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701A - 전두유제조기계 - Google Patents

전두유제조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701A
KR20160098701A KR1020150020614A KR20150020614A KR20160098701A KR 20160098701 A KR20160098701 A KR 20160098701A KR 1020150020614 A KR1020150020614 A KR 1020150020614A KR 20150020614 A KR20150020614 A KR 20150020614A KR 20160098701 A KR20160098701 A KR 20160098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water
soybean milk
slip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341B1 (ko
Inventor
엄완영
Original Assignee
엄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완영 filed Critical 엄완영
Priority to KR102015002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3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23L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두유제조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전두유를 제조할 떼 일정량의 콩과 물을 호퍼에 넣고 시작버튼을 눌러주면 고소하고 단백한 맛과 영양많은 신선한 전두유가 자동적으로 단번에 제조되며 또한 사용자가 기호에 맞는 전두유를 직접 제조할 수 있는 편리한 전두유제조기계로서 콩을 물에 담궈 불리지 않고, 께끗이 씻어 그대로 사용하여 섭취하기 좋은 농도의 전두유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슝기트정제수를 사용하여 전두유를 제조하여 전두유의 본래의 맛과 풍미를 장시간 유지 보존할 수 있는 웰빙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전두유제조기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는 100% 스텐레스(sus304)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견고성, 위생성, 안전성, 내구성이 뛰어나며, 연속적으로 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두유제조기계{THE MAKE OF SOYBEAN MILK}
본 발명은 전두유제조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전두유를 제조할 떼 일정량의 콩과 물를 호퍼(HOPPER)에 넣고 시작버튼을 눌러주면 고소하고 단백한 맛과 영양 많은 신선한 전두유가 자동적으로 단번에 제조되며, 또한 사용자가 기호에 맞는 전두유를 직접 제조할 수 있는 편리한 전두유 제조기계로서 콩을 물에 담궈 불리지 않고, 께끗이 씻어 그대로 사용하여 섭취하기 좋은 농도의 전두유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슝기트 정제수(정화력이 좋고, 미네랄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에만 존제하는 특수광물을 사용하여 만든 정제수)를 사용하여 전두유를 제조하여 전두유의 본래의 맛과 풍미를 장시간 유지, 보존할 수 있는 웰빙 식폼을 제조할 수 있는 전두유제조기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는 100% 스텐레스(sus304)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견고성, 위생성, 안전성, 내구성이 뛰어나며, 연속적으로 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전두유제조기계 및 전두유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두유제조기계는 일반적인 두부제조방법으로 두유를 만드는 두유제조기계로서 몸체 상부에 호퍼식 투입구가 부착되고, 몸체 좌측면에 콩용액 배출구가 부착되었고, 몸체 우측면에 콩비지 배출구가 부착되었고, 몸체 하부에는 모터를 구비한 맷돌식 분쇄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맷돌식 분쇄장치 외부에는 콩용액과 콩비지를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걸름망이 장치되어 있는 몸체와 전기콘트롤판넬이 부착되어 구성된 콩용액 제조장치와 콩용액 수용용기, 콩비지 수용용기, 콩용액 끓임통, 급수공급시설로 이루어진 두유제조기계로서 물에 담궈 불린 콩을 호퍼에 넣고, 물공급호스로 호퍼에 물을 공급해주면서 버튼을 눌러주면 콩과 물이 몸체로 투입되어 분쇄장치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되어 걸름망장치에 의해 콩용액과 콩비지가 분리되어 각각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어 수용용기에 담겨진다.
