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270A -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270A
KR20160101270A KR1020150023196A KR20150023196A KR20160101270A KR 20160101270 A KR20160101270 A KR 20160101270A KR 1020150023196 A KR1020150023196 A KR 1020150023196A KR 20150023196 A KR20150023196 A KR 20150023196A KR 20160101270 A KR20160101270 A KR 2016010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r valve
actuator
bracket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필
서정일
김창연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270A/ko
Publication of KR2016010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026/0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공정을 최소하여 조립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차량의 진동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는, 브라켓을 통해 밸브 하우징에 고정되어 플랩을 회전시키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되며 그 돌출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의 체결공에 압입되어 한 번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Actuator for EGR valve and the actuator and bracket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용 EGR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GR 밸브는 고압, 고온 시에 산소와 질소가 결합하여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억제하기 위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일부를 다시 흡기계통 측에 공급하여 최고 연소온도를 낮추고, 산소 공급을 줄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의 일 구성으로, EGR 시스템에서는 리턴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EGR 밸브를 나타난 사시도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4538호에 개시된 종래의 EGR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24)과, 밸브 하우징(24)의 일측에 결합된 브라켓(22)과, 밸브 하우징(24)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기 파이프(14)를 개폐하는 플랩(12)과, 그리고 브라켓(22)을 통해 밸브 하우징(24)에 장착되며 플랩(12)을 구동시키는 엑추에이터(16)를 포함한다. 특히, 엑추에이터(16)와 브라켓(22)를 조립하기 위해, 엑추에이터(16)의 하부 케이스에 볼트(31)를 형성시키고, 브라켓(22)에 볼트(31)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형성시켜, 볼트공을 통과한 볼트(31)를 너트(32)로 결합시키는 방식이 이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EGR 밸브는, 엑추에이터(16)와 브라켓(22)를 조립하기 위해 볼트공에 볼트(31)를 끼우는 제1 공정과 볼트(31)에 너트(32)를 체결하는 제2 공정, 이렇게 2가지의 공정이 요구되어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진동에 의해 너트가 풀리면서 엑추에이터가 헐거워져 밸브의 동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다른 종래의 EGR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417호에 개시된 다른 종래의 EGR 밸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260)와 브라켓(250)를 조립하기 위해, 엑추에이터(260)의 하부 케이스(2604)에 "ㄴ"자 형상의 돌기(271)를 형성시키고, 브라켓(250)에 돌기(271)가 삽입되는 삽입공(272)을 형성시키고, 브라켓(260)에 삽입공(272)과 연통되며 삽입공(272)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공(273)을 형성시켜, 돌기(271)를 삽입공(27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돌기(271)를 회전시켜 걸림공(273)에 돌기(271)가 걸리게 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하지만, 다른 종래의 EGR 밸브는, 엑추에이터(260)와 브라켓(250)를 조립하기 위해 삽입공(272)에 돌기(271)를 끼우는 제1 공정과 걸림공(273)에 걸리도록 돌기(271)를 회전시키는 제2 공정, 이렇게 2가지의 공정이 요구되어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진동에 의해 걸림공(273)에 걸린 돌기(271)가 삽입공(272)으로 이동되어 빠지는 문제가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4538호 (공개일: 2011. 12. 15)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99417호 (등록일: 2014. 05. 2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립 공정을 최소하여 조립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차량의 진동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는, 브라켓을 통해 밸브 하우징에 고정되어 플랩을 회전시키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되며 그 돌출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의 체결공에 압입되어 한 번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되되 상기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공과 같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상기 체결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상기 체결공보다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부는,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의 간격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으로 상기 체결공에 압입이 완료되면 상기 체결공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 및 상기 걸림 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되 중심부에서는 상기 체결공의 간격보다 얇아지는 인입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한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는,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체결공에 압입되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과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에 구비되는 엠보싱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는, 진공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 어셈블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압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공은 길이와 간격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간격은 상기 길이의 방향을 따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되며 그 돌출 방향으로 브라켓의 체결공에 압입되어 한 번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제공하므로, 한번의 조립 공정으로 체결이 이루어져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차량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체결 돌기가 체결공에서 빠지지 않고 체결공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EGR 밸브를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의 EGR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중 로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저면을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가 브라켓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가 브라켓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의 (a)는 도 3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중 로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저면을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가 브라켓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가 브라켓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00)을 통해 밸브 하우징(도 1의 24 참조)에 고정되어 플랩(도 1의 12 참조)을 회전시키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로, 케이스(310)와 체결 돌기(32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계속해서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31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300)의 핵심 부품인 구동유닛(미도시)이 내장되는 곳으로, 구동 유닛을 통해 이동체인 로드(301) 및 플랩(도 1의 12 참조)이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기 위해 고정체인 밸브 하우징(도 1의 24 참조)에 브라켓(400)을 통해 고정된다.
체결 돌기(3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의 일면(311)에 돌출되며, 그 돌출 방향으로 브라켓(400)의 체결공(410)에 압입되어 한 번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체결 돌기(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1)와 인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의 일면(311)에 돌출되되 브라켓(4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입부(3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인입부(322)가 체결공(410)에 안입되어 체결되면 지지부(321)가 체결공(410) 사이에 놓일 수 있도록 체결공(410)과 같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인입부(32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1)의 말단에 체결공(4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되 지지부(321)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체결공(410)보다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입부(3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고정부(322a)와 인입 안내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고정부(322a)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1)의 말단에 구비되고, 그리고 체결공(410)의 간격(G)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고정부(322a)가 지지부(321)의 돌출 방향으로 체결공(410)에 압입이 완료되면 체결공(410)에 걸려 고정된다. 나아가, 걸림 고정부(322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1)의 한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입 안내부(322b)는, 걸림 고정부(322a)에 형성되고, 그리고 지지부(321)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되 그 중심부에서는 체결공(410)의 간격(G)보다 얇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의 인입 안내부(322b)를 통해, 걸림 고정부(322a)가 체결공(410)에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압입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의 일면(311)에 볼록하게 구비된 엠보싱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돌기(320)가 체결공(410)에 압입되면, 엠보싱부(330)에 의해 케이스(310)가 브라켓(400)과 밀착되어 케이스(310)가 브라켓(400)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는, 진공의 구동원을 가지는 진공인 진공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 어셈블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와 브라켓(400)을 포함한다.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브라켓(400)은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와 밸브 하우징(도 1의 24 참조) 사이에 개재되어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를 밸브 하우징(도 1의 24 참조)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의 체결 돌기(320)가 압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410)을 가진다.
나아가, 체결공(4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L)와 간격(G)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간격(G)은 길이(L)의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는 않았지만 체결공의 일 부위의 간격이 다른 부위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경우 체결 돌기의 걸림 고정부가 이를 통해 빠질 수 있는 여지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간격(G)을 제공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300) 및 브라켓(400)과의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스(310)의 일면(311)에 돌출되며 그 돌출 방향으로 브라켓(400)의 체결공(410)에 압입되어 한 번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320)를 제공하므로, 한번의 조립 공정으로 체결이 이루어져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차량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체결 돌기(320)가 체결공(410)에서 빠지지 않고 체결공(4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2: 플랩 24: 밸브 하우징
300: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310: 케이스
320: 체결 돌기 321: 지지부
322: 인입부 322a: 걸림 고정부
322b: 인입 안내부 330: 엠보싱부
400: 브라켓 410: 체결공
L: 길이 G: 간격
T: 두께

