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488A - 입체 직물 장신구 - Google Patents
입체 직물 장신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7488A KR20160097488A KR1020150019179A KR20150019179A KR20160097488A KR 20160097488 A KR20160097488 A KR 20160097488A KR 1020150019179 A KR1020150019179 A KR 1020150019179A KR 20150019179 A KR20150019179 A KR 20150019179A KR 20160097488 A KR20160097488 A KR 201600974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shape
- design
- dimensional
- se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직물 장신구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재단된 직물(10)에 오버로크 방식으로 디자인사(11)를 봉제하여 형상유지라인(13)을 형성하고,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은 디자인사(11)의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10) 조직밀도를 변형시켜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재단된 직물에 오버로크 방식으로 디자인사가 봉제되어 직물형상을 지지하는 형상유지라인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보형물 없이 입체적인 형상이 표현되고 외력에 의한 변형에도 본래의 형상으로 신속하게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재단된 직물에 오버로크 방식으로 디자인사가 봉제되어 직물형상을 지지하는 형상유지라인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보형물 없이 입체적인 형상이 표현되고 외력에 의한 변형에도 본래의 형상으로 신속하게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 직물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의 형상고정을 위한 별도의 보형물 없이 입체적인 형상이 표현되면서도, 형태복원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시에도 외력의 제거시 즉시 형태가 복원되도록 하는 입체 직물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브로치, 부토니에, 코사지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장신구는 신체나 의복, 가방 등에 부착하여 장식미를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보석이나 귀금속을 이용한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부드러운 질감과 다양한 색상, 재단을 통한 자유로운 형상표현을 장점으로 하는 직물 장신구에 대한 수요도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직물을 이용한 장신구는 소재의 특성상 입체적인 형상표현이 제한적이고, 접힘이나 말림과 같은 변형에 취약하므로 형상유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있어 왔다.
종래에 개시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19881호는 중첩되는 직물지 내부에 유연한 재질의 탄성편이 내장되는 것으로, 탄성편을 절곡시켜 자유로운 형상표현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장식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머리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변형이 쉽게 발생하고,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장식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쉽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형상고정을 위한 탄성편이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공정이 추가로 실시되므로 제조공정이 번거로워지고, 악세서리의 중량증가로 의류 등의 부착부위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므로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부에서 형상을 유지하는 탄성편이 외부충격이나 과도한 변형으로 부러질 경우 파손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자나 주변인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착용의류에 손상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직물의 형상을 고정하는 별도의 보형물 없이 입체적인 형상이 표현되면서도, 형태복원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시에도 외력의 제거시 즉시 형태가 복원되도록 하여 사용중에도 제품의 미감이 저하되거나 디자인이 변형되지 않도록하는 입체 직물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재단된 직물(10)에 오버로크 방식으로 디자인사(11)를 봉제하여 형상유지라인(13)을 형성하고,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은 디자인사(11)의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10) 조직밀도를 변형시켜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직물(10)의 조직밀도란 직물의 일정한 공간에 사용된 실에 의한 빽빽한 정도를 말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자인사(11)는 형상유지라인(13)의 길이방향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 조직이 팽창되어 유선형의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자인사(11)는 형상유지라인(13)의 폭방향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 조직이 폭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어 주름형의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의 구간별 디자인사(11)의 봉제 밀도가 상이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10) 상에는 핀, 탄성클립, 집개를 포함하는 부착수단(3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재단된 직물에 오버로크 방식으로 디자인사가 봉제되어 직물형상을 지지하는 형상유지라인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보형물 없이 입체적인 형상이 표현되고 외력에 의한 변형에도 본래의 형상으로 신속하게 복원되므로 장신구의 미감이 오래도록 동일하게 지속되어 사용상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직물소재만으로 이루어져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중량이 감소되어 착용감이 개선되며 장신구의 파손으로 인한 상해의 우려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를 확대 도시한 사진.
도 3은 형상유지라인의 길이방향 봉제 밀도에 따른 직물 조직의 확장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형상유지라인의 폭방향 봉제 밀도에 따른 직물 조직의 확장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형상유지라인의 봉제 밀도차이에 따른 직물 조직의 변화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의 형상유지라인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에 부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형상유지라인에 풀림방지를 위한 매듭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를 확대 도시한 사진.
