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865A - 복합 수전 - Google Patents

복합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865A
KR20160094865A KR1020160011148A KR20160011148A KR20160094865A KR 20160094865 A KR20160094865 A KR 20160094865A KR 1020160011148 A KR1020160011148 A KR 1020160011148A KR 20160011148 A KR20160011148 A KR 20160011148A KR 20160094865 A KR20160094865 A KR 2016009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cold water
hot wat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686B1 (ko
Inventor
히로끼 사카키바라
타츠히로 카토우
히데유끼 테루이
강성호
이경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with fluid passages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복합 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복합 수전(50)은, 조작 레버(4)와, 고정 디스크(2)와, 조작 레버(4)의 회전 조작에 따라 고정 디스크(2) 상을 슬라이딩하는 가동 디스크(3)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조작에 의해 유로가 바뀌어 냉수 토수, 냉온 혼합수 토수, 온수 토수 및 정수 토수의 전환이 수행된다.

Description

복합 수전{Faucet}
본 발명은, 냉수, 온수, 냉온 혼합수, 정수를 하나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전환하고, 또한 각각의 수량도 상기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복합 수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수기 등의 물 처리 장치를 부설하고, 레버의 조작에 의해 통상의 냉수, 온수, 냉온 혼합수 및 정수의 토수를 제어할 수 있는 수전이 제안되었다(특허 문헌 1 및 2).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혼합 수도꼭지 본체에, 냉수용과 온수용의 2개의 유입 포트와, 냉온 혼합수를 유출시키는 혼합수 유출 포트와, 정수기용 유출 포트를 구비한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는, 혼합 수도꼭지 본체 내에 형성된 유로를 상기 2개의 유입 포트와 혼합수 유출포트를 연결하는 혼합수계 유로와, 상기 냉수용의 유입 포트와 정수기용 유출 포트를 연결하는 정수기계 유로로 구분할 수 있고, 아울러 혼합수계 유로와 정수기계 유로를 선택적으로 바꾸는 전환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2-121673호 공보(1990년 10월 3일 공개)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108654호 공보(1992년 9월 21일 공개)
그런데 종래의 복합 수전뿐 아니라 새로운 복합 수전이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새로운 복합 수전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수전은 하나의 레버와, 고정 밸브체와,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 밸브체 상을 슬라이딩하는 가동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조작에 의해 유로가 바뀌어 냉수 토수, 냉온 혼합수 토수, 온수 토수 및 정수 토수의 전환이 수행된다. 이에 의해 새로운 복합 수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에서는,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있어서의 냉수만을 토수하는 냉수 토수 구간에서, 상기 구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상기 레버가 도달하면 자극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레버가 냉수 토수 구간에 있는 것을, 상기 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혼합(냉수와 온수의 혼합, 냉수와 정수의 혼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종래의 전환 수단을 구비한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서는, 사용자는 냉수만을 나오게 하고자 하나, 실제로는 냉수와 정수가 혼합되어 나오거나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나올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급탕기가 작동하여 불필요한 가스나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구성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의도하지 않은 혼합(냉수와 온수의 혼합, 냉수와 정수의 혼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복합 수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 자극이, 회전성의 변화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레버가 냉수 토수 구간에 있는 것을, 상기 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레버의 회전성에 변화가 있던 것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은 혼합(냉수와 온수의 혼합, 냉수와 정수의 혼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이, 상기 냉수 토수 구간과 온수 및 냉수가 혼합되어 토수되는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에 상당하고,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타단이, 상기 냉수 토수 구간과 정수가 토수되는 정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에 상당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고 레버를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에 진입시켜 냉수와 함께 온수을 토수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레버를 의도치 않게 정수 토수 구간에 진입시켜 정수 혹은 냉수와 함께 정수를 토수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에 각각 상기 레버가 도달하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저항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성에 서로 다른 변화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레버가 일단에 위치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타단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상기 변화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는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에 상기 레버가 도달할 때가,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타단에 상기 레버가 도달할 때보다, 사용자에 대해 상기 회전성의 변화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냉수와 함께 온수가 혼합되면, 급탕하기 위한 불필요한 전력이나 가스를 소비하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이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과 인접하고 있으면, 상기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상황을 더욱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냉수 토수 구간과 상기 정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에서 토수량이 감소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수에서 정수로의 전환을 더욱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고정 밸브체 및 상기 가동 밸브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의 최대 외경이 40㎜ 이하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고정 밸브체 및 상기 가동 밸브체 중 적어도 하나는 SiC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고정 밸브체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와, 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유출되는 냉온수 출구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와, 물이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냉온수 출구, 상기 냉수 입구, 상기 온수 입구 및 상기 정수기 출구의 개구 면적을 냉온수 출구
Figure pat00001
