 전방 벽의 위로 돌출될 수 있고, 최하부 전방면의 개방된 상측 부분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작업 플랫폼의 작업면이 타워 섹션 내에 부분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의 상측 에지보다 낮은 높이로 하강될 수 있도록 승강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작업 플랫폼의 승차(step-in) 높이 또는 출입 높이를 원하는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약 70cm와 약 100cm 사이에서, 선택적으로는 약 88cm와 약 94cm 사이에서 유지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작업 플랫폼의 출입 높이는 약 90cm이다.
선택 사항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전방 커버에 전방면의 개방된 상측 부분이 대략 없는 제1 적재(stowed) 위치 및 타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경우 최하부 전방 커버가 최하부 전방면의 개방된 상측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략 커버하는 제1 배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최하부 전방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최하부 전방 커버는,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최상부 타워 섹션을 상승시킴으로써 최하부 전방 커버가 제1 배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최상부 타워 섹션에 결합될 수 있다.
최하부 전방 커버는 제1 전방 커버 패널과 제2 전방 커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방 커버 패널은, 그 패널들이 최하부 전방 벽과 수평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대략 중첩하고 제1 적재 위치에 대응하는 각 전방 패널 하강 위치와 제1 및 제2 전방 커버 패널이 수직으로 변위되고 제1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각 전방 패널 상승 위치 사이에서 제1 제2 최하부 측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각 측벽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최하부 전방 벽은 측벽 두께들의 적어도 약 두 배인 전방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최하부 후방면의 하측 부분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후방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최하부 후방면의 상측 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작업 플랫폼은, 최하부 후방 벽의 위로 돌출될 수 있고, 최하부 후방면의 개방 부분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최하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후방 커버에 최하부 후방면의 개방 부분이 대략 없는 제2 적재 위치 및 최하부 후방 커버가 최하부 후방면의 개방 부분을 대략 커버하는 제2 배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최하부 후방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최하부 후방 커버는,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최상부 타워 섹션을 상승시킴으로써 최하부 후방 커버가 제2 배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최상부 타워 섹션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최하부 후방 커버는 제1 후방 커버 패널과 제2 후방 커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후방 커버 패널은, 후방 패널이 최하부 후방 벽과 수평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대략 중첩하며 제2 적재 위치에 대응하는 각 후방 패널 하강 위치와 제1 및 제2 후방 커버 패널이 수직으로 변위되며 제2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각 후방 패널 상승 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타워 섹션은 최하부 타워 섹션과 최상부 타워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각 중간 타워 섹션은, 각 중간 섹션 제1 측벽, 및 각 중간 섹션 제1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각 중간 섹션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타워 섹션 중 최상위 중간 타워 섹션에 결합될 수 있고, 최상위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각 중간 타워 섹션은, 각 중간 섹션 전방면, 각 중간 섹션 전방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각 중간 섹션 후방면, 및 각 중간 섹션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중간 섹션 제1 및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중간 섹션 전방면의 하측 부분은 각 중간 섹션 제1 및 제2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중간 섹션 최하부 벽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중간 섹션 전방면의 상측 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각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은 최하부 전방면의 개방 부분과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작업 플랫폼은, 각 중간 섹션 전방 벽의 위로 돌출될 수 있고, 각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중간 타워 섹션은, 각 중간 섹션 전방 커버가 각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으로 이격된 적재 위치 및 각 중간 섹션 전방 커버가 각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을 대략 커버하는 배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고 각 중간 타워 섹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각 중간 섹션 전방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최상부 타워 섹션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각 상측 에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표면 부분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상측 에지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교시의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 장치는, 제1 최하부 측벽 및 제1 최하부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을 갖는 최하부 타워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의해 지지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및 제2 최하부 벽 사이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을 갖는 제1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리지는, 최하부 트랙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최하부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제1 캐리지는, 제1 및 제2 측면이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측방향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제1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최하부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작업 플랫폼은, 최상부 타워 섹션에 고정될 수 있고, 최상부 타워 섹션과 함께 병진 이동 가능하다. 작업 플랫폼은 대략 수평 작업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조립체는,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과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제1 캐리지는, 제1 캐리지의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리지는, 제1 및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제1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최하부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최하부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1 측벽, 최하부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2 측벽, 및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지지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섹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최상부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캐리지는, 제1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제1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캐리지는, 최상부 캐리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1 단부,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길이방향과 측방향으로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한 최상부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최하부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1 측벽, 최하부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2 측벽, 및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지지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섹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제2 캐리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캐리지는, 제1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제1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리지는, 제2 캐리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1 단부,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길이방향과 측방향으로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한 제2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2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1 측벽, 제1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2 측벽, 및 제2 섹션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지지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제2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최상부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캐리지는, 제2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제2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캐리지는, 최상부 캐리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1 단부,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길이방향과 측방향으로 제2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한 최상부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제2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최하부 트랙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최하부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캐리지는 각 최하부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캐리지 롤러들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된다.
제1 섹션 트랙은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들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캐리지는 각 제1 섹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리지 롤러들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될 수 있다.
제2 섹션 트랙은 제2 섹션 제1 및 제2 측벽들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섹션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최상부 캐리지는 각 제2 섹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부 캐리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될 수 있다.
최하부 유도 부재, 제1 섹션 유도 부재, 및 섹션 유도 부재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리지, 제2 캐리지, 및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은 랙들 중 해당하는 각 랙들과 체결하는 피니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조립체는, 제1 캐리지 롤러들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제1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리지 롤러들을 제1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제1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제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는, 제1 캐리지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제1 캐리지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제2 캐리지 롤러들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제2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리지 롤러들을 제1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제2 중간 타워 섹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모터는, 제2 캐리지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캐리지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제2 모터는 제1 모터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제3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을 제1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제2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최상부 타워 섹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3 모터는, 최상부 캐리지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제3 모터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제1 캐리지 롤러들, 제2 캐리지 롤러들, 및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중간 타워 섹션, 제2 중간 타워 섹션, 및 최상부 타워 섹션이 일체형으로 상승 가능하다.
제1 중간, 제2 중간, 및 최상부 캐리지들의 각각은 각 캐리지 롤러들을 링크하는 각 기어 트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간, 제2 중간, 및 최상부 캐리지 기어 트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기 제동형(self-braking)일 수 있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저항할 수 있다.
승강 장치는,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에 통신 가능하게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는, 제1 모터를 제어하도록 제1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제1 캐리지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1 제어기, 제2 모터를 제어하도록 제2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제2 캐리지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2 제어기, 및 제3 모터를 제어하도록 최상부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이동 가능한 제3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는 전기 모터일 수 있고,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아닐 수 있다.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 각각은, 최하부 트랙과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향에 저항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팀(bracing)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최하부 측벽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전방 에지, 및 제1 벽 전방 에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후방 에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최하부 측벽 상의 적어도 하나의 버팀 부재는, 제1 벽 전방 에지에 인접하는 제1 전방 직립부 및 제1 벽 후방 에지에 인접하는 제1 후방 직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최하부 유도 부재들은, 제1 전방 직립부에 부착된 제1 전방 랙 및 제1 후방 직립부에 부착된 제1 후방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면은 제1 표면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제1 표면 부분은, 최상부 캐리지 위에 놓이며 적어도 한 명의 서있는 사람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최상부 타워 섹션은, 최상부 캐리지와 제1 표면 부분이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하강 위치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교시의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이동형 승강 장치는, 제1 최하부 측벽 및 제1 최하부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을 갖는 최하부 타워 섹션을 구비하는 타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에 의해 지지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 사이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을 갖는 제1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캐리지는, 최하부 트랙에 의해 지지되며, 최하부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며, 제1 및 제2 측면이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측방향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제1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최하부 트랙에 의해 한정된다. 최상부 타워 섹션은,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고, 작업 플랫폼은 최상부 타워 섹션에 결합되고 최상부 타워 섹션과 함께 병진 이동 가능하다. 작업 플랫폼은 대략 수평 작업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조립체는,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과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장치는, 또한, 표면과 롤링 체결하기 위한 제1 휠 조립체 및 그 표면과 롤링 체결하기 위한 제2 휠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휠 조립체는 제1 휠 조립체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최하부 타워 섹션의 하측 부분은,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의 각각은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고, 최하부 타워 조립체의 최하부면을 포함하는 수평면은 각 휠 축의 아래인 높이에 있다.
제1 휠 조립체는 적어도 두 개의 조향 가능 휠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조향 가능 휠은, 각 수직 조향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 할 수 있고 각 수평 휠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최하부 트랙의 하측 부분과 교차하는 수평면은 각 수평 휠 축의 아래인 높이에 있다.
제1 휠 조립체는 최하부 타워 섹션의 전방면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휠 조립체는, 전방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반대측인 최하부 타워 섹션의 후방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휠 조립체는, 적어도 두 개의 조향 가능 휠 및 조향 가능 휠을 조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조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휠 조립체는, 조향 가능 휠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기 추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제1 캐리지가 표면 위로 60cm 미만에 있는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하강 위치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작업면이 표면 위로 약 100cm 미만에 있는 하강 위치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은 표면에 대하여 타워 조립체를 승강하도록 조절 가능하다. 제1 중간 타워 섹션과 최상부 타워 섹션이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승되는 경우,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은, 최하부 타워 섹션의 최하부면이 표면 위로 약 2cm 미만에 있도록 타워 조립체를 하강시킬 수 있다.
최하부 트랙은 복수의 랙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랙은 최하부 섹션의 수직 범위(vertical extent)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각 랙은, 조향 가능 휠들의 회전축 아래인 높이에 배치된 하측 랙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교시는, 타워 조립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또는 다른 페이로드 캐리어)을 승강하도록 연장 및 회수될 수 있는 타워 조립체를 개시한다. 타워 조립체는 최하부 타워 섹션과 최상부 타워 섹션을 포함한다. 최하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트랙을 포함할 수 있고, 최상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트랙에 의해 지지되며 최하부 트랙을 따라 병진 이동가능한 최상부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타워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타워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중간 타워 섹션은, (i) 다음으로 낮은 타워 섹션의 트랙과 병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각 중간 캐리지, 및 (ii) 다음으로 높은 타워 섹션의 캐리지를 병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각 중간 캐리지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장착되는 각 중간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타워 섹션이 한 개인 일례에서, 중간 타워 섹션은 최하부 섹션의 최하부 트랙과 체결되는 중간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섹션은, 캐리지와 함께 병진 이동하도록 중간 캐리지에 장착되는 중간 트랙을 구비할 수 있고, 최상부 타워 섹션의 최상부 캐리지는, 중간 트랙과 체결되며 중간 트랙을 따라 병진 이동가능한 롤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중간 타워 섹션이 두 개인 일례에서,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최하부 섹션의 최하부 트랙과 체결되는 제1 중간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간 섹션은, 제1 중간 캐리지와 함께 병진 이동하도록 제1 중간 캐리지에 장착되는 제1 중간 트랙을 가질 수 있다. 제2 중간 섹션은, 제1 중간 섹션의 제1 중간 트랙과 체결되는 제2 중간 캐리지를 가질 수 있다. 제2 중간 섹션은, 제2 중간 캐리지와 함께 병진 이동하도록 제1 중간 캐리지에 장착되는 제2 중간 트랙을 가질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의 최상부 캐리지는, 제2 중간 트랙과 체결되고 제2 중간 트랙을 따라 병진 이동가능한 롤러들을 가질 수 있다.
각 트랙은 이형(toothed) 랙들의 각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랙에 의해 지지되는 각 캐리지는, 각 랙과 각각 체결된 이형 피니언의 형태로 된 롤러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이와 랙 이가 체결하려면, 랙을 따른 피니언의 수직 병진 이동(소량의 병진 이동이더라도)이 피니언의 회전의 특정량과 연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대응하는 이들의 체결은, 피니언의 회전 없이 랙을 따른 캐리지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캐리지의 롤러들은, 예를 들어, 임의의 하나의 특정한 캐리지의 모든 피니언들이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하나 이상의 샤프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하나의 특정한 캐리지의 어떠한 피니언도, 나머지 피니언들 모두가 동일한 양으로 회전하지 않으면 회전할 수 없다. 이는, 기울어지려면 캐리지의 한 면이 통상적으로 캐리지의 다른 면보다 더 또는 덜 병진 이동할 필요가 있으므로, 트랙에 대한 캐리지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캐리지의 길이방향과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피니언들(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의 캐리지의 코너마다 하나씩 있으며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한정된 네 개의 피니언)이 존재함으로써, 캐리지의 모든 부분들의 동일한 수직 병진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한정된 캐리지는, 다음으로 낮은 타워 섹션의 상측 부분과 다음으로 높은 타워 섹션의 하측 부분 간의 중첩과는 독립적으로 만족할 만한 정도의 측방향, 기울어짐 방지, 안정성을 갖는 텔레스코픽형 타워 구조를 제공하는 데 일조한다.
본원에 포함된 도면은, 본 명세서의 교시의 물품, 방법, 장치의 다양한 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교시하고자 하는 것의 범위를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타워가 연장 구성에 있는 승강 장치의 일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강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타워가 회수된 구성에 있는 도 1의 승강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승강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승강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타워가 부분적으로 연장된 구성에 있고 휠 조립체들이 분리된 도 1의 승강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승강 장치의 상부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승강 장치의 타워의 일부의 사시도.
도 9는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가 적재 위치에 있는 도 8의 타워의 일부의 사시도.
도 9a는 도 9의 타워의 일부의 확대 평면도.
도 10은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가 부분적으로 배치된 도 8의 타워의 일부의 사시도.
도 11은 일부 소자들이 제거된 도 8의 타워의 일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구조의 캐리지 부분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캐리지 부분의 평면도.
도 14는 도 1의 승강 장치의 중간 섹션에 결합가능한 다른 캐리지의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승강 장치의 최상부 섹션에 결합가능한 다른 캐리지의 사시도.
도 16은 측벽들이 제거되어 있고 회수 구성에 있는 도 1의 승강 장치의 타워의 측면도.
도 17은 부분적으로 연장된 구성에 있는 도 16의 타워의 측면도.
도 18은 연장 구성에 있는 도 16의 타워의 측면도.
도 19는 도 1의 승강 장치의 휠 조립체들의 측면도.
