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124A -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124A
KR20160091124A KR1020150011386A KR20150011386A KR20160091124A KR 20160091124 A KR20160091124 A KR 20160091124A KR 1020150011386 A KR1020150011386 A KR 1020150011386A KR 20150011386 A KR20150011386 A KR 20150011386A KR 20160091124 A KR20160091124 A KR 20160091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battery unit
pressing plate
barri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겸
박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124A/ko
Priority to US14/970,407 priority patent/US9876260B2/en
Priority to CN201610030625.1A priority patent/CN105826492B/zh
Publication of KR2016009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유닛;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외부를 밴드 형태로 감싸며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플레이트; 및 상기 압박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와 대응하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박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이차전지 사이를 지나 상기 볼트 체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A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차량에 적용되는 이차전지는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운전석 밑이나 트렁크에 기존 스페어 타이어 자리와 같이 공간이 협소한 위치에 장착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제작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크기가 최소화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유닛;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외부를 밴드 형태로 감싸며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플레이트; 및 상기 압박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와 대응하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박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이차전지 사이를 지나 상기 볼트 체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유닛과 상기 압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의 위치가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커버하는 고정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커버 유닛은,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1 배리어가 형성된 상부 커버;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2 배리어가 형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3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 플레이트의 상부, 상기 제1 배리어, 상기 제2 배리어 및 상기 제3 배리어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압박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 체결부가 관통되는 체결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리어에는 상기 볼트 체결부가 삽입되는 체결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상부를 감싸며 압박하는 상부 압박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하부를 감싸며 압박하는 하부 압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용접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각각 단차 절곡되고,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내에 놓인 상태로 서로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압박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압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간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라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호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호 회로부를 수용하고,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가 최소화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유닛, 커버 유닛 및 압착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 유닛에 버스바 홀더, 버스바 및 가스배출 조립체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차전지 유닛에 하우징, 절연 커버 벤트 및 홀 부재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유닛, 커버 유닛 및 압착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 유닛에 버스바 홀더, 버스바 및 가스배출 조립체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차전지 유닛에 하우징, 절연 커버 벤트 및 홀 부재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이차전지 유닛(110), 고정 커버 유닛(120), 압박 플레이트(130), 하우징(140), 버스바 홀더(150), 절연 커버(160) 및 보호 회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d1, d2)을 두고 수평(X축) 및 수직(Z축)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111a, 111b, 112a, 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전지 배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행렬(matrix)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은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차전지(111)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에서 1행1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차전지(112)는 1행2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차전지(113)는 2행1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이차전지(114)는 2행2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이차전지(111, 113)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4 이차전지(112, 114) 사이는, 서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일정 간격(d1)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2 이차전지(111, 112)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4 이차전지 사이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일정 거리(d2)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11, 12)와 안전벤트(13)를 구비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눕혀진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차전지의 특정 구조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공지된 모든 각형 전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은 상부 커버(121), 하부 커버(122) 및 제 3 배리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21)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21)에는 제1 배리어(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리어(121a)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2 및 제4 이차전지(112, 114) 사이를 일정 간격(d1)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배리어(121a)는, 상기 상부 커버(12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및 제4 이차전지(112, 1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배리어(121a)는 상기 제2 및 제4 이차전지(112, 114)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일정 간격(d1)을 유지한 상태로 이들의 배열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21)에는 상기 제1 배리어(121a)을 관통하는 제1 볼트 관통홀(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22)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22)에는 