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482A -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 Google Patents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482A
KR20160091482A KR1020150011183A KR20150011183A KR20160091482A KR 20160091482 A KR20160091482 A KR 20160091482A KR 1020150011183 A KR1020150011183 A KR 1020150011183A KR 20150011183 A KR20150011183 A KR 20150011183A KR 20160091482 A KR20160091482 A KR 2016009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ead
heater
press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252B1 (ko
Inventor
박광희
Original Assignee
박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희 filed Critical 박광희
Priority to KR102015001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2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빵틀의 외측면에 접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받아 발열하는 히터플레이트와, 상기 히터플레이트를 커버하는 단열차단판과, 상기 단열차단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히터플레이트와 단열차단판과 가압플레이트 적층체를 그 내부에 밀폐 수용하고, 그 테두리부에 플렌지부를 갖는 밀폐커버와, 상기 플렌지부와 빵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밀폐커버의 내부공간을 밀봉시키는 개스킷과, 상기 밀폐커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단열차단판측으로 가압하여, 히터플레이트가 빵틀에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는, 판상의 히터플레이트가 빵틀에 강력하게 면접 고정되고 더 나아가 단열차단판에 의해 커버되므로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며, 특히 빵틀의 온도분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현되고, 밀폐커버의 개스킷을 이용해 히터플레이트를 완전히 밀폐 수용하므로, 기름이나 습기 또는 먼지 등이 히터플레이트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의 누설이나 쇼트 등의 염려가 없어 안전하다.

Description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Electric heating device for baking bread}
본 발명은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주로 겨울철 길거리 노점에서 판매되는 붕어빵이나 국화빵은 오래된 간식거리로서, 붕어나 국화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빵틀에 밀가루반죽과 팥소 등을 넣고 가열하여 만들어진다. 근래에는 팥소 이외에 고구마나 슈크림 또는 햄이나 베이컨을 넣은 것들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붕어빵 또는 국화빵을 굽기 위한, 이를테면 붕어빵기계는, 주로 가스가열 방식이다. 즉 빵틀의 하부에 가스불을 위치시켜 가스의 연소열로 빵틀을 가열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스불 방식은 불꽃의 세기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빵틀을 가열하는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지 않으면 재료가 타거나 익지 않을 수 있어 숙련된 경험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불편을 해소해 보고자 전기가열 방식의 붕어빵구이기(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351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붕어빵구이기는 빵틀의 내부에 전기 히터를 내장하여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재료를 굽는 구조를 가지며, 온도센서를 통해 원하는 가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붕어빵 구이기는, 히터가 빵틀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긴 하지만 열효율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 이유는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의 많은 양이 주변으로 흩어지고 빵틀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히터 자체도 코일형 히터로서 사용이 오래될 경우 단선되기가 쉽다는 문제도 있다. 당연히, 히터의 어느 한 군데만 절단되더라도 히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므로 붕어빵 구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판상의 히터플레이트가 빵틀에 강력하게 면접 고정되고 더 나아가 단열차단판에 의해 커버되므로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며, 특히 빵틀의 온도분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현되는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커버와 개스킷을 이용해 히터플레이트를 완전히 밀폐 수용하므로, 기름이나 습기 또는 먼지나 물 등이 히터플레이트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의 누설이나 쇼트 등의 염려가 없어 안전한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는, 그 사이에 재료가 투입된 상태로 포개어지는 빵틀에 장착되어 빵틀을 가열하는 것으로서,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빵틀의 외측면에 접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받아 발열하는 히터플레이트와, 상기 히터플레이트를 커버하는 