도 20은 이송 구성에 있는 도 1의 승강 장치의 사시도.
도 21은 캐리지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2는 최하부 타워 섹션의 일부와 도 21의 캐리지의 측면도.
도 23은 최하부 타워 섹션의 일부와 캐리지의 다른 예의 일부의 개략도.
도 24는 최하부 타워 섹션의 일부와 캐리지의 다른 예의 일부의 개략도.
도 25는 승강 장치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승강 장치의 단부도.
도 27은 측벽들이 제거된 도 25의 승강 장치의 사시도.
도 28은 측벽들이 제거된 도 25의 승강 장치의 측면도.
도 29는 도 25의 승강 장치의 타워 조립체의 일부의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구조의 측면도.
도 31은 도 27의 승강 장치의 캐리지 부분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구조의 평면도.
도 33은 커버들이 제거된 도 31의 구조의 평면도.
도 34는 캐리지 부분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35는 도 34의 구조의 평면도.
도 36은 캐리지 부분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37은 도 36의 구조의 평면도.
도 38은 승강 장치의 다른 예의 캐리지와 타워 섹션의 일부의 사시도.
도 39는 도 38의 구조의 평면도.
도 40은 승강 장치의 다른 예의 캐리지와 타워 섹션의 일부의 사시도.
도 41은 도 40의 구조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각 청구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제공하도록 다양한 장치 또는 공정을 설명한다. 후술하는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임의의 청구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임의의 청구 대상은 후술하는 그러한 공정 또는 장치와는 다른 공정 또는 장치를 커버할 수 있다. 청구 발명은, 후술하는 임의의 하나의 장치 또는 공정의 특징부들의 모두를 갖는 장치 또는 공정으로 또는 후술하는 장치들 중 다수 또는 전부와 공통되는 특징부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장치 또는 공정은 임의의 청구 발명의 실시예가 아닐 수도 있다. 본원에서 청구되지 않는 후술하는 장치 또는 공정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발명은, 다른 안전 장치(protective instrument)의 대상, 예를 들어, 연속 특허 출원일 수도 있으며, 출원인, 발명자, 또는 특허권자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이러한 임의의 발명을 취하, 포기, 또는 공중(public)에 헌납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이동형 승강 장치(100)의 일례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 최상부 타워 섹션(500), 및 최상부 타워 섹션(500)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 플랫폼(104)을 구비하는 타워 조립체(102)를 포함한다.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 구성(도 1)과 회수 구성(도 3) 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최상부 타워 섹션(500)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 조립체를 제공한다. 타워 조립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중간 타워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타워 조립체는 제1 중간 타워 섹션(300)과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을 포함한다.
도 8을 또한 참조해 보면, 최하부 타워 섹션(200)은, 수평 단면도로 볼 때,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이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타워 섹션(200)은, 제1 최하부 측벽(202a), 및 제1 최하부 측벽(202a)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202b)을 포함한다. 제1 최하부 측벽(202a)은, 제1 측방향 내면(204a), 대향하는 외면(206a),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벽 길이(208a)를 갖는다. 제2 최하부 측벽(202b)은, 최하부 내측 폭(210)에 의해 제1 내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제2 측방향 내면(204b), 및 대향하는 외면(206b)을 갖는다. 제2 최하부 측벽은, 제1 벽 길이(208a)와 대략 같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벽 길이(208b)를 갖는다. 외면들(206a, 206b) 간의 거리가 타워 외측 폭(212)을 정의한다. 각 측벽은, 또한, 각 상측 에지(214a, 214b)와 하측 에지(216a, 216b)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최하부 타워 섹션 높이(218)를 정의한다.
최하부 타워 섹션(200)은, 전방면(220), 및 전방면(22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후방면(222)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은 전방면(220)과 후방면(222)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 예에서, 전방면(220), 후방면(222), 및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은 하측 경계를 형성하고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내부(224)를 대략 정의하도록 협동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전방면(220)의 하측 부분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짧은 최하부 전방 벽(226)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전방면(220)의 상측 부분(228)은, 고정된 벽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개방 상태로 둘 수 있다. 유사하게, 도시한 예에서, 최하부 후방면(222)의 하측 부분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후방 벽(230)(도 2)을 포함한다. 최하부 후방면(222)의 상측 부분(231)도, 고정된 벽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개방 상태로 둘 수 있다. 최하부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은, 각 상측 에지들(232, 234)을 갖고, 수직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높이(240)를 갖는다. 최하부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의 측면 에지들은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각각에 결합되고, 이 구성에서, 최하부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은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측방향 편향에 저항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최하부 전방 벽(226)과 최하부 후방 벽(230)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편향에 저항하는 데 일조한다. 이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강성도(stiffness)를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다른 타워 섹션들도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최하부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은,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두께(295)보다 큰 벽 두께(294)를 가질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은 두께가 약 0.12cm 내지 약 0.18cm인 16 또는 18 게이지 시트 스틸로 형성되며, 최하부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은 두께가 약 0.38cm인 9 게이지 시트 스틸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 최하부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의 두께는,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두께의 약 두 배이며, 그 두께의 두 배보다 클 수도 있다.
대안으로, 최하부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의 두께는 최하부 측벽들(202a, 202b)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비교적 두꺼운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을 제공함으로써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의 강도(strength)를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이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을 강화하는 데 일조하고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내향 및 외향 편향 모두에 저항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타워 섹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각 측벽의 측방향 편향에 저항하는 데 일조하도록 하나 이상의 버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부 타워 섹션(200)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편향을 제한하는 데 일조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팀 부재(261)를 구비할 수 있다. 버팀 부재의 강도와 구성은, 버팀 부재의 예상 탑재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부 타워 섹션(200) 상의 버팀 부재는 최상부 타워 섹션(500) 상의 버팀 부재보다 강할 수 있는데, 이는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최하부 타워 섹션(200)만큼 큰 중량을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9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버팀 부재들은, 앵글 부재(angle member)로서 구성된 직립부(262)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직립부들(262)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실질적으로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내향 편향과 외향 편향 모두에 저항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 제2 중간 타워 섹션(400), 및 최상부 타워 섹션(500)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과 구조적 유사성이 일부 있으며, 유사한 특징부들은, 각각 100, 200, 300만큼 증분되는 유사한 참조 문자들을 사용하여 식별된다.
도 6을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내부(224)에 안착되고 제1 및 제2 최하부 벽들(202a, 202b) 사이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갖는다. 제1 중간 타워 섹션(300)도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도 17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과 체결하고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병진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캐리지(3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해 보면, 제1 캐리지(350)는, 제1 및 제2 측벽들(202a, 202b)과 체결할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을 안정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캐리지(350)는, 또한,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을 병진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리프트 힘(lift force)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리지(350)는, 또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의 다른 부분들의 중량 및 제1 중간 타워 섹션(300) 위에 연결될 수 있는 추가 타워 섹션들(400, 500)의 중량을 작업 플랫폼(104) 및 플랫폼(104) 상의 임의의 사람이나 물건의 중량과 함께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베이스형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캐리지(350)는, 제1 최하부 측벽(202a)에 인접하는 제1 캐리지 제1 측면(352a)과 제2 최하부 측벽(202b)에 인접하는 제1 캐리지 제2 측면(352b)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캐리지(350)는, 제1 캐리지(350)의 제1 및 제2 측면들(352a, 352b)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캐리지 제1 단부(354) 및 제1 단부(354)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 캐리지 제2 단부(356)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은, 또한, 제1 최하부 측벽(202a)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1 측벽(302a) 및 제2 최하부 측벽(202b)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2 측벽(302b)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은, 전방 벽(326) 및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상측 부분(328)을 갖는 전방면(320), 및 후방 벽(330) 및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상측 부분(331)을 갖는 후방면(322)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들(302a, 302b), 전방 벽(326), 및 후방 벽(330)은, 제1 캐리지(350)의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캐리지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은, 제1 중간 타워 섹션(300)과 대략 유사하며, 제1 중간 타워 섹션의 제1 및 제2 측벽들(302a, 302b)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갖는다. 도 14를 참조해 보면,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은, 제1 섹션 제1 측벽(302a)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1 측면(452a), 제1 섹션 제2 측벽(302b)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2 측면(452b), 제1 및 제2 측면들(452a, 452b)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섹션 제1 단부(454), 및 제2 섹션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섹션 제2 단부(456)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제2 캐리지(4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은, 또한, 제1 섹션 제1 측벽(302a)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1 측벽(402a) 및 제1 섹션 제2 측벽(302b)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2 측벽(402b)을 포함한다. 제2 중간 타워 섹션은, 또한, 제2 섹션 전방 벽(426) 및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제2 섹션 상측 부분(428)을 갖는 제2 섹션 전방면(420), 및 제2 섹션 후방 벽(430) 및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상측 부분(431)을 갖는 제2 섹션 후방면(422)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측벽들(402a, 402b), 전방 벽(426), 및 후방 벽(430)은, 제2 캐리지(450)의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캐리지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도 2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은, 지지하는 타워 섹션들(200, 300, 400)의 각 측벽들(202a, 202b, 302a, 302b, 402a, 402b) 사이에 끼워지는 크기를 갖는 최상부 캐리지(550)(도 15)를 포함한다. 최상부 캐리지(550)는, 또한, 작업 플랫폼(104)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도 15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상부 캐리지(550)는, 제2 섹션 제1 측벽(402a)에 인접하는 최상부 캐리지 제1 측면(552a), 및 제2 섹션 제2 측벽(402b)에 인접하는 최상부 캐리지 제2 측면(552b)을 포함한다. 최상부 캐리지는, 또한, 제1 및 제2 측면들(325a, 352b) 사이에서 연장되는 최상부 캐리지 제1 단부(554) 및 대향하는 최상부 캐리지 제2 단부(556)를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은, 또한, 최상부 캐리지(550)로부터 대략 상측으로 연장되고 작업 플랫폼(104)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최상부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은, 제1 최상부 측벽(502a) 및 대향하는 제2 최상부 측벽(502b)을 포함한다. 최상부 타워 섹션(500)은, 또한, 최상부 전방 벽(526) 및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상측 부분(528)을 갖는 최상부 전방면(520), 및 후방 벽(530) 및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상측 부분(531)을 갖는 후방면(522)을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타워 섹션들(200, 300, 400, 500)은, 타워 조립체(102)가 회수되는 경우(예를 들어,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도 3의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최하부 타워 섹션(200) 내에 안착되고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제1 중간 타워 섹션(300) 내에 안착되고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제2 중간 타워 섹션(40)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타워 조립체(102)가 타워 조립체(102)의 내부를 나타내도록 제거된 근처의 측벽들과 충돌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16을 또한 참조한다. 타워 조립체(102)가 이러한 식으로 회수되는 경우, 타워 섹션들(200, 300, 400, 500)의 각각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있는 개방 부분들(예를 들어, 228, 328, 428, 528, 및 231, 331, 431, 531)은 서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작업 플랫폼(104)은, 각 전방 벽과 후방 벽(예를 들어, 벽들(226, 326, 426, 526, 및 230, 330, 430, 530))의 상측 에지들 위로 돌출되는 모든 타워 섹션들의 개방 부분들(예를 들어, 228, 328, 428, 528, 및 231, 331, 431, 531)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6을 참조해 보면, 타워 조립체(102)가 회수되는 경우, 캐리지들(350, 450, 550)은 서로 대략 적층되며, 각 타워 섹션(200, 300, 400, 500)의 상측 에지들은 상측 에지들(214a, 214b)을 포함하는 공통 수평면에서 대략 정렬된다. 타워가 회수되는 경우 최하부 타워 섹션(200) 내에 적층되는 캐리지들(350, 450, 550)과 각 타워 섹션의 상측 에지들이 정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타워 섹션들(300, 400, 500)은 (대략 프레임의 높이만큼) 점진적으로 짧아지며, 타워 섹션들(300, 400, 500) 상의 측벽들의 높이(예를 들어, 302a/b, 402a/b, 502a/b)는, 지지하는 타워 섹션 상의 측벽들보다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대안으로, 타워 섹션들(200, 300, 400, 50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 대신에, 타워 조립체는, 타워 섹션들(200, 300, 400, 500)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같고 타워 조립체가 회수되는 경우 타워 섹션들(200, 300, 400, 500)의 상측 에지들이 수직으로 스태거(stagger)형으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작업 플랫폼(104)은, 최상부 타워 섹션(500)에 결합되고, 최상부 타워 섹션과 함께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최상부 캐리지(550)에 의해 지지된다. 작업 플랫폼(104)은, 대략 수평 작업면(106), 및 작업면(106)의 경계를 대략 둘러싸는 레일링(108)을 포함한다. 레일링(108)은, 사람이 작업 플랫폼(104)에 출입할 수 있도록 작업 플랫폼의 후방 단부(112)를 향하여 개방 접근 영역(110)을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작업 플랫폼(104)은 전체 플랫폼 길이(114) 및 전체 플랫폼 폭(116)을 갖는다(도 5). 전체 플랫폼 길이(114)는, 약 30 cm와 약 600 cm 사이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길이일 수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약 240 cm이다. 전체 플랫폼 폭은, 예를 들어, 약 30 cm와 약 300 cm 이상 사이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폭일 수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약 45 cm이다. 선택 사항으로, 작업 플랫폼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체 길이(114)는 예를 들어 약 330 cm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작업면(106)은, 최상부 캐리지(550)의 위에 있으며 제1 표면 부분 상에 서있는 적어도 한 명의 사람을 수용하는 크기의 제1 표면 부분(118)을 정의한다. 제1 표면 부분(118)은, 또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최상부 캐리지(550)와 제1 표면 부분(118)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내부(224) 내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 타워 조립체(102)가 회수되는 경우, 작업면(106)의 최상부 캐리지(550)와 제1 표면 부분(118) 모두는 측벽들(202a, 202b)의 상측 에지들(214a, 214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하강되는 경우, 제1 표면 부분(118)은, 레일링(108)의 높이와 대략 같은 오프셋 거리(120)만큼 상측 에지들(214a, 214b) 아래로 이격된다. 이 구성에서, 타워 조립체(102)가 회수되는 경우, 레일링(108)은 또한 최하부 타워 섹션(200) 내에 부분적으로 안착되고, 레일링(108)의 상측 에지는 측벽들(202a, 202b)의 상측 에지들(214a, 214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룬다.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내부(224) 내에 끼워지도록, 제1 표면 부분(118)은, 측벽 길이(208a, 208b)보다 작은 제1 표면 부분 길이(122), 및 최하부 내측 폭(210)보다 작은 제1 표면 부분 폭(124)을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표면 부분(118)은, 또한, 최상부 측벽(502a, 502b) 사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 표면 부분 길이(122)는 최상부 측벽 길이(508a, 508b)와 실질적으로 같고, 제1 표면 부분 폭(124)은 최상부 타워 섹션 내측 폭(510)과 같다. 제1 표면 부분 길이(122)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예를 들어, 약 30cm와 약 600cm 사이)일 수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약 45 cm이다. 제1 표면 부분 폭(124)은, 임의의 적절한 폭(예를 들어, 약 30 cm와 약 300 cm 사이)일 수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약 45 cm이다.