냉수 입구 > 온수 입구 > 정수기 출구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토수하는 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가동 밸브체에는 입수구와, 취수구와, 입수구와 취수구를 연결하는 연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통로의 최협폭 부분의 단면적이 8㎟~45㎟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다공성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한편, 상기 최협폭 부분은 상기 다공성 부재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다공성 부재에 의해 덮음으로써 물흐르는 소리를 없앨 수 있다. 한편 최협폭 부분을 다공질 부재로 덮지 않음으로써 유로 개구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연통로의 유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복합 수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고정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정면에 대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체의 중심점을 통과하여 상기 위치의 대향 위치까지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상기 중심점에 있어서 상기 가상선에 직교하는 직교선으로서, 상기 직교선이 상기 고정 밸브체의 일단부터 타단까지를 연결하는 직교선이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직교선보다 상기 정면에 대해 먼 쪽에, 상기 냉온수 출구 및 상기 정수기 출구가 마련되고, 아울러 상기 냉온수 출구와 상기 정수기 출구 사이에 상기 가상선을 두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냉수 입구는, 상기 직교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냉온수 출구와는 반대쪽에 있고, 상기 온수 입구는, 상기 직교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정수기 출구와는 반대쪽에 있고, 상기 냉수 입구는 상기 온수 입구보다 상기 직교선의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수 입구가 온수 입구보다 상기 직교선의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냉수의 유량 확보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수기로의 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복합 수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복합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구비되는 고정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구비되는 가동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위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위치와 지수 상태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구비되는 고정 디스크 및 가동 디스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위치와 토수 상태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저항감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저항감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수전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저항감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수전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50)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50)은, 하나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냉수, 온수, 냉온수 혼합수, 정수를 전환하고, 아울러 각각의 수량도 상기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복합 수전으로서, 예를 들어 가정용으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본체(1)와, 수전 본체(1) 내에 고정된 고정 디스크(2)(고정 밸브체)와, 이 고정 디스크(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디스크(3)(가동 밸브체)와, 가동 디스크(3) 상부에 중심 봉(24)을 통해 접속된 조작 레버(4)(레버)와, 수전 본체(1) 하부에서 수전 본체(1) 내로 삽입된 급탕 관로(5), 급수 관로(6), 정수기(도시하지 않음)로의 정수기 급수 관로(7), 정수 관로(8)의 4개의 관로와, 수전 본체(1) 상부에 장착된 토출 파이프(9)를 주된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수전 본체(1) 내에는 급탕 관로(5), 급수 관로(6) 및 정수기 급수 관로(7)의 각 관로가 수전 본체(1) 상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수전 본체(1) 상단에는 각각 제1 개구(5a), 제2 개구(6a), 제3 개구(7a)(도 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전 본체(1) 내에는, 토출 파이프(9)의 냉온수 토출 관로(10)에 접속되고 수전 본체(1) 상단을 관통하여 제4 개구(11a)가 되는 냉온수 토출 유로(11)와, 정수 관로(8)에 접속되고 토출 파이프(9)의 정수 토출 관로(12)에 연통하는 정수 유로(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전 본체(1)의 상부에는 2단의 홈부(14a, 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홈부(14a)에는 냉온수 토출 유로(11)의 출구인 제5 개구(15)가 마련되고, 수전 본체(1) 내의 냉온수 토출 유로(11)와 토출 파이프(9)의 냉온수 토출 관로(10)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홈(14b)에는 정수 유로(13)의 출구인 제6 개구(16)가 마련되고, 수전 본체(1) 내의 정수 유로(13)와 토출 파이프(9)의 정수 토출 관로(12)가 연통되어 있다.
수전 본체(1)의 홈부(14a, 14b)의 외측에는, 냉온수 토출 관로(10)와 정수 토출 관로(12)를 갖는 토출 파이프(9)의 베이스부(9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토출 파이프(9)는, 수전 본체(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수전 본체(1)의 상측의 홈부(14a)와 냉온수 토출 관로(10)가 연통하고, 하측의 홈부(14b)와 정수 토출 관로(12)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냉온수 토출 관로(10)와 정수 토출 관로(12) 각각의 토출단에는, 하부로 향한 원통형의 토출구(17a, 17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토출 파이프(9)의 베이스부(9a)와 수전 본체(1)의 접촉 부분에는 패킹(18)(도 1)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고정 디스크(2) 및 가동 디스크(3)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고정 디스크(2)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의 (a)는 고정 디스크(2)의, 가동 디스크(3)에 대향하는 측의 면을 본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표시된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한 고정 디스크(2)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가동 디스크(3)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의 (a)는 가동 디스크(3)의, 고정 디스크(2)에 대향하는 측의 면을 본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표시된 절단선 B-B'를 따라 절단한 고정 디스크(2)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고정 디스크(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반형의 디스크이다. 이 관통공들은 각각 호형을 이루고, 수전 본체(1)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개구 각각에 접속되며, 급탕 관로(5)에 접속하는 제1 홀(19)(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 급수 관로(6)에 접속하는 제2 홀(20)(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 냉온수 토출 유로(11)에 접속하는 제3 홀(21)(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유출되는 냉온수 출구), 정수기 급수 관로(7)에 접속하는 제4 홀(22)(냉수가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고정 디스크(2)는, 도면의 상측이 복합 수전(50)의 조작 레버(4)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정면 위치에 상당한다. 그리고, 고정 디스크(2)의 도면의 우측 상부에 제1 홀(19)(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 좌측 상부에 제2 홀(20)(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 우측 하부에 제4 홀(22)(냉수가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 좌측 하부에 제3 홀(21)(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유출되는 냉온수 출구)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 관계를 다시 말하면, 고정 디스크(2)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정면에 대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디스크(2)의 중심점(C)(도 3의 (a))을 통과하여 정면 위치의 대향 위치까지를 연결하는 가상선(X)과, 상기 중심점(C)에 있어서 상기 가상선(X)에 직교하는 직교선(Y)으로서, 상기 직교선(Y)가 고정 디스크(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를 연결하는 직교선(Y)이라고 가정했을 때, 직교선(Y)보다 정면 위치에 대해 먼 쪽에 제3 홀(21) 및 제4 홀(22)이 마련되고, 아울러 제3 홀(21)과 제4 홀(22) 사이에 가상선(X)을 두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홀(20)은 직교선(Y)을 사이에 두고 제3 홀(21)과는 반대쪽에 있고, 제1 홀(19)은 직교선(Y)를 사이에 두고 제4 홀(22)과는 반대쪽에 있다. 그리고, 제2 홀(20)은 제1 홀(19)보다 직교선(Y)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제2 홀(20)은 제1 홀(19)보다 길다(긴 부분을 도 3의 (a)에서 점선의 사각형으로 나타냄). 이와 같이, 제2 홀(20)의 길이가 제1 홀(19)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냉수의 유량의 확보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수기로의 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8)의 최대 외경을 40㎜ 이하로 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40㎜로 할 수 있다. 케이스(28)의 최대 외경을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케이스(28)에 수용하는 고정 디스크(2) 및 가동 디스크(3)는 그 지름이 비교적 작은 것에 해당하므로, 고정 디스크(2)에 마련한 각 홀에 있어서는 그 개구 사이즈에 더욱 제한이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디스크(2)의 각 홀의 개구 면적을,
