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258A - 중계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258A
KR20160091258A KR1020160004993A KR20160004993A KR20160091258A KR 20160091258 A KR20160091258 A KR 20160091258A KR 1020160004993 A KR1020160004993 A KR 1020160004993A KR 20160004993 A KR20160004993 A KR 20160004993A KR 20160091258 A KR20160091258 A KR 20160091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response
transmitted
acquisi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154B1 (ko
Inventor
진 카와사키
히로야스 타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1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06F13/124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is a sequential transfer control unit, e.g. microprocessor, peripheral processor or state-machine
    • G06F13/128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is a sequential transfer control unit, e.g. microprocessor, peripheral processor or state-machine for dedicated transfers to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서버가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의 사이에 서버에 걸리는 부하 및 서버와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에 걸리는 부하의 증대를 회피한다.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을 기기(4)에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해서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서버(2)에 송신하는 중계부(13)와, 서버(2)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을 경우, 중계부(13)의 커맨드 생성부(131)에 데이터의 송신을 기기(4)에 요구시키고, 서버(2)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와서야 비로소, 중계부(13)의 응답 생성부(132)에, 취득한 데이터를 서버(2)에 보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시키는 응답 판단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중계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RELAY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중계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특히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와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이다.
빌딩의 내부에 설치된 기기에 보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수 관리나 가시화 등 고객 대상 서비스 등을 위하여 데이터 센서 등 빌딩의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것은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센서에 설치된 서버의 통신 프로토콜과 기기의 통신 프로토콜이 반드시 같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게이트웨이 장치를 서버와 기기 사이에 있어서 빌딩에 설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한쪽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커맨드 등을 다른 쪽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커맨드 등으로 변환함으로써 서버와 기기 사이에 있어서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통신 수단을 개재해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웹 기능밖에 지니지 않는 기기가 등장하고 있다. 데이터 센서가 이러한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하여, 서버는,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취득할 수 있을 때까지, 기기에 반복해서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이 소망의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의 종래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도 1을 채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는, 데이터 센서(1)에 설치된 서버(2)와 빌딩(3)에 설치된 기기(4), 설비(5) 및 게이트웨이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서버(2)와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6)에 의해 접속되고, 게이트웨이 장치(10)와 기기(4)는, LAN 등의 빌딩의 내부에 구축된 내부 네트워크(7)에 의해 접속된다. 기기(4)는, 전기설비 등의 1 또는 복수의 설비(5)를 접속하고, 측정값, 설정값 등의 신호 데이터나 온/오프 등의 제어 데이터, 혹은 경보 데이터 등을 각 설비(5)로부터 수집하여 축적하는 관리 장치나 제어기 등이다. 기기(4)는, 통신 수단을 개재한 정보 제공 기능으로서 웹 기능밖에 지니고 있지 않다. 데이터 센서(1)는, 서버(2)를 이용해서, 빌딩(3)에 설치된 설비(5)의 보수 관리 등을 위하여 기기(4)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서버(2)가 예를 들면 데이터 ID=256의 신호 데이터를 기기로부터 취득하고자 한다. 이 경우, 서버(2)는 데이터 ID=256의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취득을 기기에 요구한다. 단, 게이트웨이 장치(10)는, 기기(4)의 통신 프로토콜의 사양에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블록 단위(예를 들면, 100 데이터씩)로 기기(4)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그것도, 선두의 블록으로부터 1블록씩 순번으로 취득하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최초의 블록의 취득 요구를 기기에 송신한다. 기기(4)는, 이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 ID=1∼100의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보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ID=1∼100의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보낸다.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이와 같이 기기(4)로부터 취득한 웹페이지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는,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웹페이지를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취득하지만, 이 취득한 웹페이지 중에는 데이터 ID=1∼100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데이터 ID=256의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서버(2)는, 취득한 웹페이지에 데이터 ID=256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그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다음에」 버튼을 선택한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취득 요구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0),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다음 블록의 취득을 기기(4)에 요구한다. 기기(4)는, 이 요구에 따라서 다음 데이터 ID=101∼200의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보낸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장치(10)는 기기(4)로부터 취득한 웹페이지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는,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웹페이지를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취득하지만, 이 취득한 웹페이지 중에는 데이터 ID=101∼200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데이터 ID=256의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서버(2)는, 취득한 웹페이지에 데이터 ID=256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그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다음에」 버튼을 선택한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취득 요구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다음 블록의 취득을 기기(4)에 요구한다. 기기(4)는, 이 요구에 따라서 다음 데이터 ID=201∼300의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보낸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장치(10)는, 기기(4)로부터 취득한 웹페이지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는,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웹페이지를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취득하지만, 이 취득한 웹페이지 중에는 데이터 ID=201∼300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따라서 데이터 ID=256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서버(2)는 취득 대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JP 2008-158716 A JP 2006-42164 A JP 2009-224852 A