여기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된 벽이 대략 없는 상측 부분들을 타워 섹션들(200, 300, 400, 500)의 전방면들(220, 320, 420, 520)에 제공함으로써, 작업 플랫폼이 최하부 측벽 길이(208a, 208b)보다 큰 전체 작업 플랫폼 길이(114)를 갖는(즉, 타워 경계의 일 단부 또는 양측 단부를 벗어나 돌출되는) 경우에 타워 섹션의 내부에 작업 플랫폼(104)을 회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7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부분 길이(122)가 전체 플랫폼 길이(114)보다 작고, 작업면(106)은 제1 표면 부분(118)으로부터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표면 부분(126)을 포함한다. 이는, 작업면(106)의 면적이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단면적보다 커지게 할 수 있다.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표면 부분(126)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경계를 벗어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 사이에 바로 배치되지는 않는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126)은, 타워 조립체(102)의 순방향 영역(126a)과 후방향 영역(126b) 모두로 연장된다. 대안으로, 제2 부분(126)은, 양 측방향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으며, 타워 조립체(102)의 순방향으로만 또는 역방향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타워의 연장과 회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타워 섹션들(300, 400, 500)은 서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타워 섹션들이 수직으로 병진 이동할 수는 있지만 측방향과 길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타워 섹션들의 기울어짐은 방지하도록 타워 섹션들(300, 400, 500)에 대한 이동을 한정함으로써, 승강 장치(100)의 안정성 개선에 일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간 타워 섹션(300) 상의 모든 지점/부분이 서로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의 이동을 한정함으로써, 제1 중간 타워 섹션이 상승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선택 사항으로 또한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간에 이동하는 동안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이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제2 중간 타워 섹션(400)과 제1 중간 섹션(300) 간에 및 최상부 타워 섹션(500)과 제2 중간 타워 섹션(400) 간에 유사한 한정을 제공함으로써, 제2 중간 섹션(400)과 최상부 타워 섹션(500)의 기울어짐을 각각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상측 타워 섹션이 내부에서 병진 이동하는 하측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각 타워 섹션(300, 400, 5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결합된 효과는,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되는 경우 그리고 선택 사항으로 타워 조립체가 연장 구성과 회수 구성 간에 이동하고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간에 이동하는 경우, 최상부 타워 섹션(500)의 전체적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타워 섹션들(300, 400, 500)의 이동은 임의의 적절한 기구를 이용하여 한정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예를 들어, 최하부 타워 섹션은, 수직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에 의해 지지되는 최하부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최하부 트랙은, 도시한 예에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 등의 최하부 타워 섹션에 결합되는 다른 임의의 타워 섹션과 체결하고 이러한 타워 섹션을 지지할 수 있다. 최하부 트랙은, 수직 병진 이동이 용이해지도록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고, 최하부 트랙과의 체결은 측방향 이동의 다른 유형 또는 기울어짐을 한정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최하부 트랙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최하부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제1 캐리지(350)는 각 최하부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제1 캐리지 롤러들 중 두 개 이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될 수 있다. 제1 캐리지 롤러들을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링크함으로써, 제1 캐리지(350)가 최하부 측벽들(202a, 202b) 중 하나만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제1 최하부 측벽(202a) 상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제1 캐리지 롤러에서는, 제2 최하부 벽(202b) 상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제1 캐리지 롤러가 또한 자신의 유도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한, 제1 캐리지 롤러의 유도 부재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는, 제1 캐리지(350)의 일면(또는 단부)이 제1 캐리지의 타면(또는 단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이는 또한 제1 캐리지(350)(및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의 나머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제1 섹션 트랙과 제2 섹션 트랙은, 최하부 타워 섹션의 트랙에 있는 유도 부재들과 유사한 유도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제2 캐리지(450)와 최상부 캐리지(550)는, 제1 섹션 트랙 및 제2 섹션 트랙과 체결하도록 유사한 제2 캐리지 롤러 및 최상부 캐리지 롤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섹션 트랙은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들(302a, 302b)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캐리지(450)는 각 제1 섹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리지 롤러들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섹션 트랙은 제2 섹션 제1 및 제2 측벽들(402a, 402b)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섹션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최상부 캐리지(550)는 각 제2 섹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부 캐리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될 수 있다.
개별적인 각 타워 섹션(300, 400, 500)의 상대적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타워 조립체(102)를 구성함으로써, 타워의 연장 정도/양에 상관없이 타워의 안정성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데 또한 일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워 조립체가 부분적으로 연장된 경우(도 6) 타워 조립체(102)의 안정성은, 타워 조립체(102)가 최대 연장 구성에 있는 경우(도 1)의 안정성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타워 조립체(102)가 최대 연장 구성으로 된 경우, 작업면(106)은 지면으로부터 약 580cm와 약 670cm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트랙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 상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랙들(260)의 형태로 된 제1 및 제2 유도 부재들(259)을 포함한다. 예시한 구성에서, 랙들(260)은, 하나의 랙(260)이 제1 및 제2 측벽들(202a, 202b)의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의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코너들을 향하여 제공된다.
선택 사항으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은, 최하부 트랙과 체결하고 최하부 트랙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제1 캐리지(350)이어서 제1 캐리지의 제1 및 제2 측면들(352a, 352b)이 서로 실질적으로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측방향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한 제1 캐리지(35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되는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의 나머지의 측방향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제1 캐리지(350)는, 또한, 제1 및 제2 단부들(354, 356)이 서로 일체형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최하부 트랙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한 제1 캐리지(35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되는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의 나머지의 길이방향으로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중간 섹션(300)은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을 지지 및 한정하도록 제1 섹션 트랙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은 최상부 타워 섹션(500)을 지지 및 한정하도록 제2 섹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2 캐리지(450)는,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1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며, 제2 캐리지(450)의 제1 측면(452a), 제2 측면(452b), 제1 단부(454), 제2 단부(456)가 서로 일체형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는, 길이방향과 측방향 모두에 있어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에 대한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유사하게, 최상부 캐리지(550)는, 제2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최상부 캐리지(550)는, 최상부 캐리지(550)의 제1 측면(552a), 제2 측면(552b), 제1 단부(554), 및 제2 단부(556)가 서로 일체형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제2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는, 길이방향과 측방향에 있어서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에 대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선택 사항으로, 각 캐리지(350, 450, 550)는, 연관된 트랙과 체결하도록 하나 이상의 롤러(36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지(350)는 최하부 트랙과 체결하도록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들은, 최하부 트랙을 따라 제1 캐리지(350)를 유도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기울어짐을 한정하는 데 일조하면서 수직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최하부 트랙, 제1 섹션 트랙, 및 제2 섹션 트랙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최하부 트랙의 구성 및 최하부 트랙과 제1 캐리지(350)와의 체결을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제1 섹션 트랙과 제2 섹션 트랙 및 제2 캐리지(450)와 최상부 캐리지(550)는, 유사한 특징부들을 갖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도시한 예에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은, 임의의 추가 타워 섹션을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트랙 또는 유도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랙들(260)과 체결하도록, 제1 캐리지(350) 상의 롤러들은, 랙들(260) 상의 이와 맞물리도록(mesh) 구성된 이를 갖는 피니언(364)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12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구성에서, 제1 캐리지(350)는, 제1 캐리지(350)의 코너들을 대략 향하여 제공되는 4개의 피니언(364)을 포함한다. 각 피니언(364)은 랙들(260) 중 하나와 정렬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캐리지(350)의 전방 단부(354)에 위치하는 피니언들(364) 모두는,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공통 전방 샤프트(366)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제1 캐리지(350)의 후방 단부(356)에 있는 피니언들(364) 모두는,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공통 후방 샤프트(368)에 고정된다. 제1 캐리지(350)는, 또한,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366, 368) 사이에서 연장되며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에 결합된 샤프트(370)의 형태로 된 길이방향 커넥터 부재를 구비한다. 길이방향 샤프트(370)는,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이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366, 368)을 링크한다. 길이방향 샤프트(370)는, 전방 기어 박스(371)를 통해 전방 샤프트(366)에 연결되고, 후방 기어 박스(372)를 통해 후방 샤프트(368)에 연결된다. 전방 및 후방 기어 박스들(371, 372)은, 화살표(374)로 표시한 제1 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샤프트(370)의 회전이 화살표(376a, 376b)로 도시한 반대 방향으로 4개 피니언 모두의 대응하는 동일한 회전을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366, 368)이 길이방향 샤프트(37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제1 캐리지(350) 상의 모든 피니언들(364)이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링크된다. 이 구성에서, 제1 캐리지(350)의 각 코너는, 제1 캐리지(350)가 랙들(260)을 따라 병진 이동할 때 나머지 코너들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되고, 피니언들(364) 상의 이와 랙들(260) 상의 이 간의 체결은, 제1 중간 타워 섹션(300) 위에 있는 모든 부품들 및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의 중량을 지지한다. 대안으로, 길이방향 샤프트(370) 대신에,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366, 368)이, 예를 들어, 기어 트레인, 체인, 벨트를 비롯한,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366, 368) 간의 상대적 회전을 제한하는 다른 적절한 기구에 의해 링크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제1 캐리지(350)가 기울어지게 하는 외력(예를 들어,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에 가해지는 측방향 하중)은, 피니언들(364)의 이와 랙들(260)의 이 간의 체결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피니언 이가 랙 이와 맞물리면, 랙들(260)에 대한 피니언들(364)의 수직 병진 이동이 인접하는 랙 이들에 의해 상하 방향 모두에 있어서 억제되며, 피니언들의 회전에 의해 상대 이동만이 가능하다. 모든 피니언들이 회전하는 경우 피니언들 중 임의의 하나만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화살표(378a)를 사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캐리지(350)의 제1 측면(352a)만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는 상향력(upward forces)은, 제1 측면(352a) 상의 피니언들(364)과 제1 최하부 측벽(202a) 상의 랙들(260) 간의 체결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제1 측면(352a) 상의 피니언들(364)은, 전체 캐리지를 수직으로 병진 이동시키는 데 필요하듯이 제2 측면(352b) 상의 피니언들이 기울어짐 동안 상보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회전할 수 없다. 사실상, 기울어짐 동안, 제2 측면(352b)은 일반적으로 화살표(378b)를 사용하여 표시된 제1 캐리지의 제2 측면(352b)을 하측으로 향하게 하는 대응하는 하향력을 받는다. 제2 측면을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려면, 상측으로 가압된 제1 측면 상의 롤러들에 대하여 제2 측면 상의 롤러들의 역 회전이 필요하다. 롤러들은 일체형으로 회전만 할 수 있으므로, 제2 측면의 하향력은, 제2 측면(352b) 상의 피니언들(364)과 제2 최하부 측벽(202b) 상의 랙들(260) 간의 체결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상향력(378a)과 하향력(378b) 모두가 저항을 받음으로써, 캐리지의 어느 면도 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없고, 따라서 제1 캐리지(350)는 기울어짐에 저항하고 실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캐리지(350)가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또는 측방향과 길이방향 모두에 작용하는 부품들에 의한 힘을 받는 경우 유사한 결과를 얻게 된다.
제2 캐리지(450), 최상부 캐리지(550), 제1 섹션 트랙, 및 제2 섹션 트랙은,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되며 이에 따라 증분되고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유사한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예를 들어,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각 트랙의 적어도 일부는, 타워 섹션 상의 버팀 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버팀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는, 유도 부재를 위한 강력하고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며, 유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부품들의 중량을 지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각 랙(260)은, 직립부들(262) 중 대응하는 하나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측벽들(202a, 202b)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218)를 따라 연장된다.
트랙들과 캐리지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타워 섹션들을 안정화함으로써, 타워 조립체(102)의 강성도 및/또는 안정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고서 타워 섹션들이 연장된 위치에 있는 경우 타워 섹션들 간의 수직 중첩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요로 하는 강도와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연장시 섹션들 간에 비교적 대량의 중첩이 필요한 알려져 있는 텔레스코핑 붐 조립체에 대조된다. 도 1과 도 18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타워 조립체가 연장된 경우, 인접하는 타워 섹션들 간에는 수직 중첩이 매우 작다. 이는 소정의 크기의 타워 섹션에 대하여 타워 조립체(102)의 연장 높이를 최대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워 조립체가 연장되는 경우 타워 섹션들 간의 수직 중첩부(184)는, 타워 섹션들의 높이에 비해 상당히 작고, 연관된 타워 섹션의 높이의 약 15% 또는 약 10%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중첩부(184)는, 제2 중간 타워 섹션(400)의 높이(418)의 약 7.5%이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중첩부(184)는, 또한, 캐리지(450)의 두께(186)의 두 배 미만이다(도시한 예에서는, 약 7.5 cm이다). 다른 타워 섹션들은 연장시 유사한 구성/관계를 갖는다.