단열차단판과, 상기 단열차단판의 상부에 적층되며 단열차단판을 빵틀측으로 지지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히터플레이트와 단열차단판과 가압플레이트 적층체를 그 내부에 밀폐 수용하고, 그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고정나사에 의해 빵틀 외측면에 고정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커버와, 상기 플렌지부와 빵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밀폐커버의 내부공간을 밀봉시키는 개스킷과, 상기 밀폐커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단열차단판측으로 가압하여, 히터플레이트가 빵틀에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밀폐커버의 사이에 구비되며, 가압플레이트를 빵틀 측으로 탄력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는, 판상의 히터플레이트가 빵틀에 강력하게 면접 고정되고 더 나아가 단열차단판에 의해 커버되므로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며, 특히 빵틀의 온도분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커버와 개스킷을 이용해 히터플레이트를 완전히 밀폐 수용하므로, 기름이나 습기 또는 먼지나 물 등이 히터플레이트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의 누설이나 쇼트 등의 염려가 없어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가 적용된 베이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빵틀가열기(33)는, 전기식 빵 베이킹장치(11)에 장착되어 빵틀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빵틀을 가열하는 판상의 히터플레이트를 빵틀측으로 가압시켜, 히터플레이트가 빵틀에 긴밀히 면접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빵틀과 히터플레이트의 사이에 간극이 없어 열효율이 뛰어나며 빵틀의 전체적인 온도분포가 균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33)가 적용된 베이킹장치(1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킹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틀가열기(33)의 본격적 설명에 앞서, 베이킹장치(11)의 전체적인 구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빵틀가열기(33)의 구조가 갖는 의미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빵틀가열기(33)가 적용된 베이킹장치(11)는,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며 작업대(13)에 올려지는 케이싱(15)과, 상기 케이싱(15)의 벽부(15a) 상단에 고정되며 상호 대향하는 세 세트의 힌지부(39)와, 상기 각 힌지부(39)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빵틀(31)과, 상기 빵틀(31)을 가열하는 빵틀가열기(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5)의 전면에는, 음향발생부(19)와 다수의 타이머(23)와 온도조절부(21a,21b)와 신호램프(25)와 온오프스위치(27)가 배치된다. 상기 온도조절부(21a,21b)와 온오프스위치(27)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이다.
먼저, 상기 케이싱(1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에서 볼 때 직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에 받이판(43)을 갖는다. 상기 받이판(43)은, 빵틀(31)의 사용 중 빵틀(31)에서 떨어지는 기름이나 기타 이를테면 재료파편 등을 받는 스텐레스스틸 판이다.
상기 힌지부(39)는 벽부(15a)의 상단부에 고정되되, 케이싱(15)의 내부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호 대향한다. 상기 힌지부(39)는 각 벽부에 세 개씩 고정되어 있다. 각 힌지부(39) 자체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39)가 고정되어 있는 벽부(15a) 중, 일측 벽부(15a)의 내측에는 스위치설치부(41)가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설치부(41)에는 다수의 제 1,2타이밍스위치(46a,46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2타이밍스위치(46a,46b)는 각 빵틀(31)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각 빵틀(31)이 펼쳐진 상태에서, 후술할 좌빵틀(31a)의 하부에 제 1타이밍스위치(46a)가, 우빵틀(31b)의 하부에 제 2타이밍스위치(46b)가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 1,2타이밍스위치(46a,46b)는 리미트스위치로서, 빵틀(31)의 무게에 의해 눌려 신호를 발생한다. 즉, 빵틀에 눌리지 않은 때에는 자체의 스프링(미도시) 작용에 의해 상부로 상향 돌출된 상태로 대기하다가, 빵틀(31)에 눌릴 때 빵틀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눌려 내려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타이밍스위치(46a,46b)는, 좌빵틀(46a) 및 우빵틀(46b)에 의해 동시에 눌리거나 하나만 눌림에 따라, 타이머(23)를 리셋 또는 스타트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머(23)는, 사용자가 입력한 베이킹시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가령, 사용자가 베이킹시간으로 60초를 세팅한 경우, 베이킹 개시 후 60초 경과한 순간 그 내용을 음향발생부(19) 및 신호램프(25)를 통해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타이머(25)가 제 1,2타이밍스위치(46a,46b)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이 완전히 펼쳐져 제 1,2타이밍스위치(46a,46b)가 모두 눌리면 타이머(23)는 리셋된다. 또한 좌빵틀(31a) 이나 우빵틀(31b) 중 어느 하나의 빵틀이 상향 회동하여, 하나의 타이밍스위치가 올라가면, 타이머(23)의 카운트다운이 개시된다.