제2 배리어(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122a)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 및 제3 이차전지(111, 113) 사이를 일정 간격(d1)으로 분리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배리어(122a)는, 상기 하부 커버(12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3 이차전지(111, 113)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배리어(122a)는 상기 제1 및 제3 이차전지(111, 113)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일정 간격(d1)을 유지한 상태로 이들의 배열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22)에는 상기 제2 배리어(122a)를 관통하는 제2 볼트 관통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122)에는 제2 볼트 관통홀(122b)과 연결되며 볼트 삽입홈(12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 삽입홈(122c)에는 상기 하우징(140)의 바닥면(141)으로부터 돌출된 볼트 체결부(14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 배리어(123)는 상기 상부 커버(121)와 상기 하부 커버(12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배리어(123)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 및 제2 이차전지(111, 112) 사이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이차전지(113, 114) 사이를 각각 일정 간격(d2)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배리어(123)에는 제3 볼트 관통홀(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볼트 관통홀(123a)은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121b, 122b)과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121b, 122b)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의 배열 위치가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 간의 불필요한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의 부피 팽창 시 스웰링(swelling)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 중 적어도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 사이를 서로 이격시키는 부분은,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의 부피 팽창 시 스웰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의 상기 보호 회로부(190)와의 전기적 연결 및 가스 배출을 위해 전방(Y축방향)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는,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와 하부 압박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는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에 수납된 이차전지 유닛(110)의 외부를 따라 밴드(band)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compression)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상부를 감싸며 압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는 상기 제2 및 제4 이차전지(112, 114)의 일측부, 상면 그리고 타측부를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에는 상기 제1 볼트 관통홀(121b)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4 볼트 관통홀(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132)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하부를 감싸며 압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및 제3 이차전지(111, 113)의 일측부, 상면 그리고 타측부를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131)에는 상기 체결부 삽입홈(132b)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 관통홀(13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관통홀(132b)에는 상기 볼트 체결부(143)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이차전지(111, 112, 113, 114) 간의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전체적인 두께와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의 양측 단부(131a)는 각각 단차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132)의 양측 단부(132a)는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의 양측 단부(131a) 내에 놓인 상태로 각각 용접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의 측단부(131a)를 단차 절곡시키면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132)의 측단부(132a)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용접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와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132)는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131)와 하부 압박 플레이트(132)는 용접 및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방열을 위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과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수용하며,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과 더욱 견고히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40)은 바닥면(141) 및 상기 바닥면(140)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다수의 측벽(142), 볼트 체결부(143), 볼트(144) 및 접착층(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부(143)는, 상기 하우징(140)의 바닥면(141)에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부(143)의 그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144)는 상기 제4 볼트 관통홀(131b), 제1 볼트 관통홀(121b), 제3 볼트 관통홀(123a) 및 제2 볼트 관통홀(122b)을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볼트 체결구(143)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볼트(144)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체결구(143)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볼트 체결부(143)와 볼트(144)는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과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에 의해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상기 하우징(140)에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체결부(143)와 볼트(144)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바깥쪽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보다 부품수가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40)에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균형 있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체결부(143)와 볼트(144)에 대한 부품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모듈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45)은, 상기 하우징(140)의 바닥면(141)에 형성되어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를 상기 하우징(140)에 보다 잘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변형 시 뒤틀림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45)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라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와 상기 바닥면(141) 간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하우징(140)을 통해 보다 잘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이차전지(110)의 방열을 위해 열 전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4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한 탑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46)는 상기 상부 