승강 장치(100)는, 본원에서 설명하는 캐리지와 랙 간의 체결을 수용하면서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승강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 장치는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 사항으로,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등의 전기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전기 액추에이터는 유일하게 제공되는 리프트 액추에이터일 수 있고, 승강 조립체에는 (저장소, 실린더, 호스 등의) 유압 부품들이 없을 수 있다. 전 전동식(all-electric) 승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압 유체를 다룰 필요가 없으며, 유압 유체를 흘리거나 누출시킬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건물 내에서 및 유압 유체의 흘림이나 누출이 바람직하지 못한 다른 민감한 환경에서 승강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승강 조립체는, 각 타워 섹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타워 섹션들 중 두 개 이상을 동시에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타워 섹션을 동시에 승강함으로써, 하나의 타워 섹션을 완전히 연장하고 다음 타워 섹션을 승강하기 전에 정지시키는 것에 비해, 타워 조립체의 비교적 매끄러운 연장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승강 조립체는, 롤러 및 유도 부재 등의 타워의 다른 작동 부품들과 직접 체결하지 않고 타워 섹션들을 승강하도록 작동가능한 자족(self-contained)식 장치 일 수 있다. 대안으로, 승강 장치는, 롤러 및 유도 부재를 이용하여 타워 섹션들을 승강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또한 타워 섹션들을 안정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타워 섹션이 기저의 지지 타워 섹션의 유도 부재를 오를(climb) 수 있게끔 타워 섹션의 롤러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두 개 이상의 타워 섹션의 롤러들은, 리프트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모두 일체형으로 구동되도록 링크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더하여, 두 개 이상의 타워 섹션의 롤러들은, 또한, 두 개 이상의 타워 섹션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승되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승강 조립체는, 제1 섹션 캐리지(350), 제2 섹션 캐리지(405), 최상부 캐리지(550) 상의 각 피니언들(364, 464, 564)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128)의 형태로 된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128)는, 출력 샤프트(130) 및 출력 샤프트(130)와 함께 회전가능한 구동 스프로켓(132)을 구비한다. 구동 체인(134a)은, 구동 스프로켓(132)으로부터 제1 캐리지(350) 상에 제공된 입력 스프로켓(136)으로 연장된다. 입력 스프로켓(136)(도 13)은 구동 샤프트(380)에 고정되고, 구동 샤프트는, 구동 기어 박스(382)를 통해 길이방향 샤프트(370)에 연결된다. 구동 샤프트(380)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방향 샤프트(370)의 대응하는 회전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366, 368) 및 피니언들(364)의 대응하는 회전을 야기한다.
도 12를 참조해 보면, 구동 기어 박스(382)는, 길이방향 샤프트(370) 상의 헬리컬 기어 또는 스퍼(spur) 기어와 맞물리고 이러한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 샤프트(380) 상에 웜 기어(worm gear)를 포함한다. 웜 기어와 스퍼 기어는, 구동 샤프트(380)와 길이방향 샤프트(370) 간의 기어 비가 비교적 높은, 예를 들어, 약 20:1과 약 50:1 사이, 도시한 예에서는 약 30:1로 되는 크기를 갖는다. 고 기어 비를 제공함으로써, 구동 샤프트(380)가 길이방향 샤프트(370)를 제1 방향(374)으로 구동하고 이에 따라 제1 캐리지(350)가 랙들(260)을 올라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을 상승시키는 경우 적절한 기계적 장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전기 모터(128)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구동 샤프트(380)의 비교적 빠른 회전을, 제1 중간 타워 섹션(300) 및 제1 중간 타워 섹션 상에서 지지되는 다른 모든 섹션들의 중량을 상승시키는 데 충분한 길이방향 샤프트(370)와 피니언(364) 상의 토크로 병진 이동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는, 구동 체인이 단순히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며 그 자체가 상승하거나 제1 중간 타워 섹션(300)(또는 타워의 다른 부분들)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구동 체인(134a)을 비교적 경량용 체인으로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비교적 고 기어 비를 제공함으로써, 스퍼 기어를 통해 웜 기어를 역으로 구동하는 데 필요한 회전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승강 조립체를 대략 자기-제동형으로서 한정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웜 기어를 구동하려는 경우 스퍼 기어에 의해 발생하는 이러한 기계적 단점 대 피니언들(364)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캐리지(350)를 랙(260)을 따라 하강시키는 것에 대한 대응하는 저항은, 예시한 실시예에서 약 1:30이고, 이는 제1 캐리지(350)가 자신의 고유한 중량으로 인해 및/또는 수직 탑재를 겪게 될 때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저항하게 할 수 있다.
제1 캐리지(350)를 하강시키도록, 전기 모터(128)가 역으로 구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웜 기어, 스퍼 기어, 및 길이방향 샤프트(370)를 역으로 구동하여 피니언들(364)이 랙들(260)을 따라 아래 측으로 하강하게 할 수 있다. 제1 캐리지(350)가 랙들(260)을 오르는 속도를 제어하도록, 전기 모터의 속도를 가변할 수 있고 및/또는 트랜스미션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2 캐리지(450)와 최상부 캐리지(55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승강 조립체는, 제1 캐리지(350)와 제2 캐리지(450) 사이 및 제2 캐리지(450)와 최상부 캐리지(550) 사이에 추가 구동 체인들(134b, 134c)을 각각 포함한다. 제2 캐리지(450)와 최상부 캐리지(550) 모두는 유사한 구동 샤프트(480, 580) 및 구동 샤프트(480, 580)를 길이방향 샤프트(470, 570)에 각각 결합하는 구동 기어 박스(482, 582)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구동 체인들(134a 내지 134c)은, 모두 함께 링크되며 전기 모터(128)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동된다. 이 구성에서, 캐리지들(350, 450, 550) 모두는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동시에 구동되며, 도시한 예에서는 실질적으로 같은 비율로 구동된다.
단일 모터(128) 및 연결 체인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예들에서는, 각 타워 섹션이 별도의 모터(예를 들어, 전기 서보 모터)를 구비할 수 있고, 타워 조립체(102)의 연장은, 복수의 모터를 함께 작동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타워 조립체(102)는 회수되어 있고, 타워 섹션들의 전방면과 후방면(즉, 고정된 벽 부재가 없는 영역)의 개방된 상측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 맞춤(register)되고, 작업 플랫폼은, 전방 및 후방면들(220, 222, 320, 322, 420, 422, 520, 522)의 각각을 통해 연장되며, 전방 및 후방 벽들(226, 230, 326, 330, 426, 430, 526, 530) 모두의 위로 돌출된다.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되는 경우(도 1), 작업 플랫폼(104)은 타워 섹션들의 상측 부분들로부터 상승된다. 커버 부재가 없는 경우,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되면, 타워 섹션들 중 적어도 일부의 상측 부분들이 노출될 수 있고(예를 들어, 도 9 참조) 개방되고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될 때 커버되지 않은 개방 영역들을 구비하는 것이, 일부 응용분야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선택 사항으로, 상측 부분들(228, 231, 328, 331, 428, 431)을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두는 것 대신에, 최하부 및 중간 타워 섹션들(200, 300, 40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될 때 개방된 상측 부분들(228, 231, 328, 331, 428, 431)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전방 및 후방 커버들(284a, 284b, 384a, 384b, 484a, 484b) 등의 적절한 이동가능 커버(도 1 및 도 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부분들(228, 231, 328, 331, 428, 431)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커버들(284a, 284b, 384a, 384b, 484a, 484b)을 제공함으로써,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 및 회수되는 경우 및 완전히 연장되는 경우 타워 조립체(102)의 내부를 밀봉/밀폐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최하부 타워 섹션(200), 및 중간 타워 섹션(200, 300)이 존재하는 경우 중간 타워 섹션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밀폐함으로써, 타워 조립체(102)가 회수되거나 그 외에는 타워 조립체(102)의 동작에 간섭할 때 물체가 타워 조립체(102)의 내부에 떨어지고 인접하는 타워 섹션들 사이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커버들은, 원하는 인장 강도를 및/또는 강성도를 갖는 구조적 부재들일 수 있다. 구조적 커버 부재들을 제공함으로써, 각 타워 섹션이 해당 타워 섹션의 내향 및/또는 외향 측방향 편향에 더욱 저항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며, 이는 타워 섹션들의 강성도를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커버들(284a, 284b, 384a, 384b, 484a, 484b)은, 각자의 각 타워 섹션들(200, 300, 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커버들(284a, 284b, 384a, 384b, 484a, 484b)에 각자의 개방된 상측 부분이 대략 없는 적재 위치 및 커버들(284a, 284b, 384a, 384b, 484a, 484b)이 각자의 개방된 상측 부분을 대략 커버하는 배치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하나의 타워 섹션 상의 커버는, 인접하는 높은 타워 섹션을 상승시킴으로써 낮은 타워 섹션 상의 커버를 그 배치 위치를 향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더 높이 있는 타워 섹션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들은, 각 타워 섹션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있는 개방된 상측 부분들(228, 231, 328, 331, 428, 431)이 커버 연장에 따라 증분적으로 커버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측 부분들이 노출된 상태에 있지 않도록, 타워 조립체(102)가 연장되고 있을 때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타워 조립체(102)가 자신의 최대 연장에 도달하면, 커버들은, 상측 부분들(228, 231, 328, 331, 428, 431)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커버하도록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타워 조립체(102)가 부분적으로만 연장된 경우(도 6), 수직으로 인접하는 타워 섹션들 사이의 상측 부분들(228, 231, 328, 331, 428, 431)의 수직 범위는, 타워 조립체(102)가 완전히 연장되는 경우보다 작을 수 있고, 커버들은, 비교적 작은 수직 갭을 채우도록 부분적으로만 배치되면 된다.
예를 들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커버들(284a, 284b)은, 타워가 연장되는 경우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는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에 결합된다. 제1 중간 섹션(300)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상승됨에 따라, 최하부 커버들(284a, 284b) 이들의 배치 위치를 향하여 자동으로 당긴다. 유사하게, 제1 중간 타워 섹션 커버들(384a, 384b)은 제2 중간 섹션(400)에 결합되고, 제2 중간 타워 섹션 커버들(484a, 484b)은 최상부 타워 섹션(500)에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전방 커버(284a)는,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전방 채널들(287a, 288a)(도 9a) 내에서 슬라이딩식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최하부 제1 전방 커버 패널(285a)과 최하부 제2 전방 커버 패널(286a)을 포함한다. 최하부 전방 채널들(287a, 288a)은, 최하부 전방 채널들(287a, 288a) 내에 커버 패널들(285a, 286a)을 보유 지지(retain)하는 데 일조하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에 대한 패널들(285a, 286a)의 측방향 병진 이동을 방지하는 데 일조하는 다수의 당접(abut)면들을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커버 패널들(285a, 286a)은 9 게이지 시트 스틸로부터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채널들(287a, 288a)에 대한 제1 및 제 2 커버 패널들(285a, 286a)의 측방향 이동이 양 측방향으로(즉, 도 9a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좌측과 우측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전방 커버 패널들(285a, 286a)은,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이 내향 및 외향으로의 측방향 편향 모두에 저항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강성도를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최하부 전방 커버 패널들(285a, 286a)은, 패널들(285a, 286a)이 대략 수평으로 적층되거나 최하부 전방 벽(226)과 중첩되는 적재 위치에 대응하는 각 하강 위치(도 9)와 제1 및 제2 커버 패널들(285a, 286a)이 상측 수직으로 변위되고 전방 개방 부분(228)을 커버하도록 적층된 제1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각 상승 위치(도 8)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및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제1 및 제2 전방 커버 패널들(285a, 286a)은, 제1 및 제2 전방 커버 패널들(285a, 286a)의 결합된 높이가 전방면의 개방된 상측 부분(228)의 높이와 대략 같게 되는 크기를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방 커버 패널들(285a, 286a)은, 서로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고, 최하부 전방 벽(226)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각각은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높이의 대략 1/3이다). 타워 조립체(102)가 부분적으로만 상승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방 패널들(285a, 286a)은, 제1 및 제2 전방 패널들(285a, 286a)과 최하부 전방 벽(226)의 노출된 총 높이가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높이보다 작도록, 수직으로 서로 및/또는 최하부 전방 벽(226)(도 10)과 중첩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후방 커버(284b)는, 최하부 전방 커버(284a)와 대략 동일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202a, 202b)의 후방 에지에 제공되는 각 채널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후방 커버 패널들(285b, 286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중간 타워 섹션들(300, 400)은, 또한,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되며 이에 따라 증분되는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는 커버 패널들과 함께 유사한 전방 및 후방 커버들을 구비한다.
도 9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제2 전방 커버 패널(286a)(및 제1 후방 커버 패널(286b))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패널 캐치(catch) 부분들(289a)을 구비하고, 제1 캐리지(350)는 상보적인 전방 및 후방 캐리지 캐치 부분들을 구비한다. 제1 캐리지(350)가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상승되는 경우, 캐리지 캐치 부분들은, 제2 패널 캐치 부분들(289a, 289b)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제2 전방 및 후방 커버 패널들(286a, 286b)을 제1 캐리지(350)와 함께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제1 캐리지(350)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커버 패널들(286a, 286b) 상의 하측 캐치 부분들(291a, 291b)(도 10에서는 291a가 가상 선으로 되어 있음)이 제1 전방 및 후방 커버 패널들(285a, 285b) 상의 대응하는 제2 패널 캐치 부분들(292a, 292b)(도 10에서는 292a가 도시됨)과 각각 체결하고, 이에 따라 제2 전방 및 후방 커버 패널들(285a, 285b)을 제 위치로 당긴다. 제1 캐리지(350)가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대하여 하강되는 경우, 캐리지 캐치 부분들은, 제1 패널 캐치 부분들(289a, 289b)과 체결 해제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전방 및 후방 커버 패널들(285a, 285b, 286a, 286b)은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각자의 하강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승강 장치(100)는, 바닥 및 포장된 면 등의 대략 매끄러운 면에 걸쳐 롤링(roll)하도록 및 표준 내측/내부 출입구를 통해 끼워지도록 설계된 슬랩(slab) 기계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장치(100)를 표준 출입구를 통해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당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승강 장치(100)를 건물 내에서 사용하는 것과 한 공간으로부터 다른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승강 장치(100)는, 슬랩 기계이며, 측방향으로 전체 장치 폭(140)을 갖는다. 전체 장치 폭(140)은, 표준 문을 통해 끼워질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폭일 수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약 81cm이다. 또한, 승강 장치(100)는, 타워 조립체(102)가 회수되는 경우(도 4) 측정되는, 수직 방향으로 전체 장치 회수 높이(142)를 갖는다. 전체 장치 회수 높이(142)는, 승강 장치(100)가 표준 출입구를 통해 끼워질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높이일 수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약 205cm이다.
