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161A - 생체정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161A
KR20160102161A KR1020167012924A KR20167012924A KR20160102161A KR 20160102161 A KR20160102161 A KR 20160102161A KR 1020167012924 A KR1020167012924 A KR 1020167012924A KR 20167012924 A KR20167012924 A KR 20167012924A KR 20160102161 A KR20160102161 A KR 2016010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raction grating
optical path
measurement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95Calibrating or testing of in-vivo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61B2562/0242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for varying or adjusting the optical path length in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8Microscale sensors, e.g. electromechanical sensors [M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지 않고, 장치 구성이 소형화된 생체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 회절격자(110)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10)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분광함으로써, 분광 광학계의 부품수 및 소요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10)을 대신하여, 측정용 프로브(106)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측정용 프로브(106)로 출사하는 반사 부재(140)를 설치함으로써, 측정 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 경로와, 레퍼런스 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 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어, 소요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특히, 분광 광학계 및 레퍼런스 신호용 광학계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정보 측정 장치{BIOLOGICAL-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광을 사용하여 혈당값 등의 생체정보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근적외선을 검체(인체)에 조사하여, 검체로부터의 반사광을 분석함으로써 혈당값을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장치가 있다. 이 종류의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4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류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측정 대상으로 인도하는 제 1 광학계와,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인도하는 제 2 광학계와, 제 2 광학계에 의해 인도된 반사광을 분광하는 분광 광학계와, 분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와, 캘리브레이션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얻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용 광학계를 갖는다.
일본 특개 2006-87913호 공보 일본 특개 2002-65465호 공보 일본 특개 2007-259967호 공보 일본 특개 2012-191969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생체정보 측정 장치를 소형화하여 휴대할 수 있게 하면, 유저는 언제나 혈당값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소형화하면, 기존의 체조성계 등의 다른 건강관리 기구에도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된다고 한 이점도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생체정보 측정 장치에서는, 주요 부품의 수광 소자가 어레이형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소형화의 점에서 아직 불충분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하나의 태양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측정 대상으로 인도하는 제 1 광학 경로와,
상기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인도하는 제 2 광학 경로와,
상기 제 2 광학 경로에 의해 인도된 반사광을 분광하는 회전 회절격자와,
상기 회전 회절격자로부터의 분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와,
상기 측정 대상을 대신하여, 상기 제 1 광학 경로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 2 광학 경로에 출사하는 반사 부재
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회전 회절격자의 회절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회전 회절격자가 설치된 MEMS 디바이스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회전 회절격자의 회전 위치가 동일하며, 미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회절격자의 위치를 변경한 경우의, 광검출기(PD)에 의해 측정되는 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로크인 앰프 검파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반사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반사 부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생체정보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인 피검자(10)의 혈당값을 생체정보로 하여 비침습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피검자(10)에 근적외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해석하게 되어 있다.
생체정보 측정 장치(100)는 광원(101)에 의해 근적외선을 발생한다. 광원(101)은 LED(Light Emitting Diode), 할로겐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101)으로부터의 광은 핀홀(102)을 통과한 후에, 집광 렌즈(103)에 의해 집광된다. 집광된 광은 광 입사체(104)로부터 발광측 광 파이버(105)에 입사된다. 발광측 광 파이버(105)의 일단은 광 입사체(104)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발광측 광 파이버(105)의 타단은 측정용 프로브(10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핀홀(102)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없어도 된다.
측정용 프로브(106)는 피검자(10)의 피부의 표면에 선단을 접촉할 수 있는 위치, 또는 피부의 극히 근방에서 피부에 대향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발광측 광 파이버(105) 및 측정용 프로브(106)를 통하여 피검자(10)에 조사된 근적외광은 피검자(10)의 체 내에 침입하고 반사되어 측정용 프로브(106)로 돌아간다. 측정용 프로브(106)로 돌아간 광은 수광측 광 파이버(107)를 통하여 광 출사체(108)로부터 출사된다. 광 출사체(108)로부터 출사된 광은 렌즈계(109)에 의해 콜리메이트 광으로 한 후에, 회전 회절격자(110)에 입사된다.
또한, 근적외광을 사용한 혈당값 등의 생체정보의 측정 원리는 공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간단히 말하면, 체내에서의 근적외광의 흡수 강도는 글루코오스의 존재에 의해 큰 영향을 받으므로, 그 흡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체내의 글루코오스 농도 즉 혈당값을 측정한다.
