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667A - 수전 장치, 송전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수전 장치, 송전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667A
KR20160101667A KR1020160016087A KR20160016087A KR20160101667A KR 20160101667 A KR20160101667 A KR 20160101667A KR 1020160016087 A KR1020160016087 A KR 1020160016087A KR 20160016087 A KR20160016087 A KR 20160016087A KR 20160101667 A KR20160101667 A KR 2016010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transmission
reception
transmission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748B1 (ko
Inventor
타다시 에구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28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65065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288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23345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고, 송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아닌 예정외 전력을 검출한다. 예정외 전력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 장치와 수전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수전 장치, 송전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전 장치와, 그 송전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를 구비하고, 그 송전 장치로부터 수전 장치에의 무선 전력전송이 행해지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무선 전력전송의 방식은, 대범하게 전자 유도방식, 마이크로파 전송 방식, 자기공명방식의 3개의 방식을 포함한다.
전자 유도방식의 기본원리는, 송전측 코일에 전류가 흘려지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수전 코일을 관통하게 하여서, 수전 코일에 유도전류를 흘리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자 유도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의 위치가, 송전 코일에서 발생시킨 자속이 효과적으로 수전 코일을 관통하도록 조정된다.
마이크로파 전송 방식에서는, 송전 장치가 안테나로 공중에서 무선전력을 방출하고, 수전 장치의 안테나로 그 전력을 수전한다. 마이크로파 전송 방식에서는, 공중에서의 전력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지향성을 높게 해서, 특정한 방향으로 전력전송이 행해진다.
자기공명방식에서는, 송전 장치와 수전 장치가 같은 주파수에서 공명함으로써, 전력전송이 행해진다. 송전 장치와 수전 장치가 같은 주파수에서 공명할 수 없으면, (적어도 충분한 전력에서의) 전력전송을 행할 수 없다. 일본 특허공개2010-063245호 공보 및 2012-518381호 공보에는,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송전 장치가 공명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수전 장치 중 송전 대상으로서 하나의 수전 장치에 선택적으로 송전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자기공명방식의 경우, 송전 장치의 근방에 있어서, 송전 장치와 수전 장치가 같은 주파수에서 공명하기에 충분하므로, 전자 유도방식과 비교해 위치 정밀도에 민감하지 않고, 또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원하는 방향으로만 전송 효율이 높다고는 보장할 수 없다.
자기공명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공진주파수가 다르고 그 공진주파수 대역폭이 좁을 경우에, 복수의 수전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자기공명방식을 사용한 송전/수전의 전송 효율은, 송전 회로와 송전 안테나의 임피던스간의 결합 계수ki, 안테나간의 거리나 크기에 영향을 받는 안테나간의 무부하시의 결합 계수ku, 및 수전 안테나와 수전 회로의 임피던스간의 결합 계수ko에 의존한다.
최대의 전송 효율은, ku≥√(ki×ko)일 때에 얻어지고, 특히 ku=√(ki×ko)일 때, 안테나간의 공진주파수는 각 단일 안테나의 공진주파수fO과 일치한다. 이 상태를 임계결합이라고 부른다. 송전/수전안테나간의 거리가 짧고, ku>√(ki×ko)일 때는, 공진주파수fO보다 각각 낮고 높은 2개의 공진주파수는, 송전/수전 안테나 사이에서 생긴다. 이 상태를 밀결합이라고 부른다. 한편, 송전/수전 안테나간의 거리가 길고, ku<√(ki×ko)일 때는, 송전/수전 안테나의 공진점(공진주파수)은 임계결합과 같은 상태에 있지만, 그 결합 효율이 저하한다. 이 상태를 소결합이라고 부른다.
도 12a 및 도 12b는 밀결합, 임계결합, 소결합일 경우의 결합 효율과 주파수간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제의 사용 환경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결합이 임계결합보다 밀결합에 더 가까워짐으로써, 수전 장치의 내장 안테나까지의 거리가 다소 벗어나도 효율이 저하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안테나간의 전송 효율이 높은 주파수대역이 넓기 때문에, 넓은 주파수대역에서 공명이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 제1의 송전 장치와 제1의 수전 장치간에 전력 전송중에, 제2의 송전 장치로부터 제2의 수전 장치에의 전력전송이 개시되면, 각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은, 전력전송의 원래의 상대장치인 수전 장치가 아닌 장치에 의해 수전될 수 있다. 즉, 제1의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제2의 수전 장치에 의해 수전되고, 제2의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제1의 수전 장치에 의해 수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래 의도한 송전/수전을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송전된 전력이, 송전의 대상 장치와 다른 장치에 의해 수전되는 것을 막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고, 송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동안에, 상기 송전 장치와는 다른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 장치와 상기 수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고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송전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해서 상기 수전 장치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송전 장치 및 다른 수전 장치에 의한 전력 전송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생긴,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고,
도 3은 수전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그 수전 장치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송전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그 송전 장치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의 시퀀스 차트이고,
도 8은 송전 장치의 제2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그 송전 장치의 동작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수전 장치의 제2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그 수전 장치의 동작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a 및 도 12b는 자기공명방식에 있어서의 3개의 결합 상태를 각각 설명하는 그래프,
도 13은 자기공명방식으로 조정된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에 나타낸 부품의 상대적 배치, 수식 및 수치는,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각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이때, 각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자기공명방식을 사용해서 무선 전력 전송을 행한다. 도 1에 있어서, 한 쌍의 송전 장치102와 수전 장치112와의 사이에서 무선 전력 전송(WPT)이 행해지고, 그 근방에서, 다른 쌍의 송전 장치101과 수전 장치111 사이의 WPT를 막 시작하려고 하고 있다.
이 경우, 송전 장치102의 송전 전력이, 송전 장치102의 WPT의 상대장치인 수전 장치112와는 다른 수전 장치111에 의해 수전될 수 있다. 반대로,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전력이, 송전 장치101의 WPT의 상대장치인 수전 장치111과는 다른 수전 장치112에 의해 수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전 장치111 및 112는, 예기하지 않은 전력(이하, "예정외 전력"이라고 부른다.)을 수전할 수 있다. 이러한, 송전 장치102의 송전 전력은, 수전 장치111에 있어서의 예정외 전력이고, 송전 장치101과 수전 장치111과의 사이의 WPT의 간섭원이다. 마찬가지로,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전력은, 수전 장치112에 있어서의 예정외 전력이고, 송전 장치102와 수전 장치112와의 사이의 WPT의 간섭원이다.
일반적인 전력 전송동작의 송전 시퀀스를 도 2a에 나타낸다. 도 2a에서, 횡축은 시간경과를 나타내고, 종방향은 송전 장치101/102의 소비 전력을 나타낸다. 송전 장치101/102는, 수전 장치111/112의 배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소정의 주기로 간헐적으로 배치 확인용 전력, 즉 201-1, 201-2, 201-3을 송신한다. 배치 확인용 전력은, 배치되는 수전 장치가 없을 경우, 거의 소비되지 않고 반사 전력이 된다. 포인트A에 수전 장치111/112가 배치되었다면, 수전 장치111/112내에서 전력이 소비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송전 기간내의 임피던스가 변화된다. 송전 장치101/102는, 이 임피던스의 변화량, 반사 전력의 변화, 또는 그 송전 전력의 소비 전력을(예를 들면, 상기 배치 확인용 전력201-3에 의해) 검출하여서, 수전 장치111/112가 배치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송전 장치101/102는, 수전 장치111/112가 송전 장치101/102 위에 배치된 것을 검출하면, 인증용 전력(202)을 수전 장치111/112에 송전한다. 수전 장치111/112는, 인증용 전력을 검출하면 인증용 신호를 송전 장치101/102에 송신한다. 송전 장치101/102는, 수전 장치111/112의 인증을 완료하면, 본격 송전(203)을 시작한다.