도시한 예에서, 타워 외측 폭(212)은 전체 장치 폭(140)과 대략 같은 약 81cm이고, 최하부 측벽 높이(218)는, 전체 장치 회수 높이(142)의 적어도 80%일 수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전체 장치 회수 높이(142)의 약 95%인 약 195cm이다. 이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이 실질적으로 전체 장치 폭(140) 및 승강 장치(100)의 전체 장치 회수 높이(142)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될 수 있게 한다. 비교적 넓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을 제공하고 이에 후속 장착되는 타워 섹션들을 제공함으로써, 타워 조립체(102)를 강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비교적 긴 최하부 타워 섹션(200)을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최하부 타워 섹션을 갖는 승강 장치에 비해, 작업 플랫폼(104)이 비교적 높은 위치로 연장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해 보면, 승강 장치는, 표면과 롤링 체결하고 그 표면에 대하여 타워 조립체(102)를 지지하도록 (도 6에서 명료함을 위해 타워 조립체(102)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된)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146, 148)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휠 조립체(146)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전방면(220)에 연결되고, 제2 휠 조립체(148)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후방면(222)에 연결된다. 이 구성에서,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하측 부분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146, 148) 사이에 수평 배치된다.
선택 사항으로, 휠 조립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조향 가능 휠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휠 조립체(146)는 두 개의 조향 가능 휠(150)을 포함한다. 각 휠(150)은,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각 피봇 축(154)을 중심으로 피봇팅 함으로써 조향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휠 조립체(146)는, 휠(150)을 조향하기 위한 전기 조향 모터(156), 및 휠(150)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추진 모터(158)를 포함한다(도 5를 또한 참조한다).
제2 휠 조립체(148)도, 수평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두 개의 휠(160)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휠(160)은 조향 가능하지 않다.
도 4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축들(152, 162)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있으며,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최하부면(293)을 포함하는 수평면(164)은 회전축들(152, 162)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이 구성에서,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최하부면(293)은, 표면에 비교적 가깝고, 도시한 예에서는, 그 표면 위의 약 10cm 미만에 있다(높이(166) 참조). 도시한 예에서,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부착된 랙들(260)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실질적으로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 구성에서, 랙들(260)의 하측 단부들은,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최하부면(293)에 인접하고, 또한, 회전축들(152, 162) 아래의 높이에 배치된다.
비교적 낮은 높이에 최하부 타워 섹션의 최하부면(293)을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높이에 승강 장치(100)의 다른 부품들을 위치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제1 중간 타워 섹션(300)이 최하부 타워 섹션(200) 내로 회수되면, 제1 캐리지(350)는, 표면에 비교적 가까울 수 있고, 표면 위의 높이(174)에 있으며, 이는 도시한 예에서 약 60cm이다. 또한,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상부 타워 섹션(500)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도 4), 작업면(106)은 표면 위의 약 100cm 높이에 위치한다. 작업면(106)을 표면 위의 약 100cm 또는 100cm 미만의 높이에 제공함으로써, 작업 플랫폼(104)의 전체 높이(168)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제2 휠 조립체(148)는, 최하부 측벽 길이(208a, 208b)와 대략 같은 휠 이격 거리(170)만큼 제1 휠 조립체(146)로부터 수평 이격된다. 도 5를 참조해 보면, 휠 조립체들(146, 148)은, 대략 같은 휠 조립체 폭(172)을 갖고, 이는, 도시한 예에서 타워 외측 폭(212)과 대략 같다.
선택 사항으로,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146, 148)은, 표면에 대하여 타워 조립체(102)를 승강하도록(즉, 최하부면(293)과 표면 간의 거리(178)를 변경하도록) 조절 가능하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각 휠 조립체(146, 148)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판(180)을 포함한다(도 6과 도 19 참조). 장착 판(180)은, 휠(150, 160)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기구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장착 판(180)이 상승되는 경우, 최하부면(293)과 표면 간의 거리는 증가한다. 장착 판이 하강되는 경우, 최하부면(293)과 표면 간의 거리는 감소한다.
장착 판(180)은 서로 다른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장착 판(180)에 대한 서로 다른 3개 위치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으며, 최하측 위치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승된 두 개의 위치는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은, 타워 조립체가 회수되고(도 4와 도 19) 승강 장치(100)가 표면을 가로질러 또는 트럭이나 다른 운송 수단 상으로 또는 트럭이나 다른 운송 수단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자신을 추진하는 경우, 이동 높이(178)에서 타워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이동 높이(178)는 약 6.4cm이다.
이어서, 휠 조립체들(146, 148)은, 타워 조립체(10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경우(도 1과 도 19) 낮은 연장 높이(182)에서 타워 조립체(102)를 지지하도록 하강될 수 있다. 이는,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전체 최하부면(293)이 표면에 근접하도록 하강될 수 있으므로 팟 홀(pot hole)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예에서, 휠 조립체들(146, 148)은, 타워 조립체(10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경우, 최하부 타워 섹션의 최하부면(293)이 표면 위의 약 5cm 미만에 있도록 그리고 선택 사항으로 표면 위의 약 1.3cm 내에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휠들(150, 160) 중 하나 이상이 탑재 도크(loading dock)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팟 홀 내로 롤링되면, 최하부 타워 섹션(200)은, 타워 조립체(102)를 안정화하도록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최하부면(293)이 표면과 접촉하기 전에 겨우 약 2.5cm 낙하하게 된다.
선택 사항으로, 휠 조립체들(146, 148)은, 또한, 타워 조립체(102)를,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최하부면(293)이 표면 상에 안착하고 있는 하강된 이송 위치(도 19와 도 20)까지 하강시키도록 조절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 타워 조립체(102)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는, 휠 조립체들(146, 148)을 통하는 것 대신에 최하부 타워 섹션(200)에 의해 표면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승강 장치(100)가 트럭 베드(bed) 또는 다른 운송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동안 승강 장치(100)를 트럭 베드에 고정하는 데 일조하도록, 예를 들어, 스트랩 또는 체인을 포함하는 고정 용구를 사용하여 승강 장치(100)를 트럭 베드에 묶거나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용구는, 승강 장치(100)에 대하여 상당한 하향력을 가할 수 있다. 최하부면(293)을 트럭 베드 상에 안착되는 위치까지 하강시킴으로써, 이러한 고정력의 적어도 일부가, 휠 조립체들(146, 148)을 통하는 것 대신에 최하부 타워 섹션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이는, 휠 조립체들(146, 148)의 베어링 및 기타 하중 지지 부품들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은, 최하부 타워 섹션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으로,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승강 장치(100)는 최하부 및 최상부 타워 섹션들 사이에 두 개의 중간 타워 섹션(총 4개의 타워 섹션)을 포함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승강 장치는, 선택 사항으로, 하나의 중간 타워 섹션만 포함하거나, 두 개보다 많은 중간 타워 섹션을 포함하거나, 중간 타워 섹션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즉, 최상부 타워 섹션이 최하부 타워 섹션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최상부 타워 섹션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작업 플랫폼과 일체형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부 캐리지는, 작업 플랫폼과 일체형으로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작업면의 하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21과 도 22를 참조해 보면, 유도 부재들(1259) 및 대응하는 캐리지(1350)를 갖는 최하부 트랙의 다른 일례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유도 부재들(1259) 및 캐리지(1350)는, 본원에서 설명하는 유도 부재들(259) 및 대응하는 캐리지(350)와 대략 유사하며, 유사한 특징부들은, 1000만큼 증분되는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된다.
이 예에서, 유도 부재들은, 지지하는 타워 섹션에, 예를 들어, 최하부 측벽(1202a)에 부착되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체인들(1260)의 형태로 제공된다. 체인들(1260)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체인일 수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롤러 체인들이다. 체인들(1260)은, 자신의 최상부 단부에서 최하부 측벽(1202a)에 고정되며, 또한, 자신의 최하부 단부에서 및 자신의 길이를 따른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랙들(260)처럼, 체인들(1260)은 타워 섹션 측벽(1202a)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 예에서, 캐리지(1350)는, 체인들(1260)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스프로켓들(1364)의 형태로 된 롤러들(1363)을 구비한다. 캐리지(1350)의 전방 단부(1354)에 있는 스프로켓들(1364)은,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공통 전방 샤프트(1366)에 고정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는 없다. 유사하게, 캐리지(1350)의 후방 단부(1356)에 있는 스프로켓들(1364)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공통 후방 샤프트(1368)에 고정된다.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1366, 1368)이 일체형으로 회전하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하는 데 일조하도록, 도시한 예에서, 캐리지(1350)는, 전달 체인 조립체(1371)의 형태로 된 길이방향 커넥터를 이용하여 길이방향 샤프트(370) 대신에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1366, 1368)의 회전을 동기화한다.
도 23을 참조해 보면, 체인(2260)의 형태로 된 유도 부재 및 다른 캐리지(235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유도 부재 및 캐리지(2350)는 유도 부재 및 캐리지(350)와 유사하며, 유사한 특징부들은, 2000만큼 증분되는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된다. 이 예에서, 체인(2260)은, 스프로켓(2364) 주위를 부분적으로 권선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아이들링(idling) 스프로켓들(2365)에 의해 유도된다. 체인(3260)을 스프로켓(2364) 주위로 부분적으로 권선함으로써, 체인(2260)에 대한 스프로켓(2364)의 스키핑(skipping)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해 보면, 타이밍 벨트(3260)의 형태로 된 유도 부재와 다른 캐리지(335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유도 부재와 캐리지(3350)는, 본원에서 설명하는 유도 부재와 캐리지(350)와 대략 유사하며, 유사한 특징부들은, 3000만큼 증분되는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된다. 이 예에서, 유도 부재는 타이밍 벨트(3260)로서 제공되며, 롤러는, 타이밍 벨트(326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이형(toothed) 휠(3364)로서 제공된다. 도시한 구성에서, 타이밍 벨트(3260)는, 하중 발생시 타이밍 벨트(3260)에 대한 휠(3364)의 스키핑 및/또는 미끄러짐을 제한하는 데 일조하도록 휠(3364) 주위로 부분적으로 권선되며 아이들링 휠(3365)에 의해 유도된다.
도 25를 참조해 보면, 이동형 승강 장치(5100)의 또 다른 일례는, 최하부 타워 섹션(5200), (최하부 타워 섹션(5200) 내에 안착된) 최상부 타워 섹션(도 26 참조), 및 최상부 타워 섹션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 플랫폼(5104)을 갖는 타워 조립체(5102)를 포함한다. 이동형 승강 장치(5100)는 이동형 승강 장치(100)와 대략 유사하며, 유사한 특징부들은, 5000만큼 증분되는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된다.
도시한 예에서, 최하부 타워 섹션(5200)은, 제1 최하부 측벽(5202a), 및 제1 최하부 측벽(5202a)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5202b)을 포함한다(도 26). 제1 최하부 측벽(5202a)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벽 길이(5208a)를 갖는다. 제2 최하부 측벽(5202b)은 대응하는 제2 벽 길이를 갖는다. 제1 최하부 측벽(5202a)은, 최하부 타워 섹션 높이(5218)를 정의하도록 상측 에지(5214a)와 하측 에지(5216a)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2 최하부 측벽(5202b)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도 27을 참조해 보면, 이동형 승강 장치(5100)는, 타워 조립체(5102)가 회수되고 타워 조립체(5102)의 내부를 나타내도록 근처의 측벽들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이동형 승강 장치(5100)는, 최하부 타워 섹션(5200),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 제2 중간 타워 섹션(5400), 및 최상부 타워 섹션(5500)을 포함한다.
또한, 도 29를 참조해 보면,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은, 최하부 타워 섹션(5200) 상의 랙들(5260)과 체결하는 제1 캐리지(5350) 상에서 지지된다. 유사하게, 제2 중간 타워 섹션(5400)은 제1 중간 타워 섹션 상의 랙들(5360)과 체결하는 제2 캐리지(5450) 상에서 지지되고, 상측 타워 섹션(5500)(도 29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제2 중간 타워 섹션(5400) 상의 랙들(5460)과 체결하는 제3 캐리지(5550) 상에서 지지된다. 이 예에서, 캐리지들(5350, 5450, 5550)은, 자신의 연관된 랙들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한다.
도 31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최하부 타워 섹션(5200)의 랙들(5260)과 체결하도록, 제1 캐리지(5350) 상의 롤러들은, 랙들(5260) 상의 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이를 갖는 피니언들(5364)의 형태로 제공된다. 예시한 구성에서, 제1 캐리지(5350)는 제1 캐리지(5350)의 코너들을 대략 향하여 제공되는 4개의 피니언(5364)을 포함한다. 각 피니언(5364)은 랙들(5260) 중 하나와 정렬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캐리지(5350)의 전방 단부(5354)에 위치하는 피니언들(5364) 모두는,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공통 전방 샤프트(5366)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제1 캐리지(5350)의 후방 단부(5356)에 있는 피니언들(5364) 모두는,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공통 후방 샤프트(5368)에 고정된다. 제1 캐리지(5350)는, 또한, 전방 및 후방 샤프트(5366, 5368) 사이에서 연장되며 전방 및 후방 샤프트에 결합되는 샤프트(5370)의 형태로 된 길이방향 커넥터 부재를 구비한다. 길이방향 샤프트(5370)는, 전방 및 후방 샤프트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전방 및 후방 샤프트(5366, 5368)를 링크한다. 길이방향 샤프트(5370)는, 전방 기어 박스(5371)를 통해 전방 샤프트(5366)에 연결되고, 후방 기어 박스(5372)를 통해 후방 샤프트(5368)에 연결된다. 전방 및 후방 기어 박스들(5371, 5372)은, 화살표 5374로 나타낸 제1 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샤프트(5370)의 회전에 의해 4개의 피니언 모두가 대응하는 동일한 회전을 반대 방향으로 행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 동기화하고 있는 샤프트(5370)가 화살표 5374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방 샤프트(5366)에 부착된 2개의 피니언(5364)은 시계 방향(측면(5352a)으로부터 볼 때 화살표 5376a)으로 회전하고, 후방 샤프트(5368)에 부착된 2개의 피니언(5364)은 화살표 5376a와 5376b로 도시한 반시계 방향(측면(5352a)으로부터 볼 때 화살표 5376b)으로 회전한다.