회전 회절격자(110)는 도면 중의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한다. 회전 회절격자(110)의 입사면은 미러면으로 되어 있어, 입사한 광을 반사한다. 즉, 회전 회절격자(110)는 미러면으로의 입사각이 변화되도록 회전한다. 회전 회절격자(110)에 의해 반사된 광은, 슬릿(121)을 통과한 후에, 광검출기(PD)(122)에 입사된다. PD(122)에 의한 광전 변환에 의해 얻어진 수광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 변환)(123)를 통하여 연산 장치(130)에 출력된다. 연산 장치(130)는 해석 프로그램을 갖는 pc나 스마트폰 등의 장치이며, 해석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광 신호로부터 혈당값 등의 생체정보를 구한다.
또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100)의 광학계는 케이스(12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124) 중, 측정용 프로브(10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측정용 프로브(106)와 피검자(10) 사이에서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125)는 필수가 아니며 없어도 된다.
도 2는 회전 회절격자(110)의 회절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회전 회절격자(110)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슬릿(121)의 방향으로 입사광의 λ1 성분을 반사함으로써, PD(122)에 λ1 성분을 입사시킨다. 또한 회전 회절격자(110)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슬릿(121)의 방향으로 입사광의 λ2 성분을 반사함으로써, PD(122)에 λ2 성분을 입사시킨다. 또한,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슬릿(121)의 방향으로 입사광의 λ3 성분을 반사함으로써, PD(122)에 λ3 성분을 입사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 회절격자(110)는 회전각도에 따른 파장의 광을 PD(122)에 입력시킴으로써, 입사광을 분광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회절격자(110)를 사용하여 분광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고정형의 회절격자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검출기(PD)(122)로서, 어레이 센서가 아니라, 단일의 수광면으로 이루어지는 수광 소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구성이 간단한 광검출기(122)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의 회절격자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회절격자와 광검출기(122) 사이에 분광을 위한 스페이스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회전 회절격자(110)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의 가동 부분이 미러면으로 되고, 이 미러면에 회절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 회절격자(110)는 MEMS 미러의 미러면에 그레이팅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회전 회절격자(110)가 설치된 MEMS 디바이스(20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MEMS 디바이스(200)는 구동 회로나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201)와, 회전 회절격자(110)와, 고정 프레임(202), 가동 프레임(203), 빔부(204, 205)를 갖는다. 구동부(201)는 회전 회절격자(110)를 구동하는 기능과 아울러, 고정 프레임(202)을 가지고 있어 회전 회절격자(110)의 베이스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빔부(204)는 2개의 빔(204a, 20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2개의 빔(204a, 204b)은 가동 프레임(203)의 대향하는 2개의 가장자리부와 고정 프레임(202)을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프레임(203)은 빔(204a, 204b)에 의해 고정 프레임(202)에 현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빔부(205)는 2개의 빔(205a, 20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2개의 빔(205a, 205b)은 회전 회절격자(110)의 대향하는 2개의 가장자리부와 가동 프레임(203)을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회절격자(110)는 빔(205a, 205b)에 의해 가동 프레임(203)에 현가된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 회절격자(110)는 구동부(201)에 의해 빔(204a, 204b)이 구동됨으로써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부(201)에 의해 빔(204a, 204b)의 좌우가 번갈아 지면 표리 방향으로 변화됨으로써, 회전 회절격자(110)의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구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회전 회절격자(110)는 1∼2[Hz]의 회전속도로 회전구동된다. 단, 회전속도는 이것이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속도는 연산 장치(130)의 연산 속도 등에 따라 선정하면 된다. 회전 회절격자(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식으로서는 압전 방식, 정전 방식, 전자구동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 회절격자(110)의 표면은 미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미러면에는 회절격자(11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절격자(111)는 빔(204a, 204b)의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절격자(111)의 피치는 0.5∼3[㎛]이다. 또한 회절격자(111)의 깊이는 1.5[㎛] 이상이다. 이것에 의해, 회전 회절격자(110)는 회전에 의해 근적외선을 양호하게 분광할 수 있게 된다. 근적외선 이외의 광을 사용하여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광에 따라 회절격자(111)의 피치 및 또는 깊이를 선택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회절격자(110)를 미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도 구동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부(201)에 의해 빔(205a, 205b)이 동시에 동일한 지면 표리 방향으로 휨으로써, 회전 회절격자(110)가 미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면, 미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 10[KHz]로 고주파 단진동시킨다. 도 4a 및 도 4b는 회전 회절격자(110)의 회전 위치가 동일하며, 미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회절격자(110)의 위치를 바꾼 경우의, PD(122)에 의해 측정되는 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전 위치가 동일해도, 미러면과 수직한 방향의 위치를 바꾸면, 슬릿(121)을 통과하는 광량이 바뀌므로, PD(122)에 입사되는 광량이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화된다. 이것에 의해 측정 신호에 쵸퍼 신호를 중첩시킬 수 있어, 로크인 앰프 검파를 행함으로써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S/N이 향상된 신호를 얻을 수 있어, 분석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회전 회절격자(110)는 빔(205a, 205b)이 구동됨으로써 회전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빔(205a, 205b)이 동일한 방향으로 비틀어짐으로써, 회전 회절격자(110)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된다.