<<제1 실시예>>
수전 장치111은, 송전/수전의 상대장치인 송전 장치101과는 다른 또 다른 송전 장치102가 송전 장치101의 근방에 있을 경우, 송전 장치101로부터의 배치 확인용 전력과 함께, 송전 장치102로부터 수전 장치112에 송전하고 있는 전력의 일부를 수전한다. 이 경우에, 수전 장치(111)가 검출 가능한 전력의 상태를 도 2b에 나타낸다. 도 2b에서는, 도 2a의 각 종의 전력에 더해서, 송전 장치102로부터 수전 장치112에 송전된 전력(204)이, 수전 장치111에 의해 검출 가능해진다. 이때, 이 송전 장치102로부터 수전 장치112에 송전된 전력(204)은, 수전 장치111에 있어서는 예정외 전력이다.
수전 장치111이, 이 예정외 전력과 WPT의 상대장치인 송전 장치101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동시에 수전할 경우, 그 합성 전력은, 불안정해질 수 있다. 더욱이, 송전 장치101과 송전 장치102와의 사이에서, 송전 전력에 차이가 있을 경우, 수전 장치111과 수전 장치112 중, 원래 소량의 전력을 수전해야 할 장치가, 예정외 전력을 수전하여서 파괴될 수 있다.
한편, 송전 장치101 또는 102에서는, 예기하지 않는 추가의 전력이 송전될 경우, 이물질에의 송전이라고 판단하고, 송전을 중지할 수도 있다. 즉, WPT를 실행중이었던 송전 장치102 및 수전 장치112는, 자동적으로 WPT를 중지해야 할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2010-063245호 공보 및 2012-518381호 공보와 같이,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서 송전/수전 하는 상대를 특정할 경우, 임계결합으로부터 소결합으로 변경되는 정도로 전송 효율을 희생해야 하거나, 임계결합으로부터 밀결합을 향해 조정되어서 크게 주파수를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만, 크게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은 법규 및 규제면에서 곤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전 장치(111)는, 다른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수전부를 구비한다. 자신의 WPT의 상대장치인 송전 장치(101)과 다른 송전 장치를 검출했을 경우에, 수전 장치(111)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전환한다.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예를 들면, 세계무선전력협회(WPC), 전력동맹(PMA), 또는 무선충전연합(A4WP)의 규격을 따르는 방식이다. WPC와 PMA는 100∼200KHz대에서 주로 전자유도방식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규격을 갖고, A4WP는 6.78MHz에서 자기공명방식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규격을 갖는다. 수전 장치(111) 및 송전 장치(101)는, 예를 들면 이것들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의 적어도 2개에 대응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전 장치101로부터의 배치 확인용 전력이 소정 주기에서 간헐적으로 송전되므로, 배치 확인용 전력이 없는 기간(간헐기간201S)에서는, 수전 장치111은, 송전 장치102로부터 송전된 예정외 전력(204)만을 수전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전 장치111은, 이 간헐기간201S의 예정외 전력(204)을 검출함으로써, 자신의 WPT의 상대장치인 송전 장치101과 다른 장치이고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송전 장치102의 존재를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송전 장치(101) 및 수전 장치(111)에 대해서, 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전 장치의 구성)
도 3은, 수전 장치(111)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수전 장치(111)는, 예를 들면, 그 구성에, 제1수전부(301), 전환부(302), 제2수전부(303), 예정외 전력검출부(304), 통신부(305) 및 CPU(306)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수전부(301)가 자기공명방식에 대응하고 제2수전부(303)가 전자 유도방식에 대응하고, 수전 장치(111)는, 제1수전부(301) 또는 제2수전부(303) 중 어느 한쪽을 사용하여, 송전 장치(101)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한다. 전환부(302)는, 송전 장치(101)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기 위해서, 제1수전부(301)와 제2수전부(303)를 사용하여 바꾸는 제어를 행한다. 예정외 전력 검출부(3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헐기간201S의 예정외 전력(204)을 검출한다. 즉, 예정외 전력 검출부(304)는, 예를 들면, 제1수전부(301)와 제2수전부(303) 중, 수전 처리에 사용된 수전부에서, 간헐기간201S에 있어서 예정외 전력이 수전될지를 감시할 수 있다. 통신부(305)는, WPT의 상대장치(송전 장치101)와 통신을 행한다. CPU(306)는,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RAM 또는 ROM) 또는 기타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수전 장치(111)의 각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CPU(306)는, "CPU"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이외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로 대체될 수 있다.
CPU(306)는, 예정외 전력 검출부(304)가 예정외 전력을 검출하면, 송전 장치(101)에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305)를 제어한다. 이 방식대응 확인신호에는, 예를 들면, 수전 장치(111)가 제1수전부(301)를 사용해서 전력을 수전중일 경우, 제2수전부(3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방식대응 확인신호에는, 예를 들면, 수전 장치(111)가 제2수전부(303)를 사용해서 전력을 수전중일 경우, 제1수전부(301)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부(305)는, 송전 장치(101)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고, CPU(306)는, 그 응답에 따라, 송전 장치(101)가 방식대응 확인신호로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306)는, 송전 장치(101)가 방식대응 확인신호로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바꾸도록 전환부(302)를 제어한다. 즉, CPU(306)는, 수전 장치(111)가 제1수전부(301)를 사용해서 전력을 수전중일 경우, 제2수전부(303)를 사용하도록 전환부(302)를 제어한다. CPU(306)는, 수전 장치(111)가 제2수전부(303)를 사용해서 전력을 수전중일 경우, 제1수전부(301)를 사용하도록 전환부(302)를 제어한다. 수전 장치(111)는, 상기 수전부의 전환 후, 송전 장치(101)에 의해 송전의 시작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기다린다. 송전 장치(101)는, 상술한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그 방식대응 확인신호로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서의 전력 전송을 실행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전환하고, 전환후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송전 시작 처리를 행한다. 이 송전 시작 처리가 완료된 후, 수전 장치(111)는, 전환후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전력의 수전을 시작한다. 또한, 전환전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대량전력 또는 고효율에서의 수전이 가능할 경우, 그 방식은,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그 전환전의 방식으로 다시 전환되고, 예정외 전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그 전환전의 방식으로 수전을 행할 수 있다.
(수전 장치의 처리 시퀀스)
도 4는, 수전 장치(111)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수전 장치(111)는, 예를 들면, 송전 장치에 배치될 때 또는 스위치가 눌릴 때, 도 4의 처리를 시작한다. 이하에서는, 수전 장치(111)가, 제1수전부(301) 및 제2수전부(303)의 2개의 수전부를 구비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전 장치(111)는, 적어도 2개의 수전부를 구비하면 좋고, 3개이상의 수전부를 가질 수 있다.