종래에 있어서는, 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취득 요구를 발하고 나서 취득 대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을 때까지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쓸데 없는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가 있었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서버에 무용한 부하가 걸리고, 또한, 네트워크 통신량을 증대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서버가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의 사이에 서버에 걸리는 부하 및 서버와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에 걸리는 부하의 증대를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는, 서버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송신되어 온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기기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하여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에,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올 때까지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켜,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와서야 비로소 해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시키는 응답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이 상기 기기에 보유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를 그룹 단위로 취득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기로부터 취득한 그룹 중에 상기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응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에, 상기 기기에 다른 그룹의 송신을 요구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기가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동적 컨텐츠에 포함시켜서 송신할 경우,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동적 컨텐츠를 처리하는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동적 컨텐츠로부터 취득할 수 없을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에,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동적 컨텐츠로부터 취득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된 웹페이지 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에 웹페이지를 갱신시킴으로써,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키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 상기 응답 제어 수단에 참조되어, 상기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경우에 변경 후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서버와, 기기와, 상기 서버와는 제1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고, 상기 기기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상기 기기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하여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에,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올 때까지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켜,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와서야 비로소 해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시키는 응답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서버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송신되어 온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기기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하여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중계 수단,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에,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올 때까지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키고,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와서야 비로소 해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시키는 응답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가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의 사이에 서버에 걸리는 부하 및 서버와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에 걸리는 부하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기기가 데이터를 동적 컨텐츠에 포함시켜서 송신할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사양이 변경된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커맨드 기억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커맨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판단 규칙 기억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판단 규칙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응답 규칙 기억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응답 규칙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가 실시하는 처리 전체의 개요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커맨드 변환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커맨드에 포함되는 변수의 초기 규칙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응답 판단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변수의 초기 규칙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응답 생성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14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종래와 같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게이트웨이 장치(10)가 지니는 기능에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도 1에는, 데이터 센서(1)에 설치된 서버(2)와, 빌딩(3)에 설치된 기기(4), 설비(5) 및 게이트웨이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서버(2)와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인터넷 등의 제1 네트워크로서의 외부 네트워크(6)에 의해 접속된다. 또, 게이트웨이 장치(10)와 기기(4)는, LAN 등 빌딩의 내부에 구축된,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로서의 내부 네트워크(7)에 의해 접속된다. 기기(4)는, 전기설비 등의 1 또는 복수의 설비(5)를 접속하고, 측정값, 설정값 등의 신호 데이터나 온/오프 등의 제어 데이터, 혹은 경보 데이터 등을 설비(5)로부터 수집하여 축적하는 관리 장치나 제어기 등에 의해 실현된다. 기기(4)는 통신 수단을 개재한 정보 제공 기능으로서 웹 기능밖에 지니지 않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센서(1)는, 서버(2)를 이용해서, 빌딩(3)에 설치된 설비(5)의 보수 관리나 가시화 등 고객대상 서비스 등을 위하여 기기(4)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 데이터 센서(1)는, 1 또는 복수의 빌딩(3)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지만, 각 빌딩(3)은 동등한 장치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편의적으로 1개의 빌딩(3)만 도시하였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7)에는, 복수의 기기(4)가 접속되어 있을지도 모르지만, 각 기기(4) 모두 동등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편의적으로 1대만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컴퓨터를 탑재하고, 종전부터 존재하는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으로 실현된다. 즉, 게이트웨이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31), ROM(32), RAM(33),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34), 통신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외부 네트워크 접속용의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35) 및 내부 네트워크 접속용의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36)를 내부 버스(37)에 접속해서 구성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환경설정 등을 위하여 컴퓨터를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에 이용하지 않은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도면으로부터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위 통신부(11), 하위 통신부(12), 중계부(13), 응답 판단부(14), 커맨드 기억부(21), 판단 규칙 기억부(22) 및 응답 규칙 기억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상위 통신부(11), 하위 통신부(12) 및 중계부(13)는, 데이터 중계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기(4)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기기(4)에 데이터의 취득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하여 기기(4)로부터 응답되어 온 데이터를 서버(2)에 송신한다. 이 중, 상위 통신부(11)는, 외부 네트워크(6)를 개재해서 서버(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하위 통신부(12)는 내부 네트워크(7)을 개재해서 기기(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서버(2)의 통신 프로토콜과 기기(4)의 통신 프로토콜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 그래서, 중계부(13)는, 서버(2)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커맨드를 기기(4)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커맨드로 변환하는 등 해서 기기용의 커맨드를 생성하는 커맨드 생성부(131)와, 기기(4)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응답 메시지를 서버(2)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응답 메시지로 변환하는 등 하고,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응답 생성부(132)와, 응답 판단부(14)로부터의 지시에 응해서 커맨드 생성부(131) 혹은 응답 생성부(132)에 커맨드 등을 생성시키도록 실행 제어하는 생성 제어부(133)를 구비한다.
