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022A -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및 이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식 제품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및 이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식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022A
KR20160093022A KR1020167015943A KR20167015943A KR20160093022A KR 20160093022 A KR20160093022 A KR 20160093022A KR 1020167015943 A KR1020167015943 A KR 1020167015943A KR 20167015943 A KR20167015943 A KR 20167015943A KR 20160093022 A KR20160093022 A KR 2016009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iner
annular
portions
tubu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615B1 (ko
Inventor
마사아키 세키
마사토 스즈키
료이치 오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50442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27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93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275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Publication of KR2016009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Abstract

외측 통형상부(2a), 중앙 상 통형상부(2b), 고리 천정부(2c) 및 중앙 하 통형상부(2d)로 이루어지는 확대 하우징(2)은, 플라스틱제의 일체 성형물이다. 외측 통형상부(2a)와 중앙 상 통형상부(2b)의 사이에는 강도업용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가 마찬가지로 일체 성형된다. 내용물의 상방향으로의 내측 통로역(B)이 중앙 상 통형상부(2b)에 설정되어 있다. 확대 하우징(2)의 하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 하우징 커버(28)는, 확대 하우징(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내측 통로역(B)까지 계속되는 외측 통로역(A)을 형성한다. 또, 절구형상 편부(28k)가,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근처끼리 사이에 설정되는 개개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에 들어가 외측 통로역(A)의 입구부분으로서 작용하므로, 세로판 리브 형상부 사이의 잔류공기가 확실히 배출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및 이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식 제품{AEROSOL HOUSING MECHANISM AND AEROSOL PRODUCT PROVIDED WITH SAID AEROSOL HOUSING MECHANISM}
본 발명은, 방출대상 내용물 및 분사용 가스를 수용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상단 개구측에 배치되고, 내용물의 시일작용이나 분사작용 등을 나타내는 스템(stem) 및 스템 개스킷(stem gasket)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전체가 일체 성형된 플라스틱제의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전의, 에어로졸 용기 본체의 개구측에 부착되는 마운팅 컵(mounting cup)과, 이것에 유지되어 스템 하측 부분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합계 2개 파트를 플라스틱제의 일체 성형품으로 한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 마운팅 컵 및 하우징 전체를 일체 성형한 것을, 필요에 따라서 「확대 하우징」이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은, 이 확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확대 하우징 성형용 합성수지 사용량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에어로졸 용기(외용기+내용기, 외용기+내측 봉투형상 용기) 각각의 개구측을 「상」, 상기 개구측과는 길이방향 반대의 바닥면측을 「하」로 한다. 이 상하 세로방향과 직교하는 측을 「가로」라고 기재한다.
상술한 확대 하우징을 이용한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는 이미 제안되었다(후술의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이 제안된 확대 하우징은, 마운팅 컵과 하우징을 개개로 작성하여 쌍방을 일체화한다고 하는 작업공정의 수고를 덜고, 또, 이 일체화 시에 하우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구비한 것이다.
그 한편으로, 확대 하우징의 성형에 필요한 합성수지량을 극력 줄이면서,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로서의 강도를 유지한다고 한 점에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또, 본건 출원인은,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공간역에 생기는 상기 공기가, 원액 주입 후의 밸브 유닛 장전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목 부분(neck portion)의 변형작용에 의해 배출되는, 봉투형상 용기구조를 제안하였다(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이 상단측 목 부분이 변형 가능한 내측 봉투형상 용기는 그 상단측 공간역에 생기는 상기 공기를 외부 공간역으로 배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구비한 것이다.
그 한편으로,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목 부분의 형상을 변형 가능한 특정 형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한 점에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62-34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69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36747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개선의 여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11) 확대 하우징을 구성하는 외측 통형상부와 중앙 통형상부의 사이에, 강도업(up)용 리브 형상부를 일체 성형하고,
(12) 리브 형상부를, 외측 통형상부 및 중앙 통형상부 각각의 직경방향으로 형성하며,
(13) 중앙 통형상부의, 내용물 통과용 세로홈 형상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내주면 부분의 외주면 측에 세로 오목형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통형상부 자체의 두께를 작게 하고,
(14) 리브 형상부를, 외측 통형상부의 내주면과, 중앙 통형상부 내주면의 세로홈 형상부의 안쪽 외주면 부분(=세로 오목형상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세로 오목형상부보다 외측 통형상부 내주면에 가까운 부분)의 사이에, 즉 외측 통형상부 내주면과 중앙 통형상부 외주면의 사이에서 보다 짧은 부분을 선택하여 형성하며,
(15) 외측 통형상부와 중앙 통형상부의 사이의 고리 천정부에, 스템 개스킷의 상면에 배치된 플라스틱제로 이중 시일용 중간 커버체를 유지하고,
(16) 외측 통형상부의 외주면을, 외용기 및 내용기·내측 봉투형상 용기 각각의 상단 사이드의 고리형상부와, 확대 하우징의 고리 천정부 등에 대한 커버 캡(cover cap)의 외측 고리형상 수하부(outer annular skirt portion)의 3층 부재에 의해 보호하며,
(17)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하우징 중앙 통형상부의 둘레 부분에, 내용물 유입용 슬릿형상부를 부가적으로 마련하는, 즉 통상의 중앙 통형상부 바닥부분에 형성된 세로방향 구멍부와는 따로 마련하고,
(18)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 형상을 특별히 바꾸지 않고, 하우징 커버체의 설정에 의해, 하우징 외주면 측에, 그 상단측으로부터 하우징 내부에의 내용물 방출 우회 루트를 마련하여, 초기 방출 조작시에 상기 상단측의 잔류공기를 배출한다고 하는 각 구성형태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우선, 확대 하우징의 변형이나 균열을 저지하면서, 확대 하우징 성형용 합성수지 사용량의 감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스템 개스킷 상면 부분에 마련되는 고리형상의 플라스틱제 커버를 마련함으로써 스템 개스킷으로부터 내용물이 침투, 투과하여, 금속 커버에 접촉하는 것에 대한 만전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하우징 중앙 통형상부의 둘레 부분에 내외 연통용 슬릿형상부를 마련함으로써, 내측 봉투형상 용기가 그 내용물 감소에 따라 중앙 통형상부 하측에 접촉한 경우에도 그 위쪽 공간역에 있어서의 잔류 내용물의 하우징 유입 동작의 확실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확대 하우징의 내외 통형상부 사이의 플랜지형상 부분(고리 천정부)의 하면 직경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보강용 세로판 리브 형상부의 사이에, 외측 통로역의 입구부분(유입부)을 설정하고, 이 세로판 리브 형상부 사이의 잔류공기 배출의 확실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하우징 커버를 이용한, 확대 하우징의 외측 통로역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내용물 방출 우회 루트의 설정에 의해,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방출기구에 있어서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 상단측의 내부공간역의 잔류공기 배출에 대한 기술의 풍부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내용물 유입용 딥 튜브(dip tube)가 부착 가능한 범용 형상의 확대 하우징을 이용한 상기 잔류공기의 배출처리에 의해,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방출기구에 있어서의 확대 하우징의 유효 이용화나 제품 비용의 삭감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플라스틱제의(중앙 통형상부에 배치되는 스템 부세용의) 코일 스프링, 내용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 및 이중 시일용 중간 커버체를 이용함으로써, 방출 대상 내용물이 접하는 범위 전체의 금속을 없애는 것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하여 해결한다.
