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395B1 - 전지모듈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지모듈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395B1
KR101547395B1 KR1020130121135A KR20130121135A KR101547395B1 KR 101547395 B1 KR101547395 B1 KR 101547395B1 KR 1020130121135 A KR1020130121135 A KR 1020130121135A KR 20130121135 A KR20130121135 A KR 20130121135A KR 101547395 B1 KR101547395 B1 KR 101547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side plate
support
extend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63A (ko
Inventor
남긍현
안명준
장상민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3012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3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모듈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지모듈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지모듈 하우징{Housing for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모듈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지모듈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 중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셀은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전지팩으로 제조된다. 특히, 파우치형 전지셀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약한 기계적 강성을 보완하고 PCM 등의 소자를 탑재할 수 있도록, 대다수의 경우 팩 케이스에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한 전지팩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팩 케이스는 체결은 용이하지만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팩 케이스의 조립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립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특허출원 공개 제2006-65385호에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전극군과 전해액이 밀봉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장방형의 코어 팩, 상기 코어 팩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코어팩이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 위에 결합되어 코어 팩을 밀봉하는 상부 덮개로 구성된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지팩은 얇은 두께를 갖는 케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전지셀로 이루어진 전지모듈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지모듈의 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취약하여 고장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지모듈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회로기판을 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 및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모듈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바닥부의 상면에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측에서 체결되어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쪽에 위치되는 상기 전지모듈의 측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호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측면과 제2내측면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탄성체; 및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양측과 회로기판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절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절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별로 직립형성되어 양측에서 상기 측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측부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는 배면과 하우징의 내측을 지향하는 전면을 갖고 직립되는 탄성본체;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측면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단; 및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직립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에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블럭; 상기 바닥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결블럭; 및 연결탭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탭삽입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블럭은 상기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중 어느 하나가 밀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끝단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제1이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부의 양 끝단이 안착되도록 외면과 단을 이루는 안착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블럭은 상기 지지본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면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면과,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이격홈과, 상기 제2이격홈과 연통되도록 절개되는 절개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원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는 상기 전원단자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단자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외면에서 상기 전원단자의 극성을 표시하는 극성표시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내면에서 상기 전원단자를 탄성력으로 고정시켜 상기 단자구를 통하여 노출시키는 체결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럭은 상기 측부의 내면에서 밀착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양 끝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과 하측 수평면중에서 어느 하나가 타 수평면과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직립되는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측판중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고정되는 제1측판과 제3측판의 양측 끝단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측판과 제4측판은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수단의 내면에 밀착되는 연장절곡편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은 내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1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2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는 일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고정된 벽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절연시키는 제3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판형상으로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가압판;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서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홈을 구비하는 수용판; 및 상기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성을 구비함에 따라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어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절연체를 구비함에 따라서 쇼트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도 및 수명연장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전지모듈과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측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제1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제2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제2탄성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전지모듈과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은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하나 이상의 전지셀(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20)을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지모듈(20)은 편평한 판형으로서 제작되는 바닥부(300)와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측부(200)와,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에서 각각 상방으로 직립되어 양측에서 상기 측부(200)와 연결 및 지지하는 지지부(400)와, 상기 지지부(400)와 측부(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공간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10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2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60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모듈(20)은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21)과, 상기 전지셀(21)에서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지탭(25)이 돌출 및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통전시키는 회로기판(22)과, 상기 회로기판(22)의 일면에서 보호회로에서 상기 전지셀(21)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23)와, 상기 회로기판(2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측부(200)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단자(24)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22)은 상기 전지셀(21)의 전지탭(25)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과 관통공 사이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회로패턴과,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원단자(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22)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은 상기 커넥터(23)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단자(24)는 상기 회로기판(22)에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도록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후술되는 제1측판(210)에 형성되는 체결블럭(2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측판(210)의 단자구(214)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바닥부(300)는 상면이 편평한 바닥판으로서 모서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나사공(310~33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310~330)은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의 절곡편(211, 231)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되는 제1나사공(310)과,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20)에 형성되는 탭삽입홈(413, 423)(도 5 및 도 8참조)에 연통되는 제2나사공(320)과,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의 만곡편(221a, 241a)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일치되는 제3나사공(33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100)는 편평한 상면과 배면을 갖는 상부판(160)과, 상기 상부판(160)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110)와, 내향된 홈으로서 상기 손잡이(110)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및 수용하는 수용홈(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수용판(120)과, 테두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나사공(130)과, 반대면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가압판(140)과, 상기 가압판(14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150)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10)는 상기 커버(100)의 수용판(120)에 형성된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및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10)를 잡고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커버(100)의 상면에서 돌출시켜 사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후에는 상기 손잡이(110)를 회전시켜 상기 수용판(120)의 수용홈에 안착시킨다.
