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199A - 2단식 차량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2단식 차량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199A
KR20240003199A KR1020220080368A KR20220080368A KR20240003199A KR 20240003199 A KR20240003199 A KR 20240003199A KR 1020220080368 A KR1020220080368 A KR 1020220080368A KR 20220080368 A KR20220080368 A KR 20220080368A KR 20240003199 A KR20240003199 A KR 2024000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otation
plate
frame body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483B1 (ko
Inventor
박수종
Original Assignee
박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종 filed Critical 박수종
Priority to KR102022008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483B1/ko
Priority to JP2023097026A priority patent/JP2024007361A/ja
Publication of KR2024000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 상,하측의 2단으로 차량을 주차할 수 있으며, 상측의 위치에 차량을 주차하고자 할 경우에 주차가 미숙한 운전자라도 주차가 용이하도록 프레임본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받침판을 하강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승강체인을 이용하여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경우 받침판의 높이 변위를 보상장치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본체의 전체 부피를 콤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고, 주행수단을 이용한 프레임본체의 전,후 방향 이동시 가이드돌부와 주행롤러를 이용하여 프레임본체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여 이동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2단식 차량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단식 차량 주차설비{TWO-STAGE PAKING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2단식 차량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 상,하측의 2단으로 차량을 주차할 수 있으며, 상측의 위치에 차량을 주차하고자 할 경우에 주차가 미숙한 운전자라도 주차가 용이하도록 프레임본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받침판을 하강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승강체인을 이용하여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경우 받침판의 높이 변위를 보상장치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본체의 전체 부피를 콤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고, 주행수단을 이용한 프레임본체의 전,후 방향 이동시 가이드돌부와 주행롤러를 이용하여 프레임본체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여 이동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2단식 차량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승용차의 보유 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에서는 자동차의 주차문제가 커다란 현안으로 대두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좁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주차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입체식 순환 주차장치, 또는 다단식 주차장치 및 2단 주차장치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주차빌딩으로서의 입체식 순환 주차장치 및 다단식 주차장치의 경우에는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반면에 설비비 및 관리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입고 및 출고시간이 많이 들고 불편해서, 이러한 주차장치 설치를 회피하고 있고 또한 이용자들도 사용을 꺼리고 있는 설정이다.
이런 관계로 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다단식 주차장치와 다르게 주차면 한 면 한 면이 간편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2단 주차장치가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2단 또는 3단 주차장치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91-17040호에 공개된 것이 있다. 상기 주차장치는 2단식 주차장치로서, 지주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재 내측에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팔레트를 설치하여, 상기 팔레트에 차량을 입고한 후 구동수단에 의하여 차량이 탑재된 팔레트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팔레트의 하부에 또 다른 차량을 주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팔레트 및 팔레트상에 탑재된 차량을 승하강시키는데 막대한 동력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관리비용이 증대하게 된다.
종래의 2단 또는 다단 주차 방식은 주로 단순한 승하강 장치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존 2단 주차장치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공고번호 제1996-2342호 "무동력 2단 주차장치" (등록일자 : 1996.02.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배설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앞측에 주차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배설된 전후측 수직 지주들, 상기 후측 수직지주들의 뒤쪽에 수직으로 배설된 전후측 수직 프레임들, 상기 전후측 수직 지주들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는 수평지주들, 상기 전후측 수직 프레임들의 상단부들을 전후로 연결하는 판재들 및 상기 판재들의 상단들을 횡으로 연결하는 가로대로 구성된 골조 구조물 내측에 탑재대 및 상기 탑재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수단을 장착한 2단 주차장치로서, 상기 탑재대는 탑재대 프레임 및 상기 탑재대 프레임 상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스프링으로 탄설된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경사판의 하강시 양측에 구비된 제1견인수단을 통하여 상승되는 하부의 판추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2 및 제3견인수단을 통하여 탑재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기준판추와, 제4견인수단을 통하여 지지되어 승하강되는 상부의 판추와, 그리고 상기 기준판추 및 상기 상부의 판추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판추들로 구성되어, 상기 판추들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하여 판추들이 승하강함에 따라 견인수단들을 통하여 탑재대기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경사판이 탑재대 프레임의 상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동작되어 차량의 입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경사판이 하단에 위치한 차량과 간섭되므로 하단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한 후에만 입고 동작이 가능한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존 2단 주차장치는 하단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한 뒤 상단의 차량을 출고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상단에 주차를 원할 경우 하단에 주차된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단 플레이트를 좌우로 이동시킨 후 하단에 빈공간을 조성하여 상단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소위 퍼즐식 주차기가 있으나 이 방식 또한 하단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하단 주차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2단 주차장치의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8702호 "다단 주차 시스템"(등록일자 : 2013.07.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차 시스템의 바닥면 중 주차방향과 평행하고 주차 위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2중 레일; 상기 2중 레일 위에 위치하는 컨트롤 박스로서, 상기 2중 레일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2중 레일과 상기 컨트롤 박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2중 레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를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 위에 종 방향으로 세워진 채로 상기 컨트롤 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기둥으로서, 상기 기둥은 기둥의 종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기둥; 상기 기둥 내에 위치한, 상기 기둥의 종방향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체인; 차량이 주차되고, 차량을 상,하로 안내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체인에 체결된 플레이트 홀더로서, 상기 체인의 종방향 감김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플레이트 홀더를 포함한 것이다.
