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573A -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573A
KR20160094573A KR1020150015513A KR20150015513A KR20160094573A KR 20160094573 A KR20160094573 A KR 20160094573A KR 1020150015513 A KR1020150015513 A KR 1020150015513A KR 20150015513 A KR20150015513 A KR 20150015513A KR 20160094573 A KR20160094573 A KR 2016009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salt
extract
safflower seed
safflow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005B1 (ko
Inventor
김윤세
이가현
이소정
홍윤희
이근혜
채슬기
임정화
임승연
김경환
유영은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인산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인산가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0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1/221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재료로 홍화씨를 전체 중량의 15~20 중량%를 준비하고, 부재료로 9회 구운 죽염0.18~0.3중량%, 씨를 제거한 대추 2.2~2.5중량%, 생강 1.7~2.2중량%, 배 75~78중량%를 홍화씨와 혼합한 후에 물 75~78중량%에 넣고 달여 제조하는 추출액 제조단계; 수회 걸쳐 엿기름을 우려낸 물에 흰 밥을 2:1의 비율로 넣고 일정 온도 보온이 유지되는 보온밥솥에 일정시간 보온시킨 후에 걸러내서 제조되는 천연감미료 제조단계; 상기 추출액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에 천연감미료를 2:1의 비율로 섞어 일정한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 상태로 달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이러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는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processed food containing with extract of bamboo salt and safflower seeds}
본 발명은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화씨와 고기능성 죽염을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섭취 가능하고 음식조리시에 다양한 음식에 감미료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바쁜 현대인의 건강을 챙길 수 있는 페이스트상으로 이루어진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화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 홍람(紅藍)·이꽃·잇나물이라고도 한다. 이른 아침 이슬에 젖었을 때 꽃을 따서 말린 것을 홍화라 하여 한방에서 부인병·통경·복통에 쓰이며, 홍화의 열매로 기름을 짜서 등유(燈油)와 식용으로 사용하였고 종자에서 짠 기름에는 리놀산(linolic acid)이 많이 들어 있어 콜레스테롤 과다에 의한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치료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홍화씨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여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혈압 등 순환기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크고, 뼈를 튼튼하게 해 골절, 골다공증, 골형성부전증 등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홍화는 예부터 한약재와 염색 재료로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꽃잎과 씨앗이 약재로 쓰이고, 특히 뼈를 튼튼히 한다고 하여 가루나 환으로 만들어 먹거나 홍화씨를 물에 달여서 음료같이 복용하기도 하고 있다.
근래에는 홍화씨에 포함되어 있는 리놀산 성분이 지방을 분해하는 효능이 있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고, 토코페롤성분은 자외선을 차단시켜주는 효능이 있어서 피부암 예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홍화씨의 이용에 대하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용한 홍화씨의 주요 성분들을 살펴보면, 주요 영양소로는 탄수화물 40~50%, 지방 32~40%, 단백질 11~17% 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리놀산, 칼슘, 마그네슘, 칼륨 이외에도 철과 망간, 나트륨, 규소, 알루미늄, 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홍화씨에는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이 60%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리놀레산은 체내에서 세포막과 혈소판의 주요 구성요소로 작용하고, 체내의 지방질을 분해하는 역할로 다이어트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홍화씨의 유기백금은 부서진 뼈를 이어주고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뼈 골절부위에서 백혈구를 집중시켜 백혈구가 뼈를 재건하는데 도움을 주면서 재건된 뼈가 세포별로 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홍화씨의 특징이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다는 시험결과가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나 있다.