상기 수용판(120)은 상기 커버(100)의 상면에서 내향 되어 상기 손잡이(110)와 일치된 형상을 갖는 수용홈을 상기 커버(100)의 상부판(160)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10)는 양 끝단에서 상기 수용판(120)의 수용홈 내측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150)은 상기 상부판(160)의 배면에서 하나 이상이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140)을 지지한다.
상기 가압판(140)은 상기 상부판(160)의 배면에서 상기 지지봉(1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일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140)은 배면에서 상기 전지모듈(20)의 일면을 가압하되, 상면에서는 회로기판(22)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보호회로가 설치됨도 가능하다.
상기 측부(200)는 상기 바닥부(300)의 상방에서 고정되어 전후좌우측에서 각각 벽면을 형성하는 제1내지 제4측판(210~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은 상측과 하측 중앙에서 'ㄱ'자 형으로 절곡 되어 각각 나사공(211a)이 형성되는 결합편(211, 231)과, 상기 지지부(400)에 밀착되는 양측 테두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나사공(2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211, 231)은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의 내측면에서 상단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면이 내측면에 밀착되고 수평면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을 지향한다. 여기서 하측에 위치된 결합편(211, 231)은 상기 바닥부(300)의 제1나사공(310)에 일치되는 나사공(211a, 231a)을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에 위치되는 결합편(211, 231)은 상기 커버(100)의 나사공(130)에 일치되는 나사공(211a, 231a) 형성되어 상기 커버(100)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측판(210)은 상기 전원단자(24)를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블럭(212)과, 상기 전원단자(24)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자구(2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블럭(212)은 상기 전원단자(24)측을 지향하는 전면의 일부에서 상기 전원단자(24)가 삽입되는 개구(212c)와, 상기 제1측판(21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수직면(212d)과, 상기 수직면(212d)의 양 끝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면(212a, 212e)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면(212a, 212e)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212c)가 형성되는 전면(212b)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상기 전면(212b)은 상측의 수평면(212a) 또는 하측의 수평면(212e)에 이격 되도록 끝단이 연장되어 그 사이에 개구(212c)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212c)는 상기 전원단자(24)가 삽입되면, 상측의 수평면(212a) 또는 하측의 수평면(212e)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단자(24)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개구(241c)는 상기 전원단자(24)가 삽입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24)를 탄성력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단자구(214)는 상기 제1측판(210)에서 개구 형성되어 상기 전원단자(24)가 상기 체결블럭(212)의 개구(212c)를 통하여 삽입되는 전원단자(24)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노출시킨다. 이는 상기 전지모듈(20)의 전기적 특성을 테스트하거나 또는 상기 전지모듈(20)과 타 전지모듈(20)과의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이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자구(214)는 상기 제1측판(210)의 외면에서 극성표시단(214a)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표시단(214a)은 '+'와 '-'로서 상기 단자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전원단자의 극성을 표시한다.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상호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기에 상기 제4측판(240)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3측판(230)은 상기 제1측판(210)에서 체결블럭(21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과 일치하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3측판(230)은 상기 회로기판(22)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체결블럭(212)이 구비됨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3측판(230)은 상기 전원단자(24)가 상기 제3측판(230)을 향하도록 상기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이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전원단자(24)와 연결되도록 체결블럭(212)이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른 다양한 변형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측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직립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벽면을 형성하는 측판본체(223, 243)와 상기 측판본체(223, 243)에서 하나 이상이 절개형성되는 방열구(222, 242)와, 상측과 하측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300)와 커버(100)에 밀착되는 절곡단(221, 241)과, 양 끝단에서 하우징(10)의 절곡 및 수평으로 연장하는 절곡연장편(224)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단(221, 241)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그 중심부에 상기 커버(100)의 나사공에 일치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만곡편(221a, 241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상단에 형성된 절곡단(221, 241)은 상면에서 상기 커버(100)의 배면측 테두리가 안착되고,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하단에 형성된 절곡단(221, 241)은 배면이 상기 바닥부(300)의 제3나사공(330)이 형성되는 상면에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곡단(221, 241)의 만곡편(221a, 241a)은 그 중심부에 상기 커버(100)의 나사공에 일치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하단의 만곡편(221a, 241a)은 상기 바닥부(300)의 나사공에 일치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구(222)는 상기 측판본체(223, 243)에서 하나 이상이 절개형성되어 내측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내측으로 유입시켜 내측의 온도를 낮춘다.
