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120A - 낮은 실내 높이 격납고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의 유지보수 업무 및/또는 검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낮은 실내 높이 격납고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의 유지보수 업무 및/또는 검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120A
KR20160096120A KR1020167017468A KR20167017468A KR20160096120A KR 20160096120 A KR20160096120 A KR 20160096120A KR 1020167017468 A KR1020167017468 A KR 1020167017468A KR 20167017468 A KR20167017468 A KR 20167017468A KR 20160096120 A KR20160096120 A KR 20160096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vertical stabilizer
hangar
roof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101B1 (ko
Inventor
토마스 로스터
Original Assignee
씨티아이 시스템즈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티아이 시스템즈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씨티아이 시스템즈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16009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64F5/0045
    • B64F5/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40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60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 격납고 건물의 지붕(100)에 매달리게 되는 단일 천장 크레인(4); - 상기 단일 천장 크레인(4)에 연결되는 신축형 마스트(2)를 포함하는, 단일의 매달린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 - 지지 구조물(5)에 의해 상기 천장 크레인(4)에 확고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처리하거나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을 포함하는,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크레인(4)의 길이는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A)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 것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으며 그리고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에 도달하도록 허용되는 상기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낮은 실내 높이 격납고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의 유지보수 업무 및/또는 검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THE SURFACE OR CARRYING OUT MAINTENANCE AND/OR INSPECTION TASKS OF A VERTICAL STABILIZER OF AN AERIAL VEHICLE IN A LOW INTERIOR HEIGHT HANGAR}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및/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 상부 접근용 매달린 장치(20)에 그리고, 청구항 15에 따른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및/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도색 또는 유지보수 업무는, 기술자들이 안전 및 인간 공학적 작업 조건을 보장하는 가운데 항공기 외피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을 요구한다. 통상적으로 이는, 신축형 플랫폼들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신축형 플랫폼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 및 접근하게 될 항공기 무리의 관점에서 최상의 융통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신축형 플랫폼들의 단점은, 유지보수될/도색될 항공기에 관하여 매우 높은 건물(최소 바닥 트러스 레벨이 전형적으로 항공기보다 대략 6m 더 높음)을 구비해야 하는 요구가 있으며, 이는 그러한 유지보수 또는 도색 시설의 전체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US 3814211은, 수직으로 지향하는 신축형 마스트를 포함하며, 신축형 마스트의 상단부는 천장 교량 상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한 고가 이동 활차(trolley)에 확고하게 연결되고, 그러한 교량은 적당한 천장 주행로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특히 항공기 및/또는 우주선의 외부를 유지보수하는 용도로 설계되는 장치를 설명한다. US 3814211의 천장 크레인(C)의 길이는,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된다. US 3814211의 장치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으며 그리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으로부터 독립적인, 어떠한 매달린 비계 구조물도 포함하지 않는다.
EP 0626339는, 항공기 교정을 위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작업 플랫폼들(22, 23)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신축형 아암을 갖는 천장 크레인을 설명한다.
US 3602335는, 캐리지가 마스트 상에 수직 이동을 위해 장착되며, 마스트 자체가 공간 내에서의 측방 이동을 위해 장착되거나 또는 유사한 것이 공간 내의 임의의 위치에 캐리지를 가져다 두기 위해 장착되는 것인, 등급의 조합에 관련되는, 플랫폼 위치 설정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US 3602335의 천장 크레인(C)의 길이는,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된다.
US 5314083은, 매달린 고가 이동 활차, 크레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부터의 매달림을 위한, 작업 영역 또는 플랫폼을 운반하기 위한 최하부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는, 다각형의 모서리들에 내향으로 뿐 아니라 외향으로 돌출하는 레일들을 갖는, 다각형 단면의 것이며, 개별적인 튜브들 상의 롤러들이 이러한 레일들 상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축형 타워를 설명한다. US 5314083의 천장 크레인의 길이는,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된다.
GB 1236471은, 항공기의 외부 부분들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GB 1236471의 천장 크레인의 길이는,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된다(도 3 참조). 비계 구조물(34a)은, 천장 크레인의 레일들에서 주행하는 바퀴들에 의해 매달리게 된다.
