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487A -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487A
KR20160095487A KR1020150016811A KR20150016811A KR20160095487A KR 20160095487 A KR20160095487 A KR 20160095487A KR 1020150016811 A KR1020150016811 A KR 1020150016811A KR 20150016811 A KR20150016811 A KR 20150016811A KR 20160095487 A KR20160095487 A KR 20160095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electrodes
core portion
vertical
layer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관
정율교
이승은
성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5487A/ko
Publication of KR2016009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487A/ko
Priority to KR1020220014024A priority patent/KR10240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4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4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 H05K1/0206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by printed thermal vi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02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characterized by a special circuit board as base or central core whereon additional circuit layers are built or additional circuit boards are lamin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3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circuit boards having internal via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ircuit layers before lamination, e.g. double-sid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 형상의 복수의 수직 전극 및 상기 코어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층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쇄회로기판의 방열 특성이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여러 개의 반도체 칩을 하나의 기판에 스택하여 실장하는 MCP(Multi Chip Package), 또는 반도체 칩이 실장된 여러 개의 기판을 스택하는 POP(Package On Package)와 같이, 전자소자 패키지가 소형화, 복합화됨에 따라, 전자소자 패키지용 인쇄회로기판은 더욱 향상된 방열 특성, 안정성, 신뢰성 등이 요구된다.
인쇄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CCL (Copper Clad Laminate)을 베이스로 하여 이러한 베이스에 레이저나 기계적 가공 방법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며, 이후, 노광, 현상, 도금, 에칭 등의 공정을 통하여 도전성 비아와 배선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레이저나 기계적 가공 방법으로 형성된 관통홀의 경우, 가공 조건에 따라 사이즈, 형상, 정렬 방식 등에서 편차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열전도도가 낮아 상부 IC 등에서 발생한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종래의 도전성 비아를 대신하여 로드 형상의 수직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방열 특성 및 기계적 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성체 본체 및 상기 자성체 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며, 나선 형상의 내부 코일부 및 상기 내부 코일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자성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코일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부는 상기 내부 코일부의 단부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자성체 본체를 이루는 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 형상의 복수의 수직 전극 및 상기 코어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층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규칙적인 간격과 크기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의 총 부피는 상기 코어부의 부피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일부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배선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성 비아를 포함하는 빌드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비아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테이퍼진 형상을 갖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상기 코어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단일층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구리 및 탄소나노튜브(CNT)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로드 형상의 복수의 수직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에 의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를 갖는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규칙적인 간격과 크기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캐리어 필름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몰딩주형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에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몰딩주형의 바닥면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함침한 후 상기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으로부터 상기 몰딩주형 및 상기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몰딩주형 및 상기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 후,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이 상기 코어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일부의 적어도 일단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거하고 이렇게 제거된 영역에 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코어부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절단하여 복수의 단위체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체를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 중 일 효과로서, 종래의 도전성 비아를 대신하여 로드 형상의 수직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방열 특성 및 기계적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시 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5 내지 18은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 실시 예(one example)"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래 설명에서 제시된 실시 예들은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0)은 코어부(101), 복수의 수직 전극(102), 배선층(103, 106), 절연층(104), 도전성 비아(105) 및 솔더 레지스트층(1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인쇄회로기판(100)의 구성 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코어부(101)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코어 영역을 이루며, 그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101)는 기본적으로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절연 물질로는, 예컨대,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에 유리 섬유 또는 무기 필러와 같은 보강재가 함침된 수지,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PPG)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수직 전극(102)을 몰딩하기에 적합한 물질이라면 이를 비도전성 페이스트의 형태로 형성한 후 이를 경화하는 방식 등으로 코어부(101)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수직 전극(102)은 코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rod) 형상으로 제공되며, 인쇄회로기판(100)의 상하면에 형성된 배선층(103, 10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 방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드 형상은 상하면의 폭보다 길이가 더 긴 형태의 구조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복수의 수직 전극(102)은 유사한 목적으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성 비아와 비교하여 가공 방식이나 구조 등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 방식 측면에서 수직 전극(102)은 독립적으로 얻어진 후 코어부(101)에 의하여 몰딩되는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코어부(101)에 구멍을 뚫고 이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방식과 구별된다. 