(1) 방출 대상 내용물 및 분사용 가스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예를 들면 후술의 에어로졸 용기(1))의 개구측(예를 들면 후술의 상단 고리형상부(1b))에 부착되는 외측 통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외측 통형상부(2a, 10a))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용물 방출 조작에 연동하는 스템(예를 들면 후술의 스템(3))의 적어도 하측 부분을 수용하는 중앙 통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중앙 상(上)통형상부(2b, 10b), 중앙 하(下)통형상부(2d, 10d))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 및 상기 중앙 통형상부 각각의 상단부분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고리 천정부(예를 들면 후술의 고리 천정부(2c, 10c))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와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사이에 구조 강도를 높이기 위해 형성된 리브 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통형상부, 상기 중앙 통형상부, 상기 고리 천정부 및 상기 리브 형상부의 전체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구성형태의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이용한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리브 형상부는,
상기 중앙 통형상부로부터 상기 외측 통형상부에 걸쳐 방사형상으로 복수 형성된,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3) 상기 (1)∼(2)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형상부는,
그 내주면의 일부에 내용물 통과용 세로홈 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세로홈 형상부(2f, 10f))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일부로서 상기 세로홈 형상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내주면 부분의 안쪽에, 세로 오목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세로 오목형상부(2g, 10g))가 형성된,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리브 형상부는,
상기 외측 통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외주면의 일부로서 상기 세로홈 형상부의 안쪽에 상당하는 외주면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된,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5)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고리 천정부는,
그 내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템과의 사이의 밸브작용을 나타내는 스템 개스킷(예를 들면 후술의 스템 개스킷(5))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분을 유지하는 고리형상의 하(下) 단차부(예를 들면 후술의 하(下) 내측 단차부(2k, 10k))와,
상기 하 단차부의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스템 개스킷의 상면 부분에 마련되는 내용물 누출 방지용으로 고리형상의 플라스틱제 커버체(예를 들면 후술의 중간 커버체(7))의 바깥둘레 테두리 부분을 유지하는, 고리형상의 상(上) 단차부(예를 들면 후술의 상(上) 외측 단차부 2m, 10m)
를 구비한,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6) 상기 (1)∼(5)에 있어서,
상기 외측 통형상부는,
그 외주면이,
상기 고리 천정부를 덮는 고리형상의 금속제 커버체(예를 들면 후술의 커버 캡(8))의 외단측의 통형상 수하부(예를 들면 후술의 고리형상 수하부(8b))와,
외용기(예를 들면 후술의 외용기(1a))의 일부로서, 상기 통형상 수하부의 내측에 배치된 상단 중간 고리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상단 고리형상부(1b))와,
상기 외용기의 내부공간역에 마련된 내용기(예를 들면 후술의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일부로서, 상기 상단 중간 고리형상부의 내측에 배치된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1e, 1h))
의 3층 상태로 보호된,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7) 상기 (1)∼(6)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형상부는,
내용물 유입용 튜브가 부착될 수 있는 하측 통형상부(예를 들면 후술의 중앙 하 통형상부(2d, 10d))를 구비한,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8) 상기 (1)∼(7)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역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내부의 내측 통로역(예를 들면 후술의 내측 통로역(B))까지 계속되는 외측 통로역(예를 들면 후술의 외측 통로역(A))을 형성하는, 상(上) 개구의 하우징 커버(예를 들면 후술의 하우징 커버 (25∼29))를 구비하고,
외부 공간역으로 방출되는 상기 방출 대상 내용물은,
상기 외측 통로역을 상기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그 하류측의 상기 내측 통로역을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9) 상기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예를 들면 후술의 하우징 커버(27, 28, 29):도 8∼도 12)는,
상기 리브 형상부의 근처끼리 사이에 설정되는 개개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으로 들어가
상기 외측 통로역의 입구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상단측 편부(예를 들면 후술의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27g), 절구형상(cone shaped) 편부(28k, 29k))를 구비한,
구성형태의 것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대상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및 이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하여 후술의 각종 방출 대상 내용물, 분사용 가스를 수용한 에어로졸식 제품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21) 확대 하우징의 변형이나 균열을 저지하면서, 확대 하우징 성형용 합성수지 사용량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22) 스템 개스킷 상면 부분에 마련되는 고리형상의 플라스틱제 커버를 마련함으로써 스템 개스킷으로부터 내용물이 침투, 투과하여, 금속 커버에 접촉하는 것에 대한 만전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23) 방출 대상 내용물이 접하는 범위 전체의 금속 제거를 도모할 수 있고,
(24) 내측 봉투형상 용기가 그 내용물 감소에 따라 중앙 통형상부 하측에 접촉한 경우에도 그 위쪽 공간역에 있어서의 잔류 내용물의 하우징 유입 동작의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25) 확대 하우징의 플랜지형상 부분(고리 천정부)의 보강용 세로판 리브 형상부 사이에 있어서의 잔류공기 배출의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고,
(26) 상기 잔류공기를 배출하는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방출기구에 있어서의 확대 하우징의 유효 이용화나 제품 비용의 삭감화 등을 도모할 수 있으며,
(27)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방출기구에 있어서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 상단측의 내부공간역의 잔류공기 배출에 대한 기술의 풍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확대 하우징(2)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기구를 부착한 에어로졸식 제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확대 하우징(2)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기구를 부착한 내외 이중 에어로졸식 제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확대 하우징(2)을 위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 상태(perspective view state)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확대 하우징(2)을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확대 하우징(2)의 중앙 상 통형상부 둘레 부분에 내용물 유입용으로 세로방향의 슬릿형상부(10p)를 형성한 확대 하우징(10)에, 이 슬릿형상부의 유입구 면적 설정용의 유량조정부재(11)를 중앙 통형상부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범용의 딥 튜브가 부착 가능한 확대 하우징(2)의 외면 하측 부분에, 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25e)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커버(25)를 장착한 형태의 하우징 기구를 부착한 내외 이중 에어로졸식 제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형상의 확대 하우징(2)의 외면 하측 부분에, 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26f)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커버(26)를 장착한 형태의 하우징 기구를 부착한 내외 이중 에어로졸식 제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과 동일형상의 확대 하우징(2)의 외면 하측 부분에, 단차를 가진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27g)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커버(27)를 장착한 형태의 하우징 기구를 부착한 내외 이중 에어로졸식 제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우징 커버(27)의 사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6과 동일형상의 확대 하우징(2)의 외면 하측 부분에, 절구형상 편부(28k)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커버(28)를 장착한 형태의 하우징 기구를 부착한 내외 이중 에어로졸식 제품이다.
도 11은, 도 10의 하우징 커버(28)의 사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 도 11의 하우징 커버(28)의 변형예(variation)인 하우징 커버(29)의 사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는, 하우징 커버가 없는 기구(도 1∼도 5)와, 하우징 커버가 있는 기구(도 6∼도 12)로 대별된다.
한편, 이하의 알파벳 부착 참조번호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외용기(1a))는 원칙으로서, 상기 참조번호의 숫자부분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에어로졸 용기(1))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12의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에 있어서,
1은 방출 대상 내용물이나 분사용 가스가 수용(충전)되는, 주지의 에어로졸 용기,
1a는 상부 개구(upper opening)로 단단한 성상의 외용기,
1b는 외용기(1a)의 상단측으로서, 후술의 확대 하우징(2, 10) 등이 배치되는 상단 고리형상부,