결국, 빵틀(31)을 펼쳐 재료를 새로 넣거나, 아니면 베이킹이 완료된 빵을 꺼낼 때, 타이머(23)가 리셋되고, 빵틀(31)에 재료를 올린 후 한쪽 빵틀을 다른 쪽 빵틀에 겹쳐 올리는 순간 타이머의 작동이 시작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상기 빵틀(31)은, 좌빵틀(31a)과 우빵틀(31b)로 구성된다.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은, 그 양단부가 힌지부(39)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힌지부(39)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좌빵틀(31a)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우빵틀(31b)의 상부에 포개어질 수 있고, 우빵틀(31b)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여 좌빵틀(31a)의 상부에 겹쳐질 수 있다. 빵을 굽기 위하여 좌빵틀(31a)을 들어 올릴지 우빵틀(31b)을 들어 올릴지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좌우빵틀(31a,31b)이 올려질 때 제 1,2타이밍스위치(46a,46b)가 (자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올라가며 타이머(23)를 스타트시킴은 위에 언급하였다.
상기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의 내측면, 즉, 빵틀(31)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성형홈(31d)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홈(31d)은 붕어모양 국화모양 도넛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당연히, 붕어모양일 경우 붕어빵이 만들어지고, 국화모양일 경우 국화빵이 구워지고, 도넛모양일 경우 도넛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에는 손잡이(31c)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1c)는 각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에 그 단부가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사용자가 (달구어진) 빵틀(31)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각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의 외측면, 다시 말하면 상기 성형홈(31d)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빵틀가열기(33)가 설치된다.
상기 빵틀가열기(33)는,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에 면접 밀착하는 히터플레이트(도 3의 33d)과, 상기 히터플레이트(33d)을 커버하는 단열차단판(33e)과, 단열차단판(33e)의 상부에 적층되는 가압플레이트(33f)와, 상기 적층체를 그 내부에 밀폐 수용하는 밀폐커버(33b)를 구비한다.
상기 히터플레이트(33d)와 단열차단판(33e)과 가압플레이트(33f)는 상호 밀착된 적층구조를 이루며 전열유니트(33k)를 구성한다. 상기 전열유니트(33k)는 각 빵틀(31a,31b)에 밀착 고정된 상태로 빵틀을 가열한다.
상기 빵틀가열기(33)의 밀폐커버(33b)는, 빵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그 테두리부에 플렌지부(33g)를 갖는다.
상기 플렌지부(33g)는, 다수의 고정나사(33c)에 의해 빵틀(31)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나사(33c)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갖는다.
특히 상기 플렌지부(33g)와 좌빵틀(31a), 플렌지부(33g)와 우빵틀(31b)의 사이에는, 개스킷(33a)이 끼워진다. 상기 개스킷(33a)은 플렌지부(33g)와 빵틀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압착되어, 밀폐커버(33b)의 내부공간(도 3의 33m)을 완전히 밀봉한다. 상기 개스킷(33a)의 두께나 재질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스킷(33a)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밀폐커버(33b)의 내부공간(33m)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봉되어, 가령 습기나 먼지 또는 물이나 기름 등이 히터플레이트(33d)측으로 침투할 염려가 없다.
히터플레이트(33d)와 단열차단판(33e)과 가압플레이트(33f)가 오염되지 않고 항상 청결히 유지됨은 물론, 특히 히터플레이트(33d)와 가압플레이트(33f)가 부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빵틀가열기(33)에는 어뎁터(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어뎁터(35)는, 전력선호스(37) 내부의 전력선(미도시)과 히터플레이트(33d)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선호스(37)는 전력선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스텐레스스틸제 주름관이다. 전력선이 전력선호스(37)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보호되는 것이다. 상기 전력선호스(37)의 외부에 합성수지호스를 추가로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싱(15)의 전면에는, 타이머(23)와 온도조절부(21a,21b)와 온오프스위치(27)와 신호램프(25)와 음향발생부(19)를 포함하는 제어부(17)가 위치한다.