또,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2중 레일의 레일 사이 및 2중 레일의 바깥면과 지면의 측면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기둥의 종축을 중심으로 차량이 안착된 플레이트가 회전되어 하단에 위치한 차량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이점을 갖고 있으나, 상기 플레이트가 기둥에 대해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안착된 플레이트의 하중이 기둥의 회전 연결부위에 집중되어 휨 변형이 발생하거나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부품 내구성이 저하되고 심하게는 차량이 추락하여 손상을 입게 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 2단 주차장치는 층고가 높은 건물이나 지하 주차장에 적용하고 있으나, 폭방향 공간이 제한적인 개인 주택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2단 및 다단 주차장치는 프레임을 지면에 기립되게 매립 설치하거나,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등의 바닥을 시공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시공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바닥이 손상되는 단점으로 인해 경제적 및 시간적 손실로 작용하게 됨과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 다시 원상복귀시킬 경우 복구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차량을 2단 위치까지 리프팅시키는 승강장치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4670호 "수직 리프팅 기구"(등록일자 : 2020.02.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 장치, 구동 장치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선형 엑추에이터, 일단이 선형 엑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신축되는 시저 링크, 시저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시저 링크의 신축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모듈, 및 승강 모듈에 연결되어 승강 모듈이 승강함에 따라 승강하면서 대상을 승강시키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기존 승강장치는 신축 동작되는 시저 링크를 이용하여 승강 모듈을 리프팅 승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시저 링크의 부피로 인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시저 링크의 신축동작시 좌,우 양측에서 동일한 승강력과 동일 높이에서 승강 모듈의 승강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데 동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지 않을 경우 승강 모듈에 안착된 차량의 추락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존 주차설비는 프레임에 대해 승강 모듈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시저 링크 방식으로는 무거운 중량의 차량을 원활하게 승강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승강동작시 차량이 추락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존 주차설비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레일을 따라 프레임이 전,후진 이동될 경우 직진성을 갖도록 주행시킬 필요가 있고, 차량을 상,하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차량이 안착되는 받침판이 90˚각도로 회전될 때에만 받침판의 하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주차설비 기술이 요구되며,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관련된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 특허공고번호 제1996-2342호 "무동력 2단 주차장치" (등록일자 : 1996.02.1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8702호 "다단 주차 시스템"(등록일자 : 2013.07.1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4670호 "수직 리프팅 기구"(등록일자 : 2020.02.0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서 상,하측의 2단으로 차량을 주차할 수 있으며, 상측의 위치에 차량을 주차하고자 할 경우에 주차가 미숙한 운전자라도 주차가 용이하도록 프레임본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받침판을 하강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승강체인을 이용하여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경우 받침판의 높이 변위를 보상장치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본체의 전체 부피를 콤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고, 주행수단을 이용한 프레임본체의 전,후 방향 이동시 가이드돌부와 주행롤러를 이용하여 프레임본체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여 이동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2단식 차량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제1,2하부프레임과, 상기 제1,2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프레임본체가 상기 레일부재의 전방측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측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이 안착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본체에 탑재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승강모터와,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본체의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 구동시 연동 회전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2승강스프로킷과, 상기 제1,2승강스프로킷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에 연결되고 가이드수단에 의해 타단이 상기 받침판의 하판 각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연결축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2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제1,2승강체인, 및 상기 연결축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제1,2승강체인의 부위별 높이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프레임본체에 대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받침판;을 구비하며,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상부에 탑재되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본체의 좌,우 양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주행축과, 상기 주행축의 양단부에 마련된 각각 마련된 주행스프로킷에 연동되어 궤도 회전되는 제1,2주행체인, 및 상기 제1,2주행체인의 궤도 회전시 연동 회전되도록 스프로킷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본체의 제1,2하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회전 동작시 상기 레일부재 상에서 구름운동되는 주행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프레임본체가 상기 레일부재의 전방측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프레임본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측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이 안착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받침판;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하판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구동되며 회전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기어를 갖는 회전모터와, 상부에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기어와 연동되고 하측에 제1회전스프로킷이 결합되며 상기 하판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회전축과 연동되도록 상기 제1회전스프로킷과 회전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스프로킷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회전판을 연동 회전시키는 회전부재가 마련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연동되도록 맞물림 결합되는 링기어가 형성되는 회전판, 및 상기 하판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구름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는 주행롤러의 전,후진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레일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후단까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판의 상판 좌,우 양측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강동작시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 진입되는 차량의 진입을 가이드하며 상기 상판에 안착된 차량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플레이트를 갖는 스톱퍼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제1,2주행체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를 더 구비하되, 상기 텐셔너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주행체인의 궤도 회전을 보조하는 보조스프로킷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각각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조스프로킷의 제1,2주행체인의 지지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2주행체인을 지지하는 텐션스프로킷, 및 상기 텐션스프로킷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대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결합볼트가 상기 고정브라켓에 너트로 결합되는 텐션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회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하강동작시 타단부가 상기 제1,2하부프레임에 접촉되며 상기 제1,2하부프레임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동작되는 스톱퍼브라켓과, 상기 스톱퍼브라켓과 상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톱퍼브라켓의 타단부를 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회동축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고 연결체인이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스톱퍼스프로킷과, 상기 제1스톱퍼스프로킷의 회전동작과 연동되도록 상기 연결체인에 연결되는 제2스톱퍼스프로킷과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회동축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링크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1구름롤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형 고리 형태의 지지판, 및 상기 하판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의 