1c는 상단 고리형상부(1b)의 하단 연속부분에 초기 형성되고, 상단 고리형상부(1b)에 후술의 커버 캡(8)을 세트한 상태로, 그 고리형상 수하부(8b)의 하단측을 안쪽을 향하여 주지의 크림프(crimping)가공에 의해 소성변형시켜 고정하기 위한, 외용기(1a)의 고리 오목형상부,
1d는 외용기(1a)의 내측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스스로 내부공간역에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 및 분사용 가스를 수용하는, 상부 개구이며 연성인 내용기(도 1 참조),
1e는 내용기(1d)의 상단측으로서, 외용기(1a)의 상단 고리형상부(1b)와 후술의 외측 통형상부(2a, 10a)의 사이에 배치 유지되는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
1f는 저절로 블로우 성형시에 형성되고, 외용기(1a)의 고리 오목형상부(1c)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용기(1d)의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
1g는 외용기(1a)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 외측의 용기 내면(1a)과의 사이에 분사용 가스를 수용하고, 또, 그 내부공간역에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을 수용하는 내용기로서의, 상부 개구로 연성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도 2, 도 5∼도 8, 도 10 참조),
1h는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으로서, 외용기(1a)의 상단 고리형상부(1b)와 후술의 외측 통형상부(2a, 10a)의 사이에 배치 유지되는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내주면),
1j는 외용기(1a)의 고리 오목형상부(1c)의 내측의 대향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블로우 성형시에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1h)의 하단 측에 형성된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내주면),
1k는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측 부분에 형성되고, 내용물 수용이 끝난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가 부착된 후술의 하우징 기구를 에어로졸 용기(1)에 고정하기 전의 자연 길이의 신장 상태(naturally expanded state)에서는, 상단 고리형상부(1b)의 상단과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1h)의 사이로부터 그것에 계속되는 내부공간역에 분사용 가스를 충전할 수 있고, 또, 분사용 가스를 충전한 직후의 커버 캡(8)을 눌러서 내림에 따라,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1j)가, 도 2, 도 5∼도 8,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캡의 크림프가공 위치의 대응부분까지 수축하는, 상하방향의 신축 기능을 구비한 벨로즈 형상부(bellows-shaped portion),
1m은 외용기(1a)의 내부공간역 측의 용기 내면,
1n은 외용기(1a)와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사이의 고리형상 둘레 부분 및 바닥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분사용 가스가 충전된 여압(pressure application) 공간역,
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2a, 10은 종전의 마운팅 컵의 기능도 아울러 구비하여 그 전체가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된 것이며, 외용기(1a)의 상단 고리형상부(1b)(개구 부분)에 배치되고, 중앙 통형상부분에는 후술의 스템(3), 코일 스프링(4) 및 스템 개스킷(5) 등의 주지의 밸브기구가 수용 유지되는 확대 하우징,
2a, 10a는 외주면에, 그 바깥쪽을 향하고,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1e, 1h)와, 외용기(1a)의 상단 고리형상부(1b)와, 후술의 커버 캡(8)의 고리형상 수하부(8b)가, 이른바 3층 상태로 배치되는 외측 통형상부,
2b, 10b는 외측 통형상부(2a, 10a)와 동일한 상하방향 중심축을 가지고, 후술의 스템(3)의 하측 부분 및 코일 스프링(4)을 수용 유지하는 대경(大徑)의 중앙 상 통형상부,
2c, 10c는 외측 통형상부(2a, 10a)와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사이의 이른바 천정판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고리 천정부,
2d, 10d는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 형성되고, 후술의 파이프(9)를 부착하기 위한 소경(小經)의 중앙 하 통형상부,
2e, 10e는 외측 통형상부(2a, 10a)의 상단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술의 하우징 개스킷(6)의 내주면을 유지하는 외측 고리 오목형상부,
2f, 10f는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드문드문 형성된 합계 6개의 내용물 통과용의 세로홈 형상부,
2g, 10g는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외주면으로서, 세로홈 형상부(2f, 10f)가 마련되지 않은 내주면 부분의 안쪽에 등간격으로 드문드문 형성된 합계 6개의 성형 수지량 저감용 세로 오목형상부,
2h, 10h는 외측 통형상부(2a, 10a)의 내주면과,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세로홈 형상부(2f, 10f)의 안쪽 부분(=세로 오목형상부(2g, 10g)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의 상기 외측 통형상부 및 상기 중앙 상 통형상부의 직경방향으로, 고리 천정부(2c, 10c)까지 계속되는 상하 평판 형태로 등간격의 드문드문 형성된 합계 6개의 강도업용 세로판 리브 형상부,
2j, 10j는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와 중앙 하 통형상부(2d, 10d)의 경계 부분에 형성된 내용물 통과용의 세로방향 구멍부,
2k, 10k는 고리 천정부(2c, 10c)의 최내측 부분에 형성되고 후술의 스템 개스킷(5)을 유지하는 고리형상의 하 내측 단차부,
2m, 10m은 하 내측 단차부(2k, 10k)의 바깥쪽 바로 윗부분에 형성되고, 후술의 중간 커버체(7)를 유지하는 고리형상의 상 외측 단차부,
2n, 10n은 고리 천정부(2c, 10c)의 외단측의, 외측 통형상부(2a, 10a)로부터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부분으로서, 후술의 하우징 개스킷(6)의 상단면을 유지하는 고리 플랜지부,
2p는 중앙 하 통형상부(2d)의 상단부분과 중앙 상 통형상부(2b)의 하단 부분의 사이에 연속 형성된 고리형상의 하향 단차부,
10p는 중앙 상 통형상부(10b)의 세로 오목형상부(10g)(및 세로홈 형상부(10f)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내주면 세로방향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상 통형상부의 내외간의 내용물 이동용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세로 슬릿형상부(도 5 참조),
11은 중앙 상 통형상부(10b)의 외주면의 세로 오목형상부(10g)에 아래로부터 끼워져 가는 세로방향 볼록형상부와, 그 양 근처에서, 세로홈 형상부(10f)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안쪽 외주면에 대응한 세로방향 오목형상부가, 내주면에 교대로 형성된 부재이며, 상기 세로 오목형상부 등에 부착된 상태로 세로 슬릿형상부(10p)의 하측 부분을 막음으로써, 상기 세로 슬릿형상부의 내용물 이동용의 개구 실면적을 조정하는 통형상의 유량조정부재(도 5 참조),
11a는 유량조정부재(11)의 내주면 하측 부분에 형성되고, 중앙 상 통형상부(10b)의 고리형상 하면과 걸어맞춤하는 고리형상 단차부(도 5 참조),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3은 조작버튼(도시생략)에 부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동하고, 후술의 스템 개스킷(5)과의 사이에서 밸브작용을 나타내는 주지의 스템,
3a는 스템 내부공간역으로서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이나 분사용 가스의 통과용의 내부 통로역,
3b는 작동 모드에 있어서 내부 통로역(3a)과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내측 공간역을 연통시키는 한 쌍의 스템 구멍부(밸브작용부),
3c는 스템 구멍부(3b)를 포함하는 형태의 스템 외주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후술의 스템 개스킷(5)과의 사이의 밸브작용을 나타내는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4는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바닥면 부분과 스템(3)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템을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주지의 코일 스프링,
5는 확대 하우징(2, 10)의 하 내측 단차부(2k, 10k) 및 스템(3)의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3c)에 유지되고, 스템 구멍부(3b)에의 밸브작용 및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내부공간역의 시일작용을 나타내는 고리형상의 스템 개스킷(밸브작용부),
6은 외용기(1a),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각각의 상단 고리형상부 및 확대 하우징(2, 10)의 외측 고리 오목형상부(2e, 10e), 고리 플랜지 형상부(2n, 10n)에 밀접하여 시일작용을 나타내는 고리형상의 하우징 개스킷,
7은 스템 개스킷(5)의 내단측을 제외하는 상면 부분을 덮는 형태로 확대 하우징(2, 10)의 상 외측 단차부(2m, 10m)에 유지되고, 상기 스템 개스킷과 확대 하우징(2, 10)(하 내측 단차부(2k, 10k))과의 사이에서의 시일 누락분에의, 이른바 이중 시일작용을 나타내는 고리형상의 중간 커버체,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확대 하우징(2)을 에어로졸 용기(1)에 부착할 때에 흩어지지 않도록 커버 캡(8) 내에 확대 하우징(2)을 삽입하고, 고리 플랜지 형상부(2n)의 하단에 걸어맞춤 하도록 커버 캡의 상부 외주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형시켜도 좋다.
또,
8은 스템 이동용의 중심 개구부를 가지는 천정면 및 그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중간 커버체(7)를 눌러 유지하며, 또, 하우징 개스킷(6) 등을 이른바 내부에 조립한 상태로, 크림프 가공에 의해, 외용기(1a) 및 내용기(1d)(또는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 고리형상부(1b),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1e, 1h) 각각의 하단측을 내측으로 변형시키고, 에어로졸 용기측과 확대 하우징(2, 10)을 조밀하게 일체화하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커버 캡,
8a는 상기 커버 캡의 상면 내단측에 설정되어 중간 커버체(7)를 눌러 유지하는 상측 고리 오목형상부,
8b는 상기 커버 캡의 천정면 외단 측에 형성된 고리형상 수하부,
8c는 상기 크림프 가공에 의해 고리형상 수하부(8b)의 하단 측에 형성된 외측고리 오목형상부,
9는 내용기(1d)를 이용하는 타입의 에어로졸식 제품에 있어서, 확대 하우징(2, 10)의 중앙 하 통형상부(2d, 10d)에 부착된 내용물 유입용 파이프(도 1 참조),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확대 하우징(2, 10), 스템(3), 중간 커버체(7), 파이프(9) 및 유량조정부재(11) 등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의 것이다.
또, 외용기(1a)는 알루미늄이나 주석, 코일 스프링(4)은 스테인리스, 및 커버 캡(8)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것이며, 스템 개스킷(5) 및 하우징 개스킷(6)은 플라스틱제, 고무제의 것이다.