상기 제어부(17)에 있어서, 온도조절부(21a,21b)는 좌빵틀(31a) 및 우빵틀(31b)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세팅하기 위한 것이고, 타이머(23)는 빵틀(31)을 가열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또한 온오프스위치(27)는 빵틀가열기(33)로 연결되는 전력공급회로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아울러 상기 신호램프(25)는 타이머(23)와 연동하는 점멸램프로서, 타이머(23)에서 입력된 시간이 도래하면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등이다.
또한, 상기 음향발생부(19)는 신호램프(25)와 동시에 작동하여 부저음이나 기타 경고음을 출력한다. 즉, 상기 타이머(23)에서 설정한 시간이 도래했을 때,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제빵시간이 다 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3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빵틀가열기(33)는, 개스킷(33a)을 사이에 두고 빵틀(31)에 고정되며 밀폐된 내부공간(33m)을 제공하는 밀폐커버(33b)와, 상기 밀폐커버(33b)의 내부공간(33m)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빵틀(31)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히터플레이트(33d)와, 상기 히터플레이트(33d)를 커버하는 단열차단판(33e)과, 상기 단열차단판(33e)의 상부에 적층되는 가압플레이트(33f)와, 상기 가압플레이트(33f)의 상부에 구비되며 가압플레이트(33f)를 빵틀(31)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다수의 가압부(33n)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히터플레이트(33d)는, 전력선(45)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것으로서 직사각판의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히터플레이트(33d)는 그 테두리부가 밀폐커버(33b)의 내벽면에 닿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넓게 제작 적용된다.
상기 단열차단판(33e)은, 히터플레이트(33d)의 상면은 물론 테두리부까지 그 내부에 포함하는 단열용 판상부재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단열차단판(33e)은 히터플레이트(33d)에서 출력되는 열을 그 내부에 가두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단열차단판(33e)의 작용에 의해 밀폐커버(33b)의 온도가 과도히 상승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33f)는 단열차단판(33e)의 상부에 적층되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서, 히터플레이트(33d)와 동일한 평면형상과 넓이를 갖는다. 특히 상기 가압플레이트(33f)는 히터플레이트(33d)의 연직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압플레이트(33f)로서 철판이나 알루미늄판 또는 스텐레스스틸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나 고강도 내열 합성수지패널을 적용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33n)는, 가압플레이트(33f)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33p)과, 상기 지지브라켓(33p)에 끼워져 세워지는 스프링(33r)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라켓(33p)은, 가압플레이트(33f)의 상면에 수직을 이루는 판상부재로서, 스프링(33r)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33r)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이와같이 스프링(33r)을 세워 지지시킬 수 있는 한 지지브라켓(33p)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33r)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내부공간(33m) 내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며 가압플레이트(33f)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33r)은 밀폐커버(33b)를 빵틀에 맞추어 고정할 때 압축된 것으로서, 가령 밀폐커버(33b)를 빵틀(31)로부터 분리하면 팽창한다.
상기 가압플레이트(33f)는 스프링(33r)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눌리며, 빵틀(31)에 대해 히터플레이트(33d)를 탄력 가압한다. 특히 가압플레이트(33f)가 스프링(33r)에 의해 탄력 가압되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 등이 들어오더라도 탄성 가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결국, 상기 스프링(33r)의 작용에 의해 히터플레이트(33d)가 빵틀(31)에 긴밀히 밀착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33)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렌지부(33g)의 상부에 쉴드브라켓(33s)이 채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쉴드브라켓(33s)은 ㄱ 자로 절곡된 단면형태를 갖는 요소로서, 플렌지부(33g)와 개스킷(33a)의 측부, 즉 두께면을 커버한다.
상기 쉴드브라켓(33s)에 의해 개스킷(33a)이 보호된다. 가령 기름이나 물이 개스킷(33a)에 직접 닿지 않으므로 개스킷(33a)의 변형이나 오염 및 부식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33)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압플레이트(33f)의 상부에 다른 방식의 가압부(33t)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33t)는, 밀폐커버(33b)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33u)에 나사 결합하는 푸싱볼트(33v)와, 상기 푸싱볼트(33v)의 하단부에 끼워지며 푸싱볼트(33v)의 하강시 가압플레이트(33f)를 화살표 p 방향으로 가압하는 패드(33x)를 포함한다.