수용용기에 담겨진 콩용액을 국자 등을 사용하여 퍼서 부설된 가마솥이나 끓임통에 넣고 가열하여 콩용액을 끓인 후 퍼서 냉각용기에 담아 식혀서 두유를 만드는 두유제조기계와 두유제조방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두유제조기계와 두유제조방법은 한 몸체로 이루어진 두유제조기계에서 두유가 단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위치나 장소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부설되어 있는 수용용기, 끓임통, 냉각통 등의 과정을 거처서 두유가 만들어지는 두유제조기계로 인해 두유제조시 두유제조공정에 따른 작업이 작업자의 손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일이 많고 또한 두유제조 후 두유제조기계의 청소를 위해 두유제조기계 일부분을 분해하여 청소를 한 후 조립을 해야하는 등 모든 작업이 작업자의 손으로 해야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많고 따라서 작업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업소에서 전두유를 제조할 떼 일정량의 콩과 물을 호퍼에 넣고 시작버튼을 눌러주면 고소하고 단백한 맛과 영양 많은 신선한 전두유가 자동적으로 단번에 제조되며 또한 사용자가 기호에 맞는 전두유를 직접 제조를 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고 또한 연속작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작업시간과 노력 아주 적게 소비되고, 이동과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콩을 물에 담궈 불리지 않고 생콩을 께끗이 씻어 그대로 사용하여 섭취하기 좋은 농도의 전두유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방부제 등 첨가물이 없는 전두유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호퍼 및 손잡이와 중심부에 일정한 규격의 공기흡입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공기통이 부착된 상부뚜껑부가 장착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체부와 하체부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상체부 하단면에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 형태의 원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슬립온맹플렌지가 부착되고, 상기 하체부 상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슬립온오픈플렌지가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상체부의 슬립온맹플렌지 하부면과 상기 하체부의 슬립온오픈플렌지 상부면이 접합되어 볼트를 끼우고 낫트로 조여서 몸체를 이루고, 상기 상체부의 슬립온맹플렌지 상부면 중심부에 일정한 규격의 원통형의 모터카바가 부착되었고, 상기 모터카바 내부에 모터가 장착되었고, 상기 상체부의 슬립온맹플렌지 상부면에 부착된 모터카바 오른쪽 외부면에서 상기 상체부 오른쪽 내부면까지 간격의 중심점부에 형성된 원료투입구 상부면에 원터치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진 원료투입구로드관의 하단부가 상기 원료투입구에 원터치로 장착되고, 상기 원료투입구로드관 상단부에 상기 상체부의 상부뚜껑부에 부착되어 있는 호퍼의 하단부가 원터치로 장착되었고, 상기 호퍼와 원료투입구로드관의 내부에는 원료투입후 원료투입구를 막아주는 라운드바로된 손잡이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으로된 손잡이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스텐판이 부착되어 원료투입구 뚜껑을 이루고, 상기 원료투입구 뚜껑이 상기 원료투입구에 원터치로 장착되고, 상기 모터카바의 상단부에 수개의 배기구와 수개의 공기흡입구가 형성이 되고 내부에 휀이 장착되고, 원형형태의 뚜껑으로 만들어진 모터냉각장치가 장착이 되고, 상기 모터의 하부 중심점부에 회전축이 장착되었고, 상기 모터작동시 회전축의 흔들림방지를 위한 일정한 규격의 원통형카바 상단부에 볼트홀이 형성된 펑판플렌지가 부착되고, 상기 원통형카바 하부에는 베아링과 리데나가 내장되어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을 회전축 하단부 외부로 끼워저 상기 상체부의 슬립온맹플렌지 중심부 하부면에 접합되어 볼트을 끼우고 낫트로 조여서 고정되었고, 상기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 하부에서 약간의 간격을 둔 지점의 회전축에 첫번째 분쇄칼이 장착되었고, 상기 첫번째 분쇄칼 하부에 히타가 부착되었고, 상기 히타 하부의 회전축에 두번째 분쇄칼이 부착되었고, 상기 두번째 분쇄칼의 하부 회전축의 하단부에 세번째 분쇄칼이 부착되어 분쇄장치를 이루고, 상기 하체부의 하단면 중심점부에 일정한 규격의 전동밸브와 원형관노즐을 구비한 배출구가 부착되었고, 상기 하체부의 슬립온오픈플렌지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의 좌측, 우측 및 전면, 후면의 외부면에 볼트홀이 형성이 되고, 일정한 규격의 직사각형 형태의 고정대가 각각 부착되었고, 상기 고정대 하부 우측 외부면에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되었고, 상기 온도감지센서 하부에 레벨감지센서가 장착되었고, 상기 하체부의 고정대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의 외부 전체 면부에 보온제을 부착하고, 상기 