회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2구름롤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하판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연동 회전되며 제동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상판측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롤러와, 상기 상판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될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롤러측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상장치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승강블록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는 상기 제1,2승강체인의 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제1전환스프로킷과,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제1,2승강체인이 상기 제1전환스프로킷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좌,우 양측에 제2,3전환스프로킷이 배치되며 상기 승강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제1,2승강체인을 상기 제3전환스프로킷에서 상기 승강축의 제1,2승강스프로킷측으로 안내하는 안내스프로킷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받침판의 하판 모서리 부위에 각각 마련된 연결축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승강레일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레일은 상기 제1,2승강체인이 파단될 경우, 상기 각 연결축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입구측 좌,우 양측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승강축의 제1,2승강스프로킷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승강체인을 제2고정부재측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연결축의 승강동작시 상기 제1승강체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스프로킷과, 상기 승강축의 제1,2승강스프로킷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승강체인을 하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2가이드스프로킷과, 상기 제1,2하부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스프로킷으로부터 내려오는 제2승강체인을 전방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3가이드스프로킷과, 상기 제3가이드스프로킷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된 제1,2하부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승강체인을 상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4가이드스프로킷과, 상기 제3,4수직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가이드스프로킷에 의해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제2승강체인을 상기 제3,4수직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된 제2고정부재측으로 가이드하는 제5가이드스프로킷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주행수단의 주행축과 제1,2주행체인을 이용하여 제1,2수직프레임의 좌,우 양측에서 궤도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본체를 레일부재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돌부와 복수의 주행롤러를 이용하여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보조스프로킷과 텐셔너를 이용하여 제1,2주행체인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수단의 제1,2승강체인을 이용하여 받침판의 하판 모서리 부위에 각각 마련된 연결축을 승강레일 내에서 상,하로 부드럽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보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축의 높이 변위에 따른 상기 제1,2승강체인의 부위별 높이변화를 보상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본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수단의 회전모터와 제1,2회전축 및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받침판의 상판을 하판에 대해 90˚의 회전각도로 회전 및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상판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판이 90˚의 회전각도로 회전될 경우에만 승강수단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주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차량 주차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승강수단에 의해 받침판의 하판이 하강 및 상승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주행수단에 의해 프레임본체가 전,후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스톱퍼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스톱퍼 플레이트가 지면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연결축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제1승강체인의 보상장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연결축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제2승강체인의 보상장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회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회전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텐셔너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차량 주차설비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10)와; 상기 레일부재(10)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제1,2하부프레임(21,22)과,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23,24,25,26)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본체(20)와; 상기 프레임본체(2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주행수단(100)과; 상기 프레임본체(20)가 상기 레일부재(10)의 전방측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하판(220)과, 상기 하판(220)의 상측에 회전수단(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이 안착되는 상판(210)으로 구성되는 받침판(200)과; 상기 받침판(200)을 상기 프레임본체(20)에 대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프레임본체(20)에 탑재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승강모터(310)와,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수직프레임(23,24,25,2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모터(310)의 회전 구동시 체인으로 연동 회전되는 승강축(320)과, 상기 승강축(32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과, 상기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340)에 연결되고 가이드수단에 의해 타단이 상기 받침판(200)의 하판(220) 각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연결축(225)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2고정부재(350)에 연결되는 제1,2승강체인(332,334), 및 상기 연결축(225)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제1,2승강체인(332,334)의 부위별 높이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10)는 좌,우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레일부재(12,14)로 구성되고, 길이방향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후방의 후단에 위치하는 구간의 상측에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직진성을 보조하도록 주행롤러(14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15)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돌부(15)는 차량이 상기 레일부재(1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할 경우, 방지턱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되어 상기 레일부재(10)의 후단까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본체(20)는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이 상기 주행수단(100)에 의해 상기 레일부재(10) 상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후방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2수직프레임(23,24), 및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전방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4수직프레임(25,2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2,3,4수직프레임(23,24,25,26)이 제1,2하부프레임(21,22)의 모서리 부위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2수직프레임(23,24)은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후단 상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4수직프레임(25,26)은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선단 상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2,3,4수직프레임(23,24,25,26)은 상기 받침판(200)의 하판(220) 모서리 부위에 각각 마련된 연결축(225)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승강레일(800)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은 내부에 주행수단(100)의 주행롤러(140)가 배치되고,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일부 부위가 수용된다.
상기 주행수단(1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23)의 상부에 탑재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주행모터(110)와, 상기 주행모터(110)의 회전 구동력이 연동체인(115)을 통해 전달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2수직프레임(23,24)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주행축(120)과, 상기 주행축(12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주행스프로킷(122)에 연동되어 궤도 회전되는 제1,2주행체인(132,134), 및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궤도 회전시 연동 회전되도록 스프로킷 연결되고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회전 동작시 상기 레일부재(10) 상에서 구름운동되는 주행롤러(140)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모터(110)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23)의 상부에 마련된 브라켓에 탑재되고, 상기 주행모터(110)의 회전 구동력이 연동체인(115)을 통해 상기 주행축(120)에 전달된다.