응답 판단부(14)는, 응답 제어 수단으로서 설치되고,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을 경우, 중계부(13)에,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올 때까지 기기(4)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켜,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와서야 비로소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서버(2)에 송신시키도록 지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기(4)는, 중계부(13)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1 또는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웹페이지(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응답 메시지로서 회신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기(4)가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하는 것은 단지 「데이터」로 간략하게 설명할 경우도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맨드 기억부(2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커맨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커맨드 정보에는 서버(2)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커맨드를 식별하는 상위 커맨드 번호, 해당 커맨드에 있어서의 서브 번호 및 해당 커맨드를 기기(4)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커맨드로 변환하기 위한 커맨드 모델(雛形)이 포함되어 있다. 커맨드 생성부(131)는 이 커맨드 정보를 참조해서 기기용의 커맨드의 변환, 생성을 행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단 규칙 기억부(22)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판단 규칙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판단 규칙 정보에는 전술한 상위 커맨드 번호 및 서브 번호,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 메시지의 구문에 의해 나타내지는 판단 규칙, 다음 처리 및 다음 서브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각 항목의 상세에 대해서는 동작과 함께 설명한다. 응답 판단부(14)는, 이 판단 규칙 정보를 참조해서 기기(4)로부터 수취한 데이터(응답 메시지)를 해석하고, 기기(4)로부터 다른 데이터를 취득할지, 혹은 취득한 데이터를 서버(2)에 송신할지를 판단해서 중계부(13)에 다음 처리를 지시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응답 규칙 기억부(23)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응답 규칙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응답 규칙 정보에는 전술한 상위 커맨드 번호, 해당 커맨드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모델(응답 모델)이 포함되어 있다. 응답 생성부(132)는 이 응답 규칙 정보를 참조해서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서버(2)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응답 메시지로 변환함으로써 생성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11 내지 14)는, 게이트웨이 장치(10)에 탑재된 컴퓨터와, 컴퓨터에 탑재된 CPU(31)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과의 협조 동작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억부(21 내지 23)는 게이트웨이 장치(10)에 탑재된 HDD(34)에서 실현된다. 혹은, RAM(33) 또는 외부에 있는 기억 수단을 네트워크 경유로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프로그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제공하는 것은 물론, CD-ROM이나 USB 메모리 등의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에 격납해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수단이나 기록 매체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인스톨되어, 컴퓨터의 CPU가 프로그램을 순차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가 실현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서버(2)가 기기(4)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 ID=256으로 식별되는 신호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서버(2)는, 데이터 ID=256의 신호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하여 데이터 취득 요구로서 커맨드 "GET/signal? no=256 HTTP/1.1"을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한다. 또, 이 커맨드에 포함되는 "256"은 데이터 ID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커맨드를 수신한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있어서의 처리 전체의 개요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낸 순서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있어서의 상위 통신부(11)가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를 수신하면(스텝 100), 중계부(13)에 있어서의 커맨드 생성부(131)는, 커맨드 기억부(21)에 설정된 커맨드 정보를 참조해서, 수신한 커맨드를 기기(4)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커맨드로 변환함으로써 기기용의 커맨드를 생성한다(스텝 200). 하위 통신부(12)는, 중계부(13)에 있어서 생성된 커맨드를 기기(4)에 송신함으로써, 서버(2)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스텝 300). 기기(4)는,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취득한 데이터(실행 결과)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4)는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송신하게 된다.
하위 통신부(12)가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취득하면(스텝 400), 응답 판단부(14)는, 판단 규칙 기억부(22)에 기억된 판단 규칙을 참조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다음에 실시해야할 처리를 결정한다(스텝 500). 결정한 처리가 기기(4)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인 경우, 즉, 서버(2)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데이터 ID=256의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스텝 600에서 "아니오"), 응답 판단부(14)는 중계부(13)에 있어서의 생성 제어부(133)에 기기(4)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지시한다. 생성 제어부(133)는 응답 판단부(1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커맨드 생성부(131)에 커맨드의 생성을 지시한다. 커맨드 생성부(131)는 이 지시에 따라서 기기(4)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커맨드를 생성한다(스텝 200). 또한, 상기 스텝 200 내지 500은, 서버(2)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취득될 수 있을 때까지 반복 실행된다.