보온제 외부면에는 스텐레스재질의 판재로 보온카바되어 보온장치를 이루고, 상기 상체부 상부 좌측 외면부에 인넷트노즐이 부착되고, 그리고 일정한 규격의 원형파이프에 수십개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한쪽 단부에 켑이 부착된 일정한 규격의 원형파이프가 일정한 크기의 원형 형태로 밴딩되어 워터스프레이장치를 이루고, 상기 워터스프레이장치의 오픈된쪽 입구가 상기 상체부 상부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인넷트노즐과 나사식 연결로 고정되고, 상기의 것들로 구성이 되어 전두유용액 제조장치를 이루고, 그리고 상단부면에 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 형태의 틀로 만들어지고, 박퀴를 구비한 가대를 이루고 상기 가대의 상단면이 상기 하체부의 고정대 하부면에 접합되어 볼트을 끼우고 낫트로 조여서 고정이 되고, 그리고 슝기트세라믹볼 장치가 내장되고, 인넷트노즐, 아웃넷트노즐, 레벨게이지와 상부뚜껑부를 구비한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을 이루고, 상기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가 상기 가대의 좌측면부에 부착되고, 그리고 볼밸브와 녹물 정수필터을 구비한 배관시설이 상기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와 인넷트노즐과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급수관시설을 이루고 또 솔로노이드밸브와 정량펌프을 구비한 배관시설이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의 아웃넷트노즐과 그리고 상기 상체부 상부 좌측 외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인넷트노즐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슝기트정제수공급시설을 이루고 그리고 전기공급을 수전하는 누전차단기를 구비한 전기콘트롤판넬이 상기 가대의 우측면부에 부착되고 또 배출구가 부착된 전두유 수용용기를 내장하고, 급수유입구노즐, 배수구, 배출구, 온도계, 손잡이가 부착되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박퀴를 구비한 냉각탱크시설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의 것들로 구성된 전두유제조기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전두유를 제조할 떼 일정량의 콩과 물을 호퍼에 넣고 시작버튼을 눌러주면 고소하고 단백한 맛과 영양 많은 신선한 전두유가 자동적으로 단번에 제조되며 또한 사용자가 기호에 맞는 전두유를 직접 제조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그리고 콩을 물에 담궈 불리지 않고 께끗이 씻어 그대로 사용하여 섭취하기 좋은 농도의 전두유를 단번에 만들어 낼 수 있고 슝기트정제수만 사용하여 전두유를 제조하여 전두유의 본래의 맛과 풍미를 장시간유지 보존할 수 있는 웰빙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전두유제조기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는 100% 스텐레스(sus304)을 사용하여 만든 것으로서 견고성, 위생성, 안전성, 내구성이 뛰어나며 연속적으로 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전두유제조기계의 몸체내부 청소는 물을 넣고 버튼만 눌러주면 자동적으로 손쉽게 께끗이 청소가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2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몸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상체부의 슬립온맹플렌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5은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하체부의 슬립온오픈플렌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6는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상체부의 상부뚜껑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8는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상체부의 상부뚜껑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9은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모터냉각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10는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모터냉각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원료투입구로드관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원료투입구 뚜껑을 나타낸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 측면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기계 제품중 냉각탱크시설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전두유제조기계. 2.호퍼 3.손잡이
4.4-1,공기흡입구 5.5-1 배기구 6.공기통
7.상부뚜껑부 8.몸체 9.상체부
10.하체부 11.원료투입구 12.슬립온맹플렌지
13.슬립온오픈플렌지 14.볼트. 15.낫트.