DE 4420502는 비행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4420502의 천장 크레인의 길이는,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된다(도 2 참조).
EP 0903319는 비행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신축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0903319는, 지지 구조물(5)에 의해 천장 크레인(4)에 연결되며,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상부 작업 플랫폼 및 적어도 하부 작업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인, 어떠한 독립적인 매달린 비계 구조물을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20)가 청구항 1에 한정되며 그리고 프로세스가 청구항 15에 한정된다.
가장 근접한 종래 기술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작업 플랫폼들(22, 23)을 포함하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신축형 아암(17) 및 그의 길이가 수직 안정판(26)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 천장 크레인(14)을 도시하기 때문에, EP 0626339(도 1의 참조 부호 14 참조)이다.
가장 근접한 종래 기술과 본 발명 사이의 차이점은,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다는 것 그리고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에 도달하도록 허용하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차이점에 의해 생성되는 기술적 효과는:
- 첫째,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기존의 격납고 건물들의 지붕의 높이가 대략 2 내지 6m 사이에서 감소하게 될 수 있다는 것,
- 둘째, 격납고 건물의 용적이, 격납고 건물의 난방 속도를 개선시키며 그리고 난방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감소한다는 것,
- 셋째,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이 여러 기술자들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동시에 처리된다는 것,
- 넷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높이로 인한 격납고 건물 건설에 대한 국가 기관들에 의한 금지를 회피한다는 것,
- 다섯째, 격납고들을 위한 건축 비용의 감소,
- 여섯째, 기술자들이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지붕(100)과 천장 크레인(4)의 상부 수평 부분(4B) 사이의 거리(H)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높이에 놓이는, 비행기 안정판의 상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들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과 매달린 비계 구조물(20) 사이의 시너지 효과의 존재를 입증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해소되는 목적은, 비행기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 및/또는 검사 업무 도중에 장치의 안정성 및 비행기 안정판(31)의 표면 처리의 유효성(efficacy)을 개선하는 것을 허용하는 그리고 주변환경을 방해함 없이 이상에 언급된 장점들을 또한 제공하는 장치를 찾는 것이다.
차이점은 이상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소하며 그리고, EP 0626339가 단지, 신축형 장치(17)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22, 23)을 포함하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신축형 장치(17)의 존재를 교시하기 때문에(4 칼럼 24-27 라인 및 도 1 참조), 가장 근접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명백하지 않다. EP 0626339의 도 1의 최상부의 플랫폼(24)의 기능은 단지, 지붕(100)과 천장 크레인(4)의 상부 수평 부분(4B) 사이의 거리(H)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높이에 놓이는, 비행기 안정판(31)의 상부를 처리하도록 허용하는 본 발명의 최상부 플랫폼(62)과 대조적으로, 신축형 장치의 모터를 수리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차이점은 이상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소하며 그리고, GB 1236471의 천장 크레인의 길이가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되기 때문에(도 3 참조), GB 1236471과 조합된 가장 근접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명백하지 않다. 당업자는,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 천장 크레인의 길이를 구비하는 장치를, 비행기의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되는 천장 크레인의 길이를 구비하는 (대조적인) 장치와 조합하도록 이끌리지 않을 것이다.
당업자는, GB 1236471 및 US 3814211은, 천장 크레인의 길이가, 본 발명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보다 훨씬 더 높은 격납고 지붕으로 이어지는, 수직 안정판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되는,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EP 0626339를 GB 1236471과 또는 US 3814211과 조합하도록 이끌리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신축형 플랫폼 유닛을 갖는 전형적인 설비와 비교하여 훨씬 낮은 높이의 격납고 건물 내부에서, 한 사람 이상의 기술자가 수직 안정판을 포함하는 항공기 상부 표면의 대부분에 동시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이는, 신축형 플랫폼 캐리어 및, 부가적인 비계가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영역을 늘이기 위해 자체에 설치될, 크레인으로 구성되는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을 사용하여, 달성될 것이다. 비계(20)에 대한 접근은, 플랫폼이 규정된 위치에 정지될 때 그리고 연결 힌지식 또는 접이식 계단/사다리(9)가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 이후에,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비계는, 변화 가능한 수의 레벨들(일반적으로, 1, 2, 3, 4, 5, 6, 7개 또는 심지어 더 많은 개수의 레벨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천장 이동 크레인(4)이, 낮은 상부 공간 격납고들[예를 들어, 이러한 격납고에서 수리될 가장 높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상부 팁 위로 대략 0.4m 내지 7m 사이]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 부분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복수 레벨의 비계 시스템(20)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비계에 대한 접근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 작업 레벨을 비계 구조물과 연결할, 접이식 또는 힌지식 계단(9) 또는 사다리에 의해 달성될 것이다.