한편,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4)을 대신하여, 플라스틱제의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플라스틱제의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금속 제거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도 12의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에 공통되는 기본적 특징은,
(31) 확대 하우징(2, 10)을 구성하는, 외측 통형상부(2a, 10a),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 고리 천정부(2c, 10c) 및 중앙 하 통형상부(2d, 10d)의 전체가, 플라스틱제의 일체 성형물인 것을 전제로 하고,
(32) 외측 통형상부(2a, 10a)와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사이에 강도업용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를 마찬가지로 일체 성형하고 있으며,
(33)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의 형성방향이, 외측 통형상부(2a, 10a) 및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 각각의 직경방향이고,
(34)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세로홈 형상부(2f, 10f)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 각각의 외주면 측에 세로 오목형상부(2g, 10g)를 형성하여, 그만큼, 상기 중앙 상 통형상부 자체의 두께를 작게 하며,
(35)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를, 외측 통형상부(2a, 10a)의 내주면과,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세로홈 형상부(2f, 10f)의 안쪽 외주면 부분(=세로 오목형상부(2g, 10g)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세로 오목형상부보다 외측 통형상부 내주면에 가까운 부분)의 사이에 형성하고,
(36) 고리 천정부(2c, 10c)의 중앙 상 통형상부 측에 형성한 상 외측 단차부(2m, 10m)에서, 스템 개스킷(5)의 상면에 배치된 플라스틱제로 이중 시일용 중간 커버체(7)를 유지하며,
(37) 외측 통형상부(2a, 10a)의 외주면을,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1e, 1h), 상단 고리형상부(1b) 및 고리형상 수하부(8b)의 3층 부재에 의해 보호한,
것이다.
도 1∼도 5의 하우징 커버가 없는 기구에 있어서, 도 5의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의 또 다른 특징은,
(38) 내측 봉투형상 용기(1g)를 구비한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 그 중앙 상 통형상부(10b)의 둘레 부분에 내외 연통용 세로 슬릿형상부(10p)를 마련하고, 또, 이 세로 슬릿형상부의 내외 연통용 실면적을 조정하기 위한 유량조정부재(11)를 배치한,
것 등이다.
상기 (31), (32), (33)과 같이, 외측 통형상부(2a, 10a)와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사이에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를 배치하는 형태로 확대 하우징 전체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종전의 이른바 마운팅 컵(mounting cup) 기능도 아울러 구비한 확대 하우징(2, 10)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의 강도업 작용에 의해, 확대 하우징(2, 10)의 그 외의 부분(외측 통형상부(2a, 10a),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 및 고리 천정부(2c, 10c) 등)의 두께를 조금이라도 작게 하고, 상기 확대 하우징의 일체 성형에 필요한 합계 수지량의 삭감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상기 (34)∼(35)와 같이,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의 세로홈 형상부(2f, 10f)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를 작게 하거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의 이른바 직경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확대 하우징의 일체 성형에 필요한 합계 수지량의 삭감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상기 (36)과 같이, 스템 개스킷(5)의 상면의, 플라스틱제의 중간 커버체(7)를 확대 하우징(2, 10)의 상 외측 단차부(2m, 10m)에서 유지하고, 또, 만일 코일 스프링(4)으로서 플라스틱제의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내용기(1d)나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에 수용된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 전체의 금속 제거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중간 커버체(7)를 생략한 경우, 확대 하우징(2, 10)의 하 내측 단차부(2k, 10k)와 스템 개스킷(5)의 접촉부분의 시일 누락이나, 내용물 자체의 침투성이나 분사용 가스의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스템 개스킷(5)을 침투·투과함으로써, 용기 내의 방출 대상 내용물이 금속제의 커버 캡(8)에 접촉하여, 그 열화, 변형이나 상기 내용물 자체의 변성 등이 생길 수 있다.
한편, 용기 내부의 방출 대상 내용물의 접촉부분은,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확대 하우징(2, 10), 스템(3), 코일 스프링(4), 스템 개스킷(5), 하우징 개스킷(6), 중간 커버체(7) 및 파이프(9)이다. 도 2, 도 5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1g)를 이용하는 타입에서는 파이프(9)가 생략된다.
또, 상기 (37)과 같이, 외측 통형상부(2a, 10a)의 측면(외주면)의 주위를,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1e, 1h), 상단 고리형상부(1b) 및 고리형상 수하부(8b)의 3층 형태로 덮고, 이것에 의해,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의 보강작용과 더불어 예를 들면 상기 고리형상 수하부에의 충격(커버 캡의 고리형상 수하부(8b)의 하단측을 크림프하고 하우징 기구를 에어로졸 용기에 고정할 때에 가해지는 수직 하방으로 눌려지는 힘이나 크림프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확대 하우징(2, 10)의 변형·파손 방지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상기 (38)과 같이, 내측 봉투형상 용기(1g)를 구비한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경우에, 그 중앙 상 통형상부(10b)에 내외 연통용 세로 슬릿형상부(10p)를 마련하고, 또, 이 세로 슬릿형상부의 내외 연통용 실면적을 조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여러번의 내용물 방출 조작으로 내용물의 양이 적게 된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가 줄어들고, 그 일부가 중앙 하 통형상부(10d)에 이른바 얽혀서, 세로방향 구멍부(10j)에의 내용물 유입작용이 저해되었을 때의,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위쪽 공간역의 잔류 내용물에 대한 하우징 내부(중앙 상 통형상부(10b)의 내부)에의 내용물 통로의 확보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세로 슬릿형상부(10p)의 내외 연통용 실면적 조정에 의해, 세로방향 구멍부(10j)에 내용물이 정상적으로 유입될 때의, 이 유입량과, 상기 세로 슬릿형상부로부터의 내용물 유입량과의 밸런스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는, 모두 이용자가 주지의 조작버튼(도시생략)에 대한 내용물 방출 조작을 하고 있지 않은, 즉 스템(3)이 코일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해 온 상태의, 정지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스템 개스킷(5)은 대략 수평상태로,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및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 각각의 내부공간역과, 스템(3)의 내부 통로역(3a) 및 스템 구멍부(3b)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즉, 스템 개스킷(5)은, 그 내주면 윗부분이 스템(3)의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3c) 위 바닥면 부분에 밀접하고, 그 하면 내측 부분이 상기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의 하측 단차부에 밀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용기측(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 등)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스템(3)의 내부 통로역(3a)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용자가, 조작버튼으로, 용기측의 내용물이 방출되는 작동 모드의 설정 조작을 행하면, 스템(3)이 코일 스프링(4)의 하방향으로의 미는 힘에 저항하면서 아래로 움직인다. 그것에 따라 스템 개스킷(5)의 내측 부분(스템(3)에 접촉하고 있는 측의 부분)이 이른바 「절하는」 것 같이 변형한다.
이 스템(3)의 아래로 움직임 및 스템 개스킷(5)의 변형에 의해, 지금까지의 상기 스템 개스킷의 하면 내측 부분과 내측 고리 오목형상부(3c)의 하측 단차부의 밀접상태가 해제된다.
이 밀접상태 해제에 의해, 확대 하우징(2, 10)의 중앙 상 통형상부(2b, 10b) 및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각각의 내부공간역과, 스템(3)의 내부 통로역(3a)이 연이어 통한다.
그 결과, 내용기(1d),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각각의 수용 내용물이, 분사용 가스의 작용에 의해, 「(파이프(9)-) 세로방향 구멍부(2j, 10j)-중앙 상 통형상부(2b, 10b)-스템 구멍부(3b)-내부 통로역(3a)」을 거쳐 주지의 출력 구멍부(도시생략)로부터 외부 공간역으로 방출된다.
한편, 도 1의 에어로졸식 제품의 제조의 순서 자체는, 개략,
(41) 외용기(1a)의 내부에 내용기(1d)를 그 초기 높이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조립하고, 그 개구 상단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용기에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을 넣고,
(42) 다음으로, 에어로졸 밸브(확대 하우징(2), 스템(3), 스프링(4), 스템 개스킷(5), 하우징 개스킷(6), 중간 커버체(7), 커버 캡(8), 파이프(9))를, 외용기(1a) 및 내용기(1d)의 상단 둘레 부분의 내외 양측에 위쪽으로부터 장착하여, 확대 하우징(2)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내주면이 걸어맞춰지고,
(43) 다음으로, 주지의 크림퍼(crimper)에 의해, 커버 캡(8)의 고리형상 수하부(8b)의 하단측을 내측으로 크림프 가공하여 외용기(1a)에 부착하고,
(44) 다음으로, 주지의 가스 충전장치에 의해, 스템(3)으로부터 분사용 가스를 충전하여 제조된다.
이용자가 조작버튼에 대한 작동 모드 설정조작을 해제하면, 그때까지 아래로 움직이는 위치에 있던 스템(3)이 코일 스프링(4)의 탄성 미는 힘에 의해 위로 움직이고, 에어로졸식 제품은 도 1, 도 2 및 도 5의 정지 모드 상태로 복귀한다.