수전 장치(111)는, 우선,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무선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전부(제1수전부(301) 및 제2수전부(303)) 중에서, 최대 수전량이나 효율 등의 조건에 근거하여, 제1수전부(301)를 선택한다(단계S401). 다음에, 수전 장치(111)는, 수전 처리를 실행중에, 예정외 전력 검출부(304)에 의해 예정외 전력의 유/무를 감시한다(단계S402). 또한, 예정외 전력 검출부(3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중의 수전 장치(이 경우에 제1수전부(301))가 배치 확인용 전력의 간헐기간201S에 예정외 전력을 수전했는지를 감시한다.
예정외 전력 검출부(304)가 예정외 전력을 검출했을 경우(단계S402에서 YES), 현재 선택되어 있는 수전부가, 제1수전부인지를 확인한다(단계S408). 또한, 단계S408의 확인동작은, 도 4의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선택되지 않은 수전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즉, 이 경우에, 수전 장치(111)가, 제1수전부(301)와 제2수전부(303)를 구비하고, 초기에 제1수전부(301)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제1수전부가 선택되어 있는지(제2수전부가 선택되지 않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전 장치(111)가 3개이상의 수전부를 구비할 경우, 단계S408의 판정은, 도 4의 처리 시작 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수전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판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수전 장치(111)는, 선택되어 있는 수전부가 제1수전부일 경우(단계S408에서 YES), 통신부(305)에 의해, 송전 장치(101)에 제2수전부(3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의 정보가 포함되는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신한다(단계S409). 또한, 수전 장치(111)가 3개이상의 수전부를 구비하고, 그 수전부 중 적어도 2개가 도 4의 처리 시작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경우는, 그 선택되지 않고 있는 수전부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수전 장치(111)는, 선택한 수전부에 관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의 정보를, 방식대응 확인신호에 포함시켜서 송신한다.
이어서, 수전 장치(111)는, 통신부(305)를 거쳐 송전 장치(101)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면(단계S410), 송전 장치(101)가, 제2수전부(3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가능한지를 판정한다(단계S411). 즉, 수전 장치(111)는, 송전 장치(101)가, 방식대응 확인신호에 포함시킨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가능한지를, 수신한 응답에 근거하여 판정한다. 수전 장치(111)는, 송전 장치(101)가 제2수전부(3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가능하다고 판정하면(단계S411에서 YES), 전환부(302)에 의해, 수전부를 제2수전부로 바꾼다(단계S412). 그 후, 수전 장치(111)는, 제2수전부(3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의 배치 확인용 전력의 수전을 기다리면서, 예정외 전력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S402).
한편, 송전 장치(101)가 제2수전부(3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하면(단계S411에서 NO), 수전 장치(111)는, 그대로 수전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수전 장치(111)는, 3개이상의 수전부를 구비하는 경우, 송전 장치(101)가 방식대응 확인신호에 포함시킨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가능하지 않을 때, 그대로 처리를 종료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처리를 단계S408로 되돌아가도 좋다. 이 경우, 수전 장치(111)는, 계속하여, 단계S408에 있어서, 도 4의 처리 시작 후에 선택되지 않은 다른 수전부가 있는지를 판정하고, 그러한 수전부가 없을 경우에 처리를 종료한다.
수전 장치(111)가 제2수전부를 선택한 후에도 예정외 전력을 수전할 경우(단계S402에서 YES, 그 후 단계S408에서 NO), 어느 방식에 있어서도 예정외 전력을 수전하기 때문에 수전을 종료한다. 또한, 수전 장치(111)가 3개이상의 수전부를 구비하는 경우는, 단계S402에 있어서 예정외 전력이 검출된 후에, 단계S408에 있어서 예정외 전력의 유/무의 판정을 행하지 않고 있는 수전부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수전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예정외 전력을 계속해서 수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전을 완료하였지만, 수전 장치(111)는, 수전을 재개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하고, 타이머의 만료시에, 도 4의 처리를 재개할 수 있다.
수전 장치(111)가 제2수전부를 선택한 것으로부터 예정외 전력을 수전하지 않는 것을 정지할 경우(단계S402에서 NO), 수전 장치(111)는, 계속하여 인증용 전력을 수전하기 위해 기다린다(단계S403). 또한, 예를 들면, 제2수전부(3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전자 유도방식과 같이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있으면 수전이 곤란한 방식일 경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의 예정외 전력이 검출되는 확률은 충분히 낮을 것이 예상된다. 수전 장치(111)는, 인증용 전력을 검출하면(단계S403에서 YES), 계속해서 인증용 신호를 송신해(단계S404), 접속이 완료(단계S405) 한 후에, 본격수전을 시작한다(단계S406). 그 후, 수전 장치(111)는, 본격수전의 시작 후에 수전을 완료할 때에, 수전 완료 신호를 송전 장치(101)에 송신하고(단계S407), 수전 처리를 종료한다. 수전 장치(111)는, 통신부(305)를 거쳐, 본격수전 중에 수전량을 송전 장치(101)에 송신하고, 적절한 효율로 수전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전 장치(111) 자신이 자기공명방식을 사용하는 제2 또는 이후의 수전 장치로서 송전 장치에 배치되었을 경우, 수전 장치(111)는, 단계S402에 있어서 배치 확인용 전력을 검출하지 않고, 연속적인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수전 장치(111)는, 단계S402에 있어서 배치 확인용 전력을 검출하지 않고, 연속적인 전력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그 검출한 전력이 예정외 전력이라고 판정할 필요가 없다(단계S402에서 NO). 수전 장치(111)는, 수전하고 있는 연속적인 전력이 인증용 전력에 충분한 전력일 경우(단계S403에서 YES), 인증용 신호를 송신한다(단계S404). 이에 따라, 송전 장치(101)가 제2 또는 이후의 수전 장치에의 송전을 행하기 위한 충분한 송전 능력이 있을 경우에, 수전 장치(111)는, 송전 장치(101)와의 접속을 완료하고(단계S405), 본격수전(단계S406)을 행할 수 있다.
(송전 장치의 구성)
다음에, 송전 장치(10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송전 장치(101)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송전 장치(101)는, 예를 들면, 그 구성에는, 제1송전부(501), 전환부(502), 제2송전부(503), CPU(504) 및 통신부(505)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송전부(501)가 자기공명방식에 대응하고 제2송전부(503)가 전자 유도방식에 대응하며, 송전 장치(101)는, 제1송전부(501) 또는 제2송전부(503) 중 어느 한쪽을 사용하여서, 수전 장치(111)에 전력을 송전한다. 전환부(502)는, 수전 장치(111)에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서, 제1송전부(501)와 제2송전부(503)를 사용하여 전환하기 위해 제어를 행한다. 통신부(505)는, WPT의 상대장치(수전 장치(111))와의 통신을 행한다.
