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969A - 안전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969A
KR20160093969A KR1020150014926A KR20150014926A KR20160093969A KR 20160093969 A KR20160093969 A KR 20160093969A KR 1020150014926 A KR1020150014926 A KR 1020150014926A KR 20150014926 A KR20150014926 A KR 20150014926A KR 20160093969 A KR20160093969 A KR 2016009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unit
checker arm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원
임형근
이정주
권희준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969A/ko
Publication of KR2016009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도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차량의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체커암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시 상기 체커암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체커암을 구속하는 전자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도어 시스템{Safety door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는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도어는 사용자의 승하차 시 밀어서 개방하거나 닫음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차체를 중심으로 차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사람이나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도어가 오픈됨으로써 사람이나 물체 등에 도어가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나가는 행인이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과 도어가 충돌하는 경우 도어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행인이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운전자가 다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전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차량의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체커암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시 상기 체커암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체커암을 구속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안전도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물건이 감지되면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체커암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석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의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석부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에서 도어를 오픈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도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도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도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도어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안전도어 시스템(100)은 도어(110), 센서부(120), 체커암(130), 슬랑이딩부(140), 전자석부(150), 알람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는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어(110)는 차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20)는 외부의 물체 등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120)는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센서부(120)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에서 접근하는 물체 등을 감지하는 제1 센서(121), 차량의 후면에 설치되어 후면에서 접근하는 물체 등을 감지하는 제2 센서(122),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어 측면에서 접근하는 물체 등을 감지하는 제3 센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센서(121) 내지 제3 센서(123)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체가 근접하는 경우 제1 센서(121) 내지 제3 센서(123)의 신호의 세기는 커질 수 있으며, 반대로 물체가 멀어지는 경우 제1 센서(121) 내지 제3 센서(123)의 신호의 세기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121) 내지 제3 센서(123)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체커암(130)은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체커암(130)은 힌지 형태로 차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체커암(130)은 상면과 하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도어(110)가 빠르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커암(130)은 도어(110)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체커암(130)에는 스토퍼(180)가 설치되어 슬랑이딩부(14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슬랑이딩부(140)는 체커암(13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슬랑이딩부(140)는 도어(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슬랑이딩부(140)는 내부에 블록 등이 설치되어 도어(110)의 개방 시나 도어(110)가 닫힐 때 체커암(13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슬랑이딩부(140)는 일반적인 도어체커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석부(150)는 도어(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150)는 전기가 인가되는 경우 체커암(130)을 구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석부(150)는 체커암(130)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150)는 도어(110)에 유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기가 인가되는 경우 체커암(130) 측으로 이동하여 체커암(130)과 붙을 수 있다.
전자석부(150)는 체커암(130)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15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자석부(150)는 체커암(13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자석부(150)는 슬랑이딩부(140)와 스토퍼(180) 사이의 체커암(130) 부분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체커암(130)이 스토퍼(180)를 지나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자석부(150)는 연장된 체커암(130) 부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석부(150)는 차량의 베터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베터리에서 전자석부(150)로 공급되는 전기는 제어부(170)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알람부(160)는 센서부(120)의 신호에 근거하여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알람부(160)는 소리, 빛 등을 통하여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160)는 차량의 경적, 차량의 실내등, 차량의 헤드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차량의 일반적인 제어부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전도어 시스템(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도어(110)를 개방하거나 닫는 경우 도어(110)가 차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도어(110)의 회전에 따라 슬랑이딩부(140)는 체커암(13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랑이딩부(140)가 체커암(130)을 슬라이딩하는 동안 센서부(120)는 외부의 물체 등이 접근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된 신호는 센서부(120)에서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석부(150)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베터리에서 공급된 전류에 의하여 전자석부(150)는 체커암(130)과 붙음으로써 체커암(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전자석부(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7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자석부(15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물체가 센서부(120)에 근접하는 경우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는 점점 커질 수 있다. 반면, 물체가 센서부(12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는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전자석부(15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점 키울 수 있으며, 반대로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우 전자석부(15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점 작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7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신호의 크기가 점점 커져 기 설정된 크기 이상에 도달하는 경우 전자석부(15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7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물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며, 물체까지의 거리가 일정 거리이내이면 전자석부(15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70)가 전자석부(150)를 제어하는 경우 체커암(130)은 움직이지 않으며, 도어(110)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외부에서 물체가 다가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제어부(170)는 전자석부(150)의 작동과 함께 알람부(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시각 및 청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외부에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도어 시스템(100)은 차량으로 물체가 접근하는 경우 도어(1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110)가 물체에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도어(110)에 의하여 행인 등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물체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안전도어 시스템
110: 도어
120: 센서부
130: 체커암
140: 슬랑이딩부
150: 전자석부
160: 알람부
170: 제어부
180: 스토퍼

Claims (5)

  1.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차량의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체커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시 상기 체커암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체커암을 구속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안전도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물건이 감지되면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체커암을 구속하는 안전도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도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석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도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의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석부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안전도어 시스템.
KR1020150014926A 2015-01-30 2015-01-30 안전도어 시스템 KR20160093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26A KR20160093969A (ko) 2015-01-30 2015-01-30 안전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26A KR20160093969A (ko) 2015-01-30 2015-01-30 안전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69A true KR20160093969A (ko) 2016-08-09

Family

ID=5671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926A KR20160093969A (ko) 2015-01-30 2015-01-30 안전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39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67A (ko) * 2018-07-23 2020-01-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충돌 방지용 차량 도어의 열림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67A (ko) * 2018-07-23 2020-01-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충돌 방지용 차량 도어의 열림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403B2 (ja) 非接触物検出システム及び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US200900001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motor vehicle door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obstacles
US10876345B2 (en) Intelligent vehicle access point opening system
KR20150041799A (ko) 차량 폐쇄 요소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N107031567B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接近激活式关闭装置进入系统
KR20190022852A (ko) 자동차 사이드 도어용 안티-핀치 보호 디바이스
KR101924806B1 (ko)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CN107130874B (zh) 用于操作车门的系统和方法
KR102182900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334597A (zh) 基于磁流变阻尼器的汽车开门防撞装置及方法
ATE531888T1 (de) KRAFTFAHRZEUG MIT EINEM AUTOMATISCH IN EINE OFFEN-UND EINE SCHLIEßSTELLUNG VERSTELLBAREN FAHRZEUGTEIL
KR20180012662A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 장치
KR102041574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KR20160093969A (ko) 안전도어 시스템
EP2666945A1 (en) A door stop system
KR20180020402A (ko)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JP5397675B2 (ja) ドア開閉装置
KR20190136166A (ko) 탑승자 신체 돌출 감지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20050290A (ko) 차량용 도어 손상 방지장치 및 그 방지방법
JP7040931B2 (ja) 乗員保護装置
KR102111785B1 (ko) 충돌 방지용 차량 도어의 열림 조절장치
KR100956199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00073297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휠 간섭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3073A (ko) 자동차 도어락 제어장치 및 방법
JP6465298B2 (ja) 車両の自動開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