제3 홀(21)(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유출되는 냉온수 출구)
Figure pat00002
제2 홀(20)(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 > 제1 홀(19)(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 > 제4 홀(22)(물이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각 홀의 개구 면적을,
제3 홀(21)(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유출되는 냉온수 출구):제2 홀(20)(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제1 홀(19)(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제4 홀(22)(냉수가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 = 1.8:1.7:1.4:1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디스크(2)의 각 홀의 개구 면적을 설계하면, 제2 홀(20)(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의 개구 사이즈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어 유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디스크(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 둘레 길이를 따른 제4 홀(22)(냉수가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의 길이(P)와, 그 외측 둘레 길이를 따른 제4 홀(22)과 제3 홀(21)(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유출되는 냉온수 출구)과의 이간 거리(Q)가 거의 동일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한정된 면적을 갖는 고정 디스크(2)에 있어서, 이간 거리(Q)가 좁으면서, 제4 홀(22)(냉수가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를 비교적 크게 개구하여 충분한 유출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의 고정 디스크(2) 상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디스크(2)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가동 디스크(3)가 고정 디스크(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디스크(3)는 원반형이며, 고정 디스크(2)와의 대향면 측(하면 측)에, 입수구(23a)와, 취수구(23b)와, 입수구(23a)와 취수구(23b)를 연결하는 연통로(23c)를 갖는 장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홈(23)의 입수구(23a)는, 디스크 가장자리 근방에 형성된 호형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그 호형 부분의 일부에 가동 디스크(3)의 하면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영역(23d)이 마련되어 있고, 돌출 영역(23d)에 의해 입수구(23a)는 개구 사이즈가 좁아져 있다고 할 수도 있다. 이 돌출 영역(23d)이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혼합을 회피할 수 있다.
아울러 가동 디스크(3)의 장홈(23)의 연통로(23c)의 최협폭 부분(23c')의 단면적은 8㎟~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최협폭 부분(23c')은, 연통로(23c)에서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를 말하며, 단면적은, 원반형의 가동 디스크(3)의 두께 방향을 따른 단면의 면적을 말한다. 최협폭 부분(23c')은 연통로(23c)의 중앙 부근에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3)의 지름은 비교적 작게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케이스(28)의 최대 외경이 40㎜인 경우, 가동 디스크(3)의 지름을 약 35㎜에서 38㎜(가동 디스크(3)의 두께는 약 6~10㎜)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은 직경의 가동 디스크(3)의 경우에는 장홈(23)의 연통로(23c)는 좁고 얕게 형성할 수밖에 없으나, 유량을 확보하는 것도 동시에 필요하므로 최협폭 부분(23c') 의 단면적을 상술한 범위로 하고 있다.
나아가 수전 본체(1) 혹은 케이스(28)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가동 디스크(3)를 두껍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껍게 설계하면, 연통로(23c)를 깊은 홈으로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표면적을 갖는 가동 디스크(3)에 있어서, 충분한 유량을 확보한 가는 홈의 연통로(23c)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동 디스크(3)의 장홈(23)의 입수구(23a)는, 메쉬체(23e)(다공성 부재)로 덮여 있다. 이 메쉬체(23e)는 물 흐르는 소리를 없애는 효과를 가져와, 장홈(23)으로 흘러들어오는 냉수나 온수의 유입음을 저감시키는 것에 기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홈(23)의 입수구(23a)만을 메쉬체(23e)로 덮고 있다. 이에 의해, 장홈(23)의 전체 영역에 메쉬체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유수량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쉬체(23e)는 장홈(23)의 취수구(23b)측에만, 혹은 입수구(23a)측 및 취수구(23b)측 모두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쉬체(23e)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최협폭 부분을 덮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로 개구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연통로(23c)의 유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메쉬체(23e)는 정류 부재라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쉬체(23e)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물에 대해 내구성이 있어 쉽게 녹슬지 않는 금속, 폴리올레핀 및 ABS 등의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 디스크(2) 및 가동 디스크(3) 중 적어도 하나는 SiC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제일 수 있다.
가동 디스크(3)의 상면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에 접속되는 중심 봉(24)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가동 디스크(3)는, 중심 봉(24)의 일단에 조작 레버(4)를 장착하고 고정 핀(25)(도 1)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조작 레버(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디스크(2)에 대해 가동 디스크(3)가 편심하도록 슬라이딩하고, 조작 레버(4)를 중심 봉(24)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로 돌림으로써 고정 디스크(2) 상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 디스크(3) 상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봉(24)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받침대(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디스크(2), 가동 디스크(3), 받침대(26) 각각을 적층시키고, 중심 봉(24)을 받침대(26)에 설치하고, 고정 디스크(2)의 외측에, 수전 본체(1) 상단의 제1~ 제4 개구와 마주보는 홀을 갖는 패킹(27)(도 1)을 넣고, 이것들을 케이스(28)(수용 용기)에 수납하여 세라믹 카트리지(29)를 구성하고 있다. 이 패킹(27)에는 결합 돌출부(30)가 형성되고, 한편 수전 본체(1) 상단에는 결합 홈부(31)가 형성되어 결합 홈부(31) 내에 결합 돌출부(30)를 걸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2).