용어 "매달린"은, 상부의 무엇인가에 확고한 부착에 의해 걸려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더불어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정지 위치에서의 비계 및 작업 플랫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사람이 안정판의 상부에 작업하는 것을 허용하는 비계 및 작업 플랫폼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천장 크레인(4)의 수평의 길이 방향 하부 부분(4A)과 격납고의 지붕 사이의 거리거리(D)가, 격납고 내에서 수리될 가장 높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격납고의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크다. 안정판의 수직축(A)이 도시된다.
도 4는 접힌 위치의 비계 및 동체(fuselage) 작업 위치의 작업 플랫폼에 대한 상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접힌 위치의 비계 및 동체(fuselage) 우측 작업 위치의 작업 플랫폼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다른 장치가 투시선들로 도시되는 가운데, 본 발명의 신규의 장치만 도시되는, 도 5를 나타낸다.
도 7은 시스템 축들(X, Y, Z)을 정의한다.
신축형 플랫폼 장치는, 신축형 플랫폼 유닛(30) 및 천장 크레인(4)으로 구성된다. 천장 크레인(4)은, 수평의 건물 지붕(100)의 하부 트러스에 연결되는, (축(X)을 따르는) 주행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은, 천장 크레인 거더들(girders)을 따라 이동하며 그리고 (축(Y)을 따르는) 횡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캐리어(3)를 포함한다. 캐리어(3)는 신축형 마스트(2)에 연결되며, 그리고 신축형 마스트의 하부에, 안전상의 이유로 기계적 마스트 보호부(1)를 갖는,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에 연결된다. 신축형 마스트(2)는,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이 (축(Z)을 따라) 지면 레벨로부터, 최소한 기술자가 감소한 높이의 격납고 건물과의 조합에서 수직 안정판(31)의 하부 부분 및 항공기 동체의 상부 중심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작업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도록/하강하게 되도록 허용한다. 신축형 마스트(2)와 캐리어(3)의 연결은, 신축형 마스트(2) 및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의 회전을 허용하는, 선회 링(slewing ring)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한 시스템은, 기술자가, 물체(항공기 외피)를 향한 가장 가능한 방향으로 메인 작업 에지를 갖도록, (이동 및 회전 시스템 한계들 이내에서) 격납고의 임의의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할, 4개의 축(X, Y, Z 및 회전축)을 갖는다.
천장 크레인(4)은, 기술자가 최상부 항공기 에지까지 수직 안정판(31) 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가적인 독립적 비계 구조물(20)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비계 구조물(20)은, 지지 구조물(5)에 의해 천장 크레인(4)에 연결될 것이다. 비계 구조물은, 복수의 레벨의 작업 플랫폼들(6)이 자체에 연결되는, 상기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플랫폼들 사이의 접근은, 작업 레벨들 사이의 접근 계단들(11)에 의해 달성된다. 비계 구조물에 대한 접근은,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이 비계 구조물의 플랫폼들(6)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고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이 규정된 방향(일반적으로 격납고 중심선을 향한)으로 지향하게 된 이후에, 접이식 또는 힌지식 계단/사다리(9)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비계 구조물(20)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은, 항공기가 격납고에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수축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항공기 외피에 대한 가장 가능한 접근을 보장하도록 신장될 수 있는, 수축식 슬라이딩 플랫폼 연장부(7)를 구비하게 된다. 플랫폼들은 부가적으로, 기술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난간들(8)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전방 작업 에지는, 기술자들이 부가적인 개인용 낙하 보호 시스템을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서, 더 양호한 항공기 접근을 위해 난간들 없이 남겨질 수 있을 것이다. 슬라이딩 플랫폼 연장부의 전방 에지는, 항공기 외피 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범퍼들(12)을 구비하게 된다.