16.모터카바 17.모터 18.원료투입구로드관.
19.원료투입구뚜껑 20.휀 21.모터냉각장치
22.회전축 23.원통형카바. 24.평판플렌지
25.베아링 26.리데나 27.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
28.첫째 분쇄칼. 29.히타 30.두번째 분쇄칼.
31.세번째 분쇄칼. 32.분쇄장치 33.전동밸브.
34.원형관노즐. 35.배출구 36,37,38,39.고정대
40.온도감지센서 41.레벨감지센서 42.보온제
43.보온카바 44.보온장치. 45.인넷트노즐
46.워터스프레이장치 47.박퀴 48.가대
49.슝기트세라믹볼장치. 50.인넷트노즐. 51.아웃넷트노즐
52.레벨게이지 53.상부뚜껑부 54.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
55.볼밸브 56.녹물정수필터 57.급수관시설
58.솔로노이드밸브 59.정량펌프 60.슝기트정제수공급시설
61.전기콘트롤판넬. 62.전두유수용용기. 63.급수유입구노즐.
64.배수구 65.배출구 66.온도계
67.손잡이 68.박퀴. 69.냉각탱크시설.
70.켑 71.전두유용액제조장치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퍼(2) 및 손잡이(3)와 중심부에 일정한 규격의 공기흡입구(4)와 배기구(5)가 형성된 원통형의 공기통(6)의 부착된 상부뚜껑부(7)가 장착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체부(9)와 하체부(10)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상체부(9) 하단면에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 형태의 원료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슬립온맹플렌지(12)가 부착되고, 상기 하체부(10) 상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슬립온오픈플렌지(13)가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하부면과 상기 하체부(10)의 슬립온오픈플렌지(13) 상부면이 접합되어 볼트(14)를 끼우고 낫트(15)로 조여서 몸체(8)를 이루고,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상부면 중심부에 일정한 규격의 원통형의 모터카바(16)가 부착되었고, 상기 모터카바(16) 내부에 모터(17)가 장착되었고,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상부면에 부착된 모터카바(16) 오른쪽 외부면에서 상기 상체부(9) 오른쪽 내부면까지 간격의 중심점부에 형성된 원료투입구(11) 상부면에 원터치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진 원료투입구로드관(18)의 하단부가 상기 원료투입구(11)에 원터치로 장착되고, 상기 원료투입구로드관(18) 상단부에 상기 상체부(9)의 상부뚜껑부(7)에 부착되어 있는 호퍼(2)의 하단부가 원터치로 장착되었고, 상기 호퍼(2)와 원료투입구로드관(18)의 내부에는 원료투입후 원료투입구(11)를 막아주는 라운드바로된 손잡이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으로된 손잡이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스텐판이 부착되어 원료투입구뚜껑(19)을 이루고, 상기 원료투입구뚜껑(18)이 상기 원료투입구(11)에 원터치로 장착되고, 상기 모터카바(16)의 상단부에 수개의 배기구와 수개의 공기흡입구가 형성이 되고 내부에 휀(20)이 장착되고, 원형 형태의 뚜껑으로 만들어진 모터냉각장치(21)가 장착이 되고, 상기 모터(17)의 하부 중심점부에 회전축(22)이 장착되었고, 상기 모터(17)작동시 회전축(22)의 흔들림방지를 위한 일정한 규격의 원통형카바(23) 상단부에 볼트홀이 형성된 평판플렌지(24)가 부착되고, 상기 원통형카바(23) 하부에는 배아링(25)과 리데나(26)가 내장되어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27)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27)을 회전축(22) 하단부 외부로 끼워저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중심부 하부면에 접합되어 볼트을 끼우고 낫트로 조여서 고정되었고, 상기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27) 하부에서 약간의 간격을 둔 지점의 회전축(22)에 첫번째 분쇄칼(30)이 부착되었고, 상기 두번째 분쇄칼(30)이 하부 회전축(22)의 하단부에 세번째 분쇄칼(31)이 부착되어 