조추출물(粗抽出物:생물재료에서 얻어진 추출조제물로 충분히 정제되지 않은것)이 골감소증 환자와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투여기간 골감소증 환자 골다공증 환자
골밀도(g/㎠) 골밀도증가율(%) 골밀도(g/㎠) 골밀도증가율(%)
0(투여전) 0.69 100 0.45 100
90 0.79 115 0.47 100
180 0.83 120 0.52 115
270 0.85 123 0.54 121
360 0.86 125 0.56 124
Aqueous fraction(수용성분획, 수용성물질의 분리정제)이 골감소증 환자와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투여기간 골감소증 환자 골다공증 환자
골밀도(g/㎠) 골밀도증가율(%) 골밀도(g/㎠) 골밀도증가율(%)
0(투여전) 0.69 100 0.45 100
90 0.81 118 0.52 115
180 0.86 125 0.54 121
270 0.88 128 0.55 122
360 0.90 131 0.56 124
[참조: 부산대학교 구강생물공학연구소 임상실험, 2002년 농림부 제출자료]
이와 같이 홍화씨는 인체에 유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식물임에 반해서 아직까지 이에 대한 많은 제품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홍화씨의 연구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공식품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죽염은 뛰어난 항균력으로 충치나 풍치 등의 구강질환에 좋을 뿐만 아니라 상처로 인하여 곪은 환부에 죽염을 뿌리면 염증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에서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하는 위액의 원료인 위염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요리시에 죽염을 첨가할 경우 식욕이 당기면서 음식 맛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어서 민간요법으로만 사용되던 죽염이 상업적으로 이용되면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홍화씨의 추출물에 죽염을 첨가하여 쉽게 접하기 어려운 죽염의 고기능성을 가진 추출가공식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물론, 홍화씨와 죽염의 효능을 이용하여 대용식 과자(한국 특허공개 제2002-0028590호)와 홍화씨 분말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스낵(한국 특허등록 제10-0391801호)등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행발명들은 특정제품에 국한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어서 그 이용의 범위가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홍화씨는 상술한 다양한 장점 및 효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작용도 있기 때문에 홍화씨와 함께 사용될 부재료의 적합한 선정에 어려움이 있어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에 어려움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즉, 홍화씨는 뼈를 단단하게 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어서 임산부는 그 복용을 피해야 하고, 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에게 설사나 복통을 유발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홍화씨를 이용한 추출 가공식품의 개발에 어려움으로 작용하였다.
- 한국 특허등록 제10-0391801호(등록일자:2003.07.03, 발명의 명칭: 홍화씨 분말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스낵 및 그 제조방법) - 한국 공개특허 특2002-0028590호(공개일자: 2002.04.17, 발명의 명칭: 죽염 및 홍화씨를 함유하는 대용식 및 과자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홍화씨 성분이 함유된 가공식품의 제한된 이용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즐겨먹을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음식에 감미료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특정성분 및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홍화씨의 다양한 유용성분 및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부재료의 첨가를 통해 부작용없이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은 주재료로 홍화씨를 전체 중량의 15~20 중량%를 준비하고, 부재료로 9회 구운 죽염0.18~0.3중량%, 씨를 제거한 대추 2.2~2.5중량%, 생강 1.7~2.2중량%, 배 75~78중량%를 홍화씨와 혼합한 후에 물 75~78중량%에 넣고 달여 제조하는 추출액 제조단계; 수회 걸쳐 엿기름을 우려낸 물에 흰 밥을 2:1의 비율로 넣고 일정 온도 보온이 유지되는 보온밥솥에 일정시간 보온시킨 후에 걸러내서 제조되는 천연감미료 제조단계; 상기 추출액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에 천연감미료를 2:1의 비율로 섞어 일정한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 상태로 달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추출액 제조단계에서 이용되는 홍화씨는 흐르는 물이나 깨끗한 물에 씻어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체에 걸러 물을 빼고, 물을 뺀 홍화씨를 프라이팬과 같이 바닥이 평평한 조리기구를 이용해 센불에서 8~15분 정도 볶은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천연감미료 제조단계에서 엿기름이 추출된 물에 흰밥을 넣은 상태에서 70~75℃가 유지되는 보온밥솥에서 10~15시간 정도 보온시키고, 보온이 끝난 후에 