비계 구조물(20)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작업 플랫폼(들)(6, 61, 62)은, 비상 탈출 계단(10)에 의해 천장 크레인(4)의 유지보수 통로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자재 인양을 위한 부가적인 크레인(14)이, 기술자가 플랫폼 레벨들로 소모재들을 인양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감소한 높이의 격납고 건물에서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항공기 수직 안정판(31) 상부 접근 매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는, 감소한 높이의 격납고 건물의 지붕에 매달리게 되는 천장 크레인(4)에 연결되는, 매달린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을 포함하고, 장치는, 지지 구조물(5)에 의해 천장 크레인(4)의 적어도 하나의 끝단에 연결되는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을 더 포함하며, 지지 구조물(5)은,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에 연결되고, 천장 크레인(4)의 길이 방향 축은 수직 안정판(31)이 수직축에 대해 수직이며 그리고 천장 크레인(4)의 길이는 수직 안정판(31)의 상부 위로, 즉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 너머로, 연장되지 않으며, 그리고 천장 크레인(4)의 길이의 수평 길이 방향 하부 부분(4A)은, 수직 안정판(31)의 상부 보다 높이에서 더 낮거나 또는 낮을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5)의 상부 작업 플랫폼(62)은,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5)의 상부 작업 플랫폼(62)은, 그러한 격납고에서 수리될 가장 높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상부보다 더 낮다.
"고정된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의미는,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이 수직으로 이동하더라도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은 단지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천장 크레인(4)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독립적인"의 의미는,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별개이며, 독립적인 장치라는 것이다. 그들의 단지 공통적인 지지부가 천장 크레인(4)이다. 비계 구조물(20)의 천장 크레인(4)과의 직접적인 연결부는,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의 천장 크레인(4)과의 직접적인 연결부와 다른, 천장 크레인(4) 상의 상이한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의 의미는, 천장 크레인(4)의 수평의 길이 방향 하부 부분(4A)과 지지 구조물(5)의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 사이의 거리에 관한 것이다. 지지 구조물(5)의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은, 천장 크레인(4)의 수평의 길이 방향 하부 부분(4A) 위에 또는 아래에 놓일 수 있다.
최소값[m] 최대값[m] 주석
d 0.4 7 고객의 전체 항공기 및 이용 가능한 격납고 높이에 의존
D 1 7 'H' 뿐만 아니라 (크레인 너비 및 교량의 최대 하중에 의존하는) 크레인 거더 높이에 의존
H 0.5 5.5 주행로 서스펜션 및 천장 아래의 잠재적 장비(조명들, 환기 장비 등)의 설계에 의존
상부 플랫폼(62)으로부터 지붕(100)까지의 거리(G) 2 7 -
하부 플랫폼(61)으로부터 지붕(100)까지의 거리 4 9 -
신축형 플랫폼 유닛의 플랫폼(41)으로부터 지붕(100)까지의 거리 6 11 -
"d, D, H 및 G" 높이들의 최소값 및 최대값
이러한 격납고에서 수리될 가장 높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격납고의 지붕(100) 사이의 수직 거리(d)는 바람직하게, 0.4m 내지 7m 사이에, 1m 내지 6m 사이에, 2m 내지 5m 사이에, 3m 내지 4m 사이에, 1m 내지 2m 사이에 포함된다.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격납고의 지붕(100) 사이의 수직 거리(D)는 바람직하게, 1m 내지 7m 사이에, 1m 내지 6m 사이에, 2m 내지 5m 사이에, 3m 내지 4m 사이에, 1m 내지 2m 사이에 포함된다.
천장 크레인(4)의 수평 상부 부분(4B)과 격납고의 지붕(100) 사이의 수직 거리(H)는 바람직하게, 0.5m 내지 5.5m 사이에, 1m 내지 5m 사이에, 2m 내지 4m 사이에, 2m 내지 3m 사이에, 3m 내지 5m 사이에, 1m 내지 2m 사이에 포함된다.