도 6 내지 도 12는 하우징 커버가 있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새롭게 이용하는 참조번호는 이하의 A, B 및 25∼29이다. 그 외의 참조번호는 도 1∼도 5와 같은 번호를 적당히 이용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12에 있어서,
A는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내부공간역 상단측 부분으로부터 후술의 중앙 하 통형상부(2d)의 유입 개구부분까지의, 「후술의 세로 오목형상부(2g)-후술의 하향 단차부(2p)와 상향 단차부(25d∼29d)의 이간 부분-상기 중앙 하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후술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부(25a∼29a)의 내주면과의 이간부분」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통로역(상류측 통로역),
B는 이 유입 개구부분으로부터 「후술의 중앙 하 통형상부(2d)의 내부공간-후술의 세로방향 구멍부(2j)-후술의 중앙 상 통형상부(2b)의 내부공간-후술의 스템 구멍부(3b)」를 거쳐 내부 통로역(3a)에 이르는 내측 통로역(하류측 통로역),
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25∼29는 각각 확대 하우징(2)의 중앙 상 통형상부(2b)의 외주면에 끼워맞춤하고,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으로부터 중앙 하 통형상부(2d)의 유입 개구부까지의 외측 통로역(A)을 설정하는 칼집(sheathed)형상 하우징 커버(25는 도 6에서 사용, 26은 도 7에서 사용, 27은 도 8 및 도 9에서 사용, 28은 도 10 및 도 11에서 사용, 29는 도 12에서 사용),
25a∼29a는 각각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하 통형상부(2d)의 외측에 이간하는 형태로 설정된, 바닥이 있는 소경의 통형상부,
25b∼29b는 각각 바닥이 있는 통형상부(25a∼29a)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불룩한 부분,
25c∼29c는 각각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상 통형상부(2b)의 외주면에 끼워맞춰지는 형태로 설정된 대경의 커버 상 통형상부,
25d∼29d는 각각 바닥이 있는 통형상부(25a∼29a)의 내측 상단부분과 커버 상 통형상부(25c∼29c)의 내측 하단 부분의 사이에 연속 형성된 고리형상의 상향 단차부,
25e는 커버 상 통형상부(25c)의 상단부분에서 가로 평면 바깥쪽으로 연속 형성되어 확대 하우징(2)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하단면에 접촉한 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도 6 참조),
26f는 커버 상 통형상부(26c)의 상단부분에서 가로 평면 바깥쪽으로 연속 형성되어 확대 하우징(2)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하단면에 접촉한 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도 7 참조),
27g는 커버 상 통형상부(27c)의 상단부분에서 가로 평면 바깥쪽(직경방향)으로의 오름 계단형태, 또, 확대 하우징(2)의 근처끼리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로 둘레방향으로 드문드문 형성된 합계 6개의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둘레방향의 상단측 편부:도 8, 도 9 참조),
27h는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27g)의 하부 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6개의 하면 고리형상부,
27j는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27g)의 상부 외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6개의 상면 고리형상부,
28k, 29k는 각각 커버 상 통형상부(28c, 29c)의 상단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넓어지는 절구형상의 형태, 또, 확대 하우징(2)의 근처끼리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로 둘레방향으로 드문드문 형성된 합계 6개의 절구형상 편부(둘레방향의 상단측 편부:도 10∼도 12 참조),
27m, 28m, 29m은 각각 근처끼리의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27g), 절구형상 편부(28k, 29k)의 빈틈 부분으로부터 커버 상 통형상부(27c, 28c, 29c)의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설정되고, 하우징 커버(27, 28, 29)를 확대 하우징(2)에 부착할 때에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에의 진입 공간역으로서 작용하는 합계 6개의 세로 절결형상부,
27n, 28n, 29n은 각각 하우징 커버(27, 28, 29)를 확대 하우징(2)에 부착한 상태로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하단면과 접촉하는 세로 절결형상부 바닥면,
29p는 하우징 커버(28)의 세로 절결형상부(28m)의 둘레방향 입구측을 확대하도록 대략 45도의 모따기 형태로 마련되고, 세로판 리브 형상부(2h)를 안내하여 상기 세로 절결형상부의 하측 부분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퍼 형상 안내부(도 12 참조),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 커버(25∼29)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의 것이다.
여기서, 도 6∼도 12의 하우징 커버 있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에 특징적인 구성요소는 하우징 커버(25∼29)이며, 그 외의 구성요소는 도 2∼도 4와 같은 것이다.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으로부터 내부 통로역(3a)에 이르는 내용물 방출경로는, 확대 하우징(2) 및 하우징 커버(25∼29) 사이의 하방향으로의 외측 통로역(A)과, 그 하류측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방향으로의 내측 통로역(B)으로 이루어져 있다.
확대 하우징(2), 하우징 커버(25∼29), 밸브기구(3, 4, 5), 하우징 개스킷(6), 중간 커버체(7) 및 커버 캡(8)의 각 구성요소는, 그 전체를 일체화한 형태의 밸브 유닛(VU) 형태(에어로졸 밸브)로 외용기(1a) 및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에 조립된다.
이 조립 전의 밸브 유닛(VU)에 있어서의 커버 캡(8)의 고리형상 수하부(8b)는 아직 크림프 가공되어 있지 않다.
도 2, 도 5∼도 8, 도 10의 에어로졸식 제품의 조립제조의 순서 자체는, 개략,
(41) 외용기(1a)의 내부에 내측 봉투형상 용기(1g)를 그 초기 높이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조립하고, 그 개구 상단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로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을 넣고,
(42) 다음으로, 밸브 유닛(VU)을, 외용기(1a) 및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 둘레 부분의 내외 양측으로 위쪽으로부터 장착하여, 확대 하우징(2)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내주면이 걸어맞춰지며, 또, 상기 밸브 유닛의 전체가 외용기(1a)로부터 조금 위쪽으로 이간된 상태로 설정되고,
(43) 다음으로, 주지의 가스 충전장치에 의해, 외용기(1a)의 상단측 외주면과 커버 캡(8)의 고리형상 수하부 내주면의 빈틈 부분으로부터, 미(未)시일 상태의 하우징 개스킷(6)의 하측 부분 및 그 끝의 외용기(1a),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빈틈 부분으로, 분사용 가스를 충전하며,
(44) 마찬가지로 주지의 가스 충전장치에 의해, 밸브 유닛(VU)을 눌러 내리고, 또, 커버 캡(8)의 고리형상 수하부(8b)의 하단측을 내측으로 크림프 가공한다,
는 작업 순서로 된다.
상기 (41)의 공정에서 외용기(1a)에 조립된 내측 봉투형상 용기(1g)는, 그 벨로즈 형상부(1k)가 초기 길이인 채로 상하방향으로 수축되지 않고, 또, 그 하단 부분이 외용기(1a)의 바닥면에 접촉한 기립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때,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부분은, 외용기(1a)의 그것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외용기로부터 조금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기 (44)의 공정에서 밸브 유닛(VU)이 눌러 내려질 때,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벨로즈 형상부(1k)는 상기 (41)의 초기 상태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줄어들며,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부분도 외용기(1a) 내로 들어간 형태(도 2, 도 5∼도 8, 도 10)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에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을 수용하고, 다음으로 여압 공간역(23)에 분사용 가스를 충전하며, 밸브 유닛(VU)과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일체물을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고리형상 수하부(8b)의 하단측을 크림프 가공함으로써, 최종적인 에어로졸식 제품이 제조된다.
도 6∼도 12의 하우징 커버 있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로서의 또 다른 특징은,
(51) 방출 대상 내용물이 중앙 하 통형상부(2d)의 아래 개구측으로부터 유입하여 위쪽의 내부 통로역(3a)으로 이동하는 내측 통로역(B)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하 통형상부에는 주지의 내용물 유입용 딥 튜브(도시생략)의 부착도 가능한, 범용구조의 확대 하우징(2)을 그대로 사용하고,
(52) 이 범용구조의 확대 하우징(2)을 그 아래쪽으로부터 칼집형상의 하우징 커버(25∼29)로 둘러싸는 것으로, 하우징 외주면과 하우징 커버 내주면 사이에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내측 통로역(B)까지 계속되는 외측 통로역(A)을 형성한,
것이다.