한편, 결정한 처리가 서버(2)에의 응답인 경우, 즉, 서버(2)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중에 포함되어 있던 경우(스텝 600에서 "예"), 응답 판단부(14)는 중계부(13)에 있어서의 생성 제어부(133)에 서버(2)에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응답 메시지의 생성을 지시한다. 생성 제어부(133)는 응답 판단부(1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응답 생성부(132)에 응답 메시지의 생성을 지시한다. 응답 생성부(132)는 이 지시에 따라서 응답 규칙 기억부(23)에 기억된 응답 규칙 정보를 참조해서, 해당 데이터를 서버(2)에 송신하기 위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스텝 700). 그리고, 상위 통신부(11)는 응답 생성부(132)에 의해 생성된 커맨드를 서버(2)에 송신한다(스텝 800). 이와 같이 해서,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요구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상이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있어서의 처리의 개요이지만, 다음에, 스텝 200을 실시하는 커맨드 생성부(131)에 있어서의 커맨드 변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낸 순서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상위 통신부(11)가 수신한 커맨드를 받으면(스텝 201), 커맨드 생성부(131)는, 우선, 커맨드의 생성에 이용하는 각종 변수를 적절하게 초기화한다(스텝 203). 커맨드 생성 시에 있어서의 초기화 규칙을 도 9에 나타낸다. 커맨드 생성부(131)는, 신호 데이터의 취득 요구에 대해서는, 서브 번호=1, pp(페이지 번호)=1, 그리고 변수 no를 "256"으로 초기화한다. 경보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커맨드 "GET/alarm? no=x HTTP/1.1"에 대해서도 신호 데이터와 같은 초기화를 실시한다. 또, 도 9에 나타낸 변수 data는, "GET/startstop? no=x&data=y HTTP/1.1"이라고 하는 포맷(구문)으로 표시되는 제어용의 커맨드에 포함되어 있다.
계속해서, 커맨드 생성부(131)는, 커맨드 기억부(21)를 참조해서, 수취한 커맨드 "GET/signal? no=256 HTTP/1.1"을 해석함으로써 "signal"이라고 하는 상위 커맨드에 해당하는 커맨드인 것을 특정하면, 상위 커맨드 번호=1, 서브 번호=1 및 커맨드 모델을 취득한다(스텝 204). 또, 이 예에서는, 초기값 및 스텝 204에서 취득한 서브 번호는 모두 1이지만, 초기값을, 취득한 서브 번호로 갱신한다. 그리고, 커맨드 생성부(131)는, 커맨드 모델에 변수를 대입함으로써 기기용의 커맨드를 생성한다(스텝 205). 구체적으로는, "/kanrilist? page=1"로 생성한다.
또, 커맨드 생성부(1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 통신부(11)가 서버(2)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와, 응답 판단부(1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지만, 후자의 처리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 또한, 스텝 204에 있어서 커맨드 생성부(131)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는, RAM(33) 등에 기억하고,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도 참조 가능하게 보유해둔다.
하위 통신부(12)가 이상과 같이 해서 생성된 커맨드를 기기(4)에 송신하면(스텝 300), 기기(4)는, 내부에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 중에서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추출해서 회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기(4)는,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각각에 식별 정보(데이터 ID)를 할당해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를 페이지(그룹) 단위로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기(4)는, 데이터를 데이터 ID의 순번으로 나열하고, 1페이지에 100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페이지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커맨드에 페이지 번호=1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기(4)는, 1페이지째에 포함되는 데이터, 즉, 데이터 ID=1∼100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응답 메시지로서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하게 된다. 게이트웨이 장치(10)는, 기기(4)로부터 데이터를 그룹 단위로 취득하지만, 이 그룹이라고 하는 것은, 기기(4)가 생성하는 페이지와 같은 뜻이다.