이 세라믹 카트리지(29)는, 수전 본체(1) 상에 설치하고, 그 외측에 커버(32)를 씌우고, 이 커버(32)를 수전 본체(1)에 고정함으로써 장착된다. 또한 이 커버(32) 상에는 조작 레버(4)의 접속측 부분을 덮도록 캡(33)이 장착되어 있다.
수전 본체(1)에 접속되는 각 관로 중, 급탕 관로(5) 및 급수 관로(6)는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전과 동일하게, 급탕 공급 관로, 수도 관로에 접속된다.
또한 정수기는,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냉수에 정밀 여과나 활성탄에 의한 흡착 처리를 실시하고, 정화된 정수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공지의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수기는, 공급구에 정수기 급수 관로(7)가 접속되고 토출구에 정수 관로(8)가 접속된 상태로 싱크대 하부 등에 수납된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 처리 장치로서 정수기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물 처리 장치는 정수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기 냉수기, 이온수 제조 장치 등의 다른 물 처리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이 복합 수전(5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상술한 복합 수전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복합 수전(50)에 있어서 토출하는 냉수, 온수, 정수의 전환 조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의 좌우로의 회전에 의해 수행한다. 또한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出水), 지수(止水)의 조작은 조작 레버(4)의 상하의 이동에 의해 수행한다.
도 6은, 이 복합 수전(50)의 지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지수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4)가 아래로 내려가 가동 디스크(3)가 도 6의 좌측으로 편심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지수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4)를 좌우로 회전시켜도 장홈(23)이 고정 디스크(2)의 제1 홀(19) 및 제2 홀(20) 어느 것과도 겹치지 않고, 이 홀들이 장홈(23)을 통해 제3 홀(21) 및 제4 홀(22) 어느 것과도 연통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7의 (a)~(e)는, 고정 디스크(2) 상에 가동 디스크(3)를 설치한 상태에서, 가동 디스크(3)의 상측에서 보아, 고정 디스크(2)의 각 홀과 가동 디스크(3)의 장홈(23)간의 대향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e)는 상단 및 하단 모두, 도면의 상측이 사용자의 정면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이 위치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가 각각 다른 경우의 상기 회전에 따른 가동 디스크(3)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 디스크(2)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도 7의 (a)~(e)의 상단은 모두 토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a)~(e)의 하단은 모두 지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e)의 하단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모두, 장홈(23)이 고정 디스크(2)의 제1 홀(19) 및 제2 홀(20) 어느 것과도 겹치지 않고, 이 홀들이 장홈(23)을 통해 제3 홀(21) 및 제4 홀(22) 어느 것과도 연통하지 않으므로 지수 상태를 실현하고 있다.
이어서, 토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지수 상태의 조작 레버(4)를 들어올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3)가 고정 디스크(2)에 대해 우측으로 편심하여 토수 상태가 된다.
도 7의 (a)~(e)의 상단은 모두 토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궤도상에서의 조작 레버(4)의 위치에 따라 가동 디스크(3)의 위치가 바뀌고 이에 의해 토수의 종류가 바뀐다.
도 7의 (a)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조작 레버(4)가, 정면 위치에서 우측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60°회전한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2 홀(20)과 입수구(23a)가 마주보고 제4 홀(22)과 취수구(23b)가 마주보고 있으며, 장홈(23)은 제2 홀(20)로부터의 물을 제4 홀(22)로 유출시키는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급수 관로(6)의 물이 제2 홀(20), 장홈(23), 제4 홀(22)을 통과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 급수 관로(7)로 도입된다. 정수기로 공급된 물은, 그 내부에서 정화되고, 정화된 정수가 정수 관로(8)을 통과하여 수전 본체(1) 내의 정수 유로(13)로 들어가고, 제6 개구(16)를 거쳐 토출 파이프(9)의 정수 토출 관로(12)를 통과하여 토출구(17b)를 통해 토출된다. 즉, 도 7의 (a)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는 정수 토수 상태이다.
도 7의 (b)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조작 레버(4)가, 정면 위치에서 우측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40°를 약간 넘어 회전한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2 홀(20)과 입수구(23a)가 마주보고, 제3 홀(21) 및 제4 홀(22)과 취수구(23b)가 마주보고 있으며, 장홈(23)은 제2 홀(20)로부터의 냉수를 제3 홀(21) 및 제4 홀(22)로 유출시키는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급수 관로(6)의 냉수가 제2 홀(20), 장홈(23), 제4 홀(22)을 통과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 급수 관로(7)로 도입됨과 동시에, 제3 홀(21)로부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냉온수 토출 유로(11), 제5 개구(15), 토출 파이프(9)의 냉온수 토출 관로(10)를 통과한다. 따라서, 도 7의 (b)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에서는, 냉수(정수도 온수도 아님)가 토출구(17a)를 통해 토수됨과 동시에, 정수기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정수 관로(8)을 통과하고, 수전 본체(1)내의 정수 유로(13)로 들어가 제6 개구(16)를 거쳐 토출 파이프(9)의 정수 토출 관로(12)를 통과하여 토출구(17b)를 통해 토출된다. 즉, 도 7의 (b)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는 냉수와 정수가 동시에 토수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냉수와 정수의 혼합이라 칭하고, 토수된 것을 혼합수라 칭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에서는 이러한 혼합수가 토수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먼저 도 7의 (c) 이후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c)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조작 레버(4)가, 정면 위치에서 우측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40°회전한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2 홀(20)과 입수구(23a)가 마주보고, 제3 홀(21)과 취수구(23b)가 마주보고 있으며, 장홈(23)은 제2 홀(20)로부터의 물을 제3 홀(21)로 유출시키는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3 홀(21)로부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냉온수 토출 유로(11), 제5 개구(15), 토출 파이프(9)의 냉온수 토출 관로(10)를 통과하여, 냉수(정수도 온수도 아님)가 토출구(17a)를 통해 토출된다. 즉, 도 7의 (c)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는 냉수 토수 상태이다.