도 3은 형상유지라인의 길이방향 봉제 밀도에 따른 직물 조직의 확장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형상유지라인의 폭방향 봉제 밀도에 따른 직물 조직의 확장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형상유지라인의 봉제 밀도차이에 따른 직물 조직의 변화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의 형상유지라인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에 부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직물 장신구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형상유지라인에 풀림방지를 위한 매듭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입체 직물 장신구에 관련되며, 이때 입체 직물 장신구는 직물을 이용한 장신구가 형상고정을 위한 별도의 보형물 없이 입체적인 형상이 표현되면서도 형상복원력에 의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 또는 즉시 복원되도록, 재단된 직물에 구비되는 디자인사(11), 형상유지라인(13), 입체디자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직물 장신구는 재단된 직물(10)에 디자인사(11)가 오버로크 방식으로 봉제되어 형상유지라인(13)이 형성된다. 상기 디자인사(11)가 봉제되는 오버로크 방식은 휘갑치기라고도 불리우며, 재단된 직물의 단부나 직물간 연결부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직물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봉재를 실시하는 직물 단부를 마감하는 재봉기술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오버로크 방식은 실을 시접에 감아 직물 단부를 따라 한 바늘 또는 두세 바늘씩 섞어 가며 떠가는 수작업방식이나 별도의 오버로크장치를 이용한 기계화 방식이 작업량과 봉제대상의 직물 특성에 따라 혼용되고 있으며, 직물(10) 단부의 마감처리외에도 직물(10)간의 연결이나 직물(10) 표면에 장식을 부착하는 용도로도 널리 사용된다.
상기 디자인사(11)는 상술한 오버로크 방식으로 봉제되는 과정에서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조직이 형성되어 조밀한 밀도의 형상유지라인(13)을 이루게 되며,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은 직물(10)의 표면이나 단부에서 장신구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심재의 역할을 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은 디자인사(11)가 조밀하게 봉제되어 스프링과 같은 조직 형태를 이룸에 따라 직물과 원사의 자체 탄력으로 자체적인 복원력과 견고한 지지력를 가지게 되므로, 외력에 의해 꺽이거나 비틀리는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외력이 제거된 순간 감겨진 디자인사(11)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신속하게 복원되므로, 제품 본래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이 봉제되는 직물(10)은 편직물(니트)과 같이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디자인사(11)가 봉제된 부분의 조직이 밀려나며 조직밀도가 확장되어 해당 봉제부분의 직물(10)이 인장된다. 직물(10) 조직의 밀도차이로 인해 직물(10)이 본래의 길이나 폭보다 인장되면 늘어난 부분이 휘거나 절곡되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유선형으로 휘어지는 형상유지라인(13)과, 형상유지라인(13)과 근접하는 영역으로 갈수록 직물(10) 조직밀도가 서서히 확장되는 형태로 이어진 상태로 인장되는 직물(10) 조직이 서로 이어지며 직물(10)의 표면이나 둘레에 주름이나 굴곡이 표현되는 입체디자인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입체디자인부(20)의 형상은 형상유지라인(13)의 위치와 봉제 간격을 변경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가 표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디자인사(11)는 형상유지라인(13)의 길이방향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 조직을 확장시켜주며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형상유지라인(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디자인사(11)가 직물(10)에 조밀한 간격으로 연속 봉제되면, 반복투입된 디자인사(11)의 직경만큼 해당 구간의 직물(10) 조직 밀도가 팽창되어 형상유지라인(13)의 길이방향으로 직물(10) 조직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직물(10) 조직의 신축형태는 형상유지라인(13)이 형성되는 직물(10)의 가장자리 재단 형태를 변경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표현이 가능해진다.
도 3의 (a)와 같이 직물의 가장자리부를 일직선라인으로 재단하고 디자인사(11)를 봉제하면, 평면에서 볼때 형상유지라인(13)이 아치형으로 휘어지면서 상하로 휘어지는 곡률을 가지게 되고, 도 3의 (b)와 같이 직물 가장자리부를 아치형으로 재단하고, 디자인사(13)를 봉재하게 되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형상유지라인(13)이 일직선으로 유지되면서 상하로 유선형의 곡률을 가지게 된다. 직물(10)의 둘레를 따라 상이한 형태의 형상유지라인(13)의 조합하는 것으로 꽃모양, 부채꼴모양, 파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장신구 형상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형상유지라인(13)이 직물(10) 표면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디자인사(11)는 형상유지라인(13)의 폭방향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 조직이 폭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어 주름형의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투입되는 디자인사(11)가 서로 겹치도록 일정구간 내에서 반복 봉제되면, 형상유지라인(13)과 인접한 직물(10) 조직이 밀려나는 팽창구간이 형성되고, (b)와 같이 폭방향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형상유지라인(13)이 봉제되면 주변의 직물(10) 조직이 당겨져 수축구간이 형성되므로 직물(10) 표면에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주름형의 입체디자인부(20)가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직물(10) 조직은 도 4의 (c)에 도시된 직물의 측면형상과 같이 형상유지라인(13)이 형성된 구간을 중심으로 솟아오르거나 함몰되는 변형이 나타나게 되므로 더욱 입체적인 형상의 표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변형은 형상유지라인(13)의 폭방향 봉제밀도와 봉제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의 구간별 디자인사(11)의 봉제 밀도가 