상기 절곡연장편(224)은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양 끝단에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절곡된 이후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4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연장편(224)은 끝단에서 절곡됨에 따라서 상기 절곡단(221, 241)의 끝단과 이격되는 이격공간(225)을 갖는다.
즉,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양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연장편(224)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400)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직립된 형상으로서 고정되어 상기 제1내지 제4측판(210~240)을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400)는 일측에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제1지지수단(410)과,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의 끝단 사이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제2지지수단(420)과, 상기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에 위치되는 제3지지수단(430)과, 상기 제4측판(240)과 제2측판(220) 사이에 위치되는 제4지지수단(4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은 양 끝단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단면을 이루어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40)의 안착단(415, 도 8참조)에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절곡연장편(224)이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은 상호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기에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제2지지수단(4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지지수단(420)은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의 테두리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지지본체(424)와, 상기 지지본체(424)에서 상기 바닥부(300)의 양측 테두리로 연장되어 각각 직립 형성되어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을 지지하는 제1연결블럭(421)과 제2연결블럭(422), 상기 지지본체(424)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탭 또는 나사(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상기 제1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을 바닥부(300)에 고정시키는 탭삽입홈(423)과, 상기 제1연결블럭(421)과 상기 지지본체(424) 사이에서 단을 이루어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의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단(41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본체(424)는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측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300)에서 직립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본체(424)는 바닥면(426)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426)은 상기 제1연결블럭(421)과 제2연결블럭(422)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본체(424)와 제1연결블럭(421) 및 제2연결블럭(422)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블럭(421)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지지부(600)를 지지하는 제1지지면(421a), 상기 제1지지면(421a)의 양 끝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연장면(421c)과, 상기 연장면(421c)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제1이격홈(421d)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면(421c)은 상기 제1이격홈(421d)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형성되는 직립된 벽면으로서 상기 지지면(421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면(421c)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일측의 벽면과, 상기 제1이격홈(421b)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일측 벽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1지지면(421a)에서 연장되는 타측 벽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격홈(421b)은 상기 연장면(421c)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서 양측의 연장면(421c)에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 및 완화시킨다. 즉, 상기 제1이격홈(421b)은 상기 커버(100)가 상측을 밀폐하고, 외측에서 제1측판(210) 및/또는 제3측판(230)의 양 끝단이 상기 안착단(415)에 안착되면서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격홈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격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블럭(422)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벽면으로서 상기 제2측판(220)의 연장절곡편(224)이 밀착되는 제2지지면(422a)과, 상기 제2지지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이격홈(422b)과,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일면에 상기 제2이격홈(422b)에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422c)을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면(422a)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타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부(300)의 테두리측으로 연장되는 