CPU(504)는,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RAM 또는 ROM) 또는 기타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송전 장치(101)의 각 기능을 제어한다. 이때, CPU(504)는, "CPU"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이외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로 대체될 수 있다. CPU(504)는, 예를 들면, 통신부(505)를 거쳐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로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제1송전부(501) 또는 제2송전부(503)가 대응 가능한가를 판정한다. CPU(504)는, 제1송전부(501) 또는 제2송전부(503) 중 어느 한쪽이 그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 가능할 경우, 그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가능한 송전부를 사용해서 송전을 행하도록, 전환부(502)를 제어한다. 추가로, CPU(504)는, 송전부의 전환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전 장치로부터의 방식대응 확인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송신하도록, 통신부(505)를 제어한다.
(송전 장치의 처리 시퀀스)
도 6은, 송전 장치(101)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송전 장치(101)는, 예를 들면, 스위치가 눌릴 때 또는 수전 장치가 배치될 때 도 6의 처리를 시작한다. 이하에서는, 송전 장치(101)가, 제1송전부(501) 및 제2송전부(503)의 2개의 송전부를 구비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송전 장치(101)는,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송전부를 구비하면 좋고, 3개이상의 송전부를 가질 수 있다.
송전 장치(101)는, 우선, 송전 장치(101)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무선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송전부(제1송전부(501) 및 제2송전부(503)) 중에서, 최대 수전량이나 효율 등의 조건에 근거하여, 제1송전부(501)를 선택한다(단계S601). 다음에, 송전 장치(101)는, 제1송전부(501)를 거쳐, 배치 확인용 전력을 송전한다(단계S602). 이때, 송전 장치(101)는, 배치된 수전 장치(111)로부터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수신했는지를 확인한다(단계S603). 송전 장치(101)는, 수전 장치(111)로부터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수신했을 경우(단계S603에서 YES), 도 6의 처리 시작 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송전부가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609). 또한, 이 경우에, 송전 장치(101)는, 제1송전부(501) 및 제2송전부(503)만을 구비하므로, 현재 사용된 송전부가 제1송전부(501)인지를 판정하여서 단계S609의 판정이 행해진다.
송전 장치(101)는, 현재 사용된 송전부로서 제1송전부(501)가 선택되는 경우(단계S609에서 YES), 수신한 방식대응 확인신호로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송전 장치(101)에 구비된 송전부가 대응한지를 판정한다(단계S610). 이 경우에, 방식대응 확인신호에서는, 수전 장치(111)의 제2수전부(303)가 대응하는 전자 유도방식과 그 대응하는 주파수가 지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전 장치(101)는, 전자 유도방식에 대응하는 제2송전부(503)가 상기 지정된 주파수에 대응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송전 장치(101)가,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가능한 송전부를 갖는 경우(단계S610에서 YES), 그 송전부는 그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가능한 송전부(제2송전부(503))로 전환된다(단계S611). 추가로, 이 경우, 송전 장치(101)는, 제2송전부(503)가 방식대응 확인신호로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단계S612). 또한, 처리 시작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송전부가 없을 경우(이 경우에는 제2송전부(503)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단계S609에서 NO), 또는 제2송전부(503)가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가능하지 않을 경우(단계S610에서 NO)에도, 상기 응답 신호는 송신된다(단계S612). 단, 그 경우에, 송전부가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가능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송신된다.
송전 장치(101)는, 송전부를 제2송전부(503)로 바꾼 후에, 배치 확인용 전력을 송전한다(단계S602). 송전 장치(101)가, 그 후에, 수전 장치(111)로부터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않고(단계S603에서 NO), 수전 장치(111)의 배치를 확인하면, 수전 장치(111)에 인증용 전력을 송신한다(단계S604에서 YES). 송전 장치(101)는, 수전 장치(111)로부터 인증용 신호를 수신하면(단계S605에서 YES), 접속 시퀀스를 완료해(단계S606), 본격송전을 시작한다(단계S607). 또한, 송전 장치(101)는, 본격송전중에, 예를 들면 통신부(505)를 거쳐 수전 장치(111)로부터 수전량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적절한 효율로 송전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송전 장치(101)는, 수전 장치(111)로부터 수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단계S608) 것에 응답하여, 송전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전 장치(101)와 수전 장치(111)의 사이에서, 제1송전부(501)와 제1수전부(301)로 행한 전력 전송에 있어서 예정외 전력이 검출되면, 제2송전부(503)와 제2수전부(303)를 사용하여 전력 전송이 행해진다. 그렇지만, 송전 장치(101)와 수전 장치(111)의 사이에서, 다시, 제2송전부(503)와 제2수전부(303)에 의한 전력 전송으로부터, 제1송전부(501)와 제1수전부(301)에 의한 전력 전송으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송전부(501)와 제1수전부(301)가 행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제2송전부(503)와 제2수전부(303)가 행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보다 대량의 전력을 전송하거나 또는 고효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경우에, 이러한 전환이 다시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전 장치(111)는, 제2수전부(303)에 의해 전력을 수전중에, 제1수전부(301)로 정기적으로 바꾸어 예정외 전력 검출을 행한다. 수전 장치(111)는, 제1수전부(301)에 의해 예정외 전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제1수전부(301)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를 지정하는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전 장치(101)에 송신한다. 송전 장치(101)는, 제1수전부(301)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제1송전부(501)에 의해 대응가능하기 때문에, 제1송전부(501)가 지정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송전 장치(101) 및 수전 장치(111)는, 제1송전부(501)와 제1수전부(301)에 의한 전력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송전 장치(101)가, 제1수전부(301)가 대응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 가능한 것은 알고 있다. 이 때문에, 방식대응 확인신호 대신에,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바꾸는 것을 지시하는 다른 신호가, 수전 장치(111)로부터 송전 장치(101)에 송신될 수 있다. 이어서, 송전 장치(101)는, 이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송전부를 바꾸고, 그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수전 장치(111)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수전부를 바꾼다. 즉, 송전 장치(101)는, 수전 장치(111)에 대하여, 과거에 송전에 사용한 적이 있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송전 장치(101)는, 그 지시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결정하고, 실제로 전환을 행한다. 또한, 수전 장치(111)는, 응답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수전부를 바꿀 수 있고, 송전 장치(101)에 의한 응답 신호의 송신은 생략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전 장치1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근방에서 송전 장치101와 수전 장치111의 다른 쌍이 무선 전력 전송동작을 시작하려고 할 때 송전 장치102와 수전 장치112와의 사이에서 WPT가 행해지면, 수전 장치112의 수전량이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이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은, 송전 장치(102)의 소비 전력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다.