상기 주행축(120)은 상기 연동체인(115)이 체결되는 연동스프로킷이 마련되고, 단부에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이 연동 회전되도록 주행스프로킷(122)이 마련되며, 상기 주행모터(110)의 정,역방향 회전 구동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은 상기 주행스프로킷(122)과 상기 주행롤러(140)의 스프로킷에 감겨지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주행축(120)의 회전동작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궤도 회전되며, 상기 주행롤러(1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본체(20)를 레일부재(10)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동작되도록 주행시키게 된다.
상기 주행롤러(1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하부프레임(21,22)의 후단과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후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4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궤도 회전 방향에 따라 레일부재(10) 상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름운동된다.
또한, 상기 주행롤러(140)는 상기 가이드돌부(15)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전,후진 주행시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앙 부위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주행수단(100)은 제1,2주행체인(132,134)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보조스프로킷(150)이 복수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주행수단(100)은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17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텐셔너(17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수직프레임(23,24)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궤도 회전을 보조하는 보조스프로킷(150)과, 상기 제1,2수직프레임(23,24)에 각각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조스프로킷(150)의 제1,2주행체인(132,134)의 지지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을 지지하는 텐션스프로킷(171), 및 상기 텐션스프로킷(17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2수직프레임(23,24)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75)에 대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173)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73)을 관통하는 결합볼트(176)가 상기 고정브라켓(175)에 너트(177)로 결합되는 텐션브라켓(17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75)은 상기 제1,2수직프레임(23,24)의 후방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트(176)의 단부와 체결되는 너트(177)가 면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텐션브라켓(172)은 상기 장공(173) 내에 관통되는 상기 결합볼트(176)와 상기 결합볼트(176)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177)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75)에 전,후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텐션브라켓(172)은 후방 측에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74)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을 제2고정부재(350)측으로 연결하도록 제1,2승강체인(332,334)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의 구성은 도 2와 도 3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승강체인(332)을 제2고정부재(350)측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연결축(225)의 승강동작시 상기 제1승강체인(33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스프로킷(710)과,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승강체인(334)을 하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2가이드스프로킷(720)과,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스프로킷(720)으로부터 내려오는 제2승강체인(334)을 전방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3가이드스프로킷(730)과, 상기 제3가이드스프로킷(730)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된 제1,2하부프레임(2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승강체인(334)을 상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4가이드스프로킷(740)과, 상기 제3,4수직프레임(25,26)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가이드스프로킷(740)에 의해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제2승강체인(334)을 상기 제3,4수직프레임(25,26)의 상부에 마련된 제2고정부재(350)측으로 가이드하는 제5가이드스프로킷(750)을 구비한다.
상기 보상장치(600)는 상기 제1고정부재(340)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승강블록(620)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는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제1전환스프로킷(610)과, 상기 제1고정부재(340)에 일단이 고정된 제1,2승강체인(332,334)이 상기 제1전환스프로킷(6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좌,우 양측에 제2,3전환스프로킷(620,630)이 배치되며 상기 승강축(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승강블록(620), 및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을 상기 제3전환스프로킷(630)에서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측으로 안내하는 안내스프로킷(650)을 구비한다.
상기 보상장치(600)는 상기 승강블록(620)을 관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과 수직프레임(23,24,25,26)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승강블록(620)의 상,하 방향 승강동작시 상기 승강블록(620)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봉(660)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상장치(600)는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340)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이 상기 제1,2,3,4수직프레임(23,24,25,26)의 승강레일(800) 상부에 마련된 제2고정부재(350)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승강축(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동작되는 상기 연결축(225)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제1,2승강체인(332,334)의 변위를 보상하도록 상기 승강블록(620)의 상,하 승강동작시 발생되는 높이 변위로 보상하게 된다.
즉, 상기 보상장치(600)는 상기 하판(220)의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연결축(225)이 상측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블록(620)이 하부 위치에 위치하게 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연결축(225)을 하강동작시켜 받침판(200)을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승강모터(310)를 역방향 구동시켜 상기 승강축(32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일단과 타단이 제1,2고정부재에 고정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에 의해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이 풀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 상측에 안착된 연결축(225)이 천천히 하강동작되어 상기 연결축(225)의 하강동작을 보조하게 되고,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이 풀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승강블록(620)의 제2,3전환스프로킷(620,630)이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일단이 고정된 제1고정부재(340)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판(200)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승강모터(310)를 정방향 구동시켜 상기 승강축(32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에 의해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일단이 상기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측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블록(620)을 하강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제1,2승강체인(332,334)의 일단이 풀어지게 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축(320)이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측에 안착된 상태로 하강동작되면서 상기 받침판(200)을 상측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20)가 주행수단(10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후에만 상판(210)이 하판(220)에 대해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하판(22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구동되며 회전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기어(415)를 가지며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모터(410)와, 상부에 상기 회전모터(410)의 회전기어(415)와 연동되고 하측에 제1회전스프로킷(422)이 결합되며 상기 하판(220)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제1회전축(420)과, 상기 제1회전축(420)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회전축(420)과 연동되도록 상기 제1회전스프로킷(422)과 회전체인(440)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스프로킷(432)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210)과 결합되는 회전판(450)을 연동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35)가 마련되는 제2회전축(430)과, 상기 상판(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435)에 연동되도록 