커버(121)의 상면의 네 모퉁이에 각각 형성된 커버 체결부(121c)와 볼트(146a)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배터리 모듈(100)이 차량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140)의 네 모퉁이에 각각 결합홀(14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상기 결합홀(147a)을 통해 고정 볼트(147b)가 차량의 특정 위치에 결합됨으로써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홀더(150)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과 상기 절연 커버(160) 사이에 위치하며 결합 볼트(163)를 통해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홀더(150)에는 버스바(151)와 멀티 가스켓(152)이 각각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51)는 상기 버스바 홀더(150)가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11, 12)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멀티 가스켓(152)은 상기 안전벤트(13)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버스바 홀더(15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멀티 가스켓(150)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이차전지의 안전벤트(13)와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가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홀더(150)에는 상단 걸림부(153a)와 하단 걸림부(153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걸림부(153a)는 상기 버스바 홀더(150)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 걸림부(153b)는 상기 버스바 홀더(15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걸림부(153a)와 상기 하단 걸림부(153b)는 각각 상기 버스바 홀더(15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걸림부(153a)와 상기 하단 걸림부(153b)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121)의 상면에 상부 돌출부(121d)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122)의 하면에 하부 돌출부(122d)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돌출부(121d)가 상기 상단 걸림부(153a)에 억지 끼움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122d)가 상기 하단 걸림부(153b)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 홀더(150)의 상하 단부가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커버(160)는 상기 버스바 홀더(150)를 커버하도록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커버(160)의 상부 양측단에는 제2 상부 결합홀(160a)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커버(160)의 하부 양측단에는 제2 하부 결합홀(16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결합홀(160a)은 상기 제1 상부 결합홀(150a)과 대응되고 상기 제2 하부 결합홀(160b)은 상기 제1 하부 결합홀(150b)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 커버(160)는 상기 버스바 홀더(150)와 함께 결합 볼트(163)를 통해 상기 고정 커버 유닛(12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커버(160)는 덕트(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벤트홀 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미도시)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가스 방출 시 상기 안전벤트(13)와 상기 멀티 가스켓(152)를 통해 각각 배출되는 가스를 상기 벤트홀 부재(163)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벤트홀 부재(163)는 상기 덕트(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덕트(미도시)를 통해 유도된 가스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 회로부(170)는 상기 하우징(140) 내에 수용되며 상기 버스바(151)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부(170)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17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부(170)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구성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커버 유닛(120)이 탄성력을 가진 절연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기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부피 팽창 시 스웰링(swelling)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박 플레이트(130)를 이용하여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40)을 이용하여 차량의 특정 위치에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 체결부(143)와 볼트(144)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40)에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볼트 체결부(143)와 볼트(144)를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중심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40)에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품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부품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모듈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상기 하우징(140)에 보다 균형 있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145)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40)에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을 보다 견고히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이차전지 유닛(110)의 변형 시 뒤틀림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배터리 모듈 110: 이차전지 유닛
120: 고정 커버 유닛 121: 상부 커버
121a: 제1 배리어 121b: 제1 볼트 관통홀
121c: 커버 체결부 121d: 상부 돌출부
122: 하부 커버 122a: 제2 배리어
122b: 제2 볼트 관통홀 122c: 체결부 삽입홈
122d: 하부 돌출부 123: 제3 배리어
123a: 제3 볼트 관통홀 124a: 상부 홀더 체결부
124b: 하부 홀더 체결부 130: 압박 플레이트
131: 상부 압박 플레이트 131a: 제1 측단부
131b: 제4 볼트 관통홀 132: 하부 압박 플레이트
132a: 제2 측단부 132b: 제5 볼트 관통홀
140: 하우징 141: 바닥면
142: 측벽 143: 볼트 체결부
144: 볼트 145: 접착층
146: 탑 커버 147a: 결합홀
150: 버스바 홀더 150a: 제1 상부 결합홀
150b: 제1 하부 결합홀 151: 버스바
152: 멀티 가스켓 153a: 상단 걸림부
153b: 하단 걸림부 160: 절연 커버
160a: 제2 상부 결합홀 160b: 제2 하부 결합홀
162: 벤트홀 부재 163: 결합 볼트

Claims (10)

  1.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유닛;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외부를 밴드 형태로 감싸며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플레이트; 및
    상기 압박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와 대응하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박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이차전지 사이를 지나 상기 볼트 체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유닛과 상기 압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이차전지의 위치가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커버하는 고정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버 유닛은,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1 배리어가 형성된 상부 커버;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2 배리어가 형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차전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3 배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플레이트의 상부, 상기 제1 배리어, 상기 제2 배리어 및 상기 제3 배리어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압박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 체결부가 관통되는 체결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리어에는 상기 볼트 체결부가 삽입되는 체결부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상부를 감싸며 압박하는 상부 압박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하부를 감싸며 압박하는 하부 압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전지 유닛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용접되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각각 단차 절곡되고,