상기 암나사구멍(33u)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으로서, 밀폐커버(33b)의 전체면에 고르게 분포된다.
상기 푸싱볼트(33v)는 암나사구멍(33u)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축회전을 통해 승하강 하는 부속으로서 그 하단부에 프레싱편(33w)을 갖는다. 상기 프레싱편(33w)는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갖는 디스크판으로서 푸싱볼트(33v)의 하단부에 일체를 이룬다.
상기 패드(33x)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그 상면 중앙에 상기 프레싱편(33w)을 수용하는 수용홈(33y)을 갖는다. 상기 수용홈(33y)의 용적은 프레싱편(33w)의 사이즈보다 크다. 따라서, 프레싱편(33w)의 주위로 유격이 있고, 프레싱편(33w)은 수용홈(33y)에 끼워진 상태로 얼마간 움직임이 가능하고 회전도 가능하다. 상기 패드(33x)는 푸싱볼트(33v)의 축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푸싱볼트(33v)와 함께 승하강한다.
한편, 상기 패드(33x)가 가압플레이트(33f)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푸싱볼트(33v)에 토오크를 가하여 더욱 하강시키면, 프레싱편(33w)이 수용홈(33y)의 바닥면을 가압하고, 그에 따라 패드(33x)가 가압플레이트(33f)를 화살표 p 방향으로 내리 누른다. 즉, 가압플레이트(33f)에 의해 히터플레이트(33d)가 빵틀(31)측으로 압착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33)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밀폐커버(33b)의 양단 측부에 다른 형태의 가압부(33z)가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압부(33z)는, 밀폐커버(33b)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33u)에 끼워져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푸싱볼트(33v)와, 상기 푸싱볼트(33v)의 프레싱편(33w)을 수용하고 가압플레이트(33f)의 상부 모서리부에 걸쳐있는 쐐기부재(34a)를 포함한다.
상기 쐐기부재(34a)는, 푸싱볼트(33v)의 프레싱편(33w)을 수용하는 수용홈(34b)을 갖는다. 상기 수용홈(34b)은 프레싱편(33w)을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한다.
아울러 쐐기부재(34a)의 저면은 만곡된 가압면(34c)으로서, 그 일부는 밀폐커버(33b)의 저면과 가압플레이트(33f)의 사이에 진입되어 있다. 상기 가압면(34c)은, 쐐기부재(34a)가 화살표 s 방향으로 압입될 때, 가압플레이트(33f)의 양단 모서리부를 하향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면(34c)의 곡면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쐐기부재(34a)의 일부가 가압플레이트(33f)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대략적으로 세팅한 상태로, 푸싱볼트(33v)에 회전력을 가하여 쐐기부재(34a)를 화살표 s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가압플레이트(33f)가 가압면(34c)에 눌려, 히터플레이트(33d)가 빵틀(31)측으로 압착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빵틀가열기(33)는 히터플레이트(33d)가 빵틀에 면접한 상태로 강력하게 밀착되므로 그만큼 열전달 효율이 뛰어나고, 밀폐커버(33b)도 완벽히 밀봉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할 수 없어 밀폐커버(33b) 내부 요소들의 부식은 물론 전기적 쇼트 등의 발생 염려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베이킹장치 13:작업대 15:케이싱
15a:벽부 17:제어부 19:음향발생부
21a,21b:온도조절부 23:타이머 25:신호램프
27:온오프스위치 31:빵틀 31a:좌빵틀
31b:우빵틀 31c:손잡이 31d:성형홈
33:빵틀가열기 33a:개스킷 33b:밀폐커버
33c:고정나사 33d:히터플레이트 33e:단열차단판
33f:가압플레이트 33g:플렌지부 33k:전열유니트
33m:내부공간 33n:가압부 33p:지지브라켓
33r:스프링 33s:쉴드브라켓 33t:가압부
33u:암나사구멍 33v:푸싱볼트 33w:프레싱편
33x:패드 33y:수용홈 33z:가압부
34a:쐐기부재 34b:수용홈 34c:가압면
35:어뎁터 37:전력선호스 39:힌지부
41:스위치설치부 43:받이판 45:전력선
46a:제 1타이밍스위치 46b:제 2타이밍스위치

Claims (2)

  1. 그 사이에 재료가 투입된 상태로 포개어지는 빵틀에 장착되어 빵틀을 가열하는 것으로서,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빵틀의 외측면에 접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받아 발열하는 히터플레이트와,
    상기 히터플레이트를 커버하는 단열차단판과,