벽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면(422a)은 상기 제2측판(220)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장절곡편(224)이 밀착되도록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이격홈(422b)은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2지지면(422a)의 양측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절개홈(422c)은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일면에서 절개되어 상기 제2이격홈(422b)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개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422c)은 상기 제2이격홈(422b)에 연통되도록 절개됨에 따라서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지지면 양측에서 힘이 가해지면 절개된 간격이 좁아지면서 수축되어 충격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절개홈(422c)과 제2이격홈(422b)은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힘이나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중간의 이격된 공간에 의하여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이격홈(421b) 역시 상기 제1연결블럭(421)을 양측으로 분할시킴으로서 제1연결블럭(421)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탭삽입홈(423)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내측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구(423a)를 통하여 내측이 노출된다. 상기 탭삽입홈(423)은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측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블럭(421)과 제2연결블럭(422) 사이에서 내향된 홈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탭삽입홈(423)을 통하여 삽입되는 연결탭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은 상기 바닥면(426)의 나사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상기 바닥부(300)의 제2나사공(320)에 연통된다.
상기 탄성지지부(6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각 모서리별로 설치되어 상기 전지모듈(20)를 탄성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지지부(600)는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제1탄성체(610)와, 상기 제4측판(240)과 제1측판(210),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제2탄성체(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체(61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에서 제1탄성체(6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체(610)는 'ㄱ'자 형의 직립된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 사이의 모서리와, 상기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상기 제1탄성체(610)는 상기 전지모듈(20)에서 상기 회로기판(22)이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 위치에 해당되는 전지모듈(20)의 모서리부분을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체(610)는 전지모듈(20)의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제1내측면(611)과 제2내측면(612)을 포함하고, 제1연결블럭(411, 421)과 제2연결블럭(412, 422)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외측면(613)과 제2외측면(6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내측면(611)과 제2내측면(612)은 상호 절곡된 형상으로서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바닥면과 일측면을 각각 탄성지지한다.
상기 제1외측면(613)은 상기 제1연결블럭(411, 421)의 제1지지면에 밀착되고, 제2외측면(614)은 상기 제2연결블럭(412, 422)의 제2지지면에 밀착되는 절곡연장판에 밀착된다.
즉, 상기 제1탄성체(610)는 상기 전지모듈(20)에서 상기 회로기판(22)과 반대측에 위치되는 양측 모서리를 지지한다.
상기 제2탄성체(620)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에서 제2탄성체(620)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전지모듈(20)에서 결합된 회로기판(22)을 탄성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탄성체(620)는 전면과 배면 및 양측면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본체(624)와, 상기 탄성본체(624)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측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단(621)과, 상기 탄성지지단(621)에서 단을 이루는 연결단(622)과, 상기 연결단(622)에서 내향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2)의 끝단이 삽입 및 안착되는 기판삽입홈(62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본체(624)는 전면과 배면 및 양측면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전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을 지향하는 면이며, 배면은 지지수단(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수단(410)의 제2연결블럭(412)의 제2지지면)에 밀착되는 측부(200)(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제2측판(220)의 절곡연장판)의 외면에 밀착된다. 양 측면중 일측면은 상기 지지수단(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제1지지수단(410)의 제1연결블럭(411)의 제1지지면)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지지단(621)은 상기 탄성본체(624)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측면을 탄성지지한다.
상기 연결단(622)은 상기 탄성지지단(621)에서 단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기판삽입홈(623)은 상기 연결단(622)에서 내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삽입홈(623)은 상측이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22)은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2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지지수단에 각각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에서 각각 형성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을 탄성지지한다.