전방 및 후방 샤프트들(5366, 5368)이 길이방향 샤프트(5370)에 의해 연결되면, 제1 캐리지(5350) 상의 모든 피니언들(5364)이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링크된다. 이 구성에서, 제1 캐리지(5350)의 각 코너는, 제1 캐리지(5350)가 랙들(5260)을 따라 병진 이동할 때 나머지 코너들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되고, 피니언들(5364) 상의 이와 랙들(5260) 상의 이 간의 체결은,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 및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 위의 모든 부품들의 중량을 지지한다.
제1 캐리지(5350)가 기울어지게 하는 외력(예를 들어,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가해지는 측방향 하중)이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에 가해지면, 이러한 힘은, 피니언들(5364) 상의 이와 랙들(5260) 상의 이 간의 체결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제1 캐리지(5350)가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또는 길이방향과 측방향 모두에 있어서 작용하는 성분을 갖는 힘을 받는다면, 유사한 결과를 얻게 된다.
제2 캐리지(5450)와 최상부 캐리지(5550)는, 이에 따라 인덱싱된 유사한 참조 분자들에 의해 식별되는 제1 캐리지와 유사한 특징부들을 포함하고(도 34 내지 도 37 참조),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1 캐리지(5350)만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캐리지들(5450, 5550)이 동일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한다.
도 29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이동형 승강 장치(5100)는, 타워 조립체(5102)가 연장 구성과 회수 구성 간에 이동될 수 있도록 최하부 타워 섹션(5200)에 대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 제2 중간 타워 섹션(5400), 및 최상부 타워 섹션(5500)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 조립체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승강 조립체는, 3개의 전기 모터(5128a, 5128b, 5128c)를 포함하는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이동형 승강 장치(100)에 제공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들(350, 450, 550) 사이에서 연장되는 구동 체인과 최하부 타워 섹션(200)의 단일 모터(128) 대신에, 각 캐리지(5350, 5450, 5550)는 자신의 고유한 모터를 구비한다. 모터들(5128a, 5128b, 5128c)은, 임의의 적절한 제어기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고, (캐리지들(5350, 5450, 5550) 모두가 일체형으로 이동하게끔) 일체형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또는 모터들(5128a, 5128b, 5128c)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 모터들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가능 모터들을 개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중간 캐리지(5350) 또는 최상부 캐리지(5550) 등의 특정 캐리지를, 나머지 캐리지들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각 타워 섹션의 독립적인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함으로써 이동형 승강 장치(5100)의 다양성(versatility)을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최상부 타워 섹션만 연장해야 하는 경우 하측 타워 섹션들의 중량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대안으로, 모터들을 일체형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워 조립체(5102)가 대략 균일한 방식으로 연장 및 회수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모터(5128a)는, 제1 캐리지(5350) 상에 장착되고,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부 타워 섹션(5200)에 대하여 제1 캐리지(5350)와 함께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다.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제1 캐리지(5350)를 도시하는 도 33을 또한 참조해 보면, 위성 기어 박스(5386)의 형태로 된 트랜스미션은, 전기 모터(5128a)의 출력 샤프트(5388)를 제1 캐리지(5350) 상의 길이방향 샤프트(5370)에 연결한다. 이 구성은, 모터(5128a)가 샤프트(5370)를 구동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연결된 샤프트들(5366, 5368) 및 피니언들(5364)을 구동할 수 있게 한다. 선택 사항으로, 모터(5128a)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한 방향은 캐리지(5350)가 랙들(5260)을 올라가게 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을 상승시키는 것이고, 반대 방향은 캐리지(5350)가 랙들(5260)로부터 내려오게 하여 제1 중간 타워 섹션(5300)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대안으로, 모터(5128a)는, 한 방향으로(예를 들어, 상측으로) 캐리지(5350)만을 구동하면 되고, (중력 등의) 대체 동력을 이용하여 캐리지를 다른 방향으로(즉,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모터(5128a)(선택 사항으로, 모터들(5128b, 5128c))는, 샤프트(5388)의 회전을 저지 및/또는 방지하도록 기동될 수 있는 제동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한 구성에서는, 모터 샤프트(5388)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샤프트들(5366, 5368, 5370)과 피니언들(5364)의 회전을 또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캐리지(5350)를 랙들(5260)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제1 캐리지(5350)의 (및 유사하게 다른 캐리지들(5450, 5550)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는 데 일조하도록 모터 제동 기구를 캐리지 제동 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대안으로, 또는 모터에 연관된 제동 기구에 더하여, 기어박스(5386), 샤프트들(5366, 5368, 5370) 중 하나 이상, 기어박스들(5371, 5372), 또는 기타 적절한 부품이 제동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5128a)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제어기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제어기 장치는, 와이어 또는 다른 적절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모터들(5128a, 5128b, 5128c)의 각각에 연결된 단일 제어기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제어기 장치는 하나보다 많은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 장치는 모터당 하나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모터들(5128a, 5128b, 5128c)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장치는, 각 모터에 연관된 각 모터 제어기(5390, 5490, 5590)를 포함한다. 각 제어기(5390, 5490, 5590)는, 자신이 제어하고 있는 모터와 동일한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와이어 등의) 임의의 적절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해당 모터에 통신 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5128a)와 제어기(5390)는 각각 제1 캐리지(5350) 상에 장착되며 제1 캐리지와 함께 이동하며(도 32), 모터(5128b)와 제어기(5490)는 각각 제2 캐리지(5450) 상에 장착되며 제2 캐리지와 함께 이동하며(도 35), 모터(5128c)와 제어기(5590)는 각각 최상부 캐리지(5550) 상에 장착되며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이동한다(도 37).
선택 사항으로, 제어기들(5390, 5490, 5590)은, 협력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함께 통신 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으며, 이는, 캐리지들(5350, 5450, 5550)의 합동(coordinated) 이동을, 원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캐리지들(5350, 5450, 5550)이 일체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제어기들(5390, 5490, 5590)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등의 임의의 적절한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링크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제어기들(5390, 5490, 5590)은, 적절한 개수의 통신 및/또는 전력 송신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랙 장치(5188)를 사용하여 함께 통신 가능하게 링크된다. 케이블 트랙 장치(5188)는, 또한, 제어기들(5390, 5490, 5590) 및 모터들(5128a, 5128b, 5128c)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트랙 장치는, 캐리지들(5350, 5450, 5550) 간에 통신 및 전력 송신을 제공하도록 직렬 연결된(즉, 데이지 체인형 구성으로 된) 3개의 트랙 섹션(5188a, 5188b, 5188c)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하측 트랙 섹션(5188a)은 최하부 타워 섹션(5200)과 제1 캐리지(5350) 사이에서 연장되고, 중간 트랙 섹션(5188b)은 제1 캐리지(5350)와 제2 캐리지(5450)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측 트랙 섹션(5188c)은 제2 캐리지(5450)와 최상부 캐리지(5550) 사이에서 연장된다. 다수의 케이블 트랙 섹션들(5188a 내지 5188c)을 직렬로 제공함으로써, 최하부 타워 섹션(5200)으로부터 제2 캐리지(5450)로 및/또는 최상부 캐리지(5550)로 직접 케이블을 더욱 길게 이을 필요 없이 제어기들(5390, 5490, 5590)과 모터들(5128a, 5128b, 5128c) 전부 간에 통신 및 전력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제어기들(5390, 5490, 5590)과 모터들(5128a, 5128b, 5128c)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케이블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케이블 구성을 간략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27과 도 28을 참조해 보면, 타워 조립체(5102)가 회수되는 경우, 캐리지들(5350, 5450, 5550)은 서로에 대하여 대략 적층되고, 각 타워 섹션(5200, 5300, 5400, 5500)의 상측 에지들은, 상측 에지들(5214a, 5214b)을 포함하는 공통 수평면에서 대략 정렬된다. 캐리지들(5350, 5450, 5550)을 적층함으로써, 이동형 승강 장치(5100)의 전체 회수 크기를 최소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모터(5128a)는 제1 캐리지(5350)의 높이(5392)보다 큰 높이(5192a)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 모터(5128a)의 일부들은 제1 캐리지(5350)의 상면 위로 돌출된다. 유사하게, 모터(5128b)는 제2 캐리지(5450)의 높이(5492)보다 큰 높이(5192b)를 갖는다. 그러나, 모터(5128b)는, 제2 캐리지(5450) 위로 크게 돌출하는 것 대신에, 도시한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및 제2 캐리지들(5350, 5450) 사이에서 제2 캐리지(5450) 아래로 연장되도록 장착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들(5350, 5450)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하도록, 캐리지들(5350, 5450)은 각 오목부(5394: 도 32, 5494: 도 35)를 구비한다.
오목부(5394)는, 제2 캐리지(5450) 상의 모터(5128b) 아래에 대략 위치 맞춤되고, 타워 조립체(5102)가 회수되는 경우 모터(5128b)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유사하게, 오목부(5494)는, 모터(5128a) 위에 대략 위치 맞춤되고, 타워 조립체(5102)가 회수되는 경우 모터(5128a)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 제2 캐리지(5450)가 제1 캐리지(5350)에 접근하는 경우, 제2 캐리지(5450) 아래로 연장되는 모터(5128b)의 일부들은, 모터(5128b)가 제1 캐리지(5350) 내에 부분적으로 안착되도록 오목부(539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제1 캐리지(5350) 위로 연장되는 모터(5128a)의 일부들은, 모터(5128a)가 제2 캐리지(5450) 내에 부분적으로 안착되도록 오목부(5494)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캐리지들(5350, 5450)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고 적층시 감소된 높이를 제공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오목부들(5394, 5494)은, 또한, 캐리지들(5350, 5450, 5550)이 적층되는 경우 케이블 트랙 장치의 일부들을 수용한다.
오목부들(5394, 5494)은, 캐리지들(5350, 5450)에서 스루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스루홀로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대신에, 오목부들은, 모터들(5128b, 5128a)의 일부들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 캐비티 또는 챔버로서 형성될 수 있지만, 캐리지들(5350, 5450)을 완전히 통해 연장되지는 않는다.
도 36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모터(5128c)와 기어박스(5586)는, 모터(5128c) 또는 기어박스(5586) 어느 것도 캐리지(5550) 아래로 연장되지 않는 식으로 장착된다. 이 예에서, 모터(5128c)는, 캐리지 높이(5592)보다 큰 높이(5192c)(도 30)를 갖고, 모터(5158c)는, 캐리지(5550)의 실질적으로 위에 및 작업 플랫폼(5104)과 캐리지(5550)의 상측 면 사이의 헤드스페이스 공간에 장착된다. 도 28을 참조해 보면, 이 구성에서, 최상부 캐리지(5550)가 제2 캐리지(5450)를 향하여 하강되면, 모터(5128c)는, 캐리지들(5550, 5450)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며, 캐리지들(5550, 5450)의 적층에 간섭하지 않는다. 캐리지(5550)는, 케이블 트랙 장치의 직립 부분들을 수용하는 오목부(5594)를 구비하지만, 오목부(5594)는 모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필요가 없다. 이 구성은, 캐리지들(5350, 5450, 5550)이 수직 방향으로 비교적 서로 근접하여 적층될 수 있게 하며, 선택 사항으로, 캐리지들(5350, 5450, 5550)은, 서로 수직으로 밀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들(5466, 5468, 5470) 및 모터(5128b)를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들의 최하부 에지들 등의) 캐리지(5450)의 하향면은, 캐리지들(5350, 5450)이 회수 위치로 하강되는 경우 (샤프트들(5366, 5368, 53670)과 모터(5128a)를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들의 최상부면 등의) 캐리지(5350)의 상향면에 인접하도록 및/또는 그 상향면 상에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리지들 중 하측의 캐리지 상에 캐리지들 중 상측의 캐리지를 안착함으로써, 타워가 회수되는 경우 피니언들과 랙들로부터 하중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피니언, 랙, 및 연결된 구동 부재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들(5350, 5450, 5550)을 수직 방향으로 함께 밀접하게 적층함으로써, 회수 구성의 캐리지들(5350, 5450, 5550)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는 회수시 타워 조립체(5102)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대안으로, 캐리지들(5350, 5450, 5550) 중 하나 이상은, 캐리지들이 적층되는 경우 모터(5128c)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캐리지들(5350, 5450, 5550)은, 타워 조립체(5102)가 회수되는 경우 서로 적층되거나 접촉되거나 밀접해 있을 필요가 없다. 대신에, 캐리지들(5350, 5450, 5550)은 타워 조립체(5102)가 회수되는 경우 서로 수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캐리지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캐리지와 캐리지의 각 트랙 간의 원하는 정려를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하도록 정렬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기구는, 캐리지와 캐리지의 트랙 간의 원하는 측방향 이격을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는 캐리지와 트랙 상의 롤러들 간의 원하는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랙에 대한 캐리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피니언들 상의 이를 랙들 상의 이와 충분히 체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는, 랙과 피니언 간의 백래시(backlash)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고, 랙에 대한 캐리지의 기울어짐 또는 위치 변화(shifting)를 방지하는데 데 일조할 수 있다.
정렬 기구는, 바람직하게, 타워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경우 트랙을 따른 캐리지의 병진 이동을 과도하게 억제하거나 제한하지 않고서 트랙에 대한 캐리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정렬 기구는, 타워 섹션 또는 캐리지 중 하나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정렬 트랙, 및 정렬 트랙과 체결하도록 타워 섹션 또는 캐리지 중 나머지 하나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팔로워(fol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팔로워는, 예를 들어, 슬라이더, 패드, 롤러, 부싱, 휠, 피니언, 또는 정렬 트랙과 체결할 수 있는 기타 부재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부재일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정렬 기구는, 타워 섹션들 및 타워 섹션들과 체결하는 캐리지들 중 일부에만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하부 타워 섹션 상에만 또는 최상부 타워 섹션 상에만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정렬 기구는, 이동형 승강 장치의 모든 타워 섹션들과 캐리지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정렬 기구는, 본원에서 설명하는 이동형 승강 장치들(100, 5100)의 특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해 보면, 타워 섹션(6200)의 일부 및 대응하는 캐리지(6350)의 일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승강 장치의 또 다른 예의 일부들이 도시되어 있다. 타워 섹션(6200)과 캐리지(6350)는, 타워 섹션(200)과 캐리지(350)와 각각 유사하고, 유사한 특징부들은 6000만큼 증분되는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된다. 설명을 위해 하나의 타워 섹션과 캐리지를 예시하고 있지만, 정렬 기구의 특징부들은 나머지 타워 섹션 및 캐리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타워 섹션(6200)은 캐리지(6350) 상의 대응하는 피니언과 체결하기 위한 랙(6260)을 포함한다. 이동형 승강 장치는, 또한, 캐리지(6350)와 타워 섹션(620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하도록 정렬 기구(6600)의 일례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정렬 기구(6600)는, 타워 섹션(6200) 상에 제공되는 레일(6602)의 형태로 된 정렬 트랙, 및 롤러(6604)의 형태로 된 상보적 팔로워를 포함한다. 롤러(6604)는, 레일(6602)과 체결하고, 캐리지(6350)가 타워 섹션(6200)에 대하여 병진 이동할 때 레일(6602)의 길이를 따라 롤링하도록 구성된다. 레일(6602)은, 랙(6260)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도시한 예에서는, 랙(6260)과 일체 형성된다.