지지 구조물(5)의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격납고의 지붕(100) 사이의 수직 거리(G)는 바람직하게, 2m 내지 7m 사이에, 2m 내지 3m 사이에, 2.5m 내지 3.5m 사이에, 2m 내지 3m 사이에, 3m 내지 5m 사이에, 1m 내지 2m 사이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장치는, 수직 안정판(31)의 양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감소한 높이의 격납고 건물의 지붕(100)에 매달리는 천장 크레인(4)에 연결되는, 단일의 매달린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 및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을 갖는다. 이는 도 7에 도시된다.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작업 플랫폼,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 상부 작업 플랫폼(62) 및 하부 작업 플랫폼(61), 또는 심지어 제3 중간 작업 플랫폼, 또는 나아가 제4, 제5, 제6, 또는 그보다 많은 수의 작업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하부 작업 플랫폼(61)과 같이 수직 안정판(31)에 대해 대략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정지하는,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의 작업 플랫폼(41)을 포함한다. 작업 플랫폼(41)과 수직 안정판(31) 사이의 공간 틈새는, 100cm 미만, 80cm 미만, 60cm 미만, 40cm 미만, 30cm 미만이며, 바람직하게 1cm 내지 30cm 사이에, 더욱 바람직하게 1cm 내지 25cm 사이에, 가장 바람직하게 1cm 내지 15cm 사이에, 1cm 내지 10cm 사이에, 1cm 내지 5cm 사이에 포함된다.
작업 플랫폼(6, 61, 62)은,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가, X는 항공기의 길이방향 축이며 그리고 Z는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일 때, XZ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작업 평면에서 작업하도록, 위치 설정된다(도 7 참조).
작업 플랫폼(6), 상부 작업 플랫폼(62) 및 하부 작업 플랫폼(61)은,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의 최대 작업 높이를 초과하는 작업 높이에 놓인다.
장치는,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과 비계 구조물(20)이 하부 작업 플랫폼(61)을 연결하는, 접힐 수 있는 힌지식 징검다리(footb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가, 지면으로부터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에 의해 하부 작업 플랫폼(61)까지 들어올려질 수 있다.
항공기는,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와 같은 동력 항공기일 수 있으며, 또는 항공기는 글라이더와 같은 무동력 항공기일 수 있다.
격납고 건물 높이는 25m 미만이며, 바람직하게 13m 내지 25m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계단들(11)이, 지지 구조물(5)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작업 플랫폼(6)을 연결한다.
작업 플랫폼들(6)은, 수축식 슬라이딩 플랫폼 연장부들(7)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랫폼 연장부(7)의 전방 에지는, 보호 범퍼(12)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들(6)은 난간들(8)을 구비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들(6)의 전방 작업 에지는, 난간들(8)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비계 구조물(20)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은, 비상 탈출 계단(10)에 의해 천장 크레인(4)의 유지보수 통로에 연결될 수 있다.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에 대한 접근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의 작업 플랫폼(41)이 작업 플랫폼(6)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고 작업 플랫폼(41)이 격납고 중심선을 향하도록 지향된 이후에, 접이식 계단/사다리(9)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 격납고 건물의 지붕(100)에 확고하게 매달리게 되는/부착되는/연결되는 단일 천장 크레인(4);
- 상기 단일 천장 크레인(4)에 연결되는 신축형 마스트(2)를 포함하는, 단일의 매달린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
- 지지 구조물(5)에 의해 상기 천장 크레인(4)에 확고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처리하거나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을 포함하는, 매달린 비계 구조물(20)
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크레인(4)의 길이는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A)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 것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으며 그리고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에 도달하도록 허용되는 상기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단일의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이, 격납고 건물의 지붕(100)에 매달리게 되는 단일 천장 크레인(4)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수직 안정판(31)의 각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와 같거나 그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와 같거나 그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상기 지붕(100)과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상부 부분(4B) 사이의 거리(H)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상기 지붕(100)과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상부 부분(4B) 사이의 거리(H)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계단(11)이 상기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하부 작업 플랫폼(61)과 상부 작업 플랫폼(62)을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부 작업 플랫폼(6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이, 비상 탈출 계단(10)에 의해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유지보수 통로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에 대한 접근은, 상기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의 작업 플랫폼(41)이 상기 비계 구조물(20)의 상기 하부 작업 플랫폼(61)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고 작업 플랫폼(41)이 격납고 건물 중심선을 향하도록 지향된 이후에, 접이식 계단(9)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본 개시는 또한, 감소한 높이의 격납고 건물 내에서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하부 작업 플랫폼(61)의 근처로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를 들어올리는 단계;