상이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도 5의 (a)와 같이 직물(10)로 투입되는 디자인사(11)의 봉제 밀도를 조밀하게 변경할 수록 직물(10)의 인장폭이 늘어나 굴곡량이 증가되고, (b)와 같이 디자인사(11)의 투입 밀도를 줄이면 인장폭이 줄어들어 변형이 감소되어 완만한 굴곡면이 나타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해 직물(10)에 다양한 디자인의 굴곡을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좀 더 입체적인 형상의 장신구 제작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6은 형상유지라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상유지라인(13)이 직물(10) 둘레를 따라 나선을 그리도록 배치됨에 따라 직물(10)의 입체디자인부(20)가 나선형으로 꼬여진 형태의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직물(10) 상에는 핀, 탄성클립, 집개를 포함하는 부착수단(3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 도시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핀 형태의 부착수단(30)이 도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도 8과 같이 착용자의 의복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부착수단(30)을 변경하여 머리핀이나 가방의 장식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부착하여 장식효과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형상유지라인(13)은 디자인사(11)의 일부 단락에 의한 전체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디자인사를 봉재하는 중에 매듭부(15)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자인사(11)의 봉제 과정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매듭부(15)를 형성시켜두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부분적인 단락이 발생하더라도 형상유지라인(13) 전체가 풀어지는 상황이 방지되므로 장신구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손상 구간을 확인하여 부분적인 봉제를 실시하는 것 만으로도 손쉽게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10 : 직물
11 : 디자인사
13 : 형상유지라인 15 : 매듭부
20 : 입체디자인부 30 : 부착수단
13 : 형상유지라인 15 : 매듭부
20 : 입체디자인부 30 : 부착수단
Claims (5)
- 재단된 직물(10)에 오버로크 방식으로 디자인사(11)를 봉제하여 형상유지라인(13)을 형성하고,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은 디자인사(11)의 봉제 밀도에 의해 해당부분의 직물(10) 조직밀도를 변형시켜,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직물 장신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사(11)는 형상유지라인(13)의 길이방향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 조직이 팽창되어 유선형의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직물 장신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사(11)는 형상유지라인(13)의 폭방향 봉제 밀도에 의해 직물 조직이 폭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어 주름형의 입체디자인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직물 장신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라인(13)의 구간별 디자인사(11)의 봉제 밀도가 상이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직물 장신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10) 상에는 핀, 탄성클립, 집개를 포함하는 부착수단(3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직물 장신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179A KR20160097488A (ko) | 2015-02-09 | 2015-02-09 | 입체 직물 장신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179A KR20160097488A (ko) | 2015-02-09 | 2015-02-09 | 입체 직물 장신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7488A true KR20160097488A (ko) | 2016-08-18 |
Family
ID=5687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9179A KR20160097488A (ko) | 2015-02-09 | 2015-02-09 | 입체 직물 장신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97488A (ko) |
-
2015
- 2015-02-09 KR KR1020150019179A patent/KR20160097488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19653B (zh) | 弹性带 | |
US6397854B1 (en) | Bendable fabric-covered rod-like device | |
TWI576057B (zh) | wig | |
JP6317029B1 (ja) | 婦人下着 | |
JP6488300B2 (ja) | レース編地 | |
KR20160097488A (ko) | 입체 직물 장신구 | |
KR101852872B1 (ko) | 가발 및 그 제작방법 | |
JP4355184B2 (ja) | 伸びる部分を持ったボーン | |
JP4063517B2 (ja) | 縁始末不要な裾を有する衣料 | |
JP2010144272A (ja) | かつらベ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 |
JP5451193B2 (ja) | 経編地 | |
JP6881809B1 (ja) | ズボン | |
JP3585324B2 (ja) | 衣料用帯状テープおよびその製法 | |
JP3213901U (ja) | アジャスターテープ、およびそれを縫着した衣服 | |
JP6313980B2 (ja) | 衣服用帯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 |
KR200304039Y1 (ko) | 장식용 머리끈 | |
JP6619556B2 (ja) | 頭部装着体の製造方法、かつらの製造方法、及び、かつら | |
CN108716053B (zh) | 可拉伸针织物 | |
JP3209645U (ja) | スカーフ | |
US20150272293A1 (en) | Hair restraint device | |
KR200402409Y1 (ko) | 목도리 겸용 숄 | |
JPH01260034A (ja) | ブラジャーのアンダーバスト部周縁に取着される湾曲保形材を形成するための筒状細幅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431246B1 (ko) | 코사지의 제조방법 | |
JP2009114566A (ja) | 衣類 | |
JP2018538458A (ja) | ベルベットブラジャーワイヤーチャネル及びブラジャ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