도 5는 로크인 앰프 검파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노이즈가 없는 이상적인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현실의 측정 신호에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주파수의 노이즈가 중첩된다. 도 5c는 회전 회절격자(110)를 미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주파수(f0)로 고주파 단진동 시켰을 때의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c와 같이, 측정 신호에는 주파수(f0)의 쵸퍼 신호가 중첩된다. 도 5d는 로크인 앰프 검파 후의 측정 신호를 나타낸다. 주파수(f0)의 신호만을 직류 신호로서 취출할 수 있다(도 5c 중의 A, B). 이것에 의해, f0 이외의 주파수의 신호는 노이즈로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회절격자(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측정광을 분광함과 아울러, 회전 회절격자(110)를 미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주파 단진동시킴으로써 측정 신호의 S/N을 개선한다. 환언하면, 회전 회절격자(110)를 회전 방향과, 미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2축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과 아울러, 본 실시형태의 생체정보 측정 장치(100)는 가동식의 반사 부재(140)를 갖는다. 반사 부재(140)는 캘리브레이션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얻기 위한 것이다. 캘리브레이션이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연산 장치(130)에서, 측정 신호로부터 미리 취득해 둔 레퍼런스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측정 신호에 포함되는 광학 경로 특성에 기인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반사 부재(140)는 레퍼런스 신호를 얻을 때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용 프로브(106)의 선단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측정용 프로브(106)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측정용 프로브(106)로 되돌린다. 이에 반해 반사 부재(140)는 측정 신호를 얻을 때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용 프로브(106)의 선단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퇴피한다. 또한, 도 6 및 도 1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반사 부재(14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VCM이나 스테핑 모터 등의 슬라이드 기구를 설치하면 된다.
도 7은 반사 부재(14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체(141)를 수지 등으로 구성하고, 반사면에 도금이나 증착에 의해 금속막(142)을 형성한 예이다. 도 7b는 본체(143)를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하고, 반사면에 페어스킨(pearskin) 등의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확산 반사면(144)을 형성한 예이다. 이 확산 반사면(144)은 피부 표면의 반사율에 근사한 거칠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레퍼런스 신호에 의사적으로 피부의 표면에 의한 노이즈도 포함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반사 부재(140)를 설치하는 것,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 측정 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 경로와, 레퍼런스 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 경로가 공통이 되므로, 레퍼런스 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 경로를 측정 신호의 광학 경로와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 구성을 간단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신호와 공통의 광학 경로의 레퍼런스 신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i) 반사 부재(140)의 반사면을 피부의 표면의 반사율에 가까운 확산 반사면(144)(도 7b)으로 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측정 신호로부터 레퍼런스 신호를 감산했을 때, 광학 경로에 의한 노이즈와 아울러, 피부 표면에 의한 노이즈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ii) 측정시 이외에는, 반사 부재(140)를 측정용 프로브(10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125)를 막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광학계로의 더스트의 진입을 막을 수 있다. 즉, 반사 부재(140)는 레퍼런스 신호의 취득 이외에도, 개구(125)를 막는 덮개로서도 기능한다. 이 결과, 전용 덮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 회절격자(110)를 사용하여 피검자(10)로부터의 반사광을 분광함으로써, 분광 광학계의 부품수 및 소요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10)를 대신하여, 측정용 프로브(106)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측정용 프로브(106)에 출사하는 반사 부재(140)를 설치함으로써, 측정 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 경로와, 레퍼런스 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 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어, 소요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지 않아, 특히, 분광 광학계 및 레퍼런스 신호용 광학계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치 구성이 소형인 생체정보 측정 장치(10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MEMS 미러에 회절격자를 형성하여 회전 회절격자(110)를 실현함으로써, 예를 들면, 검류계와 같은 액추에이터에 회절격자를 부착하여 회전 회절격자(110)를 실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형 및 저비용의 회전 회절격자(110)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MEMS 미러는 소위 웨이퍼 프로세스에 의해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 프로세스에 의해 MEMS 미러 위에 회절격자(111)를 직접 형성함으로써, 회절격자(11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러 위에 직접 회절격자를 형성하므로, 조립도 불필요하다. 