도 7의 (d)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조작 레버(4)가 정면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 7의 (c)의 상단에 도시된 냉수 토수 상태와 같으나, 도 7의 (d)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에서는, 장홈(23)의 취수구(23b)의 전체 영역이 제3 홀(21)과 마주보고 있는 점에서, 도 7의 (c)의 상단에 도시된 냉수 토수 상태일 때보다 다량의 물을 토수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도 7의 (d)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에서는, 장홈(23)의 입수구(23a)의 개구 사이즈를 좁히고 있는 돌출 영역(23d)이 제1 홀(19)을 막고 있으므로 제1 홀(19)로부터 온수가 장홈(23)으로 흐르지 않는다. 만일, 돌출 영역(23d)이 없어 입수구(23a)가 넓게 개구되어 있는 경우라면, 가동 디스크(3)가 도 7의 (d)의 상단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홀(20)로부터의 냉수뿐 아니라 제1 홀(19)로부터의 온수가 장홈(23)으로 흘러 냉온 혼합수가 취수구(23b)를 통해 제3 홀(21)로 유출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 영역(23d)을 마련한 가동 디스크(3)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 범위 중, 냉수만을 토수할 수 있는 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급탕기가 작동하여 가스나 전기를 낭비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도 7의 (e)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조작 레버(4)가, 정면 위치로부터 좌측 방향(시계 방향)으로 40° 회전한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홀(19)과 입수구(23a)가 마주보고, 제3 홀(21)과 취수구(23b)가 마주보고 있으며, 장홈(23)은 제1 홀(19)로부터의 온수를 제3 홀(21)로 유출시키는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급탕 관로(5)로부터의 온수가 제1 홀(19), 장홈(23), 제3 홀(21)을 통과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전 본체(1) 내의 냉온수 토출 유로(11), 제5 개구(15), 토출 파이프(9)의 냉온수 토출 관로(10)를 통과하여 토출구(17a)를 통해 급탕된다. 즉, 도 7의 (e)의 상단에 도시된 토수 상태는 온수 토수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50)에 의하면, 조작 레버(4)의 올림, 내림의 조작 및 내림시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냉수 공급, 온수 공급, 냉온 혼합수 공급, 정수 공급 및 지수의 각 조작의 전환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구성으로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조작 레버(4)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있어서의 저항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혼합(냉수와 온수의 혼합, 전술한 도 7의 (b)에 도시된 냉수와 정수의 혼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복합 수전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도 9는, 조작 레버(4)의 회전 궤도상에서의 조작 레버(4)의 위치와 토수의 종류 간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50)은, 조작 레버(4)가 사용자의 정면에 대한 위치에 있을 때 냉수만을 토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4)가 정면 위치(이 위치를 0°)에서 우측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40°까지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냉수만이 토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정면 위치(이 위치를 0°)에서 우측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40°까지의 범위를 냉수 토수 구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그 40°에서 다시 우측 방향으로 25도(정면 위치로부터는 우측 방향으로 65°)까지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정수가 토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정면 위치에서 우측 방향으로 40°도에서 65°까지의 범위를 정수 토수 구간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냉수 토수 구간에서 정수와 냉수 구간으로 전환되는 사이에 상술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와 정수가 혼합되어 나오는 위치가 있다.