종래 방식에서는 코어부(101)에 레이저나 기계 가공 등으로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 내에 무전해 도금과 전해 도금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도전성 비아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도전성 비아는 통상적으로 테이퍼(taper) 형상을 갖고, 또한, 2차례의 도금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나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 제안하는 복수의 수직 전극(102)은 로드 형상, 예컨대,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수직 전극(102)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테이퍼되지 않은 형태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조방법 측면에서, 미리 제조된 복수의 수직 전극(102)을 이용하여 이를 코어부(101)로 몰딩함에 따라, 코어부(101)의 구멍에 도금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의 도전성 비아와 같이 2단계의 도금 공정 역시 실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직 전극(102)은 코어부(10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단일층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수직 전극(1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부(101)를 가공한 후 이를 충진하여 얻어지는 것이 아닌 점에서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지만, 복수의 수직 전극(102)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규칙적인 간격과 크기로 배열할 수 있다. 코어부(101)에 구멍을 뚫는 공정의 경우, 구멍의 수에 증가함에 따라 크기와 정렬 위치 등에서 편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직 전극(102)을 채용함으로써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할 경우, 복수의 수직 전극(102)을 미리 제조한 후 이를 코어부(101)로 몰딩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수직 전극(102)의 크기 및 서로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어부(101) 내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직 전극(102)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부(101) 내에서 차지하는 수직 전극(102)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특히, 방열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IC 칩 등에서 발생된 열은 부피 면에서 증가된 수직 전극(102)을 따라 보다 수월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이는 수직 전극(102)이 코어부(101)보다 열전도도가 현저히 높은 물질, 예컨대, 구리, 니켈, 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수직 전극(102)가 코어부(101)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독자적인 연구에 따르면, 복수의 수직 전극(102)의 총 부피가 코어부(101)의 부피보다 큰 경우, 즉, 코어부(101)와 수직 전극(102)을 전체로 보았을 때 수직 전극(102)이 차지하는 부피가 50%보다 큰 경우에 다른 특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특히 우수한 방열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수직 전극(102)을 이루는 물질이 코어부(101)를 이루는 물질보다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을 고려하였을 때, 수직 전극(102)의 양이 증가됨으로써 휨, 인장, 수축 특성과 같은 기계적 강성 역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열 기능, 전기 전도 기능, 기계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수직 전극(102)으로 바람직한 물질은 구리이며, 다만, 방열 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이 열전도도가 높지만 도전성 비아로는 많이 활용되지 않는 물질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의 수직 전극(102) 중 배선층(103)과 연결될 필요가 없는 일부의 경우, 그 일단부 혹은 양단부에는 마개부(P)가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 혹은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개부(P)는 전기 절연성 재질을 갖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코어부(101)와 동일한 물질, 상이한 물질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 전극(102) 중 마개부(P)가 형성되지 않은 것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선층(103)과 적절히 연결될 수 있으며, 다만, 도 1에서는 코어부(101)의 상부 및 하부 모두에 배선층(103)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배선층(103)은 코어부(101)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코어부(10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기 배선을 위한 빌드업층이 배치되며, 상기 빌드업층은 절연층(104), 절연층(104)을 관통하여 배선층(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성 비아(105) 및 배선층(106)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빌드업층 상부에는 배선층(106)의 일부를 적절한 패턴 형태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솔더 레지스트층(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선층(106)은 수직 전극(102)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배선층(103)과 구별하여 제2 배선층(106)으로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코어부(101)의 상부 및 하부 모두에 빌드업층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빌드업층은 코어부(101)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빌드업층에 포함된 도전성 비아(105)는 앞서 설명한 로드 형상의 수직 전극과 다른 방식으로 얻어지며 이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비아(105)는 절연층(104)에 구멍을 뚫고 이를 매립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는 수직 전극(102)과 비교하여 도전성 비아(105)의 직경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인쇄회로기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며,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하기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시 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15 내지 18은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은 우선, 로드 형상의 복수의 수직 전극(102)을 마련하는 단계와 이를 둘러싸도록 코어부(101)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전극(102)은 캐리어 필름(200)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수직 전극(102)은 로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별도의 공정으로 얻어진 후 캐리어 필름(2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캐리어 필름(200) 상에서 시드층을 기초로 직접 성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200)에 부착된 복수의 수직 전극(102)은 규칙적인 간격과 크기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캐리어 필름(200)에 부착된 복수의 수직 전극(102)은 몰딩주형(300)에 주입되어 있는 수지에 함침되며, 이후 적절한 경화 단계를 거치면서 복수의 수직 전극(102)에 의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를 갖는 코어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몰딩주형(300)의 바닥면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층(30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보호층(301)은 함침 공정 시에 수직 전극(102)을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이후 연마 단계를 거친 복수의 수직 전극(102)의 두께가 균일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몰딩주형(300)에 함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하며, 이후, 복수의 수직 전극(102)으로부터 캐리어 필름(200), 몰딩주형(300) 및 보호층(301)을 제거한다. 캐리어 필름(200), 몰딩주형(300) 및 보호층(301)이 제거된 상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후, 수직 전극(102)에 대하여 적절한 연마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두께가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보호층(301)이 제거된 영역에서 복수의 수직 전극(102)이 코어부(101)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며, 이러한 제거 공정은 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적절한 기계적, 화학적 또는 이들을 조합한 연마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연마 공정을 완료한 후에 코어부(101)와 수직 전극(10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관통형 비아 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어부(101)에 따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 편의성이 증가됨과 더불어 수직 전극(102)의 균일도와 방열 특성 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후, 수직 전극(102) 중 일부에 마개부(P)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개부를 형성할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마스크(400)를 형성한 후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수직 전극(102)의 단부를 제거하며, 제거된 영역에 마개부(P)를 형성한다. 마개부(P)를 형성한 후 마스크(400)를 제거한 상태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으며, 각각 단면도와 사시도에 해당한다.