송신한 커맨드에 대한 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하위 통신부(12)가 기기(4)로부터 취득하면(스텝 400), 응답 판단부(14)는, 다음에 처리해야 할 처리를 결정한다(스텝 500). 이하, 스텝 500을 실시하는 응답 판단부(14)에 있어서의 응답 판단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도 10에 나타낸 순서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서브 번호=2일 때의 startstop 커맨드의 경우에는 스텝 500, 600은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응답 판단부(14)는, 우선 커맨드 생성부(131)가 취득한 상위 커맨드 번호 및 서브 번호를 취득하고(스텝 501), 이 상위 커맨드 번호 및 서브 번호로 판단 규칙 기억부(22)를 검색함으로써 상위 커맨드 및 서브 번호의 조에 대응하는 판단 규칙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502). 그리고, 후술하는 변수 "next"의 초기값으로서, 판단 규칙 정보에 포함되는 다음 처리의 설정값을 설정한다(스텝 503). 신호 데이터를 취득하는 이 예에서는, "request"가 설정된다. 또, 응답 판단부(14)가 취급하는 변수를 도 11에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기기(4)로부터의 데이터는, 도 5에 나타낸 판단 규칙 정보에 포함되는 판단 규칙에 나타낸 포맷에 따라서 송신되어 온다. 예를 들면, 신호 데이터는, "kanriid= "no"&shingou= "signal""이라고 하는 구문에 따라 기재되어서 송신되어 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1페이지 내에 100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기(4)로부터는, "kanriid= "1"&shingou= "12.3""으로부터 "kanriid= "100"&shingou= "45.6""까지의 100 데이터가 리스트 형식으로 정리되어 송신되어 온다. 또, shingou에 대응되는 데이터값 "12.3"과 "45.6"은 일례이다.
여기에서, 응답 판단부(14)는,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취득 대상 데이터(데이터 ID=256)와, 기기(4)로부터 취득한 100 데이터 각각의 "no"에 설정된 데이터 ID를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게이트웨이 장치(10)는, 데이터 ID=1∼100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게 되므로, 취득 대상 데이터(데이터 ID=256)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기기(4)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스텝 504에서 "아니오"), 응답 판단부(14)는, 기기(4)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이 계속해서 실행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기기(4)가 보유하고 있는 전체 페이지를 이미 취득한 경우나, 기기(4)로부터 지금까지와 다른 구문(도 5에 나타낸 판단 규칙)의 HTML 문서가 송신되어 온 경우 등은, 계속해서 실행할 수는 없다. 계속해서 실행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507에서 "아니오"), 응답 판단부(14)는, 정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NG"를 변수 responsecode에, 서버(2)에 응답하는 취지의 "response"를 변수 next에 각각 설정한다(스텝 510). 그리고, 응답 판단부(14)는, 생성 제어부(133)에 대해서, 응답 생성부(132)에 의한 응답 메시지의 생성을 지시한다(스텝 511).
한편, 기기(4)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507에서 "예"), 응답 판단부(14)는, 정상으로 처리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OK"를 변수 responsecode에 설정한다(스텝 508). 또한, 기기(4)에 데이터 취득을 요구하는 취지의 "request"는 변수 next에 초기 설정 완료이다. 여기에서는, 게이트웨이 장치(10)는, 데이터 ID=1∼100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으므로, 변수 responsecode에는 "OK"가, 변수 next에는 "request"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응답 판단부(14)는, 생성 제어부(133)에 대해서, 커맨드 생성부(131)에 의한 커맨드의 생성을 지시한다(스텝 509).
도 8에 있어서, 생성 제어부(133)가 응답 판단부(14)로부터 커맨드의 생성 지시를 받은 경우(스텝 201, 202에서 "아니오"), 커맨드 생성부(131)는, 변수 pp에 1 가산함으로써 취득하는 페이지 번호를 갱신한다(스텝 206). 그리고, 커맨드 생성부(131)는, 커맨드 모델에 변수를 대입함으로써 기기용의 커맨드를 생성한다(스텝 205). 구체적으로는, "/kanrilist? page=2"와, 2페이지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커맨드를 생성한다.
하위 통신부(12)가 커맨드를 기기(4)에 송신하고, 그 송신된 커맨드에 의해 기기(4)가 얻은 데이터(실행 결과)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하는 처리(스텝 300, 400)는 상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지만, 여기에서는, 게이트웨이 장치(10)는, 데이터 ID=101∼200의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ID=101∼200의 데이터에는, 취득 대상 데이터(데이터 ID=256)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응답 판단부(14)는, 전술한 데이터 ID=1∼100의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의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8에 있어서, 생성 제어부(133)가 응답 판단부(14)로부터 커맨드의 생성 지시를 받은 경우(스텝 201, 202에서 "아니오"), 커맨드 생성부(131)는, 변수 pp에 1 가산함으로써 페이지 번호를 갱신함으로써(스텝 206), "/kanrilist? page=3"이라고 하는 기기용의 커맨드를 생성한다(스텝 205).