또한,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에 본격송전하고 있는 동안, 수전 장치112로부터 수전 전력의 전력량의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수신한다. 포인트B의 타이밍에 있어서, 송전 장치102는, 다른 수전 장치111의 WPT의 상대장치인 다른 송전 장치101에 송신한 인증용 신호를 차단하고(intercept), 그 후, 송전 장치101과의 접속 처리용의 신호를 차단한다고 한다. 이 경우, 송전 장치102는, 이것들의 신호의 차단으로부터, 다른 송전 장치와 수전 장치(송전 장치101과 수전 장치111) 사이의 WPT가, 송전 장치102의 부근에서 막 시작하려고 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전 장치102의 근방에서, 송전 장치101 및 수전 장치111에 의해 WPT가 행해지면, 수전 장치111는, 송전 장치102로부터의 예정외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로, 송전 장치102의 근방에서, 송전 장치101 및 수전 장치111에 의해 WPT가 행해지면, 송전 장치102의 WPT의 상대장치인 수전 장치112는, 송전 장치101로부터의 예정외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로부터 피드백 된 수전량이 변화되는 경우에, 수전 장치112가 예정외 전력을 수신했을 수도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수전 장치111 및 112가, 이 예정외 전력과 무선 전력 전송의 상대장치인 송전 장치101 및 102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것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전 장치102는, 다른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송전부를 구비한다. 송전 장치102가 무선 전력 전송의 상대장치인 수전 장치111과 행하고 있는 WPT와 다른 WPT의 실행을 검출하는 경우에, 송전 장치102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바꾼다.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와 같고, 세계무선전력협회(WPC), 전력동맹(PMA), 또는 무선충전연합(A4WP)의 규격을 따르는 방식이다. 송전 장치102 및 수전 장치112는, 예를 들면 이것들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송전 장치102 및 수전 장치112에 대해서, 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송전 장치의 구성)
도 8은, 송전 장치(102)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송전 장치(102)는, 예를 들면, 그 구성에는, 제1송전부(801), 전환부(802), 제2송전부(803), CPU(804), 통신부(805) 및 송전량 측정부(806)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송전부(801)가 자기공명방식에 대응하고 제2송전부(803)가 전자 유도방식에 대응하며, 송전 장치(102)는, 제1송전부(801) 또는 제2송전부(803) 중 어느 한쪽을 사용하여서 수전 장치(112)에 전력을 송전한다. 전환부(802)는, 수전 장치(112)에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서, 제1송전부(801)와 제2송전부(803)을 사용하여 전환하기 위해 제어를 행한다. 통신부(805)는, WPT의 상대장치(수전 장치112)와 통신을 행한다. 송전량 측정부(806)는, 수전 장치(112)등의 무선 전력 전송의 상대장치에 대하여 송전한 전력량을 측정한다.
CPU(804)는,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RAM 또는 ROM) 또는 기타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송전 장치(102)의 각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CPU(804)는, "CPU"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이외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로 대체될 수 있다. CPU(804)는, 예를 들면, 통신부(805)를 통해서 수전 장치(112)로부터 수신한 수전 장치(112)의 수전 전력량과, 송전량 측정부(806)가 측정한 송전 전력량을 사용하여서, 송전/수전효율을 산출하는 효율 계산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이 송전/수전효율은, 상술한 수전 전력량이 수신되었을 때와 송전 전력량의 측정 결과가 갱신될 때마다, 소정의 주기마다, 또는 상술한 수전 전력량이 변화될 때 등의, 여러 가지 시점에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CPU(804)는, 송전/수전효율을 산출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송전 전력량의 값, 수전 전력량의 값 및 송전/수전효율이 관련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서, 송전/수전효율을 취득할 수 있다. 즉, CPU(804)는, 수전 장치(112)로부터 통지된 수전 전력량과, 송전량 측정부(806)가 측정한 송전 전력량을 취득하고, 테이블내에서, 그 취득한 값에 가장 가까운 수전 전력량 및 송전 전력량을 참조한다. CPU(804)는, 그 참조한 수전 전력량 및 송전 전력량에 대응하는 송전/수전효율의 값을, 취득한 수전 전력량 및 송전 전력량에 대응하는 송전/수전효율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CPU(804)는, 통신부(805)에 의한 주변환경의 감시로부터, 다른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에 의한 WPT가 개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805)가 수전 장치(111)로부터의 인증용 신호 혹은 송전 장치(101)로부터의 수전 장치(111)에의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에, CPU(804)는, 다른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에 의한 WPT가 개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CPU(804)는, 통신부(805)가 다른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접속 처리에 관련되는 통신을 차단하는 경우에, 다른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에 의한 WPT가 개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U(804)는, 다른 장치에 의한 WPT가 개시되었을 경우에 송전/수전효율이 소정량 이상 변화되었을 경우, 예정외의 송전/수전이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정외의 송전/수전은, 수전 장치(112)가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예정외 전력을 수전하고 있는 것, 또는, 송전 장치(101)가 다른 수전 장치(111)에 예정외 전력을 송전하고 있는 것의,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송전 장치(102)는, 예를 들면, 송전 장치(102)가 송전 전력량을 상승시키지 않을지라도, 무선 전력 전송의 상대장치인 수전 장치(112)의 수전 전력량이 상승했을 경우에, 예정외의 송전/수전이 발생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즉, 송전 장치(102)는, 다른 WPT에 관한 통신의 차단 후에 송전/수전효율이 변화되었는지의 판정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예정외의 송전/수전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예는, 송전 장치(102)의 송전 전력량이 일정한 경우 수전 장치(112)의 수전 전력량의 (예를 들면, 소정량이상) 상승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에 의한 판정이다. 또한, 수전 장치(112)의 수전 전력량의 변동 패턴이, 예를 들면 송전 장치가 전력 전송을 시작할 때의 배치 확인 전력이 송신되는 주기에 일치하는 경우에, 수전 장치(112)가,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예정외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고 판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전/수전효율의 시간변화 패턴에 의해서, 예정외의 송전/수전이 발생하는 환경 또는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송전 장치(102)의 송전 전력량의 변화로부터, 또는, 전류, 전압, 임피던스 등의 변화로부터, 예정외의 송전/수전의 발생이 검출될 수 있다.
송전 장치(102)에 있어서 제1송전부(801)의 자기공명방식이 선택될 때 이러한 예정외의 송전/수전의 발생이 검출되었을 경우, CPU(804)는, 송전부의 제2송전부(803)에의 전환을 행할지의 판단을 행한다. 이때, CPU(804)는, 무선 전력 전송의 상대장치인 수전 장치(112)가,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전자 유도방식)과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통신부(805)를 거쳐, 수전 장치(112)에 문의한다. CPU(804)는, 수전 장치(112)가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송전부를 제1송전부(801)로부터 제2송전부(803)로 바꾸도록, 전환부(802)를 제어한다. 또한, 전환전의 전력 전송 방식이 대량의 전력을 송전하거나 또는 고효율로 전력을 송전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면 그 방식은, 주기적으로 그 전환전의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고, 예정외 전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그 전환전의 이 방식에 의해 송전될 수 있다.
또한,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가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 및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문의 결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전 장치(102)는, 제1송전부(801)로부터 수전 장치(112)에 송전동안에 계속해서 예정외 전력을 검출할 때 수전 장치(112)에 문의해야 하지 않고, 송전부를 제2송전부(803)로 바꿀 수 있다. 이 경우, 송전 장치(102)는, 수전부를 수전 장치(112)로 수전부로 전환하는 지시만을 송신함으로써, 수전 장치(112)의 수전부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수전 장치(112)는, 송전 장치(102)로부터의 제1송전부(801)에 의한 송전이 끊어진 경우, 제2송전부(803)에 대응하는 수전부를 사용해서 전력의 검출, 또는 접속 처리를 위한 신호 검출을 행하고, 자동적으로 송전 장치(102)에 있어서의 송전부의 전환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전 장치(102)는, 수전부의 전환 지시도 송신할 필요는 없다.