엿기름추출물을 포를 이용하여 걸러내는 과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페이스트 상태로 달이는 단계는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을 50℃에 도달하도록 끓인 후에, 엿기름을 추출하여 제조된 천연감미료를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량 의 50%의 비율로 넣고 센 불->중간 불-> 약불 형태로 온도를 조절하면서 천연감미료의 수분이 증발되어 홍화씨와 죽염의 추출액이 끈적끈적한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 상태가 될때까지 끓여 제조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제조공정을 통해 페이스트 상태로 이루어진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으로 제조된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은 현대인이 즐겨 마시는 커피와 음료 대신에 간단하게 물에 타서 차로 마실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한 섭취로 홍화씨 및 죽염의 고기능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종래에 감미료로 사용되는 꿀이나 조청 등을 대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상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 뿐만 아니라 식자재로서의 이용도 가능하도록 하여 남녀노소 모두에게 홍화씨의 유용성 및 죽염의 고기능성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현대인의 건강한 챙길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추출가공식품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1단계 제조공정에 대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2단계 제조공정에 대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3단계 제조공정에 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은 1단계로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을 만드는 공정과, 2단계로 흰 쌀밥과 엿기름을 이용한 천연감미료를 만드는 공정, 3단계로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에 천연감미료를 첨가한 후 일정시간 달여서 최종 추출가공식품을 만드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홍화씨를 주재료로 하되, 주재료로 사용되는 홍화씨의 부작용을 보완하기 위해 부재료로 죽염과 대추, 생강, 배를 첨가하여 남녀노소 모두의 입맛에 맞도록 하여 섭취시 거부감이 없고 특별한 부작용이 없으며, 다양한 음식의 조리시에 감미료로 첨가 가능하도록 페이스트상의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액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1단계는 주재료인 홍화씨와 부재료인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 가공공정이다.
먼저, 1단계에 이용되는 홍화씨는 한번 볶은 씨앗을 우려서 사용것이 바람직하다.
볶아진 홍화씨를 물에 넣고 달일 때, 부재료로 사용되는 죽염과 대추, 생강, 배는 홍화씨의 양에 따라 적정량 투입하여 함께 달이고, 주재료인 홍화씨와 부재료가 포함된 물을 일정시간 끓여 달인 후에 이를 식혀서 포에 걸러 추출액을 제조한다.
또한, 2단계의 천염감미료 제조공정은 흰밥과 엿기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미지근한 물에 엿기름을 수차례 걸쳐 우려내어 엿기름이 충분히 추출된 물에 식은 흰밥을 넣고, 이것을 보온밥솥에 넣고 일정 온도 및 시간동안 보온시킨 후에 보온이 끝난 후 포를 이용하여 걸러 담는 공정으로 천연감미료가 제조된다.
그리고, 3단계는 1단계에서 만들어진 홍화씨와 죽염의 추출액을 일정 온도로 끓인 후에 2단계에서 만들어진 천연감미료를 추가한 후 다시 함께 끓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점성보다 다소 묽을때 불을 끄고 식혀서 페이스트상 가공식품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 공정으로 제조된 페이스트상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을 제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추출가공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1단계: 추출액 제조
본 발명의 1단계는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먼저, 성숙된 홍화씨를 흐르는 물이나 깨끗한 물에 씻어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체에 걸러 홍화씨의 물을 뺀다(도 1(a)).
이때 준비되는 홍화씨는 전체 중량의 15~20 중량%를 준비하고, 물을 뺀 홍화씨를 프라이팬과 같이 바닥이 평평한 조리기구를 이용해 센불에서 8~15분 정도 골고루 저어주면서 볶게되면(도1 (b)), 홍화씨는 흰색계통에서 연갈색계통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부재료로 사용되는 죽염과 대추, 생강, 배를 준비한 후에 75~78중량%의 물에 볶은 홍화씨를 넣고, 죽염 0.18~0.3중량%, 대추 2.2~2.5중량%, 생강 1.7~2.2중량%, 배 75~78중량%를 첨가한 후에 약 1시간~2시간 정도 끓여 식힌 후에 포에 걸러 찌꺼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제조한다(도 1 (c),(d)).
이때 사용되는 죽염은 9회 구운 고기능성 죽염을 이용하여 그 양을 최소화하면서 죽염의 유용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며, 대추는 씨앗의 독성을 없애기 위해 씨를 제거하고, 생강은 껍질을 제거한 상태로 사용한다.
2단계: 천연감미료 제조
식은 흰밥과 엿기름을 2:1의 비율(밥 한공기에 엿기름 4~6숟가락)로 준비한 후에, 엿기름을 면포에 감싼 후에 미지근한 물에서 3~5회정도 우려내어 엿기름을 추출한다(도 2 (a),(b)).