또한, 도 39를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롤러(6604)는, (전방 샤프트(6366) 상에 장착된 피니언 및) 전방 샤프트(6366)의 회전축(6614)에 대략 직교하는 롤러 축(66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 롤러(6604)와 레일(6602) 간의 체결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의) 레일(6602)을 향한 캐리지(635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랙(6260) 상의 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랙(6260)에 대한 피니언의 위치 변화를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는, 피니언과 랙(6260) 간의 원하는 체결을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각 추가 롤러들(6604)은, 캐리지(6350)의 나머지 코너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이동형 승강 장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고, 및/또는 타워 섹션(6200)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예를 들어, 타워 섹션(620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중심에) 캐리지(6350)를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캐리지(6350)의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는 것에 더하여 또는 이러한 저항의 대안으로서, 정렬 기구는, 타워 섹션(6200)에 대하여 적어도 다른 하나의 방향(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의 캐리지(635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기구는, 캐리지의 순방향 이동, 캐리지의 역방향 이동, 또는 타워 섹션(6200)에 대한 캐리지의 순방향 이동과 역방향 이동 모두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타워 섹션(6200)에 대한 캐리지(6350)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이동형 승강 장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고, 및/또는 타워 섹션(6200)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예를 들어, 타워 섹션(6200)에 대하여 측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중심에) 캐리지(6350)를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롤러(6604)는, 레일(6602)의 대응하는 체결 부분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 중심 홈(6606)의 형태로 된 롤러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홈(6606)은, 한 쌍의 경사진 롤러 당접면들(6608a, 6608b)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롤러(6604)가 레일(6602)과 체결하는 경우, 각 롤러 당접면(6608a, 6608b)은 대응하는 레일 당접면(6610a, 6610b)을 가압한다. 이 구성에서, 롤러 당접면(6608a)과 레일 당접면(6610a) 간의 체결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의) 타워 섹션(6620)에 대한 캐리지(6350)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롤러 당접면(6608b)과 레일 당접면(6610b) 간의 체결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의) 타워 섹션(6620)에 대한 캐리지(6350)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레일(6602)은, 외측의 제3 롤러 당접면(6608c)과 당접하도록 위치하는 제3 당접면(6610c)을 포함한다. 당접면들(6608c, 6610c) 간의 체결은, 또한, 타워 섹션(6200)에 대한 캐리지(6350)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레일 체결 부재는 홈 또는 슬롯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롤러 체결 부재는 홈 또는 슬롯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텅(tongue) 또는 다른 적절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과 랙은, 이 예에서 서로 일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으로, 일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별도의 부재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0을 참조해 보면, 타워 섹션(7200)의 일부 및 대응하는 캐리지(7350)의 일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승강 장치의 또 다른 예의 일부들이 도시되어 있다. 타워 섹션(7200) 및 캐리지(7350)는 타워 섹션(200) 및 캐리지(350)와 각각 유사하고, 유사한 특징부들은 7000만큼 증분되는 유사한 참조 문자들에 의해 식별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타워 섹션(7200)은 캐리지(7350) 상의 대응하는 피니언과 체결하기 위한 랙(7260)을 포함한다. 이동형 승강 장치는, 또한, 캐리지(7350)와 타워 섹션(720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하도록 정렬 기구(7600)의 일례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정렬 기구(7600)는, 타워 섹션(7200) 상에 제공된 레일(7602)의 형태로 된 정렬 트랙, 및 한 쌍의 롤러들(7604)의 형태로 된 상보적 팔로워를 포함한다. 롤러들(7604)은, 수직 방향으로(즉, 레일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수직으로 이격된 두 개의 위치에서 레일(7602)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타워 섹션(7200)에 대한 캐리지(735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롤러들(7604)은, 캐리지(7350)가 타워 섹션(7200)에 대하여 병진 이동할 때 레일(7602)의 길이를 따라 롤링하도록 구성된다. 레일(7602)은, 랙(7260)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도시한 예에서는, 랙(7260)과 일체 형성된다.
또한, 도 41을 참조해 보면, 도시한 예에서, 각 롤러(7604)는, (전방 샤프트(7366) 상에 장착된 피니언 및) 전방 샤프트(7366)의 회전축(7614)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7613)로 배치되는 각 롤러 축(76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각도(7613)는, 도시한 예에서, 약 45도이지만, 약 5도와 약 90도 사이일 수 있고, 다른 예들에서는 약 30도와 약 60도 사이일 수 있다.
이 구성에서, 롤러들(7604)과 레일(7602) 간의 체결은,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레일(7602)을 향하는 캐리지(735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랙(7260) 상의 이에 평행한 방향으로 랙(7260)에 대한 피니언의 위치 변화를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는 피니언과 랙(7260) 간의 원하는 체결을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추가 각 롤러들(7604)(예를 들어, 모든 4개의 코너에 제공되는 경우 캐리지당 총 8개의 롤러(7604))은, 캐리지(7350)의 나머지 코너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이동형 승강 장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고, 및/또는 타워 섹션(7200)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예를 들어, 타워 섹션(720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중심에) 캐리지(7350)를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해 보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각 롤러(7604)는, 레일(7602)의 대응하는 체결 부분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 중심 홈(7606)의 형태로 된 롤러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홈(7606)은, 한 쌍의 경사진 롤러 당접면들(7608a, 7608b)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롤러들(7604)이 레일(7602)과 체결하는 경우, 각 롤러 당접면(7608a, 7608b)은 대응하는 레일 당접면(7610a, 7610b)을 가압한다. 이 구성에서, 롤러 당접면(7608a)과 레일 당접면(7610a) 간의 체결은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의) 타워 섹션(7620)에 대한 캐리지(7350)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롤러 당접면(7608b)과 레일 당접면(7610b) 간의 체결은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의) 타워 섹션(7620)에 대한 캐리지(7350)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는 본 발명을 예시하려는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청구범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예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전체적으로 상세한 설명과 부합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1)

  1.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이동형 승강 장치로서,
    a) 제1 최하부 측벽 및 측방향으로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으로부터 수평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을 갖는 최하부 타워 섹션으로서,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은 제1 측방향 내면 및 상기 측방향에 대략 직교하며 수평인 길이 방향으로 제1 벽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최하부 측벽은 최하부 내측 폭만큼 상기 제1 내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제2 측방향 내면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제2 벽 길이를 갖는 것인,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
    b)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최하부 측벽과 상기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 끼워지는 크기의 최상부 캐리지를 포함하는, 최상부 타워 섹션;
    c) 상기 최상부 캐리지에 결합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고, 제1 표면 부분을 갖는 대략 수평 작업면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으로서, 상기 제1 표면 부분은, 상기 최상부 캐리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면 부분 상에 서있는 적어도 한 명의 사람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고, 상기 제1 벽 길이보다 작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제1 표면 부분 길이 및 상기 최하부 내측 폭보다 작은 상기 측방향으로의 제1 표면 부분 폭을 갖는 것인, 상기 작업 플랫폼; 및
    d)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가능한 승강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은, 상기 최상부 캐리지와 상기 제1 표면 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하강 위치(lowered position)로 병진 이동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면은 상기 제1 표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표면 부분이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의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은, 상기 최상부 캐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최상부 측벽 및 상기 제1 최상부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상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최상부 측벽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이동형 승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의 내부의 경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의 내부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부분 길이는 적어도 약 45cm이고, 상기 제1 표면 부분 폭은 적어도 약 45cm인, 이동형 승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측방향으로의 전체 장치 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은 제1 측방향 외면을 갖고, 상기 제2 최하부 측벽은 상기 전체 장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타워 외측 폭만큼 상기 제1 측방향 외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제2 측방향 외면을 갖는, 이동형 승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표준 출입구를 통과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이동형 승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장치 폭은 약 81 cm 이하인, 이동형 승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전체 장치 높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장치 높이는 약 205 cm 미만인, 이동형 승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휠 조립체 및 휠 조립체 이격 거리만큼 상기 제1 휠 조립체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휠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벽 길이는 상기 휠 조립체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 이동형 승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은 최하부 전방면 및 상기 최하부 전방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최하부 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상기 최하부 전방면과 상기 최하부 후방면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최하부 전방면의 하측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전방 벽을 포함하고, 상기 최하부 전방면의 상측 부분은 개방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기 최하부 전방 벽 위에 돌출되고(overhang), 상기 최하부 전방면의 개방 부분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은, 상기 최하부 전방 커버에 상기 전방면의 개방된 상측 부분이 대략 없는 제1 적재(stowed) 위치 및 상기 타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최하부 전방 커버가 상기 최하부 전방면의 개방된 상측 부분을 대략 커버하는 제1 배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최하부 전방 커버를 포함하는, 이동형 승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전방 커버는,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최하부가 전방 커버가 상기 제1 배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에 결합된, 이동형 승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전방 커버는 제1 전방 커버 패널과 제2 전방 커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커버 패널 각각은, 상기 패널들이 상기 최하부 전방 벽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대략 중첩되고 제1 적재 위치에 대응하는 각 전방 패널 하강 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커버 패널이 수직으로 변위되고 상기 제1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각 전방 패널 상승 위치 간에,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측벽 두께를 각각 갖고, 상기 최하부 전방 벽은 상기 측벽 두께들의 적어도 약 두 배인 전방 벽 두께를 갖는, 이동형 승강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후방면의 하측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최하부 후방 벽을 포함하고, 상기 최하부 후방면의 상측 부분은 개방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기 최하부 후방 벽 위로 돌출되고, 상기 최하부 후방면의 개방 부분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은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최하부 후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최하부 후방 커버는, 상기 최하부 후방 커버에 상기 최하부 후방면의 개방 부분이 대략 없는 제2 적재 위치와 상기 최하부 후방 커버가 상기 최하부 후방면의 개방 부분을 대략 커버하는 제2 배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후방 커버는,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최하부 후방 커버가 상기 제2 배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과 함께 이동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후방 커버는 제1 후방 커버 패널과 제2 후방 커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커버 패널 각각은, 상기 후방 패널들이 상기 최하부 후방 벽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대략 중첩되며 상기 제2 적재 위치에 대응하는 각 후방 패널 하강 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커버 패널이 수직으로 변위되고 상기 제2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각 후방 패널 상승 위치 간에,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과 최상부 타워 섹션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타워 섹션을 더 포함하고, 각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사이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갖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고,
    각 중간 타워 섹션은, 각 중간 섹션 제1 측벽 및 상기 각 중간 섹션 제1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항하는 각 중간 섹션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타워 섹션 중 최상측 중간 타워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최상측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각 중간 타워 섹션은, 각 중간 섹션 전방면 및 상기 각 중간 섹션 전방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각 중간 섹션 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 중간 섹션 제1 및 제2 측벽은, 상기 각 중간 섹션 전방면과 상기 각 중간 섹션 후방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중간 섹션 전방면의 하측 부분은 상기 각 중간 섹션 제1 및 제2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중간 섹션 최하부 벽을 포함하고, 각각의 중간 섹션 전방면의 상측 부분은 개방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각각의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은 상기 최하부 전방면의 개방 부분과 수직 정렬되고, 상기 작업 플랫폼은, 각각의 중간 섹션 전방 벽의 위로 돌출되고, 각각의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각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적재 위치 및 각각의 중간 섹션 전방 커버가 각각의 중간 섹션 전방면의 개방 부분을 대략 커버하는 배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 중간 타워 섹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각 중간 섹션 전방 커버를 포함하는, 이동형 승강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각 상측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표면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상측 에지보다 낮은 승강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24.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 장치로서,
    a) 제1 최하부 측벽 및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을 포함하는 최하부 타워 섹션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은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최하부 트랙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
    b)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벽 사이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갖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한 적어도 제1 중간 타워 섹션으로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2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을 갖는 제1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이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최하부 트랙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최하부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고 상기 최하부 트랙에 의해 한정되는 것인,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
    c)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최상부 타워 섹션;
    d)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에 고정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과 함께 병진 이동 가능하고, 대략 수평 작업면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및
    e)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과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가능한 승강 조립체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제1 캐리지의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제1 및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최하부 트랙에 의해 한정되는, 승강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최하부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1 측벽 및 상기 최하부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섹션 트랙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은, 상기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최상부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는, 제1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는, 상기 최상부 캐리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1 및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함께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한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되는, 승강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최하부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1 측벽 및 상기 최하부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섹션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섹션 트랙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캐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제2 중간 타워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제1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제2 캐리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한 상기 제2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되는, 승강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제1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섹션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2 섹션 트랙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섹션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은, 상기 제2 섹션 트랙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섹션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한 최상부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는, 상기 제2 섹션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상기 제2 섹션 제2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는, 상기 최상부 캐리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제2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한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 섹션 트랙에 의해 한정되는, 승강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트랙은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최하부 유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지는 각 최하부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지 롤러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된, 승강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 트랙은, 상기 제1 섹션 제1 및 제2 측벽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 유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각 제1 섹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 롤러들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된, 승강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 트랙은, 상기 제2 섹션 제1 및 제2 측벽들의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섹션 유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는 각 제2 섹션 유도 부재와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부 캐리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의 각각은 서로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함께 링크된, 승강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제1 섹션 및 섹션 유도 부재들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랙(rack)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지, 제2 캐리지, 및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은 상기 랙들 중 각 랙들과 체결하는 피니언들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조립체는, 상기 제1 캐리지 롤러들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상기 제1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지 롤러들을 제1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을 상승시키는, 승강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제1 모터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1 캐리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캐리지와 함께 이동 가능한, 승강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캐리지 롤러들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상기 제2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 롤러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제2 중간 타워 섹션을 상승시키는, 승강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1 캐리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캐리지와 함께 이동가능한, 승강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1 모터와는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상기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에 결합된 제3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2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을 상승시키는, 승강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최상부 캐리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이동가능한, 승강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는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승강 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캐리지 롤러들, 상기 제2 캐리지 롤러들 및 상기 최상부 캐리지 롤러들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 상기 제2 중간 타워 섹션, 및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일체형으로 상승가능한, 승강 장치.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제2 중간, 및 최상부 캐리지들의 각각은 각 캐리지 롤러들을 링크하는 각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제2 중간, 및 최상부 캐리지의 기어 트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기 제동형(self-braking)이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저항하는, 승강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에 통신 가능하게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승강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는,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1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캐리지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1 제어기,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2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캐리지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2 제어기, 및 상기 제3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최상부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최상부 캐리지와 함께 이동 가능한 제3 제어기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46.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는, 전기 모터이며,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아닌, 승강 장치.