-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거나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는 단계;
- 신축형 플랫폼의 작업 플랫폼(41)의 최대 작업 높이를 초과하는 작업 높이에서 작업하는 단계,
-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격납고의 지붕(100) 사이의 거리이며 그리고 이러한 격납고에서 수리될 가장 높은 항공기의 안정판(31)의 상부와 격납고의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클 수 있는, 거리(D)에서 천장 크레인(4)을 이동시키는 단계,
-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또는 이러한 격납고에서 수리될 가장 높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상부보다 실질적으로 1.5m 더 낮게 놓이는, 지지 구조물(5)의 상부 작업 플랫폼(62) 상에서 작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은,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비계 구조물(20)의 작업 플랫폼(6, 61, 62)은,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가 XZ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인 작업 평면에서 작업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X는 항공기의 길이 방향 축이며 그리고 Z는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이다(도 7 참조).
본 발명의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은,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이 이동 가능한 신축형 플랫폼(30)보다 항공기의 더 높은 부분에 대해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천장 크레인(4)의 레일들의 끝단면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 천장 크레인(4)의 길이가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A)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 작업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을 포함하는 독립적이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은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근처로, 신축형 유닛(3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를 들어올리는 단계;
-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사다리(9)에 의해, 독립적이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은 매달린 비계 구조물(20)로 접근하는 단계;
-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거나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명확함을 위해 별개의 실시예들의 내용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은 또한, 단일의 실시예로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역으로, 간결성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내용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분리되어 또는 임의의 적당한 하위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그의 특정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의 사상 및 넓은 범위 이내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7)

  1.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 격납고 건물의 지붕(100);
    - 상기 지붕(100)에 확고하게 매달리게 되는 단일 천장 크레인(4);
    - 상기 단일 천장 크레인(4)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신축형 마스트(2)를 포함하는, 단일의 매달린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
    - 지지 구조물(5)에 의해 상기 천장 크레인(4)에 확고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처리하거나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을 포함하는, 매달린 비계 구조물(20)
    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크레인(4)의 길이는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A)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 것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으며 그리고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에 도달하도록 허용되는 상기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단일의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이 수직 안정판(31)의 각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큰 것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와 같거나 그보다 더 작은 것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큰 것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하부 부분(4A)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와 같거나 그보다 더 작은 것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큰 것인,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의 상부 작업 플랫폼(62)과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G)가,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보다 더 작은 것인,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상기 지붕(100)과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상부 부분(4B) 사이의 거리(H)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큰 것인,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상부와 상기 격납고의 상기 지붕(100) 사이의 거리(d)가, 상기 지붕(100)과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수평 상부 부분(4B) 사이의 거리(H)보다 더 작은 것인,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단(11)이 상기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하부 작업 플랫폼(61)과 상부 작업 플랫폼(62)을 연결하는 것인,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 구조물(20)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이, 적어도 하나의 비상 탈출 계단(10)에 의해 상기 천장 크레인(4)의 유지보수 통로에 연결되는 것인,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하부 작업 플랫폼(61)으로의 접근은, 상기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의 작업 플랫폼(41)이 상기 하부 작업 플랫폼(61)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고 신축형 작업 플랫폼(41)이 격납고 건물 중심선을 향하도록 지향된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계단(9)을 사용하여 달성되는 것인, 장치.