또한, 조작 레버(4)가, 정면 위치(0°)를 넘은 위치부터 좌측 방향(시계 방향)으로 40°까지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냉온 혼합수를 토수하고, 좌측 방향(시계 방향)으로 최대 각도(40°)까지 조작 레버(4)를 회전시켰을 때에는, 온수가 토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정면 위치(0°)를 넘어 좌측 방향(시계 방향)으로 40°까지의 구간을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간에 따라 다른 토수 상태가 실현되는 것은, 전술한 고정 디스크(2)의 각 홀과 가동 디스크(3)의 장홈(23)과의 대향 위치 관계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하고 있기 때문인데, 본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냉수 토수 구간과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 및 (ii) 냉수 토수 구간과 정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에 있어서, 조작 레버(4)의 회전 조작에 저항감을 부여하여 사용자에 대해 조작 레버가 경계에 있는 것, 즉 구간이 바뀌는 것을 인식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저항감은 클릭감이라고 칭할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냉수 토수 구간, 정수 토수 구간 및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을 사용자가 조작 레버(4)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매끄러운 조작감에 비해, 상술한 (i) 및 (ii)의 경계에 이르렀을 때에는 걸림(저항)을 느끼도록 하고 있다. 이 저항감을 회전 조작 도중에 사용자가 인식하면 사용자는 토수 구간이 바뀐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작 레버(4)를 정면 위치로 가져와 냉수만을 토수하고 싶다고 사용자가 생각했다고 하자. 이 경우에, 만일 상술한 (i)의 경계에서 저항감이 없으면, 실제의 조작 레버(4)의 위치가 냉온 혼합수 구간의 냉수 토수 구간에 가장 가까이에 있어도 이를 사용자가 깨닫지 못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게 온수가 혼합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i)의 경계에서 저항감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는 확실히 정면 위치에 조작 레버(4)를 위치시켜 냉수만을 토수할 수 있다. 이는 다음의 이유에 따른다. 즉, 사용자는 한번 저항감을 체감함으로써 저항감이 잠깐 발생하는 것을 인식한다. 그 인식 후, 사용자는 저항감을 느끼면, 저항감이 없어지고 매끄러운 회전이 되는 구간까지 조작 레버(4)를 회전시키려고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복합 수전(50)은 혼합수가 토수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ii)의 경계에서도 동일하고, 냉수만을 토수하고 싶은, 혹은 정수를 토수하고 싶은 경우에, 상기 경계에서 저항감이 사용자에 대해 부여됨으로써 사용자는 확실히 원하는 토수 구간에 조작 레버(4)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저항감의 부여는, (i)의 경계의 경우, 냉수 토수 구간을 조작 레버(4)가 벗어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서 실현된다. 또한, (ii)의 경계에 대해서도, 냉수 토수 구간을 조작 레버(4)가 벗어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서 저항감의 부여를 실현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수만을 토수하고 싶은 경우에 확실히 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i)의 경계에서 저항감은, 정면 위치를 넘은 위치로부터 좌측 방향(시계 방향)으로 7.5도까지의 각도 범위 내에서 계속 부여한다. 아울러 계속 부여하는 것은, 균등한 저항감을 계속 부여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 토수 구간내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의 조작감보다 저항을 느끼는 정도이면 그 저항의 강도는 균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ii)의 경계에서 저항감은, 정면 위치(이 위치를 0°)에서 우측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40°에서부터 다시 우측 방향으로 14.5°(정면 위치로부터는 우측 방향으로 54.5°)까지의 각도 범위 내에서 계속 부여한다. 아울러 이 각도 범위에서는 냉수와 정수의 혼합수가 토출되는 구간(도 7의 (b)에 도시된 상태)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저항감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는 이 구간 내에 조작 레버(4)를 위치시킬 수 없다. 다시 말해, 저항감을 실현하는 구성(자세한 것은 후술)에 의하면, 조작 레버(4)는 냉수와 정수의 혼합수가 토출되는 구간에서 멈추지 않고 이 구간을 넘어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수와 정수의 혼합수를 토수시키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저항감을 사용자에 대해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상술한 (i)의 경계에서 저항감을 부여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술한 (ii)의 경계에서 저항감을 부여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8) 및 받침대(26)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28)는 고정 디스크(2), 가동 디스크(3) 및 받침대(26)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이 케이스 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고, 도 10에서는 이 덮개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 덮개의 내측 둘레면에는, 중심 봉(24) 측을 향해 돌출된 제1 케이스측 돌기부(28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26)의 외측 둘레면에는 제1 받침대측 돌기부(26a)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레버(4)의 회전이 중심 봉(24)을 통해 받침대(26)를 회전시키면, 케이스(28)(덮개)의 내부에서 받침대(26)가 회전하고, 상술한 (i)의 경계에서 제1 케이스측 돌기부(28a)와 제1 받침대측 돌기부(26a)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받침대측 돌기부(26a)는 받침대(26)와는 별체인 판 스프링(40)과, 판 스프링(40)을 통해 받침대(26)에 장착된 돌기체(41)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체(41)는 외압이 가해지면 일단 중심 봉(24)측으로 밀려들어가지만, 외압이 해제되면 탄성체인 판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되돌아오는 기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받침대측 돌기부(26a)는 제1 케이스측 돌기부(28a)와 접촉함으로써 중심 봉(24)측으로 일단 밀려들어 가지만, 받침대(26)가 더욱 회전하여 접촉이 해제되면 판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대로 되돌아온다. 접촉 중에는, 제1 받침대측 돌기부(26a)와 제1 케이스측 돌기부(28a) 간의 접촉 저항에 의해 받침대(26)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멈추려고 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접촉 저항이 없는 상태와 비교하여 받침대(26)가 회전하기 어려워지고, 이것이 조작 레버(4)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저항감으로서 전달된다.