이와 같이 해서, 게이트웨이 장치(10)가 데이터 ID=201∼300의 데이터를 기기(4)로부터 취득하면, 이 취득한 데이터 중에는 취득 대상 데이터(데이터 ID=256)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스텝 504에서 "예"), 응답 판단부(14)는, 서버(2)에의 응답에 필요한 각 변수에 값을 설정한다(스텝 505). 이 예와 같이 취득 대상 데이터가 신호 데이터인 경우, 수신 결과의 kanriid에 설정된 no(데이터 ID, 이 예에서는, 256)를 변수 no에, 수신 결과의 shingou에 설정된 signal(데이터 ID=256의 데이터값)을 변수 signal에, 정상으로 처리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OK"를 변수 responsecode에, 그리고, 서버(2)에 응답하는 취지의 "response"를 변수 next에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응답 판단부(14)는, 생성 제어부(133)에 대해서, 응답 생성부(132)에 의한 응답 메시지의 생성을 지시한다(스텝 506).
서버(2)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스텝 600에서 "예"), 환언하면 변수 next에 "response"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응답 생성부(132)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지만(스텝 700), 이 응답 생성부(132)에 있어서의 응답 생성 처리에 대해서 도 12에 나타낸 순서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응답 생성부(132)는, 커맨드 생성부(131)가 추출하고 있는 상위 커맨드 번호에 의거해서 응답 규칙 기억부(23)를 검색함으로써 응답 모델을 취득한다(스텝 701). 그리고 취득한 모델의 각 변수에 응답 판단부(14)에 의해 설정된 값을 각각 설정함으로써 서버(2)에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스텝 70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하고 있는 신호 데이터의 경우,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대해서, 데이터 ID=256의 데이터값이 "23.4"인 경우, 응답 생성부(132)는 "responsecode=OK&no=256&result=23.4"라고 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위 통신부(11)는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대해서 응답 생성부(132)에 의해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800).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상과 같이 해서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요구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술한 예와 같이 데이터 ID=256의 데이터를 취득 대상으로 한 경우, 종래에 있어서는, 서버(2)는 데이터 ID=1∼100, 101∼200에 대한 웹 화면이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오므로, 이들에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즉, 취득 대상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 게이트웨이 장치(10)와의 사이에서 3회 정보의 수수를 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버(2)는, 데이터 취득 요구를 하고 나서 취득 대상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의 사이에 어떠한 대응도 할 필요가 없다. 즉, 송신한 데이터 취득 요구에 대해서 직접 취득 대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2)는, 종래에 비해서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서버(2)가 취득 대상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의 사이에 서버(2)와 게이트웨이 장치(10) 사이에서 어떠한 데이터 통신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종래에 비해서 외부 네트워크(6)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기기(4)는, HTML에서 기재된 문서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하고,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있어서의 응답 판단부(14)가 그 문서를 해석하고, 서버(2)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가 취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커맨드 생성부(131)에 데이터 취득의 커맨드를 다시 생성시키도록 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기(4)가 동적 컨텐츠의 일례로서 스크립트를 송신할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또,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실시형태 1에 페이지 처리부(15)를 추가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페이지 처리부(15)는,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기기(4)가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동적 컨텐츠에 포함시켜서 송신할 경우,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동적 컨텐츠를 처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구성 및 각 구성 요소에 있어서의 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서버(2)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커맨드 생성부(131)가 생성한 커맨드를 기기(4)에 보내는 곳까지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기(4)가 커맨드의 실행 결과를 스크립트로 되돌릴 경우이다. 이 경우, 하위 통신부(12)가 기기(4)로부터 스크립트를 수신하면, 페이지 처리부(15)는, 그 스크립트를 처리해서 기기(4)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해서 가상적으로 표시한다.