(송전 장치의 처리 시퀀스)
도 9는, 송전 장치(102)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송전 장치(102)는, 예를 들면, 스위치가 눌릴 때 또는 수전 장치가 배치될 때, 도 9의 처리를 시작한다. 이하에서는, 송전 장치(102)가, 제1송전부(801) 및 제2송전부(803)의 2개의 송전부를 구비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송전 장치(102)는, 3개이상의 송전부를 가질 수 있다.
송전 장치(102)는, 우선,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무선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송전부(제1송전부(801) 및 제2송전부(803)) 중에서, 최대 수전량이나 효율 등의 조건에 근거하여, 제1송전부(801)를 선택한다(단계S901). 다음에, 송전 장치(102)는, 제1송전부(801)를 거쳐 배치 확인용 전력을 송전한다(단계S902).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의 배치가 확인되면, 인증용 전력을 송전해(단계S903에서 YES), 수전 장치(112)와의 접속 처리를 시작한다(단계S904에서 YES). 송전 장치(102)는, 접속 처리의 완료 후, 본격송전을 시작한다(단계S905).
송전 장치(102)는, 본격송전의 시작 후에,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로부터의 인증 확인 신호의 수전 또는 그것에 대한 응답 신호를 감시하고,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에 의한 WPT를 위한 접속 처리가 실행되었는지를 감시한다(단계S906). 또한, 이 감시는, 적어도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에 의한 WPT가 개시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판정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다음에, 송전 장치(102)는,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에 의한 WPT 접속 처리가 확인되었을 경우(단계S906에서 YES), 수전 효율의 변화를 조사한다(단계S907). 다른 장치에 의한 WPT의 접속 처리가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단계S906에서 NO), 또는 수전 효율에 변화가 없는 경우나 그 변화량이 소정량이하이었을 경우(단계S907에서 NO), 송전 장치(102)는, 송전을 계속한다.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로부터의 수전 완료 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908). 이어서,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로부터 수전 완료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단계S908에서 YES)에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수전 장치(112)로부터 수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단계S908에서 NO), 송전 장치(102)는, 송전을 계속하고,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에 의한 WPT 접속 처리를 위한 검출 처리(단계S906)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907에 있어서,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에 의한 WPT 접속 처리가 확인된 직후에 수전 효율이 변화되었을 경우(단계S907에서 YES), 송전 장치(102)는,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에 의한 WPT에 기인한 예정외 전력의 발생을 검지한다. 즉,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가 근방의 송전 장치(101)로부터 예정외 전력을 수전하고 있는지, 송전 장치(102) 자신이 근방의 수전 장치(111)에 예정외 전력이 송전하고 있는지를 검지한다. 그 후, 송전 장치(102)는, 도 9의 처리 시작 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송전부가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909). 또한, 이 경우에, 송전 장치(102)가 제1송전부(801) 및 제2송전부(803)만을 포함하므로, 현재 사용된 송전부가, 초기에 사용되고 있었던 제1송전부(801)인지의 판정에 의해, 단계S909의 판정을 행한다.
송전 장치(102)는, 현재 사용된 송전부로서 제1송전부(801)가 선택된 경우(단계S909에서 YES), 도 9의 처리 시작 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송전부가 존재하므로, 수전 장치(112)에 대하여,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신한다(단계S910). 이 방식대응 확인신호는, 도 9의 처리 시작 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송전부의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전 장치(112)는, 이들의 지정된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자신이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방식대응 확인신호는, 송전 장치(102)가 현재 바꾸려고 하고 있는 1개 또는 복수의 송전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송전 장치(102)에 구비된 적어도 1개이상의 송전부 중 불특정한 1개 이상의 송전부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전 장치(102)는, 과거에 수전 장치(112)에 대하여 제2송전부(803)를 사용해서 송전한 적이 있을 경우, 또는 수전 장치(112)가 제1송전부(801)이외의 송전부에 대응하는 것을 알고 있을 경우,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신할 필요 없다.
송전 장치(102)는,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신했을 경우, 그 후, 수전 장치(112)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단계S911). 그리고, 송전 장치(102)는, 자신의 제2수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수전 장치(112)가 대응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경우(단계S912에서 YES), 송전부를 제1송전부(801)로부터 제2송전부(803)로 바꾼다(단계S914). 또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송전부는 전환되지 않아도 된다. 그렇지만, 수전 장치(112)가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 가능한 것을 사전에 알은 경우, 송전 장치(102)는, 응답 신호의 수신이 없어도, 송전부를 제2송전부(803)로 바꿀 수 있다. 이 경우, 송전 장치(102)는, 수전 장치(112)가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가능한 것을 사전에 알은 경우는, 방식대응 확인신호가 아니고, 수전부의 전환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전 장치(112)에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송전 장치(102)는, 제2송전부(803)에 의해, 단계S902∼단계S905의 처리를 행하고, 제2송전부(803)에 의한 본격송전을 시작한다. 그 후, 송전 장치(102)는, 본격송전중에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과 같은 전자 유도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에 의한 WPT의 접속이 확인되면(단계S906에서 YES), 이 확인 직후에 송전/수전효율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907). 또한, 예를 들면, 제2송전부(8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전자 유도방식과 같이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전이 곤란한 방식일 경우, 수전 장치(112)가,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의 예정외 전력을 수전할 확률은 충분히 낮다는 것이 추정된다. 추가로, 송전 장치(102)가 송전한 전력이, 다른 수전 장치에 의해 수전될 확률도 충분히 낮은 것이 추정된다. 즉, 전자 유도방식(제2송전부(803))을 사용할 때, 예정외의 송전/수전이 발생할 확률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장치에 의한 WPT의 접속 처리가 확인되지 않거나(단계S906에서 NO), 또는 수전 효율에 변화가 없거나 그 변화량이 소정량이하(단계S907에서 NO)일 확률이 높고, 결과로서, 송전 장치(102)는 송전을 계속할 수 있다.
한편, 단계S907에 있어서,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수전 장치에 의한 WPT의 접속 처리가 확인된 직후에 수전 효율이 변화되었을 경우(단계S907에서 YES), 송전 장치(102)는, 도 9의 처리 시작 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송전부가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909). 또한, 이 경우에, 상술 한 바와 같이, 송전 장치(102)가 제1송전부(801) 및 제2송전부(803)만을 구비하므로, 현재 사용된 송전부가 초기에 사용되었던 제1송전부(801)인지의 판정에 의해, 단계S909의 판정을 행한다. 송전 장치(102)는, 이 시점에서 현재 사용된 송전부가 제2송전부(803)이므로, 도 9의 처리 시작후에 선택되지 않고 있는 송전부가 없다고 판정해(단계S909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송전 장치(102)가 3개이상의 송전부를 구비할 경우는, 단순히 처리를 종료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처리를 단계S910에 진행시키고, 다른 전력 전송 방식을 지정한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9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1송전부(80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보다 대량의 전력을 송신하거나 또는 고효율로 송전 가능한 경우, 송전 장치(102)는, 송전부의 제2송전부(803)로의 전환 후, 다시, 송전부를 제1송전부(801)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다시 전환은, 예를 들면, 송전 장치(102) 또는 수전 장치(112)가, 다른 송전 장치와 다른 수전 장치 사이에서 제1송전부(801)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송전/수전의 종료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행해질 수 있다. 다른 송전 장치와 다른 수전 장치간의 송전/수전의 종료의 검지는, 해당 다른 수전 장치로부터의 수전 완료 신호의 검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추가로, 송전 장치(102) 및 수전 장치(112)는, 다른 송전 장치와 다른 수전 장치간의 송전/수전의 종료 검지를, 전력 전송 방식을 제1송전부(801)의 전력 전송 방식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변경하고, 수전 효율을 조사하여서 행할 수 있다.