아울러 돌기체(41)의 돌출 위치는, 조작 레버(4)의 회전 궤도상에서 조작 레버(4)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즉, 조작 레버(4)가 사용자의 정면 위치에 있을 때, 돌기체(41)의 돌출 위치도 사용자의 정면 위치에 있다. 한편, 제1 케이스측 돌기부(28a)는, 사용자의 정면 위치보다 약간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 레버(4)를 예를 들어 정수 토수 구간측으로부터 정면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면 정면 위치에 도달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상이 상술한 (i)의 경계에서의 저항감의 부여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1 또한, 도 10과 동일하게, 케이스(28)의 덮개 및 받침대(26)의 분해도이다. 이 덮개의 내측 둘레면에는, 제1 케이스측 돌기부(28a)와는 다른 위치에, 중심 봉(24)측을 향해 돌출된 제2 케이스측 돌기부(28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26)의 외측 둘레면에는 제1 받침대측 돌기부(26a)와는 다른 위치에 제2 받침대측 돌기부(26b)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케이스측 돌기부(28b)는 덮개의 일부가 절결된 부분에 마련되어 있어, 제2 케이스측 돌기부(28b)에 내측 둘레면측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측을 향해 외압이 걸린 경우에는 절결된 부분이 외측 둘레면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외압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기구로 되어 있다. 한편, 제2 받침대측 돌기부(26b)는 받침대(26)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케이스측 돌기부(28b)와 제2 받침대측 돌기부(26b)는 상술한 (ii)의 경계에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촉 중에는, 제2 받침대측 돌기부(26b)와 제2 케이스측 돌기부(28b) 간의 접촉 저항에 의해, 상기 접촉 저항이 없는 상태와 비교하여 받침대(26)가 회전하기 어려워지고, 이것이 조작 레버(4)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저항감으로서 전달된다. 이것이 상술한 (ii)의 경계에서의 저항감의 부여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i) 및 (ii)의 경계 각각에서 서로 다른 구성에 의해 저항감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계를 인식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어느 쪽 경계에 조작 레버(4)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전성의 변화의 크기(변화의 강도나 변화가 발생하는 동안의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i)의 경계에서의 저항감이 상술한 (ii)의 경계에서의 저항감보다 명확한 클릭감으로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는 판 스프링(40)(예를 들어 SUS제)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ii)의 경계에서의 요철들간의 접촉은, 수지들간(케이스(28) 및 받침대(26)는 수지를 베이스로 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접촉시켰을 때에 보여지는 소프트한 접촉 저항으로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즉, 상술한 (i)의 경계에서의 요철들간의 접촉 저항은, 상술한 (ii)의 경계에 있어서의 요철들간의 접촉 저항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온수의 혼합이 발생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 이는, 냉온 혼합수도 포함하여 온수를 토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유효하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받침대(26)와 케이스(28)에 마련한 돌기들간의 접촉 저항에 의해, 사용자에게 저항감을 부여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작 레버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i) 및 (ii)의 경계를 인식시키는 양태는, 자극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면 가능하고, 조작 레버(4)의 회전성에 변화가 발생하는 구성이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 및 (ii)의 경계를 인식시키는 다른 양태로서, 조작 레버 혹은 복합 수전의 어느 부위에 마련한 램프가 점등이나 점멸을 하여 상기 경계에 조작 레버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양태일 수도 있다.
혹은, 상기 경계가 되면 조작 레버 혹은 복합 수전의 어느 부위에 마련한 스피커로부터 소리가 나와 상기 경계에 조작 레버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양태일 수도 있다.
혹은, 상기 경계가 되면 조작 레버가 진동함으로써 상기 경계에 조작 레버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양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정용의 다기능 복합 수전에 이용할 수 있다.
1 수전 본체 2 고정 디스크
3 가동 디스크 4 조작 레버
5 급탕 관로 5a 제1 개구
6 급수 관로 6a 제2 개구
7 정수기 급수 관로 7a 제3 개구
8 정수 관로 9 토출 파이프
9a 기부 10 냉온수 토출 관로
11 냉온수 토출 유로 11a 제4 개구
12 정수 토출 관로 13 정수 유로
14a, 14b 홈부 15 제 5 개구
16 제 6 개구 17a, 17b 토출구
17b 토출구 18 패킹
23 장홈 23a 입수구
23b 취수구 23c 연통로
23c' 최협폭 부분 23d 돌출 영역
23e 메쉬체 24 중심 봉
25 고정 핀 26 받침대
26a 제1 받침대측 돌기부 26b 제2 받침대측 돌기부
27 패킹 28 케이스
28a 제1 케이스측 돌기부 28b 제2 케이스측 돌기부
29 세라믹 카트리지 30 결합 돌출부
31 결합 홈부 32 커버
33 캡 40 판 스프링
41 돌기체 50 복합 수전

Claims (14)

  1. 하나의 레버와, 고정 밸브체와,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 밸브체 상을 슬라이딩하는 가동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조작에 의해 유로가 바뀌어 냉수 토수, 냉온 혼합수 토수, 온수 토수 및 정수 토수의 전환이 수행되는 복합 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있어서의 냉수만을 토수하는 냉수 토수 구간에서, 상기 구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상기 레버가 도달하면 자극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회전성의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은, 상기 냉수 토수 구간과 온수 및 냉수가 혼합되어 토수되는 냉온 혼합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에 상당하고,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타단은, 상기 냉수 토수 구간과 정수가 토수되는 정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5.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에 각각 상기 레버가 도달하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성에 서로 다른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일단에 상기 레버가 도달할 때가 상기 냉수 토수 구간의 상기 타단에 상기 레버가 도달할 때보다 상기 회전성의 변화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토수 구간과 상기 정수 토수 구간과의 경계에서 토수량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9.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체 및 상기 가동 밸브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의 최대 외경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10.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체 및 상기 가동 밸브체 중 적어도 하나는, SiC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11.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체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입구와, 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유출되는 냉온수 출구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와, 물이 정수기로 유출되는 정수기 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냉온수 출구, 상기 냉수 입구, 상기 온수 입구 및 상기 정수기 출구의 개구 면적을 냉온수 출구
    Figure pat00003
    냉수 입구 > 온수 입구 > 정수기 출구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12. 제1~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체에는 입수구와, 취수구와, 입수구와 취수구를 연결하는 연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통로의 최협폭 부분의 단면적이 8㎟~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다공성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한편, 상기 최협폭 부분은 상기 다공성 부재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정면에 대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체의 중심점을 통과하여 상기 위치의 대향 위치까지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상기 중심점에 있어서 상기 가상선에 직교하는 직교선으로서, 상기 직교선이 상기 고정 밸브체의 일단부터 타단까지를 연결하는 직교선이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직교선보다 상기 정면에 대해 먼 쪽에, 상기 냉온수 출구 및 상기 정수기 출구가 마련되고, 또한 상기 냉온수 출구와 상기 정수기 출구와의 사이에 상기 가상선을 두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냉수 입구는, 상기 직교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냉온수 출구와는 반대쪽에 있고, 상기 온수 입구는, 상기 직교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정수기 출구와는 반대쪽에 있고, 상기 냉수 입구는 상기 온수 입구보다 상기 직교선의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전.