분쇄장치(32)를 이루고, 상기 하체부(10)의 하단면 중심점부에 일정한 규격의 전동밸브(33)와 원형관노즐(34)을 구비한 배출구(35)가 부착되었고, 상기 하체부(10)의 슬립온오픈플렌지(13)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의 좌측, 우측 및 전면, 후면의 외부면에 볼트홀이 형성이 되고, 일정한 규격의 직사각형 형태의 고정대(36,37,38,39,)가 각각 부착되었고, 상기 고정대(36,37,38,39,) 하부 우측 외부면에 온도감지센서(40)가 장착되었고, 상기 온도감지센서(40) 하부에 레벨감지센서(41)가 장착되었고, 상기 하체부(10)의 고정대(36,37,38,39,)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의 외부 전체면부에 보온제(42)을 부착하고, 상기 보온제(42) 외부면에는 스텐레스 재질의 판재로 보온카바(43)되어 보온장치(44)를 이루고, 상기 상체부(9) 상부 좌측 외면부에 인넷트노즐(45)이 부착되고, 그리고 일정한 규격의 원형파이프에 수십개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한쪽 단부에 켑(70)이 부착된 일정한 규격의 원형파이프가 일정한 크기의 원형 형태로 밴딩되어 워터스프레이장치(46)를 이루고, 상기 워터스프레이장치(46)의 오픈된쪽 입구가 상기 상체부(9) 상부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인넷트노즐(45)과 나사식 연결로 고정되고, 상기의 것들로 구성이 되어 전두유용액제조장치(71)를 이루고, 그리고 상단부면에 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 형태의 틀로 만들어지고, 박퀴를 구비한 가대(48)를 이루고, 상기 가대(48)의 상단면이 상기 하체부(10)의 고정대(36,37,38,39,) 하부면에 접합되어 볼트을 끼우고 낫트를 조여서 고정이 되고, 그리고 슝기트세라믹볼장치(49)가 내장되고, 인넷트노즐(50), 아웃넷트노즐(51), 레벨게이지(52),와 상부뚜껑부(53)를 구비한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을 이루고, 상기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가 상기 가대(48)의 좌측면부에 부착되고 그리고 볼밸브(55)와 녹물정수필터(56)을 구비한 배관시설이 상기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의 인넷트노즐(50)과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급수관시설(57)을 이루고 또 솔로노이드밸브(58)와 정량펌프(59)을 구비한 배관시설이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의 아웃넷트노즐(51)과 그리고 상기 상체부(9) 상부 좌측 외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인넷트노즐(45)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슝기트정제수공급시설(60)을 이루고, 그리고 전기공급을 수전하는 누전차단기를 구비한 전기콘트롤판넬(61)이 상기 가대(48)의 우측면부에 부착되고 또 배출구(65)가 부착된 전두유수용용기(62)를 내장하고, 급수유입구노즐(63), 배수구(64), 배출구(65), 온도계(66), 손잡이(67)가 부착되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박퀴(68)를 구비한 냉각탱크시설(69)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의 것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제조기계.
또한 본 발명은 전두유용액제조장치(71),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 급수관시설(57), 슝기트정제수공급시설(60), 가대(48), 전기콘트롤판넬(61), 냉각탱크시설(69)로 구성된 전두유제조기계(1)를 사용하여 일정량의 콩과 물을 호퍼(2)에 넣은 원료투입단계; 시작버튼을 눌러 자동적으로 전두유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두유용액을 냉각탱크시설(69)에 넣고 일정한 온도로 식히는 냉각단계; 정한 온도까지 식혀진 전두유용액을 배출하여 수용용기에 담아 전두유를 완성하는 단계로 전두유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의 경우 께끗이 씻은 일정량의 콩(불리지 않은 콩)을 통째로 호퍼(2)에 넣고, 또 일정량의 슝기트정제수을 호퍼(2)에 넣어주면 콩과 슝기트정제수는 곧바로 전두유용액제조장치(71)로 투입된다.