상기 절연부(510~530)는 상기 제1측판(210) 내지 제4측판(240)중에서 회로기판(22)이 위치되는 제1측판(210)에 설치되는 제1절연체(510)와,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절연체(520)와,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중 회로기판(22)이 위치되는 제1연결블럭(411, 421)의 제1지지면(411a, 421a)에 각각 접착된다.
도 2는 상기 제1 내지 제3절연체(530)를 일예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제1절연체(510)는 상기 회로기판(22)과 근접한 제1측판(210), 제2절연체(520)는 바닥부(300), 제3절연체(530)는 상기 회로기판(22)을 사이에 두고 대향된 위치의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의 제1지지면(411a, 421a)에 각각 접착되었다.
상기 제1 내지 제3절연체(510~530)는 외측 또는 상기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를 절연하여 쇼트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지모듈 하우징(10)의 조립공정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제2절연체(520)를 접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을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서 각 모서리에 고정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에서 각각 형성되는 탭삽입홈(413, 423)에 연결탭 또는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40)의 바닥면(426)에 형성되는 나사공(도시되지 않음)을 연통시켜 상기 바닥부(300)의 제2나사공(32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1지지수단(410) 내지 제4지지수단(440)은 상기 제1연결블럭(411)의 전면에서 단을 이루어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안착단(415, 425)이 각각 전면을 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이 고정되면, 상기 제2내지 제4측판(240)을 각각 고정시킨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제3측판(230)에서 하측에 위치되는 결합편(211, 231)의 나사공을 상기 바닥부(300)의 제1나사공(310)에 일치시킨 뒤에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연통시켜 상기 제3측판(230)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3측판(230)의 양측 끝단은 상기 제2지지수단(420)과 제3지지수단(430)의 안착단(415)에 각각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2측판(220)은 상기 제2지지수단(420)과 제3지지수단(430) 사이의 상측에서 하향시켜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2측판(220)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절곡연장편(224)이 상기 제3지지수단(430)의 제1지지면(411a)과 제2지지수단(420)의 제1지지면(421a)에 전면이 밀착되고, 하측의 만곡편(221a)에 형성되는 나사공과 상기 바닥부(300)의 제3나사공(330)에 일치되어 안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만곡편(221a)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부(300)에 상기 제2측판(22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4측판(240)을 상기 제3지지수단(430)과 제4지지수단(440) 사이에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은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서 상기 제2 내지 제4측판(240)이 조립되며, 상기 제1측판(210)의 설치되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이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제1 및 제2탄성체(610, 620)를 설치한다. 즉, 상기 제1탄성체(610)는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 사이의 모서리와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의 모서리와, 상기 제1측판(21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체(610)는 제1내측면(611)이 상기 제3측판(230)과 동일방향을 지향하고, 제2내측면(612)이 제2측판(220)측을 지향하도록 설치되고, 제1외측면(613)이 상기 제3지지수단(430)의 제1연결블럭(411, 421)의 제1지지면(411a), 제2외측면(614)이 제2연결블럭(412, 422)에 밀착되는 상기 제2측판(220)의 절곡연장편(224)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탄성본체(624)의 배면이 상기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의 제2연결블럭(412, 422)의 지지면(422a)에 밀착된 상기 제2측판(220)의 절곡연장편(224)과 상기 제4측판(240)의 절곡연장편(224)에 밀착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의 제1연결블럭(411, 421)의 지지면에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전면에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전지모듈(20)에 상기 회로기판(22)을 고정시킨 뒤에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상기 전지모듈(20)을 인입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2)은 상기 제2탄성체(620)의 기판삽입홈(623)을 통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전지모듈(20)은 상기 회로기판(22)의 반대쪽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제1탄성체(610)의 제1내측면(611)과 제2내측면(612)에 안착되고, 상기 제2탄성체(620)의 탄성지지단(621)에 의하여 탄성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22)은 일측에서 돌출되는 전원단자(24)가 상기 제1측판(210)이 설치되는 전면의 외측을 향한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이 안착되면, 상기 제1측판(210)을 조립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제1측판(210)의 양측 끝단을 상기 안착단(415)에 밀착시키고, 하측에 위치된 절곡편(211)의 나사공(211a)을 상기 바닥부(300)의 제1나사공(310)에 일치시킨 뒤에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2)의 전원단자(24)는 상기 제1측판(210)의 체결블럭(212)에 형성되는 개구(212c)로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면서 상기 제1측판(210)의 단자구(214)를 통하여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은 상기 전지모듈(20)과 회로기판(22)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면만이 개방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상기 커버(100)를 상기 안착시켜 조립한다.