맞물림 결합되는 링기어(455)가 형성되는 회전판(450), 및 상기 하판(220)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4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구름롤러(46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름롤러(46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판(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형 고리 형태의 지지판(470), 및 상기 하판(220)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470)의 회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2구름롤러(4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축(420)은 상부에 상기 회전모터(410)의 회전기어(415)와 연동되는 연동기어(425)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어(415)와 연동기어(425)는 베벨기어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둘레에 상기 회전판(450)의 링기어(455) 기어 피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회전봉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회전봉은 상기 링기어(455)와 기어 맞물림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회전축(430)의 회전력에 의해 로터리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450)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4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220)의 상측에 지지축(미도시)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210)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연동 회전되며 제동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상판(210)측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롤러(495)와, 상기 지지축에 축 결합되고 상기 상판(2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될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롤러(495)측에 상기 지지축을 통해 제동력을 전달하는 디스크 브레이크(49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도 10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앞서 설명한 회전모터(410)측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410)가 정,역방향 회전 구동되며, 상기 회전모터(410)의 정방향 회전 구동시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이 승강동작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 90°의 각도로 교차되도록 정방향 회전되거나, 0˚의 각도로 역방향 회전되어 복귀되도록 상기 상판(210)이 하판(220)에 대해 회전동작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회전모터(410)가 역방향 구동될 경우, 상기 상판(210)의 양측단 테두리가 상기 하판(220)에 서로 간섭되는 0˚(360˚)의 회전각도로 복귀동작된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회전모터(410)의 정방향 구동시 모터축의 회전기어(415)와 제1회전축(420)의 연동기어(425)가 베벨 기어타입으로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1회전축(4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1회전축(420)의 하부에 마련된 제1회전스프로킷(422)과 회전체인(440)을 통해 상기 제2회전스프로킷(432)측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상기 제2회전축(43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제2회전축(430)의 상부에 마련된 회전부재(435)를 회전 구동시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기어(455)를 통해 회전판(450) 및 상판(210)을 연동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한 회전판(450)의 회전시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제1구름롤러(460)가 상기 회전판(450)의 하측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판(450)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구름 운동되어 상기 회전판(450)의 회전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상판(210)의 90°또는 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각도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회전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회전판(450)의 회전 동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제2구름롤러(480)가 상기 상판(210)에 결합된 지지판(470)의 하측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상판(210)과 지지판(470)의 회전시 상기 지지판(470)의 하측과 연동되도록 구름운동되어 상기 상판(210)과 결합된 지지판(470)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상판(210)이 정위치(0˚또는 90˚)에 위치한 후에 상판(21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디스크 브레이크(490)를 동작시켜 상기 브레이크 롤러(495)를 통해 상기 상판(210)에 제동 마찰력을 전달하여 상기 상판(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제품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받침판(200)의 하판(220) 모서리 부위에 각각 마련된 연결축(225)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승강레일(80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레일(800)은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이 파단될 경우, 상기 각 연결축(225)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입구측 좌,우 양측에 플랜지부(81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200)의 상판(210) 좌,우 양측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받침판(2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상판(210)의 상측으로 진입되는 차량의 진입을 가이드하며 상기 상판(210)에 안착된 차량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플레이트(510)를 갖는 스톱퍼수단(5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수단(5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상판(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회동축(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판(210)의 하강동작시 타단부가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에 접촉되며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동작되는 스톱퍼브라켓(530)과, 상기 스톱퍼브라켓(530)과 상판(2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톱퍼브라켓(530)의 타단부를 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540)와, 상기 제1회동축(520)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고 연결체인(550)이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스톱퍼스프로킷(525)과, 상기 제1스톱퍼스프로킷(525)의 회전동작과 연동되도록 상기 연결체인(550)에 연결되는 제2스톱퍼스프로킷(565)과 제2회동축(560), 및 상기 제2회동축(56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51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링크 연결되는 링크부재(570)를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브라켓(530)은 타단부가 상기 스프링부재(540)의 하단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200)의 하강동작시 타단부의 하부가 제1,2하부프레임(21,22)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제1회동축(520) 및 제1스톱퍼스프로킷(525)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회동축(520,560)은 상기 제1,2스톱퍼스프로킷(525,565)과 연결체인(550)에 의해 서로 연동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회동축(560)은 상기 링크부재(570)에 의해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51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재(570)는 상기 제2회동축(560)의 회전 움직임을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510)측에 확대된 회전각도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를 위해 상기 제2회동축(560)과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572)와, 상기 제1링크부재(572)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고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510)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제2링크부재(57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체인(550)은 상기 제1,2스톱퍼스프로킷(525,565)을 연동 회전시키도록 궤도 형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받침판(200)이 제1,2,3,4수직프레임(23,24,25,26)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주행수단(100)으로 프레임본체(20)를 레일부재(1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 회전수단(400)을 이용하여 받침판(200)의 상판(210)을 하판(220)에 대해 90˚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 상기 상판(210)이 회전된 후에 상기 승강수단(300)을 이용하여 받침판(200)을 하강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510)는 상기 받침판(200)의 하강동작시 스톱퍼수단(500)에 의해 스톱퍼 플레이트(510) 단부가 지면측으로 회전되어 차량이 받침판(200)의 상판(210) 상측으로 안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측 2단 위치에서의 주차시 차량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받침판(200)을 노면에 근접된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2단 주차시 주차가 어려운 "T"자 방식이 아닌 차량의 진행방향 그대로 받침판(200)의 상측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주차가 미숙한 운전자라도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 차량은 받침판(200)의 상판(210)이 상측으로 상승된 후에는 차량이 수직프레임(23,24,25,26)의 상측인 2단 위치로 올라가게 된다.