이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전극(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선층(103)을 형성한다. 배선층(103)은 전기 전도도가 높은 구리, 니켈, 은 등과 같은 금속 물질을 코어부(101)의 상부 및 하부 전체에 형성한 후 일부를 제거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방식 등으로 얻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빌드업층을 형성하는데, 우선,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연층(104)을 형성한다. 절연층(104) 역시 배선층(103) 상에 전체적으로 형성한 후 일부를 제거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방식 등으로 얻어질 수 있다. 절연층(104)은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기 적합한 전기 절연성 물질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코어부(10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연층(104)을 관통하는 형태의 도전성 비아(105)와 이와 연결된 배선층(106)을 형성한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100)의 최외곽에 솔더 레지스트층(107)을 형성하며, IC 패키지 기판 등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서 디자인이나 필요한 기능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제조방법으로부터 응용된 형태의 제조방법을 도 15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응용된 제조방법은 상술한 제조방법과 함께 또는 별도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리어 필름(200)에 부착된 복수의 수직 전극(102)을 마련하며, 이와 관련된 공정은 앞선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후, 수직 전극(102)이 내부에 배치된 형태가 되도록 코어부(101)를 형성하며, 코어부(101) 형성 공정 역시 앞선 실시 형태와 같은 방식, 즉, 몰딩주형에 수직 전극을 함침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선층을 형성하기에 앞서 복수의 수직 전극(102)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즉, 코어부(101)의 폭 방향으로 코어부(101) 및 복수의 수직 전극(102)을 절단하여 복수의 단위체(C)를 마련한다. 이렇게 얻어진 복수의 단위체(C)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이에 의하여 판상형의 코어부(101)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응용된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인쇄회로기판
101: 코어부
102: 수직 전극
103: 배선층
104: 절연층
105: 도전성 비아
106: 배선층
107: 솔더 레지스트층
200: 캐리어 필름
300: 몰딩주형
301: 보호층
400: 마스크

Claims (19)

  1. 코어부;
    상기 코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 형상의 복수의 수직 전극; 및
    상기 코어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층;
    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규칙적인 간격과 크기로 배열된 인쇄회로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의 총 부피는 상기 코어부의 부피보다 큰 인쇄회로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일부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배선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성 비아를 포함하는 빌드업층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비아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의 직경보다 큰 인쇄회로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테이퍼진 형상을 갖지 않도록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상기 코어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단일층을 갖도록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구리 및 탄소나노튜브(CNT)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10. 로드 형상의 복수의 수직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에 의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를 갖는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규칙적인 간격과 크기로 배열된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은 캐리어 필름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몰딩주형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에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주형의 바닥면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함침한 후 상기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으로부터 상기 몰딩주형 및 상기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주형 및 상기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 후,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이 상기 코어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 중 일부의 적어도 일단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거하고 이렇게 제거된 영역에 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코어부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전극을 절단하여 복수의 단위체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체를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KR1020150016811A 2015-02-03 2015-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5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811A KR20160095487A (ko) 2015-02-03 2015-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014024A KR102404318B1 (ko) 2015-02-03 2022-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811A KR20160095487A (ko) 2015-02-03 2015-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024A Division KR102404318B1 (ko) 2015-02-03 2022-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487A true KR20160095487A (ko) 2016-08-11

Family

ID=567141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811A KR20160095487A (ko) 2015-02-03 2015-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014024A KR102404318B1 (ko) 2015-02-03 2022-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024A KR102404318B1 (ko) 2015-02-03 2022-02-03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95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2008B2 (en) * 2018-11-28 2023-01-10 Intel Corporation Asymmetric cor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suppor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0435B2 (ja) * 1996-07-09 2003-06-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板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111168A (ja) 2000-09-28 2002-04-12 Sumitomo Bakelite Co Ltd リード線を有する電子部品
KR100582079B1 (ko) * 2003-11-06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1910A (ko) * 2012-08-13 2014-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어기판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KR20160089364A (ko) * 2013-11-22 2016-07-27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매설 회로를 구비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프린트 배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2008B2 (en) * 2018-11-28 2023-01-10 Intel Corporation Asymmetric cor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sup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318B1 (ko) 2022-06-07
KR20220019747A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985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5323951B (zh) 印刷电路板及其制造方法
KR101181105B1 (ko) 방열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130761A1 (en)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element module using the same
US8153909B2 (en)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06615A (ja) プリント配線板、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130014122A (ko) 전자 소자 내장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46500A1 (en) Multi-piece substrate
US20150156883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14958A (ko)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US20160021744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345125B2 (en) Wiring substrate
JP5107599B2 (ja) プリント配線板とエッジ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及びエッジコネクタ
KR102404318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8811323B (zh) 印刷电路板及其制造方法
JP6743287B2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6626B1 (ko) 방열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10134693B2 (en) Printed wiring board
US20150156882A1 (en)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miconductor package
KR20160049667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9204A (ko)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5375537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4530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US2015002797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KR101084342B1 (ko) 방열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