    상기 하부 압박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상기 상부 압박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내에 놓인 상태로 서로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압박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기 이차전지 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압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간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라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호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호 회로부를 수용하고,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50011386A 2015-01-23 2015-01-23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091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386A KR20160091124A (ko) 2015-01-23 2015-01-23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US14/970,407 US9876260B2 (en) 2015-01-23 2015-12-15 Battery module
CN201610030625.1A CN105826492B (zh) 2015-01-23 2016-01-18 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386A KR20160091124A (ko) 2015-01-23 2015-01-23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124A true KR20160091124A (ko) 2016-08-02

Family

ID=5643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386A KR20160091124A (ko) 2015-01-23 2015-01-23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76260B2 (ko)
KR (1) KR20160091124A (ko)
CN (1) CN10582649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550A (ko) * 2019-11-29 2022-06-29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모듈, 장치 및 실효 배터리 셀의 실효 처리 방법
KR20220099119A (ko) * 2019-11-29 2022-07-12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모듈, 장치 및 실효 배터리 셀의 실효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342B1 (ko) * 2017-12-15 2022-01-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분해용 툴 및 분해용 툴을 이용하는 배터리 모듈
KR102319537B1 (ko) * 2017-12-20 2021-10-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11563254B2 (en) * 2018-03-20 2023-01-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DE102018210819A1 (de) * 2018-07-02 2020-01-02 Audi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Traktionsbatterie
CN209104220U (zh) * 2018-12-21 2019-07-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N111384336A (zh) 2018-12-30 2020-07-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电池包及车辆
CN111384334A (zh) 2018-12-30 2020-07-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包
CN111106279B (zh) * 2019-08-02 2022-11-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N111106282B (zh) 2019-08-27 2021-06-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WO2020259434A1 (zh) * 2019-06-27 2020-12-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车辆
CN112151709A (zh) 2019-06-27 2020-12-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车辆
KR20220065601A (ko) *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웰링 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366A (ja) 1992-01-22 1993-08-03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固定構造
JP3949587B2 (ja) 2003-01-23 2007-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密閉型二次電池
KR100570688B1 (ko) 2004-05-11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 스택을 갖는 연료 전지 장치
JP2008192551A (ja) 2007-02-07 2008-08-21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パック構造
JP5542549B2 (ja) 2009-08-31 2014-07-09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装置
KR101296790B1 (ko) 2011-07-19 2013-08-14 (주)베스텍 전지 압착장치
JP5878048B2 (ja) 2012-03-16 2016-03-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
JP5880473B2 (ja) * 2013-02-27 2016-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KR20150000090A (ko) 2013-06-24 2015-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CN203367388U (zh) * 2013-07-02 2013-12-25 深圳市晶福源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固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550A (ko) * 2019-11-29 2022-06-29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모듈, 장치 및 실효 배터리 셀의 실효 처리 방법
KR20220099119A (ko) * 2019-11-29 2022-07-12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모듈, 장치 및 실효 배터리 셀의 실효 처리 방법
US11588186B2 (en) 2019-11-29 2023-02-21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device, and failure handling method for failed battery cell
US11799142B2 (en) 2019-11-29 2023-10-24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device, and failure handling method for failed battery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26492B (zh) 2020-10-23
US20160218388A1 (en) 2016-07-28
CN105826492A (zh) 2016-08-03
US9876260B2 (en)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1124A (ko)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101657394B1 (ko) 배터리 모듈
JP7045536B2 (ja) バッテリーセル加圧型エンドプレート及び拡張型センシングハウジング構造が適用され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292984B1 (ko) 배터리 모듈
JP6148202B2 (ja) 蓄電装置の冷却構造
EP2624330B1 (en) Battery Pack
US9735403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547395B1 (ko) 전지모듈 하우징
EP2615663B1 (en) Battery module and power source unit
US8734979B2 (en) Battery module
CN103035975B (zh) 电池组
US9112202B2 (en) Battery module
KR102394688B1 (ko) 배터리 모듈
JP7303270B2 (ja) 電池パック
US20060255764A1 (en) Battery module
JP2010176997A (ja) 組電池及び組電池用セパレータ
CN107482143B (zh) 电池组
KR102449864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접속장치
CN111653708A (zh) 一种汇流排及电池模组
KR10209394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0649562B1 (ko) 전지 모듈
WO2017175636A1 (ja) 蓄電装置パック
KR101797690B1 (ko) 절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12136553U (zh) 一种汇流排及电池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