  4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 각각은, 상기 최하부 트랙과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편향에 저항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팀(bracing) 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전방 에지 및 상기 제1 벽 전방 에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후방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최하부 측벽 상의 적어도 하나의 버팀 부재는, 상기 제1 벽 전방 에지에 인접하는 제1 전방 직립부 및 상기 제1 벽 후방 에지에 인접하는 제1 후방 직립부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유도 부재들은, 상기 제1 전방 직립부에 부착된 제1 전방 랙 및 상기 제1 후방 직립부에 부착된 제1 후방 랙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
  5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면을 제1 표면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표면 부분은, 상기 최상부 캐리지의 위에 놓이고, 서있는 적어도 한 명의 사람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은, 상기 최상부 캐리지와 상기 제1 표면 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하강 위치로 병진 이동가능한, 승강 장치.
  51.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승강하기 위한 이동형 승강 장치로서,
    a) 타워 조립체로서, 상기 타워 조립체는,
    i) 제1 최하부 측벽 및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최하부 측벽을 포함하는 최하부 타워 섹션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들이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최하부 트랙을 갖는 것인,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
    ii) 상기 제1 및 제2 최하부 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크기를 갖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한 적어도 제1 중간 타워 섹션으로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제1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최하부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면을 갖는 제1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최하부 트랙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최하부 트랙을 따라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이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병진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최하부 트랙에 의해 한정되는 것인,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
    iii)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병진 이동가능한 최상부 타워 섹션; 및
    iv)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에 결합되고,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과 함께 병진 이동 가능하고, 대략 수평 작업면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타워 조립체;
    b)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과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을 승강하도록 작동가능한 승강 조립체;
    c) 표면과 롤링 체결하기 위한 제1 휠 조립체; 및
    d) 상기 표면과 롤링 체결하고, 상기 제1 휠 조립체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휠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의 하측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휠 조립체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휠 조립체에 고정된, 이동형 승강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휠 조립체의 각각은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최하부 타워 조립체의 최하부면을 포함하는 수평면은 각 휠 축 아래의 높이에 있는, 이동형 승강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조립체는 적어도 두 개의 조향 가능 휠을 포함하고, 각 조향 가능 휠은, 각 수직 조향 축을 중심으로 피봇팅 가능하고(pivotable), 각 수평 휠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최하부 트랙의 하측 부분과 교차하는 수평면은 각 수평 휠 축 아래의 높이에 있는, 이동형 승강 장치.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조립체는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 조립체는, 상기 전방면의 반대측이며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의 후방면에 장착되는, 이동형 승강 장치.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조립체는, 적어도 두 개의 조향 가능 휠 및 상기 조향 가능 휠들을 조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조향 모터를 포함하는, 이동형 승강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조립체는, 상기 조향 가능 휠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추진 모터를 포함하는, 이동형 승강 장치.
  58.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제1 캐리지가 상기 표면 위의 60cm 미만인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한 하강 위치로 병진 이동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59.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은, 상기 작업면이 상기 표면 위의 약 100cm 미만인 하강 위치로 병진 이동가능한, 이동형 승강 장치.
  60.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은 상기 표면에 대하여 상기 타워 조립체를 승강하도록 조절 가능하고, 상기 제1 중간 타워 섹션과 상기 최상부 타워 섹션이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에 대하여 상승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휠 조립체들은, 상기 최하부 타워 섹션의 최하부면이 상기 표면 위의 약 2cm 미만으로 되도록 상기 타워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이동형 승강 장치.
  61.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트랙은 복수의 랙을 포함하고, 각 랙은 상기 최하부 섹션의 수직 범위(vertical extent)를 따라 연장되고, 각 랙은, 상기 조향 가능 휠들의 회전축 아래의 높이에 배치되는 하측 랙 단부를 갖는, 이동형 승강 장치.
KR1020167018358A 2013-12-09 2014-12-09 수직 승강 이동형 작업 플랫폼 KR201601054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13629P 2013-12-09 2013-12-09
US61/913,629 2013-12-09
US201462059011P 2014-10-02 2014-10-02
US62/059,011 2014-10-02
PCT/CA2014/051188 WO2015085419A1 (en) 2013-12-09 2014-12-09 Vertically elevating mobile work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418A true KR20160105418A (ko) 2016-09-06

Family

ID=5337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358A KR20160105418A (ko) 2013-12-09 2014-12-09 수직 승강 이동형 작업 플랫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060142B2 (ko)
EP (2) EP3431437A1 (ko)
JP (1) JP6539276B2 (ko)
KR (1) KR20160105418A (ko)
CN (1) CN106029549B (ko)
AU (1) AU2014361705B2 (ko)
CA (1) CA2933254A1 (ko)
GB (1) GB2535416A (ko)
WO (1) WO20150854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53B1 (ko) * 2019-08-30 2021-02-2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엔지 카고의 자동 스캐폴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0200A (zh) * 2015-08-19 2015-11-18 镇江四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控制液压升降平台小车
CA2924982C (en) * 2016-03-24 2023-09-19 Adam Toma Mobile well servicing units and related methods
US10167181B2 (en) * 2016-07-22 2019-01-01 Chejiang Dingli Machinery Co., Ltd. Hydraulic steering shear-fork type aerial work platform
CN108301612B (zh) * 2016-08-15 2019-12-03 深圳市海诚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应用脚手架的建筑施工方法
US11192764B2 (en) * 2017-04-24 2021-12-07 MCF Distributing, LLC Pan assembly for aerial work platform
US11851303B2 (en) * 2017-07-12 2023-12-26 Safe Rack Llc Elevating cage apparatus with alternative powered or manual input
WO2019060922A1 (en) * 2017-09-25 2019-03-28 St9 Gas And Oil, Llc ELECTRICALLY CONTROLLED PUMP FOR WELL STIMULATION
US10858893B2 (en) 2018-02-02 2020-12-08 Adam Toma Laterally movable mobile well servicing units and methods of use
US11598324B2 (en) 2018-04-16 2023-03-07 St9 Gas And Oil, Llc Electric drive pump for well stimulation
US10750675B2 (en) * 2018-06-20 2020-08-25 Mjnn, Llc Vertical hydroponic tower plant container handling system
CN110371890A (zh) * 2018-07-18 2019-10-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运输装置
CA3111183C (en) * 2018-08-28 2023-12-12 Dhs Fraco Llc Assembly for erecting and dismantling a common tower adjacent a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ng and dismantling the same
CN109267736B (zh) * 2018-11-15 2020-11-06 中航天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检修作业平台
US20200317488A1 (en) * 2019-04-05 2020-10-08 Oshkosh Corporation Fully-electric scissor lift
CN111825002B (zh) * 2019-04-20 2022-03-22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一种提升设备
CN110316683A (zh) * 2019-07-18 2019-10-1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升降平台
CN110467131B (zh) * 2019-08-30 2021-01-01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二级升降装置及建筑机器人
US11346544B2 (en) * 2019-09-04 2022-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op platform assembly of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HRSG)
JP7367925B2 (ja) * 2019-09-24 2023-10-24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作業台車
CN110700418B (zh) * 2019-10-23 2021-04-30 中建海峡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叠合板安装台车配合塔吊安装叠合板的施工工艺
US11473783B2 (en) * 2019-10-28 2022-10-18 Lg Electronics Inc. Kitchen hood with height adjustment
CN112681704B (zh) * 2020-12-15 2022-05-27 浙江世润建创科技发展有限公司 边坡脚手架结构及施工方法
IL292435B2 (en) 2022-04-24 2024-01-01 Oded Sever Elevator system, kit and method
CN116044132A (zh) * 2023-02-13 2023-05-0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设备安装工程梯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222A (en) * 1906-11-28 1907-04-02 Robert Fleming Extension ladder and lift.
DE921172C (de) * 1949-01-19 1954-12-09 Richard Gladewitz Fahrbares, ausziehbares Leitergeruest
US2763339A (en) * 1950-01-20 1956-09-18 Universal Mfg Co Elevating tower
US2948363A (en) * 1955-08-11 1960-08-09 Grand Specialties Company Telescoping elevators
US3000473A (en) * 1958-12-02 1961-09-19 Reynolds Televator Corp Telescoping tower
US3360078A (en) * 1966-04-05 1967-12-26 Grand Specialties Company Lifts
US3871478A (en) * 1971-10-18 1975-03-18 Jr Sherman W Bushnell Extendible stable working platform
JPS528623A (en) * 1975-07-10 1977-01-22 Meiwa Setsukei Kk Multilayered tower device with expanston mechanism
FR2474009A1 (fr) * 1980-01-18 1981-07-24 Allemane Claude Ossature support de nacelle telescopique
EP0163430B1 (en) 1984-05-01 1989-12-20 Kabushiki Kaisha Hikoma Seisakusho Elevating apparatus
GB8521101D0 (en) * 1985-08-22 1985-09-25 Murray G Extendable tower
US4657112A (en) 1986-04-25 1987-04-14 Up-Right, Inc. Mast construction for pedestal scaffold
JPH089909B2 (ja) * 1990-07-16 1996-01-31 株式会社ジャパニック リフト装置のマスト固定機構
US5310018A (en) * 1992-12-17 1994-05-10 Lahaie Jean J Scaffold
US5481988A (en) * 1994-05-04 1996-01-09 Dess; Daniel B. Telescoping work platform
WO1997015522A1 (en) 1995-10-23 1997-05-01 Upright, Inc. Personnel lift with movable cage assembly
DE19912050A1 (de) * 1999-03-18 2000-10-05 Monotal Schornsteinbau Gmbh Montagegerüst mit einer in der Höhe verstellbaren Bühne
DE20104959U1 (de) * 2001-03-21 2001-08-23 Alumatec Transport Und Hebeger Hubarbeitsbühne mit Anschlägen und Mitnehmern
US20030213765A1 (en) * 2002-05-20 2003-11-20 Andre St-Germain Tower crane with raising platform
CN2672022Y (zh) * 2003-11-13 2005-01-19 陈建平 塔式多桅柱高空作业平台
NL1027507C2 (nl) * 2004-11-15 2006-05-16 Ted Weenink Uitschuifbaar werkplatform, in het bijzonder voor een hoogwerker.
US8590921B2 (en) * 2006-05-12 2013-11-26 Dulond Tool & Engineering, Inc. Band cart storage system and method
CN202625764U (zh) * 2012-07-02 2012-12-26 杭州赛奇高空作业机械有限公司 多层桅柱式升降工作平台
GB2513481B (en) * 2013-03-26 2020-07-15 Minnis David An improved access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53B1 (ko) * 2019-08-30 2021-02-2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엔지 카고의 자동 스캐폴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2891A (ja) 2017-01-26
WO2015085419A1 (en) 2015-06-18
GB201610746D0 (en) 2016-08-03
US10060142B2 (en) 2018-08-28
AU2014361705B2 (en) 2017-03-23
EP3431437A1 (en) 2019-01-23
JP6539276B2 (ja) 2019-07-03
GB2535416A (en) 2016-08-17
EP3080035B1 (en) 2018-10-10
CN106029549A (zh) 2016-10-12
EP3080035A1 (en) 2016-10-19
CA2933254A1 (en) 2015-06-18
EP3080035A4 (en) 2017-08-09
AU2014361705A1 (en) 2016-07-21
CN106029549B (zh) 2018-11-13
US20160362284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5418A (ko) 수직 승강 이동형 작업 플랫폼
EP1592579B1 (en) Vehicles and traillers incorporating moveable load carrying platforms
JP4314497B2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NL2007277C2 (en) A method for assembling a modular lift apparatus, a method for de-assembling a modular lift apparatus, and a modular lift apparatus.
JP2004211513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5105054B2 (ja) 昇降装置
GB2274826A (en) An apparatus for escalading.
CN218143638U (zh) 搬运机器人、货架和仓储设备
CA2650513A1 (en) Lift cage for lifting devices
GB2449763A (en) Moveable platform for safety in trailer loading
CN116553223B (zh) 一种升降式车厢货物装卸装置
KR20100057569A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
EP3173367B1 (en) Movable lift apparatus
CN218879109U (zh) 一种用于提升机的轿厢
JP3545539B2 (ja) 機械式立体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US9273482B2 (en) Assembly process for a vehicle and assembly equipment that implements such a process
JP2005105725A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240003199A (ko) 2단식 차량 주차설비
JP6547582B2 (ja) 移載システム及び自動倉庫
RU2208113C1 (ru) Способ парковки автомобилей в многоярусной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автостоянке, многоярусна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с хранением автомобилей на поддонах, приёмно-поворот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многоярусной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автостоянки с подъёмной клетью, клеть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ддона внутри многоярусной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автостоянки, механизм синхронного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онесущих кареток клети, автомобильный поддон
CN118030104A (zh) 一种可紧急避险的伸缩式隧道开挖台车
JP2003176635A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JPH06271015A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WO2004082991A2 (en) Vehicle incorporating a load carrying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