(수전 장치의 구성)
도 10은, 수전 장치(112)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수전 장치(112)는, 예를 들면, 그 구성에는, 제1수전부(1001), 전환부(1002), 제2수전부(1003), CPU(1004), 통신부(1005), 및 수전량 측정부(1006)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수전부(1001)가 자기공명방식에 대응하고 제2수전부(1003)가 전자 유도방식에 대응하고, 수전 장치(112)는, 제1수전부(1001) 또는 제2수전부(1003) 중 어느 한쪽을 사용하여 송전 장치(102)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한다. 전환부(1002)는, 송전 장치(102)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기 위해서, 제1수전부(1001)와 제2수전부(1003)를 사용하여 바꾸기 위해 제어를 행한다. 수전량 측정부(1006)는, 제1수전부(1001) 또는 제2수전부(1003)에서 수전된 수전 전력량을 측정한다.
통신부(1005)는, 무선 전력 전송의 상대장치(송전 장치(102))와의 통신을 행한다. CPU(1004)는,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RAM 또는 ROM) 또는 기타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수전 장치(112)의 각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CPU(1004)는, "CPU"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이외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로 대체될 수 있다. CPU(1004)는, 통신부(1005)를 거쳐 송전 장치(102)로부터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로 지정된 송전 장치(102)의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예를 들면, 전자 유도방식)과 주파수에, 제2수전부(1003)가 대응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1004)는, 제2수전부(1003)가 송전 장치(102)의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과 주파수에 대응가능할 경우, 수전부를 제2수전부(1003)로 전환하도록, 전환부(1002)를 제어한다. 추가로, CPU(1004)는, 수전부의 전환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전 장치로부터의 방식대응 확인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송신하도록, 통신부(1005)를 제어한다. 또한, CPU(1004)는, 수전량 측정부(1006)가 측정한 수전 전력량의 값을, 송전 장치(102)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005)를 제어한다. 이때, 수전 전력량의 값은, 그 값 자체 또는 그 값에 대응한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수전 장치의 처리 시퀀스)
도 11은, 수전 장치(112)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수전 장치(112)는, 예를 들면, 송전 장치에 배치될 때 또는 스위치가 눌릴 때, 도 11의 처리를 시작한다. 이하에서는, 수전 장치(112)가 제1수전부(1001) 및 제2수전부(1003)의 2개의 수전부를 구비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전 장치(112)는, 1개의 수전부만을 구비하면 좋고, 3개이상의 수전부를 가질 수 있다.
수전 장치(112)는, 우선,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무선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전부(제1수전부(1001) 및 제2수전부(1003)) 중에서, 최대 수전량이나 효율 등의 조건에 근거하여, 제1수전부(1001)를 선택한다(단계S11Ol). 그리고, 수전 장치(112)는, 제1수전부(1001)를 거쳐 배치 확인용 전력이 수전되어(단계S11O2에서 YES), 인증용 전력을 검출하면(단계S11O3에서 YES), 인증용 신호를 송신한다(단계S11O4). 다음에, 수전 장치(112)는, 응답 신호등을 수신한 후 송전 장치(102)와의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단계S11O4). 접속 처리 후, 송전 장치(102)로부터 본격송전이 개시되어(단계S11O5), 수전 장치(112)는 송전 장치(102)가 송전한 전력을 수전한다. 그 후, 수전 장치(112)는,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송전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것인지를 감시한다(단계S11O6). 방식대응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단계S11O6에서 NO), 수전 장치(112)는,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1O7). 수전 장치(112)는,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방식대응 확인신호의 수신의 감시를 계속하면서 전력의 수전을 계속한다. 충전이 완료되면(단계S11O7에서 YES), 수전 장치(112)는, 수전 완료 신호를 송전 장치(102)에 송신해(단계S1113), 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수전 장치(112)는, 본격수전중에, 방식대응 확인신호가 송전 장치(102)로부터 수신되었을 경우(단계S11O6에서 YES), 도 11의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수전부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1O8). 또한, 이 경우에, 수전 장치(112)가 제1수전부(1001) 및 제2수전부(1003)만을 구비하고 제1수전부(1001)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수전부가 존재한다 (단계S11O8에서 YES)고 판정한다. 따라서, 수전 장치(112)는, 계속해서, 방식대응 확인신호에 있어서 지정된 송전 장치(102)의 제2송전부(803)의 전력 전송 방식(및 경우에 따라서는 주파수)을 확인한다. 수전 장치(112)는, 그 전력 전송 방식에, 수전 장치(112)의 제2수전부(1003)가 대응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해(단계S11O9), 그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단계S111O). 또한, 수전 장치(112)가 송전 장치(102)로부터 제2수전부(1003)를 사용해서 전력을 수전한 경우, 방식대응 확인신호 대신에, 제2수전부(1003)를 사용한 수전을 지시하는 신호가, 송전 장치(102)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전 장치(112)는, 송전 장치(102)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수전부를 전환할 수 있다.
수전 장치(112)는, 수전 장치(112)의 제2수전부(1003)가 지정된 전력 전송 방식(및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을 경우(단계S1111에서 YES), 수전부를 제2수전부(1003)로 전환한다. 한편, 수전 장치(112)는, 수전 장치(112)의 제2수전부(1003)가 지정된 전력 전송 방식(및 주파수)에 비대응한 경우(단계S1111에서 NO), 다른 수전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전 완료 신호를 송전 장치(102)에 송신하고(단계S1113), 처리를 종료한다. 제2수전부(1003)에 의한 접속 처리 및 본격수전(단계S11O2∼단계S11O5)이 실행된다. 수전 장치(112)는, 제2수전부(1003)를 사용한 본격수전의 실행중에 방식대응 확인신호를 수신하면(단계S11O6에서 YES), 계속해서 단계S11O8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에, 제2수전부(1003)를 사용하고, 도 11의 처리 시작 후에 제1수전부(1001)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수전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단계S11O8에서 NO) 판정한다. 따라서, 이것이 제1수전부(1001) 및 제2수전부(1003)의 양쪽 모두가 다른 WPT에 의해 예정외 전력을 검출하는 나타내므로, 수전 장치(112)는 수전 완료 신호를 송신하고(단계S1113),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수전부(301/1001) 및 제1송전부(501/801)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자기공명방식이고, 제2수전부(303/1003) 및 제2송전부(503/803)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전자 유도방식이었지만, 이 부들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서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2개의 수전부간 및 2개의 송전부간의 전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수전부 또는 송전부간에 전환하여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 또는 주파수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배치 확인용 전력을 수신하는 기간이외의 기간에 수전된 전력량에 의해 예정외 전력이 어떻게 검출되는지를 설명하였지만, 배치 확인용 전력의 송전 전력량의 변화나 인증용 전력량, 인증용 전력의 간헐기간의 전력량 등을 사용하는 방식 등의 다른 방식으로 예정외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배치 확인용 전력과 인증용 전력은, 다른 전력원 또는 공통 전력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1)

  1.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고, 송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동안에, 상기 송전 장치와는 다른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 장치와 상기 수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수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송전에 대응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송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송전에 대응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의 전력 전송 방식을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한층 더 전환하고,
    상기 송전 장치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송전에 대응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송전 장치는, 상기 송전 장치의 전력 전송 방식을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환하는, 수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송신하고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송전에 대응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신호는,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수전할 수 있는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송전에 대응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의 전력 전송 방식이 전환되지 않도록 상기 수전 장치를 제어하는, 수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장치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수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송전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송전 장치에 송신하도록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수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송전 장치가 전력을 송전하지 않고 있는 동안에 수전된 전력을 검출하여서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검출하는, 수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전 장치 및 상기 송전 장치가 사용하는 전력 전송 방식을 전환한 후에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한층 더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어느 한쪽에 의해서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 장치와의 전력 전송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수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하는 주파수가 서로 다른, 수전 장치.