전두유용액제조장치(71) 내부의 물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면서 자연스럽게 온도가 상승되는 환경속에서 원료인 콩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불려지도록 분쇄장치(32)를 작동하여 물과 콩을 저어주는데 이떼의 분쇄장치(32)의 회전속도는 50∼60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두유용액제조시 분쇄장치(32)의 회전속도는 3,000∼3,600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시 전두유용액의 농도는 메쉬밀도와 같이 100∼120메쉬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방법 중 분쇄되어 가열된 전두유용액을 제조하는 전두유제조기계(1)의 하체부(10)에 장착된 온도감지센서(40)로 조정하는 단계에서 가열온도는 95℃∼9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 경우 사용되는 물은 슝기트정제수를 사용하며, 슝기트정제수생성시에 사용되는 물은 녹물정수필터(56)을 구비한 급수관시설(57)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을 사용하며, 슝기트정제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슝기트세라믹볼의 사용량은 1kg정도가 바람직하며, 슝기트정제수을 생성하는 소요시간은 30분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두유제조 경우 전두유용액제조장치(71)에서 제조된 전두유용액을 배출하여 냉각탱크시설(69)에 투입하여 냉각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냉각온도는 25℃∼20℃로 냉각해주므로 전두유가 완성된다.

Claims (2)

  1. 호퍼(2) 및 손잡이(3)와 중심부에 일정한 규격의 공기흡입구(4)와 배기구(5)가 형성된 원통형의 공기통(6)이 부착된 상부뚜껑부(7)가 장착할 수가 있으며,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체부(9)와 하체부(10)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상체부(9) 하단면에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 형태의 원료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슬립온맹플렌지(12)가 부착되고, 상기 하체부(10) 상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슬립온오픈플렌지(13)가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하부면과 상기 하체부(10)의 슬립온오픈플렌지(13) 상부면이 접합되어 볼트(14)을 끼우고 낫트(15)로 조여서 결합이 되었고,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상부면 중심부에 일정한 규격의 원통형의 모터카바(16)가 부착되었고, 상기 모터카바(16) 내부에 모터(17)가 장착되었고,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상부면에 부착된 모터카바(16) 오른쪽 외부면에서 상기 상체부(9) 오른쪽 내부면까지 간격의 중심점부에 형성된 원료투입구(11) 상부면에 원터치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진 원료투입구로드관(18)의 하단부가 상기 원료투입구(11)에 원터치로 장착되고, 상기 원료투입구로드관(18) 상단부에 상기 상체부(9)의 상부뚜껑부(7)에 부착되어 있는 호퍼(2)의 하단부가 원터치로 장착되었고, 상기 호퍼(2)와 원료투입구로드관(18)의 내부에는 원료투입후 원료투입구(11)를 막아주는 라운드바로된 손잡이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으로된 손잡이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스텐판이 부착되어 원료투입구뚜껑(19)을 이루고, 상기 원료투입구뚜껑(19)이 상기 원료투입구(11)에 원터치로 장착되고, 상기 모터카바(16)의 상단부에 수개의 배기구와 수개의 공기흡입구(4)가 형성되고, 내부에 휀(20)이 장착되고, 원형 형태의 뚜껑으로 만들어진 모터냉각장치(21)가 장착이 되고, 상기 모터(17)의 하부 중심점부에 회전축(22)이 장착되었고, 상기 모터(17) 작동시 회전축(22)의 흔들림방지를 위한 일정한 규격의 원통형카바(23) 상단부에 볼트홀이 형성된 평판플렌지(24)가 부착되고, 상기 원통형카바(23) 하부에는 베아링(25)과 리데나(26)가 내장되어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27)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27)을 회전축(22) 하단부 