단, MEMS 미러의 제조 프로세스와는 다른 프로세스로 회절격자(111)를 형성하고, 그것을 MEMS 미러에 첩부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광원(10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측정 대상으로 인도하는 제 1 광학 경로와,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인도하는 제 2 광학 경로를 광 파이버(105, 107)를 사용하여 구성한 경우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 파이버(105, 107)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광학계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를 혈당값의 측정에 사용한 경우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는 혈당값 이외의 생체정보의 측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원(101)으로 파장 300∼400[㎛]대의 자외선을 생성하고, 이것을 피검자(10)에 조사하면, 피검자(10)의 피부 표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화의 1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것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요지,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2013년 12월 27일 출원한 일본 특원 2013-272964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0 피검자
100 생체정보 측정 장치
101 광원
102 핀홀
103 집광 렌즈
104 광 입사체
105 발광측 광 파이버
106 측정용 프로브
107 수광측 광 파이버
108 광 출사체
109 렌즈계
110 회전 회절격자
111 회절격자
121 슬릿
122 광검출기(PD)
12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 변환)
124 케이스
125 개구
130 연산 장치
140 반사 부재
141, 143 본체
142 금속막
144 확산 반사면
200 MEMS 디바이스
201 구동부
202 고정 프레임
203 가동 프레임
204, 205 빔부
204a, 204b, 205a, 205b 빔

Claims (6)

  1.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측정 대상으로 인도하는 제 1 광학 경로와,
    상기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인도하는 제 2 광학 경로와,
    상기 제 2 광학 경로에 의해 인도된 반사광을 분광하는 회전 회절격자와,
    상기 회전 회절격자로부터의 분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와,
    상기 측정 대상을 대신하여, 상기 제 1 광학 경로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 2 광학 경로에 출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회절격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미러와,
    상기 MEMS 미러의 미러면에 형성된 회절격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회절격자는
    상기 제 2 광학 경로에 의해 인도된 반사광의 상기 미러면으로의 입사각이 변화되도록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미러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반사면은 피부 표면의 반사율에 근사하도록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경로와, 상기 제 2 광학 경로 사이에는, 상기 제 1 광학 경로로부터의 광을 상기 측정 대상의 방향으로 출사함과 아울러, 상기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상기 제 2 광학 경로에 입사시키는 측정용 프로브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측정용 프로브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측정용 프로브에 입사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광학계가 수용되는 케이스에는, 상기 측정 대상으로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또한 상기 측정 대상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광학계로 되돌리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 부재는 측정시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퇴피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구 상태로 하고, 측정시 이외는 상기 개구부를 막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KR1020167012924A 2013-12-27 2014-12-17 생체정보 측정 장치 KR20160102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72964 2013-12-27
JP2013272964A JP6387610B2 (ja) 2013-12-27 2013-12-27 生体情報測定装置
PCT/JP2014/006288 WO2015098047A1 (ja) 2013-12-27 2014-12-17 生体情報測定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161A true KR20160102161A (ko) 2016-08-29

Family

ID=5347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924A KR20160102161A (ko) 2013-12-27 2014-12-17 생체정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14057A1 (ko)
JP (1) JP6387610B2 (ko)
KR (1) KR20160102161A (ko)
CN (1) CN105873512A (ko)
TW (1) TW201524472A (ko)
WO (1) WO2015098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8424B3 (de) 2014-06-16 2015-06-11 Johann Wolfgang Goethe-Universität Nicht-invasive Stoffanalyse
CN106471354A (zh) * 2014-07-08 2017-03-01 三美电机株式会社 生物体成分信息测定装置
US10876965B2 (en) 2015-12-09 2020-12-29 Diamontech Ag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a material
CN108369183B (zh) 2015-12-09 2022-08-19 迪亚蒙泰克股份有限公司 用于分析材料的装置和方法
JP2018054450A (ja) * 2016-09-28 2018-04-05 花王株式会社 反射スペクトルの測定方法
CN109730693A (zh) * 2018-12-13 2019-05-10 北京理工大学 一种新型管状结构三视场光学手持探头
CN110327058A (zh) * 2019-07-31 2019-10-15 清华大学 一种无创血糖仪及血糖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465A (ja) 2000-08-29 2002-03-0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生活モニター用親子電気ポット
JP2006087913A (ja) 2004-08-25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体内成分の定量分析用検量線の作成方法、および同検量線を用いた定量分析装置