즉,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을 외측 통로역(A)의 유입부로서 설정함으로써, 에어로졸식 제품의 출하 전 등에 초기 방출 조작을 1회∼수회 행하면, 이 상단측 내부공간역의 잔류공기가 외부 공간역으로 방출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 커버(25∼29)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의 잔류공기가 외부 공간역으로 방출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 도 5∼도 8, 도 11과 같은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를 구비한 에어로졸식 제품의 경우, 상기 (42)의 밸브 유닛(VU)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에의 장착작업 종료 후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봉투형상 용기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에는, 이른바 상기 밸브 유닛의 내부공간역에 대응한 만큼의 공기가 필연적으로 잔류한다.
이 잔류공기층은, 방출 조작에 의해 내용물(원액)과 함께 외부 공간역에 압축상태로 방출되어, 분사 내용물의 비산의 원인이 되고 있다.
도 6∼도 12의 하우징 커버 있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는,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에의 존재가 이른바 불가피하며 악성 잔류공기를, 제품 완성 후의 초기 방출 조작에서 외측 통로역(A)에 확실히 유입시켜, 외부 공간역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6∼도 8 및 도 10은, 각각 정지 모드의 조작버튼(도시생략)을 예를 들면 누름 조작했을 때의 이른바 작동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작동 모드에서는, 여압 공간역(23)의 분사용 가스의 작용으로 수축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는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내의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이, 「외측 통로역(A)-내측 통로역(B)(세로방향 구멍부(2j)-중앙 상 통형상부(2b) 내부)-스템 구멍부(3b)-내부 통로역(3a)-조작버튼 통로부(도시생략)」를 거쳐 외부 공간역으로 방출된다.
도 2에 있어서의 작동 모드의 차이는,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내의 내용물이 최초로 외측 통로역(A)을 거치는 것이다.
도 6∼도 8 및 도 10의 내외 이중 에어로졸 용기의 방출기구의 각각에서 다른 부분은 하우징 커버(25, 26, 27, 28)의 형상이다.
즉, 각 하우징 커버를, 확대 하우징(2)의 중앙 상 통형상부(2b)의 외주면에 끼워맞춰져 부착된 상태로,
(61) 도 6의 하우징 커버(25)는, 그 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25e)가 확대 하우징(2)의 6개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각각의 하단면에 접촉하며,
(62) 도 7의 하우징 커버(26)는, 그 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26f)가 확대 하우징(2)의 6개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각각의 하단면에 접촉하고,
(63) 도 8, 도 9의 하우징 커버(27)는, 그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27g)가, 개개로, 확대 하우징(2)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근처끼리의 상단측 공간역(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까지 들어가며, 또, 그 세로 절결형상부 바닥면(27n)이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하단면과 접촉하며,
(64) 도 10, 도 11의 하우징 커버(28)는, 그 절구형상 편부(28k)가, 개개로, 확대 하우징(2)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근처끼리의 상단측 공간역(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상단측 내부공간역)까지 들어가며, 또, 그 세로 절결형상부 바닥면(28n)이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하단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이들의 하우징 커버(25, 26, 27, 28) 중에서는, 하우징 커버(27, 28)를 이용한 경우의 외측 통로역(A)의 입구부분(유입부)이,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및 확대 하우징(2)으로 이루어지는 상단측 내부공간역으로서 근처끼리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사이마다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 커버(27, 28)의 경우, 그 외측 통로역(A)의 입구부분을 구성하는 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27g) 또는 절구형상 편부(28k, 29k)가 근처끼리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사이에 개개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방출 대상 내용물(원액) 주입 후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에 밸브 유닛(VU)을 장착했을 때에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의 근처끼리 사이의 상단측 내부공간역 각각에서 생기는 공기층이, 보다 확실히 외측 통로역(A)으로 유입된다.
즉, 하우징 커버(27, 28)의 경우, 밸브 유닛(VU) 부착 후의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의 세로판 리브 형상부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거기를 개개의 유입부(입구)로 하는 외측 통로역(A)으로부터 내측 통로역(B) 및 내부 통로역(3a)을 거쳐 외부 공간역으로, 보다 확실히 방출된다.
도 12의 하우징 커버(29)는, 도 10, 도 11의 하우징 커버(28)의 세로 절결형상부(28m)의 입구 측에, 세로판 리브 형상부(2h)를 안내하여 그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퍼 형상 안내부(29p)를 마련한 것이다. 하우징 커버(29)를 확대 하우징(2)에 장착할 때에,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와 세로 절결형상부(29m)의 둘레방향 중앙 부분이 크게 어긋나 있어도, 테이퍼 형상 안내부(29p)가 세로판 리브 형상부(2h)를 상기 둘레방향 중앙 부분으로 안내하여 위치맞춤 하므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테이퍼 형상 안내부(29p)를 크게 마련하면, 세로판 리브 형상부(2h)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겨 외측 통로역(A)의 유입부(입구)가 내려가 버리므로, 테이퍼 형상 안내부(29p)의 높이는 상기 테이퍼 형상 안내부를 포함하는 세로 절결형상부(29m)의 전체 깊이의 1/2∼1/3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봉투형상 용기(1g)에 수용한 방출 대상 내용물의 접촉 부분은, 하우징 커버(25∼29) 외, 도 2와 마찬가지로 내측 봉투형상 용기(1g), 확대 하우징(2), 스템(3), 코일 스프링(4), 스템 개스킷(5), 하우징 개스킷(6) 및 중간 커버체(7)이다.
한편, 본 발명이 도 1∼도 12의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예를 들면,
(71) 스템(3)을 구동하는 조작부로서 누름 타입, 경동(tilt) 타입(스파우트 타입(spout-type)) 등의 각종 조작버튼을 이용하고,
(72) 세로판 리브 형상부(2h, 10h)의 개수나 두께, 형상 등을 임의로 설정하며,
(73) 에어로졸 용기(1)의 내용기(1d)나 내측 봉투형상 용기(1g)를 생략하고,
(74) 세로 슬릿형상부(10p)를, 중앙 상 통형상부(10b)의 세로홈 형상부(10f) 및 그 안쪽의 볼록형상 외주면으로서, 세로판 리브 형상부(10h)의 내측 단면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하며,
(75) 하우징 커버(27)의 세로 절결형상부(27m)의 위쪽 부분에 하우징 커버(29)의 테이퍼 형상 안내부(29p)와 같은 테이퍼 형상 안내부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방출 대상 내용물로서는, 액상, 발포성(거품상태), 크림상태, 페이스트상태, 젤 상태, 가루상태 등의 각종 성상의 것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에어로졸식 제품으로서는, 염모제, 헤어스타일링제, 헤어 트리트먼트제, 육모제(hair tonic) 등의 헤어 케어 제품, 자외선 차단제, 화장수, 클렌징, 제한제(adiaphoretic), 면도 폼(shaving foam), 해충 기피제 등의 스킨 케어 제품, 화장품, 세정제, 청소제, 냉각제, 근육 소염제, 식품, 액적 상태의 것(비타민 등), 의약품, 의약부외품(non-medical products), 도료, 원예용제, 살충제, 클리너, 소취제, 세탁 풀(laundry starch), 우레탄폼(urethane foam), 소화기, 접착제, 윤활제 등의 각종 용도의 것이 있다.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방출 대상 내용물은, 예를 들면, 분상물(powder-like products), 오일성분, 알코올류, 계면활성제, 고분자화합물, 각 용도에 따른 유효성분 등이다.
분상물로서는, 금속염류 분말, 무기물 분말이나 수지 분말 등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클로라이드(알루미늄염), 알긴산칼슘, 금가루, 은가루, 운모, 탄산염, 염화마그네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티탄, 제올라이트, 나일론 파우더, 황산바륨, 셀룰로오스,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한다.
기름 성분으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등의 에스테르유, 팜유(palm oil), 유칼리유(eucalyptus oil), 동백유, 올리브유, 호호바유(jojoba oil) 등의 유지, 유동 파라핀(파라핀유) 등의 탄화수소유,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지방산 등을 이용한다.
알코올류로서는, 에탄올 등의 1가의 저급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이나 세탄올 등의 1가의 고급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이용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 에틸렌올레일에테르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초산 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염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이용한다.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전분, 카제인(casein) 등을 이용한다.