응답 판단부(14)는, 가상적으로 표시된 내용을 참조해서, 서버(2)로부터 요구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환언하면 기기(4)로부터의 스크립트에,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웹페이지 상의 「다음에」 버튼을 선택하는 것을 페이지 처리부(15)에 지시한다. 페이지 처리부(15)는, 이 지시에 따라서 버튼 조작을 행함으로써, 그 조작 지시를 하위 통신부(12)를 개재해서 기기(4)에 송신한다. 이것을 서버(2)로부터 요구된 데이터가 표시될 때까지 반복 실행한다. 그리고, 서버(2)로부터 요구된 데이터가 화면 표시되면, 환언하면 서버(2)로부터 요구된 데이터를 기기(4)로부터 취득할 수 있었던 후의 처리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지 처리부(15)에 스크립트를 처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웹페이지를 가상적으로 생성시키도록 했지만, 스크립트의 구문을 해석해서 서버(2)로부터 요구된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스크립트에 직접 포함시킬 경우를 상정했지만, 스크립트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스크립트에 포함되어 있는 계산식에 대입해서 산출하는 등 해도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간접적으로 얻도록 해도 된다. 어떻든 간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스크립트로부터 취득할 수 있을 때까지 기기(4)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적 컨텐츠로서 스크립트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FLASH(등록상표)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5 등을 이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3.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응답 판단부(14)가 기기(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웹 화면(HTML 문서)을 해석함으로써 서버(2)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는지를 판단하고 있다. 단, 기기(4)가 송신하는 웹 화면(HTML 문서)의 구문의 변경 등 기기(4)와 주고받을 때의 사양이 변경되면, 응답 판단부(14)는, HTML 문서의 해석을 정상으로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릴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사양의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또,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실시형태 1에 갱신 데이터 취득부(16)를 추가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갱신 데이터 취득부(16)는, 갱신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기기(4)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경우에 변경 후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서 판단 규칙 기억부(22)에 기억된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구성 및 각 구성 요소에 있어서의 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를 들면 기기(4)가 송신하는 HTML 문서의 사양이 변경된 것에 의해, 응답 판단부(14)가 HTML 문서를 정상으로 해석할 수 없게 된 것으로 한다. 이것은, 도 10에 있어서의 스텝 507에 있어서 다음 처리의 실행이 불가능할 경우에 해당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해서 응답 판단부(14)는 처리를 종료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갱신 데이터 취득부(16)에 그 취지를 전해준다. 그리고, 갱신 데이터 취득부(16)는, 서버(2)에 최신의 사양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또한, 데이터 센서(1)에서는, 빌딩(3)의 기기(4)에 있어서 웹 화면의 사양이 변경되어 있는 것을 사전에 인식하고 있어, 그 변경 후의 최신의 웹 화면에 대응한 사양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서버(2)는, 갱신 데이터 취득부(16)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기기(4)의 사양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송신한다.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사양정보를 취득하면, 갱신 데이터 취득부(16)는, 그 사양정보로 판단 규칙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판단 규칙 정보, 구체적으로는 판단 규칙에 설정되어 있는 구문을 갱신한다. 판단 규칙 정보가 갱신된 것을 인식하면, 응답 판단부(14)는, 도 10에 있어서의 스텝 504로부터 처리를 계속해서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상과 같이 해서 기기(4)가 송신하는 웹 화면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기(4)가 송신하는 HTML 문서의 변경에 착안해서 설명했지만, 기기(4)의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업이나 변경 등이 실시되었을 경우, 갱신 데이터 취득부(16)는, 서버(2)로부터 그 변경 후의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사양정보를 취득해서, 판단 규칙 기억부(22)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커맨드 기억부(21)에 설정되어 있는 커맨드 모델을 갱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서버(2)의 통신 프로토콜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서버(2)와 기기(4)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계속해서 할 수 있도록, 갱신 데이터 취득부(16)는 응답 규칙 기억부(23)에 설정되어 있는 응답 모델을 적절하게 변경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2)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서버(2) 및 외부 네트워크(6)에 부하를 가하는 일 없이 서버(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게이트웨이 장치(10)를 설비(5)의 감시, 관리를 위한 빌딩 감시 시스템 등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목적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해도 된다.

Claims (6)

  1. 서버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송신되어 온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기기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당해 요구에 대하여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중계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에,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올 때까지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켜,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와서야 비로소 해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시키는 응답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이 상기 기기에 보유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를 그룹 단위로 취득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기로부터 취득한 그룹 중에 상기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응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에, 상기 기기에 다른 그룹의 송신을 요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동적 컨텐츠에 포함시켜서 송신할 경우,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동적 컨텐츠를 처리하는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동적 컨텐츠로부터 취득할 수 없을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에,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동적 컨텐츠로부터 취득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된 웹페이지 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처리 수단에 웹페이지를 갱신시킴으로써,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응답 제어 수단에 참조되어, 상기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경우에 변경 후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6. 서버;
    기기; 및
    상기 서버와는 제1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고, 상기 기기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요구에 따라서 상기 기기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당해 요구에 대하여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에,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올 때까지 상기 기기에 더 한층의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시켜, 상기 데이터 취득 요구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와서야 비로소 해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시키는 응답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20160004993A 2015-01-23 2016-01-14 중계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2392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0891 2015-01-23