JP2007259967A (ja) 2006-03-27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体内成分計測装置
JP2012191969A (ja) 2011-03-14 2012-10-11 Shinshu Univ 生体情報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450A (en) * 1976-03-05 1977-09-27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Reflection standard for fiber optic probe
US4322164A (en) * 1976-10-18 1982-03-30 Oximetrix, Inc. Sterilizable, disposable optical scattering reference medium and container assembly
US4796633A (en) * 1985-06-25 1989-01-10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vitro calibration of oxygen saturation monitor
JPS626127A (ja) * 1985-07-02 1987-01-13 Shimadzu Corp 分光光度計
US5233405A (en) * 1991-11-06 1993-08-03 Hewlett-Packard Company Optical spectrum analyzer having double-pass monochromator
JP4120684B2 (ja) * 1996-11-26 2008-07-16 松下電工株式会社 分光分析法による血液成分濃度の分析装置
JP4212007B2 (ja) * 1996-11-26 2009-01-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血液成分濃度の分析装置
WO2002010717A2 (en) * 2000-07-28 2002-02-07 Otsuka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optical measurement method
US6901088B2 (en) * 2001-07-06 2005-05-31 Intel Corporation External cavity laser apparatus with orthogonal tuning of laser wavelength and cavity optical pathlength
US7605370B2 (en) * 2001-08-31 2009-10-20 Ric Investments, Llc Microspectrometer gas analyzer
JP3931638B2 (ja) * 2001-11-15 2007-06-20 松下電工株式会社 生体成分の定量装置
JP4211670B2 (ja) * 2004-04-28 2009-01-21 株式会社Ihi ガス分析装置及びガス分析方法
EP1629767B1 (en) * 2004-08-25 2010-07-2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Quantitative analyzer using a calibration curve
WO2006132219A1 (ja) * 2005-06-07 2006-12-14 Omron Healthcare Co., Ltd. 生体情報計測センサ
CN101263388A (zh) * 2005-06-14 2008-09-10 道明资产公司 非侵入性检测人类受检体中葡萄糖的方法和设备
CN101930121A (zh) * 2009-06-24 2010-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光滤波器及其分光方法
US9662047B2 (en) * 2010-08-05 2017-05-3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rtable raman diagnostic system
EP3858651A1 (en) * 2011-08-29 2021-08-04 Automotive Coalition for Traffic Safety, Inc. System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an analyte in a vehicle driver
CN102359949A (zh) * 2011-09-20 2012-02-22 重庆大学 一种基于mems扫描微镜的高分辨率微型红外光谱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465A (ja) 2000-08-29 2002-03-0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生活モニター用親子電気ポット
JP2006087913A (ja) 2004-08-25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体内成分の定量分析用検量線の作成方法、および同検量線を用いた定量分析装置
JP2007259967A (ja) 2006-03-27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体内成分計測装置
JP2012191969A (ja) 2011-03-14 2012-10-11 Shinshu Univ 生体情報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7610B2 (ja) 2018-09-12
JP2015126789A (ja) 2015-07-09
WO2015098047A1 (ja) 2015-07-02
TW201524472A (zh) 2015-07-01
CN105873512A (zh) 2016-08-17
US20170014057A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161A (ko) 생체정보 측정 장치
CN109124649B (zh) 用于通过拉曼光谱进行无创伤性活体测量的设备
JP5519711B2 (ja) 光信号を生体内測定するための光学プローブ
JP6113730B2 (ja) 放出及び透過光学分光計
TWI756306B (zh) 光學特性測定裝置及光學特性測定方法
KR101627444B1 (ko) 분광 특성 측정 장치 및 분광 특성 측정 방법
KR102372083B1 (ko) 생체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분석 시스템
JP2018534562A (ja) 光源一体型レンズ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分光分析装置
KR20230121041A (ko) 라만 프로브 및 피분석물 존재 또는 농도의 비-침습적 생체 내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217261A1 (ja) 分光測定装置
JP2010281690A (ja) 顕微全反射測定装置
EP3052010B1 (en) Probe,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analytes
EP3168600A1 (en) Biological component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JP2023101819A (ja) 分光測色計
US9295420B2 (en) Transmission-reflectance swappable Raman probe for physiological detections
JP4470939B2 (ja) 生体スペクトル測定装置
JP2020513572A (ja) 液体中のndirグルコース検出
CA2962092C (en) System for the transcutaneous determination of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US20220095937A1 (en) Broadband multispectral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Albrecht et al. Optical characterization of high-resolution optical nanospectrometers for networked sensing systems
JP2016138828A (ja) 生体成分情報測定装置
WO2009081358A1 (en) Fibre-optic probe
JP2006300664A (ja) フーリエ分光装置,測定タイミング検出方法
JPWO2016121540A1 (ja) 分光測定装置および分光測定方法
JP2016017829A (ja) 生体成分情報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