이후에, 차량이 상기 상판(210)의 상측으로 안착된 후에 다시 받침판(200)을 상기 승강수단(300)으로 다시 상측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차량이 안착된 상판(210)을 회전수단(400)을 이용하여 하판(220)에 대해 원래 위치인 0˚의 회전 각도를 갖도록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주행수단(100)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본체(20)를 레일부재(1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받침판(200)의 하측에 1단 위치로도 차량을 주차할 수 있게 되어 상,하 2단으로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차량의 주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주행수단(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모터(110)의 정방향 구동시 주행축(120)이 정방향 회전 구동되고, 상기 주행축(120)의 정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제1,2주행체인(132,134)이 정방향으로 궤도 회전되며,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복수의 주행롤러(140)가 레일부재(10) 상에서 구름 운동되어 프레임본체(2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은 복수의 보조스프로킷(150)과 텐셔너(170)에 의해 궤도 회전중에 적당한 텐션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주행수단(100)은 주행모터(110)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주행축(120)이 역방향 회전 구동되고, 상기 상기 주행축(120)의 역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제1,2주행체인(132,134)이 역방향으로 궤도 회전되며,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복수의 주행롤러(140)가 레일부재(10) 상에서 구름 운동되어 프레임본체(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승강모터(310)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승강축(320)을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강축(320)의 정방향 구동시 제1,2승강체인(332,334)을 감아서 상기 제1고정부재(340)측으로 연결되는 제1,2승강체인(332,334)의 일단이 풀어지게 되어 상기 승강블록(620)을 하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재(350)에 연결된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을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여 상기 연결축(225)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어 상기 받침판(200)을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승강모터(310)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승강축(320)을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강축(320)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제2고정부재(350)에 연결된 제1,2승강체인(332,334)의 타단을 풀어서 상기 연결축(225)을 하측으로 하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승강모터(310)의 정,역방향 구동시 제1,2승강체인(332,334)의 부위별 높이 변화를 상기 보상장치(600)의 승강블록(620)이 상,하로 승강동작되면서 높이 변위 변화를 보상하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회전모터(410)의 일방향 구동시 상기 회전기어(415)와 연동기어(425)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회전축(420)을 정방향 회전시키고, 상기 제1회전축(420)의 제1회전스프로킷(422)과 회전체인(440)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스프로킷(432)을 통해 제2회전축(430)을 연동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축(430)의 회전부재(435)을 이용하여 링기어(455)가 형성되는 회전판(450)을 연동회전시켜 상기 회전판(450)과 결합된 상판(210)을 하판(220)에 대해 90˚의 회전 각도로 연동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400)은 회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210)이 90˚의 회전각도로 회전된 후에, 상기 회전모터(410)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90)의 제동력을 상기 상판(210)과 접촉된 브레이크 롤러(495)측에 전달하여 상기 상판(210)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회전모터(410)의 타방향 구동시 상기 회전기어(415)와 연동기어(425)가 연동 회전되어 상기 제1회전축(420)을 역방향 회전시키고, 상기 제1회전축(420)의 제1회전스프로킷(422)과 회전체인(440)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스프로킷(432)을 통해 제2회전축(430)을 연동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축(430)의 회전부재(435)을 이용하여 링기어(455)가 형성되는 회전판(450)을 연동회전시켜 상기 회전판(450)과 결합된 상판(210)을 하판(220)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0˚의 회전 각도로 복귀하도록 연동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회전수단(400)은 상판(210) 회전시 상기 상판(210)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회전판(450)과 제1,2구름롤러(460,480) 및 지지판(47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판(2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차량이 프레임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탑재되도록 상판(210)이 90˚의 회전각도로 회전될 경우에만 승강수단(30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주행수단(100)의 주행축(110)과 제1,2주행체인(132,134)을 이용하여 제1,2수직프레임(23,24)의 좌,우 양측에서 궤도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본체(20)를 레일부재(1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돌부(15)와 복수의 주행롤러(140)를 이용하여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보조스프로킷(150)과 텐셔너(170)를 이용하여 제1,2주행체인(132,134)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수단(300)의 제1,2승강체인(332,334)을 이용하여 받침판(200)의 하판(220) 모서리 부위에 각각 마련된 연결축(225)을 승강레일(800) 내에서 상,하로 부드럽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보상장치(60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축(225)의 높이 변위에 따른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부위별 높이변화를 보상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본체(20)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수단(400)의 회전모터(410)와 제1,2회전축(420,430) 및 회전부재(435)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450)을 이용하여 받침판(200)의 상판(210)을 하판(220)에 대해 90˚의 회전각도로 회전 및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상판(210)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차량이 프레임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탑재되도록 상판(210)이 90˚의 회전각도로 회전될 경우에만 승강수단(30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주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레일부재 12,14 : 제1,2레일부재
15 : 가이드돌부 20 : 프레임본체
21,22 : 제1,2하부프레임 23,24,25,26 : 제1,2,3,4수직프레임
100 : 주행수단 110 : 주행모터
115 : 연동체인 120 : 주행축
122 : 주행스프로킷 132,134 : 제1,2주행체인
140 : 주행롤러 150 : 보조스프로킷
170 : 텐셔너 171 : 텐션스프로킷
172 : 텐션브라켓 173 : 장공
174 : 손잡이 175 : 고정브라켓
176 : 결합볼트 177 : 너트
200 : 받침판 210 : 상판
220 : 하판 225 : 연결축
300 : 승강수단 310 : 승강모터
320 : 승강축 322,324 : 제1,2승강스프로킷
332,334 : 제1,2승강체인 340 : 제1고정부재
350 : 제2고정부재 400 : 회전수단
410 : 회전모터 415 : 회전기어
420 : 제1회전축 422 : 제1회전스프로킷
425 : 연동기어 430 : 제2회전축
435 : 회전부재 440 : 회전체인
450 : 회전판 455 : 링기어
460 : 제1구름롤러 470 : 지지판
480 : 제2구름롤러 490 : 디스크 브레이크
495 : 브레이크 롤러 500 : 스톱퍼수단
510 : 스톱퍼 플레이트 520 : 제1회동축
525 : 제1스톱퍼스프로킷 530 : 스톱퍼브라켓
540 : 스프링부재 550 : 연결체인
560 : 제2회동축 565 : 제2스톱퍼스프로킷
570 : 링크부재 572,574 : 제1,2링크부재