Claims (8)

  1. 브라켓을 통해 밸브 하우징에 고정되어 플랩을 회전시키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되며 그 돌출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의 체결공에 압입되어 한 번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
    를 포함하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2. 제1항에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되되 상기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공과 같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상기 체결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상기 체결공보다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인입부
    를 포함하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3. 제2항에서,
    상기 인입부는,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의 간격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으로 상기 체결공에 압입이 완료되면 상기 체결공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 및
    상기 걸림 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되 중심부에서는 상기 체결공의 간격보다 얇아지는 인입 안내부
    를 포함하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4. 제3항에서,
    상기 걸림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한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5. 제1항에서,
    상기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는,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체결공에 압입되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과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에 구비되는 엠보싱부(330)를
    더 포함하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6. 제1항에서,
    상기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는,
    진공 엑추에이터인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압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는 브라켓
    을 포함하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 어셈블리.
  8. 제7항에서,
    상기 체결공은, 길이와 간격을 가지고,
    상기 간격은, 상기 길이의 방향을 따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 어셈블리.
KR1020150023196A 2015-02-16 2015-02-16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 KR20160101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96A KR20160101270A (ko) 2015-02-16 2015-02-16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96A KR20160101270A (ko) 2015-02-16 2015-02-16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270A true KR20160101270A (ko) 2016-08-25

Family

ID=5688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196A KR20160101270A (ko) 2015-02-16 2015-02-16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2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0958A1 (en) * 2019-02-11 2022-08-18 Koodaideri Innovation & Technology Pty Ltd Remotely controlling a hydraulic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538A (ko) 2010-06-09 2011-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gr 밸브
KR101399417B1 (ko) 2012-11-14 2014-05-30 주식회사 코렌스 Egr 쿨러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538A (ko) 2010-06-09 2011-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gr 밸브
KR101399417B1 (ko) 2012-11-14 2014-05-30 주식회사 코렌스 Egr 쿨러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0958A1 (en) * 2019-02-11 2022-08-18 Koodaideri Innovation & Technology Pty Ltd Remotely controlling a hydraulic system
US11966206B2 (en) * 2019-02-11 2024-04-23 Koodaideri Innovation & Technology Pty Ltd Remotely controlling a hydraulic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764B2 (en) Cable connector for vehicle door
KR101989209B1 (ko) 커넥터
US20170232937A1 (en) Wiper connector and bolt-stabilizing sleeve adaptor
US20180209464A1 (en) Fastener
US20140041176A1 (en) Elastic Cantilever Beam Alignment System for Precisely Aligning Components
JPWO2009118936A1 (ja) クリップ
JP2010106712A (ja) キャニスタの付属部品取付け構造
US7272873B2 (en) Sill plate retainer
JP2006318937A (ja) 埋込型機器
KR20160101270A (ko) Egr 밸브용 엑추에이터 및 브라켓과의 어셈블리
KR20090069120A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US7537492B2 (en) Plug-type connector with sleeve-type plug and socket
JP2019500518A (ja) スナップ連結ガイド部材を備える面一装着ガラスデザイン用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0036900A (ja) 後部ガーニッシュクリップ
US7699280B2 (en) Fastening system and method using clips to fasten second component to first component
GB9614020D0 (en) Latch unit and assembly
US9759306B2 (en) Transmission drive assembly
JP2009299850A (ja) クリップ取付座
JP2010142103A (ja)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モータの組付け方法
JP7450056B2 (ja) 車両ヘッドランプ用の照明デバイス
KR20180128146A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JP2004150060A (ja) ガイドプーリおよび該ガイドプーリを備え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WO2015046029A1 (ja) 燃料噴射装置用ノズルプレートの取付構造
JP2005163627A (ja) 燃料噴射弁装置
CN110886662B (zh) 排气控制阀和包括该排气控制阀的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