외부로 끼워저 상기 상체부(9)의 슬립온맹플렌지(12) 중심부 하부면에 접합되어 볼트을 끼우고 낫트로 조여서 고정되었고, 상기 회전축흔들림방지카바(27) 하부에서 약간의 간격을 둔 지점의 회전축(22)에 첫번째 분쇄칼(28)이 장착되었고, 상기 첫번째 분쇄칼(28) 하부에 히타(29)가 부착되었고, 상기 히타(29) 하부의 회전축(22)에 두번째 분쇄칼(30)이 부착되었고, 상기 두번째 분쇄칼(30)의 하부 회전축(22)의 하단부에 세번째 분쇄칼(31)이 부착되어 분쇄장치(32)를 이루고, 상기 하체부(10)의 하단면 중심점부에 일정한 규격의 전동밸브(33)와 원형관노즐(34)을 구비한 배출구(35)가 부착되었고, 상기 하체부(10)의 슬립온오픈플렌지(13)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의 좌측, 우측 및 전면, 후면의 외부면에 볼트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규격의 직사각형 형태의 고정대(36,37,38,39,)가 각각 부착되었고, 상기 고정대(36,37,38,39,) 하부 우측 외부면에 온도감지센서(40)가 장착되었고, 상기 온도감지센서(40) 하부에 레벨감지센서(41)가 장착되었고, 상기 하체부(10)의 고정대(36,37,38,39,)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의 외부 전체면부에 보온제(42)을 부착하고, 상기 보온제(42) 외부면에는 스텐레스 재질의 판재로 보온카바(43)되어 보온장치(44)를 이루고, 상기 상체부(9) 상부 좌측 외부면에 인넷트노즐(45)이 부착되고, 그리고 일정한 규격의 원형파이프에 수십개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한쪽 단부에 켑(70)이 부착된 일정한 규격의 원형파이프가 일정한 크기의 원형 형태로 밴딩되어 워터스프레이장치(46)를 이루고, 상기 워터스프레이장치(46)의 오픈된쪽 입구가 상기 상체부(9) 상부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인넷트노즐(45)과 나사식 연결로 고정되고, 상기의 것들로 구성이 되어 전두유용액제조장치(71)를 이루고, 그리고 상단부면에 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 형태의 틀로 만들어지고, 박퀴(47)를 구비한 가대(48)를 이루고, 상기 가대(48)의 상단면이 상기 하체부(10)의 고정대(36,37,38,39,) 하부면에 접합되어 볼트을 끼우고, 낫트로 조여서 고정이 되고 그리고 슝기트세라믹볼장치(49)가 내장되고 인넷트노즐(50), 아웃넷트노즐(51), 레벨게이지(52)와 상부뚜껑부(53)를 구비한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을 이루고, 상기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가 상기 가대(48)의 좌측면부에 부착되고 그리고 볼밸브(55)와 녹물정수필터(56)을 구비한 배관시설이 상기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의 인넷트노즐(50)과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급수관시설(57)을 이루고 또 솔로노이드밸브(58)와 정량펌프(59)을 구비한 배관시설이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의 아웃넷트노즐(51)과 그리고 상기 상체부(9) 상부 좌측 외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인넷트노즐(45)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슝기트정제수공급시설(60)을 이루고 그리고 전기공급을 수전하는 누전차단기를 구비한 전기콘트롤판넬(61)이 상기 가대(48)의 우측면부에 부착되고 또 배출구(65)가 부착된 전두유수용용기(62)를 내장하고, 급수유입구노즐(63), 배수구(64), 배출구(65), 온도계(66), 손잡이(67)가 부착되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박퀴(68)를 구비한 냉각탱크시설(69)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의 것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제조기계.
  2. 전두유용액제조장치(71), 급수관시설(57), 슝기트정제수생성탱크(54), 슝기트정제수공급시설(60), 냉각탱크시설(69), 가대(48), 전기콘트롤판넬(61)로 구성된 전두유제조기계(1)를 사용하여 일정량의 콩과 물(슝기트정제수)을 넣고 전두유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두유용액을 배출하여 냉각탱크시설(69)에 투입시켜 전두유용액을 식히는 단계; 상기 냉각탱크시설(69)에서 전두유용액을 일정한 온도로 식혀서 전두유를 완성하는 단계로 전두유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제조방법.