엿기름이 우려난 물에 식은 흰밥을 넣은 상태에서(도 2(c)) 엿기름이 우려난 물을 보온밥솥에 넣어 10~15시간, 70~75℃ 유지되도록 한 상태로 보온시키게 된다(도 2 (d)).
정해진 보온시간이 지난 후에 보온밥솥을 열게 되면 엿기름추출물에서 밥알이 떠오르게 되고, 보온이 끝난 엿기름추출물을 포를 이용하여 걸러 담아 천연감미료를 제조한다(도 2(e),(f)).
3단계: 추출가공식품 제조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을 50℃에 도달하도록 끓인 후에,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천연감미료를 넣고 함께 끓이되, 천연감미료와 홍화씨추출액의 중량비는 1:2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불의 세기는 센불->중간불->약불 형태로 온도를 조절하면서 수분이 증발되어 끈적끈적한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 상태가 될때까지 끓인다(도 3(a),(b)).
도 3의 (b)에 보이는 것과 같이, 페이스트 상태로 형성되어 끈적끈적한 점성 상태를 육안 및 촉각을 통해 확인하여 필요한 정도의 점성이 유지될 경우 불을 끄고 식힌다.
불을 끄고 식힐 때, 온도에 반비례하는 점성의 특성상 식은 후에 그 점성이 높아지는 점을 감안해서 최종 목표로 하는 점성보다 다소 묽을 때 불을 끄고 식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공정 및 이 공정으로 제조된 가공식품이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단계~3단계의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대하여 9대 영양성분을 분석해본 결과 아래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주요 성분분석표
검사항목 결 과
열량(kcal/100g) 288
수분(g/100g) 26.37
회분(g/100g) 2.12
조단백질(g/100g) 2.56
탄수화물(g/100g) 68.54
당류(g/100g) 41.4284
조지방(g/100g) 0.41
포화지방(g/100g) 0.0750
트랜스지방(g/100g) 0.0006
콜레스테롤(mg/100g) 불검출
나트륨(mg/100g) 287.0515
[표 3]과 같은 성분분석결과를 토대로 하루 세끼 식사를 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페이스트상 그 상태로 직접 섭취할 경우, 성인기준 1일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1회 제공량 비율을 정하기 위해 시험 분석한 결과 아래 [표 4]와 같이 1회 권장량을 25g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1회 제공량만큼 먹었을 때 하루에 필요한 필수영양소의 몇%를 섭취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회 제공량을 25g으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영양성분을 분석해본 결과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영양성분표/1회 제공량(25g)
항 목 함 량 %영양소기준치
열량 72kcal 3%
탄수화물 17g 5%
당류 10g
단백질 1g 2%
지방 0.1g 0%
포화지방 0g 0%
트랜스지방 0g 0%
콜레스테롤 0mg 0%
나트륨 72mg 4%
즉,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은 페이스트 형상으로 빵에 잼처럼 발라서 먹거나, 물에 타서 차(茶)처럼 마시거나 또는 음식을 요리할 때 감미료 형태로 요리에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에 따라 필수영양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현대인의 불균형한 영향결핍 현상을 보충하거나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주재료로 홍화씨를 전체 중량의 15~20 중량%를 준비하고, 부재료로 9회 구운 죽염0.18~0.3중량%, 씨를 제거한 대추 2.2~2.5중량%, 생강 1.7~2.2중량%, 배 75~78중량%를 홍화씨와 혼합한 후에 물 75~78중량%에 넣고 달여 제조하는 추출액 제조단계;
    수회 걸쳐 엿기름을 우려낸 물에 흰 밥을 2:1의 비율로 넣고 일정 온도 보온이 유지되는 보온밥솥에 일정시간 보온시킨 후에 걸러내서 제조되는 천연감미료 제조단계;
    상기 추출액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에 천연감미료를 2:1의 비율로 섞어 일정한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 상태로 달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제조단계에서 이용되는 홍화씨는 흐르는 물이나 깨끗한 물에 씻어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체에 걸러 물을 빼고,
    물을 뺀 홍화씨를 프라이팬과 같이 바닥이 평평한 조리기구를 이용해 센불에서 8~15분 정도 볶아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감미료 제조단계에서 엿기름이 추출된 물에 흰밥을 넣은 상태에서 70~75℃가 유지되는 보온밥솥에서 10~15시간 정도 보온시키고,
    보온이 끝난 후에 엿기름추출물을 포를 이용하여 걸러내는 과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상태로 달이는 단계는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을 50℃에 도달하도록 끓인 후에,