    상기 단열차단판의 상부에 적층되며 단열차단판을 빵틀측으로 지지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히터플레이트와 단열차단판과 가압플레이트 적층체를 그 내부에 밀폐 수용하고, 그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고정나사에 의해 빵틀 외측면에 고정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커버와,
    상기 플렌지부와 빵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밀폐커버의 내부공간을 밀봉시키는 개스킷과,
    상기 밀폐커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단열차단판측으로 가압하여, 히터플레이트가 빵틀에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밀폐커버의 사이에 구비되며, 가압플레이트를 빵틀 측으로 탄력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가열기.
KR1020150011183A 2015-01-23 2015-01-23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KR10165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83A KR101655252B1 (ko) 2015-01-23 2015-01-23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83A KR101655252B1 (ko) 2015-01-23 2015-01-23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82A true KR20160091482A (ko) 2016-08-03
KR101655252B1 KR101655252B1 (ko) 2016-09-08

Family

ID=5670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183A KR101655252B1 (ko) 2015-01-23 2015-01-23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270A (ko) * 2002-10-08 2002-12-11 윤창배 콤팩트형 전열히터의 어셈블리
KR20030015588A (ko) * 2001-08-16 2003-02-25 김진학 전자석을 구비한 제빵장치
JP2013202137A (ja) * 2012-03-28 2013-10-07 Suntec Corporation:Kk 電熱調理器
KR20140131659A (ko) * 2013-05-06 2014-11-14 주식회사 와이티티월드 빵 굽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88A (ko) * 2001-08-16 2003-02-25 김진학 전자석을 구비한 제빵장치
KR20020092270A (ko) * 2002-10-08 2002-12-11 윤창배 콤팩트형 전열히터의 어셈블리
JP2013202137A (ja) * 2012-03-28 2013-10-07 Suntec Corporation:Kk 電熱調理器
KR20140131659A (ko) * 2013-05-06 2014-11-14 주식회사 와이티티월드 빵 굽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252B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2511A1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cooking insert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90223380A1 (en) Horizontal toasting device having relatively small top heating means
CN103690065A (zh) 充分均匀加热食品的空气炸锅
KR910005035B1 (ko) 바베큐 장치
JP6932191B2 (ja) 加熱調理器
KR101655252B1 (ko) 빵 베이킹용 전기식 빵틀 가열기
JP3168302U (ja) 蒸気グリル/トースタ装置
KR101515579B1 (ko) 인덕션용 구이판
JP6904171B2 (ja) 加熱調理器
EP2768364B1 (en) Cooking appliance with grill and with a grease collector tray
CN205094210U (zh) 防护型烤箱
KR101747149B1 (ko) 전기식 제빵장치
JP6843085B2 (ja) 加熱調理器
KR20170073267A (ko) 오븐 제빵기
JP7012817B2 (ja) 食パン調理用の加熱調理器
CN205094211U (zh) 家用烤箱
CN205094208U (zh) 烘烤器具
CN219000088U (zh) 一种双层玻璃隔热烤箱
JP3230849U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CN111182820B (zh) 一种用于加热具有填料的布里欧修面包的设备
JP3090604U (ja) 卓上型調理用焼き盤
RU42943U1 (ru) Двухсекционная жаровня
WO2007029181A2 (en) A cooking device
JP2006002957A (ja) 食品加熱調理装置
CN105310525A (zh) 防护型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