600 : 보상장치 610 : 제1전환스프로킷
620 : 승강블록 630,640 : 제2,3전환스프로킷
650 : 안내스프로킷 660 : 수직가이드봉
710,720,730,740,750 : 제1,2,3,4,5가이드스프로킷

Claims (13)

  1.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10)와;
    상기 레일부재(10)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제1,2하부프레임(21,22)과,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23,24,25,26)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본체(20)와;
    상기 프레임본체(2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주행수단(100)과;
    상기 프레임본체(20)가 상기 레일부재(10)의 전방측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하판(220)과, 상기 하판(220)의 상측에 회전수단(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이 안착되는 상판(210)으로 구성되는 받침판(200)과;
    상기 받침판(200)을 상기 프레임본체(20)에 대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프레임본체(20)에 탑재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승강모터(310)와,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수직프레임(23,24,25,2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모터(310)의 회전 구동시 연동 회전되는 승강축(320)과, 상기 승강축(32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과, 상기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34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기 받침판(200)의 하판(220) 각 모서리 부위에 마련된 연결축(225)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2고정부재(350)에 연결되는 제1,2승강체인(332,334), 및 상기 연결축(225)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제1,2승강체인(332,334)의 부위별 높이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장치(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2.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10)와;
    상기 레일부재(10)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본체(20)와;
    상기 프레임본체(2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주행수단(100)과;
    상기 프레임본체(20)에 대해 승강수단(300)에 의해 승강되는 받침판(200);을 구비하며,
    상기 주행수단(100)은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상부에 탑재되는 주행모터(110)와,
    상기 주행모터(1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좌,우 양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주행축(120)과,
    상기 주행축(120)의 양단부에 마련된 각각 마련된 주행스프로킷(122)에 연동되어 궤도 회전되는 제1,2주행체인(132,134), 및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궤도 회전시 연동 회전되도록 스프로킷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본체(20)의 제1,2하부프레임(21,22)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회전 동작시 상기 레일부재(10) 상에서 구름운동되는 주행롤러(1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3.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10)와;
    상기 레일부재(10)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본체(20)와;
    상기 프레임본체(2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주행수단(100)과;
    상기 프레임본체(20)가 상기 레일부재(10)의 전방측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프레임본체(20)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하판(220)과, 상기 하판(220)의 상측에 회전수단(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이 안착되는 상판(210)으로 구성되는 받침판(200);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하판(22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구동되며 회전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기어(415)를 갖는 회전모터(410)와,
    상부에 상기 회전모터(410)의 회전기어(415)와 연동되고 하측에 제1회전스프로킷(422)이 결합되며 상기 하판(220)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제1회전축(420)과,
    상기 제1회전축(420)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회전축(420)과 연동되도록 상기 제1회전스프로킷(422)과 회전체인(440)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스프로킷(432)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210)과 결합되는 회전판(450)을 연동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35)가 마련되는 제2회전축(430)과,
    상기 상판(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435)에 연동되도록 맞물림 결합되는 링기어(455)가 형성되는 회전판(450), 및
    상기 하판(220)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4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구름롤러(4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10)는 주행롤러(140)의 전,후진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부(15)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부(15)는 상기 레일부재(10)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레일부재(10)의 후단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0)의 상판(210) 좌,우 양측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받침판(2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상판(210)의 상측으로 진입되는 차량의 진입을 가이드하며 상기 상판(210)에 안착된 차량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플레이트(510)를 갖는 스톱퍼수단(5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수단(500)은 일단부가 상기 상판(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회동축(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판(210)의 하강동작시 타단부가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에 접촉되며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동작되는 스톱퍼브라켓(530)과,
    상기 스톱퍼브라켓(530)과 상판(2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톱퍼브라켓(530)의 타단부를 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540)와,
    상기 제1회동축(520)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고 연결체인(550)이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스톱퍼스프로킷(525)과,
    상기 제1스톱퍼스프로킷(525)의 회전동작과 연동되도록 상기 연결체인(550)에 연결되는 제2스톱퍼스프로킷(565)과 제2회동축(560), 및
    상기 제2회동축(56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51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링크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100)은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170)를 더 구비하되,
    상기 텐셔너(170)는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의 궤도 회전을 보조하는 보조스프로킷(150)과,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에 각각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조스프로킷(150)의 제1,2주행체인(132,134)의 지지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2주행체인(132,134)을 지지하는 텐션스프로킷(171), 및