각 용도에 따른 유효성분으로서는, 살리실산 메틸, 인드메타신(indomethacin) 등의 소염진통제, 안식향산 나트륨, 크레졸 등의 제균제, 피레드로이드(pyrethroid),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의 해충 기피제, 파라페놀술폰산 아연 등의 제한제, 캠퍼(camphor), 멘톨(menthol) 등의 청량제, 에페드린(ephedrine), 아드레날린 등의 항천식약, 수크랄로스(sucralose), 아스파르테임(aspartame) 등의 감미료, 에폭시수지, 우레탄 등의 접착제나 도료, 파라페니렌디아민, 아미노 페놀 등의 염료, 과산화수소수 등의 산화제, 아크릴계 수지나 왁스 등의 세트제(set agent),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등의 자외선 흡수제, 레티놀(retinol)이나 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의 보습제, 인산이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칼륨 등의 소화제 등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외의, 현탁제, 유화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sequestering agent)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분사용 가스로서는, 탄산가스, 질소가스, 압축공기, 산소가스, 아산화질소, 희가스, 이들의 혼합 가스 등의 압축가스나, 액화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플루오로카본 등의 액화가스를 이용한다.
1:에어로졸 용기
1a:외용기
1b:상단 고리형상부
1c:고리 오목형상부
1d:내용기(도 1)
1e:상단 내측 고리형상부(도 1)
1f:내측 고리 오목형상부(도 1)
1g:내측 봉투형상 용기(도 2, 도 5∼도 8, 도 10)
1h:상단 내측 고리형상부(도 2, 도 5∼도 8, 도 10)
1j:내측 고리 오목형상부(도 2, 도 5∼도 8, 도 10)
1k:벨로즈 형상부(도 2, 도 5∼도 8, 도 10)
1m:용기 내면
1n:여압 공간역
2, 10:확대 하우징
2a, 10a:외측 통형상부
2b, 10b:중앙 상 통형상부
2c, 10c:고리 천정부
2d, 10d:중앙 하 통형상부
2e, 10e:외측 고리 오목형상부
2f, 10f:세로홈 형상부
2g, 10g:세로 오목형상부
2h, 10h:세로판 리브 형상부
2j, 10j:세로방향 구멍부
2k, 10k:하 내측 단차부
2m, 10m:상 외측 단차부
2n, 10n:고리 플랜지부
2p:고리형상의 하향 단차부
10p:슬릿형상부(도 5)
11:유량조정부재(도 5)
11a:고리형상 단차부(도 5)
3:스템
3a:내부 통로역
3b:스템 구멍부
3c:내측 고리 오목형상부
4:코일 스프링
5:스템 개스킷
6:하우징 개스킷
7:중간 커버체
8:커버 캡
8a:상측 고리 오목형상부
8b:고리형상 수하부
8c:크림프 가공부
9:파이프(도 1)
(도 6∼도 12에서만 사용)
A:외측 통로역(상류측 통로역)
B:내측 통로역(하류측 통로역)
25:하우징 커버(도 6)
26:하우징 커버(도 7)
27:하우징 커버(도 8, 도 9)
28:하우징 커버(도 10, 도 11)
29:하우징 커버(도 12)
25a∼29a:소경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부
25b∼29b:불룩한 부분
25c∼29c:대경의 커버 상 통형상부
25d∼29d:고리형상의 상향 단차부
25e: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도 6)
26f:협폭 고리 플랜지 형상부(도 7)
27g:직경방향 계단형상 편부(도 8, 도 9)
27h:하면 고리형상부(도 9)
27j:상면 고리형상부(도 9)
28k, 29k:절구형상 편부(도 10∼도 12)
27m, 28m, 29m:세로 절결형상부(도 8∼도 12)
27n, 28n, 29n:세로 절결형상부 바닥면(도 8∼도 12)
29p:테이퍼 형상 안내부(도 12)

Claims (10)

  1. 방출 대상 내용물 및 분사용 가스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개구측에 부착되는 외측 통형상부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용물 방출 조작에 연동하는 스템의 적어도 하측 부분을 수용하는 중앙 통형상부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 및 상기 중앙 통형상부 각각의 상단 부분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고리 천정부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와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사이에 구조 강도를 높이기 위해 형성된 리브 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통형상부, 상기 중앙 통형상부, 상기 고리 천정부 및 상기 리브 형상부의 전체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형상부는,
    상기 중앙 통형상부로부터 상기 외측 통형상부에 걸쳐 방사형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형상부는,
    그 내주면의 일부에 내용물 통과용의 세로홈 형상부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일부로서 상기 세로홈 형상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내주면 부분의 안쪽에, 세로 오목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형상부는,
    상기 외측 통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상기 세로홈 형상부의 안쪽 외주면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천정부는,
    내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템과의 사이의 밸브작용을 나타내는 스템 개스킷의 바깥둘레 테두리 부분을 유지하는 고리형상의 하(下) 단차부와,
    상기 하 단차부의 위쪽에 형성되어, 상기 스템 개스킷의 상면 부분에 마련되는 고리형상의 플라스틱제 커버체의 바깥둘레 테두리 부분을 유지하는 고리형상의 상(上) 단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통형상부는,
    그 외주면이,
    상기 고리 천정부를 덮는 고리형상의 금속제 커버체의 외단측의 통형상 수하부와,
    외용기의 일부로서, 상기 통형상 수하부의 내측에 배치된 상단 중간 고리형상부와,
    상기 외용기의 내부공간역에 마련된 내용기의 일부로서, 상기 상단 중간 고리형상부의 내측에 배치된 상단 내측 고리형상부의 3층 상태로 보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형상부는,
    내용물 유입용 튜브가 부착될 수 있는 하측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역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상기 중앙 통형상부의 내부의 내측 통로역까지 계속되는 외측 통로역을 형성하는 상(上) 개구의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외부 공간역으로 방출되는 상기 방출 대상 내용물은,
    상기 외측 통로역을 상기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그 하류측의 상기 내측 통로역을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리브 형상부의 근처끼리 사이에 설정되는 개개의 상단측 내부공간역으로 들어가 상기 외측 통로역의 입구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상단측 편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방출 대상 내용물 및 상기 분사용 가스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식 제품.
KR1020167015943A 2013-12-03 2014-11-28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및 이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식 제품 KR102005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0442A JP6172751B2 (ja) 2013-12-03 2013-12-03 エアゾールハウジング機構およびこのエアゾールハウジング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JP-P-2013-250442 2013-12-03
JPJP-P-2014-093537 2014-04-30
JP2014093537A JP6172756B2 (ja) 2014-04-30 2014-04-30 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およびこの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PCT/JP2014/081568 WO2015083642A1 (ja) 2013-12-03 2014-11-28 エアゾールハウジング機構およびこのエアゾールハウジング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022A true KR20160093022A (ko) 2016-08-05
KR102005615B1 KR102005615B1 (ko) 2019-07-30

Family

ID=5327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943A KR102005615B1 (ko) 2013-12-03 2014-11-28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및 이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식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29844B2 (ko)
EP (1) EP3078606B1 (ko)
KR (1) KR102005615B1 (ko)
CN (1) CN105980264B (ko)
WO (1) WO2015083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9275B1 (fr) * 2016-03-23 2019-07-19 Aptar France Sas Valve doseuse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comportant une telle valve
JP7021858B2 (ja) * 2017-03-21 2022-02-17 株式会社ダイゾー 二重エアゾール容器
GB2560993B (en) * 2017-03-31 2020-01-08 The Salford Valve Company Ltd A valve assembly for an aerosol spray device
FR3065891B1 (fr) * 2017-05-05 2021-12-24 Aptar France Sas Valve doseuse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comportant une telle valve.