KR1020160011148A 2015-02-02 2016-01-29 복합 수전 KR101946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8769A JP6846100B2 (ja) 2015-02-02 2015-02-02 複合水栓
JPJP-P-2015-018769 2015-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65A true KR20160094865A (ko) 2016-08-10
KR101946686B1 KR101946686B1 (ko) 2019-02-11

Family

ID=5657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148A KR101946686B1 (ko) 2015-02-02 2016-01-29 복합 수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46100B2 (ko)
KR (1) KR101946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27U (ko) 2016-08-24 2018-03-06 오시우 회전 수전
KR20180124615A (ko) * 2017-05-12 2018-11-21 손정우 절수기 일체형 수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3376B2 (ja) * 2016-07-20 2018-04-18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2018040203A (ja) * 2016-09-09 2018-03-15 株式会社Lixil 吐水装置
CN107178634A (zh) * 2017-07-13 2017-09-19 陈芬芬 一种温度可调节的净水型水龙头
CN108488434B (zh) * 2018-06-01 2024-03-26 福建洁博利厨卫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模块化流道的智能水龙头
CN112283400A (zh) * 2019-07-25 2021-01-29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水路滑动切换机构
CN114728813B (zh) 2019-11-11 2024-04-26 东丽株式会社 流路切换系统以及净水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673A (ja) 1988-10-31 1990-05-09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収縮性袋体
JPH04108654A (ja) 1990-08-29 1992-04-09 Mitsubishi Heavy Ind Ltd ゼオライト押出成形用原料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5018Y2 (ko) * 1984-10-26 1989-10-25
JPH0672667B2 (ja) * 1986-06-30 1994-09-14 イビデン株式会社 バルブ用弁体
JPH0535250Y2 (ko) * 1989-03-16 1993-09-07
JP3085699B2 (ja) * 1990-10-01 2000-09-1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多機能複合水栓
JP2563239Y2 (ja) * 1991-03-30 1998-02-18 東陶機器株式会社 浄水器などの水処理器付水栓
JPH04117271U (ja) * 1991-03-30 1992-10-20 東陶機器株式会社 浄水器などの水処理器付水栓
JP2567679Y2 (ja) * 1992-02-24 1998-04-0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湯水混合弁
JP2666020B2 (ja) * 1992-03-02 1997-10-2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水 栓
JP2587255Y2 (ja) * 1992-08-12 1998-12-16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温冷水混合栓
JP4317407B2 (ja) * 2003-08-29 2009-08-19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
GB0509348D0 (en) * 2005-05-09 2005-06-15 Astracast Plc A water tap
JP5727150B2 (ja) * 2010-03-17 2015-06-03 株式会社Lixil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JP2012002346A (ja) * 2010-05-19 2012-01-05 Toto Ltd 湯水混合栓
KR101234052B1 (ko) * 2011-05-26 2013-02-21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냉온수 조절용 카트리지
JP5679584B2 (ja) * 2012-01-11 2015-03-04 株式会社タカギ 湯水混合栓
KR200465948Y1 (ko) * 2012-10-19 2013-03-19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좌우 클릭형 단 조작수단을 갖는 수도밸브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673A (ja) 1988-10-31 1990-05-09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収縮性袋体
JPH04108654A (ja) 1990-08-29 1992-04-09 Mitsubishi Heavy Ind Ltd ゼオライト押出成形用原料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27U (ko) 2016-08-24 2018-03-06 오시우 회전 수전
KR20180124615A (ko) * 2017-05-12 2018-11-21 손정우 절수기 일체형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2342A (ja) 2016-08-08
KR101946686B1 (ko) 2019-02-11
JP6846100B2 (ja)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686B1 (ko) 복합 수전
US7871020B2 (en) Faucet spray head with volume control
JP6293405B2 (ja)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JP5727150B2 (ja)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JP2014020551A (ja) 水栓金具用の節湯型カートリッジ
JP4976664B2 (ja) 混合水栓
JP5637925B2 (ja)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CN109027307A (zh) 一种人性化省力切换阀
JP6228178B2 (ja) ハンドシャワ
CN100447463C (zh) 一种具有向上喷水功能的水龙头
CN210034524U (zh) 一种多功能恒温龙头
CN210013282U (zh) 一种恒温淋浴水龙头
JP2017197923A (ja) 局部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CN218000517U (zh) 一种过水件及淋浴器
CN2906247Y (zh) 一种具有向上喷水功能的水龙头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JP2013076445A (ja) 吐水装置
CN110131443B (zh) 一种多功能恒温龙头
KR200175247Y1 (ko) 수전금구 카트리지
CN218510234U (zh) 一种前置水路控制装置及一种淋浴龙头
CN108843820B (zh) 一种阀体预埋盒
CN217153100U (zh) 一种分水阀芯及相应的出水装置和淋浴器
WO2024067088A1 (zh) 阀芯及抽拉式水龙头
TWM466992U (zh) 水龍頭流道切換結構
KR20120045781A (ko) 냉온수 혼합 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