이때 상기 커버(100)는 상부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나사공(130)중에서 상기 절곡편(211, 231)의 나사공(211a, 231a)과,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에서 상측의 만곡편(221a, 241a)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각각 일치되도록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는 상기 가압판(140)이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전지모듈(20)의 일면에 밀착되어 안착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커버(100)와 제1 내지 제4측판(210~240)의 절곡편(211, 231) 및 만곡편(221a, 241a)에 각각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압판(140)은 상기 전지모듈(20)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전지모듈(20)이 이동 및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은 상기 커버(100)의 가압판(140)을 이용하고 상기 전지모듈(20)을 내측에서 고정시키고, 제1탄성체(610)와 제2탄성체(620)를 구비하여 상기 전지모듈(20)과 회로기판(22)을 탄성지지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고장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20)은 상기 제1 내지 제3절연체(530)를 통하여 외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됨이 차단됨에 따라 쇼트와 같은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전지모듈 하우징 20 : 전지모듈
21 : 전지셀 22 : 회로기판
23 : 커넥터 24 : 전원단자
100 : 커버 110 : 손잡이
120 : 수용홈 130 : 나사공
140 : 가압판 150 : 지지봉
200 : 측부 210 ~ 240 : 제1 내지 제4측판
211, 231 : 절곡편 212 : 체결블럭
213 : 나사공 214 : 단자구
221, 241 : 절곡단 221a, 241a : 만곡편
222 : 방열구 223, 243 : 측판본체
300 : 바닥부 310~330 : 제1나사공 내지 제3나사공
400 : 지지부 410~440 : 제1 내지 제4지지수단
411, 421 : 제1연결블럭 412, 422 : 제2연결블럭
413, 423 : 탭삽입홈 414, 424 : 지지본체
415 : 안착단 426 : 바닥면
500 : 절연부 510~530 : 제1절연체 내지 제3절연체
600 : 탄성지지부 610 : 제1탄성체
611 : 제1내측면 612 : 제2내측면
613 : 제1외측면 614 : 제2외측면
620 : 제2탄성체 621 : 탄성지지단
622 : 연결단 623 : 기판삽입홈
624 : 탄성본체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회로기판을 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 및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모듈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바닥부의 상면에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측에서 체결되어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쪽에 위치되는 상기 전지모듈의 측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호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측면과 제2내측면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탄성체; 및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양측과 회로기판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절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절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별로 직립형성되어 양측에서 상기 측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측부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는 배면과 하우징의 내측을 지향하는 전면을 갖고 직립되는 탄성본체;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측면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단; 및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직립되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에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블럭과, 상기 바닥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결블럭과, 연결탭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탭삽입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블럭은
    상기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중 어느 하나가 밀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끝단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제1이격홈을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부의 양 끝단이 안착되도록 외면과 단을 이루는 안착단을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블럭은
    상기 지지본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면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면과,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이격홈과, 상기 제2이격홈과 연통되도록 절개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원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는 상기 전원단자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단자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외면에서 상기 전원단자의 극성을 표시하는 극성표시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내면에서 상기 전원단자를 탄성력으로 고정시켜 상기 단자구를 통하여 노출시키는 체결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럭은 상기 측부의 내면에서 밀착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양 끝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과 하측 수평면중에서 어느 하나가 타 수평면과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직립되는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측판중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고정되는 제1측판과 제3측판의 양측 끝단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전지모듈 하우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판과 제4측판은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수단의 내면에 밀착되는 연장절곡편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전지모듈 하우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은
    내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1절연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2절연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는 일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고정된 벽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절연시키는 제3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판형상으로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가압판;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서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홈을 구비하는 수용판; 및