CN111655595B (zh) * 2018-01-29 2022-04-08 三谷阀门有限公司 气雾剂容器的定量阀机构和具备该定量阀机构的喷雾式制品
JP7222485B2 (ja) * 2018-02-19 2023-02-15 アース製薬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定量噴射バルブ
US10836562B2 (en) * 2018-04-16 2020-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rystallized plastic valve for an aerosol dispenser and housing therefor
WO2021022280A1 (en) 2019-07-26 2021-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valve assembly for dispensers
WO2021022277A1 (en) 2019-07-26 2021-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alve assembly
US11674601B2 (en) 2019-07-26 2023-06-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alve assembly for dispensers
US11892084B2 (en) * 2019-07-26 2024-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alve assembly for dispenser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363A (ja) * 1983-05-06 1985-02-21 ライカー 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バルブ組立体
JPS623476U (ko) 1985-06-24 1987-01-10
JPH08169482A (ja) 1994-12-21 1996-07-02 Toyo Aerosol Kogyo Kk 二重エアゾール容器
JP2000062870A (ja) * 1998-08-19 2000-02-29 Toyo Aerosol Ind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
JP2000281159A (ja) * 1999-03-31 2000-10-10 Osaka Ship Building Co Ltd ネジ締め式のバルブ取り付け構造
JP2011136747A (ja) 2009-12-29 2011-07-14 Daizo:Kk 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重エアゾール製品
WO2012011162A1 (ja) * 2010-07-20 2012-01-26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複数液分配用のエアゾール装置
JP2012111549A (ja) * 2010-11-26 2012-06-14 Daizo:Kk 二重エアゾール容器用のエアゾールバル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重エアゾール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9012A (en) * 1955-04-07 1957-04-16 Delta Dynamics Inc Valve mechanism for dispensing apparatus
US2867356A (en) * 1956-07-06 1959-01-06 Colgate Palmolive Co Valve
US3627179A (en) * 1969-10-17 1971-12-14 Clayton Corp Dispensing valve assembly including integrally molded spring
US3704813A (en) * 1969-12-08 1972-12-05 George C Devol Valve systems for non-refillable containers
CH522158A (fr) * 1970-03-16 1972-04-30 Alusuisse Valve de distribution à purge automatique du conduit de distribution
US4532690A (en) * 1980-08-04 1985-08-06 Luigi Del Bon Process for producing a valve-and-lid assembly
US4405064A (en) * 1981-05-26 1983-09-20 Stoody William R Self-cleaning, isolated product, aerosol spray atomizing valve
US5027985A (en) * 1986-12-03 1991-07-02 Abplanalp Robert H Aerosol valve
FR2615173B1 (fr) * 1987-05-13 1989-08-18 Valois Valve doseuse pour liquide charge d'un propulseur liquide ou gaz liquefie, utilisable en position inversee
DK0401072T3 (da) * 1989-05-29 1994-01-17 Air Liquide Ventil til beholder til fluidum under tryk og beholder med en sådan ventil
NL8901877A (nl) * 1989-07-20 1991-02-18 Airspray Int Bv Mengkamer voor het mengen van een gasvormig en een vloeibaar bestanddeel,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nauwe kanalen, en volgens deze werkwijze van nauwe kanalen voorziene lichaam of voorwerp.
US5158215A (en) * 1989-11-08 1992-10-27 Paul Comment Automatic lift valve
MX172031B (es) * 1989-12-19 1993-11-25 Precision Valve Corp Accionador de espuma para dosificar un producto de aerosol
DE9013730U1 (ko) * 1990-10-02 1992-02-06 Hago-Chemotechnik Gmbh & Co. Kg, 8000 Muenchen, De
US5350088A (en) * 1993-09-13 1994-09-27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Invertible aerosol valve
GB9420971D0 (en) * 1994-05-06 1994-12-07 Minnesota Mining & Mfg Aerosol valves
FR2725182B1 (fr) * 1994-09-30 1996-11-15 Oreal Valve de distribution et recipient distributeur equipe d'une valve
JPH08103700A (ja) 1994-10-05 1996-04-23 Osaka Ship Building Co Ltd エアゾール噴射装置
US5803319A (en) * 1996-01-19 1998-09-08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Invertible spray valve and container containing same
FR2833584B1 (fr) * 2001-12-13 2004-04-23 Valois Sa Valv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comportant une telle valve
DE102004034629A1 (de) * 2004-06-14 2006-01-05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Vorrichtung und Sprühkopf zur Zerstäubung einer vorzugsweise kosmetischen Flüssigkeit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S7341169B2 (en) * 2005-04-05 2008-03-11 Precision Valve Corporation Automatic purging and easy dispensing aerosol valve system
JP2006321532A (ja) * 2005-05-19 2006-11-30 Daizo:Kk 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その容器
FR2895374B1 (fr) 2005-12-27 2010-08-27 Valois Sas Bague pour valve aerosol.
GB0702398D0 (en) * 2007-02-08 2007-03-21 Leafgreen Ltd A valve for a pressurised dispenser and a pressurised dispenser containing such a valve
US20090014679A1 (en) * 2007-07-13 2009-01-15 Precision Valve Corporation Plastic aerosol valve and method of assembly, mounting and retention
CN101918146B (zh) * 2007-08-28 2015-03-25 米德韦斯特瓦科卡尔玛公司 塑料阀及其使用方法
FR2946963B1 (fr) * 2009-06-22 2015-09-04 Valois Sas Valve doseuse aerosol et dispositif de ditribution de produit fluide comportant une telle valve
DE202010018319U1 (de) * 2009-12-01 2015-07-14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Aerosolvorrichtung zur Anordnung einer Vielzahl von Flüssigkeiten
US20130161352A1 (en) * 2010-08-16 2013-06-27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Dispensing module
US9527658B2 (en) * 2012-08-08 2016-12-27 James H. Martin Metering valve fillable through the valve
DE102014100280A1 (de) * 2014-01-13 2015-07-16 Thomas Gmbh Ventilbaugruppe für Aerosolbehälter
FR3032095B1 (fr) * 2015-01-29 2017-03-03 Oreal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cosmetique sous forme aeroso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363A (ja) * 1983-05-06 1985-02-21 ライカー 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バルブ組立体
JPS623476U (ko) 1985-06-24 1987-01-10
JPH08169482A (ja) 1994-12-21 1996-07-02 Toyo Aerosol Kogyo Kk 二重エアゾール容器
JP2000062870A (ja) * 1998-08-19 2000-02-29 Toyo Aerosol Ind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
JP2000281159A (ja) * 1999-03-31 2000-10-10 Osaka Ship Building Co Ltd ネジ締め式のバルブ取り付け構造
JP2011136747A (ja) 2009-12-29 2011-07-14 Daizo:Kk 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重エアゾール製品
WO2012011162A1 (ja) * 2010-07-20 2012-01-26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複数液分配用のエアゾール装置
JP2012111549A (ja) * 2010-11-26 2012-06-14 Daizo:Kk 二重エアゾール容器用のエアゾールバル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重エアゾール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8606B1 (en) 2020-11-18
EP3078606A4 (en) 2017-09-06
US10029844B2 (en) 2018-07-24
KR102005615B1 (ko) 2019-07-30
EP3078606A1 (en) 2016-10-12
CN105980264B (zh) 2019-05-07
WO2015083642A1 (ja) 2015-06-11
US20170166390A1 (en) 2017-06-15
CN105980264A (zh)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615B1 (ko)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 및 이 에어로졸 하우징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식 제품
US8201757B2 (en) Flow rate regulator unit and aerosol type product with flow rate regulator unit
KR101702172B1 (ko) 액츄에이터 도립 정량 분사기구 및 이 액츄에이터 도립 정량 분사기구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CN111655595B (zh) 气雾剂容器的定量阀机构和具备该定量阀机构的喷雾式制品
JP5971754B2 (ja) トリガー操作式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トリガー操作式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5628654B2 (ja) 噴射口詰まり防止機構および噴射口詰まり防止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6172844B2 (ja) 噴射用ガス充填対応の正倒立バルブ機構およびこの正倒立バルブ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2011235914A (ja) 定量噴射機構および、この定量噴射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6137604B2 (ja) 容器本体の内容物放出用のポンプ機構およびこのポンプ機構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
JP5413902B2 (ja) 連結容器の内容物放出単一部材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単一部材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TW201804082A (zh) 噴霧型正倒立唧筒機構及具備該正倒立唧筒機構的噴霧式製品
JP6859575B2 (ja) 内容物放出機構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2008062974A (ja) 内容物放出用容器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用容器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JP6099245B2 (ja) 内容物放出口シャットオフ用のスパウトユニット、このスパウトユニットを組み込んだ内容物放出口シャットオフ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口シャットオフ機構を用いたポンプ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JP6465429B2 (ja) 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ならびに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172756B2 (ja) 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およびこの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2009050775A (ja) エアゾール容器用の噴射ボタンおよび、この噴射ボタン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CN112469640B (zh) 内容物喷射操作按钮和具备该内容物喷射操作按钮的气溶胶式产品
JP6703838B2 (ja) 直線スライド操作式の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415143B2 (ja) エアゾール連続噴射機構およびこのエアゾール噴射操作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6563015B2 (ja) マウンティングカップ外装品用アダプタ,エアゾール噴射機構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JP6562727B2 (ja) パルス噴射機構およびこのパルス噴射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6892059B2 (ja) エアゾール式製品用またはポンプ式製品用のアタッチメント取付け構造ならびにこのアタッチメント取付け構造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2006027636A (ja) 内容物放出用のメッシュ構造ならびにこのメッシュ構造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5046327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機構および、このガス抜き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