KR1020150020614A 2015-02-11 2015-02-11 전두유제조기계 KR101709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14A KR101709341B1 (ko) 2015-02-11 2015-02-11 전두유제조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14A KR101709341B1 (ko) 2015-02-11 2015-02-11 전두유제조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701A true KR20160098701A (ko) 2016-08-19
KR101709341B1 KR101709341B1 (ko) 2017-03-08

Family

ID=5687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614A KR101709341B1 (ko) 2015-02-11 2015-02-11 전두유제조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9387A (zh) * 2017-08-24 2019-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豆浆制取的方法、计算机装置
CN109820416A (zh) * 2019-01-23 2019-05-31 齐鲁工业大学 一种豆浆机自动控制方法、系统及豆浆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449B1 (ko) * 2018-06-26 2020-02-19 안기덕 밀폐형 가열ㆍ가압 초미세 분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850B1 (ko) * 1999-07-16 2001-12-22 권동성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47134A (ko) * 2001-12-07 2003-06-18 이성문 유기게르마늄 광천수 및 생수를 주제로 냉, 온수 물탱크를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JP2005304474A (ja) * 2003-12-01 2005-11-04 Masaru Matsuura 穀類連続磨砕装置及び豆乳の製造方法
KR20120025674A (ko) * 2010-09-08 2012-03-16 유희자 슝기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433053B1 (ko) 2013-05-16 2014-08-25 유미웰빙스주식회사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850B1 (ko) * 1999-07-16 2001-12-22 권동성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47134A (ko) * 2001-12-07 2003-06-18 이성문 유기게르마늄 광천수 및 생수를 주제로 냉, 온수 물탱크를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JP2005304474A (ja) * 2003-12-01 2005-11-04 Masaru Matsuura 穀類連続磨砕装置及び豆乳の製造方法
KR20120025674A (ko) * 2010-09-08 2012-03-16 유희자 슝기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433053B1 (ko) 2013-05-16 2014-08-25 유미웰빙스주식회사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9387A (zh) * 2017-08-24 2019-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豆浆制取的方法、计算机装置
CN109820416A (zh) * 2019-01-23 2019-05-31 齐鲁工业大学 一种豆浆机自动控制方法、系统及豆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341B1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31876U (zh) 一种豆浆加工煮浆罐
KR20160098701A (ko) 전두유제조기계
CN102273945A (zh) 一种研磨豆浆机及其自动清洗方法
KR101569900B1 (ko) 전두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132738B (zh) 豆浆制造方法及应用该方法的豆浆制造装置
TW201300060A (zh) 用於製造飲料之裝置及方法
CN203841525U (zh) 豆浆机
TWM563229U (zh) 採用熟漿技術的豆漿一體機
CN112617602A (zh) 一种调温型代用茶冲泡机及其工作方法
KR101817832B1 (ko) 팥 앙금 제조방법
CN109419301B (zh) 豆浆制取的方法、制取的控制系统、豆浆机和计算机装置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KR20130029297A (ko) 생콩 분말을 이용한 액상 및 분말두부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한 두부
GB2598528A (en) A method of preparing a re-boiled soy milk
JPH01249020A (ja) 多機能調理器
KR100675948B1 (ko) 가정용 간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KR20220124473A (ko) 다기능 두부 제조기
RU2716119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резервуа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приготовления жидк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0632832B1 (ko) 가정용 간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KR100675952B1 (ko) 가정용 직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JPS5955157A (ja) 飲料用豆乳製造装置
KR101409538B1 (ko) 이유식 조리식
JP2014226584A (ja) γ−アミノ酪酸富化機能付き家庭用精米器
CN212678977U (zh) 一种间歇式定量分离豆浆装置
WO2013082848A1 (zh) 一种榨油、制豆浆、制豆腐三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