    엿기름을 추출하여 제조된 천연감미료를 홍화씨와 죽염을 이용한 추출액량 의 50%의 비율로 넣고 센불->중간불->약불 형태로 온도를 조절하면서 천연감미료의 수분이 증발되어 홍화씨와 죽염의 추출액이 끈적끈적한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 상태가 될때까지 끓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페이스트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KR1020150015513A 2015-01-30 2015-01-30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KR101699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513A KR101699005B1 (ko) 2015-01-30 2015-01-30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513A KR101699005B1 (ko) 2015-01-30 2015-01-30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573A true KR20160094573A (ko) 2016-08-10
KR101699005B1 KR101699005B1 (ko) 2017-01-24

Family

ID=5671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513A KR101699005B1 (ko) 2015-01-30 2015-01-30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0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55A (ko) * 1995-04-06 1996-11-19 손종업 음식물
KR20020028590A (ko) 2000-10-11 2002-04-17 김윤세 죽염 및 홍화씨를 함유하는 대용식 및 과자 및 그의제조방법
KR100391801B1 (ko) 2000-10-12 2003-07-16 김도완 홍화씨 분말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100420153B1 (ko) * 2000-10-17 2004-03-02 노영인 무, 마늘, 고추, 생강, 엿기름, 홍화씨, 은행, 천일 약소금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100865128B1 (ko) * 2008-07-28 2008-10-24 무주덕유산반딧골영농조합법인 고농축액 천마고 제조방법
KR101331427B1 (ko) * 2013-04-16 2013-11-20 다산생명과학원 주식회사 발아 홍화씨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55A (ko) * 1995-04-06 1996-11-19 손종업 음식물
KR20020028590A (ko) 2000-10-11 2002-04-17 김윤세 죽염 및 홍화씨를 함유하는 대용식 및 과자 및 그의제조방법
KR100391801B1 (ko) 2000-10-12 2003-07-16 김도완 홍화씨 분말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100420153B1 (ko) * 2000-10-17 2004-03-02 노영인 무, 마늘, 고추, 생강, 엿기름, 홍화씨, 은행, 천일 약소금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100865128B1 (ko) * 2008-07-28 2008-10-24 무주덕유산반딧골영농조합법인 고농축액 천마고 제조방법
KR101331427B1 (ko) * 2013-04-16 2013-11-20 다산생명과학원 주식회사 발아 홍화씨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005B1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7495282B (zh) 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KR101619476B1 (ko) 기능성 누룽지 튀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누룽지 튀김
CN101632446A (zh) 一种天然五色杂粮蛋奶果蔬茶馒头及制作方法
CN105296584A (zh) 一种海洋生物养生保健肽制剂的制备方法
KR102078461B1 (ko) 식품 첨가물
KR101184666B1 (ko) 양성 체질의 생리 활성 증진용 조성물
KR20140074422A (ko) 숫누에번데기를 주원료로 한 환(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CN104663924A (zh) 花椒多味保健调味油加工方法
CN101632447A (zh) 一种五色养脏瓜菜杂粮蛋茶饼及制作方法
KR20170062755A (ko) 한약재를 이용한 장어탕의 제조방법
KR102092787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20130027108A (ko) 양(소의 혹위, 제1위)과 찹쌀을 주원료로 하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KR20160079685A (ko)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4576A (ko) 홍화씨와 죽염이 함유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CN105795279A (zh) 一种人体营养食补的食品饮料配方
KR101699005B1 (ko) 홍화씨와 죽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KR101606913B1 (ko) 강황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07872B1 (ko)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
CN106035749A (zh) 一种保健果味棉籽调和油
CN106974285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应用
Jamini et al.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Signific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