    상기 텐션스프로킷(17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75)에 대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173)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73)을 관통하는 결합볼트(176)가 상기 고정브라켓(175)에 너트(177)로 결합되는 텐션브라켓(1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제1구름롤러(46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판(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형 고리 형태의 지지판(470), 및 상기 하판(220)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470)의 회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2구름롤러(48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0)은 상기 하판(2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210)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연동 회전되며 제동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상판(210)측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롤러(495)와,
    상기 상판(2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될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롤러(495)측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디스크 브레이크(49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장치(600)는 상기 제1고정부재(340)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승강블록(620)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는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의 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제1전환스프로킷(610)과,
    상기 제1고정부재(340)에 일단이 고정된 제1,2승강체인(332,334)이 상기 제1전환스프로킷(6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좌,우 양측에 제2,3전환스프로킷(620,630)이 배치되며 상기 승강축(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승강블록(620), 및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을 상기 제3전환스프로킷(630)에서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측으로 안내하는 안내스프로킷(6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상장치(600)는 상기 승강블록(620)을 관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과 수직프레임(23,24,25,26)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승강블록(62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봉(66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받침판(200)의 하판(220) 모서리 부위에 각각 마련된 연결축(225)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승강레일(80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레일(800)은 상기 제1,2승강체인(332,334)이 파단될 경우, 상기 각 연결축(225)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입구측 좌,우 양측에 플랜지부(8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승강체인(332)을 제2고정부재(350)측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연결축(225)의 승강동작시 상기 제1승강체인(33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스프로킷(710)과,
    상기 승강축(320)의 제1,2승강스프로킷(322,324)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승강체인(334)을 하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2가이드스프로킷(720)과,
    상기 제1,2하부프레임(21,2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스프로킷(720)으로부터 내려오는 제2승강체인(334)을 전방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3가이드스프로킷(730)과,
    상기 제3가이드스프로킷(730)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된 제1,2하부프레임(2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승강체인(334)을 상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4가이드스프로킷(740), 및
    상기 수직프레임(23,24,25,26) 중 제3,4수직프레임(25,26)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4가이드스프로킷(740)에 의해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제2승강체인(334)을 상기 제3,4수직프레임(25,26)의 상부에 마련된 제2고정부재(350)측으로 가이드하는 제5가이드스프로킷(7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차량 주차설비.






KR1020220080368A 2022-06-30 2022-06-30 2단식 차량 주차설비 KR10265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368A KR102658483B1 (ko) 2022-06-30 2022-06-30 2단식 차량 주차설비
JP2023097026A JP2024007361A (ja) 2022-06-30 2023-06-13 二段式車両駐車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368A KR102658483B1 (ko) 2022-06-30 2022-06-30 2단식 차량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199A true KR20240003199A (ko) 2024-01-08
KR102658483B1 KR102658483B1 (ko) 2024-04-17

Family

ID=8953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368A KR102658483B1 (ko) 2022-06-30 2022-06-30 2단식 차량 주차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4007361A (ko)
KR (1) KR1026584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42A (ko) 1994-06-30 1996-01-26 김주용 플로피디스크 바이러스 감지장치
KR20030029578A (ko) * 2003-03-18 2003-04-14 김정학 골목길용 주차장치
KR101288702B1 (ko) 2011-03-07 2013-07-22 진동준 다단 주차 시스템
KR102074670B1 (ko) 2019-09-06 2020-02-07 최재구 수직 리프팅 기구
KR102395114B1 (ko) * 2020-06-11 2022-05-09 박수종 차량용 2단 주차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42A (ko) 1994-06-30 1996-01-26 김주용 플로피디스크 바이러스 감지장치
KR20030029578A (ko) * 2003-03-18 2003-04-14 김정학 골목길용 주차장치
KR101288702B1 (ko) 2011-03-07 2013-07-22 진동준 다단 주차 시스템
KR102074670B1 (ko) 2019-09-06 2020-02-07 최재구 수직 리프팅 기구
KR102395114B1 (ko) * 2020-06-11 2022-05-09 박수종 차량용 2단 주차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483B1 (ko) 2024-04-17
JP2024007361A (ja)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5936C (en) Vehicles and trailers incorporating moveable load carrying platforms
JP4710882B2 (ja) 昇降及び回転機能付き搬送台車並びにそれを用いた自動車組立ライン
US6332743B1 (e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EP2855201B1 (en) A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US3119506A (en) Side-loading transfer vehicle
JP6530674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2658483B1 (ko) 2단식 차량 주차설비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GB2123466A (en) Curtain sided railway goods vehicle
JP2991230B2 (ja) 車両搬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駐車装置
JP3833204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833203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CN220562620U (zh) 一种车载货物装卸系统
JP3545539B2 (ja) 機械式立体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KR0120833Y1 (ko) 입체형 주차장치의 팔레트 승강구조
CN220562610U (zh) 一种平板车及具有其的搬运装置
JP5667825B2 (ja) ゲート装置
JP3270436B2 (ja) 立体駐車装置のパレット支持装置
JP2979881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H03208970A (ja) 立体駐車装置
KR100632390B1 (ko) 이동형 주차장치
JPH0140911Y2 (ko)
CN116788141A (zh) 一种车载货物装卸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