    상기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KR1020130121135A 2013-10-11 2013-10-11 전지모듈 하우징 KR101547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35A KR101547395B1 (ko) 2013-10-11 2013-10-11 전지모듈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35A KR101547395B1 (ko) 2013-10-11 2013-10-11 전지모듈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63A KR20150042463A (ko) 2015-04-21
KR101547395B1 true KR101547395B1 (ko) 2015-08-25

Family

ID=5303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135A KR101547395B1 (ko) 2013-10-11 2013-10-11 전지모듈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3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560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8190498A1 (ko) * 2017-04-10 2018-10-18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0637033B2 (en) 2016-11-29 2020-04-28 Lg Chem, Ltd.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cell lead fixing structure
KR20200064260A (ko) * 2018-11-28 2020-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472B1 (ko) 2015-10-05 2019-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979371B1 (ko) 2015-10-05 2019-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0018B1 (ko) * 2016-02-24 2019-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용 전장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구조체
KR102485753B1 (ko) * 2016-04-11 202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485751B1 (ko) * 2016-04-11 202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수납장치
KR102073256B1 (ko) 2016-06-09 2020-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구조의 냉각 겸용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063938B1 (ko) 2016-08-12 2020-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트랩 타입의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66198B1 (ko) 2017-07-13 2020-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CN113745737B (zh) * 2017-07-27 2023-11-10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及包含其的电池包
CN110098363A (zh) * 2019-05-15 2019-08-06 苏州蓝石新动力有限公司 电池控制模块、电池包结构及运载工具
WO2021065160A1 (ja) * 2019-09-30 2021-04-0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この電池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932A (ja) * 2008-01-15 200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周波数基盤の映像モデルを用いた映像復元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3054869A (ja) * 2011-09-01 2013-03-21 Toshiba Corp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932A (ja) * 2008-01-15 200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周波数基盤の映像モデルを用いた映像復元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3054869A (ja) * 2011-09-01 2013-03-21 Toshiba Corp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560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862181B2 (en) 2016-04-25 2020-12-08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US10637033B2 (en) 2016-11-29 2020-04-28 Lg Chem, Ltd.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cell lead fixing structure
WO2018190498A1 (ko) * 2017-04-10 2018-10-18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652233B2 (en) 2017-04-10 2023-05-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200064260A (ko) * 2018-11-28 2020-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KR102179788B1 (ko) * 2018-11-28 2020-1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63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395B1 (ko) 전지모듈 하우징
EP2562843B1 (en) Battery module
JP6117308B2 (ja) 二次電池装置
US9083030B2 (en) Battery module
US9153806B2 (en) Power source unit
US8974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KR102344362B1 (ko) 배터리 모듈
EP2615663A1 (en) Battery module and power source unit
KR102394688B1 (ko) 배터리 모듈
US20110097614A1 (en) Battery pack
US20100196749A1 (en) Cell container and battery
TW200933959A (en) Battery pack
KR101441524B1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WO2013011836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00064667A (ko) 배터리 팩
KR20160091124A (ko) 이차전지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EP3089237A1 (en) Power source unit comprising a circuit board
JP6233071B2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101657394B1 (ko) 배터리 모듈
JP2014229725A (ja) 蓄電ユニット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蓄電装置
KR102183995B1 (ko) 배터리 팩
JPWO2018163816A1 (ja) セパレータ、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90052894A (ko) 2차 전지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JP5475633B2 (ja) 組電池装置
KR101778668B1 (ko) 장착홈 및 돌기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조립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