  9.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고, 송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동안에, 상기 송전 장치와는 다른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 장치와 상기 수전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전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고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해서 상기 수전 장치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송전 장치 및 다른 수전 장치에 의한 전력 전송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생긴,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송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수전에 대응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수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수전에 대응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가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 장치의 전력 전송 방식을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송전부를 한층 더 제어하고,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수전에 대응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수전 장치의 전력 전송 방식을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환하는, 송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송신하고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수전에 대응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신호는, 상기 송전 장치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송전할 수 있는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전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에서의 수전에 대응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 장치의 전력 전송 방식을 전환하지 않도록 상기 송전부를 제어하는, 송전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수전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수전 장치에 송신하게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송전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전 장치의 수전 전력량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송전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전 전력량과, 상기 송전 장치가 송전한 송전 전력량으로부터, 송전/수전효율을 취득하고, 상기 송전/수전효율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송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다른 송전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송신한 신호 또는 전력을 검출한 후의 상기 송전/수전효율의 변화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송전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전 장치 및 상기 송전 장치가 사용하는 전력 전송 방식을 전환한 후에,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한층 더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와의 전력 전송을 종료하도록 상기 송전부를 제어하는, 송전 장치.
  19.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해서 수전 장치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며, 상기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송전 장치 및 다른 수전 장치에 의한 전력 전송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생긴,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전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고 송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장치에 설치된 컴퓨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송전 장치와는 다른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검출시키고,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 장치와 상기 수전 장치를 제어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21.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서 수전 장치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에 대응하며, 무선으로 수전 장치에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장치에 설치된 컴퓨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제1의 전력 전송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송전 장치 및 다른 수전 장치에 의한 전력 전송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생긴,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시키고,
    적어도,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다른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수전 장치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력 전송 방식 중 상기 제1의 전력 전송 방식과는 다른 제2의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상기 송전부를 제어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60016087A 2015-02-17 2016-02-12 수전 장치, 송전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048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8863 2015-02-17
JP2015028862A JP6506565B2 (ja) 2015-02-17 2015-02-17 受電装置、送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28863A JP6623345B2 (ja) 2015-02-17 2015-02-17 送電装置、受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5-028862 201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67A true KR20160101667A (ko) 2016-08-25
KR102048748B1 KR102048748B1 (ko) 2020-01-08

Family

ID=552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087A KR102048748B1 (ko) 2015-02-17 2016-02-12 수전 장치, 송전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5352B2 (ko)
EP (1) EP3059832B1 (ko)
KR (1) KR102048748B1 (ko)
CN (1) CN1058967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577B1 (ko) * 2016-04-15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장치 및 방법
JP7286389B2 (ja) * 2019-04-15 202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739A (ko) * 2010-02-17 201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주파수 안정화 회로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JP2011199975A (ja) * 2010-03-18 2011-10-06 Nec Corp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送電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送電方法
WO2012111271A1 (ja) * 2011-02-17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送電方法
KR20120112761A (ko) * 2010-02-10 2012-10-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자계 공명형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
KR20120137405A (ko) * 2010-04-13 2012-12-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력 공급 시스템, 송전기 및 수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018A (ko) 2006-01-11 2008-12-26 파워캐스트 코포레이션 펄스 송신 방법
JP5124991B2 (ja) 2006-05-30 2013-01-2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88211B2 (ja) 2008-03-07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JP4911148B2 (ja) 2008-09-02 2012-04-04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US9407327B2 (en) 2009-02-13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eable and charging devices
US8373388B2 (en) 2009-12-11 2013-02-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rtable device and battery charging method thereof
US8853889B2 (en) * 2010-09-08 2014-10-0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terminal power source
JP5703823B2 (ja) * 2011-02-21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方法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2205485A (ja) 2011-03-28 2012-10-2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電子機器、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異常通知方法
WO2013035190A1 (ja) * 2011-09-09 2013-03-14 中国電力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非接触給電方法
JP5801268B2 (ja) * 2012-09-03 2015-10-28 株式会社東芝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6207152B2 (ja) 2012-12-27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148839A1 (en) * 2013-03-21 2014-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JP6161393B2 (ja) * 2013-05-14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200247A1 (en) * 2013-06-11 2014-12-18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JP2015006096A (ja) 2013-06-21 2015-01-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非接触充電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充電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761A (ko) * 2010-02-10 2012-10-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자계 공명형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
KR20110094739A (ko) * 2010-02-17 201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주파수 안정화 회로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JP2011199975A (ja) * 2010-03-18 2011-10-06 Nec Corp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送電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送電方法
KR20120137405A (ko) * 2010-04-13 2012-12-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력 공급 시스템, 송전기 및 수전기
WO2012111271A1 (ja) * 2011-02-17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送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9832A1 (en) 2016-08-24
CN105896752B (zh) 2019-09-20
CN105896752A (zh) 2016-08-24
KR102048748B1 (ko) 2020-01-08
EP3059832B1 (en) 2018-03-14
US10205352B2 (en) 2019-02-12
US20160241047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7133B2 (ja) 誘導送電器
EP3148049B1 (en) Detecting resonant frequencies
US20140091626A1 (en)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Device Discovery and Power Transfer Capabilities
KR20150107281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10505399B2 (en) Contactless inductive energy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1161966A1 (ja) 送電装置、受電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1414B2 (ja) マルチコイルワイヤレス給電装置
KR101968451B1 (ko)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및 방법
JP2017184488A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62167B2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of,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493370B2 (ja) 送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230275472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60101667A (ko) 수전 장치, 송전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202201736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improved foreign object detection
WO2015025733A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1261053A1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045016A1 (ja) 送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22918A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400578B1 (ko)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623345B2 (ja) 送電装置、受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6565B2 (ja) 受電装置、送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06641A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39899A (ja)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