  14.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d)는 0.4m 내지 7m 사이에 포함되며, 상기 거리(G)는 2m 내지 7m 사이에 포함되고, 상기 거리(D)는 1m 내지 7m 사이에 포함되며, 그리고 상기 거리(H)는 0.5m 내지 5.5m 사이에 포함되는 것인,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의 장치에 의해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천장 크레인(4)의 길이가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A)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 작업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플랫폼(61, 62)을 포함하는 독립적이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은 매달린 비계 구조물(20)의 근처로, 신축형 유닛(3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를 들어올리는 단계;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부 신축형 플랫폼 유닛(30)으로부터, 접이식 계단(9)에 의해, 독립적이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은 매달린 비계 구조물(20)로 접근하는 단계;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들을 처리하거나 또는 수직 안정판(31)에 대한 유지보수/검사 업무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프로세스.
  16. 제 15항에 있어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31)의 표면은, 상이한 기술자들에 의해 상이한 높이들에서 동시에 처리되는 것인, 프로세스.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부 작업 플랫폼(62)이, 적어도 한 사람의 기술자가 XZ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인 작업 평면에서 작업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X는 항공기의 길이 방향 축이며 그리고 Z는 수직 안정판(31)의 수직축인 것인, 프로세스.
KR1020167017468A 2014-01-29 2015-01-27 낮은 실내 높이 격납고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의 유지보수 업무 및/또는 검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748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92367A LU92367B1 (fr) 2014-01-29 2014-01-29 Dispositif suspendu d'acces au sommet d'un stabilisateur vertical d'un véhicule aérien
LU92367 2014-01-29
PCT/EP2015/051539 WO2015113945A1 (en) 2014-01-29 2015-01-27 Apparatus for treating the surface or carrying out maintenance and/or inspection tasks of a vertical stabilizer of an aerial vehicle in a low interior height hang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120A true KR20160096120A (ko) 2016-08-12
KR101748101B1 KR101748101B1 (ko) 2017-06-15

Family

ID=5010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468A KR101748101B1 (ko) 2014-01-29 2015-01-27 낮은 실내 높이 격납고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의 유지보수 업무 및/또는 검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20180194603A1 (ko)
EP (1) EP3099625B1 (ko)
JP (1) JP6063614B1 (ko)
KR (1) KR101748101B1 (ko)
CN (1) CN105873850A (ko)
AU (1) AU2015212946A1 (ko)
CA (1) CA2935163C (ko)
CL (1) CL2016001662A1 (ko)
CR (1) CR20160335A (ko)
CU (1) CU20160098A7 (ko)
EA (1) EA201690968A1 (ko)
HU (1) HUE033867T2 (ko)
LT (1) LT3099625T (ko)
LU (1) LU92367B1 (ko)
MX (1) MX351509B (ko)
PE (1) PE20170397A1 (ko)
PH (1) PH12016501024A1 (ko)
PL (1) PL3099625T3 (ko)
PT (1) PT3099625T (ko)
TN (1) TN2016000243A1 (ko)
WO (1) WO2015113945A1 (ko)
ZA (1) ZA2016035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5069B (zh) * 2016-11-03 2021-06-08 北京航天试验技术研究所 一种火箭发动机试验用吊篮式活动平台
US10655335B2 (en) * 2016-11-14 2020-05-19 Innovatech, Llc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SG10201907223YA (en) * 2019-08-05 2021-03-30 Elid Tech International Pte Ltd Exterior wall maintenance apparatus
CN110589027B (zh) * 2019-10-12 2023-03-2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行器地面试验悬吊装置
CN111017827B (zh) * 2019-12-14 2021-11-09 河南思凯蓝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式弱电安装施工装置
CN112239183B (zh) * 2020-10-15 2022-02-11 上海蔚建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提升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5846A (en) 1967-07-10 1969-09-09 Koor Ind & Crafts Co Ltd Installation for approaching portions of an airplane
US3602335A (en) * 1969-09-25 1971-08-31 Eaton Yale & Towne Platform positioning mechanism