JP2015010891A JP6138178B2 (ja) 2015-01-23 2015-01-23 中継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258A true KR20160091258A (ko) 2016-08-02
KR102392154B1 KR102392154B1 (ko) 2022-04-28

Family

ID=5651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93A KR102392154B1 (ko) 2015-01-23 2016-01-14 중계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38178B2 (ko)
KR (1) KR102392154B1 (ko)
CN (1) CN105827300B (ko)
TW (1) TWI6658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8176B2 (en) 2016-10-31 2022-01-18 Kyocer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ethod, local control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system
JP6882318B2 (ja) 2016-10-31 2021-06-02 京セラ株式会社 電力管理方法、電力管理サーバ、ローカル制御装置及び電力管理システム
US10893128B2 (en) 2016-10-31 2021-01-12 Kyocer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ethod, local control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system
US11949269B2 (en) 2018-06-28 2024-04-02 Kyocera Corporation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JP7176305B2 (ja) * 2018-09-03 2022-1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中継装置、中継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060A (ja) * 2001-09-10 2003-03-20 Nec Corp 分散処理システム、中継計算機、処理計算機、中継計算機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計算機プログラム
JP2006042164A (ja) 2004-07-29 2006-02-09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8158716A (ja) 2006-12-22 2008-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オブジェクト間マッピング方法、オブジェクト間マッピングプログラム、ゲートウェイ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9224852A (ja) 2008-03-13 2009-10-01 Toshiba Corp 設備機器連携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並びにエージェント装置
KR20140077127A (ko) * 2012-12-13 201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946B2 (ja) * 1999-11-12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ールバック通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4176359B2 (ja) * 2002-03-01 2008-11-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取得方法、中継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633948B2 (en) * 2003-07-07 2009-12-15 Panasonic Corporation Relay device and server, and port forward setting method
FR2860674A1 (fr) * 2003-10-07 2005-04-08 Thomson Licensing Sa Methode de transmission de services dvb sur un reseau ip et appareil mettant en oeuvre la methode
CN1943209A (zh) * 2004-04-20 2007-04-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信网络系统和通信装置
US8010647B2 (en) * 2006-12-11 2011-08-30 Murata Machinery, Ltd. Relay server and relay communication system arranged to share resources between networks
WO2008105106A1 (ja) * 2007-02-28 2008-09-04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通信品質制御システム
JP2010109907A (ja) * 2008-10-31 2010-05-13 Fujitsu Ltd 中継装置、アクセス解析装置、中継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1010077A (ja) * 2009-06-26 2011-01-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システム
WO2013011545A1 (ja) * 2011-07-15 2013-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方法
JP5857603B2 (ja) * 2011-10-04 2016-02-10 村田機械株式会社 中継サー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060A (ja) * 2001-09-10 2003-03-20 Nec Corp 分散処理システム、中継計算機、処理計算機、中継計算機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計算機プログラム
JP2006042164A (ja) 2004-07-29 2006-02-09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8158716A (ja) 2006-12-22 2008-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オブジェクト間マッピング方法、オブジェクト間マッピングプログラム、ゲートウェイ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9224852A (ja) 2008-03-13 2009-10-01 Toshiba Corp 設備機器連携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並びにエージェント装置
KR20140077127A (ko) * 2012-12-13 201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27300A (zh) 2016-08-03
JP2016136297A (ja) 2016-07-28
JP6138178B2 (ja) 2017-05-31
CN105827300B (zh) 2020-01-10
TW201628376A (zh) 2016-08-01
TWI665892B (zh) 2019-07-11
KR102392154B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1258A (ko) 중계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CN108259598B (zh) 一种基于异构融合及云解析技术的感知设备统一接入方法
CN10823417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以及装置
KR20130099733A (ko)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07819657B (zh) 一种基于集中控制的动态解析Modbus协议的方法、物联网网关设备和系统
KR102067770B1 (ko) 다수의 이기종 로봇을 통합 관제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5514040B2 (ja) 運用管理システム、運用管理方法及び運用管理装置
US20150127821A1 (en) Control device
CN103327051A (zh) 远程桌面管理系统及方法
JP5420112B2 (ja) ネットワーク解析支援装置、ネットワーク試験装置、ネットワーク解析支援方法、ネットワーク試験方法、ネットワーク解析支援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試験プログラム
CA2883612C (en) Cloud-enhanced traffic controller
CN103003809A (zh) 用于管理远程用户界面的设备和方法及系统
KR102131029B1 (ko)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식별 방법 및 시스템
US10643039B2 (en) Location based situation awareness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4041404A (ja) ターミナルサービス監視装置
JP2014060636A (ja) 通信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
JP2012216890A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JP6359584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KR101235199B1 (ko) 웹기술을 이용하여 저성능 원격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740214B2 (en) Management computer,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program
KR20210081065A (ko) 인공지능 모듈을 구비하는 산업용 통신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데이터 수집 게이트웨이
JP6144571B2 (ja) プラント管理装置およびプラント管理方法
KR101707698B1 (ko) 다중 플랫폼을 위한 프로젝트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6017991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p analytics to edge devices
EP4246141A1 (en) Gas chromatograph,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