US3814211A (en) * 1972-03-01 1974-06-04 Mcneil Corp Air space vehicle servicing apparatus
JPS5759440Y2 (ko) * 1977-07-30 1982-12-18
JPS6024720Y2 (ja) * 1979-10-05 1985-07-2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航空機尾翼整備用ドツク
JPS60300U (ja) * 1983-06-17 1985-01-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航空機上面部の整備装置
DE3528996C1 (de) 1985-08-13 1986-12-18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Teleskopsaeule
JP2693177B2 (ja) * 1988-05-25 1997-12-24 株式会社大氣社 航空機用作業設備
JP2523214B2 (ja) * 1990-07-17 1996-08-07 株式会社大氣社 塗料除去処理用洗浄設備
EP0626339A1 (de) * 1993-05-26 1994-11-30 MERO-Raumstruktur GmbH & Co. Hängekran mit einer Arbeitsplattform-Konstruktion, insbesondere für die Flugzeugwartung
DE4420502C2 (de) 1994-06-13 1997-10-02 Mero Raumstruktur Gmbh & Co Dockvorrichtung, insbesondere zur Wartung und Überholung von Flugzeugen
DE19741692A1 (de) * 1997-09-18 1999-04-01 Mannesmann Ag Wartungsplattform, insbesondere für Wartungsarbeiten an Flugzeugen
CN2878329Y (zh) * 2006-03-06 2007-03-14 吴建红 一种维修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N2016000243A1 (en) 2017-10-06
PH12016501024B1 (en) 2016-07-04
CU20160098A7 (es) 2018-05-08
JP2017508085A (ja) 2017-03-23
MX2016008654A (es) 2017-01-06
HUE033867T2 (en) 2018-01-29
PT3099625T (pt) 2017-07-17
WO2015113945A1 (en) 2015-08-06
CA2935163C (en) 2016-11-15
LU92367B1 (fr) 2015-07-30
EP3099625B1 (en) 2017-04-12
PH12016501024A1 (en) 2016-07-04
CA2935163A1 (en) 2015-08-06
CL2016001662A1 (es) 2016-11-18
CN105873850A (zh) 2016-08-17
LT3099625T (lt) 2017-07-10
US20180194603A1 (en) 2018-07-12
PL3099625T3 (pl) 2017-09-29
ZA201603556B (en) 2018-11-28
JP6063614B1 (ja) 2017-01-18
EP3099625A1 (en) 2016-12-07
MX351509B (es) 2017-10-18
PE20170397A1 (es) 2017-04-07
CR20160335A (es) 2016-09-20
KR101748101B1 (ko) 2017-06-15
AU2015212946A1 (en) 2016-06-16
EA201690968A1 (ru)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101B1 (ko) 낮은 실내 높이 격납고에서 항공기의 수직 안정판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또는 수직 안정판의 유지보수 업무 및/또는 검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5701704A (en) Dock device, particularly for maintaining and overhauling aircraft
US6496996B1 (en) Telescopic gangway
US20200173185A1 (en) Deck and hoist for use in construction
US2978062A (en) Variable height scaffold assembly
US20160304329A1 (en) Lifting device
US20220144597A1 (en) Mobile crane having a folding walking platform
US9682750B2 (en) Passenger bridges for connection to a door in the side of a ship
ES2207096T3 (es) Pasarela de embarque de avion transportable.
WO2020216983A1 (es) Plataforma para trabajo en huecos de ascensor
JP6709089B2 (ja) 迅速組立足場
GB2409851A (en) Work Platform
CN106744182A (zh) 电梯井道部件用多功能安装平台
US6481039B1 (en) Passenger loading bridge extending from a terminal at ground level and for servicing aircraft of various sizes
OA17818A (en) Apparatus for treating the surface or carrying out maintenance and/or inspection tasks of a vertical stabilizer of an aerial vehicle in a low interior height hangar.
GB2541446A (en) Raised access platform
EP3515856A1 (en) Work platform comprising a crane device
DE2057464A1 (de) Ortsfeste Fluggastbruecke
US115353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ircraft assembly and maintenance
FI12395U1 (fi) Universaali auton nostopalkki
RU26415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монта и обслуживания накло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больших размеров
JPS62261000A (ja) トンネル補修用台車
IT202000025789A1 (it) Passerella e mezzi di sostegno per cabina di sabbiatura/verniciatura
JP2023119051A (ja) 高所作業を実施する方法
JP6031295B2 (ja) 足場台車および作業ステ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